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362B1 -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362B1
KR102288362B1 KR1020140156132A KR20140156132A KR102288362B1 KR 102288362 B1 KR102288362 B1 KR 102288362B1 KR 1020140156132 A KR1020140156132 A KR 1020140156132A KR 20140156132 A KR20140156132 A KR 20140156132A KR 102288362 B1 KR102288362 B1 KR 102288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image information
vehicle
st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128A (ko
Inventor
차봉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3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5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viewing traffic-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4Traffic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호 대기 상황에서 운전자가 신호를 주시하지 않아도 신호 바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 알람 시스템는 단말기의 전송 요청에 따라 차량의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상기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Driver Alarm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호 대기 상황에서 운전자가 신호를 주시하지 않아도 신호 바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전자는 운전시 전방을 계속 주시해야 하므로, 운전 행위와는 별개로 그 자체만으로도 피로가 유발될 수 있다.
운전자는 이러한 상태로 운전을 해야 하므로 운전 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피로가 누적되고, 누적된 피로로 인해 집중력이 분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운전자의 주의력 분산은 자칫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임시방편으로나마 운전자는 피로를 덜기 위해 신호 대기 상태에서 눈을 감는 등 잠시 쉴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럴 경우 뒤차의 경적, 교통 정체 등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신호 대기 상태에서 운전자가 눈을 감고 쉬더라도 운전자가 신호 바뀜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법의 일환으로서, 차량에 영상처리장치, 표출장치 등을 별도로 장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예컨대,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영상 정보가 촬영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영상처리장치가 처리하고,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처리된 영상 정보를 표출장치가 운전자에게 표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는 신호 대기 상태에서 눈을 감고 있더라도 신호가 바뀐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차량에 별도의 영상처리장치 및 표출장치 등을 장착해야 하는 경우 생산 단가가 많이 증가하므로, 차량의 판매 가격 또한 상승하게 되어 실제 이러한 방법을 차량에 적용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영상처리장치 및 표출장치의 장착 없이, 신호 대기 상황에서 운전자가 신호를 주시하지 않아도 신호 바뀜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운전자 알람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신호등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정보 수신부,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알람 서비스 앱의 실행 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에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영상정보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정지 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정보, 및 속도 정보 또는 휠 펄스 정보가 포함된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시동 온 상태에서 정지 상태이면 상기 영상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영상 정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정보 수신부는 상기 카메라와 이더넷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운전자 알람 시스템의 운전자 알람 방법은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알람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에 연결하는 단계, 연결된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운전자의 단말로부터의 영상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운행 중 정지 상태로 판단될 때 차량으로부터 촬영된 신호등 촬영 영상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단말이 수신된 상기 신호등 촬영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상기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판별된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가 진행 상태인 경우,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운전자에게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통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신호등이 촬영된 영상 정보로부터 교통 신호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교통 신호 영역 중 신호등 색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영상처리장치, 표출장치의 장착 없이도 신호 대기 상황에서 운전자가 신호를 주시하지 않아도 신호 바뀜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운전자가 신호 바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발생할 수도 있는 뒤 차의 경적, 교통 체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신호 대기 상황에 운전자가 신호를 주시하지 않아도 신호 바뀜을 알 수 있으므로, 눈을 감고 잠시 휴식을 취하는 등 운전자가 신호 대기 상황을 자신에게 유익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알람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운전자 알람을 위해 도 1의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운전자 알람을 위해 도 1의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알람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알람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알람 시스템은 게이트웨이(100), 단말기(200) 및 카메라 모듈(300)을 포함한다.
게이트웨이(100)는 이더넷 모듈(110), 무선통신모듈(120), 유선통신모듈(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이더넷 모듈(110)은 근거리 유선통신의 하나인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300)과 통신한다.
무선통신모듈(120)은 와이 파이 등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유선통신모듈(130)은 CAN 등 차량용 유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SMK(Smart Key System, 400), EMS(Engine Management System, 500) 및 ABS(Anti-lock Brake System, 600)와 통신한다.
제어부(140)는 단말기(200)에 의해 전송된 영상 정보 전송 요청 신호가 무선통신모듈(120)을 통해 수신되면, 유선통신모듈(130)을 통해 SMK(400)에 시동 정보, EMS(500)에 속도 정보 및 ABS(600)에 휠 펄스(wheel pulse) 정보 등을 요청한다.
제어부(140)는 유선통신모듈(130)을 통해 SMK(400)로부터 수신된 시동 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유선통신모듈(130)을 통해 EMS(500)로부터 수신된 속도 정보 및 ABS(600)로부터 수신된 휠 펄스 정보 등을 토대로 차량의 정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차량이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신호 대기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 이더넷 모듈(110)을 통해 카메라 모듈(300)에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이더넷 모듈(110)을 통해 카메라 모듈(300)이 차량 전방 신호등을 촬영하고,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카메라 모듈(300)로부터 전송된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가 이더넷 모듈(110)을 통해 수신되면, 이더넷 모듈(110)을 통해 수신된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무선통신모듈(120)을 통해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된 영상 정보 전송 중지 요청 신호가 무선통신모듈(120)을 통해 수신되면, 이더넷 모듈(110)을 통해 카메라 모듈(300)로부터 수신된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무선통신모듈(120)을 통해 단말기(200)에 전송하지 않으며, 이더넷 모듈(110)을 통해 카메라 모듈(300)에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중지를 요청한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이더넷 모듈(110)을 통해 카메라 모듈(300)이 차량 전방 신호등에 대한 촬영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유선통신모듈(130)을 통해 EMS(500)로부터 수신된 속도 정보 및 ABS(600)로부터 수신된 휠 펄스 정보 등을 토대로 차량이 정지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주행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 이더넷 모듈(110)을 통해 카메라 모듈(300)에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중지를 요청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유선통신모듈(130)을 통해 SMK(400)로부터 수신된 시동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주차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 이더넷 모듈(110)을 통해 카메라 모듈(300)에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중지를 요청한다.
한편,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휴대한 스마트 폰 등일 수 있다.
단말기(200)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 의해 조작에 따라 알람 서비스 앱을 실행한다.
단말기(200)는 알람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근거리 무선통신(와이 파이 등)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00)에 연결을 시도한다.
단말기(200)는 근거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00)에 연결되면, 게이트웨이(100)에 영상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단말기(200)는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게이트웨이(1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한다.
단말기(200)는 판별된 교통 신호의 상태가 진행 상태(청색 신호 등)인 경우,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교통 신호의 상태가 진행 상태인 것을 통지한다.
단말기(200)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알람 서비스 앱이 종료되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00)에 영상 정보 전송 중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카메라 모듈(300)은 차량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들을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300)은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을 요청받으면, 차량 전방의 신호등을 촬영한다. 카메라 모듈(300)은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00)에 전송한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300)은 게이트웨이(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들을 이용하여 차량 전방의 신호등을 촬영하고,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00)에 전송한다.
또한, 카메라 모듈(300)은 게이트웨이(100)로부터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중지를 요청받으면, 차량 전방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100)에 전송하지 않으며, 차량 전방 신호등에 대한 촬영을 중지한다.
예컨대, 카메라 모듈(300)은 게이트웨이(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 전방에 장착된 카메라들을 이용한 차량 전방의 신호등 촬영을 중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영상처리장치, 표출장치의 장착 없이도 신호 대기 상황에서 운전자가 신호를 주시하지 않아도 신호 바뀜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운전자가 신호 바뀜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발생할 수도 있는 뒤 차의 경적, 교통 체증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신호 대기 상황에 운전자가 신호를 주시하지 않아도 신호 바뀜을 알 수 있으므로, 눈을 감고 잠시 휴식을 취하는 등 운전자가 신호 대기 상황을 자신에게 유익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전자 알람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운전자 알람을 위해 도 1의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는 동작 모드가 슬립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로 전환되면,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0).
예컨대, 게이트웨이는 엔진 시동시 동작 모드를 아이들 모드로 전환하고, 엔진 발전시 아이들 모드를 유지하며, 엔진 발전 정지시 슬립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게이트웨이는 엔진 발전 등과 무관하게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동작 모드를 슬립 모드 및 아이들 모드로 번갈아가며 전환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아이들 모드에서 단말기로부터 연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한 연결을 위해 단말기에 자신의 ID를 전송한다(S201).
게이트웨이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 전송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2).
확인결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게이트웨이는 차량용 유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SMK에 시동 정보, EMS에 속도 정보 및 ABS에 휠 펄스(wheel pulse) 정보 등을 요청한다.
게이트웨이는 차량용 유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SMK, EMS 및 ABS로부터 시동 정보, 속도 정보, 휠 펄스 정보를 각각 수신한다(S203).
게이트웨이는 SMK로부터 수신된 시동 정보를 토대로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4).
판단결과, 차량이 시동 온 상태이면, 게이트웨이는 EMS로부터 수신된 속도 정보 및 ABS로부터 수신된 휠 펄스 정보 등을 토대로 차량의 정지 여부를 판단한다(S205).
판단결과,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게이트웨이는 차량이 신호 대기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에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을 요청한다(S206).
게이트웨이는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송된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하고,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수신된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에 전송한다(S207).
게이트웨이는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 전송 중지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8).
확인결과,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 전송 중지 요청 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수신하면, 게이트웨이는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한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고,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에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중지를 요청한다(S209).
한편, 게이트웨이는 단계(S204) 판단결과, 차량이 시동 오프이면, 차량이 주차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여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에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중지를 요청한다(S209).
또한, 게이트웨이는 단계(S205) 판단결과, 차량이 정지 상태가 아니면, 차량이 주행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고, 이더넷 방식을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에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중지를 요청한다(S209).
도 3은 운전자 알람을 위해 도 1의 단말기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는 화면에 표출된 알람 서비스 앱(App.)의 아이콘이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면 알람 서비스 앱을 실행한다(S300).
여기서 알람 서비스 앱은 앱 스토어 등에서 다운로드 받아 기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는 알람 서비스 앱의 실행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에 연결을 시도한다(S301).
예컨대, 단말기는 연결 요청 신호를 게이트웨이에 전송하고, 전송한 연결 요청 신호에 따라 게이트웨이로부터 게이트웨이의 ID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게이트웨이의 ID를 수신하면, 단말기는 게이트웨이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단말기는 근거로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된 게이트웨이에 영상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02).
단말기는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의 전송 요청에 따라 게이트웨이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된 신호등을 촬영한 영상 정보를 처리하여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한다(S303).
판별결과, 교통 신호의 상태가 진행 상태(청색 신호 등)인 경우(S304), 단말기는 교통 신호의 상태가 진행 상태로 변경된 것을 인지한다. 교통 신호의 상태가 진행 상태인 것을 인지한 단말기는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교통 신호의 상태가 진행 상태인 것을 통지한다(S305).
단말기는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알람 서비스 앱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6).
확인결과, 알람 서비스 앱이 종료되면, 단말기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에 영상 정보 전송 중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307).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게이트웨이 110 : 이더넷 모듈
120 : 무선통신 모듈 130 : 유선통신 모듈
140 : 제어부 200 : 단말기
300 : 카메라 모듈

Claims (10)

  1.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신호등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영상정보 수신부;
    상기 영상 정보를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이 정지 상태이면, 상기 단말기가 상기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된 결과에 따라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지할 수 있도록 상기 영상 정보를 상기 통신부에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알람 서비스 앱의 실행 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에 연결을 시도하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영상정보 수신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알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로 상기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인 운전자 알람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지 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량정보를 획득하는 차량정보 획득부
    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알람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시동 정보, 및 속도 정보 또는 휠 펄스 정보가 포함된 상기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시동 온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차량이 시동 온 상태에서 정지 상태이면 상기 영상정보 수신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영상 정보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
    인 운전자 알람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 수신부는 상기 카메라와 이더넷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정보를 송수신하는 것
    인 운전자 알람 시스템.
  6.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알람 서비스 앱이 실행되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에 연결하는 단계;
    연결된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운전자의 단말로부터의 영상 정보 전송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운행 중 정지 상태로 판단될 때 차량으로부터 촬영된 신호등 촬영 영상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운전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운전자의 단말이 수신된 상기 신호등 촬영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및
    판별된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상기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전자 알람 시스템의 운전자 알람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단계는 판별된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가 진행 상태인 경우, 시각, 청각 및 촉각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운전자에게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통지하는 단계인 것
    인 운전자 알람 시스템의 운전자 알람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는,
    수신된 상기 신호등이 촬영된 영상 정보로부터 교통 신호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 및
    분리된 교통 신호 영역 중 신호등 색 영역을 기반으로 상기 교통 신호의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운전자 알람 시스템의 운전자 알람 방법.



KR1020140156132A 2014-11-11 2014-11-11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 KR102288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32A KR102288362B1 (ko) 2014-11-11 2014-11-11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132A KR102288362B1 (ko) 2014-11-11 2014-11-11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28A KR20160056128A (ko) 2016-05-19
KR102288362B1 true KR102288362B1 (ko) 2021-08-10

Family

ID=5610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132A KR102288362B1 (ko) 2014-11-11 2014-11-11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006A (ko) * 2016-12-20 2018-06-29 주식회사 경신 차량의 신호등 정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745B1 (ko) 2009-03-19 2011-05-24 이상근 신호등의 예상 점등시간을 제공하는 교통정보시스템
KR101315218B1 (ko) * 2011-08-02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신호등의 신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229B1 (ko) * 2010-12-30 2013-10-30 (주)세미솔루션 아이피 카메라 겸용 다안식 차량용 영상저장 장치
KR20130077623A (ko) * 2011-12-29 2013-07-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행 안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401063B1 (ko) * 2012-08-30 2014-05-29 한국과학기술원 차량 이동 경로 제공 단말기 및 방법과, 이를 사용한 차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745B1 (ko) 2009-03-19 2011-05-24 이상근 신호등의 예상 점등시간을 제공하는 교통정보시스템
KR101315218B1 (ko) * 2011-08-02 201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신호등의 신호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28A (ko)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24025A1 (en) Method for making a remotely operated control of a motor vehicle secure using a mobile terminal
JP2020102252A (ja) 運転者監視システム
WO2014020727A1 (ja) 運転支援装置
US9577720B2 (en) In-vehicle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wear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529767A (ja) 車両の機能を遠隔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955099B1 (ko) 주차위치파악시스템 및, 이 주차위치파악시스템을 구비한 주차단속알림시스템
KR20150022350A (ko) 야간 카메라 영상 저장 장치 및 그 영상 저장 방법
CN111532259A (zh) 汽车的遥控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0277420A (ja) 駐車場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車載用装置
JP2016036067A (ja) スマートパーキングアシストシステム
JP2016143407A (ja) 携帯型車両制御装置、車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2010148247A (ja)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
CN107415940A (zh) 停车区指示设备、停车辅助系统和方法
KR101080219B1 (ko)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JP2015035181A (ja) 遠隔走行制御システム、遠隔走行制御器及び車載走行制御装置
CN112612281A (zh) 汽车的泊车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288362B1 (ko) 운전자 알람 시스템 및 방법
CN108622017A (zh) 用于使用远程操作装置来执行机动车自动驾驶过程的方法
JP2010141822A (ja) 監視カメラ装置
KR100870463B1 (ko) 즉시 후방감시기능을 갖는 차량용 a/v 장치
KR101510766B1 (ko) 비상호출 및 다기능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모니터링 디브이알(dvr) 시스템
KR101476678B1 (ko) 차량용 미러 일체형 카메라 송수신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44953B1 (ko) 가시광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844243B1 (ko)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한 운전자 상태 확인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93433A (ko) 차량용 단말기의 화면 밝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