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089B1 -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 Google Patents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089B1
KR102290089B1 KR1020210044108A KR20210044108A KR102290089B1 KR 102290089 B1 KR102290089 B1 KR 102290089B1 KR 1020210044108 A KR1020210044108 A KR 1020210044108A KR 20210044108 A KR20210044108 A KR 20210044108A KR 102290089 B1 KR102290089 B1 KR 10229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jae
inner tube
exhaust
bet
indo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붕
Original Assignee
(주)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타이가 filed Critical (주)타이가
Priority to KR102021004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089B1/ko
Priority to KR1020210081678A priority patent/KR2022013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은: 막재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에서 부유하는 오염된 부유물질을 함유하는 내기를 배출 안내하는 내기배출부로써, 막재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막재의 둘레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내기유동안내튜브, 내기유동안내튜브의 개방측에 해당되는 막재에 통공 형성되어 내부공간의 내기를 내기유동안내튜브로 배기 허용하는 배기홀부, 및 내기유동안내튜브의 내부를 유동하는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AIR-DOME HAVING EXHAUST SYSTEM}
본 발명은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로 볼록하도록 부양한 상태의 막재의 상부에 배기홀부를 집중적으로 통공 형성하고, 배기홀부 측으로 개방되는 내기유동안내튜브를 막재의 외측면에 구비함으로써, 배출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막재 내부의 부유물질을 함유한 내기를 내기유동안내튜브를 통해 배기 안내함에 따라, 막재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정화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에 관한 것이다.
에어돔은 내부를 송풍기로 가압 송풍 시켜 실내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이다. 에어돔은 내부 공기압을 최대한 높여 구조물의 견고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인 원인으로 석탄저장용 또는 폐기물 매립용으로 사용되는 에어돔은 에어돔 내부에서 분진과 가스 등이 생성된다. 따라서 에어돔의 내부 압력이 에어돔 외부 압력보다 높아서, 에어돔 상부에 분진과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공하게 되면, 배출구를 통해 엄청난 양의 분진과 가스가 내부공기와 함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분진과 가스를 정화하기 위해, 집진 및 탈취를 위한 정화장치가 에어돔에 구비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714호에 기재된 고안은, 에어돔의 실내 막면을 따라 에어돔 하단부로부터 에어돔 상단부까지 배출덕트를 설치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석탄저장용 또는 폐기물 매립용으로 사용되는 에어돔은 대형 사이즈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대형 사이즈의 에어돔 내부에 배출덕트를 설치하는 작업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기존 에어돔은 설치의 편의성을 위해 배출덕트를 바닥에 접하도록 하부에 설치됨에 따라, 공기보다 비중이 낮아 내부공간에서 부유하는 이물질(분진, 악취, 오염된 공기 등)의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로 볼록하도록 부양한 상태의 막재의 상부에 배기홀부를 집중적으로 통공 형성하고, 배기홀부 측으로 개방되는 내기유동안내튜브를 막재의 외측면에 구비함으로써, 배출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막재 내부의 부유물질을 함유한 내기를 내기유동안내튜브를 통해 배기 안내함에 따라, 막재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정화 효율을 향상하고자 하는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기의 유입에 의한 내기유동안내튜브의 과도한 팽창으로 인한 찢어짐과, 이로 인한 막재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내기유동안내튜브의 팽창을 제한하도록 변형방지부를 구비함에 따라, 막재와 내기유동안내튜브의 내구성을 증대하고자 하는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은; 가장자리가 바닥 또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막재; 및 상기 막재의 외부 궤적을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막재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에서 부유하는 오염된 부유물질을 함유하는 내기를 배출 안내하는 내기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기배출부는, 상기 막재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막재의 둘레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내기유동안내튜브;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개방측에 해당되는 상기 막재에 통공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내기를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로 배기 허용하는 배기홀부; 및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내부를 유동하는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부유하는 상기 부유물질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호 궤적의 상기 막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동부는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동부는, 배출되는 내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정화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막재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와 상기 막재는 변형방지부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와 상기 막재의 접합 부위를 따라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팽창을 제한하는 팽창제한엣지부; 상기 팽창제한엣지부 각각에 인접되도록, 상기 막재에 고정되는 고정엣지부; 및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양측과, 한 쌍의 상기 팽창제한엣지부에 삽입된 후,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고정엣지부에 결속되는 결속와이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은 종래 기술과 달리 부로 볼록하도록 부양한 상태의 막재의 상부에 배기홀부를 집중적으로 통공 형성하고, 배기홀부 측으로 개방되는 내기유동안내튜브를 막재의 외측면에 구비함으로써, 배출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막재 내부의 부유물질을 함유한 내기를 내기유동안내튜브를 통해 배기 안내함에 따라, 막재의 내부 공기에 대한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내기의 유입에 의한 내기유동안내튜브의 과도한 팽창으로 인한 찢어짐과, 이로 인한 막재의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내기유동안내튜브의 팽창을 제한하도록 변형방지부를 구비함에 따라, 막재와 내기유동안내튜브의 내구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10)은 막재(20), 내기배출부(100) 및 변형방지부(200)를 포함한다.
막재(20)는 멤브레인(membrane)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막재(20)는 가장자리가 바닥 또는 구조물(도시하지 않음)에 고정 연결된다. 이때, 막재(20)는 평면상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막재(20)는 가장자리 전체가 바닥에 고정된 것으로 한다.
아울러, 막재(20)는 외기공급부(26)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24)으로 외기가 공급된다. 그래서, 막재(20)는 돔 형상으로 부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막재(20)의 부양한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막재(20)는 강한 바람 등 외부 환경에 의해 흔들림이 최소화되도록, 그리고 외기공급부(26)에 의한 과도한 팽창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면이 보강케이블(22)에 의해 감싸여진다.
보강케이블(22)은 다수 가닥이 돔 형상으로 부양한 상태의 막재(20)의 외측면에 배설되고, 바닥이나 구조물에 고정 연결되어, 막재(20)는 안정적으로 돔 형상을 유지한다.
이때, 막재(20)의 내부공간(24)이 밀폐된 상태에서, 내부의 열기에 의해, 내부공간(24)의 악취나 비산먼지 등 부유물질이 상층부로 상승된 상태로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내기배출부(100)가 막재(20)의 외부 궤적을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되어, 막재(20)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24)에서 부유하는 오염된 부유물질을 함유하는 내기를 배출 안내한다.
이로써, 막재(20)의 내부공간(24)의 상층부에서 유동하는 부유물질이 내기배출부(100)에 의해 강제 배출 또는 자연 배출됨으로써, 막재(20)의 내부공간(24)의 공기 정화율이 향상된다.
이를 위해, 내기배출부(10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 배기홀부(120) 및 배출구동부(130)를 포함한다.
내기유동안내튜브(110)는 막재(20)의 외측면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되고, 막재(20)의 둘레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내기유동안내튜브(11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지만, 막재(20)와 동일한 멤브레인으로 적용한다. 편의상, 내기유동안내튜브(110)는 돔 형태로 부양한 막재(20)의 최상측의 외측면에 하나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기유동안내튜브(110)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이 바닥 또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다.
배기홀부(12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개방측에 해당되는 막재(20)에 통공 형성되어, 내부공간(24)의 내기를 내기유동안내튜브(110)로 배기 허용한다.
이때, 막재(20)의 내부공간(24)의 부유물질을 함유한 내기는 압력차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배기홀부(120)를 통해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내부로 유동되고, 외기공급부(26)와 배출공급부의 작동에 의해 배기홀부(120)를 통해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내부로 강제적으로 유동된다.
특히, 배기홀부(120)는 돔 형상의 막재(20)의 상측에 집중적으로 형성되고, 직경이나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막재(20)의 내부공간(24)의 내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배기홀부(120)는 가능한 한 작은 직경의 다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배출구동부(13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내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배출구동부(130)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는 배기의 양이 외기공급부(26)의 작동에 의해 막재(20)의 내부공간(24)으로 공급되는 외기의 양보다 적도록, 배출구동부(130)가 가동된다.
다시 말해서, 배기홀부(120)는 내부공간(24)의 상부에서 부유하는 부유물질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호 궤적의 막재(20)의 상부에 형성되고, 배출구동부(13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특히, 배기홀부(120)를 통해 내기유동안내튜브(110)로 이동된 내기는 온도의 강하로 인해 부유물질과 함께 내기유동안내튜브(110)를 따라 하부로 유동함에 따라, 배출구동부(13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축 방향을 따라 하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배출구동부(130)는 송풍팬 등으로 적용된다.
아울러, 배출구동부(130)는, 배출되는 내기에 함유된 오염물질(부유물질)을 걸러내는 정화유닛(140)을 포함한다.
정화유닛(140)은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개방된 하측을 막는 필터 등으로 적용한다.
이에 따라, 내기유동안내튜브(110)를 따라 낙하하는 부유물질이 정화유닛(140)에 걸러진 후, 정화된 내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내기유동안내튜브(110)는 멤브레인을 띠 형상으로 제단 후,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막재(20)에 접합된다. 그리고 나서, 배기홀부(120)를 통해 내부공간(24)의 내기가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내기유동안내튜브(110)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자연 배출이 방지됨으로써 튜브 형상으로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때, 내기유동안내튜브(110)와 막재(20)는 변형방지부(200)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된다.
즉, 내기에 의해 내기유동안내튜브(110)가 과도하게 부풀어 오를 경우(팽창할 경우), 내기유동안내튜브(110)가 찢어지거나, 내기유동안내튜브(110)와 막재(20)의 접합 부위가 찢어지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변형방지부(200)가 구비된다.
상세히, 변형방지부(200)는 팽창제한엣지부(210), 고정엣지부(220) 및 결속와이어(230)를 포함한다.
팽창제한엣지부(21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와 막재(20)의 접합 부위를 따라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팽창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팽창제한엣지부(210)는 팽창제한로프(212) 및 팽창제한스커트(214)를 포함한다.
팽창제한로프(212)가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에 배치되어, 내기유동안내튜브(110)와 막재(20)의 접합 부위를 보호한다.
그리고, 팽창제한스커트(214)는 팽창제한로프(212)를 감싼 채 막재(20)에 접합된다. 그래서, 팽창제한스커트(214)는 팽창제한로프(212)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엣지부(220)은 팽창제한엣지부(210) 각각에 인접되도록, 막재(2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엣지부(220)은 고정로프(222) 및 고정스커트(224)를 포함한다.
고정로프(222)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팽창제한로프(212) 각각에 이웃하게 배치된다. 특히, 고정로프(222)는 팽창제한로프(212)에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스커트(224)는 고정로프(222)를 감싼 채 막재(20)에 접합된다. 그래서, 고정로프(222)는 막재(20) 상에 위치 고정된다.
또한, 결속와이어(230)는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양측과, 한 쌍의 팽창제한엣지부(210)에 삽입된 후, 양측이 대응되는 고정엣지부(220)에 결속된다.
즉, 결속와이어(23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양측에 삽입 후 대응되는 팽창제한엣지부(210)에 삽입되고 나서 고정엣지부(220)에 결속된다.
이로써, 결속와이어(230)가 팽창제한로프(212)에 삽입됨으로써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팽창으로 인한 팽창제한로프(212)의 상부 이동을 방지하고,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폭(너비)을 유지함으로써 내기유동안내튜브(110)와 막재(20)의 접합 부위를 보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10)은 막재(20) 및 내기배출부(100)를 포함한다.
막재(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배기배출부(10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 개방형상유지부재(150), 배출구동부(130) 및 고정밴드부재(160)를 포함한다.
내기유동안내튜브(110)는 막재(20)의 상부 내측면을 따라 하나 이상 배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개방형상유지부재(15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적어도 개방측의 내부에 구비되어, 내부공간(24)의 내기를 내기유동안내튜브(110)로 배기 허용하도록,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개방형상유지부재(150)는 코일 스프링 형상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배출구동부(13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로 유입된 내부공간(24)의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밴드부재(16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를 감싼 채 막재(20)의 내측면에 접합된다. 이때, 고정밴드부재(160)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 전체를 감싸거나, 또는 내기유동안내튜브(110)의 축 방향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에어돔 20: 막재
22: 보강케이블 24: 내부공간
26: 외기공급부 100: 내기배출부
110: 내기유동안내튜브 120: 배기홀부
130: 배출구동부 140: 정화유닛
200: 변형방지부 210: 팽창제한엣지부
220: 고정엣지부 230: 결속와이어

Claims (7)

  1. 가장자리가 바닥 또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막재; 및 상기 막재의 외부 궤적을 따라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막재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에서 부유하는 오염된 부유물질을 함유하는 내기를 배출 안내하는 내기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기배출부는, 상기 막재의 외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막재의 둘레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내기유동안내튜브;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개방측에 해당되는 상기 막재에 통공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내기를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로 배기 허용하는 배기홀부; 및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내부를 유동하는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와 상기 막재는 변형방지부에 의해 변형 또는 파손이 방지되고,
    상기 변형방지부는,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와 상기 막재의 접합 부위를 따라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팽창을 제한하는 팽창제한엣지부;
    상기 팽창제한엣지부 각각에 인접되도록, 상기 막재에 고정되는 고정엣지부; 및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양측과, 한 쌍의 상기 팽창제한엣지부에 삽입된 후, 양측이 대응되는 상기 고정엣지부에 결속되는 결속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홀부는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서 부유하는 상기 부유물질의 배출을 안내하기 위해 호 궤적의 상기 막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동부는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 또는 타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동부는, 배출되는 내기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정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기유동안내튜브는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막재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10044108A 2021-04-05 2021-04-05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KR10229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08A KR102290089B1 (ko) 2021-04-05 2021-04-05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KR1020210081678A KR20220138311A (ko) 2021-04-05 2021-06-23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08A KR102290089B1 (ko) 2021-04-05 2021-04-05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678A Division KR20220138311A (ko) 2021-04-05 2021-06-23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089B1 true KR102290089B1 (ko) 2021-08-17

Family

ID=774663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108A KR102290089B1 (ko) 2021-04-05 2021-04-05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KR1020210081678A KR20220138311A (ko) 2021-04-05 2021-06-23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678A KR20220138311A (ko) 2021-04-05 2021-06-23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00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909A (ja) * 2003-02-18 2004-09-09 Taiyo Kogyo Corp ドームスクリーン用エアードーム
KR200406714Y1 (ko) * 2005-11-07 2006-01-23 (주)에어돔 에어돔용 실내 포집가스 및 분진 배출을 위한 덕트장착구조
KR102217964B1 (ko) * 2019-09-04 2021-02-19 주식회사 웨어솔루션 에어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0909A (ja) * 2003-02-18 2004-09-09 Taiyo Kogyo Corp ドームスクリーン用エアードーム
KR200406714Y1 (ko) * 2005-11-07 2006-01-23 (주)에어돔 에어돔용 실내 포집가스 및 분진 배출을 위한 덕트장착구조
KR102217964B1 (ko) * 2019-09-04 2021-02-19 주식회사 웨어솔루션 에어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311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0297B (fi) Avgasrenare foer foerbraenningsmotor
JP6713596B2 (ja) 圧縮空気用異物分離除去装置
KR102290089B1 (ko) 배기장치를 갖는 에어돔
KR102043352B1 (ko) 터널용 공기 정화 및 흡음 장치
WO2008075754A1 (en) Air filter device of fuel cell
ES2547427T3 (es) Un conjunto de un lecho de fibras para un eliminador de neblina de lecho de fibras
KR102402281B1 (ko) 휴대용 활성탄 교체 흡입박스
JP5440971B2 (ja) 圧縮空気除湿システム
KR102178549B1 (ko) 공기청정기
KR101839829B1 (ko) 배출가스처리장치용 필터 및 배출가스처리장치
CN112691498A (zh) 一种多重废气处理技术耦合联用的处理装置
KR101518591B1 (ko) 막힘방지 기능을 갖는 소결가스 처리용 흡착장치
KR101355468B1 (ko) 수면부상형 사방여과방식 우수처리장치
KR20120032753A (ko) 가정용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기액분리 및 자동 드레인 장치
CN220300087U (zh) 一种电梯轿厢通风装置
CN212915103U (zh) 用于工业污水集输系统的VOCs及臭气治理设备
CN217595469U (zh) 一种井下除尘装置
CN219744217U (zh) 一种除尘器滤袋口防护装置
ES2573082T3 (es) Filtro de polvo fino y contaminantes para instalaciones trituradoras
CN218166370U (zh) 一种智能全干等离分离尾气处理设备
KR100201892B1 (ko) 브레이크의 오일 세퍼레이트 탱크
CN215782242U (zh) 动物实验室废气过滤装置
CN216271173U (zh) 一种危险废弃物废渣储仓装置
KR20130004464U (ko) 역화 방지 기능을 강화한 매립가스 연소기
CN216498171U (zh) 一种干式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