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471B1 -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471B1
KR102288471B1 KR1020210031347A KR20210031347A KR102288471B1 KR 102288471 B1 KR102288471 B1 KR 102288471B1 KR 1020210031347 A KR1020210031347 A KR 1020210031347A KR 20210031347 A KR20210031347 A KR 20210031347A KR 102288471 B1 KR102288471 B1 KR 102288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ire
fixing device
embar
ceiling
earthqu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호
엄정인
임규철
최형선
차영철
정유한
정수인
송정식
Original Assignee
선호라이팅 주식회사
정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호라이팅 주식회사, 정우호 filed Critical 선호라이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Abstract

본 발명의 등기구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는 상기 등기구의 내부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 상에 안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천장 내 설치된 엠바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에서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상기 엠바와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등기구를 천장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등기구를 천장에 고정함으로써, 지진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Lighting fixture fixing device with anti-vibration and lighting fixtu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원터치 방식으로 내진용 등기구를 용이하게 설치하고, 지진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해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지진 발생 횟수가 늘어나고 있어, 그에 따른 피해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일정 면적 이상 또는 일정 높이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 내진 설계가 의무화되고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내부 구조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에 대해서도 지진 상황을 대비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예를 들면, 건물 내 천장에 등기구를 부착하기 위해, 볼트와 너트가 사용된다. 만약, 지진이 발생할 경우, 볼트와 너트가 쉽게 분리되어, 천장으로부터 등기구가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등기구 부착 과정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자 중의 한 명이 천장에 등기구를 밀착시키고, 다른 한 명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천장에 등기구를 고정하는 방식의 2인 1조 방식이 적용된다. 따라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05439호 (2001.01.15.)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장에 등기구를 부착 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가 등기구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지진에도 강한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등기구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는 상기 등기구의 내부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 상에 안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천장 내 설치된 엠바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에서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상기 엠바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등기구 내 내부 프레임의 측부홈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후면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마주보는 양단이 각각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단부가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마주보는 양단이 내측으로 1차 절곡된 면의 일부면이 내측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과 결합되어, 상기 등기구 내 내부 프레임의 상부홈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서로 절곡되는 제1 회전부재 및 제2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 및 상기 제2 회전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제1 회전부재 보다 길게 형성되고, 단부가 후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가 상기 엠바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상기 제1 회전부재가 상기 엠바의 하부에 걸려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상기 제2 회전부재가 상기 엠바의 상부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후면부재의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후면부재의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회전부재의 제2 관통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상기 탄성부와 대응하는 일부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상기 엠바를 기준으로 회전 시, 단부가 상기 후면부재에 걸린다.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서로 둔각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마주보는 양단이 각각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몸체, 상기 측면몸체의 상단 일부 영역에 개방된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의 돌기가 안착되는 개구 및 상기 측면몸체의 상단 다른 영역이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전 전, 상기 걸림부의 제2 회전부재를 홀드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천장에 고정되는 내진용 등기구는 발광장치, 상기 발광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내부 측면부에 측부홈이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상부홈이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 및 일부 단부가 상기 내부 프레임의 측부홈 및 상부홈에 각각 삽입되고, 다른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천장에 설치된 엠바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내진용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내부에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상기 엠바와 결합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등기구를 천장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등기구를 천장에 고정함으로써, 지진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를 이용해 천장에 내진용 등기구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별히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진 설계가 강제되고, 건축물 내 인테리어 작업 시, 등기구를 건물 내 천장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내진을 고려하면서도, 작업자가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에 대하여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는 등기구를 건물의 천장 마감재 상부에 설치된 엠바와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몸체부(120), 탄성부(140) 및 걸림부(160)를 포함한다.
몸체부(120)는 등기구의 내부에 탈착식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몸체부(120)는 지지부재(122), 제1 삽입부재(124), 후면부재(126), 측면부재(128) 및 제2 삽입부재(129)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22)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2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제1 삽입부재(124)는 상기 지지부재(122)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본 발명인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의 X 축 방향으로 전면에 위치한 등기구 내 내부 프레임의 측부홈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내부 프레임이 상기 지지부재(122)의 일단과 마주보는 곳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1 삽입부재(124)는 상기 지지부재(122)의 일단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삽입부재(124)의 형성 개수는 도 1에서 두 개로 표시되어 있으나, 그 형성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삽입부재(124)가 삽입되는 내부 프레임에 형성된 측부홈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후면부재(126)는 지지부재(122)의 타단이 절곡되고, 절곡된 면에 제1 관통홀(th1)이 형성된다. 즉, 상기 후면부재(126)는 내부 프레임이 위치한 곳의 반대편인 지지부재(122)의 타단을 Z축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면부재(126)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 관통홀(th1)은 탄성부(14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측면부재(128)는 상기 지지부재(122)의 마주보는 양단이 각각 내측 방향으로 90도만큼 1차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양단의 상부에 개구(128-4)가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부재(128)는 제1 삽입부재(124)가 돌출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재(122)의 일단과, 상기 후면부재(126)가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재(122)의 타단 사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지부재(122)의 양단이 소정의 높이만큼 Z축 방향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부재(128)는 측면몸체(128-2), 개구(128-4) 및 스토퍼(128-6)를 포함한다.
측면몸체(128-2)는 지지부재(122)의 마주보는 양단이 Z 방향 즉, 내측 방향으로 90도만큼 1차 절곡되어 형성된다.
개구(128-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몸체(128-2)의 상단 일부 영역에 개방된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걸림부(160)의 돌기(164)가 내부에 안착된다.
스토퍼(128-6)는 상기 측면몸체(128-2)의 상단 다른 영역이 Y 방향으로 소정각도 절곡되어, 걸림부(160)가 회전하기 전, 상기 걸림부(160)의 제2 회전부재(162b)를 홀드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28-6)에 의해 상기 걸림부(160)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제2 삽입부재(129)는 단부가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판형으로 형성되며, SUS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삽입부재(129)는 상기 지지부재(122)의 마주보는 양단이 내측 방향으로 90도만큼 1차 절곡된 면의 일부면이 다시 내측 방향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에 결합되어, 등기구 내 내부 프레임의 상부홈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제2 삽입부재(129)는 상기 지지부재(122)와 수평한 상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부(120) 중 지지부재(122)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제1 삽입부재(124)가 등기구 중 내부 프레임의 측부홈에 수평 방향으로 1차 삽입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 중 지지부재(122)의 양단이 2차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에 결합된 제2 삽입부재(129)가 내부 프레임의 상부홈에 수직 방향으로 2차 삽입됨에 따라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내부프레임과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가 내부 프레임의 측면과 상부에서 이중 고정된다.
탄성부(140)는 일단이 몸체부(120)와 연결되고, 타단이 걸림부(16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140)는 일단이 몸체부(120)의 후면부재(126)에 형성된 제1 관통홀(th1)과 연결되고, 타단은 걸림부(160) 내 제2 회전부재(162b)에 형성된 제2 관통홀(th2)과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 시, 상기 걸림부(160)의 제1 회전부재(162a)가 - Z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140)에서 발생된 탄성력이 상기 걸림부(160)의 제2 회전부재(162b)로 인가되어 상기 제2 회전부재(162b) 또한 회전한다.
걸림부(160)는 상기 탄성부(140)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120) 상에 안착된다. 이러한 걸림부(160)는 일부가 천장 내 설치된 엠바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상기 엠바의 하부에 걸려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상기 엠바와 결합된다.
이러한 걸림부(160)는 제1 회전부재(162a)와 제2 회전부재(162b) 및 돌기(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회전부재(162a)와 제2 회전부재(162b)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서로 절곡된다.
제1 회전부재(162a)는 상기 탄성부(140)와 대응하는 일부면이 개방되며, 천장에 설치된 엠바의 하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엠바의 하부에 걸려 하부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1 회전부재(162a)의 단부가 몸체부(120) 내 후면부재(126)의 내측면에 걸릴 수 있다.
제2 회전부재(162b)는 상기 제1 회전부재(162a)와 둔각을 이루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재(162b)의 길이(L2)는 상기 제1 회전부재(162a)의 길이(L1) 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부재(126b)의 단부는 후크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재(162b)는 몸체부(120) 중 후면부재(126)에 형성된 제1 관통홀(th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관통홀(th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될 때, 제1 회전부재(162a)가 하부 방향인 - Z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때 탄성부(140)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부재(162b)가 회전한다. 특히, 상기 제2 회전부재(162b)는 상기 제1 회전부재(162a) 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제2 회전부재(162b)가 회전 시, 천장에 설치된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한다. 이후, 상기 제2 회전부재(162b)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상기 엠바의 상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 회전부재(162b)가 엠바의 상부에 결합된다.
즉, 걸림부(160)가 회전하기 전에는, 몸체부(120)의 측면부재(128)에 형성된 스토퍼(128-6)에 의해 위치가 먼저 결정되고, 회전 시에는 제1 회전부재(162a)가 몸체부(120)의 후면부재(126)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고, 이와 동시에 제2 회전부재(162b)의 단부에 형성된 후크가 천장에 형성된 엠바에 걸려 고정된다.
돌기(164)는 상기 제1 회전부재(162a) 및 상기 제2 회전부재(162b)의 양단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120) 중 측면부재(128)의 측면몸체(128-2)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128-4)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는 일단이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내부 프레임과 결합되고, 타단이 천장에 설치된 엠바와 일부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상기 걸림부(160)가 상기 엠바에 걸려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발광장치를 포함하는 내부 프레임이 천장에 부착된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1000)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를 이용해 천장에 형성된 엠바(20)와 결합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1000)는 발광장치(200), 전원공급장치(미도시), 내부 프레임(300) 및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를 포함한다.
발광장치(200)는 빛을 발광하는 조명장치이다.
전원공급장치(미도시)는 상기 발광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내부 프레임(300)은 상부면에 배치된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장치(200)의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발광장치(200)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프레임(300)은 내부 측면부에 측부홈(320)이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상부홈(3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부홈(320)과 상부홈(340)은 서로 직각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는 일부 단부가 상기 내부 프레임(300)의 측부홈(320) 및 상부홈(340)에 각각 삽입되고, 다른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60)가 천장에 설치된 엠바(20)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등기구(1000)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내부에서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160)가 회전하며 천장 마감재(10) 상에 설치된 엠바(20)에 걸려 결합된다. 이러한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는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를 이용한 내진용 등기구의 천장 부착과정을 순서대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를 이용해 천장에 내진용 등기구를 부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 중 몸체부(120)의 제1 삽입부재(124)가 내부 프레임(300)의 측부홈(320)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20)의 제2 삽입부재(129)가 내부 프레임(300)의 상부홈(340)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내부 프레임(300)의 측부홈(320)과 상부홈(340)에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의 일부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 프레임(300)과 상기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를 천장 마감재(10) 상에 설치된 엠바(20)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상기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의 걸림부(160) 중 제1 회전부재(162a)가 상기 엠바(20)의 하부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1000)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내부 프레임(300)과 상기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100)의 위치가 상승한다.
이에 따라, 천장 마감재(10) 상에 설치된 엠바(20)의 하부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160)의 제1 회전부재(162a)가 하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160)에 연결된 탄성부(140)에서 탄성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140)와 연결된 걸림부(160)의 제2 회전부재(162b)가 상기 엠바(20)를 둘러싸며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2 회전부재(162b)는 최소 90도 이상 회전할 수 있다.
결국,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60)의 제2 회전부재(162b)가 상기 탄성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엠바(20)를 둘러싸며 회전한 상기 제2 회전부재(162b)의 후크 형태의 단부가 상기 엠바(20)에 걸려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등기구를 천장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지 않고 등기구를 천장에 고정함으로써, 지진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1000: 내진용 등기구
120: 몸체부 122: 지지부재
124: 제1 삽입부재 126: 후면부재
th1: 제1 관통홀 128: 측면부재
128-2: 측면몸체 128-4: 개구
128-6: 스토퍼 129: 제2 삽입부재
140: 탄성부 160: 걸림부
162a: 제1 회전부재 162b: 제2 회전부재
164: 돌기 op: 개방면
th2: 제2 관통홀 200: 발광장치
300: 내부 프레임 320: 측부홈
340: 상부홈 10: 천장 마감재
20: 엠바

Claims (13)

  1. 등기구를 천장에 고정시키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의 내부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 상에 안착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천장 내 설치된 엠바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에서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상기 엠바와 결합하며,
    상기 몸체부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등기구 내 내부 프레임의 측부홈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후면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마주보는 양단이 각각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부재; 및
    단부가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마주보는 양단이 내측으로 1차 절곡된 면의 일부면이 내측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과 결합되어, 상기 등기구 내 내부 프레임의 상부홈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부재는 SUS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와 수평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폴딩축을 기준으로 서로 절곡되는 제1 회전부재 및 제2 회전부재;
    상기 제1 회전부재 및 상기 제2 회전부재의 양단으로부터 외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제1 회전부재 보다 길게 형성되고, 단부가 후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가 상기 엠바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상기 제1 회전부재가 상기 엠바의 하부에 걸려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상기 제2 회전부재가 상기 엠바의 상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상기 후면부재의 제1 관통홀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후면부재의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회전부재의 제2 관통홀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상기 탄성부와 대응하는 일부면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는
    상기 엠바를 기준으로 회전 시, 단부가 상기 후면부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재와 상기 제2 회전부재는
    서로 둔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마주보는 양단이 각각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몸체;
    상기 측면몸체의 상단 일부 영역에 개방된 반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의 돌기가 안착되는 개구; 및
    상기 측면몸체의 상단 다른 영역이 절곡되어, 상기 걸림부의 회전 전, 상기 걸림부의 제2 회전부재를 홀드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13. 천장에 고정되는 내진용 등기구에 있어서,
    발광장치;
    상기 발광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내부 측면부에 측부홈이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상부홈이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 및
    일부 단부가 상기 내부 프레임의 측부홈 및 상부홈에 각각 삽입되고, 다른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천장에 설치된 엠바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내진용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내부에서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가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상기 엠바와 결합하는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는
    상기 등기구의 내부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타단과 연결되고, 상기 몸체부 상에 안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일부가 상기 천장 내 설치된 엠바의 하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등기구가 천장으로 가압되면, 상기 탄성부에서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엠바를 둘러싸며 회전하여 상기 엠바와 결합하며,
    상기 몸체부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면을 형성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등기구 내 내부 프레임의 측부홈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타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고, 제1 관통홀이 형성되는 후면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마주보는 양단이 각각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부재; 및
    단부가 후크 형태로 이루어진 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마주보는 양단이 내측으로 1차 절곡된 면의 일부면이 내측으로 2차 절곡되어 형성된 절곡면과 결합되어, 상기 등기구 내 내부 프레임의 상부홈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부재는 SUS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와 수평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등기구.
KR1020210031347A 2021-03-10 2021-03-10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 KR10228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47A KR102288471B1 (ko) 2021-03-10 2021-03-10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47A KR102288471B1 (ko) 2021-03-10 2021-03-10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471B1 true KR102288471B1 (ko) 2021-08-10

Family

ID=77316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347A KR102288471B1 (ko) 2021-03-10 2021-03-10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47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439A (ko) 1999-06-10 2001-01-15 성종제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의 행거장치
KR20110006425A (ko) * 2009-07-14 2011-01-20 (주)주원 조명등기구
KR200464018Y1 (ko) * 2011-09-23 2012-12-10 주식회사 연합조명 사각 매입등 고정 구조
KR101806075B1 (ko) * 2017-06-16 2018-01-10 (주)케이피 조명 조명등용 고정 프레임 및 고정장치
KR102168059B1 (ko) * 2020-02-18 2020-10-20 김용식 등기구
KR102172174B1 (ko) * 2020-04-06 2020-11-02 주식회사 한승 조립 체결성이 개선된 천정매입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439A (ko) 1999-06-10 2001-01-15 성종제 천정매입형 형광등기구의 행거장치
KR20110006425A (ko) * 2009-07-14 2011-01-20 (주)주원 조명등기구
KR200464018Y1 (ko) * 2011-09-23 2012-12-10 주식회사 연합조명 사각 매입등 고정 구조
KR101806075B1 (ko) * 2017-06-16 2018-01-10 (주)케이피 조명 조명등용 고정 프레임 및 고정장치
KR102168059B1 (ko) * 2020-02-18 2020-10-20 김용식 등기구
KR102172174B1 (ko) * 2020-04-06 2020-11-02 주식회사 한승 조립 체결성이 개선된 천정매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026B1 (ko) 내진형 조명설비 어셈블리와 이것이 결합되는 현수선 구조설비
JP2015088433A (ja) 照明器具
US2835791A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assembly
KR102288471B1 (ko) 내진용 등기구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내진용 등기구
CA3168157A1 (en) Luminaire structures
KR102361399B1 (ko) 낙하방지 보조브라켓을 이용한 등기구 설치방법
JP5498001B2 (ja) 照明器具
KR20210105281A (ko) 등기구 탈부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등기구
KR101894732B1 (ko) 매입형 조명기구
KR101864600B1 (ko) 충격흡수장치를 구비한 조명등용 내진 브라켓
JP4089248B2 (ja) エレベータかご室天井の改修方法
JP6469442B2 (ja) 照明器具
JP6656344B2 (ja) 照明器具
JP6448359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2018147711A (ja) 照明器具
KR20180002907U (ko)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코너 조명 어셈블리
JPH05325928A (ja) 電池取付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3557017B2 (ja) 天井埋込型照明器具
KR20240029879A (ko) 원터치 직착형 천장용 등기구
JP3511778B2 (ja) 照明器具
JP2021057263A (ja) 照明装置およびそ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2020187914A (ja) 取付具及び照明器具
JP2023096494A (ja) 照明器具、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の組立方法
JPS6286601A (ja) 照明器具
JPH05251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