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7296B1 - 차광막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광막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296B1
KR102287296B1 KR1020200144616A KR20200144616A KR102287296B1 KR 102287296 B1 KR102287296 B1 KR 102287296B1 KR 1020200144616 A KR1020200144616 A KR 1020200144616A KR 20200144616 A KR20200144616 A KR 20200144616A KR 102287296 B1 KR102287296 B1 KR 102287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film
ceiling
chain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Priority to KR1020200144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차장을 포함하는 각종 구조물의 천장에 차광을 위해 설치되는 차광막을 자동을 개폐할 때에 차광막이 용이하게 이동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차광막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지면의 종/횡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지주 상부에 종/횡 방향으로 천장프레임을 설치하여 된 천장에 차광막을 설치하고 상기 차광막을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광막 개폐장치{Equipment For Open and Shut Shading Curtain}
본 발명은 세차장을 포함하는 각종 구조물의 천장에 차광을 위해 설치되는 차광막을 자동을 개폐할 때에 차광막이 용이하게 이동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차광막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프 세차장과 같은 옥외 지붕 구조물에 다양한 형태의 차광막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세차장의 구조물은 종/횡 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주들이 설치되고 그 지주들의 상부에 상부 프레임을 설치한 후 상기 상부 프레임상에 차광을 목적으로 차광막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차광막은 고정식이거나 또는 개폐식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식은 한번 설치하면 훼손될 때까지 사용하다가 훼손되면 교체하는 형태이고, 개폐식은 필요에 따라 상기 차광막을 수동 또는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 일 예로 날씨가 맑은 날에는 지붕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개방시켜 채광이 되도록 하거나 태풍 등으로 인하여 차광막이 위험할 경우에는 전부를 개방시켜 차광막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유사한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8754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0264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16443호 등에서 개폐 가능한 지붕을 갖는 지붕 구조물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지붕 구조물은 개방되는 지붕이 대각선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여서 지붕의 개방을 위해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개방시 지붕의 하부 측에 하중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차광막 개폐장치는 자동으로 차광막을 일부 또는 전부 개폐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6-0074175호 :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한국공개특허번호 제10-2004-0100600호 : 창호와 지붕 덮개 개폐 컨트롤 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광막을 개폐함에 있어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개폐도중 차광막이 일 측으로 치우침이 없이 차광막의 폭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개폐되고, 또 차광막이 개폐될 때에 차광막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차광막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 과제 해결 수단은,
지면의 종/횡 방향을 따라 설치된 지주(100) 상에 종/횡 방향으로 천장프레임(210)을 설치하여 된 천장(200)에 차광막(300)이 덮여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차광막의 후방 끝단 폭 방향으로는 차광막고정수단(400)이 설치되며, 상기 천장의 전방에는 차광막을 감거나 풀어주는 차광막권취수단(500)이 설치되고, 상기 천장의 후방에는 차광막을 당기거나 공급해주는 차광막공급수단(600)이 설치되며, 상기 지주 또는 지주와 인접된 위치에는 상기 차광막권취수단과 차광막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설치하여 된 차광막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장의 좌/우 양쪽 단부 길이방향으로는 "C"형 강의 가이드(411)가 설치되고, 상기 "C"형 강의 가이드 개방된 내측 상/하부에는 파이프(412)를 상기 "C"형 강의 가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된 가이드수단(410)이 설치되며,
상기 "C"형 강의 가이드(411) 내부에는 2개의 반원형 회전체(421)가 상기 상/하부 파이프(412)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게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호 마주보게 구비된 2개의 반원형 회전체 사이에는 차광막(300)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축(422)에 의해 상기 2개의 반원형 회전체와 차광막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차광막이동수단(420)이 상기 "C"형 강의 가이드(411)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광막권취수단(500)의 작동에 따라 차광막이 이동할 때에 그 이동되는 차광막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구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광막을 개폐함에 있어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개폐도중 차광막이 일 측으로 치우침이 없이 차광막의 폭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개폐되며, 또 차광막이 개폐될 때 차광막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에서 가이드수단과 차광막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에서 가이드수단과 차광막이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에서 차광막권취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에서 차광막권취수단의 발췌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에서 체인장력조절수단 발췌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에서 차광막공급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에서 차광막고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발췌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세차장 차광막 개폐장치 제어블록도.
본 발명은 세차장을 포함하는 각종 구조물의 천장에 차광을 위해 설치되는 차광막을 자동을 개폐할 때에 차광막이 용이하게 이동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한 차광막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의 종/횡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100) 상부에 종/횡 방향으로 천장프레임(210)을 설치하여 천장(200)을 마련하고, 그 천장의 상부 표면에 차광막(300)을 덮는 형태로 설치한 후 그 설치된 차공막(300)을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의 기본 구성은 아래와 같다.
- 아 래 -
지면의 종/횡 방향을 따라 설치된 지주(100) 상에 종/횡 방향으로 천장프레임(210)을 설치하여 된 천장(200)에 차광막(300)이 덮여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차광막의 후방 끝단 폭 방향으로는 차광막고정수단(400)이 설치되며, 상기 천장의 전방에는 차광막을 감거나 풀어주는 차광막권취수단(500)이 설치되고, 상기 천장의 후방에는 차광막을 당기거나 공급해주는 차광막공급수단(600)이 설치되며, 상기 지주 또는 지주와 인접된 위치에는 상기 차광막권취수단과 차광막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설치하여 된 차광막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장의 좌/우 양쪽 단부 길이방향으로는 "C"형 강의 가이드(411)가 설치되고, 상기 "C"형 강의 가이드 개방된 내측 상/하부에는 파이프(412)를 상기 "C"형 강의 가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된 가이드수단(410)이 설치되며,
상기 "C"형 강의 가이드(411) 내부에는 2개의 반원형 회전체(421)가 상기 상/하부 파이프(412)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게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호 마주보게 구비된 2개의 반원형 회전체 사이에는 차광막(300)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축(422)에 의해 상기 2개의 반원형 회전체와 차광막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차광막이동수단(420)이 상기 "C"형 강의 가이드(411)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광막권취수단(500)의 작동에 따라 차광막이 이동할 때에 그 이동되는 차광막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구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차광막(300)의 전방 끝단 폭(W) 방향으로는 천장프레임(210)의 전방 폭 방향으로 설치된 차광막권취롤(550)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차광막(300)의 후방 끝단 폭 방향으로는 천장프레임(210)의 후방에 설치된 차광막고정 바(44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차광막(300)의 단부를 차광막권취롤(550)과 차광막고정 바(440)에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차광막권취롤(5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차광막(300)이 이동하면서 천장을 덮거나 걷히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상기 차광막(300)의 단부가 차광막권취롤(550)과 차광막고정 바(440)에 고정 설치되면 차광막(300)이 평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이동함으로 펄럭이지 않고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차광막(300)이 천장으로부터 덮이거나 걷힐 때 차광막(30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덮이거나 걷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프레임(210)의 상부 길이방향(L)을 따라 가이드수단(410)과 차광막이동수단(420)이 설치된다.
상기의 가이드수단(410)은,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천장의 좌/우 양쪽 단부 길이방향으로는 "C"형 강의 가이드(411)가 설치되고, 상기 "C"형 강의 가이드(411) 개방된 내측 상/하부에는 파이프(412)를 상기 "C"형 강의 가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차광막이동수단(420)은, 상기 "C"형 강의 가이드(411) 내부에는 2개의 반원형 회전체(421)가 상호 마주보며 회전되게 축(422)을 관통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차광막(300)의 가장자리는 상기 2개의 반원형 회전체(421) 사이 축(422)에 고정 설치하여 차광막권취수단(500)의 작동에 따라 차광막(300)이 이동할 때에 그 이동되는 차광막(30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원활하게 이동된다.
상기 천장(200)에 덮이는 형태로 설치된 차광막(30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원활하게 이동하는 원리는, 상기 차광막이동수단(420)이 가이드수단(410)에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차광막(300)의 가장자리가 상기 2개의 반원형 회전체(421) 사이 축(422)에 고정 설치되어 차광막(300)을 당겨주기 때문에 차광막(30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또 상기 차광막(300)이 이동할 때에 상기 축(422)을 중심으로 2개의 반원형 회전체(421)가 상기 가이드수단(410)과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기 때문이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수단(410)의 구성에서 가이드(411)를 "C"형 강으로 하는 이유는, 차광막이동수단(4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가이드(411) 개방된 내측 상/하부에 파이프(412)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2개의 반원형 회전체(421)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면서 2개의 반원형 회전체(421)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축(422)에 차광막(300)의 가장자리를 고정설치하는 방법은, 축(422)이 차광막(300)의 가장자리를 관통하며 고정설치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차광막(300)의 가장자리를 축(42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면 모두 가능하다.
단 상기 축(422)에 고정 설치되는 차광막(300)의 가장자리는 견고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차광막(300)의 가장자리에 보강부재를 덧대어 봉제하거나 또는 차광막(300)의 가장자리를 복수 회 접어 봉제하는 방법으로 견고함을 부여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광막고정 바(440)에는, 그 차광막고정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차광막(300)의 폭 방향 단부를 고정하는 차광막고정부재(430)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되고, 그 차광막고정부재(430)는, 상부에는 상기 차광막고정 바(440)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구(431)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천장(20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르도록 천장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레일(433)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바퀴(432)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차광막고정부재(430)를 설치하는 이유는, 차광막(300)이 천장(200)으로부터 덮이거나 걷힐 때 또는 덮인 상태를 유지할 때 상기 차광막(300)의 후단부가 바람에 의해 펄럭이지 않고 견고한 상태에서 천장(200)으로부터 덮이거나 걷히고 또는 덮인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천장(200)에 설치된 차광막(300)의 상부 표면 전체에는 바람에 의해 차광막의 펄럭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와이어(D)가 상기 천장(20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르도록 천장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차광막(300)의 상부 표면을 지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천장의 전방에는 차광막(300)을 감거나 풀어주는 차광막권취수단(500)이 설치되는데, 그 차광막권취수단(50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도 내지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천장의 하부에 하부체인스프라켓(511)이 설치된 감속모터(51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체인스프라켓(511)의 상부에는 베어링블럭(520)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후방에 관통 홀(532)이 형성된 회전축(530)에 상부체인스프라켓(53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530)의 후방에는 상기 관통 홀(532)을 관통하는 관통 축(541)을 매개로 "ㄷ"자형 브래킷(540)이 연결설치된다.
단 상기 베어링블럭(520)에 의해 고정 지지되는 회전축(530)은 슬리브(521)에 끼워 설치되어 회전축(530)을 보호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ㄷ"자형 브래킷(540)의 후단에는 차광막(300)을 감거나 풀어주는 차광막권취롤(550)의 축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하체인스프라켓(511,531)에는 체인(560)이 설치되고, 상기 차광막권취롤(550)의 상부에는 차광막(300)을 상기 차광막권취롤(550)로 유도하는 차광막가이드바(570)가 설치되며, 상기 체인(560)의 일 측에는 체인(560)의 장력을 조절하는 체인장력조절수단(580)이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속모터(510)는 정역감속모터이고, 상/하체인스프라켓(511,531)에 체인(560)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정역감속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그 회전동력이 체인(560)과 상/하체인스프라켓(511,531)을 통하여 차광막권취롤(550)로 전달되어 차광막(300)을 감거나 풀어주는 것이다.
상기 차광막권취롤(550)이 차광막(300)을 감을 때에는 천장의 차광막(300)을 걷을 때이고, 상기 차광막권취롤(550)이 차광막(300)을 풀어줄 때에는 천장에 차광막(300)을 칠 때이다
또한, 상기 상부체인스프라켓(531)이 설치되는 회전축(530)에 관통 홀(532)을 형성하고 그 관통 홀(532)에 관통 축(541)을 이용하여 "ㄷ"자형의 브래킷(540)을 설치하며 상기 브래킷의 후단에 차광막권취롤(550)의 축을 설치하는 이유는, 감속모터(510)의 회전력을 차광막권취롤(550)이 전달받아 차광막(300)을 감거나 풀어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의 관통 홀(532)의 내경은, 상기 관통 축(5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시켜 상기 관통 축(541)이 상기 관통 홀(532)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그 이유는, 상기 차광막(300)을 감거나 풀어주는 차광막권취롤(550)이 차광막(300)을 감거나 풀어주는 과정에서 충격을 받았을 때 그 충격을 관통 홀(532)에서 흡수하여 감속모터(51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함은 물론, 차광막권취롤(550)이 직선으로 차광막(300)을 감거나 풀지 못할 때에 상기 관통 홀(532)이 그를 보상하여 차광막권취롤(550)이 직선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체인(560)에는 그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체인장력조절수단(580)이 설치되는데, 그 체인장력조절수단(580)의 일실시 예 구성은, 도 6a 및 도 6b에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양 측면의 동일선상에 길이방향으로 장 홀(581-1)이 형성된 고정체(581)가 천장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581)의 내부에는 전방에 체인(56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이동체(582)에 상기 체인을 일 측으로 밀어주는 회전체(583)가 고정 축(584)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축(584)의 양단부는 상기 양 측면의 장 홀(581-1)에 끼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582)의 후방에는 그 이동체를 전/후진시키는 이동수단(585)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체인장력조절수단(580)을 설치하는 이유는, 체인(560)의 사용중 장력이 변하게 되면 감속모터(510)의 동력이 차광막권취롤(550)로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체인장력조절수단(580)에서 이동수단(585)의 일실시 예 구성은, 상기 고정체(581)에 너트(585-1)가 설치되고, 그 너트에는 장 볼트(585-2)가 결합되며, 상기 장 볼트의 선단은 상기 고정체(581)의 후단과 연결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이동수단(585)은 장 볼트(585-2)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체(583)가 설치된 이동체(582)가 전/후진하며 체인(56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단 상기 회전체(583)의 일실시 예는 회전롤 또는 체인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회전롤은 체인(560)의 단부와 접촉되어 체인(560)의 회전과 함께 회전롤이 회전하면 체인(560)의 회전에 저해 요인이 되지 않고, 상기 체인스프라켓은 상기 체인과 이빨 물림되어 체인(560)의 회전에 저해 요인이 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회전체(583)는 회전롤 또는 체인스프라켓 외에도 체인(560)의 회전에 저해 요인이 되지 않고, 체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천장(200)을 형성하는 천장프레임(210) 후방에는 상기 후방의 차광막고정 바(440)와 연결 설치되는 로프(R)를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 바(610)가 설치되며, 그 회전 바(610)의 단부에는 차광막공급수단(600)이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차광막공급수단(60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바(6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프(R)의 당기거나 풀어줌으로 그에 따른 차광막고정 바(440)가 차광막(300)을 당기거나 또는 당김 력을 해제하며 로프를 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 바(61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차광막(300)이 당겨지면서 그 당겨지는 차광막(300)이 천장을 덮는 것이고, 상기 회전 바(61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차광막(300)의 당김 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로프를 풀어주어 천장의 차광막이 걷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서 회전 바(6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유지되게 로프(R)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 휠(612)이 복수 개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차광막공급수단(600)의 실시 예는, 하부체인스프라켓(631)이 설치된 감속모터(620)가 천장프레임(2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하부체인스프라켓(631)은 상기 회전 바(610)에 설치된 상부체인스프라켓(611)과 체인(630)을 매개로 연결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체인스프라켓(611,631)1과 체인(630)의 구성은, 감속모터(620)의 회전동력을 회전 바(610)로 전달하기 위함으로써, 상기 상/하부체인스프라켓(611,631과 체인(630) 외에도 감속모터(620)의 회전동력을 회전 바(610)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감속모터(620)는 정역감속모터 또는 클러치감속모터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지주(100) 또는 지주(100)와 인접된 위치에 상기 차광막권취수단(500)과 차광막공급수단(600)을 제어하도록 제어부(700)를 설치하여 상기 차광막권취수단(500)과 차광막공급수단(600)을 제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천장프레임의 상부 전방 및 후방에는, 차광막고정 바(440)를 감지하는 감지수단(S1,S2)이 상기 제어부(70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감지수단(S1,S2)이 상기 차광막고정 바(440)의 감지에 따라 상기 차광막권취수단(500)의 감속모터 또는 차광막공급수단(600)의 감속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정지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감지수단(S1,S2)는 터치 바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도 차광막고정 바(440)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에서 차광막권취수단(500)의 감속모터(510)가 작동되어 차광막권취수단(500)이 설치된 쪽의 감지수단(S1)에 차광막고정 바(440)가 감지하면 차광막(300)이 천장(200)으로부터 걷혀 천장(200)이 모두 개방된 것임으로 차광막권취수단의 감속모터(510) 작동이 제어부(700)를 통하여 정지된다.
또 상기 차광막공급수단(600)의 감속모터(620)가 작동되어 차광막공급수단(600)가 설치된 쪽의 감지수단(S2)에 차광막고정 바(440)가 감지되면 차광막(300)이 천장(200)을 완전히 덮은 것임으로 차광막공급수단(600)의 감속모터(620) 작동이 제어부(700)를 통하여 정지된다.
상기 차광막권취수단(500)의 감속모터(510)와 차광막공급수단(600)의 감속모터(620)는 상호 역 작동되는 것이며, 상기 각 감속모터(510,620)가 정역감속모터인 경우에는 정역방향 모두 구동력이 발생하고, 상기 감속모터(510,620)가 클러치감속모터인 경우에는 상기 감속모터(510,620)가 정방향 회전될 때는 구동력이 발생하지만 상기 감속모터(510,620)가 역방향 회전될 때는 클러치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구동력 없이 아이들 회전된다.
상기 정역감속모터와 클러치감속모터의 작동원리는, 이미 알려진 것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어부(700)에는 상기 각 감지수단(S1,S2)의 감지와 함께 차광막권취수단의 감속모터(510)와 차광막공급수단의 감속모터(6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됨으로써 차광막(300)의 개폐를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차광막(300)을 천장(200)에 덮거나 걷을 때 그를 작동시키는 각각의 스위치가 설치됨으로 천장으로부터 차광막(300)을 걷을 때에는 그에 필요한 스위치를 온(ON)시키고, 상기 차광막(300)을 천장(200)에 덮을 때는 그에 필요한 스위치를 온(ON)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천장(200)을 형성하는 종/횡 방향의 천장프레임(210)은, 복층 형태의 프레임을 사용할 수도 있고, H 빔이나 각 파이프 등 길이에 따라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프레임을 사용하면 되고, 상기 복층 형태의 프레임인 경우에는 사이에 보강재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천장의 폭(W) 방향인 차광막고정 바(440)와 차광막권취롤(550)에 설치되는 차광막(300)의 단부는 마감재로 마감 처리하여 차광막(300)의 단부를 보호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천장의 길이(L) 방향인 차광막(300)의 단부도 마감재로 마감 처리하여 차광막(300)의 단부를 보호하도록 하되, 와이어를 내장시켜 마감재로 마감 처리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광막 개폐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광막을 개폐함에 있어서 인력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개폐도중 차광막이 일 측으로 치우침이 없이 차광막의 폭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개폐되며, 또 차광막이 개폐될 때 차광막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100 : 지주 200 : 천장
210 : 천장프레임 300 : 차광막
400 : 차광막고정수단 410 : 가이드수단
411 : 가이드 412 : 파이프
420 : 차광막이동수단 421 : 회전체
422 : 축 430 : 차광막고정부재
431 : 연결구 432 : 바퀴
433 : 레일 500 : 차광막권취수단
510 : 감속모터 511 : 하부체인스프라켓
520 : 베어링블럭 530 : 회전축
531 : 상부체인스프라켓 532 : 관통 홀
540 : 브래킷 541 : 관통 축
550 : 차광막권취롤 560 : 체인
570 : 차광막가이드바 580 : 체인장력조절수단
581 : 고정체 581-1 : 장 홀
582 : 이동체 583 : 회전체
584 : 고정 축 585 : 이동수단
585-1 : 너트 585-2 : 장 볼트
600 : 차광막공급수단 610 : 회전 바
611 : 상부체인스프라켓 612 : 권취 휠
620 : 감속모터 621 : 하부체인스프라켓
630 : 체인 700 : 제어부
L : 차광막 길이 방향 W : 차광막 폭 방향
S1, S2 : 감지수단 R : 로프

Claims (11)

  1. 지면의 종/횡 방향을 따라 설치된 지주(100) 상에 종/횡 방향으로 천장프레임(210)을 설치하여 된 천장(200)에 차광막(300)이 덮여지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차광막의 후방 끝단 폭 방향으로는 차광막고정수단(400)이 설치되며, 상기 천장의 전방에는 차광막을 감거나 풀어주는 차광막권취수단(500)이 설치되고, 상기 천장의 후방에는 차광막을 당기거나 공급해주는 차광막공급수단(600)이 설치되며, 상기 지주 또는 지주와 인접된 위치에는 상기 차광막권취수단과 차광막공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설치하여 된 차광막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장의 좌/우 양쪽 단부 길이방향으로는 "C"형 강의 가이드(411)가 설치되고, 상기 "C"형 강의 가이드 개방된 내측 상/하부에는 파이프(412)를 상기 "C"형 강의 가이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하여 된 가이드수단(410)이 설치되며,
    상기 "C"형 강의 가이드(411) 내부에는 2개의 반원형 회전체(421)가 상기 상/하부 파이프(412)와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게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호 마주보게 구비된 2개의 반원형 회전체 사이에는 차광막(300)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축(422)에 의해 상기 2개의 반원형 회전체와 차광막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차광막이동수단(420)이 상기 "C"형 강의 가이드(411)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차광막권취수단(500)의 작동에 따라 차광막이 이동할 때에 그 이동되는 차광막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며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권취수단(500)은, 상기 천장의 하부에 하부체인스프라켓(511)이 설치된 감속모터(51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체인스프라켓의 상부에는 베어링블럭(520)에 의해 고정 지지되며 후방에 관통 홀(532)이 형성된 회전축(530)에 상부체인스프라켓(53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후방에는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는 관통 축(541)을 매개로 "ㄷ"자형 브래킷(540)이 연결설치되고, 상기 "ㄷ"자형 브래킷의 후단에는 차광막을 감거나 풀어주는 차광막권취롤(550)의 축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상/하부체인스프라켓에는 체인(560)이 설치되고, 상기 차광막권취롤의 상부에는 차광막을 상기 차광막권취롤로 유도하는 차광막가이드바(570)가 설치되며, 상기 체일의 일 측에는 체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체인장력조절수단(580)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홀(532)의 내경은, 상기 관통 축(541)의 외경부다 크게 형성시켜 상기 관통 축이 상기 관통 홀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장력조절수단(580)은, 전방과 후방 및 상부가 개방되고 양 측면의 동일선상에 길이방향으로 장 홀(581-1)이 형성된 고정체(581)가 천장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는 전방에 체인(56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이동체(582)에 상기 체인을 일 측으로 밀어주는 회전체(583)가 고정 축(584)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축의 양단부는 상기 양 측면의 장 홀에 끼워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의 후방에는 그 이동체를 전/후진시키는 이동수단(585)을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583)는, 회전롤 또는 체인스프라켓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585)은, 상기 고정체(581)에 너트(585-1)가 설치되고, 그 너트에는 장 볼트(585-2)가 결합되며, 상기 장 볼트의 선단은 상기 고정체의 후단과 연결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차광막공급수단(600)은, 하부체인스프라켓(621)이 설치된 감속모터(620)와, 상기 감속모터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 바(610)의 일측단에 구비된 상부체인스프라켓(611)과, 상기 상/하부체인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체인(6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바(610)에는, 선단이 상기 차광막의 후단부와 연결 설치되어 로프(R)를 감거나 풀어주는 권취 휠(612)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의 길이방향을 형성하는 천장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는, 차광막고정 바(440)를 감지하는 감지수단(S1,S2)이 상기 제어부(70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감지수단이 상기 차광막고정 바의 감지에 따라 상기 차광막권취수단의 감속모터 또는 차광막공급수단의 감속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정지시키도록 구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고정수단(400)은, 차광막고정 바(4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차광막의 폭 방향 단부를 고정하는 차광막고정부재(430)를 설치하되, 그 차광막고정부재는, 상부는 상기 차광막고정 바와 연결 설치되는 연결구(431)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천장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르도록 설치된 레일(433)과 결합되어 이동하는 바퀴(432)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200)에 설치된 차광막의 상부에는 바람에 의해 차광막의 펄럭임을 방지하도록 하는 로프(D)가 상기 천장(20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이르도록 천장의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 개폐장치.
KR1020200144616A 2020-11-02 2020-11-02 차광막 개폐장치 KR10228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16A KR102287296B1 (ko) 2020-11-02 2020-11-02 차광막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616A KR102287296B1 (ko) 2020-11-02 2020-11-02 차광막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296B1 true KR102287296B1 (ko) 2021-08-09

Family

ID=7731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616A KR102287296B1 (ko) 2020-11-02 2020-11-02 차광막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254A1 (ko) * 2020-12-21 2022-06-30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옥외 시설물의 차광막 개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111U (ko) * 1995-12-18 1997-07-29 컨베이어 구동부의 체인 장력조절구조
KR20040100600A (ko) 2003-05-23 2004-12-02 주식회사 맥스페이스 창호와 지붕 덮개 개폐 컨트롤 장치
KR200469501Y1 (ko) * 2011-06-16 2013-11-20 김용석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20160074175A (ko) 2014-12-18 2016-06-28 양승현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KR102167751B1 (ko) * 2020-05-25 2020-10-20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차광막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111U (ko) * 1995-12-18 1997-07-29 컨베이어 구동부의 체인 장력조절구조
KR20040100600A (ko) 2003-05-23 2004-12-02 주식회사 맥스페이스 창호와 지붕 덮개 개폐 컨트롤 장치
KR200469501Y1 (ko) * 2011-06-16 2013-11-20 김용석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20160074175A (ko) 2014-12-18 2016-06-28 양승현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KR102167751B1 (ko) * 2020-05-25 2020-10-20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차광막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254A1 (ko) * 2020-12-21 2022-06-30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옥외 시설물의 차광막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751B1 (ko) 차광막 개폐장치
KR102191247B1 (ko) 세차장 차광막 개폐장치
CA2162420C (en) Roll-up door for vehicle shelters
US6866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opening and closing a bi-fold door
JP3772992B2 (ja) シール可能なカバー
JP5500613B2 (ja) オーニング装置
KR102287296B1 (ko) 차광막 개폐장치
HU223388B1 (hu) Elektromos működtetésű árnyékoló szerkezet ablakokhoz
KR200445370Y1 (ko) 사면설치용 차양장치
KR101514016B1 (ko) 캐노피형 어닝
US5307855A (en) Tape drive extendable and retractable awning assembly
KR200447420Y1 (ko) 차양장치
US7299850B2 (en) Quick release roller shutter
JP5294174B2 (ja) 構造物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KR20240045740A (ko) 차광장치
KR102424789B1 (ko) 옥외 시설물의 차광막 개폐장치
JP2004019258A (ja) 開閉装置の巻取軸支持装置
KR101895689B1 (ko) 자동 개폐 가능한 루프가 구비된 가든하우스
KR200339981Y1 (ko) 상하 양방향으로 작동하는 차광장치
JPH0519520Y2 (ko)
JP2001073494A (ja) 開閉式膜屋根装置
KR101182603B1 (ko) 경사창의 롤스크린 복귀장치
KR102070874B1 (ko) 개폐가능한 차양막이 설치된 트러스 구조물
CN219993582U (zh) 一种电动卷帘收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