KR101911257B1 - 접이식 관람석 - Google Patents

접이식 관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1257B1
KR101911257B1 KR1020180042252A KR20180042252A KR101911257B1 KR 101911257 B1 KR101911257 B1 KR 101911257B1 KR 1020180042252 A KR1020180042252 A KR 1020180042252A KR 20180042252 A KR20180042252 A KR 20180042252A KR 101911257 B1 KR101911257 B1 KR 101911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k
disposed
horizontal
horizonta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수산업
Priority to KR102018004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이동이 편리하며, 수평유지성이 향상된 접이식 관람석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관람석은 왼쪽에 배치되는 좌측프레임과, 오른쪽에 배치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센터프레임을 연결하는 좌석판 및 가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센터프레임은 뒷쪽 방향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앞쪽에 결합되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다가 마지막 제3수평링크가 결합되는 지점에서부터 지면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수평링크, 제2수평링크, 제3수평링크와, 상기 제1수평링크와 제2수평링크를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제1수직링크 및 제2수평링크와 제3수평링크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제2수직링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프레임과, 상기 하단프레임과 제3수평링크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2개 이상의 하단지지링크와, 상기 제3수평링크 뒷쪽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단부는 지지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좌석판은 제1수평링크, 제2수평링크, 제3수평링크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마감판은 하단프레임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접이식 관람석의 접이 상태를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링크에는 상기 프레임고정구가 고정되는 걸림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관람석{Folding Seats}
본 발명은 관람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활용성이 향상되고, 이동이 편리하며, 수평유지성이 향상된 접이식 관람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람석은 고정식 관람석과 가변식 관람석으로 크게 나누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변식 관람석에 한정하여 이야기하도록 한다. 가변식 관람석은 보통 접이식 관람석 또는 수납식 관람석으로 불리워지며, 책상 서랍이 나오고 들어가는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상기 수납식 관람석은 여러 개의 단위관람석이 계단형으로 순차 펼쳐지고 또 펼쳐진 각 단위관람석이 직 상부 단위관람석 아래로 수납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체육관, 강당, 각종 공연장 및 행사장 등에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경기, 공연, 행사 등이 없을 때 관람석을 수납하여 관람석이 점유하고 있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수납식 관람석의 구성을 살펴보면, 저면의 여러 개의 저면 바퀴를 가지면서 전,후방에 걸림대가 형성되는 양측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각 후방 상면에 고정되고 외 측면 하부에는 잠금장치를 가진 지지다리와, 상기 지지다리 상단에 후방 측면이 고정되고 상면에는 수 개의 관람의자가 설치되는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 및 지지다리를 연결하여 설치판의 고정을 보강하는 리브로 이루어지는 관람대 여러 개가 구성되는 방식이다.
상기한 관람대를 가동 관람대, 고정 관람대, 가동 관람대과 고정 관람대 사이의 한 개 이상의 피동 관람대로 구성하되, 각 관람대의 지지다리의 길이는 점차적으로 짧게 하여 각 관람대의 설치판 높이가 다르게 함과 동시에 각 관람대의양측 받침대 사이의 간격도 좁게 하여 하부 관람대의 양측 받침대가 직 상부 관람대의 양측 받침대 사이에 차례로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각 설치판이 수직으로 포개어지는 구성이며, 각 관람대의 설치판 상면의 관람의자 등받이는 접혀지는 형태가 된다.
상기한 종래 수납식 관람석은 수납이 완료된 상태이더라도,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각 관람대의 설치판 만큼의 폭이 필요하여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은 각 설치판이 수직으로 포개어지더라도 각 설치판에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폭과 의자의 전방으로 사람이 왕래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아무리 수직으로 포갠다 하더라도 각 설치판이 차지하는 폭이 넓어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종래 수납식 관람석은 별도의 수평조절장치가 부재하여 바닥이 평평하지 못한 곳에서는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는 구성이 복잡하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며 무게가 무거운 종래 수납식 관람석의 구조적 특징에서 기인한 문제점이기도 하며, 바닥이 평탄한 곳에서만 사용할 것을 전제로 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수납식 관람석이 사용되는 실내 체육관 등의 환경은 습도에 의한 나무 바닥의 평탄도 저하나 충격에 의한 바닥 파임 등의 바닥 평탄도 저하가 자주 발생하고, 이러한 바닥 평탄도 저하시 종래 수납식 관람석의 펼침 불가능이나 좌석 기울어짐 등이 발생하여 수납식 관람석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138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49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이 방식을 개선하여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된 접이식 관람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이식 관람석의 이동이 편리하고, 바닥의 평탄도가 저하되어도 간단하게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접이식 관람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관람석은 왼쪽에 배치되는 좌측프레임과, 오른쪽에 배치되는 우측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과,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센터프레임을 연결하는 좌석판 및 가림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센터프레임은 뒷쪽 방향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 앞쪽에 결합되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다가 마지막 제3수평링크가 결합되는 지점에서부터 지면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수평링크, 제2수평링크, 제3수평링크와, 상기 제1수평링크와 제2수평링크를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제1수직링크 및 제2수평링크와 제3수평링크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제2수직링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프레임과, 상기 하단프레임과 제3수평링크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2개 이상의 하단지지링크와, 상기 제3수평링크 뒷쪽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단부는 지지프레임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좌석판은 제1수평링크, 제2수평링크, 제3수평링크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마감판은 하단프레임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프레임에는 접이식 관람석의 접이 상태를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평링크에는 상기 프레임고정구가 고정되는 걸림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관람석은 종래 수납식이 아닌 링크를 이용한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공간활용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관람석은 바퀴를 포함하는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이 편리하고, 바닥의 평탄도가 저하되어도 간편하게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활용성 및 사용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펼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펼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힌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좌측프레임, 우측프레임, 센터프레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프레임고정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난간대가 포함된 펼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난간대가 포함된 접힌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등받이와 좌석쿠션이 포함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이동장치가 포함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장치의 상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공지된 구성 및 그와 관련된 작용은 생략 또는 간단히 설명하였고,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아래 설명에서 앞쪽, 뒷쪽, 왼쪽, 오른쪽 방향은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관람석은 왼쪽에 배치되는 좌측프레임(100a)과, 오른쪽에 배치되는 우측프레임(100b)과, 상기 좌측프레임(100a) 및 우측프레임(100b)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100c)과, 상기 좌측프레임(100a), 우측프레임(100b), 센터프레임(100c)을 연결하는 좌석판(141) 및 마감판(1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프레임(100a) 및 우측프레임(100b)은 동일한 구성으로서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기 센터프레임(100c)은 필요에 따라 제1수평링크(131), 제2수평링크(133), 제3수평링크(135)를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좌측프레임(100a)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좌측프레임(100a)은 뒷쪽 방향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앞쪽에 결합되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다가 마지막 제3수평링크(135)가 결합되는 지점에서부터 지면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수평링크(131), 제2수평링크(133), 제3수평링크(135)와, 상기 제1수평링크(131)와 제2수평링크(133)를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제1수직링크(132) 및 제2수평링크(133)와 제3수평링크(135)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제2수직링크(134)와,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하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프레임(137)과, 상기 하단프레임(137)과 제3수평링크(135)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2개 이상의 하단지지링크(136)와, 상기 제3수평링크(135) 뒷쪽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단부는 지지프레임(120)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완충수단(138)을 포함한다.
상기 각 수평링크(131)(133)(135)는 숫자가 커질수록 길이가 길어지지만, 각 수직링크(132)(134)는 모두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3수평링크(135) 까지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관람석의 수평링크는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으며, 수평링크의 갯수가 증가되면 수직링크의 갯수 또한 증가되고, 수평링크의 갯수가 감소되면 수직링크의 갯수 또한 감소된다. 즉, 수평링크가 제5수평링크까지 5개 형성되면, 수직링크는 제4수직링크까지 4개가 형성되며, 제5수평링크의 하부에 하단프레임(137)이 배치되고, 상기 하단프레임(137)과 제5수평링크 사이에 2개 이상의 하단지지링크(136)가 배치된다.
상기 완충수단(138)은 가스쇼바, 스프링 등을 포함한다. 완충수단(138)은 본 발명이 접히고 펼쳐질 때 본 발명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본 발명을 접고 펼수 있도록 작용한다. 도면에서는 제3수평링크(135)와 지지프레임(120) 사이에 완충수단(138)이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완충수단(138)의 위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최하단 수평링크와 지지프레임(120) 사이에 완충수단(138)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완충수단(138) 위치에는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절첩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동절첩장치는 모터 및 기어 등과 같은 전동 기계 장치로서 제3수평링크(135)의 뒷쪽 단부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3수평링크(135)의 앞쪽 단부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자동절첩장치의 작동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관람석이 접히고 펴지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0)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111)이 2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관람석이 2개 이상일 때, 각 접이식 관람석의 결합공(111)을 통해 볼트, 너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체결하여 2개 이상의 접이식 관람석을 하나로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좌측프레임(100a)이 접힐 때, 제1수평링크(131)는 뒷쪽 단부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전면 단부가 윗쪽 방향으로 회전하며 접힌다. 반대로 펼쳐질 때에도 제1수평링크(131)의 뒷쪽 단부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전면 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며 펼쳐진다. 제2수평링크(133), 제3수평링크(135) 및 하단프레임(137) 또한 뒷쪽 단부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전면 단부가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접히고 펼쳐진다. 반면, 베이스프레임(110)과 지지프레임(12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좌측프레임(100a)이 접힐 때, 제1수평링크(131)의 전면 단부가 윗쪽으로 회전하면 제1수직링크(132)의 후면 단부는 뒷쪽 높은 위치에, 전면 단부는 앞쪽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제2수직링크(134) 및 하단지지링크(136) 또한 제1수직링크(132)의 앞쪽에서 후면 단부는 뒷쪽 높은 위치에, 전면 단부는 앞쪽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마감판(145)은 하단프레임(137)의 저면으로 배치된다. 상기 마감판(145)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관람석이 펼쳐졌을 때 지면과 접하게 되고, 접혔을 때에는 마감판(145)이 세워지며 본 발명의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하단프레임(137)에는 접이식 관람석의 접이 상태를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구(160)가 형성되며, 지지프레임(120)의 측면에는 상기 프레임고정구(160)가 고정되는 걸림구(121)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프레임고정구(160) 및 걸림구(121)가 센터프레임(100c)에 형성되어 있으나, 프레임고정구(160) 및 걸림구(121)의 위치는 센터프레임(100c)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은 프레임고정구에 의해 본 발명이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고정구(160)는 힌지 결합되어 본 발명이 접힌 상태일 때 제1걸고리(161)와 제2걸고리(163) 사이에 걸림구(121)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프레임고정구(160)는 뒷쪽 단부에 배치되어 경사면(162)을 포함하는 제1걸고리(161)와, 상기 제1걸고리(161)의 앞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2걸고리(163)와, 상기 제2걸고리(163)의 앞쪽 방향에 배치된 작동판(164)과, 상기 작동판(164)의 앞쪽 방향에 배치된 누름버튼(165)을 포함한다. 상기 누름버튼(165)은 마감판(145)을 관통하며 배치된다.
상기 경사면(162)은 본 발명이 접히는 과정에서 경사면(162)이 걸림구(121)와 접촉하며 제1걸고리(16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고, 완전히 접힌 후에는 제1걸고리(161)와 제2걸고리(163)가 걸림구(121)를 사이에 두고 앞뒤로 위치하여 견고한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누름버튼(165)은 앞쪽으로 이동하여 작동판(164)을 밀어 프레임고정구(16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누름버튼(165)에 밀린 프레임고정구(160)는 힌지를 중심으로 제1걸고리(161)가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여 걸림 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좌석판(141)은 제1수평링크(131), 제2수평링크(133), 제3수평링크(135)의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제1수평링크(131)의 사부에 배치된 좌석판(141)은 좌측프레임(100a), 우측프레임(100b), 센터프레임(100c)의 제1수평링크(131)가 동시에 링크 작동할 수 있도록 각 프레임(100a),(100b), (100c)의 제1수평링크(141)를 연결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2수평링크() 및 제3수평링크()에 배치된 좌석판(141)의 작용 또한 동일하다.
제1수직링크(132) 및 제2수직링크(134)는 가림판고정구(144) 및 가림판(143)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수직링크(132)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3개의 제1수직링크(132)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가림판고정구(144)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가림판고정구(144)의 앞쪽에는 가림판(143)이 부착된다. 앞에 설명한 가림판고정구(144) 및 가림판(143)은 제2수직링크(134)에도 동일하게 구성된다. 가림판(143)은 제1수평링크(131)와 제2수평링크(13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뒷쪽이 보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제1수평링크(131)와 제2수평링크(133) 사이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제2수평링크(133)와 제3수평링크(135) 사이에 배치된 가림판(143) 또한 상기 설명과 동일한 구성 및 동일한 작용이다. 상기 가림판(143)은 필요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부 앞면 및 하단지지링크(136)의 전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난간대를 살펴본다.
좌측프레임(100a) 및 우측프레임(100b)은 난간대(200)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난간대(200)는 좌측프레임(100a)의 왼쪽면 및 우측프레임(100b)의 오른쪽면에 배치된다. 난간대(200)는 지지프레임(120)의 중간 이상 높이의 위치에서 지지프레임(120)의 상단부 이상의 높이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고정 결합된 제1수직난간링크(211)와, 상기 제1수직난간링크(211)에서 앞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제1수평링크(131), 제2수평링크(133), 제3수평링크(135)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수직난간링크(212)와, 상기 제2수직난간링크(212)에서 앞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제3수평링크(135), 제2수평링크(133)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수직난간링크(213)와, 상기 제1수직난간링크(211) 및 제2수직난간링크(212)의 상단부와 링크 결합된 제1수평난간링크(214)와, 상기 제3수직난간링크(213)의 상단부 및 제2수직난간링크(212)의 소정 위치와 수평 각도로 링크 결합된 제2수평난간링크(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직난간링크(211)와 제2수직난간링크(212)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보조난간링크(216)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난간대(200)는 접이식 관람석의 펼침 및 접힘 상태에 따라 링크식으로 접히고 펼쳐진다. 상기한 링크식 접힘 및 펼쳐짐 작용은 앞서 좌측프레임(100a)의 접힘 및 펼쳐짐 작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난간대(200)는 접이식 관람석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접이식 관람석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접이식 관람석이 접힌 상태에서는 링크식으로 접혀 접이식 관람석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한다.
도 9을 참조하여 좌석판의 좌석패드와 등받이를 살펴본다.
좌석판(141)은 좌석패드(150) 및 등받이(151)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석패드(150)는 착석자의 체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서 각 좌석판(141)의 상면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등받이(151)는 좌석패드(150)의 뒷쪽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친다. 상기 등받이(151)는 저면이 좌석판(141)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등받이(151) 하단과 힌지 결합된 등받이힌지(152)와, 상기 등받이(151)의 뒷면 하단에 배치되어 등받이(151)가 일정 각도 이상 뒷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받이지지구(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151)는 등받이힌지(152)를 중심으로 앞쪽으로 회전하며 좌석패드(150)의 상면으로 접혀, 접이식 관람석이 접힐 때 등받이(151)에 의해 접힙 작용이 방해 받지 않도록 작용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이동장치를 살펴본다.
이동장치(300)는 마감판(145)의 저면으로 4개 이상 배치된다. 상기 이동장치(300)는 접이식 관람석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고, 바닥 평탄도가 저하되는 바닥에서 접이식 관람석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장치(300)는 마감판(145)의 저면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310)와, 상기 상부지지구(310)를 관통하여 조절홈(311)에 체결되는 조절나사(313)와, 상기 조절나사(313)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부지지구(330)와, 상기 상부지지구(310)와 하부지지구(330)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320)와, 상기 하부지지구(330)의 저면에 배치된 바퀴(340) 및 바퀴지지구(341)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지지구(310)는 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지지돌출구(312) 및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내측 둘레로 나사산 형성된 조절홈(311)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구(330)는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지지돌출구(331)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홈(311)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마감판(145) 및 하단프레임(137)을 관통하는 조절공(350)이 형성된다. 상기 조절공(350)은 본 발명이 펴진 상태에서 조절나사(313)를 편리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조절홈(311)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나사산은 조절나사(313)와 체결되고, 상기 조절나사(313)는 조절홈(311)에서 회전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지지돌출구(312) 및 하부지지돌출구(331)는 상부지지구(310)와 하부지지구(330)의 수직 위치를 유지하며 탄성체(32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하부지지구(33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도 11a는 바닥이 오목하게 꺼졌을 때 이동장치(300)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바퀴(340)는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지지구(310)와 하부지지구(330) 사이의 탄성체(320)는 신장된다. 상기 탄성체(320)는 상부지지돌출구(312) 및 하부지지돌출구(331)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 상황에서 동일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나사(313)를 돌려 조절나사(313)의 하단부가 하부지지구(330)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하면 바퀴(34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이 멈추며 이동장치(300)의 조절이 완료된다.
도 11b는 바닥이 돌출되었을 때 이동장치(300)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돌출된 바닥에 의해 바퀴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지지구(310)와 하부지지구(330) 사이의 탄성체(320)는 수축된다. 사용자는 조절나사(313)를 돌려 조절나사(313)의 하단부가 하부지지구(330)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하여 바퀴(34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이 멈추도록 하면 바퀴(340)의 상하 방향 움직임이 멈추며 이동장치(300)의 조절이 완료된다.
이상, 본 발명을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0a: 좌측프레임 100b: 우측프레임
100c: 센터프레임 110: 베이스프레임
111: 결합공 120: 지지프레임
121: 걸림구 131: 제1수평링크
132: 제1수직링크 133: 제2수평링크
134: 제2수직링크 135: 제3수평링크
136: 하단지지링크 137: 하단프레임
138: 완충수단 141: 좌석판
143: 가림판 144: 가림판고정구
145: 마감판 150: 좌석패드
151: 등받이 152: 등받이힌지
153: 등받이지지구 160: 프레임고정구
161: 제1걸고리 162: 경사면
163: 제2걸고리 164: 작동판
165: 누름버튼 200: 난간대
211: 제1수직난간링크 212: 제2수직난간링크
213: 제3수직난간링크 214: 제1수평난간링크
215: 제2수평난간링크 216: 보조난간링크
300: 이동장치 310: 상부지지구
311: 조절홈 312: 상부지지돌출구
313: 조절나사 320: 탄성체
330: 하부지지구 331: 하부지지돌출구
340: 바퀴 341: 바퀴지지구
350: 조절공

Claims (4)

  1. 왼쪽에 배치되는 좌측프레임(100a)과, 오른쪽에 배치되는 우측프레임(100b)과, 상기 좌측프레임(100a) 및 우측프레임(100b)의 사이에 배치되는 센터프레임(100c)과, 상기 좌측프레임(100a), 우측프레임(100b), 센터프레임(100c)을 연결하는 좌석판(141) 및 마감판(14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측프레임(100a), 우측프레임(100b), 센터프레임(100c)은 뒷쪽 방향에서 수직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는 베이스프레임(1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10) 앞쪽에 결합되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되다가 마지막 제3수평링크(135)가 결합되는 지점에서부터 지면까지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20)과,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수평링크(131), 제2수평링크(133), 제3수평링크(135)와,
    상기 제1수평링크(131)와 제2수평링크(133)를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제1수직링크(132) 및 제2수평링크(133)와 제3수평링크(135)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제2수직링크(134)와,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하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프레임(137)과,
    상기 하단프레임(137)과 제3수평링크(135) 사이에서 링크 결합된 2개 이상의 하단지지링크(136)와,
    상기 제3수평링크(135) 뒷쪽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단부는 지지프레임(120)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완충수단(138)을 포함하고,
    상기 좌석판(141)은 제1수평링크(131), 제2수평링크(133), 제3수평링크(135)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마감판(145)은 하단프레임(137)의 저면에 배치되고,
    상기 하단프레임(137)에는 접이식 관람석의 접이 상태를 고정시키는 프레임고정구(16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20)에는 프레임고정구(160)가 고정되는 걸림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판(145)은 저면에 배치되는 이동장치(300)를 더욱 포함하되,
    상기 이동장치(300)는 마감판(145)의 저면에 배치되는 상부지지구(310)와,
    상기 상부지지구(310)를 관통하여 조절홈(311)에 체결되는 조절나사(313)와,
    상기 조절나사(313)의 하부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하부지지구(330)와,
    상기 상부지지구(310)와 하부지지구(330) 사이에 배치된 탄성체(320)와,
    상기 하부지지구(330)의 저면에 배치된 바퀴(340) 및 바퀴지지구(341)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구(310)는 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지지돌출구(312) 및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며 형성된 조절홈(311)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구(330)는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지지돌출구(3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관람석.
  2. 제1항에 있어서,
    좌측프레임(100a) 및 우측프레임(100b)은 난간대(200)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난간대(200)는 좌측프레임(100a)의 왼쪽면 및 우측프레임(100b)의 오른쪽면에 배치되고,
    상기 난간대(200)는 지지프레임(120)의 중간 이상 높이의 위치에서 지지프레임(120)의 상단부 이상의 높이로 돌출되어 비스듬히 고정 결합된 제1수직난간링크(211)와,
    상기 제1수직난간링크(211)에서 앞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제1수평링크(131), 제2수평링크(133), 제3수평링크(135)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수직난간링크(212)와,
    상기 제2수직난간링크(212)에서 앞쪽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제3수평링크(135), 제2수평링크(133)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수직난간링크(213)와,
    상기 제1수직난간링크(211) 및 제2수직난간링크(212)의 상단부와 링크 결합된 제1수평난간링크(214)와,
    상기 제3수직난간링크(213)의 상단부 및 제2수직난간링크(212)의 소정 위치와 수평 각도로 링크 결합된 제2수평난간링크(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관람석.
  3.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석판(141)은 좌석패드(150) 및 등받이(151)를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좌석패드(150)는 착석자의 체중을 분산 지지할 수 있는 재질로서 각 좌석판의 상면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등받이(151)는 좌석패드(150)의 뒷쪽에 배치되며,
    상기 등받이(151)는 저면이 좌석판(141) 상면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등받이(151) 하단과 힌지 결합된 등받이힌지(152)와, 상기 등받이(151)의 뒷면 하단에 배치되어 등받이(151)가 일정 각도 이상 뒷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받이지지구(1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관람석.
  4. 삭제
KR1020180042252A 2018-04-11 2018-04-11 접이식 관람석 KR101911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252A KR101911257B1 (ko) 2018-04-11 2018-04-11 접이식 관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252A KR101911257B1 (ko) 2018-04-11 2018-04-11 접이식 관람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1257B1 true KR101911257B1 (ko) 2018-10-25

Family

ID=6413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252A KR101911257B1 (ko) 2018-04-11 2018-04-11 접이식 관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1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95B1 (ko) * 2019-12-13 2020-06-01 주식회사 유레카코퍼레이션 자동 접이식 관람석
KR102291091B1 (ko) * 2021-01-22 2021-08-20 (주)성보건설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4914A1 (en) * 2010-11-18 2012-05-24 Rivera Jr Jeremias C Mobile folding choral riser with high-speed cylinder lift-assist mechanism and partially independent back railing linkage
KR101636226B1 (ko) * 2016-03-02 2016-07-14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4914A1 (en) * 2010-11-18 2012-05-24 Rivera Jr Jeremias C Mobile folding choral riser with high-speed cylinder lift-assist mechanism and partially independent back railing linkage
KR101636226B1 (ko) * 2016-03-02 2016-07-14 주식회사 유니테크 시스템 관람석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95B1 (ko) * 2019-12-13 2020-06-01 주식회사 유레카코퍼레이션 자동 접이식 관람석
KR102291091B1 (ko) * 2021-01-22 2021-08-20 (주)성보건설 물류창고용 도크시설의 추락방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635B2 (en) Multi-configurable platform seating system
KR101911257B1 (ko) 접이식 관람석
US7029070B2 (en) Adjustable chairs and beds
US3162460A (en) Portable enclosure
US8438786B2 (en) Flexible venue system
US9980583B2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KR102223928B1 (ko) 사용과 보관이 간편한 수납식 관람석 의자
US2870492A (en) Seating structures
US20170239987A1 (en) Mobile folding restaurant booth style bench
JP3352089B2 (ja) 多重折畳みステージ
JP2010529335A (ja) 演壇および支持構造体
US6739560B1 (en) Self-adjusting anti-glide apparatus
US4102086A (en) Hidden tiers
KR102279472B1 (ko) 관람석 의자용 수동 잠금장치 브라켓
US4379378A (en) Auditorium convertible floor
JP7088548B2 (ja) 収納式観覧席
US2198157A (en) Portable foldable seat
US8387543B2 (en) Extendable table for use with an outdoor umbrella
JPS58121915A (ja) 椅子
US3547484A (en) Suspended seating construction
US3228723A (en) Folding chair assembly
KR102167726B1 (ko) 흔들림 방지용 잠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다단 관람석
KR20140120442A (ko) 이동식 접이 침대
KR20200077923A (ko) 수납식 관람석 자동 절첩장치
KR102395080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조립식 폴딩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