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182B1 -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182B1
KR101150182B1 KR1020100130332A KR20100130332A KR101150182B1 KR 101150182 B1 KR101150182 B1 KR 101150182B1 KR 1020100130332 A KR1020100130332 A KR 1020100130332A KR 20100130332 A KR20100130332 A KR 20100130332A KR 101150182 B1 KR101150182 B1 KR 10115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drum
drum
holde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웅
민병희
김태윤
문귀원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0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182Identifica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01B7/36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being a sleeve, ferrule, tag, clip, label or short length stri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고정대에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이 권취되는 케이블 드럼, 고정대에 삽입된 케이블 드럼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케이블 드럼은, 권취된 케이블을 고정하는 걸쇠, 권취된 케이블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Cable Keeper and Management System of Cable Keeper}
본 발명은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드럼에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권취하여 케이블 거치대에 보관하고,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의 제어 하에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케이블 드럼에 표시하는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 전자, 통신 기기 등의 운용을 위해서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unit)들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자동차와이어와 회로 결선 교육 등과 같은 전기 회로 연결 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을 기기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케이블의 단부에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connector)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통신 중계기나 대형 컴퓨터 서버, 대형 오디오 시스템, 자동차용 전기 회로 등 기기가 크고 복잡한 경우에는 많은 양의 케이블을 사용하게 된다. 이처럼 많은 양의 케이블은 케이블의 커넥터가 용도별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연결 설치 시에 적절한 커넥터를 가진 케이블을 선별하여 보관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케이블을 단순히 말아서 보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케이블을 사용해야 할 때 말린 케이블을 일일이 풀어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한, 여러 종류의 커넥터가 연결된 케이블을 한꺼번에 보관할 때에는 통상적으로 케이블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진 커넥터들이 서로 엉키면서 케이블을 쉽게 풀어내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엉킨 케이블을 무리하게 풀다가 케이블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가 설치된 케이블의 효율적인 보관을 위한 장비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드럼에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권취하여 케이블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의 제어 하에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케이블 드럼에 표시하여 케이블 보관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는 특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고정대에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이 권취되며, 상기 권취된 케이블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럼 및 상기 고정대에 삽입된 케이블 드럼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권취된 케이블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드럼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케이블 정보가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케이블 드럼의 방향을 확인하는 방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대의 끝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외부의 압력에 의해 고정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걸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쇠는, 세 변으로 형성되되, 대면하는 두 변의 거리가 끝단으로 갈수록 멀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권취되는 상기 케이블 드럼의 권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쇠는, 양 끝단이 사각형태의 외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드럼에 삽입 시, 상기 케이블 드럼의 외곽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쇠는, 한쪽 끝단이 상기 케이블 드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쇠는, 탄성소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의 정보는, 주파수별 상기 케이블의 감쇄손실, 상기 케이블의 시리얼 넘버, 상기 케이블의 제조사, 상기 케이블의 품명. 상기 케이블의 길이, 상기 케이블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드럼의 위치와 상기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에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을 권취하여 케이블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의 제어 하에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케이블 드럼에 표시하여 케이블 보관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드럼을 자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을 고정하는 걸쇠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 및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에 삽입된 케이블 드럼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에 형성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드럼을 자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을 고정하는 걸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 및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대에 삽입된 케이블 드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드럼에 형성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100)는 케이블(15)이 권취되는 케이블 드럼(10), 특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대(21)가 형성되어, 케이블 드럼(10)이 삽입되는 메인프레임(2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드럼(10)의 중앙에는 고정대(21)에 삽입하기 위한 고정홀(미도시)가 형성되고, 고정홀은 고정대(21)에 삽입된다.
고정홀이 형성된 케이블 드럼(10)의 내부에는 권취부(미도시)가 형성되고, 권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이 권취된다.
케이블 드럼(10)은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15)의 정보를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케이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4)를 포함한다. 이때, 무선통신부(210)는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200)과의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형성되어 주파수별 케이블(15)의 감쇄손실, 케이블(15)의 시리얼 넘버, 케이블(15)의 제조사, 케이블(15)의 품명. 케이블(15)의 길이, 케이블(15)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는 도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시부(14)에 표시된 정보 중 S/N은 케이블(15)의 시리얼 넘버, TYPE은 케이블(15)의 품명, dB/Km은 케이블(15)의 주파수별 감쇄손실, L은 케이블(15)의 길이, P는 케이블(15)의 제조사, W는 케이블(15)의 두께를 나타낸다. 물론, 표시부(14)에 표시되는 정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해 변경 적용이 가능함을 분명히 하는 바이다.
케이블 드럼(10)은 표시부(14)에 표시되는 케이블 정보가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케이블 드럼(10)의 방향을 확인하는 방향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한편, 케이블 드럼(10)의 권취부에 권취된 케이블(15)은 걸쇠(11)에 의해 케이블 드럼(10)에 고정된다. 이때, 걸쇠(11)는 도 2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쇠(11)는 세 변(11a, 11b, 11c)으로 형성되고, 세 변 중 서로 대면하는 두 변(11b, 11c)의 거리가 끝단으로 갈수록 멀어지게 형성된다. 즉, 밑변이 존재하지 않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걸쇠(11)는 탄성소자로 형성되어,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15)을 고정하기 위해 케이블 드럼(10)에 삽입될 때, 두 변(11b, 11c)이 케이블 드럼(10)의 권취부 넓이에 맞게 조절되어 케이블 드럼(10)에 삽입된다.
케이블 드럼(10)에 삽입된 걸쇠(11)의 두 변(11b, 11c)은 탄성에 의해 원래 형태로 돌아가고자 하기 때문에 케이블 드럼(10)에서 케이블(15)이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블(15)을 고정할 수 있다. 이는 도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걸쇠(11)는 두 변(11b, 11c)의 양 끝단(11d)이 외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케이블 드럼(10)에 삽입 시, 케이블 드럼(10)의 외곽에 걸쳐질 수 있고, 양 끝단(11d) 중 한쪽 끝단이 케이블 드럼(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아울러, 메인프레임(20)에 형성된 고정대(21)는 고정대(21)에 삽입된 케이블 드럼(10)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22)가 형성된다.
고정부(22)는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케이블 드럼(10)이 삽입되는 고정대(21)의 끝단에 돌출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부(22) 즉, 고정쇠가 형성된다. 특히, 고정대(21)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부(22)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고정대(21)의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고, 외부의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대로 돌출되어 삽입된 케이블 드럼(10)이 외부에서의 압력 없이 고정대(2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대(21)에 케이블 드럼(10)이 삽입된 형상은 도 5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200, 이하 시스템이라 함)은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저장부(240),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제어부(250)의 제어 하에 케이블 드럼(10)과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일례는 통신부(210)는 케이블 드럼(10)에 형성된 무선통신부(210)와의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부(220)는 시스템(200)을 제어하고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15)의 정보에 대한 관리자 행위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50)로 제공한다.
출력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200)의 내부 블록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와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4)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가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된 경우, 출력부(230)는 입력부(220)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시스템(200)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40)는 입력부(220)에서 입력된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15)의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저장부(240)는 케이블 드럼(10)의 위치와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15)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50)는 시스템(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입력부(220)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15)의 정보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케이블 드럼(10)의 위치와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15)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제어부(25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케이블 정보에 의거하여 케이블 드럼(10)의 위치와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 정보를 출력부(230)에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메인프레임(20)의 형태를 2D 또는 3D로 형성하고, 실제 메인프레임(20)에 삽입된 케이블 드럼(10),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15)의 정보를 그대로 출력부(230)에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통신부(210)를 제어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된 케이블 정보를 케이블 드럼(10)으로 전송하여 케이블 드럼(10)의 표시부(14)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케이블 드럼(10)으로 케이블 정보를 저장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한다.
이로 인해, 케이블 관리자는 케이블 드럼(10)의 표시부(14)를 통해 케이블 드럼(10)에 권취된 케이블(15)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하기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케이블 거치대
10: 케이블 드럼 11: 걸쇠
14: 표시부 15: 케이블
20: 메인프레임 21: 고정대
22: 고정부
200: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210: 통신부 220: 입력부
230: 출력부 240: 저장부
250: 제어부

Claims (12)

  1. 다수의 고정대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고정대에 삽입되는 고정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이 권취되며, 상기 권취된 케이블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럼; 및
    상기 고정대에 삽입된 케이블 드럼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권취된 케이블의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드럼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케이블 정보가 동일한 방향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케이블 드럼의 방향을 확인하는 방향센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대의 끝단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외부의 압력에 의해 고정대의 내부로 삽입되는 고정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걸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세 변으로 형성되되, 대면하는 두 변의 거리가 끝단으로 갈수록 멀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권취되는 상기 케이블 드럼의 권취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양 끝단이 사각형태의 외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드럼에 삽입 시, 상기 케이블 드럼의 외곽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한쪽 끝단이 상기 케이블 드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는,
    탄성소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정보는,
    주파수별 상기 케이블의 감쇄손실, 상기 케이블의 시리얼 넘버, 상기 케이블의 제조사, 상기 케이블의 품명. 상기 케이블의 길이, 상기 케이블의 두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11.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드럼의 위치와 상기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입력부,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상기 위치에 존재하는 상기 케이블 드럼으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KR1020100130332A 2010-12-17 2010-12-17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KR101150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32A KR101150182B1 (ko) 2010-12-17 2010-12-17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32A KR101150182B1 (ko) 2010-12-17 2010-12-17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182B1 true KR101150182B1 (ko) 2012-05-25

Family

ID=4627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332A KR101150182B1 (ko) 2010-12-17 2010-12-17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760A (ko) * 2018-12-07 2020-06-17 한국전력공사 송전케이블용 행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511A (ja) 1997-01-29 1998-08-11 Toshiba Eng & Constr Co Ltd ケーブル敷設方法およびその敷設用台車
JP2009113880A (ja) * 2007-11-02 2009-05-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ドラム
KR20090124184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동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KR20100111402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동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5511A (ja) 1997-01-29 1998-08-11 Toshiba Eng & Constr Co Ltd ケーブル敷設方法およびその敷設用台車
JP2009113880A (ja) * 2007-11-02 2009-05-28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ドラム
KR20090124184A (ko) * 2008-05-29 2009-12-03 주식회사 동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KR20100111402A (ko) * 2009-04-07 2010-10-15 주식회사 동해 케이블 3드럼 선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760A (ko) * 2018-12-07 2020-06-17 한국전력공사 송전케이블용 행거
KR102289360B1 (ko) * 2018-12-07 2021-08-13 한국전력공사 송전케이블용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0828B2 (ja) マルチファイバ光ケーブルにおけるファイバのシーケンスを識別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20182146A1 (en) Merchandise display security device for headphones
US9905089B2 (en) Physical layer system with support for multiple active work orders and/or multiple active technicians
US20230140676A1 (en) Rack controller with native support for intelligent patching equipment installed in multiple racks
EP3020037B1 (en) Active cable with display
KR101150182B1 (ko) 케이블 거치대 및 케이블 거치대 관리 시스템
US6888996B2 (en) Fiber optic cable identification kit and its method
CN204408811U (zh) 一种带豁口的套线环以及具有该套线环的理线架
TWI632408B (zh) 指引光纖跳接系統
ES2927518T3 (es) Sistema de gestión de infraestructuras con soporte para cables breakout
US10107982B2 (en) Optical fiber weight tracking system
JP7119503B2 (ja) 光成端箱及び光配線接続状態管理システム
US20190174206A1 (en) Light launch device with improved usability and performance
KR101865622B1 (ko) 랜선 테스터기
CN206531584U (zh) 集束架空绝缘电缆用超温报警系统
US20180268672A1 (en) Merchandise display security device for headphones
WO2016062096A1 (zh) 石英塑料复合光纤组件、识别方法及装置
KR102191911B1 (ko)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US10152852B2 (en) Optical fiber location tracking system
CN109542374A (zh) 一种在拼接屏上显示拼接盒地址的方法及系统
CN203708633U (zh) 印刷电路板以及显示装置
KR101586149B1 (ko) 데이터 케이블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TWI553320B (zh) 用於插線面板之裝置
CN107979511A (zh) 一种便携式网线智能测速器
JP3185923U (ja) ケ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