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247A -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247A
KR20160081247A KR1020140194783A KR20140194783A KR20160081247A KR 20160081247 A KR20160081247 A KR 20160081247A KR 1020140194783 A KR1020140194783 A KR 1020140194783A KR 20140194783 A KR20140194783 A KR 20140194783A KR 20160081247 A KR20160081247 A KR 20160081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rocess rate
performance
management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국
이경재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1247A/ko
Publication of KR20160081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PC 프로젝트의 설계 관리, 구매 관리, 시공/시운전 관리를 위한 업무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리스트와, 작업단위 분류 체계에 근거한 작업단위(Activity)들의 리스트들과, 작업단위들의 플랜(Plan)들을 토대로 기본 계획(Baseline schedule)을 설정하는 단계, 기본 계획에 준하여, 동일 패턴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작업단위들로 이루어진 워크 패키지(Work package)들로 그룹화하여, 워크 패키지별 공정진행에 따른 해당 작업단위의 공정률을 산출하는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Setup)하는 단계,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이 셋업되면 각 작업자의 계정을 생성하고, 각 작업자에게 상기 워크 패키지를 할당하는 단계 해당하는 작업자가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과 연계된 입력열람모듈을 통하여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공사진행 정보를 통하여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에서 공정률 및 실적을 산출 및 열람하는 단계 및 산출된 공정률 및 실적을 토대로 공구별 실적을 검토 및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오프라인(Off-line)방식에서 온라인(On-line)방식으로, 개별작업에서 협업 중심 업무체계로 전환하여, 시스템 중심의 업무자동화를 통하여 공정실적집계 및 공정률 산출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Integrated prog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method for EPC Project}
본 발명은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성 향상 및 업무신뢰도 향상은 물론 EPC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EPC(Engineering, Procurement & Construction) 사업은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 인도까지 일괄 공급하는 건설 프로젝트(Project)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사업을 말한다.
최근에는 발주공사의 대형화, 전문화, 복잡화에 따른 글로벌 건설 환경 다변화로 인하여 기존 현장관리 방식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또한 PQ 및 입찰 시 발주자에게 공정관리를 위한 공정률산출시스템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한 요구에도 불구하고 공정관리를 위한 체계 및 시스템 및 이의 관리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프라인(Off-line)방식의 공정률 취합/산정으로 업무 생산성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 부재에 의한 공정률 산출/관리로 데이터(Data) 신뢰도 및 객관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77065호
본 발명은, 공정률 산출기준을 표준화하고 이를 통해 공정률산출 및 실적관리를 자동화함으로써, 관리 체계 및 관리 시스템을 정립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업무신뢰도 향상은 물론, 공정률산출 및 실적관리 체계를 정립화하여 EPC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EPC(설계(Engineering), 구매(Procurement) 및 시공/시운전(Construction/Commissioning)) 프로젝트의 설계 관리, 구매 관리, 시공/시운전 관리를 위한 업무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리스트와, 상기 공종 분류 체계에 근거한 작업단위(Activity)들의 리스트들과, 상기 작업단위들의 플랜(Plan)들을 토대로 기본 계획(Baseline schedule)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본 계획에 준하여, 동일 패턴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작업단위들로 이루어진 워크 패키지(Work package)들로 그룹화하여, 상기 워크 패키지별 공정진행에 따른 해당 작업단위들의 공정률을 산출하는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Setup)하는 단계;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이 셋업되면 각 작업자의 계정을 생성하고, 각 작업자에게 상기 워크 패키지를 할당하는 단계; 해당하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과 연계된 입력열람모듈을 통하여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공사진행 정보를 통하여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에서 공정률 및 실적을 산출 및 열람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공정률 및 실적을 토대로 공구별 실적을 검토 및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오프라인(Off-line)방식에서 온라인(On-line)방식으로, 개별작업에서 협업 중심 업무체계로 전환하여, 시스템 중심의 업무자동화를 통하여 공정실적집계 및 공정률 산출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둘째, 업무 프로세스(Process)를 확립하여, 명확한 현장 공정관리 R&R(Role & Responsibility) 정립으로 관련 부서간 효율적인 협업을 구현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의 공정률 취합/산정의 비효율성 해소에 따른 현장업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넷째, 정성적 관리에서 정량적 관리로, 결과중심 관리에서 과정중심 관리로 전환하여, 투명성을 확보함은 물론 워크 패키지별 세분화된 공정률 산정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
다섯째, 실적기반(설계: 설계도서(Document), 구매: MR(Meterial Requisiom), 시공/시운전: 작업단위(Activity))의 공정률 산출 및 관리를 통하여 객관성 실적자료 구축 및 공유를 할 수 있고, 이의 확보를 통하여 정량적 관리 체계 구축은 물론 이를 통해 발주처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관기성 근거자료도 확보할 수 있다.
여섯째, 공사자료 본사/현장 공유로 W&W(Watching & Warning) 기능 강화 및 경험 지식(Lessons learned) DB 확보할 수 있으며, 유사 프로젝트 진행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2는 도 1의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을 위한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의 관리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에서 EPC 프로젝트에서 레벨분류의 구조 및 워크 패키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 메뉴에서 레벨분류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에서 시공/시운전분야 작업단위에 대한 공정률을 산출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시공/시운전분야 공정률 산출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5의 시공/시운전분야 외 설계분야와 구매분야의 공정률 산출방식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에서 설계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설계에 대한 업무프로세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 12는 도 1의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에서 구매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13은 도 1의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에서 시공/시운전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은,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을 이용하여 공정률 및 실적을 통합관리 하는 방법으로서, 기본 계획(Baseline schedule)을 설정하는 단계(S10)와,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Setup)하는 단계(S20)와, 각 작업자에게 상기 워크 패키지를 할당하는 단계(S30)와,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40)와, 공정률 및 실적을 산출 및 열람하는 단계(S50)와, 공구별 실적을 검토 및 승인하는 단계(S60)와, 실적 열람조회 및 리포트를 제공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한 공정률 및 실적 통합 관리 방법을 살펴봄에 앞서, 상기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은,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과, 입력열람모듈(200)과, 출력모듈(300)을 포함한다.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은, EPC(설계(Engineering), 구매(Procurement) 및 시공/시운전(Construction/Commissioning)) 프로젝트의 설계 관리, 구매 관리, 시공/시운전 관리를 위한 업무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에 근거한 작업단위(Activity)들을, 동일 패턴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복수 개의작업단위들로 이루어진 워크 패키지(Work package)들로 그룹화하여, 상기 각 워크 패키지별 공정진행에 따른 해당 작업단위의 공정률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프로젝트 공정관리 업무는 일정관리와 진도관리로 크게 나눌 수 있는데, 이러한 일정 및 진도관리는 업무분류체계(WBS) 체계에 따른다. 도 3을 참조하면, 업무분류체계는 크게 프로젝트 고유 속성을 지닌 관리 WBS(PCWBS)와, 프로젝트에 공통 적용되는 기능 WBS(FWBS)과, 프로젝트 WBS로 구분되는데, 이하에서는 공통으로 적용되는 FWBS로 하여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의 레벨분류체계 및 워크 패키지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은, 제1레벨인 페이즈(Phase), 제2레벨인 공종(Discipline), 제3레벨인 워크 패키지(Work package)와, 제4레벨의 작업단위(Activity)의 4단계로 표준화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은 페이즈(Phase)별 EPC프로젝트의 설계 관리, 구매 관리, 시공/시운전 관리로 분류하고, 각 페이즈는 토목, 건축, 기계, 전기, 배관, 계측 등 다양한 공종에 따라 분류되어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각 공종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작업단위들이 그룹화 된 워크 패키지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도 5의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의 시스템 메뉴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종의 제2레벨은 배관(PI; piping), 토목(CV; civil), 전기(EL; electro) 등으로 나누어지고, 이에 각 공종별 동일 또는 유사한 세부단계를 가진 작업단위들이 그룹화된 워크 패키지가 제3레벨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령, 도면에서 제2레벨의 토목(CV)은 복수개의 유사한 세부단계를 갖는 워크 패키지(CV085, CCV075..등)들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상기 워크 패키지에 그룹화된 작업단위들은 같은 유형으로 동일한 세부단계(Step)를 이용하며, 상기 워크 패키지는 같은 종류의 성과물 또는 필요관리 유형에 따라 나눈다.
여기서, 하나의 상기 워크 패키지에 포함된 제3레벨의 작업단위들은, 상기 각 작업단위의 세부단계에 따른 공정률의 산출 패턴이 동일하지만, 제1레벨에 따른 공정률의 산출 패턴은 각각의 특성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우선 제1레벨의 설계분야의 경우 WBS구성은 제2레벨의 공종과 제3레벨의 워크 패키지로 이루어지고, 설계 도서(Deliverable)를 진도 관리 대상으로 하여 맨아워(Man-hour)를 가중치 기준으로 삼는다. 또한, 구매 분야의 경우 WBS구성은 제2레벨의 공종과 제3레벨의 워크 패키지로 이루어지고, 자재(MR별)를 진도 관리 대상으로 하여 비용(Cost)을 가중치 기준으로 삼는다. 또한, 시공/시운전분야의 경우 WBS구성은 제2레벨의 공종과 제3레벨의 워크 패키지와 함께 시공/시운전영역(Area)으로 이루어지고, 작업단위(Activity)를 진도관리 대상으로 하며, 맨아워를 가중치 기준으로 한다. 또한, 시운전 분야의 경우 WBS구성은 제2레벨의 공종과 제3레벨의 워크 패키지와 시운전용 장치 및 시스템(System)으로 이루어지고, 테스크(Task)를 진도관리 대상으로 하며, 맨아워를 가중치 기준으로 삼는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은 상기 워크 패키지를 상기한 바와 같이 같은 종류의 성과물 또는 필요관리 유형에 따라 나눈 만큼, 성과 평가를 위한 세부단계 또한 동일/유사하다 할 수 있어, 이에 관리자의 공정률 및 실적 관리 및 파악이 용이하다.
상기 작업단위들은, 설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 구매에 관련된 작업단위들 및 시공/시운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로 분류되며, 하나의 상기 워크 패키지에 포함된 작업단위들은, 상기 설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만 포함되거나, 상기 구매에 관련된 작업단위들만 포함되거나, 상기 시공/시운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만 포함된다.
또한, 상기 설계, 상기 구매 및 상기 시공/시운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은 각각 작업 형태에 따라 하위 분류(공종)들로 분류되는데, 하나의 상기 워크 패키지에 포함된 작업단위들은, 상기 하위 분류들 중 특정 하위 분류에만 포함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은, 설계 관리모듈(110)과, 구매 관리모듈(120)과, 시공/시운전 관리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설계 관리모듈(110)은, 설계 공정률을 산출 관리하는 것으로 해당 작업단위의 설계도서단위를 기준으로 워크 패키지별로 공정률을 산정한다. 여기서, 상기 설계 공정률 산출을 위한 상기 설계 성과물은, MDR(Master Drawing Registe), EDDR(Engineering Document & Drawing Register) 등 설계관리 상 성과물로 취급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한다.
상기 구매 관리모듈(120)은, 구매 서비스 관리 및 제작관리를 포함하여 구매 공정률을 산출 관리하는 것으로 해당 작업단위의 구매 발주단위(MR) 및 자재물량 산출(MTO; Material Take Off)단위 별로 공정률을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구매 공정률 산출을 위한 구매 성과물은, PSSR(Procurement Service Status Report) 생성/관리, MDSR(Manufacturing Delivery Status Report) 생성/관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시공/시운전 관리모듈(130)은, 시공/시운전 및 협력업체 선정관련 공정률을 산출 관리하는 것으로, 해당 작업단위의 계약단위별 또는 대표물량단위를 기반으로 하는 워크 패키지별로 공정률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시공/시운전 공정율 산출을 위한 성과물은 SSR(Subcontracting Service Register) 생성/관리, 시공/시운전현황 보고서(CQCR; Construction Quantity Control Register) 생성/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열람모듈(200)은,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과 연계되어 작업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작업단위에 대응하는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에서 산출된 공정률 및 실적을 실시간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해당 작업단위의 공정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해당 작업단위의 공정률은, 상기 작업단위의 각 세부단계(Step)에 대한 계획량(계획물량)에 대한 실적량(실적물량)의 비율에 대하여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되는 세부단계 공정률의 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공정률을 하기의 식에 따른다.
공정률 = (실적량 / 계획량) * 가중치
여기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해당 작업단위들로 이루어진 워크 패키지에서 상기 각 세부단계별 가중치의 합을 100%로 하여, 물량 또는 계약 성과물의 크기에 따라 각 세부단계별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공정률은 계산 중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제3레벨에서 각 작업단위별로 가중치를 100%으로 하고, 마찬가지로 제2레벨과 제3레벨에서도 100%로 한 뒤, 이를 전 단계에서 환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설계, 구매, 시공/시운전 각 레벨에서 가중치의 총합이 100%가 되도록 나누고, 각각은 해당하는 모든 작업단위의 가중치의 총합이 100%가 되게 하고, 이러한 가중치에 맞게 각 설계, 구매, 시공/시운전의 결과에 보할을 적용하여 EPC 통합공정률을 산출 및 이의 보고서를 생성한다.
도 6은 상기한 공정률의 산출에 대한 예시로서 시공/시운전 분야에서의 해당 작업단위의 각 세부단계에 대한 공정률의 산출과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은 이의 시스템 적용 시 관리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시공/시운전 분야의 경우 작업단위 별로 각 세부단계(Step)별 작업자가 날짜를 입력(공정진행정보 입력)하여 각 세부단계에 대한 공정률이 산출되고, 이어 해당하는 작업단위에 대한 공정률이 산출되어 진도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설계분야와, 구매분야의 공정률 산출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먼저 도 8의 설계분야의 경우 설계도서별로 각 세부단계별 작업자가 날짜를 입력하면, 이에 따른 세부단계별 공정률 및 이에 해당하는 작업단위에 대한 공정률이 산출되어 진도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9의 구매분야의 경우에는 MR별로 각 세부단계별 작업자가 날짜를 입력하면 이에 따른 세부단계별 공정률 및 이에 해당하는 작업단위에 대한 공정률이 산출되어 진도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은 시스템기반의 공통 산출기준으로 공정률을 산출 및 관리하여 상기 공정률 산출방식 및 기준을 정립함으로써, 현장별 상이한 공정률 산출에 따른 데이터 신뢰도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모듈(300)은, 입력된 상기 공정진행 정보에 의하여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100)을 통하여 공정률산출 및 실적관리가 되면, 산출된 상기 공정률 및 실적에 대한 리포트를 자동 생성 및 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출력모듈(300)은, 공정률을 분석하여 각 공구별 공정률을 분석하여 설정기간에 따른 전주누계, 금주누계 등을 출력하며, 제1레벨별로 리포트를 자동생성 및 제공한다.
상세하게, 상기 출력모듈(300)은, 설계분야에 대하여 MDR (Master Drawing Register), 지연리스트(Delay Activity List, Engineering Behind List), DIS(Drawing Issue Status), 진행보고서(Engineering Progress Summary)를 포함하는 설계 산출물을 제공하고, 구매분야는 PSSR(Procurement Service Status Report), MDSR(Manufacturing Delivery Status Report), 지연리스트 (Delay Status Report), MPSR(Master Procurement Status Report), 구매진행보고서(Procurement Progress Summary), SMPS(Summary of Master Procurement Status Report)를 포함하는 구매 산출물을 제공하고, 시공/시운전 분야는 CQCR(Construction Quantity Control Register), 물량보고서(Quantity Summary), 지연리스트, 진행보고서, 생산성분석 보고서(Productivity Summary), SSR(Subcontracting Service Register), 협력업체 선정 지연 리스트, MSSR(Master subcontracting status Report), SPS(Subcontracting progress summary)를 포함하는 시공/시운전 산출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은 공정률 산출기준을 표준화하고, 공정률 산출업무를 자동화함으로써 지연 작업단위 분석 및 추적관리 등의 수행은 물론 이를 통해 지연공정에 대한 원인분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유사 프로젝트 진행 시 참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현장업무의 스피드업(Speed up)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은 시스템 기반의 공정률 산출 및 관리를 수행하기 때문에 발주처 신뢰성 및 관기성 업무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명확한 R&R 정립으로 현장 공정률관리 및 업무를 개선할 수 있으며, 초기 공정계획 수립 기간단축 및 인원투입 최적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본사와 현장 실시간 공정현황 모니터링 기능을 구현할 수 있어 실시간 현장 W&W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이에, 상기한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을 이용한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기본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S10)는, EPC(설계(Engineering), 구매(Procurement) 및 시공/시운전(Construction)) 프로젝트의 설계 관리, 구매 관리, 시공/시운전 관리를 위한 업무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리스트와, 상기 업무분류 체계에 근거한 작업단위(Activity)들의 리스트들과, 상기 작업단위들의 플랜(Plan)들을 토대로 기본 계획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하는 단계(S20)는, 상기 기본 계획에 준하여, 동일 패턴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작업단위들로 이루어진 워크 패키지(Work package)들로 그룹화하여, 상기 워크 패키지별 공정진행에 따른 해당 작업단위의 공정률을 산출하는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하는 단계이다.
상기 각 작업자에게 상기 워크 패키지를 할당하는 단계(S30)는,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이 셋업되면 각 작업자의 계정을 생성하고, 그런 다음 각 작업자에게 상기 워크 패키지를 할당하는 단계이다.
상기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40)는, 상기한 계정이 생성되고 워크 패키지가 할당된 해당하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과 연계된 입력열람모듈을 통하여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상기 공정률 및 실적을 산출 및 열람하는 단계(S50)는, 입력된 상기 공사진행 정보를 통하여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에서 공정률 및 실적을 산출 및 열람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공정률 및 실적이 산출되면, 산출된 상기 공정률 및 실적을 토대로 공구별 실적을 검토 및 승인하는 단계(S60)를 거친다.
이후, 상기한 공구별 실적의 검토 및 승인이 완료되면 출력모듈을 통하여 공구별 실적 열람조회 및 리포트를 제공하는 단계(S70)를 거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을 토대로 한 설계, 구매, 시공/시운전관리 각각에 대한 세부 업무 프로세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0은 설계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공정책임자는 기본 계획을 설정한 후, WBS리스트와, 작업단위리스트와, 코드 셋업 등을 통하여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Set-up)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이 셋업되면, 해당 설계 업무 작업자는 실적에 해당하는 공정진행정보를 입력하고, 주간실적 승인을 요청한다.
그러면, 설계분야 책임자가 주간실적을 취합하여 이를 검토 및 승인과정을 거치고 이에 주간 실적 확정을 요청한다.
이후, 공정책임자는 공구별 주간실적을 취합하여 주간실적검토 및 이를 확정하고 주간실적 리포트를 생성하는데, 생성된 주간실적 리포트는 설계 업무 담당 작업자, 설계분야 책임자, 현장소장/공무책임자가 조회할 수 있으며, 발주처조회도 가능하게 된다.
도 11은 상기한 도 10의 업무 프로세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WBS 리스트와, 작업단위 리스트와, 작업단위 플랜들을 토대로 하여 기본 계획을 설정하고, 상기한 기본 계획이 확정되면,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Set-up)한다. 이때,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 모듈은 스탠다드 코드(Standard code)를 확인하고, 작업단위 코드(Activity code)를 정의한다.
상기에서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이 셋업되면 각 작업자(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하고, 각 작업자에게 상기 워크 패키지를 할당한다. 이 과정에서 설계입력담당자와 설계분야별 책임자를 선정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각 작업자에게 계정이 생성되고 워크 패키지가 할당되면, 작업자는 설정 기간별 또는 실적 별로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과 연계된 입력열람모듈을 통하여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공정진행 정보는 도면에서 주간 실적 일정을 예로 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설정기간은 주간단위가 아닌 선택적으로 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실적은 작업형태에 따라 설계도면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작업자의 공정진행 정보가 입력되면 공구별 주간실적을 검토하고 이를 승인(Close)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공구별 주간실적 검토 후 승인이 되지 않으면 상기한 공정진행 정보 입력단계로 다시 되돌아가지만, 이를 통과하면 공구별 주간실적 검토 및 승인이 완료되어 전 공구 주간실적 검토 및 승인과정을 거치고 이를 통과 못하면 공구별 주간실적 검토 및 승인단계로 되돌아가며, 통과하게 되면 전 공구 주간실적 승인이 완료된다.
상기한 전 공구 주간실적이 승인되면, 이에 따른 주간실적 보고서를 생성 및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현 된 부분은 오프라인(Off-line)상에서 실시되는 것을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현 된 부분은 온라인(On-line)상에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한 바에 따르면, 설계입력 담당자는 해당되는 워크 패키지에 해당하는 작업단위에 대한 실적 물량 입력/수정 권한과, 업데이트(Update) 완료 권한(Week close전까지 수정)이 주어지고, 설계분야별 책임자는 담당 공구별 실적 취합 검토/수정권한과, 주간 마감/캔슬(Week close전까지 Week close/cancel)권한이 주어진다. 나아가, 공정책임자는 전체 공구 취합 검토/수정 및 승인/캔슬(Week confirm/cancel)권한과 일반수정/리비젼(Revision)권한이 주어진다.
즉, 상기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은 전체적으로 설계입력 담당자가 해당주차의 작업단위실적을 입력하여 주간 공정율 기초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설계분야별 책임자에게 발송하면, 설계분야별 책임자는 담당자들의 주간 실적을 마감하고, 입력된 실적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공정책임자는 모든 공구 주간실적을 확정하는데 마감한 실적을 수정하거나 반려하여 전체 실적에 반영하고, 실적 리포트를 완성하여 공정실적을 완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도 12는 구매분야 전체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WBS 리스트와, 작업단위 리스트와, 작업단위 플랜들을 토대로 하여 기본 계획을 설정하고, 상기한 기본 계획이 확정되면,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Set-up)한다. 이때,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 모듈은 스탠다드 코드(Standard code)를 확인하고, 작업단위 코드(Activity code)를 정의한다.
상기에서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이 셋업되면 각 작업자(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하고, 각 작업자에게 상기 워크 패키지를 할당한다. 이 과정에서 구매입력담당자와 구매분야별 책임자를 선정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각 작업자에게 계정이 생성되고 워크 패키지가 할당되면, 작업자는 설정 기간별 또는 실적 별로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과 연계된 입력열람모듈을 통하여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공정진행 정보는 도면에서 주간 실적 물량을 예로 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설정기간은 주간단위가 아닌 선택적으로 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실적은 작업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작업자의 공정진행 정보가 입력되면 공구별 주간실적을 검토하고 이를 승인(Close)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공구별 주간실적 검토 후 승인이 되지 않으면 상기한 공정진행 정보 입력단계로 다시 되돌아가지만, 이를 통과하면 공구별 주간실적 검토 및 승인이 완료되어 전 공구 주간실적 검토 및 승인과정을 거치고 이를 통과 못하면 공구별 주간실적 검토 및 승인단계로 되돌아가며, 통과하게 되면 전 공구 주간실적 승인이 완료된다.
상기한 전 공구 주간실적이 승인되면, 이에 따른 주간실적 보고서를 생성 및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현 된 부분은 오프라인(Off-line)상에서 실시되는 것을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현 된 부분은 온라인(On-line)상에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한 바에 따르면, 구매입력 담당자는 해당되는 워크 패키지에 해당하는 작업단위에 대한 실적 물량 입력/수정 권한과, 업데이트(Update) 완료 권한(Week close전까지 수정)이 주어지고, 구매분야별 책임자는 담당 공구별 실적 취합 검토/수정권한과, 주간 마감/캔슬(Week close전까지 Week close/cancel)권한이 주어진다. 나아가, 공정책임자는 전체 공구 취합 검토/수정 및 승인/캔슬(Week confirm/cancel)권한과 일반수정/리비젼(Revision)권한이 주어진다.
즉, 상기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은 전체적으로 구매입력 담당자가 해당주차의 작업단위실적을 입력하여 주간 공정율 기초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구매분야별 책임자에게 발송하면, 구매분야별 책임자는 담당자들의 주간 실적을 마감하고, 입력된 실적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공정책임자는 모든 공구 주간실적을 확정하는데 마감한 실적을 수정하거나 반려하여 전체 실적에 반영하고, 실적 리포트를 완성하여 공정실적을 완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도 13은 시공/시운전에 대한 업무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시공/시운전 프로젝트에 따른 기본 계획을 설정한다.
상기한 기본 계획의 설정은, EPC 프로젝트의 설계 관리, 구매 관리, 시공/시운전 관리를 위한 상기 작업단위 분류 체계 리스트와, 상기 작업단위 분류 체계에 근거한 작업단위들의 리스트들과, 상기 작업단위들의 플랜(Plan)들을 토대로 하여 설정 및 확정한다.
상기한 기본 계획이 확정되면,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Set-up)하고, 이때 스탠다드 코드(Standard code)를 확인하고, 작업단위 코드(Activity code)를 정의한다.
상기에서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이 셋업되면 각 작업자(사용자)의 계정을 생성하고, 각 작업자에게 상기 워크 패키지를 할당한다. 이 과정에서 공구 시공담당자와 공구책임자를 선정한다.
상기한 바에 따라, 각 작업자에게 계정이 생성되고 워크 패키지가 할당되면, 작업자는 설정 기간별 또는 실적 별로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과 연계된 입력열람모듈을 통하여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공정진행 정보는 도면에서 주간 실적 일정을 예로 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설정기간은 주간단위가 아닌 선택적으로 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실적은 작업형태에 따라 설계도면 시공/시운전실적 등 작업단위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작업자의 공정진행 정보가 입력되면 공구별 주간실적을 검토하고 이를 승인(Close)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때, 공구별 주간실적 검토 후 승인이 되지 않으면 상기한 공정진행 정보 입력단계로 다시 되돌아가지만, 이를 통과하면 공구별 주간실적 검토 및 승인이 완료되어 전 공구 주간실적 검토 및 승인과정을 거치고 이를 통과 못하면 공구별 주간실적 검토 및 승인단계로 되돌아가며, 통과하게 되면 전 공구 주간실적 승인이 완료된다.
상기한 전 공구 주간실적이 승인되면, 이에 따른 주간실적 보고서를 생성 및 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현 된 부분은 오프라인(Off-line)상에서 실시되는 것을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현 된 부분은 온라인(On-line)상에서 이루어지는 부분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한 바에 따르면, 시공/시운전담당자는 해당되는 워크 패키지에 해당하는 작업단위에 대한 실적 물량 입력/수정 권한과, 업데이트(Update) 완료 권한(Week close전까지 수정)이 주어지고, 공구책임자는 담당 공구별 실적 취합 검토/수정권한과, 주간 마감/캔슬(Week close전까지 Week close/cancel)권한이 주어진다. 나아가, 공정책임자는 전체 공구 취합 검토/수정 및 승인/캔슬(Week confirm/cancel)권한과 일반수정/리비젼(Revision)권한이 주어진다.
즉, 상기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은 전체적으로 시공/시운전담당자가 해당주차의 작업단위실적을 입력하여 주간 공정율 기초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공구책임자에게 발송하면, 공구책임자는 담당자들의 주간 실적을 마감하고, 입력된 실적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공정책임자는 모든 공구 주간실적을 확정하는데 마감한 실적을 수정하거나 반려하여 전체 실적에 반영하고, 실적 리포트를 완성하여 공정실적을 완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설계(MDR), 구매(구매 서비스(PSSR), 구매 제조(MDSR)), 시공/시운전(시공 (CQCR), 시운전, 시공 협력업체 선정(SSR))이 상기한 바와 같은 업무프로세스를 갖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 필요한 기능만 골라서 사용하거나 전체를 다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은,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400)을 기반으로 한 업무 자동화를 통하여 공정실적 집계 및 공정률 산출 자동화를 구현하고, 명확한 현장 공정관리와 P&R정립으로 관련 부서간 효율적 협업을 구현할 수 있는 업무 프로세스를 확립할 수 있으며, 워크 패키지별 세분화된 공정률 산출체계를 구축하여 과정중심관리, 투명성 확보는 물론 실적물량기반의 공정률 산출/관리로 객관성을 확보하여 정량적관리 및 발주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공정률 실적관리모듈 110... 설계 관리모듈
120... 구매 관리모듈 130... 시공/시운전 관리모듈
200... 입력열람모듈 300... 출력모듈
400...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

Claims (12)

  1. EPC(설계(Engineering), 구매(Procurement) 및 시공/시운전(Construction/Commissioning)) 프로젝트의 설계 관리, 구매 관리, 시공/시운전 관리를 위한 업무분류체계(WBS: Work Breakdown Structure) 리스트와, 상기 업무분류체계에 근거한 작업단위(Activity)들의 리스트들과, 상기 작업단위들의 플랜(Plan)들을 토대로 기본 계획(Baseline schedule)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기본 계획에 준하여, 동일 패턴으로 이루어진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작업단위들로 이루어진 워크 패키지(Work package)들로 그룹화하여, 상기 워크 패키지별 공정진행에 따른 해당 작업단위의 공정률을 산출하는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을 셋업(Setup)하는 단계;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이 셋업되면 각 작업자의 계정을 생성하고, 각 작업자에게 상기 워크 패키지를 할당하는 단계;
    해당하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과 연계된 입력열람모듈을 통하여 공정진행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입력된 상기 공사진행 정보를 통하여 상기 공정률 및 실적 관리모듈에서 공정률 및 실적을 산출 및 열람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공정률 및 실적을 토대로 공구별 실적을 검토 및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정률 실적관리모듈은,
    설계 공정률을 산출 관리하는 설계 관리모듈과, 구매 공정률을 산출 관리하는 구매 관리모듈과, 시공/시운전 공정률을 산출 관리하는 시공/시운전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계 관리모듈은, 해당 작업단위의 설계도서에 따른 워크패키지별로 공정률을 산출하고,
    상기 구매 관리모듈은, 해당 작업단위의 구매 발주단위 및 자재물량 산출단위별로 공정률을 산출하고,
    상기 시공/시운전 관리모듈은, 계약단위별 또는 물량단위별로 공정률을 산출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해당 작업단위의 공정률은,
    상기 작업단위의 각 세부단계(Step)에 대한 계획량에 대한 실적량의 비율에 대하여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되는 세부단계 공정률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상기 해당 작업단위들로 이루어진 워크 패키지에서 상기 각 세부단계별 가중치의 합을 100%로 하여, 물량 또는 계약 성과물의 크기에 따라 각 세부단계별 가중치를 설정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구별 실적의 검토 및 승인이 완료되면 출력모듈을 통하여 공구별 실적 열람조회 및 리포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시공/시운전 관리에 대하여, 공정률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진행보고서(Progress summary)와,
    리소스(Resource)별 투입현황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수량보고서(Quantity summary)와,
    상기 작업단위의 지연현황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지연리스트(Delay activity list)를 포함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설계 관리에 대하여, 공정률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설계진행보고서(Engineering Progress Summary)와,
    MDR (Master Drawing Register, 마스터 도면 레지스터)과,
    지연현황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지연리스트와,
    DIS(Drawing Issue Status, 도면 이슈 상태)를 포함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출력모듈은,
    상기 구매 관리에 대하여, 공정률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구매진행보고서(Procurement Progress Summary)와,
    PSSR(Procurement Service Status Report, 구매 서비스 상태 리포트)와,
    MDSR(Manufacturing Delivery Status Report, 제조 배송 상태 리포트)와,
    지연현황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지연리스트와,
    MPSR(Master Procurement Status Report, 마스터 구매 상태 리포트)를 포함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워크 패키지에 포함된 작업단위들은, 상기 각 작업단위의 세부단계(Step)에 따른 공정률의 산출 패턴이 동일한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업단위들은, 설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 구매 및 시공/시운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로 분류되며,
    하나의 상기 워크 패키지에 포함된 작업단위들은, 상기 설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만 포함되거나, 상기 구매에 관련된 작업단위들만 포함되거나, 상기 시공/시운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만 포함되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설계, 상기 구매 및 상기 시공/시운전에 관련된 작업단위들은 각각 작업 형태에 따라 하위 분류들로 분류되며,
    하나의 상기 워크 패키지에 포함된 작업단위들은, 상기 하위 분류들 중 특정 하위 분류에만 포함되어 있는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KR1020140194783A 2014-12-31 2014-12-31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KR20160081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783A KR20160081247A (ko) 2014-12-31 2014-12-31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783A KR20160081247A (ko) 2014-12-31 2014-12-31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247A true KR20160081247A (ko) 2016-07-08

Family

ID=5650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783A KR20160081247A (ko) 2014-12-31 2014-12-31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12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1592A1 (en) * 2018-12-19 2020-06-24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Progress rate roll-up system from lower level to upper level for engineering control system of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KR20200076554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발전플랜트 건설사업의 설계관리를 위해 하위 레벨에서 상위 레벨로 공정률 롤업을 위한 공정률 롤업 시스템
KR20200126079A (ko) * 2019-04-29 2020-11-06 (주)알피네트웍스 열처리 설비용 사용자 맞춤형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065A (ko) 2012-12-13 2014-06-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065A (ko) 2012-12-13 2014-06-2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Epc 사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관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1592A1 (en) * 2018-12-19 2020-06-24 Kepc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mpany, Inc. Progress rate roll-up system from lower level to upper level for engineering control system of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KR20200076554A (ko) * 2018-12-19 2020-06-29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발전플랜트 건설사업의 설계관리를 위해 하위 레벨에서 상위 레벨로 공정률 롤업을 위한 공정률 롤업 시스템
KR20200126079A (ko) * 2019-04-29 2020-11-06 (주)알피네트웍스 열처리 설비용 사용자 맞춤형 생산관리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rhan et al. Lean construction implementation in the Saudi Arabian construction industry
Ballard et al. Production system design in construction
Teixeira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a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ractical case in a consulting company
US20050171790A1 (e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50066592A1 (en) Methods of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 management systems
Shan et al.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programs in improving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on large industrial projects
Castillo et al. Implementing lean production in copper mining development projects: Case study
Ballard et al. Production system design: Work structuring revisited
Porwal et al. The integ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system dynamic modeling to minimize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from change orders
KR102342027B1 (ko)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 자동 스케줄링 시스템
Rossiti et al. Impacts of lean office applications in the supply sector of a construction company
Heilala et al. Decision support using simulation for customer-driven manufacturing system design and operations planning
KR20160081247A (ko) Epc 통합공정률 산출 및 관리 방법
Grijota et al. Product development methodology" scalability"
de Oliveira Miranda et al. Potencial uso do BIM na fiscalização de obras públicas
Gutfeld et al. A technical concept for plant engineering by simulation-based and logistic-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KR20160081246A (ko) Epc 공정률 산출 및 관리 시스템
US20180268336A1 (en) Generating Construction Metrics Using Probabilistic Methods
Peirleitner et al. Simulation based manufacturing system improvement focusing on capacity and mrp decisions—A practical case from mechanical engineering
Sajadi et al. Optimal production rate in production planning problem with simulation optimisation approach by simulated annealing
Kang et al. Discrete event simulation to reduce the effect of uncertainties on project planning
Myrodia et al. Product configuration system and its impact on product's life cycle complexity
Rambabu et al. Gap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process involved in product design and development by integrating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KR20080004247A (ko) 선박의 중장기 생산계획 수립 시스템 구축 방법
Entringer et al. A reference model in BPMN for conceptual modelling of master planning sche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