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175A -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 Google Patents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175A
KR20160074175A KR1020140183140A KR20140183140A KR20160074175A KR 20160074175 A KR20160074175 A KR 20160074175A KR 1020140183140 A KR1020140183140 A KR 1020140183140A KR 20140183140 A KR20140183140 A KR 20140183140A KR 20160074175 A KR20160074175 A KR 20160074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opening
closing
power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139B1 (ko
Inventor
양승현
Original Assignee
양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현 filed Critical 양승현
Priority to KR102014018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1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8Vaulted roof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 통로에 설치되는 지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채광, 차광, 통풍, 방풍 등이 가능하도록 지붕의 개폐가 가능하며, 자가발전수단을 통해 구비된 전기장비에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하여, 송풍팬 및 온도, 연기, 화재발생 감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상황에 맞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자가발전 또는 기존 전원을 사용함으로서 체육시설, 시장, 군부대, 건축물 등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 지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은 통로를 따라 양측으로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를 덮으며, 고정된 고정지붕과, 이동하는 개폐지붕을 포함하는 지붕; 상기 개폐지붕을 이동시키는 개폐수단; 및 자가발전하여 상기 개폐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RO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옥외 통로에 설치되는 지붕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채광, 차광, 통풍, 방풍 등이 가능하도록 지붕의 개폐가 가능하며, 자가발전수단을 통해 구비된 전기장비에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하여, 송풍팬 및 온도, 연기, 화재발생 감지 센서 등을 구비하여 상황에 맞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자가발전 또는 기존 전원을 사용함으로서 체육시설, 시장, 군부대, 건축물 등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 지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재래시장과 같은 옥외 통로에는 지붕 구조물이 설치되어 통행인과 그 주변에서 장사하는 사람들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한다.
지붕 구조물을 통로를 따라 양측으로 설치되는 지주들과, 지주들의 상부를 덮는 지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초기의 지붕 구조물은 지붕이 고정되어 있는 구조, 다시 말해 지붕이 항시 상부를 덮어 가리고 있는 형태이었지만,
근래에는 맑은 날에는 지붕의 일부를 개방시켜 채광이 되도록 하여 조명 없이도 환하게 하여 에너지 절감에 일조하며, 원활한 통풍이 되도록 하여 환기 작용을 하도록 하고, 눈이나 비가 오는 날에는 지붕을 폐쇄하여 피해를 보지 않도록 개폐가 가능한 지붕이 도입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등록특허 제10-1287541호, 등록특허 제10+1302644호, 공개특허 제10-2013-0116443호 등에서 개폐 가능한 지붕을 갖는 지붕 구조물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본 출원인이 제안 지붕 구조물은 개방되는 지붕이 대각선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구조여서, 지붕의 개방을 위해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개방시 지붕의 하부측에 하중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에너지 자원이 점차 고갈되어 가는 상황에서 전력 사용량이 늘면서 에너지 절약이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요구되는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상황에 따른 필요에 따라 채광, 차광, 통풍, 방풍 등이 가능하도록 지붕이 개폐 가능하되, 개폐를 위해 추가로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지붕의 개폐량이 달라지더라도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아니하여 안전성과 내구성이 뛰어나고, 개폐를 위한 지붕 간의 틈새로 물기가 침투하여 통행인 등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방수성이 강화된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더불어, 태양광 발전, 태양열 발전, 풍력 발전이 가능한 자가발전수단을 구비하여 지붕 구조물에 구비되는 여러 전원장비에 자가발전된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에너지 절감에 일조할 수 있는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은
통로를 따라 양측으로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를 덮으며, 고정된 고정지붕과 상기 고정지붕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지주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지붕을 포함하는 지붕;
상기 개폐지붕을 이동시키는 개폐수단; 및
자가발전하여 상기 개폐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지주들의 상부에 통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개폐레일과,
상기 개폐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부에 결합된 상기 개폐지붕을 상기 고정지붕 하부에서 통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폐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가발전수단은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쏠라셀과,
태양열로 발전하는 집열판과,
바람으로 발전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쏠라셀, 집열판 및 풍력발전기에서 발전된 전원이 충전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은 지붕을 필요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채광, 차광, 통풍, 방풍, 방수 등이 가능하고, 지붕의 개폐를 위해 추가적으로 필요한 공간의 거의 없어 공간 활용성이 뛰어나고, 개폐되는 지붕의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지 아니하여 안정성이 뛰어나고, 태양광발전, 태양열발전, 풍력발전을 통해 설치되는 각종 전기장비에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크고, 측벽에는 미관이 깔끔하고 개폐 가능한 갤러리 창호를 설치하여 편의성이 증진된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구조물의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구조물의 변형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유닛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A)은 지주(10), 지붕, 개폐수단(100), 자가발전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지주(10)는 지붕구조물이 설치되고자 하는 통로를 따라 양측으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붕은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주(10)의 상부, 즉 통로를 덮으며 고정설치되는 고정지붕(20)과, 개폐가 가능한 개폐지붕(3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가발전수단(300)은 상기 고정지붕(20) 또는 개폐지붕(30) 또는 이들 모두의 상부에 설치되고, 자가발전하여 지붕 구조물에 구비되는 각종 전기장비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쏠라셀(310)과, 태양열로 발전하는 집열판(320), 바람으로 발전하는 풍력발전기(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100)은 상기 개폐지붕(30)을 통로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지붕의 일부 구간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개폐지붕(30)은 상기 통로방향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지붕의 일부 구간을 개폐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개폐지붕(30)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상기 개폐수단(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개폐수단(100)은 통로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상기 지주(10)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장착판(110)과, 상기 장착판(110)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개폐레일과, 상기 개폐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부에 개폐지붕(30)에 연결되는 이동유닛(130)과, 상기 베이스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한쌍의 기어(140)와, 상기 기어(140)를 연결하는 체인(150) 및 상기 기어(140)를 회전시켜 체인(150)을 이송시키는 이송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인(150)과 상기 개폐지붕(30)을 연결하여 체인(150)의 이송에 따라 상기 개폐지붕(30)이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구(1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유닛(130)은 상기 개폐레일의 상부면과 측면 일부를 수용하여 안착시키는 오목홈 구조의 개폐롤러와, 상기 개폐롤러의 상부측을 감싸는 롤러 하우징과, 상기 개폐롤러의 회전축 역할을 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면에 상기 개폐지붕(30)의 밴딩보가 결합되는 롤러브라켓(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체인(150)과 상기 개폐지붕(30)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구(170)는 상기 개폐지붕(30)에 고정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지붕브라켓(171)과, 상기 체인(150)에 고정결합되는 체인브라켓(173)과, 상기 지붕브라켓(171)에 결합되며 상기 체인브라켓(173)이 관통하는 관통핀(175)과, 상기 관통핀(175)의 외주연으로 삽입되며 상기 지붕브라켓(171)과 체인브라켓(173) 사이에 개재되어 체인(150)의 이송시에 지붕브라켓(171)과 체인브라켓(173)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스프링(17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지붕(20)의 곡률반경이 상기 개폐지붕(30)의 곡률반경보다 길어서, 상기 개폐지붕(30)이 상기 고정지붕(20)의 하부에 배치되면 상기 개폐지붕(30)의 개폐를 위한 이동을 방해하는 요소가 특별히 없을 것이나, 그러면 상기 고정지붕(20)과 상기 개폐지붕(30) 간에 단차가 발생하여 미관이 좋지 않고, 고정지붕(20)과 개폐지붕(30) 간의 단차로 인한 이격 공간으로 비나 눈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고정지붕(20)과 개폐지붕(30)의 곡률반경이 같도록 하고, 상기 개폐수단(100)으로 승하강유닛(40)을 도입하여 지붕의 폐쇄상태에서 고정지붕(20)과 개폐지붕(30) 간에 단차가 없도록 하고, 개폐를 위한 개폐지붕(30)의 이동시에는 개폐지붕(30)이 고정지붕(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구성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지붕(20)에는 단부에 연장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21)가 상기 개폐지붕(30)의 단부 일부를 감싸고, 개폐지붕(30)이 승하강과 함께 좌우 이동될 수 있는 이동부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개폐지붕(30)과 고정지붕(20) 사이는 상기 이동부에 의해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이동부를 상기 연장부(21)가 감싸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다시 상기 개폐지붕(30)을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유닛(4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유닛(40)은 상기 개폐롤러 상부에 구비되는 변환박스(41)와, 상기 변환박스(41)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폐지붕(30) 하부와 연결되는 승하강로드(43) 및 상기 변환박스(41) 측면에 좌우로 젖혀짐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변환박스(41)에는 상기 레버(45)가 좌우로 젖혀짐에 따라 상기 승하강로드(43)가 승하강 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기어(140)뭉치(미도시)와, 상기 장착판(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구비됨으로서, 이동되어오는 상기 레버(45)가 걸려 젖혀지도록 하는 걸림봉(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하강유닛(40)에 의해 상기 개폐지붕(30)이 승하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상기 개폐지붕(30)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체인(150)이 좌측(또는 우측)으로 이동을 하면, 체인(150)과 함께 이동하는 상기 변환박스(41)에 구비된 레버(45)가 상기 걸림봉(47)에 걸려 좌측(또는 우측)으로 젖혀지게 되며, 걸림봉(47)에 레버(45)가 걸리기 전에는 상기 개페지붕은 연장부(21) 하부의 이동부를 이동하게 되며, 이동하면서 레버(45)가 걸림봉(47)에 걸려 승하강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레버(45)가 좌측으로 젖혀지면 상기 변환박스(41) 내부의 기어(140)뭉치에 의해 승하강로드(43)가 하강하여 개방지붕을 하강시키고, 상기 체인(15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하강된 개폐지붕(30)은 체인(150)과 함께 이송하여 고정지붕(20)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개폐지붕(30)의 폐쇄를 위해 상기 체인(150)이 우측(또는 좌측)으로 이동을 하면, 체인(150)과 함께 이동된 상기 변환박스(41)에 구비된 레버(45)가 상기 걸림봉(47)에 걸려 우측(또는 좌측)으로 젖혀지게 되며, 승하강로드(43)가 승강하여 개폐지붕(30)을 상승시키게 되고, 이에 개폐지붕(30)과 고정지붕(20)이 서로 수평을 이루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지붕(20)과 개폐지붕(30) 사이의 이동부로 인하여 틈새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틈새를 상기 연장부(21)가 덮어주어 막을 수 있으나, 보다 확실한 밀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에는 방수유닛(50)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수유닛(50)은 상기 연장부(21) 하면에 구비되는 방수홈(55)과, 상기 개폐지붕(30)의 일단 상부에 구비되는 방수돌기(51)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개폐지붕(30)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방수돌기(51)가 방수홈(55)에 결합되어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방수돌기(51) 전방, 즉 외측 방향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임홈(53)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틈새로 유입된 빗물 등이 방수돌기(51)와 방수홈(55)에 유입되기 전 상기 고임홈(53)에 고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방수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개폐지붕(30)이 곡선을 이룸에 따라 상기 고임홈(53)에 유입된 빗물 등은 개폐지붕(30)의 양 측면을 통해 외부로 내려와 물기 등이 개폐부재 또는 고정부재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지붕구조물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의 송풍팬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송풍팬으로 인하여 내부 환기 및 온도를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되고, 화재 시 연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송풍팬은 수동으로 작동 할 수 있으나, 내부에 구비되는 온도, 연기 감지 센서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센서들은 송풍팬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지붕(30)의 작동에도 관여하여, 화재 발생 시 개폐지붕(30)을 개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분사시스템이 더 구비되어 내부에 물 또는 방역제를 투입하여 자동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송풍팬, 센서, 분사시스템은 상기 개폐지붕(30) 또는 고정지붕(20)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환경에 따라 그 수량 및 설치 위치가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상기 개폐수단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수동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여 전력 손실을 방지 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상기 자가발전수단(300)은 자가발전하여 전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를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지붕의 개폐를 위한 개폐수단(100)과, 지붕 구조물에 설치되는 조명 등에 공급한다.
상기 자가발전수단(300)은 지붕에 설치되고 조사되는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쏠라셀(310)과, 지붕에 설치되고 조사되는 태양광에 의한 태양열로 발전하는 집열판(320)과, 지붕에 설치되고 부는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발전하는 풍력발전기(330)와, 상기 쏠라셀(310), 집열판(320) 및 풍력발전기(330)에서 발전된 전원이 충전되는 축전지(340))와, 상기 축전지(340)의 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폐수단(100)과 조명 등에 공급하는 파워서플라이(3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파워서플라이(350)는 상용전원도 공급받을 수 있어서, 상기 축전지(340)에 충전된 전원이 충분한 때에는 축전지(340)의 전원을 우선적으로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개폐수단(100) 등에 공급하고, 축전지(340)의 전원이 부족할 때에는 상용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폐수단(100) 등에 공급하여서, 전원 부족에 의해 개폐수단(100)이나 조명 등이 구동이 중단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 구조물의 또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상기 개폐지붕(30)은 폐쇄 완료 후 고정지붕(20) 쪽으로 상승하여 고정지붕(20)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개폐지붕(30)이 상승하지 않고, 도 3과 같이 고정지붕(20)과 개폐지붕(30)이 서로 층을 이루어 겹쳐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지주 20 : 고정지붕
21 : 연장부
30 : 개폐지붕 100 : 개폐수단
110 : 장착판 120 : 롤러브라켓
130 : 이동유닛 140 : 기어
150 : 체인 170 : 연결구
171 : 지붕브라켓 173 : 체인브라켓
175 : 관통핀 177 : 완충스프링
40 : 승하강유닛 50 : 방수유닛
300 : 자가발전수단
310 : 쏠라셀 320 : 집열판
330 : 풍력발전기 340 : 축전지
350 : 파워서플라이 41 : 변환박스
43 : 승하강로드 45 : 레버
47 : 걸림봉 51 : 방수돌기
53 : 고임홈 55 : 방수홈

Claims (4)

  1. 통로를 따라 양측으로 배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상부를 덮으며, 고정된 고정지붕과 상기 고정지붕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지붕의 일부 구간을 개폐하는 개폐지붕을 포함하는 지붕;
    상기 개폐지붕을 이동시키는 개폐수단; 및
    자가발전하여 상기 개폐수단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지주들의 상부에 통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개폐레일과,
    상기 개폐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부에 결합된 상기 개폐지붕을 상기 고정지붕 하부에서 통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개폐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수단은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쏠라셀과,
    태양열로 발전하는 집열판과,
    바람으로 발전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쏠라셀, 집열판 및 풍력발전기에서 발전된 전원이 충전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전원을 구동전원으로 변환하는 파워서플라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개폐지붕을 승하강시켜 상기 고정지붕에 일치되거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는 승하강유닛과,
    상기 개폐지붕의 전후방측에 각각 구비되어서, 고정지붕과의 틈새로 유입되는 물기를 양측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유닛은
    상기 개폐지붕에 구비되는 고임홈과, 상기 고임홈 일측에 구비되는 방수돌기 및 상기 방수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지붕에 구비되는 방수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하며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KR1020140183140A 2014-12-18 2014-12-18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KR10164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140A KR101644139B1 (ko) 2014-12-18 2014-12-18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140A KR101644139B1 (ko) 2014-12-18 2014-12-18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175A true KR20160074175A (ko) 2016-06-28
KR101644139B1 KR101644139B1 (ko) 2016-07-29

Family

ID=56366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140A KR101644139B1 (ko) 2014-12-18 2014-12-18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1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7751B1 (ko) 2020-05-25 2020-10-20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차광막 개폐장치
KR102191247B1 (ko) 2019-11-06 2020-12-15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세차장 차광막 개폐장치
KR102287296B1 (ko) 2020-11-02 2021-08-09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차광막 개폐장치
CN115320781A (zh) * 2022-09-13 2022-11-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移动顶棚及船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21B1 (ko) * 2011-12-09 2012-06-22 주식회사 명인 개폐가 가능한 보도 커버용 지붕장치를 구비하는 아케이드
KR101270215B1 (ko) * 2011-11-22 2013-06-04 임종필 자동 슬라이딩 루프가 구비된 천체 관측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215B1 (ko) * 2011-11-22 2013-06-04 임종필 자동 슬라이딩 루프가 구비된 천체 관측소
KR101157421B1 (ko) * 2011-12-09 2012-06-22 주식회사 명인 개폐가 가능한 보도 커버용 지붕장치를 구비하는 아케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247B1 (ko) 2019-11-06 2020-12-15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세차장 차광막 개폐장치
KR102167751B1 (ko) 2020-05-25 2020-10-20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차광막 개폐장치
KR102287296B1 (ko) 2020-11-02 2021-08-09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차광막 개폐장치
CN115320781A (zh) * 2022-09-13 2022-11-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移动顶棚及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139B1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139B1 (ko) 자동 및 수동 개폐가 가능한 지붕 구조물
WO2009048429A3 (en) Roof based energy conversion system
KR100923219B1 (ko) 발코니 난간 대용 태양전지 셀이 구비된 창호
KR101364497B1 (ko) 태양광 발전 블라인드
CN103362255B (zh) 一种太阳能单坡智能天窗
KR101614400B1 (ko) 발전 및 세척 기능을 갖는 배전반
CN103758262B (zh) 一种节能型玻璃幕墙及其建造方法
CN201531210U (zh) 多功能窗罩
KR20150130180A (ko) 태양광 발전형 블라인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방법
KR101319531B1 (ko) 태양광발전유닛을 갖는 지붕 구조물
CN204732741U (zh) 一种防水、温控的变电站
CN207518532U (zh) 一种方便检修的太阳能光伏板
CN207162390U (zh) 太阳能景观灯
CN204059791U (zh) 一种遮阳篷
CN209704094U (zh) 一种风光小站式共享空间
CN204238752U (zh) 一种多功能外遮阳一体化窗
CN105262415A (zh) 一种收集利用建筑物窗户或阳台太阳能的方法
CN202406650U (zh) 太阳能光伏温室大棚
CN205778242U (zh) 一种带有太阳能发电系统的窗户
CN204299051U (zh) 一种建筑一体化屋顶发电系统的顶棚结构
CN218952552U (zh) 一种屋面隔热结构
CN204901636U (zh) 一种太阳能路灯
KR101641872B1 (ko) 건물 부착형 태양광 모듈 고정 프레임
CN103924911A (zh) 太阳能发电窗
CN203413511U (zh) 一种应用于建筑与隧道的高效自然光光导照明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