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681B1 -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681B1
KR102288681B1 KR1020190162403A KR20190162403A KR102288681B1 KR 102288681 B1 KR102288681 B1 KR 102288681B1 KR 1020190162403 A KR1020190162403 A KR 1020190162403A KR 20190162403 A KR20190162403 A KR 20190162403A KR 102288681 B1 KR102288681 B1 KR 102288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mask pack
conductive
sheet
patte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284A (ko
Inventor
최부기
김경학
홍은지
이경진
백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Priority to KR1020190162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6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36Material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32Anode and cathode
    • A61N1/044Shape of the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61N1/0444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2Ioni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패턴을 구비한 마스크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하부시트로 제 1전극소재를 이용하여 제 1전도성 패턴(산화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시트로 제 2전극소재를 이용하여 제 2전도성 패턴(환원전극)을 형성시켜 상기 하부영역과 상부영역의 전위차에 의해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이온토포레시스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Patterned conductive detachable mask pack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o orient current using potential difference material}
본 발명은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성분이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상하 분리형 마스크 시트에 각각 프린트하여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류의 흐름성을 가지도록 전도성 패턴이 인쇄된 상하영역이 구분된 마스크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피부 미용의 관심도가 증대됨에 따라, 피부 개선 등을 목적으로 화장품이나 천연 재료 등의 미용 물질을 얼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일정 시간 동안 피부에 부착하는 마스크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부에 부착하는 종래의 마스크팩은 미용 물질의 흡수 정도가 충분하지 못하고, 충분한 흡수 및 이에 따른 효과의 획득을 위해서는 마스크팩을 오랜 기간 피부에 접촉하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피부는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조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화장품 또는 약물을 피부에 바르게 되면 피부 상층의 표피는 화장품을 독소로 인지하거나, 혹은 물리적 분자 크기, 생체 특성 및 생화학 현상 등의 영향으로 화장품이나 약물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피부에 실질적으로 흡수되는 양이 매우 적다.
이에 따라, 피부에 전기적 또는 물리적 자극을 주어, 화장료 및 피부에 유용한 성분들이 피부로 빠른 시간 내에 흡수되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료 및 피부에 유용한 성분들이 피부로 빠른 시간 내에 흡수되도록 하는 기술로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은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화장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게 하는 방법을 일컫는다.
이러한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는 마스크팩의 종류는 전도성 패턴을 인쇄하여 단순한 인체전류를 얼굴 전체로 흐르게 하는 방법(전도성 패턴형)을 사용하거나, 혹은 좀 더 강한 전류를 흘리기 위해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고 이 패턴에 외부전원 연결장치와 조절스위치를 부착하여 외부전원을 통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방법(전원 연결형)이 사용되고 있다.
전도성 패턴형은 원단 내에 구리와 같은 금속 성분을 직접 삽입하여 직조하거나, 혹은 전도성을 갖는 금속 분말, 탄소 분말 혹은 그래핀 등의 소재를 바인더와 혼합하여 만든 페이스트를 마스크팩 시트의 표면에 인쇄하여,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여 사용하는 방법인데,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 오직 인체전류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류 효과가 매우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전원연결형 방법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흐르는 전류량이 많고, 조절 스위치를 통해 전류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전도성 패턴형 보다 효과가 더 우수하지만,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별도 단자 구성과 같은 별도의 생산 공정이 필요한 점과, 사용 시마다 매번 외부 디바이스를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며, 또한 전기회로 내의 단선 문제, 과도한 전류량에 기인한 부작용 등의 문제점이 있다.
KR 10-2019-0085898호 KR 10-1689345호 KR 10-1925070호 KR 10-1866418호 KR 10-062894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전류 공급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생체전류 이상의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2종 이상의 전위차 소재를 활용하고, 이 소재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 효과를 발생시켜 피부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마스크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위차 활성화를 위한 마스크팩 시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양극과 음극을 각각 분리하여 제작한 상하 영역이 구분된 구조의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리에 따라 전류 활성화도를 높일 수 있고, 전류흐름이 일정한 방향으로 계속 흐르기 때문에 이온토포레시스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마스크팩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하 분리형과 마찬가지로, 좌우 분리형 구조의 마스크팩 시트 또한 위치만 달라지며 모든 공정이 동일하고, 효과도 동일하여 이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하지 않더라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하부영역과 상부영역으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하부영역은 제 1전극소재를 이용하여 제 1전도성 패턴(산화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영역은 제 2전극소재를 이용하여 제 2전도성 패턴(환원전극)을 형성시켜 상기 하부영역과 상부영역의 전위차에 의해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이온토포레시스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은, 산화 전극이며, Fe, Co, Mn, Cu, Zn, Ti, Ni, Ca, Mg, Cr, Ru, Ba, V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패터닝된다.
또한, 상기 제 2전도성 패턴은, 환원 전극이며, Cu, Hg, Ag, Pt, Au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패터닝된다.
또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은, 준비된 각각의 전도성 페이스트액을 각각 다른 위치로 패턴이 인쇄된 스크린망을 이용하여 임의의 두께와 간격을 갖도록 마스크팩 시트 소재 위에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기 위해, 각각 음극용 소재 또는 양극용 소재인 금속분말에 분산제, 침강방지제, 침투제를 1차적으로 혼합한 후 버퍼제, 정전기안정제,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바인더와 증점제를 포함시켜 각각의 페이스트액을 제조한다.
또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 전도성 패턴은, 임의의 패턴이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영역과 상부영역은, 하나의 시트 상에 제 1전도성 패턴에 해당하는 제 1영역과 제 2전도성 패턴에 해당하는 제 2영역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을 각각 패터닝하고,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은 각각 산화전극과 환원 전극 소재로 구성된다.
또한, 제 1영역과 제 2영역은, 상/하 영역 또는 좌/우 영역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도성 마스크팩 제작을 위해 적용할 원단을 준비하는 제 1단계, 제 1영역에 해당하는 원단으로 산화전극(제 1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는 제 2단계, 제 2영역에 해당하는 원단으로 환원전극(제 2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는 제 3단계 및 산화전극(제 1전도성 패턴)과 환원전극(제 2전도성 패턴)이 패터닝된 마스크팩 시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은, 산화 전극이며, Fe, Co, Mn, Cu, Zn, Ti, Ni, Ca, Mg, Cr, Ru, Ba, V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패터닝된다.
또한, 상기 제 2전도성 패턴은, 환원 전극이며, Cu, Hg, Ag, Pt, Au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패터닝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전기적 특성이 서로 다른 전도성 패턴을 이용하여 두 전도성 물질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통해 마스크팩의 유효성분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전류 공급 디바이스가 필요 없이 생체전류 이상의 전류를 발생시키고 일정한 방향으로 흐름을 만들어 그 발생된 전류의 전기 자극으로 인하여 에센스의 흡수에 도움을 주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전극이 분리될 경우 전류 발생량을 증대시키고 더불어 일정한 흐름을 가질 수 있으며, 방향성을 부여함으로써 구성에 따라서는 일정한 방향으로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상/하 분리 영역의 일체형 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좌/우 분리 구조를 갖는 일체형 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상, 하를 완전 분리하여 분리된 구조를 갖는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마스크팩 시트는,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로 분할 구성하고, 상기 하부시트로 제 1전극소재를 이용하여 제 1전도성 패턴(산화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시트로 제 2전극소재를 이용하여 제 2전도성 패턴(환원전극)을 형성시켜 상기 하부시트와 상부시트의 전위차에 의해 미세전류를 발생시켜 이온토포레시스 효과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마스크팩 시트는 전기적 특성이 서로 다른 전도성 패턴을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로 분할 구성하고, 두 전도성 물질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통해 마스크팩의 유효성분 활성화를 도모시킴으로써 기능성을 증대시키는 전도성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상하로 전극이 분리될 경우 전류 발생량을 증대시키고, 일정한 흐름을 가질 수 있으며 방향성을 부여함으로써 특정 부위에 전기 자극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기능성 전도성 마스크팩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팩 시트는 미세전류 전위차를 이용한 이온 이동을 활성화시켜 마스크팩의 피부 투과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산화전극과 환원전극을 분리 구성하여 마스크팩을 제작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팩 시트는 하부시트(제 1영역 ;100)와 상부시트(제 2영역 ; 200)로 분할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하부시트(100)로는 제 1전도성 패턴인 산화전극(110)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시트(200)로는 제 2전도성 패턴인 환원전극(210)을 패터닝한다.
아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기술하겠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을 물리적으로 분리된 시트에 구성하거나 하나의 시트상에 영역을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써, 어느 하나에 한정하지 않고 기술적 범위 내에서 그 권리범위가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산화전극용(제 1전극)용 페이스트액 제조를 위하여 Fe, Co, Mn, Cu, Zn, Ti, Ni, Ca, Mg, Cr, Ru, Ba, V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조합할 수 있으며, 이 금속재료와 함께 분산제, 침강방지제, 버퍼제, 산화방지제, 바인더, 증점제와 강제 유화시켜 제조한다.
환원전극용(제 2전극)용 페이스트액 제조를 위하여 Cu, Hg, Ag, Pt, Au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조합할 수 있으며, 이 금속소재는, 분산제, 침강방지제, 침투제, 버퍼제, 정전기안정제, 산화방지제, 바인더, 증점제와 강제 유화시켜 제조한다.
상기 2종의 전극 소재는 구형 또는 판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입경 사이즈는 10nm 내지 100um 사이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가장 적합하게는 10um 내지 50um 사이가 적절하다. 10um 이하의 입경은 전류량이 낮고, 전류량이 일정하지 않는 단점이 있고, 50um 이상이 되면 페이스트의 안정성과 균일성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다.
전극 소재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바인더는 폴리아크릴계 바인더, 폴리비닐계 바인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인더는 고형분 기준으로 10 내지 70% 의 수준이며, 30 내지 50%의 고형분이 적당하다. 30% 이하는 사용량이 많고, 점도 조절에 용이하지 않으며, 50% 이상인 바인더의 경우는 고점도로 인해 사용이 불편하고, 분산도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위차 특성을 이용하여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로 분할 구성되는 마스크팩 시트를 통해 생체 전류 이상의 전류를 발생시켜 이온 이동의 확장을 통해 유효성분이 피부에 보다 빠르게 침투될 수 있도록 촉진시키며 이를 통해 기능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제조된 전도성 페이스트액은 일정한 모양과 간격으로 제판된 스크린망을 통해 부직포에 프린트 되어진 후 100 내지 170℃의 온도로 열처리 공정을 거처 부직포에 고착화된다. 120 내지 150℃ 사이의 온도가 가장 적절하며, 120℃이하의 온도는 균일 고착에 어려움이 있고, 150℃ 이상의 온도는 페이스트의 산화, 황변현상 등을 초래할 수 있다. 패턴이 프린트 되는 부직포의 소재로는 Cotton, Polyester, Nylon, Viscose Rayon, Lyocell, Cupra, Modal 모두 가능하다. 여기서 스크린망을 통한 인쇄방법의 경우 하나의 실시예이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공지의 다양한 인쇄 기법을 통해 전도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위차 소재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마스크팩은 전위차를 갖는 전도성 소재를 패터닝하여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으로 각각 구성되고,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간의 전위차를 활성화시켜 결과적으로 유효 화장품 또는 유효 약물의 피부 투과 촉진을 도모할 수 있는 기능성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재료 하부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하부 상부
아연 분말 10 - 10 10 - - 10
은 분말 - 10 - 20 - 20 10 -
우레탄바인더 30 30 30 20 30 30
아크릴바인더 - - 30 20 - -
분산제 2 1 2 1 2 1 1 2
침강방지제 1 2 1 2 1 2 2 1
버퍼제 2 1 2 1 2 1 1 2
정전기안정제 3 3 3 3 3 3 3 3
산화방지제 1 1 1 1 1 1 1 1
증점제 1 2 1 2 1 2 2 1
총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전류량(uA) 140~160 200~220 160~180 140~160
[실시예 1]
제 1전극(하부)은, 페이스트액 100중량부에 대해 아연(Zn)분말 10중량%, 우레탄 바인더 30중량%, 분산제 2중량%, 침강방지제 1중량%, 버퍼제 2중량%, 정전기안정제 3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 증점제 1중량%, 나머지는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액을 제조하였다.
제 2전극(상부)은, 페이스트액 100중량부에 대해 은(Ag)분말 10중량%, 우레탄 바인더 30중량%, 분산제 1중량%, 침강방지제 2중량%, 버퍼제 1중량%, 정전기방지제 3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 증점제 2중량%, 나머지는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 1전극(하부)은, 페이스트액 100중량부에 대해 아연(Zn)분말 10중량%, 우레탄 바인더 30중량%, 분산제 2중량%, 침강방지제 1중량%, 버퍼제 2중량%, 정전기방지제 3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 증점제 1중량%, 나머지는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액을 제조하였다.
제 2전극(상부)은, 페이스트액 100중량부에 대해 은(Ag)분말 20중량%, 우레탄 바인더 20중량%, 분산제 1중량%, 침강방지제 2중량%, 버퍼제 1중량%, 정전기방지제 3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 증점제 2중량%, 나머지는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 1전극(하부)은, 페이스트액 100중량부에 대해 아연(Zn)분말 10중량%, 아크릴 바인더 30중량%, 분산제 2중량%, 침강방지제 1중량%, 버퍼제 2중량%, 정전기방지제 3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 증점제 1중량%, 나머지는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액을 제조하였다.
제 2전극(상부)은, 페이스트액 100중량부에 대해 은(Ag)분말 20중량%, 아크릴 바인더 20중량%, 분산제 1중량%, 침강방지제 2중량%, 버퍼제 1중량%, 정전기방지제 3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 증점제 2중량%, 나머지는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 1전극(하부)은, 페이스트액 100중량부에 대해 은(Ag)분말 10중량%, 우레탄 바인더 30중량%, 분산제 1중량%, 침강방지제 2중량%, 버퍼제 1중량%, 정전기방지제 3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 증점제 2중량%, 나머지는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액을 제조하였다.
제 2전극(상부)은, 페이스트액 100중량부에 대해 아연(Zn)분말 10중량%, 우레탄 바인더 30중량%, 분산제 2중량%, 침강방지제 1중량%, 버퍼제 2중량%, 정전기방지제 3중량%, 산화방지제 1중량%, 증점제 1중량%, 나머지는 물을 혼합하여 페이스트액을 제조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화장품 성분 중 이온성을 가지는 특정 유효성분의 이동과 흡수에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 패턴의 수와 도포량에 따라 전류량의 조절이 미세하게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 좌/우 분리 구조를 갖는 일체형 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상부와 하부가 완전 분리된 분리형 시트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마스크팩 시트상에서 제 1영역과 제 2영역으로 분할 구성하고 여기에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을 형성시켜 두 영역에 의한 전위차로 미세전류를 증대시키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때, 상기 제 1영역과 제 2영역의 면적은 바람직하게 마스크팩 전체 면역에 대해 각각 20% : 80% ~ 80% : 20%의 면역 비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전극이 패터닝된 면적량에 따라 이온 이동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에서 제 1전도성 패턴 면적과 제 2전도성 패턴 영역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얼굴이 코를 기준으로 영역을 분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상부와 하부가 완전히 분리된 분리형 마스크팩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팩 시트 중앙을 중심으로 하측으로는 제 1전도성 패턴(110)이 형성되는 하부시트(100)와 상측으로는 제 2전도성 패턴(210)이 형성되는 상부시트(200)를 구성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조건으로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을 형성되며 하부시트와 상부시트간의 전위차를 발생시켜 이온 이동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순서도이다.
우선, 마스크팩 시트의 원단으로는 일반적으로 부직포를 사용하며, 마스크팩 특성에 따라 가공할 마스크팩 원단을 준비한다(S100). 상기 제 1단계는 부직포의 소재로는 Cotton, Polyester, Nylon, Viscose Rayon, Lyocell, Cupra, Modal 등 모두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1전극 소재를 포함하는 페이스트액을 제조하고, 제 2전극 소재를 포함하는 페이스트액을 각각 제조하는 제 2단계(S200)이다. 이 각각의 페이스트액 제조 과정에서는 금속분말과 분산제, 침강방지제, 침투제를 1차적으로 혼합한 후 버퍼제, 정전기안정제,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바인더와 증점제를 혼합하여 페이스트액으로 제조한다.
다음으로 준비된 원단으로는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을 각각 패터닝하는 제 3단계(S300)다. 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는 방법으로는 프린팅 방식으로 패터닝하는 방법을 기본적으로 채택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기 패터닝된 시트를 마스크팩 원단에 점착 프린팅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패터닝 방법에 대해서 국한하지 않으며 기존의 다양한 패터닝 기술이나 점착 기술 등을 통해서 패턴 형성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 분리된 시트의 경우에는 각각의 원단에 제 1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여 하부시트를 제조하고, 또 다른 원단으로 제 2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여 상부시트를 제조한 후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를 합쳐 하나의 마스크팩을 제조한다.
또는, 하나의 시트에 분할 영역을 가지는 시트의 경우 제 1전도성 영역이 제판된 제 1스크린을 이용하여 제 1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고, 다음 공정에서 제 2전도성 영역이 제판된 제2스크린을 이용하여 제 2전도성 패턴을 순차적으로 패터닝할 수 있다. 이때, 마스크팩 원단에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는 과정은 마스크팩 최종 타공 시 각 패턴 영역이 구분 될 수 있도록 원단의 수율을 고려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원단에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이 구획되도록 프린팅을 한 후 타공 시 상부시트와 하부시트로 분할시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제조방법은 당업자 수준에서 생산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제조된 페이스트액을 부직포 소재에 프린팅하기 위하여 스크린 프린팅을 실현하는데, 패턴에 따라 준비된 스크린망을 이용하여 마스크팩 원단에 페이스트액으로 전도성 패턴을 프린팅 한다.
전도성 패턴 프린팅을 완료한 후 패턴의 고착을 위하여 열처리하는 제 5단계(S500)를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처리 온도로는 120 내지 150℃ 조건에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패터닝이 완료된 시트를 마스크팩 형상에 맞게 타공한 후(S600) 포장한다. 이때, 마스크팩에 사용할 에센스액도 이액형으로 별도 용기에 포장하여 마스크팩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이온화 경향이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소재를 이용하여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에 각각 패터닝하여 이 두 개 이상의 소재에서 발생되는 전위차를 통해 마스크팩의 유효성분 활성화를 도모하며, 더불어 별도의 전류 공급 디바이스가 필요 없는 상태에서 생체 전류 이상의 전류량이 발생시켜 피부 활성화와 사용상의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부시트(제 1영역)
110 : 제 1전도성 패턴(산화전극)
200 : 상부시트(제 2영역)
210 : 제 2전도성 패턴(환원전극)
S100 : 제 1단계
S200 : 제 2단계
S300 : 제 3단계
S400 : 제 4단계
S500 : 제 5단계
S600 : 제 6단계

Claims (13)

  1. 전도성 패턴이 형성된 마스크팩 시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시트는 상부영역와 하부영역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하부영역에 제 1전극소재를 이용하여 제 1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영역에 제 2전극소재를 이용하여 제 2전도성 패턴을 형성시켜 상기 상부영역과 하부영역의 전위차에 의해 방향성을 갖는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은,
    산화 전극이며, Fe, Co, Mn, Cu, Zn, Ti, Ni, Ca, Mg, Cr, Ru, Ba, V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패터닝되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도성 패턴은,
    환원 전극이며, Cu, Hg, Ag, Pt, Au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패터닝되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은,
    준비된 각각의 전도성 페이스트액을 각각 다른 위치로 패턴이 인쇄된 스크린망을 이용하여 임의의 두께와 간격을 갖도록 마스크팩 시트 소재 위에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형성시키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기 위해, 각각 음극용 소재 또는 양극용 소재인 금속분말에 분산제, 침강방지제, 침투제를 1차적으로 혼합한 후 버퍼제, 정전기안정제, 산화방지제를 더 포함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바인더와 증점제를 포함시켜 각각의 페이스트액을 제조하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 전도성 패턴은,
    임의의 패턴이 연속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영역과 상부영역은,
    하나의 시트상에 제 1전도성 패턴에 해당하는 제 1영역과 제 2전도성 패턴에 해당하는 제 2영역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을 각각 패터닝하고,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은 각각 산화전극과 환원 전극 소재로 구성되어 미세전류의 활성화시키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제 1영역과 제 2영역은,
    상/하 영역 또는 좌/우 영역으로 분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9.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전도성 마스크팩 제작을 위해 적용할 원단을 준비하는 제 1단계;
    하부시트(제 1영역)에 해당하는 원단으로 제 1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는 제 2단계;
    상부시트(제 2영역)에 해당하는 원단으로 제 2전도성 패턴을 패터닝하는 제 3단계; 및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이 패터닝된 마스크팩 시트 원단을 열처리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은,
    산화 전극이며, Fe, Co, Mn, Cu, Zn, Ti, Ni, Ca, Mg, Cr, Ru, Ba, V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패터닝되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전도성 패턴은,
    환원 전극이며, Cu, Hg, Ag, Pt, Au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그 복합체로 패터닝되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도성 패턴과 제 2전도성 패턴은,
    준비된 전도성 페이스트액을 소정의 패턴이 인쇄된 스크린망을 이용하여 임의의 두께와 간격을 갖도록 마스크팩 시트 소재 위에 도포하여 형성시키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하부시트와 상부시트는 별도의 원단을 통해 전도성 패턴을 가공하여 제 1전도성 패턴이 구성된 하부시트와 제 2전도성 패턴이 구성된 상부시트로 각각 제조되는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제조방법.
KR1020190162403A 2019-12-09 2019-12-09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 KR102288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403A KR102288681B1 (ko) 2019-12-09 2019-12-09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403A KR102288681B1 (ko) 2019-12-09 2019-12-09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284A KR20210072284A (ko) 2021-06-17
KR102288681B1 true KR102288681B1 (ko) 2021-08-11

Family

ID=7660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403A KR102288681B1 (ko) 2019-12-09 2019-12-09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6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7987A (ja) 2013-03-28 2014-11-06 株式会社 東北テクノアーチ 生体組織貼付用キット及び生体組織貼付用パッ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46B1 (ko) 2005-04-04 2006-09-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 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팩 세트
US20160089536A1 (en) * 2014-09-29 2016-03-31 Elc Management Llc Targeted And Individualized Delivery Of Skincare Treatments With Micro-Current In A Mask Or Patch Form
KR101689345B1 (ko) 2015-03-30 2016-12-26 조정호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
KR20190005061A (ko) * 2017-07-05 2019-01-15 바이오센서연구소 주식회사 미백제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약물 전달에 장착되는 장치, 그를 포함하는 이온토포레시스 약물 전달 장치 및 키트
KR102000547B1 (ko) 2017-08-16 2019-07-16 주식회사 이엘에프 미세 전류를 이용하는 마스크 팩
KR101925070B1 (ko) 2018-02-23 2019-02-22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우수한 착용감과 전기전도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친환경 박막 마스크 팩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6418B1 (ko) 2017-12-22 2018-07-04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전기전도성 및 항균성을 가지는 마스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20190114482A (ko) * 2018-03-30 2019-10-10 (주)조이쉬 전기자극 인가 마스크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7987A (ja) 2013-03-28 2014-11-06 株式会社 東北テクノアーチ 生体組織貼付用キット及び生体組織貼付用パ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284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11905B (zh) 流电皮肤治疗装置
US5380271A (en) Electrotransport agent delivery device and method
DE60036306T2 (de) System zur verabreichung von medikamenten mit veränderbarer rate
US7904147B2 (en) Substantially planar article and methods of manufacture
DE69919841T2 (de) Electrochemisch reaktive kathode für elektrotransport gerät
DE69133328T2 (de) Vorrichtung zur iontophoretischen verabreichung
JP6168640B1 (ja) 生体電池治療具
CN108159563A (zh) 电皮肤裹布
US9707172B2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neuropathy
WO2009132606A1 (de) Kosmetikmaske
DE60216812T2 (de) Electrotransportvorrichtung mit direkt abgeformtem behältergehäuse
DE69737723T2 (de) Behalter zur iontophoretischen verabreichung von medikamenten mit inerten material-bestandteilen
KR102288681B1 (ko) 전위차 소재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성을 가지도록 패턴된 전도성 분리형 마스크팩 시트 및 제조방법
CH673949A5 (ko)
EP1457233B1 (de) Transdermales Wirkstoffverabreichungssystem mit Elektrodenraster
JP5881158B2 (ja) 生体電池治療具
KR102288678B1 (ko) 전위차 소재를 이용한 전도성 패턴이 구비된 마스크팩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2671294B (zh) 生物电池治疗器具
WO1999052590A1 (de) Transdermales applikationssystem (tds) mit elektrodenraster
JP2013158363A (ja) 生体用電極及びそのシート並びにイオントフォレシス装置
DE102010024558A1 (de) Transdermales therapeutisches System mit Elektroden
JP6789469B1 (ja) 生体電池治療具
CN117258126A (zh) 复合面膜
AT503420A4 (de) Oberflächenelektrode
JPH09215756A (ja) イオン湿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