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412B1 -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412B1
KR102290412B1 KR1020190130838A KR20190130838A KR102290412B1 KR 102290412 B1 KR102290412 B1 KR 102290412B1 KR 1020190130838 A KR1020190130838 A KR 1020190130838A KR 20190130838 A KR20190130838 A KR 20190130838A KR 102290412 B1 KR102290412 B1 KR 102290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reverse
clutch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137A (ko
Inventor
최형진
Original Assignee
최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진 filed Critical 최형진
Priority to KR102019013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4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one or more one-way clutches as an essential fe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4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four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ix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65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nine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8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reverse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 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 상기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 상기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 및 제1축 고단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 상기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 상기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 및 제3축 고단기어;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 상기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 상기 제4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 상기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후진기어;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상기 제4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와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와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와 상기 제4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3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상기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진 4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진 6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9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 시 변속 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 가능하고 수동은 물론 자동이 가능하고, 자동일 경우 변속인자를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변속시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변속기는 크게 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CVT 및 자동화된 수동변속기 등이 있으며 항시 구동하는 엔진에 맞추어져 있다. 주행 중에만 모터가 구동하는 전기자동차는 일반적인 자동차와 다르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용 변속기가 필요하며 많은 자동차회사에서는 전기차용 변속기를 개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전기자동차에 적합한 변속기가 아직까지 없어 대부분의 전기자동차는 감속기로만 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감속기에 의한 동력전달 시에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환경에 맞추어 적절한 변속 없이 모터 및 배터리의 성능으로만 주행해야 하므로 주행 및 에너지 효율이 현저히 낮으며 성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높은 사양의 파워트레인을 적용하고 이로 인해 전기자동차의 가격이 높아지며 소비자의 부담이 매우 높아져 전기자동차가 외면당하고 있다. 감속기만 사용한 전기자동차의 경우 등판성능에 의해 기어 비를 선정하면 고속에서는 고RPM으로 구동되어야 하며 모터의 특성상 고RPM에서 토오크와 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므로 주행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 자동차회사에서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로 2단 또는 3단용 자동변속기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시험단계에 지나지 않으며 일반적인 자동차의 상용화된 자동변속기에 비해 현저히 낮은 변속 단으로서 높은 성능과 효율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일부 전기자동차에는 수동변속기를 사용하지만 조작이 번거로워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전기자동차는 수동 변속에 의한 기어 맞물림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클러치로 모터의 동력을 차단시켜야 하는 운전자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어 운전자가 시야확보 및 운전의 집중력을 떨어뜨려 간접적 사고 유발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 시에 변속기어의 충격 없이 동력전달이 가능한 자동차의 전진 4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진 6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9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경우 클러치 장치와 원웨이 클러치(베어링)을 사용하며 클러치 장치는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의 유압 타입, 전자식 마그네틱 타입, 변속기 케이스를 이용하는 유압 실린더 타입, 별도의 유압 실린더 타입 및 전동식 기계 타입이 가능하고 원가절감을 위한 수동 타입도 가능하고, 자동차에 변속기가 탑재되는 공간과 변속 제어 방식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 동력전달장치에서 적합한 동력전달장치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도로상황, 외부환경 및 안전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된 기준 값에 대하여 센서 등을 통하여 기준 값에 도달하였을 때 컨트롤러가 자동으로 변속 시기를 결정하도록 하여 안전하면서 최적의 조건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진 4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전진 6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9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동력변환 인자는 클러치와 원웨이 베어링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기어 사양 및 잇수 등의 선정이 용이하며 변속기의 구조가 다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클러치 장치의 유형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에 사용하는 유압 방식과; 전자식 마그네틱 방식과; 변속기 케이스를 이용한 유압 실린더 방식과; 별도의 유압 실린더 방식과; 전자식 기계 작동 방식; 도그 클러치 기계 작동 방식 등을 폭넓게 사용 할 수 있어 자동차의 특징에 따라 변속기의 제어 유형이 다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진 4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진 6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9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는 엔진/모터의 한 방향 회전에 의한 전진 변속만 가능하며, 엔진/모터의 역회전으로 인한 후진도 가능한 자동차용 전진 4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진 6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9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변속기는 변속 시 변속기어의 연결로 인한 기어 충격 발생이 없어 사용이 편리하면서 정숙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기기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전기자동차뿐만 아니라 엔진 자동차 또는 인력에 의한 자전거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자동차는 2륜, 3륜, 4륜 등 모든 종류의 운송수단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본 발명은 기어에 의한 동력전달에 한정하지 않고 체인 스프로킷들과 체인, 풀리와 밸트 등의 동력전달매체를 총칭하여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변속기로써 내연기관의 일반 자동차의 변속기를 사용하기 부적합하나 본 발명으로 인해 전기자동차 전용 최상의 변속기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입력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입력 아이들 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1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2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변속 아이들 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3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4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후진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2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2의 동력전달장치의 제1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2의 동력전달장치의 제2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2와 도 16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8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0a와 도 2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8의 동력전달장치의 제3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8의 동력전달장치의 제4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8과 도 22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4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4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외부의 구동력을 모터로 하고 최종의 출력을 차동기어장치로 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4와 도 27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 받는 입력축;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 및 제1축 고단기어;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 및 제3축 고단기어;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4축 후진기어;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4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4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로 구성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4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입력 아이들 축 또는 변속 아이들 축 또는 후진축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에 양방향으로 전달되어도 동력이 전달되도록 역할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 내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에서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회전에 의해 제1 원웨이 클러치와 제2 원웨이 클러치는 클러치 되어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제4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제1 내지 제2 고단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이고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상태에서 입력축의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제4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입력축은 동일한 량으로 특정방향 또는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간기어 및 상기 제1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6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간기어 및 제2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6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와 제1중단 클러치와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간기어 및 제2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9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입력축 전달기어, 제1축 내지 제3축 전달기어, 제1축 내지 제4축 저단기어, 제1축 내지 제4축 중단기어, 제1축 내지 제4축 고단기어, 입력축 또는 제4축 후진기어, 후진축 입력 또는 출력기어, 입력 또는 변속 아이들 기어, 출력기어는 기어에 의한 동력전달에 한정하지 않고 체인 스프로킷과 체인, 풀리와 밸트 등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입력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입력 아이들 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1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2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변속 아이들 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3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4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후진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6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6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7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7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73) 및 제3축 고단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81);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8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84);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9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9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9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후진기어(8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4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4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4축 후진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4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 아이들 축 또는 변속 아이들 축 또는 후진축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에 양방향으로 전달되어도 동력이 전달되도록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내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에서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회전에 의해 제1 원웨이 클러치와 제2 원웨이 클러치는 클러치 되어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제4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제1 내지 제2 고단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이고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상태에서 입력축의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제4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입력축은 동일한 량으로 특정방향 또는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중단 및 고단 클러치 장치 또는 후진 클러치 장치는 전기/전자식 마그네틱 클러치 장치, 유압식 클러치 장치 또는 수동식 레버 등이 있고, 마찰 디스크와 가동되는 제동자로 구성된다. 제동자는 브레이크슈(brake shoe), 브레이크 블록(block), 플레이트 등이 될 수 있으며 가동하는 동력이 전자력에 의하면 전자식 마그네틱 클러치 장치가 되고, 유압에 의하면 유압식 클러치 장치가 된다.
각 원웨이 클러치(베어링)는 일반 베어링과 달리 축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
Figure 112019107384917-pat00001
위의 [표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
Figure 112019107384917-pat00002
위의 [표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3]
Figure 112019107384917-pat00003
위의 [표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4]
Figure 112019107384917-pat00004
위의 [표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91R) → 후진축(92R) → 후진축 출력기어(93R) → 제4축 후진기어(85R)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5]
Figure 112019107384917-pat00005
위의 [표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2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4a와 도 1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2의 동력전달장치의 제1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2의 동력전달장치의 제2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중단기어(44)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중단기어(54);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중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중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M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6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6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7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7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73) 및 제3축 고단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81);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8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84);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9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9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9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후진기어(8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4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4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중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4축 후진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6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12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중단 클러치(MC1)와 조립되는 중단기어(44 또는 52)에 조립되고 제1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1);를 더 포함되되,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1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고단 클러치(HC1)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2와 도 16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6]
Figure 112019107384917-pat00006
위의 [표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7]
Figure 112019107384917-pat00007
위의 [표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8]
Figure 112019107384917-pat00008
위의 [표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9]
Figure 112019107384917-pat00009
위의 [표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0]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0
위의 [표1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1]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1
위의 [표1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91R) → 후진축(92R) → 후진축 출력기어(93R) → 제4축 후진기어(85R)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2]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2
위의 [표1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8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0a와 도 2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8의 동력전달장치의 제3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8의 동력전달장치의 제4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6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6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7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7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73) 및 및 제3축 중단기어(74) 및 제3축 고단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81); 제3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중단기어(82);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8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84);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중단기어와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M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9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9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9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후진기어(8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4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4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중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4축 후진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6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18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2 중단 클러치(MC2)와 조립되는 중단기어(74 또는 82)에 조립되고 제2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2);를 더 포함되되,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2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고단 클러치(HC2)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8과 도 22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3]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3
위의 [표1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중단기어(74) → 제4축 중단기어(82)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4]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4
위의 [표1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5]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5
위의 [표1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6]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6
위의 [표1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중단기어(74) → 제4축 중단기어(82)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7]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7
위의 [표1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8]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8
위의 [표1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91R) → 후진축(92R) → 후진축 출력기어(93R) → 제4축 후진기어(85R)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19]
Figure 112019107384917-pat00019
위의 [표1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4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4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외부의 구동력을 모터로 하고 최종의 출력을 차동기어장치로 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중단기어(44)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중단기어(52);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중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중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M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6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6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7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7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73) 및 및 제3축 중단기어(74) 및 제3축 고단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81); 제3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중단기어(82);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8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84);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중단기어와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M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9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9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9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후진기어(8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4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4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8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중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중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4축 후진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9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24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중단 클러치(MC1)와 조립되는 중단기어(44 또는 52)에 조립되고 제1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1);와 제2 중단 클러치(MC2)와 조립되는 중단기어(74 또는 82)에 조립되고 제2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2);를 더 포함되되,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와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1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고단 클러치(HC1)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고,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2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고단 클러치(HC2)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4와 도 27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0]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0
위의 [표2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중단기어(74) → 제4축 중단기어(82)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1]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1
위의 [표2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2]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2
위의 [표2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중단기어(74) → 제4축 중단기어(82)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3]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3
위의 [표2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4]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4
위의 [표2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저단기어(73) → 제4축 저단기어(81)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5]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5
위의 [표2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중단기어(74) → 제4축 중단기어(82)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6]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6
위의 [표26]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7]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7
위의 [표27]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9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변속 아이들 기어(61) → 제3축 전달기어(71) → 제3축(72) → 제3축 고단기어(75) → 제4축 고단기어(83)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8]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8
위의 [표2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9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91R) → 후진축(92R) → 후진축 출력기어(93R) → 제4축 후진기어(85R) → 제4축(84) → 출력기어(86)이다.
[표29]
Figure 112019107384917-pat00029
위의 [표2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엔진 또는 드라이브 모터(외부의 구동력)
21 : 입력축
22 : 입력축 전달기어
23R : 입력축 후진기어
31 : 입력 아이들 기어
32 : 입력 아이들 축
41 : 제1축 전달기어
42 : 제1축
43 : 제1축 저단기어
44 : 제1축 중단기어
45 : 제1축 고단기어
51 : 제2축 저단기어
52 : 제2축 중단기어
53 : 제2축 고단기어
54 : 제2축
55 : 제2축 전달기어
61 : 변속 아이들 기어
62 : 변속 아이들 축
71 : 제3축 전달기어
72 : 제3축
73 : 제3축 저단기어
74 : 제3축 중단기어
75 : 제3축 고단기어
81 : 제4축 저단기어
82 : 제4축 중단기어
83 : 제4축 고단기어
84 : 제4축
85R : 제4축 후진기어
86 : 출력기어
91R : 후진축 입력기어
92R : 후진축
93R : 후진축 출력기어
OC1 : 제1원웨이 클러치
OC2 : 제2원웨이 클러치
HC1 : 제1고단 클러치
HC2 : 제2고단 클러치
MC1 : 제1중단 클러치
MC2 : 제2중단 클러치
MOC1 : 제1중단 원웨이 클러치
MOC2 : 제2중단 원웨이 클러치
RC : 후진 클러치

Claims (9)

  1.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 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
    상기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
    상기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 및 제1축 고단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
    상기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
    상기 제2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고단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1축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축;
    상기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
    상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
    상기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 및 제3축 고단기어;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
    상기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
    상기 제4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어 출력을 갖는 제4축;
    상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
    상기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후진기어; 및
    상기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출력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축 또는 상기 제2축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1축 또는 상기 제2축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3축 또는 상기 제4축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에 결합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3축 또는 상기 제4축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상기 제4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 및 상기 제4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상기 입력축 전달기어, 상기 제1축 전달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 상기 제2축 저단기어, 상기 제2축 전달기어, 상기 제3축 전달기어, 상기 제3축 저단기어 및 상기 제4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단 클러치 및 상기 제2고단 클러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4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상기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2 고단 클러치와 상기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에서 상기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제2 원웨이 클러치는 클러치 되어 상기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상기 제4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상기 제1 내지 제2 고단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이고 상기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의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상기 제4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상기 입력축은 동일한 량으로 특정방향 또는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이 상기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상기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및
    제1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상기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및
    제2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상기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상기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제1중단 클러치; 및
    제2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3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단 클러치, 상기 제2고단 클러치, 상기 제1중단 클러치 및 제2 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6단 변속 또는 9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상기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단 클러치와 조립되는 중단기어에 조립되고 상기 제1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 및
    상기 제2 중단 클러치와 조립되는 중단기어에 조립되고 상기 제2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상기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1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고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고,
    상기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2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고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아이들 축 또는 상기 변속 아이들 축은 상기 외부의 구동력이 상기 입력축에 양방향으로 전달되어도 동력이 전달되도록 회전방향을 일치되게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 상기 입력 아이들 축으로 구성되는 입력 아이들 세트와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 상기 변속 아이들 축으로 구성되는 변속 아이들 세트는 생략되되,
    상기 입력축 전달기어는 상기 제1축 전달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2축 전달기어는 상기 제3축 전달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는 상기 제4축 후진기어와 치합되는 경우,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 상기 후진축으로 구성되는 후진축 세트와 상기 입력 아이들 세트 또는 상기 변속 아이들 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되되,
    상기 입력축 전달기어는 상기 제1축 전달기어에 치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2축 전달기어는 상기 제3축 전달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는 상기 출력기어에 치합되는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4축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축에 조립되는 또 다른 기어에 치합되는 경우,
    상기 제4축 후진기어와 상기 후진축 세트 또는 상기 제4축 후진기어와 상기 후진축 세트와 상기 입력 아이들 세트와 상기 변속 아이들 세트는 생략되어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KR1020190130838A 2019-10-21 2019-10-21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KR102290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38A KR102290412B1 (ko) 2019-10-21 2019-10-21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38A KR102290412B1 (ko) 2019-10-21 2019-10-21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37A KR20210047137A (ko) 2021-04-29
KR102290412B1 true KR102290412B1 (ko) 2021-08-13

Family

ID=7572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838A KR102290412B1 (ko) 2019-10-21 2019-10-21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4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332A (zh) 2018-04-05 2018-07-13 重庆康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车自动变挡及加力的变速箱
KR102017774B1 (ko) 2019-04-23 2019-09-03 최형진 동력전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498B1 (ko) * 2011-03-25 2013-05-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 변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332A (zh) 2018-04-05 2018-07-13 重庆康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车自动变挡及加力的变速箱
KR102017774B1 (ko) 2019-04-23 2019-09-03 최형진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37A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059B1 (ko) 전기차량용 변속기
US9586470B2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JP5312481B2 (ja) ハイブリット車両の動力伝達装置
CN101462487B (zh) 用于车辆的自动变速器
CN103303119B (zh) 用于车辆的混合动力传动系
US9346462B2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JP2009510341A (ja) 原動機付き車両用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及びそのシフトチェンジ方法
JP2016516161A (ja) 車両用ドライブトレインおよびパワー変更の実行方法
GB2443523A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providing rock-cycling and blended gear shifts
US8113982B2 (en) Eight speed planetary kinematic arrangement
US10525817B2 (en) Supplemental transmission assembly
CN102562968A (zh) 无动力中断换档的自动变速驱动装置及其换挡控制方法
KR102497028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CN101793315B (zh) 机械和液压组合式动力传动机构
CN104019195A (zh) 一种差速耦合自动变速器
US9157511B2 (en) Multi-speed transmission
KR102290412B1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CN102297246B (zh) 变速器的传动装置
KR102247131B1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KR102238143B1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KR20210047136A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US20150159737A1 (en) Multi-speed transmission
CN101655142B (zh) 采用共面齿轮组的多档传动系统
EP2339209A1 (en) Automatic transmission
CN105889429A (zh) 一种多离合器变挡系统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