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710A -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710A
KR20110109710A KR1020100029556A KR20100029556A KR20110109710A KR 20110109710 A KR20110109710 A KR 20110109710A KR 1020100029556 A KR1020100029556 A KR 1020100029556A KR 20100029556 A KR20100029556 A KR 20100029556A KR 20110109710 A KR20110109710 A KR 2011010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base
information
dimensional
design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병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디알소프트
Priority to KR102010002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9710A/ko
Publication of KR2011010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정계획 정보를 유지하는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실제 공정진행 상황에 상응하는 공정진행 정보를 유지하는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 공사대상물(토지 또는 지장물)의 설계 정보를 유지하는 설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와 연계 가능한 공사대상물별 입체형상 정보를 유지하는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 및 공사현장의 지리적 정보를 유지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공정계획 정보를 입력하는 공정계획 입력수단,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공정실적 입력수단,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설계 정보를 입력하는 설계 입력수단,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입체형상 정보를 입력하는 입체형상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수단; 및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의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공정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공사대상물의 예상 공사진행률 및 실제 공사진행률(공정률)을 판별하고,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 및 상기 예상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에 상응하여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입체형상 정보를 독출하며,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상에 상기 독출된 입체형상을 매칭시키고, 상기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진행 정보를 선택적으로 가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공정 모니터링 정보의 제공을 제어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THREE DIMENSIONAL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CESS}
본 발명은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차원으로 공사 진행 현황을 표현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일목요연하고 인식이 용이하도록 하나의 화면 상에 표시하여 공사 계획 및 실제 공사 작업 진행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며 시기별로 새로 진행 현황을 제작할 필요가 없이 단일 프로그램으로 어느 시점의 공사 진행 현황이든 보다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계획적인 공사진행, 공사 진척도의 용이한 파악 및 인력, 장비, 경비 등을 조정 관리하여 공사기간 내에 해당 공사를 효율적으로 완성하기 위한 공정관리 시스템으로서, 미국의 PERT(Program Evaluation Review Technique), CPM(Critical Path Method), 또는 Bar Chart에 의한 공정관리도표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PERT란 대규모, 장시간이 걸리는 프로젝트의 계획 및 진전을 평가하기 위한 관리 기법으로서 프로젝트에 필요한 작업(activity)과 자원(resource)들의 상호관계를 시간에 의존하는 네트워크 형태로 도식화한 것으로, 즉, 퍼트 차트는 서로 관계를 이루면서 수행하여야 할 각각의 작업들이 원과 그 원을 연결하는 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간에 의존하여 도식화한 그림이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ERT, CPM, 또는 Bar Chart에 의한 공정관리도표는 공사종류에 따른 시공일정 및 그 진척사항 등을 꺽은선 그래프 또는 막대그래프 등으로 평면적으로 시각데이터화 함으로써, 공종 상호간 연관관계의 로직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PERT, CPM, 또는 Bar Chart에 의한 2차원 공정표는 상호 연관관계의 로직이나 단순 일정관리 수준의 용도로 사용되기 적합한 것일 뿐, 이를 통하여 현장의 공사여건과 장비간의 설계상 간섭 여부 및 실제의 공사진척도를 파악하는 것은 곤란하다.
종래의 공사 진행 현황 도면은 보기가 불편한 점이 매우 많다. 무엇보다도 2차원 평면 위에 표시 가능한 정보의 절대량 자체가 매우 적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알고자 하는 정보를 모두 표시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하다. 따라서, 매우 제한된 정보만이 공사 진행 현황 도면 상에 표시되고, 자세한 정보는 결국 각 부분적 공사 작업과 관련된 다른 자료, 즉, 퍼트 차트 등과 같은 자료를 찾아야만 한다.
특히, 시설물의 형상이 복잡하거나 다수의 시설물을 동시에 건설하는 경우, 예를 들어,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진행되는 철도건설은 매우 복잡한 다 공종(토목, 궤도, 건축, 송변전, 전차선, 배전, 신호, 통신) 공사를 동시 진행하는 신도시 계획 공사, 아파트 및 상가 단지 건설 공사, 교량, 댐 건설 등과 같은 대규모 공사인 경우, 어느 공정의 공사가 어느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지와 같은 지리적 위치와 관련된 상세 상황이나, 특정 지역 어느 공정의 공사가 얼마나 진척되었는지에 대한 상세 진척도 상황, 즉, 특정 지역 공사에 투입된 또는 투입되어야 할 인력, 비용, 자재 등의 자원의 양을 체크하거나 하는 것은, 종래의 공사 진척 상황도로는 전혀 불가능하다.
한편, 3D CAD(Computer Aided Designed)를 이용한 3차원 건축모델은, 건축물을 공간적으로 입체화하여 나타냄으로써 해당 건축물에 대하여 구조학적인 면에서 보다 실질적이고도 구체적인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현 시점에서는 이와 같은 3차원 건축모델을 단순히 계획하고 있는 건축물의 설계용도로 작성하여 장비간의 설계상 간섭 여부를 확인하거나, 해당 건설 프로젝트에 대한 개관을 위한 프리젠테이션용 자료로 사용하고 있을 뿐이다. 즉, 3D CAD를 통해 구현된 설계도는, 장비간 간섭이나 타당성 검토, 및 BM 산출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데이터는 현장상황에 대한 검토가 반영되지 않은 단순 구성에 불과한 것이었으며, 모델구축시까지의 소요시간 등 구체적인 시공일정이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서 그 이용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2007-0106293(등록 제10-0844467호, "3차원 공사 진행 현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이하 선행기술)에서는, 예상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을 지리적 정보와 매칭시켜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하며, 공정계획 정보 및 공정실적 정보를 다양한 통계처리도표 형상으로 가공하여 출력하기 위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건 발명에서는, 공사대상물의 실제 형상을 3차원 이미지 오브젝트로 구현하고 해당 공사대상물의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적도 및 실사도 뿐만 아니라 토지이용계획도, 교통계획도, 공원녹지계획도 등과 같은 도시계획도 상에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입체형상을 매칭시킴으로써, 선행기술에서보다 공사 진행 현황을 보다 직관적이고 보다 시각적으로 실남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도시계획사업과 관련된 공사의 통합 관리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이에, 현장의 공사관리부문에서 뿐만 아니라, 사업관리, 안전관리, 유지보수관리 등 건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관리를 위하여 시공 시점별 공사 진척상황과 계획 및 이에 대한 시각 자료를 통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종사자 등이 원하는 자료를 용이하게 검색하고 이를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종합적인 건설관리 시스템 및 정보제공방법의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는 몇 개월 이상의 긴 기간이 소요되며, 특히 대규모의 공사인 경우에는 한꺼번에 공사가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공사가 진행되게 된다. 그러므로, 공사가 진행되는 동안 각각의 부분적 공사에만 관여하는 작업자들이 전체적인 공사 진행 현황을 파악하기는 어려운데, 이와 같이 공사가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면 공사 자재 수요량의 파악, 공사 일정 조절 등과 같은 전체적인 공사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직접적으로 작업과 관련된 작업자들이 아닌 일반인들도 공사 진행 현황을 알아야 할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사 진행 현황을 모든 작업자들 및 일반인에게 일목요연하게 파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도 상에 예상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에 따라 변화하는 3차원적인 이미지로서 공사진행률을 표시하고, 지리적 정보와 개별 공사 정보를 연계하여 다양한 공사를 통합 관리가 가능하게 하고, 지리적 정보, 공정계획 정보, 공정진행 정보, 이미지 정보 등을 별도의 뷰어를 이용하여 지적 및 지형을 GIS에 표시함으로써 처리 및 출력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관리 항목의 교체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공사대상물의 실제 형상을 3차원 이미지 오브젝트로 정의하여 구현하고 이를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필요한 경우에 신속하게 불러들여 3차원 형상으로 조합하여 구성하고 이를 사업관리코드와 자동 연계하여 공사 진행 현황을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은, 공정계획 정보를 유지하는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실제 공정진행 상황에 상응하는 공정진행 정보를 유지하는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 공사대상물(토지 또는 지장물)의 설계 정보를 유지하는 설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와 연계 가능한 공사대상물별 입체형상 정보를 유지하는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 및 공사현장의 지리적 정보를 유지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공정계획 정보를 입력하는 공정계획 입력수단,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공정실적 입력수단,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설계 정보를 입력하는 설계 입력수단,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입체형상 정보를 입력하는 입체형상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수단; 및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의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공정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공사대상물의 예상 공사진행률 및 실제 공사진행률(공정률)을 판별하고,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 및 상기 예상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에 상응하여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입체형상 정보를 독출하며,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상에 상기 독출된 입체형상을 매칭시키고, 상기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진행 정보를 선택적으로 가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공정 모니터링 정보의 제공을 제어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입체형상은 하나 이상의 공사대상물의 종류를 포함하는 표준 건설정보 분류체계에 상응하여 생성된 3차원 오브젝트(object)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은 공사대상물명, 공사대상물 종류, 공정활동별 코드, 공사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은 공사대상물명, 공사대상물 종류, 공사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지적도, 실사도, 토지이용계획도, 교통계획도, 공원녹지계획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적도, 실사도, 토지이용계획도, 교통계획도, 공원녹지계획도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상에 상기 독출된 입체형상을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상기 공정활동별 코드로 연계하고,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상기 공사대상물 종류로 연계하며,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상기 공사대상물 종류로 연계하고,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상기 공사대상물명 및 상기 공사 위치로 연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는 책임자, 실무자, 시행주체, 날짜, 예산, 및 조치사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는 소요비용, 작업 진척도, 날짜, 및 세부작업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공사대상물에 상응하는 보상현황(수용재결, 미보상, 보상완료) 및 철거현황(미철거, 지상철거, 지하철거, 지상반출, 지하반출)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는 사업관리코드, 지장물 식별코드, 및 지장물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사업관리코드 항목에서는 표준공기의 선후관계를 정의하여 구성하고, 상기 지장물 식별코드 항목에서는 캐드(CAD)도면의 도면요소, 레이어, 심벌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지장물 위치 항목에서는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공간상의 지장물 좌표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공정계획 입력수단은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하며 연동 동작하고, PERT 방법 및 GANTT 방법을 기반으로 한 입력모듈을 내장하는 컴퓨터이고, 상기 공정실적 입력수단은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하며 연동 동작하는 전용 단말기, PDA, 또는 컴퓨터이며, 상기 설계 입력수단은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하며 연동 동작하고, 캐드(CAD)를 기반으로 한 입력모듈을 내장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가 유지하는 지리적 정보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가 유지하는 입체형상 정보는,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의 공정계획 정보,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공정진행 정보, 및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의하여 매칭(matching)되며, 상기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및 상기 입체형상은 서로 별개의 레이어에 출력되되,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지도 이미지가 출력되는 지도 레이어 및 상기 입체형상이 출력되는 입체형상 레이어가 서로 오버랩(overlap)되어 한 화면상에 표시되는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지리적 정보 또는 상기 입체형상 정보와 매칭되며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의 공정계획 정보가 상기 지도 레이어 및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구분되는 별개의 공정계획 레이어에 출력되고, 상기 지리적 정보 또는 상기 입체형상 정보와 매칭되며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공정진행 정보가 상기 지도 레이어 및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구분되는 별개의 공정실적 레이어에 출력되며, 상기 지리적 정보 또는 상기 입체형상 정보와 매칭되며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가 상기 지도 레이어 및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구분되는 별개의 설계 레이어에 출력되되,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지도 레이어,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 상기 공정계획 레이어, 상기 공정실적 레이어, 및 상기 설계 레이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레이어들이 서로 오버랩되어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진행 정보를 2차원 막대 그래프, 2차원 선 그래프, 2차원 파이 그래프, 3차원 막대 그래프, 3차원 버블 형상을 포함하는 통계처리도표 형상으로 가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방법은, a)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해당 공사대상물에 상응하는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지리적 정보가 가공되어 생성된 지도 이미지가 상기 지도 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b)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지리적 정보 및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가 상기 공사 위치 항목에 의해 연계되어 상기 지도 레이어와 오버랩되는 설계 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c)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공정계획 정보 및 공정진행 정보가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 추출되고,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예상 공사진행률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이 산출되는 단계; d)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입체형상이 상기 공사대상물 종류 항목에 의해 연계되어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 추출되고, 상기 선택된 상기 입체형상이 상기 설계 레이어와 오버랩되는 입체형상 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및 e)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상기 예상 공사진행률을 포함하는 공정계획 정보 또는 상기 실제 공사진행률을 포함하는 공정진행 정보가 가공되어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오버랩되는 공정계획 레이어 또는 공정실적 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공정계획 정보 또는 실제 공정진행 정보와 실제 공사대상물의 공정계획 진행 정보에 따른 입체형상을 연계하여, 지도 상에 예상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에 따라 변화하는 3차원적인 이미지로서 공사진행률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공사진행률을 보다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공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 각각의 공사마다 개별적으로 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하나의 시스템으로 지리적 정보와 개별 공사 정보를 연계하여 다양한 공사의 통합 관리를 가능케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지리적 정보, 공정계획 정보, 공정진행 정보, 입체형상 정보 등이 별개의 레이어 및 심벌에 의해 표시됨으로써 처리 및 출력에 필요한 시간 및 시스템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고, 레이어 및 심벌 별로 정보가 분류되어 표시됨으로써 다양한 정보의 추가, 교체, 수정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것 역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단순히 일정과 진척도를 입력하면, GIS 공정 모니터링 화면에는 3차원적인 이미지로 표출되기 때문에, 대규모 및 다양한 공사의 사업관리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개별 공사에 대해서 각각의 세부 공정 단계를 표현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전산화함으로써 누구나 공사 현황을 보다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GANTT 차트의 한 예.
도 2는 PERT 차트의 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을 가공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출력 화면의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100), 데이터 입력수단(200), 모니터링 수단(300), 및 출력수단(400)을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00)는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 설계 데이터베이스(130),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 및 지도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수단(200)은 공정계획 입력수단(210), 공정실적 입력수단(220), 설계 입력수단(230), 및 입체형상 입력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출력수단(400)은 컴퓨터나 PDA 등의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일 수도 있으며, 프린터와 같은 인쇄 수단이어도 무방하다.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에는 PERT, GANTT 등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공정계획 정보가 공정계획 입력수단(21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공정계획 정보란, 예를 들어, "X년 X월 X일부터 Y년 Y월 Y일까지 A작업, Z년 Z월 Z일부터 W년 W월 W일까지 B작업"와 같은 정보, 어느 작업을 어느 시행주체 및 담당자가 수행하는지, 즉, "A작업은 B기업의 C, D작업은 E기업의 F"와 같은 정보, 어떤 작업을 수행할 때의 주의사항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는 가장 기본적으로 공사대상물명, 공사대상물 종류, 공정활동별 코드, 공사 위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날짜, 예산, 책임자, 실무자, 시행주체, 및 조치사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정계획 입력수단(210)은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에 접근 가능하며 연동 동작하고, PERT 방법 및 GANTT 방법을 기반으로 한 입력모듈을 내장하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는 공정실적 입력수단(220)을 통해 입력된 실제 공정 진행정도에 대한 공정진행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공정진행 정보란,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의 공정계획을 바탕으로 하여 "A작업의 진척도 M%, B작업의 진척도 N%"와 같은 정보이다. 각 작업들은 보다 세부적인 작업으로 나뉠 수 있고, 공사의 진척도가 반드시 숫자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세부작업 완료 여부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제로 공사에 사용된 비용도 상기 진척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공정진행 정보는 상기 공정계획 정보와 연계되어 이루어지게 되고,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는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와 연계될 수 있는 동일 항목인 공사대상물명, 공사대상물 종류, 공정활동별 코드, 공사 위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불어, 날짜, 소요비용, 작업 진척도, 세부작업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제 공정 진행정도는 실제 공사가 진행되는 시점에서 각 공사의 실무자 또는 책임자가 가장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공정실적 입력수단(220)은 주로 각 공사의 실무자 또는 책임자가 항상 소지하고 다닐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해당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공정실적 입력수단(220)은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에 접근 가능하며 연동 동작하는 전용 단말기, PDA,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설계 데이터베이스(130)는 실제 공사대상물의 설계 정보를 유지하는데, 특히, 본 발명은 실제 공사대상물이 해당 지리적 정보에 따라 배치되는 것을 쉽게 출력하고자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공사대상물의 공사대상물명, 공사대상물 종류, 공사 위치 항목이 포함된다. 또한, 설계 데이터베이스(130)는 캐드(CAD) 등과 같은 설계 소프트웨어에 의해 작성된 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설계 입력수단(230)은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에 접근 가능하며 연동 동작하고, 캐드를 기반으로 한 입력모듈을 내장하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는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의 실제 공사대상물의 설계 정보와 연계될 수 있도록, 표준 건설정보 분류체계에 따른 공사대상물별 입체형상 정보들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입체형상 정보는 표준화된 오브젝트로서, 예를 들어, 교각 A형, 교각 B형, 배수관 A형, 배수관 B형 등과 같은 전체 형상 및 교각 A형 받침대, 교각 A형 기둥, 교각 A형 상판 등과 같은 세부형상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체형상 정보는 공사 진행정도에 따라 교각 A형 1단계, 교각 A형 2단계 등과 같은 식으로 저장될 수도 있다. 즉,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가 유지하는 입체형상은 공사 진행정도에 따라 해당 형상에 가깝게 만들어진 오브젝트가 선택되어 구성되며, 공사 진행상태를 실제와 유사하게 표현할 수 있다.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의 입체형상 오브젝트가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의 실제 공사대상물의 설계 정보와 연계되어 선택될 수 있도록,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는 상기 입체형상 오브젝트와 함께 공사대상물의 공사대상물명, 공사대상물 종류, 공사 위치 항목을 포함한다.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는 상기 표준 건설정보 분류체계에 따라 표준화되어 이미 설정되어 있는 오브젝트로서 미리 구성되기 때문에 상시 입력을 위한 데이터 입력수단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으나,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의 업데이트 개념으로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지도 데이터베이스(150)는 지리적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베이스(150)는 상기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적도, 실사도, 토지이용계획도, 교통계획도, 공원녹지계획도, 도시계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지도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데이터베이스(150) 역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 의하여 미리 구성된 지리적 정보로서 상시 입력을 위한 데이터 입력수단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으나, 지도 데이터베이스(150)의 업데이트 개념으로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데이터베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 설계 데이터베이스(130),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 및 지도 데이터베이스(150)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세부 데이터베이스들로 분류되기 적절하지 않은 항목이 더 요구되는 경우 추가적인 세부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상기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들을 연계하고 상기 정보들을 가공하여 데이터 출력수단(400)으로 출력한다. 도 4는 모니터링 수단(300)이 상기 각 세부 데이터베이스들을 연계하여 출력 화면을 가공하는 과정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와 지도 데이터베이스(150)를 연계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150)가 유지하는 지리적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 출력수단(400)에 지도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설계 데이터베이스(130)가 유지하는 특정 공사대상물의 공사 위치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에는 캐드(CAD)도면의 도면요소, 레이어, 심벌 등과 같이 지장물 즉, 공사대상물을 식별 및 정의 가능한 정보들이 저장되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각 공사대상물의 설계 정보에는 공사 위치 항목으로서 지장물 위치정보가 포함되기 때문에 모니터링 수단(300)은 상기 공사 위치 및 지도 데이터베이스(150)에 의해 구축된 GIS 공간상의 지리적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모니터링 수단(300)이 GIS를 기반으로 하여 공사대상물의 공사 위치를 표시하여 출력한 한 실시예가 도 5(a)에 도시되어 있다.
지도 이미지 상에 공사 진행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어, 사용자는 해당 공사대상물이 지리적으로 어느 위치에 건설되는지, 또는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공사 진행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에는 공사대상물 종류 항목이,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에도 공사대상물 종류 항목이 있으므로, 모니터링 수단(300)은 상기 공사대상물 종류 항목을 사용하여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하여 설계 데이터베이스(130)가 유지하는 공사 위치 및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가 유지하는 입체형상을 연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의 사업관리코드와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의 입체형상은 자동으로 연계될 수 있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와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를 연계함으로써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적절한 입체형상을 선택하고, 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상에서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공사 위치에 상기 선택된 상기 입체형상을 배치하여 도 5(b)의 실시예와 같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와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를 공사대상물 종류 항목에 의하여 연계하고, 또한,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와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를 공사 위치 및 공사대상물명 항목에 의하여 연계함으로써,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의 공정계획에 따라 시간에 따른 예상 공사진행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예상 공사진행률에 따라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선택되는 입체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와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는 공정활동별 코드 항목으로 서로 연계되어 있어, 실제 공사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공정실적이 입력되면, 모니터링 수단(300)은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의 공정진행 정보를 바탕으로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의 공정계획표와 연계하여 실제 공사진행률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실제 공사진행률에 따라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30)에서 선택되는 입체형상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즉, 모니터링 수단(300)은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 설계 데이터베이스(130), 및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를 서로 연계하여 예상 공사진행률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상기 공사진행률에 상응하는 입체형상을 선택하여 지도 이미지 상에서 해당 공사대상물의 공사 위치에 상기 선택된 상기 입체형상을 배치함으로써, 실제 수행되는 공사대상물이 어떤 것이며, 그 공사진행률은 어느 정도인지 등의 정보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출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해당 공사대상물의 정보 중 해당 공사대상물 종류를 사용하여 적절한 입체형상을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상기 선택된 상기 입체형상을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상기 공정계획 정보와 상기 선택된 상기 입체형상을 연계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입체형상에 공사진행률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c)에서는 색깔로서 미철거, 철거, 및 반출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물론 다른 방법으로 이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모니터링 수단(300)에 의하여 공사진행률이 표시된 입체형상은 상기 지도 이미지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링 수단(300)은 상기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진행 정보를 2차원 막대 그래프, 2차원 선 그래프, 2차원 파이 그래프, 3차원 막대 그래프, 3차원 버블 형상을 포함하는 통계처리도표 형상으로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 데이터베이스(130),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 및 지도 데이터베이스(150)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용하기 전에 미리 구축되어 있으며, 또한 공사대상물 종류, 공사 위치 등에 의하여 미리 자동 연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의 입체형상은 표준 건설정보 분류체계에 따라 미리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즉,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의 입체형상은 공사 설계도면 등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미리 구축된다. 캐드(CAD)도면을 가공하여 실제 건축물과 완전히 동일한 3차원 형상을 가상공간에 만드는 작업이 어마어마하게 복잡한 계산 과정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누구나 자명하게 알 수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형상은 미리 만들어져 단지 선택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는 정보의 가공이나 처리를 할 필요가 전혀 없고, 따라서 운용 중 모니터링 수단(300)이 수행하여야 할 계산 과정이 엄청나게 줄어들게 된다.
상기 공사 실무자가 공정계획표 또는 공정실적을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정보에 따라 모니터링 수단(300)이 처리를 수행한다.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와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는 서로 연계되어 있으므로, 공정계획을 먼저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입체형상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그 반대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PERT나 GANTT 차트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라 하더라도 보다 간편하게 공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공정실적의 경우 공정실적 입력수단(220)을 통해 실제 공사를 진행하는 실무자가 해당 공정실적을 실시간으로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정실적 입력수단(220)은 전용 단말기, PDA, 또는 컴퓨터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실무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상기 해당 공정실적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공정실적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은 대규모 또는 다양한 공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당 공정을 확실히 알고 있는 실무자가 공정실적을 직접 입력하기 매우 쉽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공정실적을 관리하기가 매우 편리하며, 또한 공사진행률을 실시간으로 매우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어, 공사진행 실무자와 공사 주체의 협업 및 의사소통이 훨씬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수단(300)에 의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지리적 정보가 가공되어 지도 이미지가 생성되고 상기 지도 이미지가 지도 레이어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수단(300)에 의하여, 지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지리적 정보와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특정 공사대상물의 설계 정보가 공사 위치 항목에 의해 연계되어 상기 지도 레이어와 오버랩되는 설계 레이어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특정 공사대상물에 해당하는 공정계획 정보 및 공정실적 정보가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 및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선택 추출되고, 상기 특정 공사대상물의 예상 공사진행률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이 산출된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특정 공사대상물에 해당하는 입체형상이 공사대상물 종류에 의하여 연계되어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선택 추출되고, 선택된 입체형상이 설계 레이어와 오버랩되는 입체형상 레이어에 표시된다. 또한, 모니터링 수단(300)은 이 단계에서, 상기 산출된 예상 공사진행률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을 더 고려하여 입체형상을 선택하거나 더 가공하여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에 그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수단(300)에 의하여, 상기 특정 공사대상물에 해당하며 상기 예상 공사진행률을 포함하는 공정계획 정보 또는 상기 실제 공사진행률을 포함하는 공정진행 정보가 가공되어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오버랩되는 공정계획 레이어 또는 공정실적 레이어에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공사 및 지리에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00)를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 설계 데이터베이스(130),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 지도 데이터베이스(150)로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들이 서로 연계 가능한 항목들을 가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계 가능한 항목들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수단(300)이 각각의 정보를 선택 추출하여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은 데이터 출력수단(400)으로 출력되는 화면을 구성하는데 있어서도 레이어 개념을 도입하여 보다 체계적인 출력 프로세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수단(300)은 지도 데이터베이스(150)에서 추출된 지리적 정보로서 구성되는 지도 이미지를 최하의 지도 레이어에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의 특정 공사대상물을 공사 위치 항목을 사용하여 상기 지도 레이어에 출력된 지도 이미지와 연계하여 정보를 가공하고, 그 결과를 상기 지도 레이어 위의 설계 레이어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수단(300)은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공사대상물 종류 항목을 사용하여 해당 공사대상물에 상응하는 적절한 입체형상을 선택하고, 그 결과를 상기 설계 레이어 위의 입체형상 레이어에 출력한다. 이 때, 상기 입체형상은 모니터링 수단(300)에 의하여 산출된 공사진행률에 따라(색깔이 입혀지는 등과 같이) 더 가공되어 출력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공사진행률에 따라 다른 형상을 선택하도록 하여 출력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수단(300)은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연계하여 상기 공정계획 정보 또는 상기 공정실적 정보가 더 가공되어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 위의 별개의 레이어에 출력할 수도 있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들에 저장된 정보들을 각각의 레이어에 따로 표시하고, 각 레이어들을 서로 오버랩하여 한 화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지리적 정보와 연계된 공사 진행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은 레이어 개념을 사용하여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별개의 레이어에 표시함으로써, 출력 프로세스가 매우 체계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선택된 정보들을 얼마든지 용이하게 다양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즉, 모니터링 수단(300)은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110)의 공정계획 정보 및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120)의 공정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공사대상물의 예상 공사진행률 및 실제 공사진행률(공정률)을 판별하고,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설계 데이터베이스(130)의 설계 정보 및 상기 예상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에 상응하여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입체형상 정보를 독출하며, 지도 데이터베이스(150)의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상에 상기 독출된 입체형상을 매칭시키고, 상기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진행 정보를 선택적으로 가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공정 모니터링 정보의 제공을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한 출력 화면의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지역의 각 지리적 위치에서 어떠한 공사가 이루어지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출력 결과이다.
도 7으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GIS를 활용하여 개별 공사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넓은 지역 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공사들, 각 공사의 진행률 등을 한눈에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도 7에서는 각기 다른 색깔을 이용하여 각각의 공사대상물에 상응하는 보상현황을 표현한다. 즉, 도 7의 출력 화면을 통해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보상현황이 파란색의 경우 보상완료, 초록색의 경우 수용재결, 빨간색의 경우 미보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은 토지이용계획도를 오버랩하여 토지이용계획이 수립되거나 변경되는 지역을 알 수 있도록 한다. 모니터링 수단(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적도, 실사도, 토지이용계획도, 교통계획도, 공원녹지계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미지 상에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입체형상을 매칭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공사대상물에 상응하는 보상현황(미보상, 수용재결, 보상완료) 및 철거현황(미철거, 지상철거, 지하철거, 지상반출, 지하반출)을 원형 또는 막대 그래프를 통해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공정 모니터링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공정계획 정보를 유지하는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실제 공정진행 상황에 상응하는 공정진행 정보를 유지하는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 공사대상물(토지 또는 지장물)의 설계 정보를 유지하는 설계 데이터베이스,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와 연계 가능한 공사대상물별 입체형상 정보를 유지하는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 및 공사현장의 지리적 정보를 유지하는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공정계획 정보를 입력하는 공정계획 입력수단,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공정실적 입력수단,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설계 정보를 입력하는 설계 입력수단,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입체형상 정보를 입력하는 입체형상 입력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수단; 및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의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공정진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공사대상물의 예상 공사진행률 및 실제 공사진행률(공정률)을 판별하고,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 및 상기 예상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에 상응하여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입체형상 정보를 독출하며,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상에 상기 독출된 입체형상을 매칭시키고, 상기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진행 정보를 선택적으로 가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공정 모니터링 정보의 제공을 제어하는 모니터링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형상은 하나 이상의 공사대상물의 종류를 포함하는 표준 건설정보 분류체계에 상응하여 생성된 3차원 오브젝트(objec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은 공사대상물명, 공사대상물 종류, 공정활동별 코드, 공사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은 공사대상물명, 공사대상물 종류, 공사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는 지적도, 실사도, 토지이용계획도, 교통계획도, 공원녹지계획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적도, 실사도, 토지이용계획도, 교통계획도, 공원녹지계획도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상에 상기 독출된 입체형상을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상기 공정활동별 코드로 연계하고,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상기 공사대상물 종류로 연계하며,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상기 공사대상물 종류로 연계하고,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상기 공사대상물명 및 상기 공사 위치로 연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는 책임자, 실무자, 시행주체, 날짜, 예산, 및 조치사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는 소요비용, 작업 진척도, 날짜, 및 세부작업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공사대상물에 상응하는 보상현황(수용재결, 미보상, 보상완료) 및 철거현황(미철거, 지상철거, 지하철거, 지상반출, 지하반출)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는 사업관리코드, 지장물 식별코드, 및 지장물 위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사업관리코드 항목에서는 표준공기의 선후관계를 정의하여 구성하고, 상기 지장물 식별코드 항목에서는 캐드(CAD)도면의 도면요소, 레이어, 심벌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지장물 위치 항목에서는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되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공간상의 지장물 좌표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계획 입력수단은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하며 연동 동작하고, PERT 방법 및 GANTT 방법을 기반으로 한 입력모듈을 내장하는 컴퓨터이고,
    상기 공정실적 입력수단은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하며 연동 동작하는 전용 단말기, PDA, 또는 컴퓨터이며,
    상기 설계 입력수단은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에 접근 가능하며 연동 동작하고, 캐드(CAD)를 기반으로 한 입력모듈을 내장하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가 유지하는 지리적 정보 및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가 유지하는 입체형상 정보는,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의 공정계획 정보,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공정진행 정보, 및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에 의하여 매칭(matching)되며,
    상기 지리적 정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 및 상기 입체형상은 서로 별개의 레이어에 출력되되,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지도 이미지가 출력되는 지도 레이어 및 상기 입체형상이 출력되는 입체형상 레이어가 서로 오버랩(overlap)되어 한 화면상에 표시되는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리적 정보 또는 상기 입체형상 정보와 매칭되며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의 공정계획 정보가 상기 지도 레이어 및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구분되는 별개의 공정계획 레이어에 출력되고,
    상기 지리적 정보 또는 상기 입체형상 정보와 매칭되며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의 공정진행 정보가 상기 지도 레이어 및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구분되는 별개의 공정실적 레이어에 출력되며,
    상기 지리적 정보 또는 상기 입체형상 정보와 매칭되며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가 상기 지도 레이어 및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구분되는 별개의 설계 레이어에 출력되되,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지도 레이어,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 상기 공정계획 레이어, 상기 공정실적 레이어, 및 상기 설계 레이어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레이어들이 서로 오버랩되어 하나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공정계획 정보 및 상기 공정진행 정보를 2차원 막대 그래프, 2차원 선 그래프, 2차원 파이 그래프, 3차원 막대 그래프, 3차원 버블 형상을 포함하는 통계처리도표 형상으로 가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방법은,
    a)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해당 공사대상물에 상응하는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지리적 정보가 가공되어 생성된 지도 이미지가 상기 지도 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b)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상기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지리적 정보 및 상기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설계 정보가 상기 공사 위치 항목에 의해 연계되어 상기 지도 레이어와 오버랩되는 설계 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c)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공정계획 정보 및 공정진행 정보가 상기 공정계획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공정실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 추출되고,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의 예상 공사진행률 또는 실제 공사진행률이 산출되는 단계;
    d)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입체형상이 상기 공사대상물 종류 항목에 의해 연계되어 상기 입체형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 추출되고, 상기 선택된 상기 입체형상이 상기 설계 레이어와 오버랩되는 입체형상 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및
    e) 상기 모니터링 수단에 의하여, 상기 해당 공사대상물에 대한 상기 예상 공사진행률을 포함하는 공정계획 정보 또는 상기 실제 공사진행률을 포함하는 공정진행 정보가 가공되어 상기 입체형상 레이어와 오버랩되는 공정계획 레이어 또는 공정실적 레이어에 표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공정 모니터링 방법.
  13. 제12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00029556A 2010-03-31 2010-03-31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097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556A KR20110109710A (ko) 2010-03-31 2010-03-31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9556A KR20110109710A (ko) 2010-03-31 2010-03-31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710A true KR20110109710A (ko) 2011-10-06

Family

ID=4502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9556A KR20110109710A (ko) 2010-03-31 2010-03-31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97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445A (ko) * 2017-02-27 2018-09-0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작업 범위 가시화 장치 및 작업 범위 가시화 방법
KR20200076554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발전플랜트 건설사업의 설계관리를 위해 하위 레벨에서 상위 레벨로 공정률 롤업을 위한 공정률 롤업 시스템
CN111754649A (zh) * 2020-06-04 2020-10-09 上海皓卡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金融ic卡个人化设备维护方法
KR102289494B1 (ko) * 2021-02-09 2021-08-11 주식회사 한화건설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445A (ko) * 2017-02-27 2018-09-05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작업 범위 가시화 장치 및 작업 범위 가시화 방법
KR20200076554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발전플랜트 건설사업의 설계관리를 위해 하위 레벨에서 상위 레벨로 공정률 롤업을 위한 공정률 롤업 시스템
CN111754649A (zh) * 2020-06-04 2020-10-09 上海皓卡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人工智能的金融ic卡个人化设备维护方法
KR102289494B1 (ko) * 2021-02-09 2021-08-11 주식회사 한화건설 Vba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공정률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6535B1 (ko) Gis 기반 3차원 공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ing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pplication framework: The process of expanding from 3D to computable nD
Kim et al. BIM-based decision-support method for master planning of sustainable large-scale developments
Kelly et al. BIM for facility management: a review and a case study investigating the value and challenges
Sacks et al. Visualization of work flow to support lean construction
Poku et al. Construction scheduling and progress control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Ezzeddine et al. Connecting teams in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using game engine technology
Chen et al. 3D AR-based modeling for discrete-event simulation of transport operations in construction
Tsai et al. Workflow re-engineering of design-build projects using a BIM tool
olde Scholtenhuis et al. 4D CAD based method for supporting coordination of urban subsurface utility projects
KR20110109710A (ko) 3차원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2007026135A (ja) プログラムマネジメントチャート作成支援システム
Tomar et al. Generation, visualization, and evaluation schedule of repetitive construction projects using GIS
KR101745321B1 (ko) 3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교통영향평가 분석정보 제공방법
Palve Applications of GIS in infrastructure project management
Mohandes et al. Exploiting the effectiveness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uring the stage of post construction
Mohanlal et al. Applications of 4D GIS Model in Construction Management
Naik et al. GIS based 4D model development for planning and scheduling of a construction project
Abdelhai Integration BIM and emerging technologies in architectural academic programs
Su et al. A graphical planning method for workspace-aware, four-dimensional modeling to assist effective construction planning.
Thellakula et al. A web-based GIS tool for progress monitoring of linear construction projects
Tirunagari et al. Simulation of construction sequence using BIM 4D techniques
Petimani et al. Monitoring the construction project by 4D application of GIS
Hartmann et al. Fulton street transit center project: 3D/4D model application report
Bouziani et al. Development of a Bim Infrastructure Workflow Adapted to Facilities of Land Subdivision Projects in Moroc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