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494B1 -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494B1
KR102289494B1 KR1020210018324A KR20210018324A KR102289494B1 KR 102289494 B1 KR102289494 B1 KR 102289494B1 KR 1020210018324 A KR1020210018324 A KR 1020210018324A KR 20210018324 A KR20210018324 A KR 20210018324A KR 102289494 B1 KR102289494 B1 KR 102289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phase
data
construction
performan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건설
Priority to KR1020210018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마다 설계(Engineering) 페이즈, 구매(Procurement) 페이즈 및 시공(Construction) 페이즈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한 채로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복수의 액티비티가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또는 상기 시공 페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공정률 관리 서버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로 구성된 PMS(Progress Measurement System)을 운영한다고 할 때,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작업담당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에 대해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상기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i) 특정 설계 페이즈의 가중치, 특정 구매 페이즈의 가중치 및 특정 시공 페이즈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공정률을 산출하고, ii) 상기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중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포함하는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상기 산출한 공정률 및 상기 산출한 정량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Project Integrated Status Report)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CONTROLLING PROGRESS OF PROJECT WITH VBA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에 있어서,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마다 설계(Engineering) 페이즈, 구매(Procurement) 페이즈 및 시공(Construction) 페이즈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한 채로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복수의 액티비티가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또는 상기 시공 페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공정률 관리 서버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로 구성된 PMS(Progress Measurement System)을 운영한다고 할 때,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작업담당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에 대해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상기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i) 특정 설계 페이즈의 가중치, 특정 구매 페이즈의 가중치 및 특정 시공 페이즈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공정률을 산출하고, ii) 상기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중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포함하는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상기 산출한 공정률 및 상기 산출한 정량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Project Integrated Status Report)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사업은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 인도까지 일괄 공급하는 플랜트 건설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사업을 말한다.
따라서 EPC 사업은 기술력과 시공관리 경험, 사업관리 노하우 등을 축적해서 추진해야만 한다.
 최근에는 발주공사의 대형화, 전문화, 복잡화에 따른 글로벌 건설 환경 다변화로 인하여 기존 현장관리 방식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PQ(Pre-Qualification) 및 입찰 시 발주자에게 공정관리를 위한 공정률산출시스템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 공정률은 건설공사 진행순서와 작업일정을 종합한 공사의 진도과정 비율이다.
최근에는 EPC 사업을 수행하는 핵심적인 업무들을 통합 관리하는데 PMS 시스템(Progress Measurement System)이 적용되고 있다.
PMS 시스템은 건설공사의 공사관리 프로세스에 기초하여 공정률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지연되는 공정을 확인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사관리의 효율을 향상시키며, 일정계획 대비 성과를 미리 예측하여 현재 공사수행의 문제분석과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공정관리를 위한 체계 및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고 오프라인(Off-line)방식의 공정률 취합 및 산정으로 공정관리를 수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업무 생산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부재에 의한 공정률 산출/관리 데이터(Data)에 대한 신뢰도 및 객관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정관리의 주요 목적인 Forecasting(예측)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웠다. 또한, 데이터 취합 및 정리를 통한 보고서 생성에 시간에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 프로젝트의 경우 PMS를 프로그램으로 제작하고 있는데, 이때 프로그램 제작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며 변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VBA를 이용하여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VBA를 이용하여 짧은 시간에 PMS양식의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간편하고 오류없이 입력이 가능하게 하고,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고서를 생성하고 열람 가능하도록 하여 위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마다 설계(Engineering) 페이즈, 구매(Procurement) 페이즈 및 시공(Construction) 페이즈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한 채로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복수의 액티비티가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또는 상기 시공 페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공정률 관리 서버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로 구성된 PMS(Progress Measurement System)을 운영한다고 할 때,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작업담당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에 대해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상기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i) 특정 설계 페이즈의 가중치, 특정 구매 페이즈의 가중치 및 특정 시공 페이즈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공정률을 산출하고, ii) 상기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중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포함하는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상기 산출한 공정률 및 상기 산출한 정량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Project Integrated Status Report)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마다 설계(Engineering) 페이즈, 구매(Procurement) 페이즈 및 시공(Construction) 페이즈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한 채로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복수의 액티비티가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또는 상기 시공 페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공정률 관리 서버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로 구성된 PMS(Progress Measurement System)을 운영한다고 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작업당당자의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작업담당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에 대해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i) 특정 설계 페이즈의 가중치, 특정 구매 페이즈의 가중치 및 특정 시공 페이즈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공정률을 산출하고, ii) 상기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중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포함하는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공정률 및 상기 산출한 정량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Project Integrated Status Report)를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률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Off-line)방식에서 온라인(On-line)방식으로, 개별작업에서 협업 중심 업무체계로 전환하여, 시스템 중심의 업무자동화를 통하여 공정실적집계 및 공정률 산출 자동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무 프로세스(Process)를 확립하여, 명확한 현장 공정관리 R&R(Role & Responsibility) 정립으로 관련 부서간 효율적인 협업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의 공정률 취합/산정의 비효율성 해소에 따른 현장업무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의 공정률 취합/산정에 오랜 시간(ex 8시간)이 소요되던 것을 더 적은 시간(ex 1시간 이내)에 처리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또는 본사 등, 지역에 제한 없이 원거리 Control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래피컬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로케이션별 공정률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비용이 절감되며, 공사 규모에 관계없이 이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정률 관리 서버 및 작업담당자의 단말 사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종, 액티비티, 실적 데이터 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단계에서의 계획 데이터, 실적 데이터, 차이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량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를 여러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담당자별 SP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별 진행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획 및 실적 데이터의 누적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PI 값의 변동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VBA 코딩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 내에서 액티비티의 완료 여부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정률 관리 서버 및 작업담당자의 단말 사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정률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30)가 포함되지 않고,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작업담당자들이 입력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에 의해 접근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프로세서(120)와 함께 뒤에서 자세히 서술하겠다.
또한, 공정률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다수의 작업담당자의 단말(2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스마트 리모컨, 각종 IOT 메인기기 등과 같이 통신을 수행하면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200)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공정률 관리 서버(100)는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로 구성된 PMS(Progress Measurement System)을 운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공정률 관리 서버(100)가 이후의 프로세스를 모두 관리/컨트롤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지만, PMS 자체에서 이후의 프로세스를 모두 관리/컨트롤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공정률 관리 서버(100)가 아닌 PMS(시스템)가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 관리/운영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공정률 관리 서버(100)는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의 수행을 관리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마다 설계(Engineering) 페이즈, 구매(Procurement) 페이즈 및 시공(Construction) 페이즈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한 채로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건설 프로젝트는 플랜트, 고층 빌딩, 발전소, 대규모 다리 등 큰 규모의 건설 사업도 포함하고, 저층 빌딩, 개인 별장 등 작은 규모의 건설 사업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설 프로젝트는 설계/구매/시공으로 구분되며, 각각에 해당하는 공종 내지 액티비티를 그룹핑하여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시공 페이즈로 구분할 수 있다.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시공 페이즈는 각각 가중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중치는 건설 프로젝트마다 상이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설계 페이즈의 가중치, 구매 페이즈의 가중치, 시공 페이즈의 가중치의 합은 100%가 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복수의 액티비티는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또는 상기 시공 페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진행될 수 있다.
건설 프로젝트, 페이즈(설계, 구매, 시공), 공종, 액티비티(코모디티(commodity), 워크 패키지(work package)) 순으로 hierarchy 구조를 이룰 수 있고, 각각의 자세한 관계는 뒤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서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과정으로 우선 PMS 체계(측정 요소 등)를 수립하고 양식 등을 세팅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세팅된 양식 등에 작업담당자의 입력(작성)이 각각 이루어지며, 입력된 데이터를 기초로 프로젝트의 공정률 관련 결과가 도출(리포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과정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으로 구현되어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운영될 수 있다.
상기 결과물인 리포트는 PISR(해당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 Dashboard(해당 프로젝트의 PISR의 요약), 통합 대쉬보드(전체 프로젝트 현황)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우선, 공정률 관리 서버(100)는 PMS(Progress Measurement System) 양식을 세팅할 필요가 있다. 즉, 작업담당자가 담당 업무의 진행률과 관련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측정 요소를 세팅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공정률 관리 서버(100)는 이를 액티비티로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기존에 정해진 규칙(페이즈-공종-액티비티 계층(hierarchy) 구조)을 기초로 설정될 것이다. 상기 액티비티는 본 발명에서의 프로세스 내 공정률 측정의 가장 작은 단위(unit)에 해당하고 상기 액티비티가 그룹화되어 공종을 이루며, 공종이 모여 페이즈를 이루며, 페이즈(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시공 페이즈)가 모여 프로젝트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액티비티는 건설 프로세스(설계, 구매, 시공 페이즈)에 필요한 배선 작업, 콘크리트 작업 등 다양한 작업들을 포함하며, 이들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참고로, 설계 페이즈에는 액티비티로서 IFA, IFC, MTO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구매 페이즈에는 액티비티로서 RFQ, TBE, PO, DEL, DOS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시공 페이즈에는 액티비티로서 Excavation, EQ FDN, EQ Install, Pipe Install, Elect Cabling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건설 프로젝트, 페이즈, 공종, 액티비티 순으로 hierarchy 구조를 이룬다고 전술하였으나,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설 프로젝트, 페이즈, 공종, 코모디티(워크 패키지), 액티비티 순으로 hierarchy 구조를 이룬다고 고려할 수도 있다.
참고로, 액티비티는 어느 건설 프로젝트 등에 실제 이용되는 경우를 고려하며, 코모디티 및 워크 패키지는 상기 액티비티의 상위 개념으로서 액티비티의 속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워크 패키지는 각 코모디티와 대응되는 개념으로서 특정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결국,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 내에서 코모디티의 개수(워크 패키지의 개수)보다는 액티비티의 개수가 많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종, 액티비티, 실적 데이터 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PMS 양식 등이 세팅된 상태에서,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작업담당자로 하여금 단말(200)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에 대해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실적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구매 페이즈(설계/시공도 가능)에 복수의 공종(ex Rotating, Stationary 등)이 포함되어 있고, 각 공종에는 복수의 액티비티(ex RFQ, TBE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각 액티비티는 시간별(ex 9/11, 9/18 기준)로 계획 데이터, 실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획 데이터는 공정률 관리 서버(100)에 의해 PMS 양식 세팅과 함께 미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계획 데이터는 특정 액티비티에 대해 소정 기간동안 수행 계획된 수치를 의미하고, 실적 데이터는 특정 액티비티에 대해 소정 기간동안 작업 담당자가 진행 완료하였다고 판단한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및 각 작업담당자의 단말(200)은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각각에 입력된 실적 데이터에 대해 오류 검사(1차) 및 검증(2차)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작업담당자의 단말(200)에서는 수행하는 공종 또는 액티비티에 대해 1차적으로 오류 검사를 수행하고, 2차적으로는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건설 프로세스에 포함된 전체 공종 또는 액티비티에 대해 1차적으로 오류 검사를 수행하고, 2차적으로는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오류 검사(1차)는 입력된 값의 유효성을 판단하며 실적 데이터가 전체 계획 데이터보다 작은 수치를 가지는지 여부, 실적 데이터의 입력과 함께 착수 날짜 또는 완료 날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 대규모 단위기간 동안에 입력된 실적 데이터와 대규모 단위기간에 포함된 복수의 소규모 단위기간 동안 입력된 복수의 실적 데이터의 합과 일치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주간 진행된 액티비티의 개수(실적 데이터)가 전체 기간동안 수행될 것으로 계획된 액티비티의 개수(전체 계획 데이터)보다 많을 수는 없으므로, 프로세서(120)는 실적 데이터가 전체 계획 데이터보다 큰 수치를 가지는 경우 오류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소정 기간 동안 진행된 액티비티의 개수(실적 데이터) 입력과 함께 착수날짜 또는 완료 날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입력되지 않은 경우 오류라고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입력된 착수 날짜가 완료 날짜보다 늦은 경우에도 오류라고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지난주에 입력한 실적 데이터와 금주 기준으로 지난주 누적된 실적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류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1년 동안(대규모 단위기간)에 입력된 액티비티의 개수(실적 데이터)와 상기 1년에 포함된 각 월(ex 1월, 2월 ~ 12월)에 입력된 액티비티의 개수(실적 데이터)의 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오류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오류 검사(1차) 이후의 검증(2차)의 경우, 해당 공종 또는 액티비티가 지연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지연되는 사유 등을 입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설계 페이즈의 가중치, 특정 구매 페이즈의 가중치 및 특정 시공 페이즈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젝트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공정률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공정률은 백분율(ex 70%, -9%)로서 표시되며 진행 정도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20)는 입력된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중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에 대응하는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량 분석 데이터는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ex 50EA, -130EA)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공정률 내지 정량 분석 데이터외에 계획 데이터 대 실적 데이터의 달성 비율을 나타내는 SPI 값도 산출되어 상태 리포트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공정률 산출 과정 및 상기 정량 분석 데이터 산출 과정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및 시공 페이즈 각각에 복수의 공종(ex Rotating, Stationary 등)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공종 각각에는 동일 목적을 기초로 이루어진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ex IFA, IFC, TBE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수의 공종 각각에는 코모디티 및 워크 패키지가 포함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상 특정 프로젝트(ex 발전소 건설, 다리 건설 등 모두 가능)에 특정 페이즈(ex 설계, 구매, 또는 시공)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특정 페이즈에 특정 공종이 포함되어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단계에서의 계획 데이터, 실적 데이터, 차이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특정 작업 담당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공종의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수행된 1차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에 대해 상기 입력된 1차 실적 데이터와 1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1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작업 담당자는 상기 특정 공종에 대해 업무를 수행하는 자로서, 각각의 공종마다 서로 다른 작업 담당자가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을 돕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면, 시공(Construction) 페이즈의 특정 공종(ex Architecture)에 포함된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ex Slab Concrete, Internal Pratition, Floor Finishing 등) 각각에 대해 작업 담당자로 하여금 일정 기간(ex 1주일) 동안 수행된 1차 실적 데이터(ex Slab Concrete - 9, Internal Pratition - 3, Floor Finishing - 1 등)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1차 계획 데이터(ex Slab Concrete - 10, Internal Pratition - 8, Floor Finishing - 3 등)는 각 공종 및 액티비티의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세서(1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값에 해당할 것이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에 대해 상기 입력된 1차 실적 데이터와 1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이 값을 1차 차이 데이터(ex Slab Concrete - -1, Internal Pratition - -5, Floor Finishing - -2 등)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1차 차이 데이터는 일정 기간(ex 1주일) 동안 실제 수행된 업무가 계획된 업무보다 어느 정도로 수행하지 못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의 1차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를 산출하고,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의 1차 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2차 실적 데이터와 상기 2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ex Slab Concrete, Internal Pratition, Floor Finishing 등) 각각의 1차 실적 데이터(ex 9, 3, 1 ??)의 합(27)은 특정 공종(Architecture)의 2차 실적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ex Slab Concrete, Internal Pratition, Floor Finishing 등) 각각의 1차 계획 데이터(ex 10, 8, 3 ?? )의 합(44)은 특정 공종(Architecture)의 2차 계획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차 계획 데이터와 상기 2차 실적 데이터의 차이 값인 -17이 2차 차이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도 3과 달리 1차 실적 데이터의 값과 액티비티의 가중치를 연산한 값들의 합으로서, 2차 실적 데이터가 백분율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2차 실적 데이터는 작업이 어느 정도로 수행되었는지를 나타내는 공정률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2차 계획 데이터 역시 1차 계획 데이터의 값과 액티비티의 가중치의 연산 값들의 합으로서, 백분율(공정률을 나타냄)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특정 공종이 제1 특정 공종 및 제2 특정 공종을 포함한다고 상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3의 Architecture를 제1 특정 공종으로 설정하고, 도 3의 Electric을 제2 특정 공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제1 특정 작업 담당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액티비티(ex Slab Concrete, Internal Pratition, Floor Finishing ??)의 1차 계획 데이터, 1차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제1 특정 공종(Architecture)의 2차 실적 데이터, 2차 계획 데이터 및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제2 특정 작업 담당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제2 특정 공종의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액티비티(ex Ground Cabling, Elec Tray, Elec Conduit Pipe ??)의 1차 계획 데이터, 1차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제2 특정 공종(Electric)의 2차 실적 데이터, 2차 계획 데이터 및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공종(제1 특정 공종, 제2 특정 공종)은 각각 서로 다른 작업 담당자(제1 특정 작업 담당자, 제2 특정 작업 담당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공종일지라도 동일 작업 담당자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과 달리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ex Slab Concrete, Internal Pratition, Floor Finishing 등) 각각의 1차 실적 데이터와 각각의 가중치를 서로 연산(ex 백분율로 표시)하여 이에 대한 합을 백분율로 표시(ex 45.59%)할 수 있으며, 이를 2차 실적 데이터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2차 계획 데이터(ex 68.95%)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1차 계획 데이터와 가중치의 연산), 결국 2차 실적/계획 데이터는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차이 값인 2차 차이 데이터 역시 백분율로 표시(-23.36%)되어 해당 공종의 진도율이 -23.36% 만큼 지연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2차 계획/실적/차이 데이터가 백분율로 표시되는 경우, 3차 계획/실적/차이 데이터, 4차 계획/실적/차이 데이터도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진행되는 공정률을 확인하고 판단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 특정 공종(도 3의 Architecture)의 2차 실적 데이터(27) 및 상기 제2 특정 공종(도 3의 Electric)의 2차 실적 데이터(37)를 기초로 상기 특정 페이즈(도 3의 시공(Construction) 페이즈)의 3차 실적 데이터(216)를 산출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시공 페이즈의 공종으로서 Architecture, Electric 만을 나타내었으나, 도 3과 달리 다른 공종 역시 상기 시공 페이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차 실적 데이터 및 상기 3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페이즈의 3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 특정 페이즈, 제2 특정 페이즈가 특정 페이즈에 포함되어 있다고 상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제1 특정 페이즈(ex 도 3의 Procurement)의 3차 실적 데이터(ex 도 3의 1406) 및 제2 특정 페이즈(ex 도 3의 Construction)의 3차 실적 데이터(ex 도 3의 216)를 기초로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4차 실적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Engineering 페이즈에 대한 3차 실적 데이터까지 고려해야 정확한 4차 실적 데이터가 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4차 계획/실적 데이터의 경우, 건설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작업 계획 정도, 작업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특정 페이즈(ex 도 3의 Procurement)의 3차 계획 데이터(ex 도 3의 1454) 및 상기 제2 특정 페이즈(ex 도 3의 Construction)의 3차 계획 데이터(ex 도 3의 354)를 기초로 상기 특정 프로젝터의 4차 계획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4차 실적 데이터 및 4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터의 4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Engineering 페이즈에 대한 3차 계획 데이터까지 고려해야 정확한 4차 계획 데이터가 산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4차 차이 데이터는 4차 실적 데이터와 4차 계획 데이터의 값의 차이(EA) 내지 공정률의 차이(%)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상태 리포트에 출력되는 4차 계획/실적/차이 데이터로서 공정률(%) 또는 정량 분석 데이터(EA)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1차 내지 4차 계획/실적/차이 데이터들은 백분율(%)을 나타내는 진행률(공정률)로 표시되거나 또는 개수(ex EA, SET 등)에 해당하는 정량 분석 데이터로 표시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산출된 4차 실적 데이터, 4차 계획 데이터 및 4차 차이 데이터를 기초로 특정 프로젝트의 공정률 또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실적 데이터(1차, 2차, 3차, 4차 실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특정 설계 페이즈의 가중치, 특정 구매 페이즈의 가중치 및 특정 시공 페이즈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특정 프로젝트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공정률을 산출할 수 있다.
페이즈 가중치(W,F) 진도율 공정률 착수일 완료일
설계 5% 75% 3.75% 2020-10-01 2020-12-31
구매 50% 0 0.00% 2021-01-01 2021-12-31
시공 45% 0 0.00% 2021-06-01 2022-06-30
SUM 100% 3.75% 2020-10-01 2022-06-30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설계/구매/시공 페이즈는 가중치를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진도율 및 가중치에 기초하여 각 페이즈의 공정률이 산출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ex 3.75%)이 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은 4차 실적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량 분석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상기 실적 데이터(1차, 2차, 3차, 4차 실적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중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포함하는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살펴보면 설계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가 414, 3차 실적 데이터가 414이고, 구매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가 1,454, 3차 실적 데이터가 1406이며, 시공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가 354, 3차 실적 데이터가 216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설계 페이즈의 3차 차이 데이터는 0(414-414), 구매 페이즈의 3차 차이 데이터는 -48(1406-1454), 시공 페이즈의 3차 차이 데이터는 -138(216-354)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상기 3차 물량/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4차 계획 데이터(414+1454+354)로 2222를 산출할 수 있고, 4차 실적 데이터(414+1406+216)로 2036을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4차 계획 데이터 및 상기 4차 실적 데이터의 차이 값인 4차 차이 데이터로 -186을 산출할 수 있다. 즉, 186개의 액티비티가 계획보다 뒤쳐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정량 분석 데이터(수행 계획된 액티비티의 개수,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 계획보다 뒤쳐진 액티비티의 개수 포함)는 4차 계획 데이터, 4차 실적 데이터 및 4차 차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수행 계획된 액티비티의 개수,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 계획보다 뒤쳐진 액티비티의 개수 등을 각각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프로세서(120)는 페이즈 관계없이 특정 프로젝트의 복수의 액티비티 중 계획보다 일정 수준 이상 뒤쳐진 소정 액티비티(Rotating DOS, Stationary DEL, Stationary DOS, Stationary Insl, Eq Painting, Eq Insulation)를 소정 개수 선정하여 나열할 수 있다. 이때,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시공 페이즈 순으로 위에서부터 나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페이즈 안에서는 도면과는 달리 2차 차이 데이터의 값의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위에서부터 나열할 수도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를 여러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작업 담당자별 SPI를 나타낸 도면이다.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산출한 공정률 및 산출한 정량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정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Project Integrated Status Report)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도 5(a)와 같이 상기 PISR 관련하여 프로젝트의 현황을 항목별로 보여줄 수도 있고, 도 5(b)와 같이 해당 프로젝트의 상태 현황을 요약하여 보여줄 수도 있으며, 도 5(c)와 같이 수행 중인 복수의 프로젝트 전체의 현황을 한 번에 보여줄 수도 있다. 상기 도 5는 상태 리포트의 표현 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에 해당하며, 포함하는 구조 및 내용 등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태 리포트(Project Integrated Status Report)에는 공정률 및 정량 분석 데이터뿐만 아니라, 계획 데이터 대 실적 데이터의 달성 비율을 나타내는 SPI(Schedule Performance Index)가 포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SPI는 건설 프로젝트의 예정 진행률 대비 실제 달성 진행률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시공 페이즈에 포함된 각 작업 담당자의 작업 진행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작업 담당자 각각은 어느 하나의 공종(ex 토건, 기계 등)과 대응될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각 공종(작업 담당자)의 진행률(2차 계획/실적/차이 데이터)은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SPI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건의 경우 2차 계획 데이터는 73.09%, 2차 실적 데이터는 55.83%에 해당하므로 SPI 값은 55.83/73.09=0.76에 해당할 수 있고, 기계의 경우 2차 계획 데이터는 65.15%, 2차 실적 데이터는 32.68%에 해당하므로 SPI값은 32.68/65.15=0.50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공종 모두 SPI값이 1이하이므로 작업 진행 정도가 지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SPI 값이 1이면 정상 작업 진행 속도(On Schedule)이고, SPI 값이 1 이상이면 계획 대비 작업 실적량이 많은 상태(Ahead)에 해당할 수 있다.
상태 리포트에서는 각 공종(작업 담당자) 별로 2차 계획/실적/차이 데이터가 표시되고 이에 매칭하는 SPI값이 표시됨으로써 지연되는 공종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도 6과 같이 각 페이즈(설계, 구매, 시공)별로 지연되는 공종(작업 담당자)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공종별로 어느 공종이 지연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설정에 따라서 어느 액티비티가 지연되고 있는지, 어느 페이즈가 지연되고 있는지 역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특정 프로젝트가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및 시공 페이즈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및 시공 페이즈 각각에 특정 공종이 동시에 포함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물론, 공종 중에서 일부 페이즈에만 포함되는 경우도 있지만, 특정 공종(ex Piping, Fire Fighting 등)은 상기 설계/구매/시공 페이즈에 모두 포함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특정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는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시공 페이즈 각각마다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2차 계획 데이터, 2차 차이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설계 페이즈 내 특정 공종의 2차 물량/예상/차이 데이터, 구매 페이즈 내 특정 공종의 2차 물량/예상/차이 데이터, 시공 페이즈 내 특정 공종의 2차 물량/예상/차이 데이터가 상기 상태 리포트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2차 차이 데이터는 현재 특정 공종의 진척 정도를 나타내므로, 이로부터 각 페이즈 내의 특정 공종의 진척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결국, 프로세서(120)는 상기 상태 리포트를 통해 특정 공종과 관련하여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시공 페이즈 중 어느 페이즈의 작업이 지연되고 있는지(ex "Piping의 경우 공사 페이즈가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대비 비교적 지연되고 있습니다" "Fire Fighting의 경우 공사 페이즈가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대비 비교적 지연되고 있습니다")를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젝트별 진행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각각의 4차 실적 데이터, 4차 계획 데이터 및 4차 차이 데이터와 함께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지도를 상태 리포트(Project Integrated Status Report)를 통해 나타냄으로써 작업 담당자 내지 관리자로 하여금 공정률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 각각에 대해 페이즈별(설계/구매/시공) 진행 상황(3차 예상/물량/차이 데이터)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페이즈(설계/구매/시공) 각각에 대해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별 진행상황을 그래프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설계 페이즈에 대한 복수의 프로젝트(ex 프로젝트 1, 프로젝트 2 등) 각각의 진행상황을 제공하거나, 구매 페이즈에 대한 복수의 프로젝트(ex 프로젝트 1, 프로젝트 2 등) 각각의 진행상황을 제공하거나, 시공 페이즈에 대한 복수의 프로젝트(ex 프로젝트 1, 프로젝트 2 등) 각각의 진행상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 각각의 진행상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중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ex 프로젝트 1)의 그래프는 4차 계획 데이터(ex 1번표시로 73%)와 4차 실적 데이터(ex 2번표시로 74%)를 표시하고, 4차 계획 데이터와 4차 실적 데이터의 차이값인 4차 차이 데이터(ex 3번표시로 1%)을 화살표로서 별도 표시하고 있다. 화살표 표시는 실적 데이터가 더 큰 경우 위 방향, 계획 데이터가 더 큰 경우 아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획 및 실적 데이터의 누적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프로세서(120)는 매달마다 건설 프로젝트의 4차 계획 데이터 및 4차 실적 데이터의 변동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매달의 4차 계획 데이터 값에 대한 막대 그래프, 4차 계획 데이터의 누적 값에 대한 꺾은 선 그래프, 매달의 4차 실적 데이터 값에 대한 막대 그래프, 4차 실적 데이터의 누적 값에 대한 꺾은 선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결국, 프로세서(120)는 건설 프로젝트의 4차 계획 데이터 및 4차 실적 데이터에 대한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SPI 값의 변동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SPI값은 계획 데이터 대 실적 데이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공정률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매주마다 건설 프로젝트의 SPI값 및 SPI 값에 대한 누적 값을 그래프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준선(1.00을 나타냄)을 표시함으로써 SPI값이 1보다 큰지 작은지를 용이하게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VBA 코딩 일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각 건설 프로젝트의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 단말(20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VBA 코딩에 해당하고, 도 11b는 Weekly WF Distribution 관련 VBA 코딩에 해당하며, 도 11c는 Weekly Progress 관련 VBA 코딩에 해당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1a 내지 도 11c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각 알고리즘들을 나타내는 알고리즘명들이 좌측에 나열되어 있어서, 관리 측면에서 보다 용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 내에서 액티비티의 완료 여부를 그림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의 지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각 구역별로 작업이 진행될 수 있고, 프로세서(120)는 특정 구역의 설계가 완료된 경우 제1색으로 해당 특정 구역을 표시할 수 있고, 특정 구역의 작업을 위한 자원 구매 및 운송이 완료된 경우 제2색으로 해당 특정 구역을 표시할 수 있으며, 특정 구역의 시공(설치)이 완료된 경우 제3색으로 해당 특정 구역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서로 다른 색깔로서 표시하여 특정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나타내며, 건설 프로젝트의 지도를 제3색으로 모두 나타내는 경우 해당 건설 프로젝트의 작업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공정률 관리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데이터베이스
200: 작업담당자 단말

Claims (8)

  1.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마다 설계(Engineering) 페이즈, 구매(Procurement) 페이즈 및 시공(Construction) 페이즈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한 채로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복수의 액티비티가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또는 상기 시공 페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공정률 관리 서버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로 구성된 PMS(Progress Measurement System)을 운영한다고 할 때,
    (a)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작업담당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에 대해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상기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i) 특정 설계 페이즈의 가중치, 특정 구매 페이즈의 가중치 및 특정 시공 페이즈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공정률을 산출하고, ii) 상기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중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포함하는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가, 상기 산출한 공정률 및 상기 산출한 정량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Project Integrated Status Report)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및 상기 시공 페이즈 각각에 복수의 공종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공종 각각에는 동일 목적을 기초로 이루어진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가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프로젝트에 특정 페이즈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특정 페이즈에 특정 공종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는,
    특정 작업 담당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공종의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수행된 1차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에 대해 상기 입력된 1차 실적 데이터와 1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1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의 1차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의 1차 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2차 실적 데이터와 상기 2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특정 공종이 제1 특정 공종 및 제2 특정 공종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때,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는, I-1) 제1 특정 작업 담당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고, I-2) 제2 특정 작업 담당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며,
    II-1)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페이즈의 3차 실적 데이터를 산출하고, II-2)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를 산출하며, II-3) 상기 3차 실적 데이터 및 상기 3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페이즈의 3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특정 페이즈에 제1 특정 페이즈 및 제2 특정 페이즈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는,
    III-1) 상기 제1 특정 페이즈의 3차 실적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정 페이즈의 3차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4차 실적 데이터를 산출하고, III-2) 상기 제1 특정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정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4차 계획 데이터를 산출하며, III-3) 상기 4차 실적 데이터 및 상기 4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4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4차 실적 데이터, 상기 4차 계획 데이터 및 상기 4차 차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공정률 또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각각에 입력된 상기 실적 데이터에 대해 오류 검사를 수행하고, 상기 오류 검사는 상기 실적 데이터가 전체 계획 데이터보다 작은 수치를 가지는지 여부, 상기 실적 데이터의 입력과 함께 착수 날짜 또는 완료 날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 대규모 단위기간 동안에 입력된 실적 데이터와 상기 대규모 단위기간에 포함된 복수의 소규모 단위기간 동안 입력된 복수의 실적 데이터의 합과 일치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프로젝트가 상기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및 시공 페이즈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 페이즈, 구매 페이즈 및 시공 페이즈 각각에 특정 공종이 동시에 포함되는 상태에서,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는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및 상기 시공 페이즈 각각마다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2차 계획 데이터, 2차 차이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공종과 관련하여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상기 시공 페이즈 중 어느 페이즈의 작업이 지연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률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각각의 4차 실적 데이터, 4차 계획 데이터 및 4차 차이 데이터와 함께 지도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건설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고,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마다 설계(Engineering) 페이즈, 구매(Procurement) 페이즈 및 시공(Construction) 페이즈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설정한 채로 포함하며,
    어느 하나의 건설 프로젝트에 필요한 복수의 액티비티가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또는 상기 시공 페이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건설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공정률 관리 서버가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로 구성된 PMS(Progress Measurement System)을 운영한다고 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작업담당자의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특정 작업담당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특정 프로젝트에 포함된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에 대해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i) 특정 설계 페이즈의 가중치, 특정 구매 페이즈의 가중치 및 특정 시공 페이즈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공정률을 산출하고, ii) 상기 복수의 특정 액티비티 중 수행 완료된 액티비티의 개수를 포함하는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공정률 및 상기 산출한 정량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상태 리포트(Project Integrated Status Report)를 출력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 페이즈, 상기 구매 페이즈 및 상기 시공 페이즈 각각에 복수의 공종이 포함되고, 상기 복수의 공종 각각에는 동일 목적을 기초로 이루어진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가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프로젝트에 특정 페이즈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특정 페이즈에 특정 공종이 포함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작업 담당자로 하여금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공종의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에 대해 일정 기간 동안 수행된 1차 실적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에 대해 상기 입력된 1차 실적 데이터와 1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1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의 1차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소정 개수의 액티비티 각각의 1차 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2차 실적 데이터와 상기 2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공종의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특정 공종이 제1 특정 공종 및 제2 특정 공종을 포함하고 있다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I-1) 제1 특정 작업 담당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고, I-2) 제2 특정 작업 담당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며,
    II-1)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페이즈의 3차 실적 데이터를 산출하고, II-2) 상기 제1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정 공종의 2차 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를 산출하며, II-3) 상기 3차 실적 데이터 및 상기 3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페이즈의 3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며,
    상기 특정 페이즈에 제1 특정 페이즈 및 제2 특정 페이즈가 포함되어 있다고 할 때,
    상기 프로세서는,
    III-1) 상기 제1 특정 페이즈의 3차 실적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정 페이즈의 3차 실적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4차 실적 데이터를 산출하고, III-2) 상기 제1 특정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 및 상기 제2 특정 페이즈의 3차 계획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4차 계획 데이터를 산출하며, III-3) 상기 4차 실적 데이터 및 상기 4차 계획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4차 차이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4차 실적 데이터, 상기 4차 계획 데이터 및 상기 4차 차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공정률 또는 상기 특정 프로젝트의 정량 분석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률 관리 서버.
KR1020210018324A 2021-02-09 2021-02-09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289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24A KR102289494B1 (ko) 2021-02-09 2021-02-09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324A KR102289494B1 (ko) 2021-02-09 2021-02-09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494B1 true KR102289494B1 (ko) 2021-08-11

Family

ID=7731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324A KR102289494B1 (ko) 2021-02-09 2021-02-09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4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993A (ja) * 1997-04-22 1998-11-13 P S I:Kk 生産管理システム並びに生産計画演算装置及び生産計画演算方法
JP2010176255A (ja) * 2009-01-28 2010-08-1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開発プロセス評価管理システム
KR20110109710A (ko) * 2010-03-31 2011-10-06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46545B1 (ko) * 2019-11-13 2020-08-20 (주)이노가드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00145261A (ko) * 2019-06-21 2020-12-30 김민호 제품 진척도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1993A (ja) * 1997-04-22 1998-11-13 P S I:Kk 生産管理システム並びに生産計画演算装置及び生産計画演算方法
JP2010176255A (ja) * 2009-01-28 2010-08-12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開発プロセス評価管理システム
KR20110109710A (ko) * 2010-03-31 2011-10-06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5261A (ko) * 2019-06-21 2020-12-30 김민호 제품 진척도 모니터링 방법
KR102146545B1 (ko) * 2019-11-13 2020-08-20 (주)이노가드 이동통신단말 기반 전문건설업체에서의 현장 정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n et al.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durations in Hong Kong
Arashpour et al. Analysis of disruptions caused by construction field rework on productivity in residential projects
Moussavi Nadoushani et al. Location optimization of tower crane and allocation of material supply points in a construction site considering operating and rental costs
KR20200015642A (ko) Super Tree 기반의 Project/Task 지능 목표관리 방법 및 플랫폼
CN105069524B (zh) 基于大数据分析的计划调度优化方法
US20050171790A1 (e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4156790A (zh) 一种优化平衡停电计划的方法
Liu et al. Automatically updating maintenance information from a BIM database
KR102342027B1 (ko)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CN105117866A (zh) 一种工程进度状态数据处理方法及装置
Wang et al. Causes and penalties of variation: Case study of a precast concrete slab production facility
KR100800547B1 (ko) 부위별 원가정보를 연계한 시설물 건설공정 관리방법
CN111105204A (zh) 一种施工项目进度上报、管理方法及信息处理装置
JP2019008501A (ja) 生産管理システムおよび生産管理方法
KR102289494B1 (ko)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RU2435188C1 (ru) Многоуровнева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технологическими процессами с управлением затратами на основе мониторинга, анализа и прогноза состояния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й инфраструктуры нефтегазодобывающего предприятия
KR100945523B1 (ko) 온라인 건설현장 관리 방법
Krepp et al. BIMsite-towards a BIM-based generation and evaluation of realization variants comprising construction methods, site layouts and schedules
Desai et al. Value stream mapping as a lean construction tool–a case study
CN105868924A (zh) 一种基于数字化制造家具企业生产质量管控系统
KR20160081247A (ko)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Ekanayake et al. Resilient supply chains in industrialised construction: A Hong Kong case study
Kazado et al. Construction progress visualisation for varied stages of the individual elements with BIM: A case study
KR101171214B1 (ko) 액티비티별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CN113781017A (zh) 铁路四电工程施工组织管理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