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595B1 -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하는 일액형 섬유가공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하는 일액형 섬유가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595B1
KR102289595B1 KR1020210024129A KR20210024129A KR102289595B1 KR 102289595 B1 KR102289595 B1 KR 102289595B1 KR 1020210024129 A KR1020210024129 A KR 1020210024129A KR 20210024129 A KR20210024129 A KR 20210024129A KR 102289595 B1 KR102289595 B1 KR 102289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processing agent
textile
polysiloxane
harmful substan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영
나용식
Original Assignee
(주)엔바이오
정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바이오, 정진영 filed Critical (주)엔바이오
Priority to KR1020210024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44Alcohols; Metal alcoho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01Stain or soil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에 미세먼지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세먼지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비롯하여 섬유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분해 및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섬유에 항균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일액형 섬유가공제에 관한 것으로,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을 위해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 향균성을 위한 천연추출물, 용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하는 일액형 섬유가공제{FABRIC TREATM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요구되는 특정의 기능 발휘를 위해 섬유의 후가공 공정 중 투입되는 섬유가공제에 관한 것으로,
섬유에 미세먼지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세먼지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비롯하여 섬유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분해 및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섬유에 항균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일액형 섬유가공제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생활의 편의는 우수해졌다고 할 수 있으나 산업화에 따른 문제점들도 야기되고 있다.
특히 의식주 인간생활에 장애와 질병을 안겨주는 미세먼지는 산업화의 산물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인간의 건강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미세먼지를 제거 또는 필터링 할 수 있는 방안들이 논의 및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미세먼지 제거 또는 필터링 방안은 의식주 중에서 '의'에 해당되는 섬유 분야에서는 현재까지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관련된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848494호 (2018.04.06) 「필터용 고분자 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필터」가 공개된 바 있는데,
해당 특허는 고분자 섬유의 표면에 금속착물을 형성하고 나노 카본볼 또는 에어로겔을 코팅함으로써 유해가스 제거 특성, 미세먼지 제거 특성 및 항균성이 우수한 필터용 고분자 섬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인데, 에어로겔로는 실리카 에어로겔이 사용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실리카 자체의 다공성을 강조해서 미세먼지를 흡착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미세먼지 제거라는 목적만이 동일할 뿐 이하 설명되는 본원발명과는 전혀 다른 미세먼지 제거의 메커니즘을 갖는다.
한편 미세먼지만이 아니라 섬유에 함유된 유해물질 특히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제품들도 현 산업화시대에서 인간의 건강생활을 위해 요구되는데, 실제로 섬유가공제로서 이러한 기능이 구현되는 제품은 아직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관련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3-0085296호 (2013.07.29.) 「섬유 원단에 산소촉매와 광촉매를 코팅하는 방법 및 그 코팅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원단」을 들 수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특정 단계를 거쳐 제조된 조성물을 섬유 원단에 코팅함으로써 이후 자외선을 포함한 태양광이 조사되었을 때 광촉매에 의한 작용과 빛이 없는 상태에서는 산소촉매에 의한 작용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구분없이 살균, 유해물질 분해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광촉매를 이용해 삼유에 있는 유해물질을 분해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가지지만, 조성물의 성분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방식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본원발명에서 기대할 수 있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기능은 전혀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제품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섬유가공제로서 섬유에 미세먼지의 흡착을 방지시킬 수 있고 유해물질을 분해시키며 동시에 항균 성능까지 구현할 수 있는 섬유가공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론 상기한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피부에 무자극 및 무해한 섬유가공제를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러한 섬유가공제를 간단한 성분들로 구성하면서도 요구되는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고 특히 일액형 타입으로 구현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는 섬유가공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섬유가공제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을 위해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 향균성을 위한 천연추출물, 용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제는 에틸알콜(Ethyl alcohol),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섬유가공제는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1~5 중량%,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 1~5 중량%, 천연추출물 0.5~3 중량%, 에틸알콜(Ethyl alcohol) 1~3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1~5 중량%, 정제수 80~8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의 입자 사이즈는 20㎚이상 3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섬유가공제에 의하면,
일액형 타입으로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섬유 후가공 공정에 이를 투입하면 섬유 표면에 이형성 수지 피막을 형성하여 미세먼지를 비롯한 기타 다양한 오염물질에 대한 방오성 즉, 흡착방지 성능이 구현되고, 이와 동시에 광촉매의 강력한 산화력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는 상태에서는 유해물질을 분해 및 제거할 수 있고, 나아가 항균성능이 확보된 섬유를 얻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섬유가공제는 인체 무해한 성분들로 이루어져 종국적으로 해당 섬유가공제로 가공된 섬유 또한 인체에 무해하고 인간의 건강생활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섬유가공제에 의한 미세먼지 방지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 결과물.
도 3 및 도 4는 UV조사에 따른 NOx 분해(제거)량을 측정한 시험성적서 일부 발췌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섬유가공제는 섬유의 후가공 공정 중 투입되는 것으로, 종국적으로는 생산되는 섬유에 미세먼지가 부착되지 않도록하여 최소한 섬유에 붙은 미세먼지가 신체로 유입될 가능성을 봉쇄하였으며, 질소산화물을 비롯한 유해물질을 분해 및 제거하고, 항균성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섬유가공제이다.
참고로, 미세먼지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미세먼지는 초미세먼지를 포함하고, 더 나아가 황사 및 꽃가루 성분들 또한 포함하는 것임을 밝힌다.
위와 같은 기능 구현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제는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 천연추출물, 용제, 그리고 정제수로 구성된다.
즉 위 언급된 성분들을 특정 비율로 투입·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섬유가공제로서 일액형 타입임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은 광촉매로 기능하여 유해물질의 분해 및 제거를 위한 것이고.
상기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는 미세먼지 부착 방지를 위해 투입되는 성분이고,
그리고 천연추출물은 향균성을 위해 투입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목단피 추출물을 사용한다.
우선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의 입자 사이즈는 20㎚이상 30 ㎚이하 사이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 즉, 나노 분산 유도체의 입자가 섬유조직에 깊숙히 침투하여 섬유 원단에 이형성을 부여하게 되고, 섬유 원단에 미세먼지가 결합할 수 없도록 하는 등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한다.
즉 폴리실록산은 실리콘(Silicone)을 제조하는 원료로서 이형성의 특징을 구현한다. 이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가 가공된 섬유는 미세먼지 등 오염물질과의 결합력 저하와 같은 원단의 특성을 변화시키면서 이형성을 부여하여 이물질 부탁을 방지한다.
참고로, 이는 미세먼지 제거에 있어 앞서 언급된 선행기술인 특허 제10-1848494호와는 전혀 다른 메커니즘을 갖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섬유가공제가 가공된 원단으로 의류가 생산되는 경우, 의류 표면에 이형성이 부여되여 미세먼지의 부착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의류 착용자의 가벼운 물리적 움직임만으로도 의류에 부착된 미세먼지가 쉽게 제거 가능하기에,
착용자는 외부 활동 후 집에 들어가기 전에 가벼운 움직임으로 미세먼지를 털고 집으로 들어 갈 수 있다.
다음으로 광촉매는 빛을 받으면 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광촉매 중에서도 특히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은 내산성 및 내알카리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여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성분이다.
이러한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은 자외선을 받으면 입자 표면에서 산화물질인 하이드록시 라디칼(-OH)과 슈퍼옥사이드를 생성하여, 유기화합물을 산화 분해시켜 무해한 물질인 물과 탄산가스로 변환시키는데, 특히 미세먼지를 생성하는 원인 물질인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암모니아(NH3), 휘발성유기화합물(VOC)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알려져있다.
본 발명의 섬유가공제에서도 유해 물질 제거 및 분해를 위한 광촉매제로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이 사용된다. 이러한 유해물질은 미세먼지에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결국 섬유로의 미세먼지 흡착을 방지함과 아울러 미세먼지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제거되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항균성 부여를 위한 천연추출물로는 목단피 추출물이 사용되는데, 목단피 추출물의 경우 해당 추출물에 함유된 페오놀 성분에 의한 우수한 항균 및 항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성분들의 분산 용매로서 용제가 사용되고, 그리고 정제수가 투입된다.
구체적인 용제로는, 에틸알콜(Ethyl alcohol)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을 이용하여 섬유 후가공용 광촉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균일한 입자의 분포가 필요하고, 콜로이드상에 부유시키기 위해서는 분산제와 안정제가 필요한데, 상기 에틸알콜(Ethyl alcohol)이 분산제와 안정제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는 계면활성제로서, 광촉매인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과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 그리고 천연추출물인 목단피 추출물의 분산제 역할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제는 기본 목적인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유해물질 제거, 그리고 향균성능을 구현하면서도 섬유가공제라는 특성상 세탁 내구성을 갖추어져야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제는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1~5 중량%,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 1~5 중량%, 천연추출물 0.5~3 중량%, 에틸알콜(Ethyl alcohol) 1~3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1~5 중량%, 그리고 정제수 80~8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언급된 성분비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즉, 언급된 중량 미만으로 적용시 성능 구현이 어려우며 분산 및 층분리 등의 현상이 발생되고, 언급된 중량들을 초과하는 경우 실질적인 원가 상승으로 인한 섬유제품 적용이 부적합하여 원단의 특성 변화를 야기하여 사용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가공제는, 반투명 액체로서 무취이고, pH는 5.0±1.0으로 이루어지며, 섬유 후가공 공정 중에 물에 희석되어 투입된다.
본 발명의 섬유가공제로 인해 섬유에 구현되는 성능은 다음에서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섬유가공제에 의한 미세먼지 방지 효과 검증을 위한 실험 결과로서, 도 1은 시료를 세탁 전 상태에서 미세먼지 부착 정도를 점검한 결과이고, 도 2는 시료를 10회 세탁한 후 미세먼지 부착 정도를 점검한 결과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 의한 실험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본 실험에서는 시각적 확인을 위해 미세먼지를 숯가루(유사 미세먼지)로 대체하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섬유가공제가 미가공된 시료, 섬유 원단의 원단 중량 대비 섬유가공제 2%가 투입되어 가공된 시료, 그리고 섬유가공제 3%가 투입되어 가공된 시료로 총 3 개의 시료를 준비한다.
해당 시료 각각을 5L 폴리백 각각에 숯가루 0.1g과 함께 투입 후 폴리백을 흔들어서 혼합하고, 혼합 후 각 시료를 채취하여 손으로 털어준 뒤 육안 또는 현미경을 사용하여 각 시료에서 유사 미세먼지의 부착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미가공 시료 대비 본 발명의 섬유가공제로 가공된 시료에서 미세먼지 부착이 억제되는 것이 시각적으로도 명확히 확인되었고, 특히 세탁 10회 후에 있어서도 미세먼지 방지 효과가 구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섬유가공제로 가공된 원단에 있어, UV조사에 따른 NOx 분해(제거)량을 측정한 실험 데이터이다.
이는 KTL(한국산업기술시험원)의 성적서 번호 20-084670-01-1 의 결과지 내용을 발췌 및 정리한 것으로, 성능 인증 기준보다 높은 1.05 마이크로몰(umol)의 질소산화물 분해(제거)량이 확인되었다.
즉 도 3 및 도 4에 따른 시험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된 것으로,
단계 1) 약 5*10㎝ 크기의 시험편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유기기판에 부착하여 최소 16시간 동안 10W/㎡ 이상의 UV광을 조사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킴.
단계 2) 시험품을 반응기에 장착한 후, 유량 3L/min, 상대습도 50%(25℃ 기준), 1ppm의 NO가스를 bypass 상태로 흘려주며, 가스 농도 및 시스템을 안정화시킴.
단계 3) UV 광을 조사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응기에 30분 동안 NO 가스를 흘려보내주며, 시험품에서의 질소산화물(NOx) 부피분율 변화를 측정함.
단계 4) 가스 흐름을 유지한 상태에서 시험품에 10W/㎡의 광을 조사하고 5시간 동안 NOx의 농도변화를 측정함.
단계 5) 5시간 후 UV 광 조사를 멈추고 영점 보정 가스로 바꾼 후 30분 동안 NOx 부피분율 변화를 측정하고 NO와 NOx의 제거효율 및 NOx의 제거량 등을 계산함.
참고로, 1ppm(약 40 마이크로몰(umol))의 질소 가스를 일정한 관에 지속적으로 공급시 시료 5*10㎝에서 5시간 동안 연속(평균)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질소산화물 제거(분해)량이 0.5 마이크로몰(umol) 이상인 경우를 성능 인증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원단의 경우 질소산화물 분해(제거)량이 1.05 마이크로몰(umol)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섬유가공제는 일반 의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옥외용 섬유 제품류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일액형 섬유가공제로서,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 향균성을 위한 천연추출물, 용제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되,
    상기 용제는 에틸알콜(Ethyl alcohol)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로 이루어져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1~5 중량%,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 1~5 중량%, 천연추출물 0.5~3 중량%, 에틸알콜(Ethyl alcohol) 1~3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Polyoxyethylene alkyl ether) 1~5 중량%, 정제수 80~85 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폴리실록산 유도체(Polysiloxane drrivative)의 입자 사이즈는 20㎚이상 30㎚이하이고,
    상기 천연추출물은 목단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섬유가공제의 pH는 5.0±1.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하는 일액형 섬유가공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24129A 2021-02-23 2021-02-23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하는 일액형 섬유가공제 KR102289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29A KR102289595B1 (ko) 2021-02-23 2021-02-23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하는 일액형 섬유가공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129A KR102289595B1 (ko) 2021-02-23 2021-02-23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하는 일액형 섬유가공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595B1 true KR102289595B1 (ko) 2021-08-13

Family

ID=7731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129A KR102289595B1 (ko) 2021-02-23 2021-02-23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하는 일액형 섬유가공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76B1 (ko) * 2023-07-17 2024-02-01 권은정 옥수수 섬유를 이용한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971A (ja) * 1998-10-13 2000-04-25 Toray Ind Inc 防汚性繊維構造物
KR20130013887A (ko) * 2011-07-29 2013-02-06 (주) 피러스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코팅제와 그 제조 방법 및 코팅제를 함유하는 과일 봉지 및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9971A (ja) * 1998-10-13 2000-04-25 Toray Ind Inc 防汚性繊維構造物
KR20130013887A (ko) * 2011-07-29 2013-02-06 (주) 피러스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코팅제와 그 제조 방법 및 코팅제를 함유하는 과일 봉지 및 필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976B1 (ko) * 2023-07-17 2024-02-01 권은정 옥수수 섬유를 이용한 생분해성 친환경 원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22297A (zh) 纳米空气净化触媒及其制备方法
KR101334294B1 (ko) 광촉매-그래핀-탄소나노섬유복합체 및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필터
JP6577591B2 (ja) 可視光活性光触媒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空気浄化用フィルター
CN106076283A (zh) 一种纳米纤维素/聚多巴胺水凝胶吸附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RU2394627C1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включающий ультрамелкие или наноразмерные порошки
KR101270716B1 (ko) 광촉매-그래핀-탄소나노섬유복합체 제조방법
KR20070069165A (ko) Voc 제거 기능을 갖는 섬유직물
DE102005040189A1 (de) Trägermaterial mit katalytisch aktiven Polymerpartikeln
KR102289595B1 (ko) 미세먼지 흡착방지와 유해물질의 분해, 그리고 항균성능을 구현하는 일액형 섬유가공제
CN105688660B (zh) 以二氧化钛光触媒为基材的空气净化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972456B (zh) 可降解空气净化复合滤纸及其制备方法
CN104437452B (zh) 暗光催化的无光触媒/活性炭纤维复合材料制备方法及应用
CN106881073A (zh) 一种用于空气净化的光催化剂涂层结构及其制备方法
KR20190032006A (ko) 재생가능한 마스크
JP5403584B2 (ja) 再析出法で合成された耐候性を有する耐汚染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5090787B2 (ja) 酸化チタン複合粒子水分散液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786442B (zh) 一种喷涂式环保甲醛净化剂及其制备方法
JP2002159865A (ja) 塩基性ガス除去用酸化チタン光触媒
CN105999854A (zh) 一种基于柔性基底材料的新型过滤材料及在pm2.5过滤口罩中的应用
KR101339721B1 (ko) 은-광촉매-탄소나노섬유복합체 및 상기 복합체를 포함하는 필터
CN112781164B (zh) 光催化空气净化和灭菌纤维及制造方法和应用、光催化空气净化和灭菌过滤器及制造方法
JP2008142636A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成形体の光触媒コーティング方法
CN111330362A (zh) 一种天然高分子基功能性空气过滤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449349B1 (ko) 알레르겐 불활성화제, 알레르겐 불활성화제 조성물, 코팅 처리물, 공기 정화 필터, 및 알레르겐 불활성화 방법
KR102383557B1 (ko)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