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999B1 -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을 구비한 촉매 컨버터 - Google Patents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을 구비한 촉매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999B1
KR102287999B1 KR1020197026058A KR20197026058A KR102287999B1 KR 102287999 B1 KR102287999 B1 KR 102287999B1 KR 1020197026058 A KR1020197026058 A KR 1020197026058A KR 20197026058 A KR20197026058 A KR 20197026058A KR 102287999 B1 KR102287999 B1 KR 10228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ng
catalytic converter
metal foil
layer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636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팝스트
피터 히르트
Original Assignee
씨피티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피티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씨피티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03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characterised by structure, by material or by manufacturing of catalyst support
    • F01N3/2807Metal other than sintered metal
    • F01N3/281Metallic honeycomb monoliths made of stacked or rolled sheets, foils or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72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the assembly using stamp-formed parts or otherwise deformed sheet-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0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 F01N3/2013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using electric or magnetic heating means
    • F01N3/2026Periodically heating or cooling catalytic reactors, e.g. at cold starting or overheating using electric or magnetic heating means directly electrifying the catalyst substrate, i.e. heat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atalyst substrate by joule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02Metallic plates or honeycombs, e.g. superposed or rolled-up corrugated or otherwise deformed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02Metallic plates or honeycombs, e.g. superposed or rolled-up corrugated or otherwise deformed sheet metal
    • F01N2330/04Methods of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30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 F01N2330/32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number of corrugations of plates, sheets or f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30/00Structure of catalyst support or particle filter
    • F01N2330/30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 F01N2330/42Honeycomb support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al details made of three or more different sheets, foils or plates stacked one on the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Catalyst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배기가스 후처리를 위한 벌집형 요소 및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13, 30)을 포함하는 촉매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가열판(13, 30)은, 층 적층물(1, 32)을 형성하도록 서로 겹쳐서 적층되고 그런 다음 복수의 유동 덕트(6)를 갖는 벌집형 요소를 형성하도록 권취되는 복수의 금속 포일(2, 3, 4, 5, 17, 20)로 형성된다. 절연 수단(7, 10, 16, 26, 33)은 가열판(13, 30)에 형성되며, 절연 수단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 코일 금속 포일(2, 3, 4, 5, 17, 20) 사이에서 전기 절연이 달성된다.

Description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을 구비한 촉매 컨버터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의 배기가스의 후처리를 위한 벌집형 구조 및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을 포함하는 촉매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가열판은, 층 적층물(layer stack)을 형성하도록 서로 겹쳐서 적층되고 복수의 유동 덕트를 갖는 벌집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최종적으로 권취되는 복수의 금속 포일로 형성된다.
복수의 상이한 촉매 컨버터에 더하여, 배기가스 유동의 목표 가열을 위해 사용되는 가열 요소를 갖는 내연 기관의 배기가스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냉 시동 후에, 배기가스의 후처리를 효과적으로 시작할 수 있는데 필요한 온도 레벨로 배기가스 온도를 더욱 빠르게 증가시키는데 필요하다.
특히 구조화 및 비구조화된 금속 포일로 구성된 권취된 층 적층물로 형성된 가열판의 형태를 하는 다양한 가열 요소가 공지되어 있다. 가열판은 가열판을 통해 전도되는 전류에 의한 옴 저항(ohmic resistance)을 사용하여 가열된다.
가열판 내에서 유도된 전류 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해, 권취된 금속층이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만 한다. 금속층이 권취되기 전에, 금속층 사이에 스페이서가 삽입되는 디바이스가 공지되어 있다. 스페이서는 권취 작업 후에 다시 제거되어, 금속층을 이격시키고 전기 절연을 생성하는 공기 갭을 유발한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단점은 특히 스페이서를 제거하기 위해 추가의 작업 단계가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또한, 스페이서를 제거할 때 실제 가열판에 대한 손상이 발생한다. 아울러, 가열판이 대응하는 화학 코팅을 가지면, 가열을 위하고 배기가스의 촉매 변환을 위한 가열판의 활성 표면에서의 감소가 일어난다.
통상적으로 금속층의 권취 사이의 공기 충전 갭을 충전하는 스페이서 및 절연 수단의 사용은 그 결과 가열판을 통한 배기가스의 유동 및 하류에 배열된 촉매 컨버터가 부정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불리하다. 또한, 배기가스 시스템에서의 고온 역학 및 강한 기계적 부하 때문에 대안적인 스페이서 또는 대안적인 절연 재료가 가열판에 남겨지는 것이 어려우며, 이것은 매우 높은 비용과 관련되고, 결함의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는 가열판으로서 설계된 가열 요소를 갖는 촉매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며, 촉매 컨버터는 최적화된 설계를 가지며, 특히 목표 전류 흐름이 실현될 수 있기 위하여 가열판에서의 금속층의 서로로부터의 절연이 개선된다.
촉매 컨버터와 관련된 문제는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촉매 컨버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내연 기관의 배기가스 후처리를 위한 벌집형 구조 및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을 포함하는 촉매 컨버터에 관한 것으로, 가열판은, 층 적층물을 형성하도록 서로 겹쳐서 적층되고 복수의 유동 덕트를 갖는 벌집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최종적으로 권취되는 복수의 금속 포일로 형성되며, 가열판에는 절연 수단이 배열되며, 전기 절연이 절연 수단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권취된 금속 포일 사이에 형성된다.
절연 수단은 층 적층물을 권취한 결과로서 서로 접촉하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 금속층을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목적에 기여한다. 이것은 균일한 가열을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가열판의 저항률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기 위하여 한정된 전류 경로를 발생시키는데 필요하다. 권취 작업에 의해 발생된 전체 벌집형 구조가 완전히 전기적으로 전도성의 상호 연결 영역이었으면, 벌집형 구조를 통한 전류 전도는 이를 테면 임의적으로 및 무작위로 발생하며, 그러므로 가열판에서의 전류 경로의 각각의 옴 저항은 사실상 사전에 결정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결과, 한정된 전류 세기에서 달성될 온도의 결정이 또한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절연 수단의 능숙한 도입을 통하여, 공지된 전류 경로에 의해 한정된 옴 저항으로 사전 결정 가능한 가열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공지된 전류 세기의 전류가 한정된 방식으로 도입될 수 있는 정확히 한정 가능한 전류 경로를 발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가열판에 의해 점유된 전체 부피가 또한 배기가스의 촉매 처리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면, 그리고 점유된 전체 부피에 대한 가열판의 표면이 가능한 크면 특히 유익하다. 가열판에 의해 발생된 압력 손실은 가능한 한 낮아야 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배기가스가 관통하여 유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능한 적은 수의 요소를 가열판이 가지면 특히 유익하다.
이 시점에서, 금속층과 금속 포일이라는 용어는 동의어로 사용되며, 동일한 요소가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되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당해 절연 수단은 바람직하게 층 적층물에서 사용된 금속 포일 상의 코팅에 의해 구성된다.
절연 수단이 절연층이 코팅된 금속 포일에 의해 형성되면 특히 유익하다. 특히 유익한 층은 예를 들어 화학적 또는 물리적 공정에 의해 도포되고, 한편으로는 전기 절연을 초래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금속 포일의 재료의 기본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층이다. 특히, 금속 포일의 열 감도는 증가되지 않아야 한다. 예를 들어 권취 작업을 위해 요구되는 금속 포일의 유연성이 또한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더욱이, 전기 절연 코팅은 유익하게 이것이 내구성이 있는 방식으로, 그리고 매우 역학적인 열적 및 기계적 부하 하에서도 절연층에 대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층 적층물이 교대 방식으로 서로 겹쳐서 적층된 복수의 구조화된 금속 포일 및 복수의 평활한 금속 포일로 형성되면 유익하며, 층 적층물의 최상부 가장자리층(uppermost edge layer) 및 최하부 가장자리층(lowermost edge layer)이 층 적층물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표면 상에 절연층을 갖는다.
특히, 층 적층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가장자리층의 외측 표면 상의 코팅은 이러한 코팅이 권취 작업 동안 층 적층물의 다른 층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유익하다. 그러므로, 가장자리층의 전기 절연 코팅은 미권취 상태에서 층 적층물의 높이에 대응하는 권취 상태에서의 반경 방향 두께를 갖는 전류 경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층 적층물의 높이와 깊이에 의해 한정되는 매우 정확하게 한정 가능한 전류 경로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한정된 전류 경로 및 정확하게 결정 가능한 옴 저항을 갖는 가열판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발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층 적층물의 최상부 가장자리층 및 최하부 가장자리층이 평활한 금속 포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주름진 가장자리층이 서로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권취 작업의 결과로서 서로 접촉하는 층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에 대한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층 적층물의 권취에 특히 유익하다. 이것은 가열판의 특히 빽빽한 권취를 가능하게 한다.
절연층이 코팅된 금속 포일이 금속 포일을 납땜하기 위한 접착 촉진제 및 땜납층을 절연층 상에 가지면 또한 바람직하다.
땜납은 또한 권취 층을 또한 서로 연결할 수 있기 위해 유익하다. 납땜 방법은 많은 접촉 지점에서 동시에 일체로 본딩된 연결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접착 촉진제는 예를 들어 땜납을 절연층에 고정시키는 화학제일 수 있다. 세라믹 재료를 위한 접착 베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금속층이 절연층에 도포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에어로졸 침착 및/또는 화염 분사에 의해 절연층이 금속 포일에 도포되면 또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절연층이 금속 포일에 직접 도포되기 때문에, 접착 촉진제는 명시적으로 생략될 수 있다.
더욱이, 층 적층물이 적어도 하나의 중심 회전 지점 주위에 권취되면 유익하며, 가장자리층 상의 2개의 절연층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지는 나선형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또한, 층 적층물의 최상부 가장자리층 및 최하부 가장자리층에 추가하여, 층 적층물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중간층이 적어도 한쪽 측면에 절연층을 가지면 유익하다. 이것은 전류 경로가 이러한 방식으로 더욱 세분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다. 그러므로, 절연 중간층의 구성에 의존하여, 서로 완전히 분리된 전류 경로 또는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분리된 전류 경로가 층 적층물 내에서 발생될 수 있다.
전류 경로가 절연 중간층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서로 분리된 전류 경로로 부분적으로 세분되면 또한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임계 영역에서의 전류 흐름을 보다 양호하게 안내할 수 있기 위해 특히 유익하다. 이것은 특히 국부적으로 높은 전류 흐름으로 인해 과도한 가열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는 과열점(hotspot)을 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류가 최소 저항의 경로를 추구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열점은 특히 내부의 작은 굽힘 반경 영역에서의 꼬임 지점(kink point)과 빽빽한 굽힘(tight bend)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그러나, 전류가 전류 경로의 전체 폭에 걸쳐서 균일하게 흐르지 않기 때문에, 더욱 큰 전류 흐름이 더욱 빽빽한 굽힘 반경의 영역에서 발생한다.
전류 흐름은 절연 중간층에 의해 목표된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이러한 불균일한 분포가 회피되거나 적어도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가열판의 보다 균질한 가열을 달성하기 위해 유익하다.
더욱이, 중간층 상의 절연 중간층 자체 또는 절연층이 외측 상부 가장자리층 및 외측 하부 가장자리층 상의 절연층보다 짧은 규모(extent)를 가지면 유익하다. 이것은 도입 지점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는 전류 경로를 실제로 발생시키기 위해 특히 유익하지만, 실제 전류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목적을 위해, 전류 경로를 대응하게 구성할 수 있기 위하여 특히 유익하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주 전류 경로 내에서의 전류 흐름은 예를 들어 더욱 균일한 가열을 발생시키도록 부분적으로 더욱 양호하게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접착 촉진제가 제공되고 금속 포일 중 하나 이상에 도포되고 금속 포일이 권취된 재료에 의해 절연 수단이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얇은 세라믹일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오직 세라믹 코팅만일 수 있다. 절연 수단은 유익하게 절연 수단에 의해 점유된 설치 공간을 가능한 작게 유지하기 위해 대략 나머지 금속 포일만큼 얇다. 절연 수단은 또한 권취 작업 동안 손상되지 않도록 금속 포일과 유사한 유연성을 갖는다.
접착 촉진제가 제공된 재료가 그린 세라믹(green ceramic)에 의해 형성되면 추가적으로 유익하다.
본 발명의 유익한 전개는 종속항 및 도면의 다음 설명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다음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복수의 주름층 및 복수의 평활 층을 갖는 층 적층물을 통한 단면도로서, 층 적층물의 가장자리층이 그 외측 표면 상에 절연층을 갖는 단면도;
도 2는 전기 절연 코팅을 구비하는 가장자리층을 갖는 층 적층물의 사시도;
도 3은 전기 절연 코팅을 구비하는 가장자리층을 갖는 층 적층물의 사시도;
도 4는 권취된 층 적층물로 이루어지고, 도입 지점을 갖는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가열판의 도면으로서, 전류가 도입 지점을 통해 가열판의 전류 경로 내로 도입될 수 있는 도면;
도 5는 가열판의 상세도로서, 특히 권취 작업의 결과로서 현저한 굽힘 또는 꼬임을 전류 경로가 갖는 영역이 도시되는 상세도; 및
도 6은 가열판을 형성하도록 권취된 층 적층물의 상세도로서, 전류 경로를 복수의 영역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분하는 전기 절연 중간층이 제공되는 상세도.
도 1은 층 적층물(1)을 통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층 적층물(1)은 교대 방식으로 서로 겹쳐서 적층된 복수의 주름진 금속 포일(2) 및 복수의 평활한 금속 포일(3)로 형성된다. 배기가스가 흐를 수 있는 복수의 유동 덕트(6)가 금속 포일(2, 3) 사이에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금속 포일(2, 3)은 예의 방식에 의한 것이며 금속 포일의 선택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부 가장자리층(4) 및 하부 가장자리층(5)은 모두 평활한 금속 포일(3)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외부 측면 상에서, 이것들은 층 적층물을 상부 및 저부에 대해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갖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기 절연 재료는 예를 들어 가장자리층(4, 5)에 도포될 수 있다.
도 2는 가장자리층(4, 5) 중 하나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평활한 금속 포일(3) 및 그 아래에 배열된 주름진 금속 포일(2)이 보여질 수 있다. 절연층(7)은 가장자리층(4, 5)에 도포된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땜납 재료(9)를 절연층(7)에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 촉진제(8)가 도 2에 도시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다층 구성은 먼저 층 적층물의 전기 절연을 보장하고, 또한 후속적으로 권취된 층 적층물의 납땜이 벌집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대안적인 층 적층물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절연층(10)은 주름진 금속 포일(2)에 도포되고, 그 위로 향한 표면 및 그 아래로 향한 표면 모두에 접착 촉진제(11)를 갖는다. 아래로 향한 접착 촉진제(11)는 절연층(10)을 주름진 금속 포일(2)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로 향한 접착 촉진제(11)는 땜납 재료(12)를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절연층(10)은 예를 들어 세라믹 재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권취된 층 적층물(1)로 형성된 완성된 가열판(13)의 도면을 도시한다. 권취된 층 적층물(1)은 하우징(14) 내로 삽입되고, 납땜 작업에 의해, 권취된 층 적층물은 하우징(14)에 고정되며, 개별 층들은 가장자리층들에 도포된 땜납 재료에 의해 서로에 대해 고정된다.
하우징(14)을 관통하고 권취된 층 적층물(1)에 대한 전기 전도성 연결을 발생시키는 도입 지점(15)이 또한 도시되어 있다. 전류는 상기 도입 지점을 통해 층 적층물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권취된 층 적층물(1)은 절연층(16)이 코팅된 가장자리층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주름진 및 평활한 금속 포일(17)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경우에 절연층(16)이 코팅된 가장자리층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지는 나선형으로 연장된 전류 경로(18)가 발생된다.
도 5는 도 4의 권취된 층 적층물(1)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특히 층 적층물(1)의 권취가 그 주위에서 발생되는 층 적층물(1)의 중심에서의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층 적층물(1)이 2개의 권취 맨드릴 주위에서 권취되었기 때문에, 권취가 그 주위에서 발생한 영역에서의 층 적층물(1)에 대해 s자 형상의 프로파일이 초래된다.
가장자리층(20) 상의 절연층에 의해 범위가 정해지는 전류 경로(19)가 좌측 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전류가 최소 저항의 경로를 선택하기 때문에, 전류는 주로 전류 경로(19)를 통해 가능한 가장 짧은 루트를 통해 흐를 것이다. 이것은 특히 꼬임(22, 23)의 영역에서, 과열점이 증가된 전류 흐름에 의해 꼬임(22, 23)의 외측 영역(24, 25)보다 더욱 강하게 가열되는 꼬임(22, 23)의 내측면에 과열점(21)이 형성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것은 가열판에서 불리한 비균질한 열 분포로 이어지며, 그러므로 피해야 한다.
도 5의 우측 부분은 가장자리층 상의 절연층에 더하여, 추가의 절연층이 권취된 층 적층물의 중심에 있는 중간층(26) 상에 형성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추가의 절연층(26)은 전류 경로를 2개의 영역(27, 28)으로 세분하고, 이에 의해 적어도 좌측 꼬임의 외측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27)에서 흐르는 전류가 보다 빽빽한 굽힘 반경의 직접적인 영역에서 흐르지 않으며, 그러므로 후자를 증가된 정도로 가열한다. 이에 의해, 추가의 절연층(26)은 이를테면 전류를 위한 가드 레일(guard rail)을 형성하고, 그러므로 꼬임 지점의 영역에서, 특히 과열점(21)이 도 5의 좌측 부분에서 형성된 빽빽한 굽힘 반경의 영역에서 전류 흐름의 보다 양호한 분포를 생성한다.
도 6은 가열판(3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전류는 절반부 외피(31)를 통해 권취된 층 적층물(32) 내로 도입된다. 층 적층물(32)은 그 내부에서 주름층과 평활 층 사이에서 중앙에 배열된 절연층(33)을 갖는다. 절연층(33)은 사용된 층의 나머지보다 상당히 짧은 규모를 갖는다. 이것은 전류 도입의 영역에서, 개별 층들 사이에서 어떠한 절연도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직 절연층(33)의 시작으로부터, 층 적층물에 의해 형성된 전류 경로(34)는 2개의 서브 경로(35, 36)로 세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절연층(33)은 특히 층 적층물이 그 주위에서 권취된 권취 중심의 부근에서 전류 경로(34)의 분할을 발생시킨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류 경로를 훨씬 더욱 미세하게 분할하는 복수의 절연층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것은 가능한 균질한 분포를 얻기 위해 전류 경로가 얼마나 정확하게 분할되어야 하는지에 상당히 의존한다.
개별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이한 특징은 또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특히 제한적인 특성이 아니라 본 발명의 개념을 예시하는 역할을 한다.

Claims (12)

  1. 내연 기관의 배기가스의 후처리를 위한 벌집형 구조 및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13, 30)을 포함하는 촉매 컨버터로서, 상기 가열판(13, 30)은, 층 적층물(layer stack)(1, 32)을 형성하도록 서로 겹쳐서 적층되고 복수의 유동 덕트(6)를 갖는 벌집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최종적으로 권취되는 복수의 금속 포일(2, 3, 4, 5, 17, 20)로 형성되되,
    상기 가열판(13, 30) 내에는 절연 수단(7, 10, 16, 26, 33)이 배열되며, 상기 절연 수단을 통하여 적어도 2개의 서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권취된 금속 포일(2, 3, 4, 5, 17, 20) 사이에 전기 절연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수단은, 접착 촉진제가 제공되고 상기 금속 포일 중 하나 이상에 도포되고 상기 금속 포일이 권취된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절연 수단(7, 10, 16, 26, 33) 중 절연층(10)은 상기 금속 포일(2)에 도포되고, 상기 절연층은 위로 향한 표면과 아래로 향한 표면 모두에 상기 접착 촉진제를 가지며, 아래로 향한 상기 접착 촉진제는 상기 절연층을 상기 금속 포일에 부착시키고, 위로 향한 상기 접착 촉진제는 땜납 재료를 상기 절연층에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수단(7, 10, 16, 26, 33)은 절연층이 코팅된 금속 포일(7, 10, 16, 26, 3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 적층물(1)은 교대 방식으로 서로 겹쳐서 적층된 복수의 구조화된 금속 포일(2) 및 복수의 평활한 금속 포일(3)로 형성되며, 상기 층 적층물(1)의 최상부 가장자리층(4)과 최하부 가장자리층(5)은 상기 층 적층물(1)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표면 상에 절연층(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층 적층물(1)의 최상부 가장자리층(4)과 최하부 가장자리층(5)은 평활한 금속 포일(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5. 제1항에 있어서, 절연층(7, 10)이 코팅된 상기 금속 포일(2, 3)은 상기 금속 포일(2, 3)을 납땜하기 위한 접착 촉진제(8, 11) 및 상기 땜납 재료로 이루어진 땜납층(12)을 상기 절연층(7, 10) 상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에어로졸 침착 또는 화염 분사에 의해 상기 금속 포일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층 적층물(1, 32)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회전 지점 주위에 권취되고, 상기 최상부 가장자리층(4)과 상기 최하부 가장자리층(5) 상에서 2개의 절연층(7, 10)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범위가 정해지는 나선형 전류 경로(18, 19, 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층 적층물의 최상부 가장자리층(4)과 최하부 가장자리층(5)에 추가하여, 상기 층 적층물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중간층은 적어도 한쪽 측면에 절연층(7, 10, 16, 26, 3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경로(19, 34)는 상기 중간층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서로 분리된 전류 경로(27, 28, 35, 36)로 부분적으로 세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또는 상기 절연층(33)은 외측 상부 가장자리층 및 외측 하부 가장자리층 상의 절연층보다 짧은 규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컨버터.
  11. 삭제
  12. 삭제
KR1020197026058A 2017-03-03 2018-02-23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을 구비한 촉매 컨버터 KR102287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3546.3A DE102017203546B4 (de) 2017-03-03 2017-03-03 Katalysator mit elektrisch beheizbarer Heizscheibe
DE102017203546.3 2017-03-03
PCT/EP2018/054506 WO2018158148A1 (de) 2017-03-03 2018-02-23 Katalysator mit elektrisch beheizbarer heizschei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636A KR20190108636A (ko) 2019-09-24
KR102287999B1 true KR102287999B1 (ko) 2021-08-09

Family

ID=6156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058A KR102287999B1 (ko) 2017-03-03 2018-02-23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을 구비한 촉매 컨버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89091B2 (ko)
EP (1) EP3589825A1 (ko)
JP (1) JP6856764B2 (ko)
KR (1) KR102287999B1 (ko)
CN (1) CN110268145B (ko)
DE (1) DE102017203546B4 (ko)
WO (1) WO2018158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5096B2 (en) 2019-08-21 2022-01-04 Corning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niformly heating a honeycomb bod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8470B2 (ja) * 1995-08-08 2002-08-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金属箔のろう付けおよびハニカム体のろう付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0389A (en) * 1971-11-11 1973-11-06 Ford Motor Co Catalytic converter with electrically resistive catalyst support
DE8816514U1 (ko) 1988-04-25 1989-10-26 Emitec Emissionstechnologie
DE59100916D1 (de) * 1990-07-30 1994-03-03 Emitec Emissionstechnologie Elektrisch beheizbarer wabenkörper, insbesondere katalysator-trägerkörper, mit inneren tragstrukturen.
DE4111712A1 (de) 1991-04-10 1992-10-22 Emitec Emissionstechnologie Elektrisch leitfaehiger wabenkoerper
JP3000750B2 (ja) * 1991-09-20 2000-01-17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己発熱型フィルタ
US5140812A (en) * 1991-11-05 1992-08-25 W. R. Grace & Co.-Conn. Core for an electrically heatable catalytic converter
EP0567034B1 (en) * 1992-04-20 1996-02-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ally heatable catalytic converter
JP3260898B2 (ja) * 1992-04-20 2002-0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通電加熱式触媒コンバータ
US6109018A (en) * 1996-07-26 2000-08-29 Catalytica, Inc. Electrically-heated combustion catalyst structure and method for start-up of a gas turbine using same
JPH11253815A (ja) 1998-03-16 1999-09-21 Showa Aircraft Ind Co Ltd 電気加熱式触媒装置用メタル担体
DE19943846A1 (de) 1999-09-13 2001-03-15 Emitec Emissionstechnologie Vorrichtung mit Heizelement zur Abgasreinigung
KR100534081B1 (ko) * 2003-06-12 2005-12-07 일진전기 주식회사 지그를 이용한 전기히터 제작방법 및 그 전기히터
DE102007042618A1 (de) * 2007-09-07 2009-03-12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Oxidschicht auf einer metallischen Folie, Folie mit Oxidschicht und daraus hergestellter Wabenkörper
DE102010022503A1 (de) * 2010-06-02 2011-12-08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Komponente und Abgasbehandlungseinhei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Abgasbehandlungseinheit
JP6173349B2 (ja) * 2012-01-13 2017-08-02 エミテック ゲゼルシヤフト フユア エミツシオンステクノロギー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接続ピンに電気接続された多数のシートメタル層を有する電気加熱可能なハニカム体
DE102012000496A1 (de) 2012-01-13 2013-07-18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Elektrisch beheizbarer Wabenkörp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8470B2 (ja) * 1995-08-08 2002-08-26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金属箔のろう付けおよびハニカム体のろう付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56764B2 (ja) 2021-04-14
US10989091B2 (en) 2021-04-27
JP2020512501A (ja) 2020-04-23
US20190383193A1 (en) 2019-12-19
CN110268145B (zh) 2022-05-10
CN110268145A (zh) 2019-09-20
EP3589825A1 (de) 2020-01-08
DE102017203546A1 (de) 2018-09-06
WO2018158148A1 (de) 2018-09-07
KR20190108636A (ko) 2019-09-24
DE102017203546B4 (de)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8738B2 (ja) 排気ガス後処理用の電気加熱式加熱ディスク
CN104053876B (zh) 具有多个与连接销电连接的板层的能电加热的蜂窝体
JP4166832B2 (ja) 特に排気ガス触媒用の断熱体付きハニカム体
KR101454141B1 (ko) 2개의 배기 가스 처리 장치의 상호 연결부
US20120097659A1 (en) Honeycomb body heatable in multiple stages, method for heating a honeycomb body and motor vehicle
US8288688B2 (en) Electrically heatable honeycomb body with zones of increases resistance and motor vehicle with at least one honeycomb body
KR101234892B1 (ko) 반경방향으로 상이하게 형성된 연결점을 갖는 허니콤 몸체
KR102287999B1 (ko) 전기적으로 가열 가능한 가열판을 구비한 촉매 컨버터
US5643484A (en) Electrically heatable honeycomb body with resistance increased by slits
JP2015502244A (ja) 排ガス処理装置
KR0140266B1 (ko) 전기적으로 가열되는 엔진용 촉매 컨버터
JP3340865B2 (ja) 電気加熱式触媒装置用メタル担体
US20220161190A1 (en) Electrically heatable catalytic converter
CN112673154B (zh) 具有金属蜂窝体的催化转化器
CN112867851B (zh) 可电加热的加热盘
US11092051B2 (en) Metallic film having applied flat electrical conductor and honeycomb body produced using said film
CN111094714B (zh) 用于处理排气的催化转化器
JP2019536607A (ja) ハニカム体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