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131B1 -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131B1
KR102247131B1 KR1020190130835A KR20190130835A KR102247131B1 KR 102247131 B1 KR102247131 B1 KR 102247131B1 KR 1020190130835 A KR1020190130835 A KR 1020190130835A KR 20190130835 A KR20190130835 A KR 20190130835A KR 102247131 B1 KR102247131 B1 KR 10224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ear
axis
clutch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135A (ko
Inventor
최형진
Original Assignee
최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진 filed Critical 최형진
Priority to KR102019013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13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1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with one or more one-way clutches as an essential fe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eight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78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 comprising twelve or more forward spe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82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reverse sp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 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 상기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 상기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 및 제1축 고단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 상기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 상기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 상기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 및 제3축 고단기어;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 상기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 상기 제4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 상기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 상기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 상기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 및 제5축 고단기어; 상기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 상기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 상기 제6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 상기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5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5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 상기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상기 제2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와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와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와 상기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3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5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5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상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A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전진 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진 12단 및 후진 1단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1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27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속 시 변속 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 가능하고 수동은 물론 자동이 가능하고, 자동일 경우 변속인자를 컨트롤러의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변속시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변속기는 크게 수동변속기, 자동변속기, CVT 및 자동화된 수동변속기 등이 있으며 항시 구동하는 엔진에 맞추어져 있다. 주행 중에만 모터가 구동하는 전기자동차는 일반적인 자동차와 다르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용 변속기가 필요하며 많은 자동차회사에서는 전기차용 변속기를 개발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전기자동차에 적합한 변속기가 아직까지 없어 대부분의 전기자동차는 감속기로만 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감속기에 의한 동력전달 시에는 전기자동차의 주행 환경에 맞추어 적절한 변속 없이 모터 및 배터리의 성능으로만 주행해야 하므로 주행 및 에너지 효율이 현저히 낮으며 성능을 만족하기 위하여 높은 사양의 파워트레인을 적용하고 이로 인해 전기자동차의 가격이 높아지며 소비자의 부담이 매우 높아져 전기자동차가 외면당하고 있다. 감속기만 사용한 전기자동차의 경우 등판성능에 의해 기어 비를 선정하면 고속에서는 고RPM으로 구동되어야 하며 모터의 특성상 고RPM에서 토오크와 효율이 현저히 낮아지므로 주행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 자동차회사에서는 전기자동차용 변속기로 2단 또는 3단용 자동변속기를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시험단계에 지나지 않으며 일반적인 자동차의 상용화된 자동변속기에 비해 현저히 낮은 변속 단으로서 높은 성능과 효율을 만족시킬 수 없다. 일부 전기자동차에는 수동변속기를 사용하지만 조작이 번거로워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게 된다. 또한, 수동변속기를 장착한 전기자동차는 수동 변속에 의한 기어 맞물림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클러치로 모터의 동력을 차단시켜야 하는 운전자의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어 운전자가 시야확보 및 운전의 집중력을 떨어뜨려 간접적 사고 유발요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 시에 변속기어의 충격 없이 동력전달이 가능한 자동차의 전진 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진 12단 및 후진 1단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1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27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경우 클러치 장치와 원웨이 클러치(베어링)을 사용하며 클러치 장치는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의 유압 타입, 전자식 마그네틱 타입, 변속기 케이스를 이용하는 유압 실린더 타입, 별도의 유압 실린더 타입 및 전동식 기계 타입이 가능하고 원가절감을 위한 수동 타입도 가능하고, 자동차에 변속기가 탑재되는 공간과 변속 제어 방식에 따라 2단 이상의 다단 동력전달장치에서 적합한 동력전달장치 적용이 용이하다.
또한, 도로상황, 외부환경 및 안전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된 기준 값에 대하여 센서 등을 통하여 기준 값에 도달하였을 때 컨트롤러가 자동으로 변속 시기를 결정하도록 하여 안전하면서 최적의 조건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진 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전진 12단 및 후진 1단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1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27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동력변환 인자는 클러치와 원웨이 베어링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기어 사양 및 잇수 등의 선정이 용이하며 변속기의 구조가 다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클러치 장치의 유형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에 사용하는 유압 방식과; 전자식 마그네틱 방식과; 변속기 케이스를 이용한 유압 실린더 방식과; 별도의 유압 실린더 방식과; 전자식 기계 작동 방식; 도그 클러치 기계 작동 방식 등을 폭넓게 사용 할 수 있어 자동차의 특징에 따라 변속기의 제어 유형이 다변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전진 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진 12단 및 후진 1단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1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27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는 엔진/모터의 한 방향 회전에 의한 전진 변속만 가능하며, 엔진/모터의 역회전으로 인한 후진도 가능한 자동차용 전진 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진 12단 및 후진 1단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18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와 전진 27단 및 후진 1단의 동력전달장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변속기는 변속 시 변속기어의 연결로 인한 기어 충격 발생이 없어 사용이 편리하면서 정숙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아울러 기기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전기자동차뿐만 아니라 엔진 자동차 또는 인력에 의한 자전거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자동차는 2륜, 3륜, 4륜 등 모든 종류의 운송수단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본 발명은 기어에 의한 동력전달에 한정하지 않고 체인 스프로킷들과 체인, 풀리와 밸트 등의 동력전달매체를 총칭하여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기자동차의 변속기로써 내연기관의 일반 자동차의 변속기를 사용하기 부적합하나 본 발명으로 인해 전기자동차 전용 최상의 변속기로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입력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입력 아이들 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1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2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3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4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변속 아이들 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5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6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후진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4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6a와 도 1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4의 동력전달장치의 제1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4의 동력전달장치의 제2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4와 도 18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0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2a와 도 2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0의 동력전달장치의 제3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0의 동력전달장치의 제4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0과 도 24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6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8a와 도 2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6의 동력전달장치의 제5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6의 동력전달장치의 제6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6과 도 30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32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32와 도34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36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36과 도 38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0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0과 도 42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4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4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외부의 구동력을 모터로 하고 최종의 출력을 차동기어장치로 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4와 도 47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 받는 입력축;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 및 제1축 고단기어;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 및 제3축 고단기어;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 및 제5축 고단기어;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 제6축 저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로 구성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8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입력 아이들 축 또는 변속 아이들 축 또는 후진축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에 양방향으로 전달되어도 동력이 전달되도록 역할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에서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회전에 의해 제1 내지 제3 원웨이 클러치는 클러치 되어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제6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제1 내지 제3 고단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이고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상태에서 입력축의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제6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입력축은 동일한 량으로 특정방향 또는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간기어 및 상기 제1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2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간기어 및 제2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2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중단기어; 제5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중단기어;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간기어 및 제3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3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2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와 제1중단 클러치와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간기어 및 제2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8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중단기어; 제5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중단기어;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와 제1중단 클러치와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간기어 및 제3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 제3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8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중단기어; 제5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중단기어;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와 제2중단 클러치와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간기어 및 제3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 제3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8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중단기어; 제5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중단기어;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와 제1중단 클러치와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와 제2중단 클러치와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간기어 및 제3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여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 제3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27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된다.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입력축 전달기어, 제1축 내지 제5축 전달기어, 제1축 내지 제6축 저단기어, 제1축 내지 제6축 중단기어, 제1축 내지 제6축 고단기어, 입력축 또는 제6축 후진기어, 후진축 입력 또는 출력기어, 입력 또는 변속 아이들 기어, 출력기어는 기어에 의한 동력전달에 한정하지 않고 체인 스프로킷과 체인, 풀리와 밸트 등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입력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입력 아이들 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1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2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3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4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변속 아이들 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5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제6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의 후진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6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6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63) 및 제3축 고단기어(6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71);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7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74);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8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8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91);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92);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93) 및 제5축 고단기어(95);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101);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103); 제6축 저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104);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O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H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11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11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11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10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1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저단기어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저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고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6축 후진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8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입력 아이들 축 또는 변속 아이들 축 또는 후진축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에 양방향으로 전달되어도 동력이 전달되도록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내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에서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회전에 의해 제1 내지 제3 원웨이 클러치는 클러치 되어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제6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제1 내지 제3 고단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이고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상태에서 입력축의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제6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입력축은 동일한 량으로 특정방향 또는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중단 및 고단 클러치 장치 또는 후진 클러치 장치는 전기/전자식 마그네틱 클러치 장치, 유압식 클러치 장치 또는 수동식 레버 등이 있고, 마찰 디스크와 가동되는 제동자로 구성된다. 제동자는 브레이크슈(brake shoe), 브레이크 블록(block), 플레이트 등이 될 수 있으며 가동하는 동력이 전자력에 의하면 전자식 마그네틱 클러치 장치가 되고, 유압에 의하면 유압식 클러치 장치가 된다.
각 원웨이 클러치(베어링)는 일반 베어링과 달리 축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01
위의 [표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02
위의 [표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03
위의 [표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04
위의 [표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05
위의 [표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06
위의 [표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3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07
위의 [표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 및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08
위의 [표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111R) → 후진축(112R) → 후진축 출력기어(113R) → 제6축 후진기어(105R)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09
위의 [표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4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6a와 도 1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4의 동력전달장치의 제1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4의 동력전달장치의 제2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중단기어(44)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중단기어(52);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중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중단기어 및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M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6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6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63) 및 제3축 고단기어(6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71);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7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74);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8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8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91);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92);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93) 및 제5축 고단기어(95);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101);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103); 제6축 저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104);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O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H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11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11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11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10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1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중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저단기어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저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고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6축 후진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2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14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중단 클러치(MC1)와 조립되는 중단기어(44 또는 52)에 조립되고 제1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1);를 더 포함되되,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1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고단 클러치(HC1)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14와 도 18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0
위의 [표1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1
위의 [표1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2
위의 [표1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3
위의 [표1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4
위의 [표1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5
위의 [표1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6
위의 [표1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7
위의 [표1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9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8
위의 [표1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9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0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19
위의 [표1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0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0]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0
위의 [표2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1
위의 [표2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111R) → 후진축(112R) → 후진축 출력기어(113R) → 제6축 후진기어(105R)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2
위의 [표2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0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2a와 도 2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0의 동력전달장치의 제3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0의 동력전달장치의 제4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6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6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63) 및 제3축 중단기어(64) 및 제3축 고단기어(6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71); 제3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중단기어(72);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7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74);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중단기어와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M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8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8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91);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92);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93) 및 제5축 고단기어(95);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101);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103); 제6축 저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104);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O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H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11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11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11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10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1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중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저단기어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저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고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6축 후진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2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20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2 중단 클러치(MC2)와 조립되는 중단기어(64 또는 72)에 조립되고 제2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2);를 더 포함되되,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2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고단 클러치(HC2)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0과 도 24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3
위의 [표2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4
위의 [표2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5
위의 [표2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6
위의 [표2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7
위의 [표2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8
위의 [표2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2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29
위의 [표2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0]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0
위의 [표3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9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1
위의 [표3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9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0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2
위의 [표3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0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3
위의 [표3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4
위의 [표3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111R) → 후진축(112R) → 후진축 출력기어(113R) → 제6축 후진기어(105R)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5
위의 [표3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7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6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8a와 도 2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6의 동력전달장치의 제5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9는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6의 동력전달장치의 제6축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6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6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63) 및 제3축 고단기어(6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71);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7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74);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8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8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91);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92);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93) 및 제5축 중단기어(94) 및 제5축 고단기어(95);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101); 제5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중단기어(102);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103); 제6축 저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104);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중단기어 및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O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M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H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11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11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11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10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1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저단기어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저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중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고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6축 후진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3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2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26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3 중단 클러치(MC3)와 조립되는 중단기어(94 또는 102)에 조립되고 제3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3);를 더 포함되되,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3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고단 클러치(HC3)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26와 도 30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6
위의 [표3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7
위의 [표3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8
위의 [표3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3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39
위의 [표3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0]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0
위의 [표4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1
위의 [표4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2
위의 [표4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3
위의 [표4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9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4
위의 [표4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9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0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5
위의 [표4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0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6
위의 [표4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7
위의 [표4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111R) → 후진축(112R) → 후진축 출력기어(113R) → 제6축 후진기어(105R)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8
위의 [표4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32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2 내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중단기어(44)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중단기어(52);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중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중단기어 및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M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6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6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63) 및 제3축 중단기어(64) 및 제3축 고단기어(6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71); 제3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중단기어(72);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7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74);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중단기어 또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M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8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8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91);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92);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93) 및 제5축 고단기어(95);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101);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103); 제6축 저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104);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O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H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11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11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11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10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1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중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중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저단기어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저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고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6축 후진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8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32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중단 클러치(MC1)와 조립되는 중단기어(44 또는 52)에 조립되고 제1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1);와 제2 중단 클러치(MC2)와 조립되는 중단기어(64 또는 72)에 조립되고 제2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2);를 더 포함되되,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와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1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고단 클러치(HC1)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고,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2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 고단 클러치(HC2)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32와 도 34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4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49
위의 [표4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0]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0
위의 [표5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1
위의 [표5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2
위의 [표5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3
위의 [표5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4
위의 [표5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5
위의 [표5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6
위의 [표5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9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7
위의 [표5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9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0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8
위의 [표5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0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5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59
위의 [표5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0]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0
위의 [표6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1
위의 [표6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2
위의 [표6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3
위의 [표6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4
위의 [표6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5
위의 [표6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6
위의 [표6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111R) → 후진축(112R) → 후진축 출력기어(113R) → 제6축 후진기어(105R)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7
위의 [표6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36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6 내지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중단기어(44)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중단기어(52);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중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중단기어 및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M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6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6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63) 및 제3축 고단기어(6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71);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7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74);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8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8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91);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92);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93) 및 제5축 중단기어(94) 및 제5축 고단기어(95);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101); 제5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중단기어(102);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103); 제6축 저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104);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중단기어와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O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M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H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11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11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11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10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1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중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저단기어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저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중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고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6축 후진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 제3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8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36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중단 클러치(MC1)와 조립되는 중단기어(44 또는 52)에 조립되고 제1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1);와 제3 중단 클러치(MC3)와 조립되는 중단기어(94 또는 102)에 조립되고 제3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3);를 더 포함되되,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와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1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고단 클러치(HC1)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고,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3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3 고단 클러치(HC3)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36와 도 38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8
위의 [표6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6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69
위의 [표6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0]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0
위의 [표7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1
위의 [표7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2
위의 [표7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3
위의 [표7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4
위의 [표7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5
위의 [표7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9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6
위의 [표7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9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0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7
위의 [표7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0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8
위의 [표7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7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79
위의 [표7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0]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0
위의 [표8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1
위의 [표8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2
위의 [표8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3
위의 [표8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4
위의 [표8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5
위의 [표8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111R) → 후진축(112R) → 후진축 출력기어(113R) → 제6축 후진기어(105R)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6
위의 [표8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중단 클러치와 제1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0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0 내지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6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6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63) 및 제3축 중단기어(64) 및 제3축 고단기어(6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71); 제3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중단기어(72);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7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74);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중단기어와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M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8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8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91);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92);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93) 및 제5축 중단기어(94) 및 제5축 고단기어(95);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101); 제5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중단기어(102);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103); 제6축 저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104);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중단기어와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O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M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H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11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11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11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10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1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중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저단기어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저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중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고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6축 후진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 제3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18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40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2 중단 클러치(MC2)와 조립되는 중단기어(64 또는 72)에 조립되고 제2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2);와 제3 중단 클러치(MC3)와 조립되는 중단기어(94 또는 102)에 조립되고 제3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3);를 더 포함되되,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와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2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고단 클러치(HC2)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고,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3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3 고단 클러치(HC3)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0와 도 42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7
위의 [표8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8
위의 [표8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8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89
위의 [표8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0]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0
위의 [표9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1]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1
위의 [표9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2]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2
위의 [표9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3]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3
위의 [표9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4]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4
위의 [표9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9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5]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5
위의 [표9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9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0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6]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6
위의 [표9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0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7]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7
위의 [표9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8]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8
위의 [표9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99]
Figure 112019107384681-pat00099
위의 [표9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0]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0
위의 [표10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1]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1
위의 [표10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2]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2
위의 [표10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3]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3
위의 [표10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4]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4
위의 [표10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111R) → 후진축(112R) → 후진축 출력기어(113R) → 제6축 후진기어(105R)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5]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5
위의 [표10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4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4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외부의 구동력을 모터로 하고 최종의 출력을 차동기어장치로 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4 내지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구동력(10)을 전달 받는 입력축(21);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22);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31);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32);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41);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42);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43) 및 제1축 중단기어(44) 및 제1축 고단기어(45);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51); 제1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중단기어(52);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53); 제1축 저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54);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55);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중단기어와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O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와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M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와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HC1)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61);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62);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63) 및 제3축 중단기어(64) 및 제3축 고단기어(65);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71); 제3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중단기어(72);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73);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74);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75);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중단기어와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O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와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M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와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HC2)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81);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82);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91);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92);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93) 및 제5축 중단기어(94) 및 제5축 고단기어(95);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101); 제5축 중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중단기어(102);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103); 제6축 저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6축(104);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중단기어와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O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와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M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와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HC3)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23R);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111R);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112R);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113R);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105R);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RC)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와 후진축 입력기어와 후진축 출력기어와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제1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저단기어와 제2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전달기어와 제3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저단기어와 제4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전달기어와 제5축 저단기어와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으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출력기어(10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축 저단기어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저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중단기어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중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1축 고단기어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1축과 조립되고 제2축 고단기어는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저단기어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저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중단기어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중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3축 고단기어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3축과 조립되고 제4축 고단기어는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저단기어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저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중단기어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중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제5축 고단기어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제5축과 조립되고 제6축 고단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입력축 후진기어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입력축과 조립되고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후진축 출력기어는 후진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제6축 후진기어는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경우를 표현한 것이다.
제1고단 클러치, 제2고단 클러치, 제3고단 클러치, 제1중단 클러치, 제2중단 클러치, 제3중단 클러치의 작동여부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27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또 다른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로서, 도 44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제1 중단 클러치(MC1)와 조립되는 중단기어(44 또는 52)에 조립되고 제1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1);와 제2 중단 클러치(MC2)와 조립되는 중단기어(64 또는 72)에 조립되고 제2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2);와 제3 중단 클러치(MC3)와 조립되는 중단기어(94 또는 102)에 조립되고 제3 중단 클러치에 조립되는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MOC3);를 더 포함되되,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와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와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제1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1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고단 클러치(HC1)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고, 제2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제2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고단 클러치(HC2)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고, 제3 중단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제3 중단 클러치가 클러치 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3 고단 클러치(HC3)가 클러치 되어도 변속기어의 충격이 없이 변속이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형성된 도 44와 도 47의 동력전달장치를 구성하는 기어들의 잇수와 이에 따른 변속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표로서, 본원발명의 기술구성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6]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6
위의 [표10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7]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7
위의 [표10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8]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8
위의 [표10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09]
Figure 112019107384681-pat00109
위의 [표10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0]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0
위의 [표11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1]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1
위의 [표11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2]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2
위의 [표11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3]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3
위의 [표11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9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4]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4
위의 [표11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9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0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5]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5
위의 [표11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0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6]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6
위의 [표11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7]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7
위의 [표11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8]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8
위의 [표11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19]
Figure 112019107384681-pat00119
위의 [표11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0]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0
위의 [표12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1]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1
위의 [표12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2]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2
위의 [표12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8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3]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3
위의 [표12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8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19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저단기어(43) → 제2축 저단기어(51)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4]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4
위의 [표124]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19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0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5]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5
위의 [표125]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0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6]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6
위의 [표126]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2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저단기어(93) → 제6축 저단기어(101)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7]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7
위의 [표127]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2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3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저단기어(63) → 제4축 저단기어(71)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8]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8
위의 [표128]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3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4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중단기어(94) → 제6축 중단기어(102)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29]
Figure 112019107384681-pat00129
위의 [표129]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4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5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중단기어(44) → 제2축 중단기어(52)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30]
Figure 112019107384681-pat00130
위의 [표130]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5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6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중단기어(64) → 제4축 중단기어(72)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31]
Figure 112019107384681-pat00131
위의 [표131]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6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전진27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전달기어(22) → 입력 아이들 기어(31) → 제1축 전달기어(35) → 제1축 고단기어(45) → 제2축 고단기어(53) → 제2축(54) → 제2축 전달기어(55) → 제3축 전달기어(61) → 제3축(62) → 제3축 고단기어(65) → 제4축 고단기어(73) → 제4축(74) → 제4축 전달기어(75) → 변속 아이들 기어(81) → 제5축 전달기어(91) → 제5축(92) → 제5축 고단기어(95) → 제6축 고단기어(103)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32]
Figure 112019107384681-pat00132
위의 [표132]는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으로 전달되어 전진 27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후진1단의 동력전달은 입력축(21) → 입력축 후진기어(23R) → 후진축 입력기어(111R) → 후진축(112R) → 후진축 출력기어(113R) → 제6축 후진기어(105R) → 제6축(104) → 출력기어(106)이다.
[표133]
Figure 112019107384681-pat00133
위의 [표133]은 외부의 구동력이 입력축으로 특정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전달되어 후진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결과를 각 기어들 및 축의 회전방향과 회전량 및 토오크를 예시로 표현한 표이다. 후진 클러치는 클러치 되고, 제1 중단 클러치와 제1 고단 클러치와 제2 중단 클러치와 제2 고단 클러치와 제3 중단 클러치와 제3 고단 클러치는 클러치 해제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엔진 또는 드라이브 모터(외부의 구동력)
21 : 입력축
22 : 입력축 전달기어
23R : 입력축 후진기어
31 : 입력 아이들 기어
32 : 입력 아이들 축
41 : 제1축 전달기어
42 : 제1축
43 : 제1축 저단기어
44 : 제1축 중단기어
45 : 제1축 고단기어
51 : 제2축 저단기어
52 : 제2축 중단기어
53 : 제2축 고단기어
54 : 제2축
55 : 제2축 전달기어
61 : 제3축 전달기어
62 : 제3축
63 : 제3축 저단기어
64 : 제3축 중단기어
65 : 제3축 고단기어
71 : 제4축 저단기어
72 : 제4축 중단기어
73 : 제4축 고단기어
74 : 제4축
75 : 제4축 전달기어
81 : 변속 아이들 기어
82 : 변속 아이들 축
91 : 제5축 전달기어
92 : 제5축
93 : 제5축 저단기어
94 : 제5축 중단기어
95 : 제5축 고단기어
101 : 제6축 저단기어
102 : 제6축 중단기어
103 : 제6축 고단기어
104 : 제6축
105R : 제6축 후진기어
106 : 출력기어
111R : 후진축 입력기어
122R : 후진축
113R : 후진축 출력기어
OC1 : 제1원웨이 클러치
OC2 : 제2원웨이 클러치
OC3 : 제3원웨이 클러치
HC1 : 제1고단 클러치
HC2 : 제2고단 클러치
HC3 : 제3고단 클러치
MC1 : 제1중단 클러치
MC2 : 제2중단 클러치
MC3 : 제3중단 클러치
MOC1 : 제1중단 원웨이 클러치
MOC2 : 제2중단 원웨이 클러치
MOC3 : 제3중단 원웨이 클러치
RC : 후진 클러치

Claims (13)

  1. 외부의 구동력을 전달 받는 입력축;
    상기 입력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축 전달기어;
    상기 입력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입력 아이들 기어;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입력 아이들 축;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1축 전달기어;
    상기 제1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1축;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저단기어 및 제1축 고단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저단기어;
    상기 제1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2축 고단기어;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1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2축;
    상기 제2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2축 전달기어;
    상기 제2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제3축 전달기어;
    상기 제3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3축;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저단기어 및 제3축 고단기어;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저단기어;
    상기 제3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4축 고단기어;
    상기 제4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고단기어에 조립되는 제4축;
    상기 제4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4축 전달기어;
    상기 제4축 전달기어에 치합하는 변속 아이들 기어;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에 조립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변속 아이들 축;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에 치합하는 제5축 전달기어;
    상기 제5축 전달기어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는 제5축;
    상기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저단기어 및 제5축 고단기어;
    상기 제5축 저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저단기어;
    상기 제5축 고단기어와 치합하는 제6축 고단기어;
    상기 제6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6축 고단기어에 조립되어 출력을 갖는 제6축;
    상기 입력축에 조립되는 입력축 후진기어;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에 치합하는 후진축 입력기어;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에 조립되는 후진축;
    상기 후진축에 조립되는 후진축 출력기어;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후진기어; 및
    상기 제6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고 출력을 외부로 전달하는 출력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2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4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5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6축 저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5축 고단기어와 상기 제6축 고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고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 또는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 또는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 또는 상기 제6축 후진기어 중 어느 하나는 후진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제2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제3원웨이 클러치는 축을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와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와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와 상기 제6축 후진기어의 총 기어비는 상기 제1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2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3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3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4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5축 전달기어와 상기 제5축 저단기어와 상기 제6축 저단기어의 총 기어비보다 높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단 클러치, 상기 제2고단 클러치 및 상기 제3고단 클러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에서 8단 변속으로 출력이 수행되고,
    상기 후진 클러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외부의 구동력 방향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는 1단으로 출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고단 클러치와 상기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에서 상기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원웨이 클러치는 클러치 되어 상기 입력축의 특정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상기 제6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고단 클러치가 클러치 해제상태이고 상기 후진 클러치가 클러치 상태에서 상기 입력축의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동력이 최종의 출력을 갖는 상기 제6축으로 전달되어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이 되며,
    상기 입력축은 동일한 량으로 특정방향 또는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특정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이 상기 특정방향의 반대방향에서의 출력에 대한 회전량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상기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및
    제1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상기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상기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중단기어;
    상기 제5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중단기어; 및
    제3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5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상기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상기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상기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중단기어;
    상기 제5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중단기어; 및
    제3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3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5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상기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및
    제2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중단기어;
    상기 제5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중단기어; 및
    제3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상기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상기 제3축에 조립되는 제3축 중단기어;
    상기 제3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4축에 조립되는 제4축 중단기어; 및
    제2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3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4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2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3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3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3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에 조립되는 제1축 중단기어;
    상기 제1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2축에 조립되는 제2축 중단기어;
    상기 제5축에 조립되는 제5축 중단기어;
    상기 제5축 중단기어에 치합하며 상기 제6축에 조립되는 제6축 중단기어; 및
    제3중단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2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1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1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1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1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으며,
    상기 제5축 중단기어와 상기 제6축 중단기어 중 어느 하나는 제3중단 클러치에 의해 축과 조립되고 나머지 하나는 축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동되며,
    상기 제5축 중단기어의 잇수는 상기 제5축 저단기어의 잇수보다 많고 상기 제5축 고단기어의 잇수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아이들 축 또는 상기 변속 아이들 축은 상기 외부의 구동력이 상기 입력축에 양방향으로 전달되어도 동력이 전달되도록 회전방향을 일치되게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입력 아이들 기어, 상기 입력 아이들 축으로 구성되는 입력 아이들 세트와 상기 변속 아이들 기어, 상기 변속 아이들 축으로 구성되는 변속 아이들 세트는 생략되되,
    상기 입력축 전달기어는 상기 제1축 전달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제4축 전달기어는 상기 제5축 전달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는 상기 제6축 후진기어와 치합되는 경우,
    상기 후진축 입력기어, 상기 후진축 출력기어, 상기 후진축으로 구성되는 후진축 세트와 상기 입력 아이들 세트 또는 상기 변속 아이들 세트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되되,
    상기 입력축 전달기어는 상기 제1축 전달기어에 치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4축 전달기어는 상기 제5축 전달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입력축 후진기어는 상기 출력기어에 치합되는 기어를 구비하여, 상기 제6축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축에 조립되는 또 다른 기어에 치합되는 경우,
    상기 제6축 후진기어와 상기 후진축 세트 또는 상기 제6축 후진기어와 상기 후진축 세트와 상기 입력 아이들 세트와 상기 변속 아이들 세트는 생략되어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KR1020190130835A 2019-10-21 2019-10-21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KR10224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35A KR102247131B1 (ko) 2019-10-21 2019-10-21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835A KR102247131B1 (ko) 2019-10-21 2019-10-21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35A KR20210047135A (ko) 2021-04-29
KR102247131B1 true KR102247131B1 (ko) 2021-04-30

Family

ID=75728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835A KR102247131B1 (ko) 2019-10-21 2019-10-21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1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332A (zh) 2018-04-05 2018-07-13 重庆康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车自动变挡及加力的变速箱
KR102017774B1 (ko) 2019-04-23 2019-09-03 최형진 동력전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498B1 (ko) * 2011-03-25 2013-05-0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자동화 수동 변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8332A (zh) 2018-04-05 2018-07-13 重庆康昌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车自动变挡及加力的变速箱
KR102017774B1 (ko) 2019-04-23 2019-09-03 최형진 동력전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135A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059B1 (ko) 전기차량용 변속기
CN103465776B (zh) 用于车辆的动力传动装置
US9586470B2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CN103303119B (zh) 用于车辆的混合动力传动系
WO2010070707A1 (ja) ハイブリット車両の動力伝達装置
CN204340646U (zh) 一种混合动力传动装置
JP2009510341A (ja) 原動機付き車両用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及びそのシフトチェンジ方法
US20150321662A1 (en) Powertrain for Hybrid Vehicle
EP3659843A1 (en) Vehicle dual power source and dual drive assembly
JP7209401B2 (ja) 動力伝達装置
CN101936388A (zh) 采用双轴线链条的dct变速器
US20190351755A1 (en) Supplemental transmission assembly
KR102497028B1 (ko) 자동화 수동변속기
CN106838188B (zh) 一种双离合器自动变速器传动装置
JP2015078765A (ja) 動力伝達装置
CN101975251B (zh) 双离合变速器传动装置
KR20210109064A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CN101793315B (zh) 机械和液压组合式动力传动机构
KR102247131B1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JPS6334342B2 (ko)
KR20210047136A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KR102238143B1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KR102290412B1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KR101775263B1 (ko) 자동차용 동력전달장치
CN201851608U (zh) 双离合变速器传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