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360B1 - 송전케이블용 행거 - Google Patents

송전케이블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360B1
KR102289360B1 KR1020180157187A KR20180157187A KR102289360B1 KR 102289360 B1 KR102289360 B1 KR 102289360B1 KR 1020180157187 A KR1020180157187 A KR 1020180157187A KR 20180157187 A KR20180157187 A KR 20180157187A KR 102289360 B1 KR102289360 B1 KR 10228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able
power transmission
hanger
display uni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9760A (ko
Inventor
이진희
서동범
조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5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3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9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9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송전케이블용 행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전케이블용 행거는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안착부(50)가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는 송전케이블용 행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전케이블용 행거{Hanger for current cable}
본 발명은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케이블의 열신축에 따른 스네이크 포설 상태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케이블을 지중에 포설하는 경우에 지하에 터널 형태의 전력구를 형성하고, 상기 전력구 내로 상기 송전케이블을 인입 및 이동시키게 된다.
종래의 송전케이블을 지중에 포설하는 상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송전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 지상의 대형 허브에 권취된 송전케이블(13)이 포설비계에 의해 전력구 내로 공급되고, 상기 전력구 내의 송전케이블(13)은 고정 설치된 다수의 캐터필러(14)에 의해 인출되면서 안내롤러(15)를 따라 이송되었다.
상기 송전케이블(13)이 안내롤러(15)에 안착되면서 고정된 캐터필러(14)에 장착되고, 다수의 캐터필러(14)의 견인에 의해 상기 송전케이블(13)이 안내롤러(14)를 따라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된 송전케이블(13)은 전력구 벽에 설치된 행거(16)에 포설되었다.
상기 송전케이블(13)은 전력구내에 포설할 경우 열신축에 따른 길이 방향 이동에 따른 변위를 자체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스네이크 포설을 실시한다.
스네이크 포설은 상기 행거(16)가 특정 간격이 유지되면서 벽을 따라 설치되는데, 일 예로 상기 행거(16)는 1.5미터 간격으로 4개가 설치된 길이를 1피치(pitch)로 정의 한다. 그리고 상기 송전케이블(13)은 상기 1피치의 구간에서 각각의 행거를 따라 설치된다.
송전케이블(13)은 정상적으로 설치될 경우 정해진 이동폭의 범위 이내에서 신축에 따른 변화가 유지된다.
만약 상기 송전케이블(13)이 부하량이 증가하여 자체 열신축이 과도하게 발생될 경우에는 정해진 이동폭을 초과하여 이동되었다.
또한 상기 송전케이블(13)은 부하량이 감소될 경우 정해진 위치 보다 적은 폭으로 이동되는데, 스네이크 포설 기준에 따라 상이하나 작업자가 스네이크 포설시 또는 포설 이후에 상기 송전케이블(13)의 정상 범위 이내에서 열신축이 이루어지는지 점검 하기 위해서는 매 피치마다 일일이 육안으로 점검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일 예로 상기 송전케이블(13)이 1Km 전력구에 신설된 경우 작업자가 상기 송전케이블(13)의 포설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백 개의 행거를 확인해야 하므로 최초 송전케이블(13)이 설치된 위치에서 열신축에 따른 부하량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006-005281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송전케이블의 스네이크 포설에 따른 설치 중 또는 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부하량 또는 외기온도와 같은 변수에 따라 열신축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위치 이동 여부를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송전케이블용 행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는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 및 상기 제1 행거(1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5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측벽(3)에서 상기 스토퍼(220)로 갈수록 하면이 상측을 향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50)에는 상기 제2 행거(200)에 하면이 부분 삽입되는 홈부(52)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52)는 내측 면 중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상대면(52s1)은 면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마주보는 제2 상대면(52s2)과,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마주보는 제3 상대면(52s3)과는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부(52)에는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된 제1 돌기(52a);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을 향해 돌출된 제2 돌기(52b);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을 향해 돌출된 제3 돌기(52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돌기(52a, 52b, 52c)는 상기 안착부(50)와 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돌기(52a)는 상기 제2 내지 제3 돌기(52b, 52c) 보다 돌출 높이가 높게 돌출된다.
상기 홈부(52)에는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고,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 롤러(52d);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 롤러(52e);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3 롤러(52f)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22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 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위치되되,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안착부(50)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50)의 단부가 상기 제1 표시부(310)와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310, 320, 330)는 상기 표시부(300)의 전면에 기재된다.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과 상이한 색깔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에 자력으로 설치되도록 고무에 자성 입자가 함유된 고무 자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행거(20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측벽(3)과 근접하여 연장될 경우에는 제1 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통로를 향해 연장될 경우에는 제2 길이(L2)로 연장되되, 상기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길이(L1) 보다 길게 연장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는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 상기 제1 행거(1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 상기 제2 행거(200)의 하면에 위치된 표시부(300); 및 상기 안착부(5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안착부(50)가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질 때 위치에 따른 상기 송전케이블(2)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안착부(50)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부(300)를 바라보는 제1 센서(410); 상기 제1 센서(410)와 마주보며 상기 표시부(300)에 구비된 제2 센서(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복수개의 단위 표시영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단위 표시영역은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점등부(311)가 구비된다.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와 상이한 색깔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송전케이블용 행거를 이용한 스네이크 포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스네이크 포설된 송전케이블의 열신축에 따른 위치 이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최초 위치 대비 현재 이동된 위치를 정확하게 육안으로 인지하고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작업자가 송전케이블을 포설할 때 정상 위치에 정확히 포설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상기 송전케이블의 변형에 의한 고장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송전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안착된 압착부와 송전케이블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구비된 제2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서 제2 행거에 안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변형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구비된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구비된 송전케이블의 작동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서 제2 행거에 안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구비된 센서부와 표시부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 및 상기 제1 행거(1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를 포함하되, 상기 안착부(5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는 송전케이블(2)이 상기 제1,2 앵커(100, 200)를 따라 스네이크 포설이 이루어질 때 또는 이루어진 이후에 작업자가 육안으로 상기 송전케이블(2)의 설치 상태를 손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송전케이블(2)에서 열신축이 발생되는 경우 에도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에서 위치 이동된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 예는 제1 행거(100)와, 제2 행거(200)가 구비되고, 상기 제1,2 행거(100, 200)가 전력구의 통로를 따라 서로 교대로 설치된다.
제1,2 행거(100, 200)가 교대로 설치되는 이유는 송전케이블(2)에서 열신축이 발생될 경우 제1 행거(100)는 고정된 상태가 유지 되고, 제2 행거(200)에 위치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의해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 되도록 하여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의한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전력구의 통로는 짧게는 수 백 미터에서 길게는 수 킬로 미터에 이르는 상당히 길게 연장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3상으로 이루어진 케이블로 작동될 때 열신축이 발생된다.
상기 제1 행거(10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행거(200)의 안착부(50)에 위치된 송전케이블(2)만 열신축되는 정도에 따라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다.
일 예로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와,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행거(200)는 지지대(4)에 일단이 고정되므로 송전케이블(2)과 안착부(50)의 무게에 따른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하측으로 처짐이 최소화 된다.
상기 바디부(210)는 상기 측벽(3)에서 상기 스토퍼(220)로 갈수록 하면이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바디부(210)의 하면이 상측으로 경사지는 이유는 상기 지지대(4)가 고정점에 해당되므로 전술한 구성품의 하중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바디부(210)는 위에서 바라볼 때 소정의 폭을 갖는 아이형 행거가 사용되는데, 상기 송전케이블(2)과 안착부(50)의 무게에 의한 하중으로 인한 변형 발생이 최소화 되도록 폭(b)은 짧고, 높이(h)는 상기 폭(b)에 비해 길게 연장된다.
이 경우 상기 바디부(210)는 송전케이블(2)과 안착부(5)의 무게에 따른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자체적인 단면 2차 모멘트에 따른 휨에 대한 저항 성능과, 좌굴 또는 진동 특성에 따른 강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바디부(210)는 측벽(3)과 연결된 부분의 높이(h)가 폭(b)에 비해 길게 유지되므로 상기 위치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변형에 따른 파손 발생 확률이 감소된다.
상기 스토퍼(220)는 일 예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고무 또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전술한 재질로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스토퍼(220)는 후술할 안착부(50)가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통로를 향해 연장된 단부에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50)는 제2 행거(200)에서 스토퍼(220)가 위치된 곳 까지만 이동되고 더 이상 길이 방향에서의 이동이 차단되므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른 과도한 이동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5 또는 도7을 참조하면, 안착부(50)는 3상으로 이루어진 송전케이블(2)을 감싼 상태로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에 하면이 부분 삽입되는 홈부(5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0)는 하면의 폭이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 폭 보다 길게 연장되므로 상기 제2 행거(200)를 구성하는 바디부(210)의 전면(201) 또는 후면(202)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홈부(52)는 내측 면 중 바디부(21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상대면(52s1)은 면접촉된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마주보는 제2 상대면(52s2)과,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마주보는 제3 상대면(52s3)과는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안착부(50)가 제2 행거(200)의 상면에서 이동될 때 직접적인 면접촉이 유지되는 부분은 상기 홈부(52)의 하면과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에 해당되므로 이동에 따른 마찰 저항이 최소화 되면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른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상기 홈부(52)에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된 제1 돌기(5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을 향해 돌출된 제2 돌기(52b)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을 향해 돌출된 제3 돌기(52c)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는 안착부(50)가 전술한 면 접촉에 따른 이동이 아닌 점 접촉 방식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진다. 점 접촉 방식은 접촉면의 면적이 최소화 되고, 면적 감소에 따른 마찰 저항도 최소화되므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른 작동 효율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돌기(52a, 52b, 52c)는 상기 안착부(50)와 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는데, 상기 안착부(50)의 안정적인 작동을 위해 전술한 위치에서 각각 점 접촉이 유지되므로 안착부(50)가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이동될 때 일측 방향으로 편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되므로 이동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돌기(52a)는 상기 제2 내지 제3 돌기(52b, 52c) 보다 돌출 높이가 높게 돌출되는데, 상기 안착부(50)의 무게와 송전케이블(2)의 무게에 의한 하중을 고려하여 높게 돌출된다.
상기 제2 내지 제3 돌기(52b, 52c)는 제1 돌기(52a)와 다르게 하중을 직접적으로 받는 부분이 아닌 점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주로 발생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돌기(52a) 보다 돌출 높이가 상이하게 돌출된다.
첨부된 도 11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구름 접촉에 의해 안착부(50)가 바디부(210)의 상면에서 이동된다.
일 예로 상기 홈부(52)에는 상기 제2 행거(20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고,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1 롤러(52d)와, 상기 제2 행거(200)의 전면(201)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2 롤러(52e)와, 상기 제2 행거(200)의 후면(202)과 구름 접촉이 이루어지는 제3 롤러(52f)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롤러(52d, 52e, 52f)는 구름 접촉을 통해 마찰에 따른 저항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른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 되거나 주변 온도에 따라 변형이 발생될 경우 제1 행거(100)는 고정되므로 제2 행거(200)에서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 하기 때문이다.
첨부된 도 5 또는 도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와,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와,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에 자력으로 설치되도록 고무에 자성 입자가 함유된 고무 자석이 사용되므로,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손쉽게 부착이 가능해 진다.
상기 표시부(300)는 일 예로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210)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며 연장된다.
이 경우 표시부(300)는 자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바디부(210)에 설치가 가능해지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되고, 실수로 잘못 장착하는 경우에도 재 장착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이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위치되되,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안착부(50)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50)의 단부가 상기 제1 표시부(310)와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위치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정상적으로 안착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설치 이후에 열신축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에 송전케이블(2)이 위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예를 들어 송전케이블(2)이 1Km의 구간에 설치되고 열신축이 발생될 경우로 가정해 볼 때 작업자가 송전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상기 안착부(50)의 이동에 따른 단부 위치가 제1 표시부(310)의 정상 또는 초과 또는 미달 중 어느 위치에 위치 되었는 지만 파악하면 되므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현재 송전케이블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상 유무가 발생된 위치에서 대응 조치를 실시할 경우 적업 속도가 향상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표시부(310, 320, 330)는 상기 표시부(300)의 전면에 기재되는데,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일 예로 송전케이블(2)이 정상적으로 제2 행거(200)에 안착된 경우에 해당될 경우 정상으로 표기되고, 만약 안착부(50)가 이동하여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는 초과로 표기된다.
초과의 의미는 송전케이블(2)이 허용된 스네이크 폭을 초과하여 설치된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와 상이한 색깔로 표시되는데, 작업자가 육안으로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다른 색깔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면, 제1 표시부(310)에 기재된 초과는 송전케이블(2)에서 열신축이 발생될 경우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통로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를 표시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정상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미달로 표시되며, 상기 미달은 송전케이블(2)의 길이가 스네이크 포설되지 않고 직선에 가깝게 포설될 경우에 해당되므로 작업자는 제1 표시부(310)에 표시된 사항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현재 송전케이블(2)이 정상인지 초과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제2 표시부(320)는 일 예로 설치되는 송전케이블(2)의 kV에 따라 변경되나, 일 예로 345kV일 경우 1.5DS(송전케이블 시스의 평균 외경) ±0.1DS(오차)로 표시되고, 154kV일 경우 1.2DS(송전케이블 시스의 평균 외경) ±0.1DS(오차)로 표시되므로 작업자가 육안으로 어떤 송전케이블이 설치되었는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3 표시부(330)는 송전케이블(2)의 종류가 어떤 것인지와 용도가 함께 표시된다.
첨부된 도 14를 참조하면, 송전케이블(2)이 예를 들어 미달 상태로 설치되거나, 열신축이 발생될 경우 안착부(50)가 상기 송전케이블(2)에 의해 이동되어 제1 표시부(310)의 미달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육안으로 상기 안착부(50)의 단부가 미달 위치에 위치된 것을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송전케이블(2)의 포설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행거(200)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측벽(3)과 근접하여 연장될 경우에는 제1 길이(L1)로 연장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통로를 향해 연장될 경우에는 제2 길이(L2)로 연장되되, 상기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길이(L1) 보다 길게 연장된다.
즉 송전케이블(2)이 스네이크 포설될 경우 열신축에 따라 이동되는 범위와 경로를 고려하여 위와 같이 연장된다.
상기 제2 행거(200)는 송전케이블(2)이 측벽(3)과 근접될 경우에는 제1 길이(L1)로 연장되므로 통로를 향해 불필요하게 연장되지 않으므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행거(200)가 측벽(3)과 멀어져서 통로를 향해 연장된 경우에는 제2 길이(L2)로 연장되므로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송전케이블용 행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본 실시 예는 전술한 실시 예와 다르게 센서부를 이용하여 안착부의 이동에 따라 표시부에 점등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시인성을 높이고, 조도가 낮은 경우에도 정확하게 송전케이블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첨부된 도 4 또는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와, 상기 제1 행거(1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와, 상기 제2 행거(200)의 하면에 위치된 표시부(300) 및 상기 안착부(5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안착부(50)가 상기 제2 행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질 때 위치에 따른 상기 송전케이블(2)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안착부(50)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부(300)를 바라보는 제1 센서(410)와, 상기 제1 센서(410)와 마주보며 상기 표시부(300)에 구비된 제2 센서(42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400)는 일 예로 적외선 센서가 사용되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다른 센서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400)가 구비될 경우 송전케이블(2)이 안착부(50)에서 이동될 때 정확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실수로 표시부(300)에 표시된 정보를 잘못 확인하는 오류를 범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와,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10)에는 기 설명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와,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와,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에 자력으로 설치되도록 고무에 자성 입자가 함유된 고무 자석이 사용되므로,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손쉽게 부착이 가능해 진다.
상기 표시부(300)는 일 예로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디부(210)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며 연장된다.
이 경우 표시부(300)는 자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손쉽게 상기 바디부(210)에 설치가 가능해지므로 작업 속도가 향상되고, 실수로 잘못 장착하는 경우에도 재 장착이 가능해지므로 작업이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기 표시부(300)는 상기 바디부(210)의 하면에 위치되되, 상기 송전케이블(2)이 상기 안착부(50)에 정상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안착부(50)의 단부가 상기 제1 표시부(310)와 상하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위치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정상적으로 안착된 경우에 해당되므로, 설치 이후에 열신축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위치에 송전케이블(2)이 위치된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와,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와,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와 상이한 색깔로 표시된다.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작업자가 육안으로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다른 색깔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표시부(310)는 상기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복수개의 단위 표시영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단위 표시영역은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점등부(311)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일 예로 송전케이블(2)이 정상적으로 제2 행거(200)에 안착된 경우에 해당될 경우 정상으로 표기되고, 우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초과로 표기된다.
초과의 의미는 송전케이블(2)이 허용된 스네이크 폭을 초과하여 설치된 경우에 해당된다.
만약 안착부(50)가 이동하여 정상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될 경우에는 미달로 표시되며, 상기 미달은 송전케이블(2)의 길이가 스네이크 포설되지 않고 직선에 가깝게 포설될 경우에 해당되므로 작업자는 제1 표시부(310)에 표시된 사항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현재 송전케이블(2)이 정상인지 초과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점등부(311)는 일 예로 제1 표시부(310)에 표기된 정상, 미달, 초과에 각각 정등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어 있고, 제2 센서(420) 또한 정상, 미달, 초과로 표시된 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어 상기 안착부(50)가 최종적으로 이동된 위치에서 제1 센서(410)와 제2 센서(420)가 서로 마주볼 경우 점등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안착부(50)가 정상 위치에 단부가 위치될 경우에는 제1 센서(410)가 상기 정상으로 표시된 상측에 위치된 제2 센서(420)와 반응하면서 상기 정상으로 표기된 부분이 점등되므로 작업자는 현재 송전케이블(2)의 위치를 정확하게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될 경우 안착부(50)의 이동에 따라 정상 또는 초과 또는 미달 위치에 정확하게 점등이 이루어짐으로써 다수개의 제2 행거(200)에 안착된 송전케이블(2)의 위치 이동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송전케이블용 행거를 이용한 스네이크 포설 방법을 제공하는데, 제1 행거(100)와 제2 행거(200)를 교대로 설치하되, 상기 제2 행거(200)에 안착부(50)를 안착시키고, 송전케이브(2)을 상면에 설치한다.
그리고 제2 행거(200)의 하면에 표시부(300)를 부착시키되, 현재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에 따라 정상 상태로 설치되었는지, 초과 상태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고 설치한다.
만약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가 정상 위치에 위치될 경우 포설 작업을 계속하고, 초과 위치 또는 미달 위치에 위치될 경우 즉시 재설치를 실시하면 되므로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송전케이블
3 : 측벽
4 : 지지대
50 : 안착부
52 : 홈부
52s1 : 제1 상대면:
52s2 : 제2 상대면
52s3 : 제3 상대면
52a : 제1 돌기
52b : 제2 돌기
52c : 제3 돌기
52d : 제1 롤러
52e : 제2 롤러
52f : 제3 롤러
100 : 제1 행거
200 : 제2 행거
210 : 바디부
220 : 스토퍼
300 : 표시부
310, 320, 330 : 제1,2,3 표시부
400 : 센서부

Claims (2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지중에 구축된 전력구의 통로를 기준으로 측벽(3)에 설치되고, 송전케이블(2)이 고정된 제1 행거(100);
    상기 제1 행거(100)에서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연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측벽(3)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되는 안착부(50)의 하면이 삽입되며 상기 제1 행거(100)와 교대로 설치된 제2 행거(200);
    상기 제2 행거(200)의 하면에 위치된 표시부(300); 및
    상기 안착부(50)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송전케이블(2)의 열신축에 따라 상기 안착부(50)가 상기 제2 행거(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질 때 위치에 따른 상기 송전케이블(2)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400)를 더 포함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00)는 상기 안착부(50)에 위치되고, 상기 표시부(300)를 바라보는 제1 센서(410);
    상기 제1 센서(410)와 마주보며 상기 표시부(300)에 구비된 제2 센서(420)를 포함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행거(200)는 일단이 상기 측벽(3)에 구비된 지지대(4)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통로를 향해 상면이 수평하게 연장된 자유단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0);
    상기 바디부(210)의 연장된 단부에 형성된 스토퍼(2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바디부(210)의 길이 방향에서 복수개의 단위 표시영역으로 구획되고, 각각의 단위 표시영역은 상기 송전케이블(2)이 열신축에 따라 상기 제2 행거(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점등부(311)가 구비된 송전케이블용 행거.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210)에는 상기 송전케이블(2)이 안착된 안착부(50)의 위치 정보가 기재된 제1 표시부(310);
    상기 송전케이블(2) 시스의 평균 외경 정보가 기재된 제2 표시부(320);
    상기 송전케이블(2)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기재된 제3 표시부(330)가 형성된 표시부(3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부(310)는 상기 제2 내지 제3 표시부(320, 330)와 상이한 색깔로 표시되는 송전케이블용 행거.
  21. 제16 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전케이블용 행거를 이용한 스네이크 포설 방법.
KR1020180157187A 2018-12-07 2018-12-07 송전케이블용 행거 KR10228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87A KR102289360B1 (ko) 2018-12-07 2018-12-07 송전케이블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7187A KR102289360B1 (ko) 2018-12-07 2018-12-07 송전케이블용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760A KR20200069760A (ko) 2020-06-17
KR102289360B1 true KR102289360B1 (ko) 2021-08-13

Family

ID=7140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187A KR102289360B1 (ko) 2018-12-07 2018-12-07 송전케이블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504B1 (ko) * 2020-07-27 2021-03-24 견금자 지중 배전선로의 케이블 고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937B1 (ko) * 2009-10-06 2010-02-04 (주)이디에스 엔지니어링 전력케이블의 접지선 취부구조
KR101150182B1 (ko) * 2010-12-17 2012-05-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KR101415883B1 (ko) * 2014-05-15 2014-07-11 (주)케이아이씨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1947A1 (de) 2003-07-15 2005-02-24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 für Türen oder Klappen an Fahrzeugen
KR20130061888A (ko) * 2011-12-02 2013-06-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롤러 스토퍼식 선박 론지용 걸림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937B1 (ko) * 2009-10-06 2010-02-04 (주)이디에스 엔지니어링 전력케이블의 접지선 취부구조
KR101150182B1 (ko) * 2010-12-17 2012-05-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KR101415883B1 (ko) * 2014-05-15 2014-07-11 (주)케이아이씨 지중배전용 전력케이블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9760A (ko)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9721B2 (en) Conveyor system wear indication devices and methods
KR102289360B1 (ko) 송전케이블용 행거
JP4047332B2 (ja) ケーブル誘導スリーブ構造
AU2016416839B2 (en) Double-sheathed structural cable
CN110267902A (zh) 电梯绳索维护方法
US7946539B2 (en) Device for supporting a safety line
CN105888644A (zh) 一种针对臂架的防碰撞方法及系统
JP4417884B2 (ja) ケーブル敷設方法、それに用いられるベンド管、およびケーブル引込用治具
JP2006335567A (ja) 数本のケーブルを接続する、機械的にプラスの接続部を有する支持手段
US10622793B2 (en) Energy chain comprising a holder for an external cable, receiving element and corresponding side plate
CN105527683B (zh) 一种户外用光缆跳线及其敷设方法
CN106232515B (zh) 电梯设备
CN103278720B (zh) 扁型电缆动态稳定性测试装置及方法
CN103061746B (zh) 油气井井下套管串分布式光缆全程在线应力检测装置
CN102596784B (zh) 电梯的主绳索固定装置
KR20200140173A (ko) 철탑 금구
CN109492186A (zh) 一种汽车线束预留长度计算方法及模块
AU691034B2 (en) Apparatus for blowing cable and method therefor
US8061493B2 (en) Power conducting system for long distances
CN205918864U (zh) 一种新型定位结构
JP2006235029A (ja) 光ケーブル
CN205873589U (zh) 升降机电缆防断导向系统
KR101071562B1 (ko) 장거리 케이블 포설 공법
JP2020172392A (ja) エレベータの着床検出装置
JP5157173B2 (ja) エレベーター昇降路内配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