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212B1 -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beam structural form - Google Patents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beam structural 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212B1
KR102286212B1 KR1020190101190A KR20190101190A KR102286212B1 KR 102286212 B1 KR102286212 B1 KR 102286212B1 KR 1020190101190 A KR1020190101190 A KR 1020190101190A KR 20190101190 A KR20190101190 A KR 20190101190A KR 102286212 B1 KR102286212 B1 KR 102286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up
pair
formwork
welding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1787A (en
Inventor
고미순
Original Assignee
고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미순 filed Critical 고미순
Priority to KR102019010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212B1/en
Publication of KR20210021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2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터럽의 설치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됨으로써, 보 구조물의 타설 과정을 크게 간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 구조물의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또한, 설치 과정의 간소화됨으로써, 건설인력의 노무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건설인력의 안전사고를 경감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a beam structure formwork, wherein a rectangular lower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are erec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space for pouring mortar for concrete pouring, the lower plate and Beads projecting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lates and inserted into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pouring space.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comprising: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a moving device having a stirrup box in which the stirrup is retractably stored and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a loa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ake out the stirrup from the stirrup box and seat it in the pouring space when the moving device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and a wel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welding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bead of the formwork to install the stirrup to the formwork. d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irrup installation process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e beam structure casting process can be greatly simplified,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eam structure can be greatly reduced. In addition, by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mount of work of construction personnel, as well as reduce the safety accidents of construction personnel.

Description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beam structural form}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beam structural form

본 발명은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에 결합되어 보를 형성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자동으로 설치해 주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stirrup for a formwork for a beam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irrup installation apparatus for a formwork for a beam structure that automatically installs a stirrup to a formwork for a beam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concrete to form a beam.

콘크리트 건축물을 짓는 과정은 구조물의 형상에 대응되는 거푸집을 형성한 후, 모르타르를 거푸집에 타설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종래의 보 구조물을 타설하는 과정은 합판 또는 유로폼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하판과 하판의 양측면으로 한 쌍의 측면판을 세워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타설공간으로 모르타르를 타설한다. 이때, 타설공간에는 스터럽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스터럽의 내부로 복수 개의 주근이 현장에서 용접 등에 의하여 접합된다.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concrete building entails forming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tructure and then pouring mortar into the form. In the process of pouring a conventional beam structure, a rectangular lower plate made of plywood or euroform and a pair of side plates are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mortar pour space, and the mortar is poured into the pouring space. At this time, stirrup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pouring space, and a plurality of main bars are joined to the inside of the stirrup by welding or the like in the field.

이러한 종래의 보 구조물을 타설하는 거푸집은 부족한 강성에 의해 동바리와 같은 보조적인 구조물을 필요로 한다거나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이에,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4447호에 일정 강성을 지닌 강판을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콘크리트와 결합시켜 보를 이루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The formwork for pouring such a conventional beam structure requires an auxiliary structure such as a dongbari due to insufficient rigidity or the inconvenience of removing the formwork after concrete curing. Accordingly,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954447, a technology of forming a beam by using a steel plate having a certain rigidity as a formwork and combining it with concret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제시된 기술 역시 거푸집을 설치한 후 스터럽을 설치하는 과정에 건설인력을 필요로 하여 인건비에 따른 제작 단가의 상승은 물론, 건설인력의 안전사고와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However, the proposed technology also requires construction manpower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stirrup after installing the formwork, and thus has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due to labor costs, as well as safety accidents of construction personnel.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54447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954447』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결합되어 보를 형성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자동으로 설치해 주는 스터럽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installing a stirrup to a beam structure formwork that is bonded to concrete to form a beam.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rectangular lower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are erec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mortar pour space for concrete pouring, and the width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s Beads protruding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nd inserted into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pouring space.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a moving device having a stirrup box in which the stirrup is retractably stored and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a loa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ake out the stirrup from the stirrup box and seat it in the pouring space when the moving device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and a wel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welding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bead of the formwork to install the stirrup to the formwork. do.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첫째, 스터럽의 설치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됨으로써, 보 구조물의 타설 과정을 크게 간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보 구조물의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First, since the stirrup installation process is performed automatically, the pouring process of the beam structure can be greatly simplified, and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eam structure can be greatly reduced.

둘째, 설치 과정의 간소화됨으로써, 건설인력의 노무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건설인력의 안전사고를 경감할 수 있다.Second, by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amount of work of construction personnel, as well as reduce the safety accidents of construction personnel.

셋째, 건설인력의 숙련도에 의존했던 스터럽의 설치 과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스터럽의 설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포함한다.Third, by automating the stirrup installation process, which relied on the skill level of construction personnel, it include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stirrup installation qua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에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거푸집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럽 설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센서가 스터럽과 비드의 맞닿는 부분을 식별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이동장치가 스터럽의 설치 위치로 이동된 후, 로딩장치에 의해 스터럽이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에 안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5는 도 2의 사이드푸셔에 의해 이동장치가 고정되고, 업다운 푸셔에 의해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이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6은 도 2의 웰딩장치가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용접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7은 도 2의 스터럽 설치장치가 설정된 위치에 스터럽을 설치하고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ormwork that is coupled to concrete to form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irrup install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image sensor identifies a portion in contact with a stirrup and a b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tirrup is seated in the mortar pouring space by the loading device after the moving device of FIG. 2 is moved to the stirrup installation position.
5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moving device is fixed by the side pusher of FIG. 2 and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is fixed by the up-down pusher.
6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welding device of FIG. 2 welds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7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of FIG. 2 installs a stirrup at a set position and moves to the next position.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럽(ST)이 설치되는 보 구조용 거푸집(10)(이하, ‘거푸집(10)’이라 함)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 구조용 거푸집(10)의 스터럽 설치장치(100)(이하, ‘스터럽 설치장치(100)’라 함)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beam structure formwork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mwork 10') in which a stirrup (ST)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FIG. 2 ,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irrup installation device 100') of the beam structure formwor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show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거푸집(10)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형상 및 구조를 제공함은 물론,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판(11), 한 쌍의 측판(12) 및 복수 개의 비드(13)들을 포함한다.1, the formwor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hape and structure of concrete to be poured, as well as being combined with concrete to form a beam structure. A lower plate 11, a pair of side plates 12, and a plurality of It includes four beads (13).

하판(11)과 한 쌍의 측판(12)은 각각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하판(11)을 기준으로 한 쌍의 측판(12)이 하판(11)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판(11)의 양측단에 세워짐으로써 내부에 모르타르의 타설공간(IS)을 형성한다. 이때, 거푸집(10)의 내주면, 즉, 타설공간(IS)에는 하판(11)과 한 쌍의 측판(12)으로부터 거푸집(10)의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어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비드(13)들이 더 형성된다. The lower plate 11 and the pair of side plates 12 are each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pair of side plates 12 with respect to the lower plate 11 are both ends of the lower plate 11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11 . By being built on the mortar, it forms the mortar pouring space (IS) inside. At this time,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work 10, that is, in the pouring space IS, the lower plate 11 and the pair of side plates 12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rmwork 10, and the length of the formwork 10 A plurality of beads 13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are further formed.

이러한 비드(13)들은 거푸집(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모르타르가 타설공간(IS)에서 콘크리트로 양생되면, 콘크리트 내부에 삽입되어 거푸집(10)이 콘크리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각 비드(13)들의 돌출된 끝단은 돌출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 즉, 구부러진 구조로 형성되어, 거푸집(10)이 콘크리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은 물론, 후술될 스터럽(ST)이 용접되어 접합될 때, 일정 크기의 접합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비드(13) 끝단의 굴절 방향은 하판(1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어 제작의 편의는 물론, 굴절에 따른 타설공간(IS)의 사각지대를 경감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se beads 13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work 10 and, when the mortar is cured with concrete in the pouring space IS, are inserted into the concrete to prevent the formwork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nd each bead 13 The protruding ends of the ) are form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protruding direction, that is, in a curved structure, to suppress the form 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crete, as well as to prevent the stirrup (ST) from being welded and joined to a certain size. provides a bonding surface for Here, the refraction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ead 13 is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enter line based on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lower plate 11, thereby reducing the blind spot of the pouring space IS due to refraction as well as convenience of manufacture. It is preferable to do

한편, 거푸집(10)의 하판(11)과 한 쌍의 측판(12)에는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문양(14)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타설공간(IS) 내 콘크리트의 길이방향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10)은 하나의 플레이트를 폭 방향으로 접어 하판(11)과 한 쌍의 측판(12)을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함은 물론, 동일한 방식으로 비드(13)들 역시 형성한다. 이에, 제작 과정 상 비드(13)의 끝단을 거푸집(10)의 길이방향으로 굴절시키기 힘든 일체화된 비드(13)의 구조적인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요철문양(14)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n the lower plate 11 and the pair of side plates 12 of the form 10, irregular patterns 14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 10, and the length of the concrete in the pouring space IS directional flow can be suppressed. The formwor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s one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to manufacture the lower plate 11 and the pair of side plates 12 in an integrated form, as well as the beads 13 in the same way. also form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oncave-convex patterns 14 to compensate for the structural limitation of the integrated bead 13 that is difficult to refract the end of the bead 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ld 10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이러한 거푸집(10)에는 타설되는 모르타르의 하중에 의한 타설공간(IS)의 변형을 경감하기 위해 스터럽(ST)이 설치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스터럽 설치장치(100)는 거푸집(10)을 따라 이동하며 설정된 위치에 건설인력을 대신하여 스터럽(ST)을 자동으로 설치한다. 이때, 설치되는 스터럽(ST)은 U형 스터럽, 개방형 스터럽 또는 폐합형 스터럽일 수 있다. 다만, 설치되는 스터럽이 U형 스터럽(US)일 경우, 양단이 거푸집(10)의 측판(12)들에 각각 맞닿아 용접되어 접합되는 보강재(RI)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pouring space IS due to the load of the mortar being poured, a stirrup (ST) needs to be installed in the formwork (10). The stirrup (ST) is automatically installed on behalf of the construction manpower at the set position. In this case, the installed stirrup ST may be a U-shaped stirrup, an open stirrup, or a closed stirrup. However, when the installed stirrup is a U-shaped stirrup (US), a reinforcing material (RI) in which both ends contact and weld to the side plates 12 of the formwork 10 may be further installed.

나아가, 측판(12)들에 형성되는 비드(13)들을 연결하여 거푸집(10)의 폭방향 벌어짐을 경감할 수 있도록 측판(12)의 비드(13)에는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관통공(13a)들이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대칭된 관통공(13a)에 U형 스터럽이 거꾸로 끼워져 측판(12)의 비드(13)들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보강재(RI)와 관통공(13a)에 추가적으로 끼워지는 U형 스터럽 역시 스터럽 설치장치(100)에 의해 용접되어 접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urthermore, the bead 13 of the side plate 12 has a plurality of beads 13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 10 so as to reduce the width direction widening of the form 10 by connecting the beads 13 formed on the side plates 12 . Four through-holes 13a are formed symmetrically at regular intervals, and U-shaped stirrups are inserted upside down in the symmetrical through-holes 13a to connect the beads 13 of the side plate 12 . He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reinforcing material RI and the U-shaped stirrup additionally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3a may also be welded and joined by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100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럽 설치장치(100)는, 가이드 레일(110), 이동장치(120), 로딩장치(130), 사이드 푸셔(140), 업다운 푸셔(150) 및 웰딩장치(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rail 110 , a moving device 120 , a loading device 130 , a side pusher 140 , and an up-down pusher 150 . ) and a welding device 160 .

가이드 레일(110)은, 거푸집(10)의 양 측면, 즉, 한 쌍의 측판(1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게 배치되어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후술될 이동장치(120)의 이동경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레일(110)은 거푸집(10)을 중심으로 대칭된 한 쌍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레일만을 갖는 형태 또는 복수 개의 레일을 갖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거푸집(10) 한 쌍의 측판(12)의 상부를 레일 형태로 형성하여 이동장치(12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거나, 한 쌍의 측판(12)에 형성되는 비드(13)들 중 일부를 레일 형태로 형성하여 이동장치(120)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guide rail 11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form 10 , that is, a pair of side plates 1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 10 , thereby moving device 120 to be described later. ) to provide a path of movement. Although the guide rail 110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a pair symmetrical about the formwork 10, it is also provided in a form having only one rail or a form having a plurality of rails. It will be said that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beads 13 formed on the pair of side plates 12 or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moving device 120 by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air of side plates 12 in the form 10 in the form of a rail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mobile device 120 by forming the rail in the form of a rail.

이동장치(120)는 스터럽(ST)을 설정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 상술한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수직 프레임(121), 수평 프레임(122) 및 스터럽 박스(123)를 포함한다. The moving device 120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10 along the guide rail 110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lace the stirrup ST at a set position, and includes a vertical frame 121 and a horizontal frame 122 . and a stirrup box 123 .

수직 프레임(121)은 대칭된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하단이 상술한 가이드 레일(110)에 각각 안착되어 기립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한 쌍의 수직 프레임(121)에는 푸셔 안내홀(121a)이 수직 프레임(121)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각 수직 프레임(121)에 형성되어 후술될 사이드 푸셔(140)가 거푸집(10)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한다. 수평 프레임(122)은 한 쌍의 수직 프레임(121)의 상단들을 연결하여, 한 쌍의 수직 프레임(121)이 동시에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게 하며, 수평 프레임(122)의 길이방향 양측면에는 전면 레일(122a)과 후면 레일(122b)이 각각 형성되어 로딩장치(130), 업다운 푸셔(150) 및 웰딩장치(160)의 설치공간 및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동장치(120)에는 타설공간(IS)에 설치되는 스터럽(ST)이 수용된 스터럽 박스(123)가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121)상에 설치된다.The vertical frame 121 is provided in a symmetrical pair, and each lower end is slid along the guide rail 110 in a standing state by being seated on the guide rail 110 described above, and a pair of vertical frames 121 . A pusher guide hole 121a is formed in each vertical frame 121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121 so that the side pusher 1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lides in the direction of the formwork 10 . The horizontal frame 122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21 so that the pair of vertical frames 121 move along the guide rail 110 at the same time,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ront rail (122a) and a rear rail (122b)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urface to provide an installation space and a movement path of the loading device 130 , the up-down pusher 150 , and the welding device 160 . In addition, the stirrup box 123 in which the stirrup ST installed in the pouring space IS is accommodated is installed on any one of the vertical frames 121 in the moving device 120 .

로딩장치(130)는 이동장치(120)가 타설공간(IS) 내 스터럽(ST)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스터럽(ST) 박스(123)에서 스터럽(ST)을 인출하여 타설공간(IS) 내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로딩이동암(131), 로딩회동암(132) 및 지그(133)를 포함한다.When the moving device 120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ST in the pouring space IS, the loading device 130 withdraws the stirrup ST from the stirrup (ST) box 123 to obtain the pouring space IS. To be seated in my set position, it includes a loading moving arm 131, a loading rotating arm 132 and a jig (133).

로딩이동암(131)은 시작단이 상술한 이동장치(120)의 전면 레일(122a) 또는 후면 레일(122b)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어 수평 프레임(122)을 따라 이동 또는 회동하여 스터럽(ST) 박스(123)로부터 인출된 스터럽(ST)을 타설공간(IS)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로딩회동암(132)은 로딩이동암(131)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타설공간(IS)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된 스터럽(ST)을 타설공간(IS)의 높이(깊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타설공간(IS) 내 스터럽(ST)의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킨다. 로딩회동암(132)의 끝단에는 스터럽(ST)을 파지할 수 있는 지그(133)가 구비된다.The loading moving arm 131 is rotatably seated on the front rail 122a or the rear rail 122b of the above-described moving device 120 at its starting end and moves or rotates along the horizontal frame 122 to move or rotate the stirrup (ST) box. The stirrup (ST) drawn out from (123) is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uring space (IS). In addition, the loading pivot arm 13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oading mobile arm 131 and moves the stirrup ST mov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uring space IS in the height (depth) direction of the pouring space IS. It moves along and is seated at the set position of the stirrup (ST) in the pouring space (IS). A jig 133 capable of gripping the stirrup S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loading pivot arm 132 .

사이드 푸셔(140)는 상술한 한 쌍의 푸셔 안내홀(121a)에 각각 끼워져 수직 프레임(121)으로부터 거푸집(10)의 외주면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거푸집(10)의 외주면, 즉, 측판(12)의 외주면을 마주하여 가압함으로써, 거푸집(10)이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스터럽(ST)의 설치 위치에 도달한 이동장치(120)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한다.The side pushers 140 are respectively fitted into the pair of pusher guide holes 121a described above and slide from the vertical frame 121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work 10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work 10, that is, the side plate 12. By pressing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orm 10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moving device 120 that has reach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ST along the guide rail 110 .

업다운 푸셔(150)는 상술한 전면 레일(122a) 또는 후면 레일(122b)을 따라 이동하여 로딩장치(130)에 의해 타설공간(IS) 내 안착된 스터럽(ST)을 거푸집(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업다운이동암(151) 및 업다운고정암(152)을 포함한다. The up-down pusher 150 moves along the aforementioned front rail 122a or rear rail 122b to fix the stirrup ST seated in the pouring space IS by the loading device 130 to the formwork 10. As such, it includes an up-down movable arm 151 and an up-down fixed arm 152 .

업다운이동암(151)은 시작단이 전면 레일(122a) 또는 후면 레일(122b)에 끼워져 수평 프레임(122)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며, 업다운고정암(152)은 업다운이동암(151)의 끝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움결합되어 업다운이동암(151)이 수평 프레임(122)을 따라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업다운이동암(151)의 끝단으로부터 슬라이딩 연장되어 돌출된 끝단이 타설공간(IS)에 안착된 스터럽(ST)을 가압하여 가압된 스터럽(ST)이 거푸집(10)에 고정되게 한다. 이때, 업다운 푸셔(150)의 가압 위치는 스터럽(ST)의 무게 중심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down moving arm 151 has a start end inserted into the front rail 122a or the rear rail 122b to slide along the horizontal frame 122, and the up-down fixed arm 152 slides on the end of the up-down moving arm 151. When the up-down movable arm 151 reaches a set position along the horizontal frame 122 by being fitted as possible, it slides from the end of the up-down movable arm 151 and the protruding end is seated in the pouring space (IS) stirrup (ST) is pressed so that the pressurized stirrup (ST) is fixed to the formwork (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ing position of the up-down pusher 150 presse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irrup ST.

상술한 사이드 푸셔(140)와 업다운 푸셔(150)는 후술될 웰딩장치(160)가 거푸집(10) 내주면의 비드(13)에 안착된 스터럽(ST)을 용접함에 앞서, 거푸집(10)과 거푸집(10)에 안착된 스터럽(ST)이 이동장치(120)에 설치된 각 푸셔(140, 15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웰딩장치(160)가 스터럽(ST)과 비드(13)의 맞닿는 부분인 용접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하게 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side pusher 140 and up-down pusher 150 is a welding device 160 to be described later welds the stirrup ST seated on the bead 13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 10, before welding the form 10 and the formwork. The stirrup ST seated on the 10 is firmly fixed by the pushers 140 and 150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120 so that the welding device 160 is the abutting part of the stirrup ST and the bead 13 .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welding position.

웰딩장치(160)는 거푸집(10) 내 안착된 스터럽(ST)과 비드(13)를 용접하는 것으로, 제1 웰딩기(161) 및 제2 웰딩기(162)를 포함한다. The welding apparatus 160 welds the stirrup ST seated in the mold 10 and the bead 13 , and includes a first welding machine 161 and a second welding machine 162 .

제1 웰딩기(161)는 수평 프레임(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터럽(ST)과 비드(13)가 맞닿는 부분 중, 이동장치(120)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된 일측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며, 제2 웰딩기(162)는 제1 웰딩기(161)와 마찬가지로 수평 프레임(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터럽(ST)과 비드(13)가 맞닿는 부분 중, 이동장치(120)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형성된 대칭된 타측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한다. 여기서, 각 웰딩기는 상술한 용접 동작을 실시하기 위해, 웰딩회동암(163), 웰딩연계암(164) 및 웰딩전극암(165)을 포함한다.The first welding machine 161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122 and welds the abutting part of one side formed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device 120 among the parts where the stirrup ST and the bead 13 abut, The second welding machine 162 is installed under the horizontal frame 122 like the first welding machine 161, and among the parts where the stirrup ST and the bead 13 contact each other, the moving device 120 is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moving direction. Weld the abutting part of the other symmetrical side formed by Here, each welding machine includes a welding pivot arm 163 , a welding linkage arm 164 , and a welding electrode arm 165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welding operation.

웰딩회동암(163)은 시작단이 수평 프레임(122)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고, 웰딩연계암(164)은 시작단이 웰딩회동암(163)의 끝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며, 웰딩전극암(165)은 끝단에 용접수단을 구비하되 시작단이 웰딩연계암(164)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으로 회동한다. 웰딩회동암(163)의 수평회동에 의해 각 웰딩기는 용접수단을 타설공간(IS)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웰딩연계암(164)과 웰딩전극암(165)의 연동된 수직회동에 의해 각 웰딩기는 용접수단을 타설공간(IS) 내 안착된 스터럽(ST)과 비드(13)가 맞닿는 부분에 근접시킬 수 있다. The starting end of the welding pivot arm 163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frame 122 to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welding linkage arm 164 has a start e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elding pivot arm 163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rotating, the welding electrode arm 165 is provided with a welding means at the end, but the start end is connected to the welding linkage arm 164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horizontal rotation of the welding rotation arm 163, each welding machine can move the welding mean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pouring space IS, and the welding connection arm 164 and the welding electrode arm 165 are vertically interlocked. By rotation, each welding machine can bring the welding means closer to the portion where the stirrup ST seated in the pouring space IS and the bead 13 contact each other.

여기서, 로딩장치(130), 사이드 푸셔(140), 업다운 푸셔(150) 및 웰딩장치(160)의 설치 위치와 동작을 수평 프레임(122)과 수직 프레임(121) 상의 슬라이딩 및 회동 동작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각 기술 구성들이 설계 변경되어 다른 동작을 통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로딩장치(130)는 슬라이딩 동작 없이 회동동작만으로 스터럽(ST)을 타설공간(IS)에 안착시킬 수 있거나, 웰딩장치(160)가 회동동작에 앞서 수평 프레임(122) 상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되게 하는 기술 구성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있음은 자명하다.Here, the installation positions and operations of the loading device 130 , the side pusher 140 , the up-down pusher 150 , and the welding device 160 are limited to sliding and rotating operations on the horizontal frame 122 and the vertical frame 121 , Although described,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technical configuration may be changed in design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through different operations. For example, the loading device 130 may seat the stirrup ST in the pouring space IS only by a rotation operation without a sliding operation, or the welding device 160 slides onto the horizontal frame 122 prior to the rotation operation. It is also apparent that the technical configuration to be moved is also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스터럽 설치장치(100)는 상술한 스터럽(ST)과 비드(13)의 맞닿는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CCD(Charge Couple device)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의 이미지 센서는 이동장치(120)에 설치되어 이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CD (Charge Couple Device) sensor, CMOS for identifying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tirrup ST and the bead 13 described above. An image sensor (not shown) such as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sensor may be provided. Of course, the image sensor at this time may be installed and moved in the mobile device 120 .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터럽 설치장치(10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installation process of the stirrup installa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터럽 설치장치(100)는 보 구조용 거푸집(10)에 스터럽(ST)을 설치하기 위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0)이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푸집(10)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0)이 설치되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0)에 스터럽 박스(123)가 구비된 이동장치(120)가 설치된다. 이때, 이동장치(120)에는 로딩장치(130), 사이드 푸셔(140), 업다운 푸셔(150), 웰딩장치(160) 및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 in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guide rails 110 are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10 in order to install the stirrup ST on the formwork 10 for beam structure. It is installed at a loca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of the formwork (10). When the pair of guide rails 110 are installed, the moving device 120 provided with the stirrup box 123 is installed on the pair of guide rails 110 . In this case, the moving device 120 includes a loading device 130 , a side pusher 140 , an up-down pusher 150 , a welding device 160 , and an image sensor.

가이드 레일(110)에 이동장치(120)가 설치되면, 이동장치(120)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스터럽(ST)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여 정지한다. 이때, 스터럽(ST)의 설치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 간격의 위치일 수 있으나, 설정에 따른 임의의 위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moving device 120 is installed on the guide rail 110, the moving device 120 moves along the guide rail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 10, and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ST. stop 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ST may be a posi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et by the user, but may be an arbitrary posi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이동장치(120)가 정지되면, 로딩장치(130)는 스터럽 박스(123)로부터 스터럽(ST)을 인출하여 거푸집(10)의 타설공간(IS)에 스터럽(ST)을 안착시킨다.When the moving device 120 is stopped, the loading device 130 withdraws the stirrup ST from the stirrup box 123 to seat the stirrup ST in the pouring space IS of the formwork 10 .

도 5를 참조하면, 타설공간(IS)에 스터럽(ST)이 안착된 후, 사이드 푸셔(140)는 이동장치(120)로부터 대칭되게 한 쌍으로 돌출되어 거푸집(10)의 외주면을 마주하여 가압함으로써, 거푸집(10)이 이동장치(1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며, 업다운 푸셔(150) 역시 이동장치(120)로부터 연장되어 스터럽(ST)을 가압함으로써, 스터럽(ST)이 거푸집(10)에 고정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 after the stirrup ST is seated in the pouring space IS, the side pushers 140 symmetrically protrude from the moving device 120 in pairs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work 10 and press it. By doing so, the formwork 10 is fixed by the moving device 120 , and the up-down pusher 150 also extends from the moving device 120 and presses the stirrup ST, so that the stirrup ST is attached to the formwork 10 . make it fixed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거푸집(10)과 스터럽(ST)이 함께 고정된 후, 웰딩장치(160)의 제1 웰딩기(161)는 이동장치(120)의 이동방향인 일측에 형성된 스터럽(ST)과 비드(13)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며, 동시에 제2 웰딩기(162) 역시 이동장치(120) 이동방향의 역방향인 타측에 형성된 스터럽(ST)과 비드(13)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한다. 이때, 각 웰딩기의 용접 순서 및 방향은 동일하게 설정되어, 마주보았을 때 엇갈린 순서 또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주보았을 때 동일한 순서 또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6 , after the form 10 and the stirrup ST are fixed together, the first welding machine 161 of the welding device 1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device 120 in the moving direction ( ST) and the abutting portion of the bead 13 are welded,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welding machine 162 also welds the contacting portion between the stirrup ST and the bead 13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device 120 . do. At this time, the welding order and direction of each welding machine is set to be the same, and it is preferable to proceed in a staggered order or direction when facing, bu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ceed in the same order or direction when facing each other.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스터럽(ST)이 거푸집(10)에 설치되면 웰딩장치(160), 사이드 푸셔(140), 업다운 푸셔(150)는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며, 이후, 이동장치(120)는 거푸집(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음으로 설정된 스터럽(ST)의 설치 위치로 이동하여 다음 스터럽(ST)을 설치한다.Referring to FIG. 7 , when one stirrup ST is installed in the formwork 10 , the welding device 160 , the side pusher 140 , and the up-down pusher 150 return to their initial positions, and then, the moving device 120 . ) moves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next set stirrup S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 10 to install the next stirrup S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거푸집
11 : 하판 12 : 한 쌍의 측판
13 : 비드 13a : 관통공
14 : 요철문양
100 : 스터럽 설치장치
110 : 가이드 레일 120 : 이동장치
121 : 수직 프레임 121a : 푸셔 안내홀
122 : 수평 프레임 122a : 전면 레일
122b : 후면 레일 123 : 스터럽 박스
130 : 로딩장치 131 : 로딩이동암
132 : 로딩회동암 133 : 지그
140 : 사이드 푸셔 150 : 업다운 푸셔
151 : 업다운이동암 152 : 업다운고정암
160 : 웰딩장치 161 : 제1 웰딩기
162 : 제2 웰딩기 163 : 웰딩회동암
164 : 웰딩연계암 165 : 웰딩전극암
ST : 스터럽 US : U형 스터럽
RI : 보강재 IS : 타설공간
10 : formwork
11: lower plate 12: a pair of side plates
13: bead 13a: through hole
14: uneven pattern
100: stirrup installation device
110: guide rail 120: moving device
121: vertical frame 121a: pusher guide hole
122: horizontal frame 122a: front rail
122b: rear rail 123: stirrup box
130: loading device 131: loading mobile arm
132: loading rotator arm 133: jig
140: side pusher 150: up-down pusher
151: up-down movable arm 152: up-down fixed arm
160: welding device 161: first welding machine
162: second welding machine 163: welding rotation arm
164: welding linkage arm 165: welding electrode arm
ST : stirrup US : U-shaped stirrup
RI : Reinforcing material IS : Casting space

Claims (14)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타설공간과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의 형상과 구조를 측정하여 상기 스터럽과 상기 비드들의 맞닿는 부분을 식별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A rectangular lower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are erec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space for pouring mortar for concrete pouring, and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s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stirrup in a beam structure formwork that forms a beam by combining with the poured concrete by forming beads extending along it and inserted into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pouring space,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a moving device having a stirrup box in which the stirrup is retractably stored and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a loa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ake out the stirrup from the stirrup box and seat it in the pouring space when the moving device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and
A wel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welding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bead of the mold to install the stirrup to the mold,
Further comprising an image sensor for measuring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pouring space and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to identify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stirrup and the beads,
The mobile device is
a pair of vertical frames having lower ends respectively seated on the pair of guide rails and sliding along the guide rails; and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beam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A rectangular lower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are erec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space for pouring mortar for concrete pouring, and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s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stirrup in a beam structure formwork that forms a beam by combining with the poured concrete by forming beads extending along it and inserted into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pouring space,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a moving device having a stirrup box in which the stirrup is retractably stored and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a loa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ake out the stirrup from the stirrup box and seat it in the pouring space when the moving device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and
A wel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welding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bead of the mold to install the stirrup to the mold,
The mobile device is
a pair of vertical frames having lower ends respectively seated on the pair of guide rails and sliding along the guide rails; and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beam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돌출된 끝단이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터럽이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에 고정되도록 하는 업다운 푸셔를 더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n up-down pusher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the end protruding by sliding toward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presses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so that the stirrup is fixed to the pouring space of the formwork. Stirrup installation device of formwork for beam structur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업다운 푸셔는,
시작단이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는 업다운이동암; 및
상기 업다운이동암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연장됨으로써, 끝단이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을 가압하는 업다운고정암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up-down pusher is
an up-down moving arm having a starting end coupled to the moving device; and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a beam structure including an up-down fixed arm for pressing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by sliding an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up-down moving arm toward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장치는,
시작단이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타설공간 방향으로 회동하는 로딩이동암; 및
시작단이 상기 로딩이동암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로딩이동암의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끝단에 상기 스터럽을 파지하는 지그가 구비된 로딩회동암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A rectangular lower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are erec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space for pouring mortar for concrete pouring, and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s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stirrup in a beam structure formwork that forms a beam by combining with the poured concrete by forming beads extending along it and inserted into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pouring space,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a moving device having a stirrup box in which the stirrup is retractably stored and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a loa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ake out the stirrup from the stirrup box and seat it in the pouring space when the moving device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and
A wel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welding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bead of the mold to install the stirrup to the mold,
The loading device is
a loading moving arm having a starting end coupled to the moving device and rotating from the stirrup box in the direction of the pouring space; and
A starting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oading movable arm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loading movable arm, and includes a loading pivoting arm provided with a jig for gripping the stirrup at the end,
The mobile device is
a pair of vertical frames having lower ends respectively seated on the pair of guide rails and sliding along the guide rails; and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beam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을 향해 슬라이딩되어 돌출된 각 끝단이 상기 거푸집의 외주면을 각각 마주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거푸집이 상기 이동장치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사이드 푸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A rectangular lower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are erec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space for pouring mortar for concrete pouring, and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s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stirrup in a beam structure formwork that forms a beam by combining with the poured concrete by forming beads extending along it and inserted into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pouring space,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a moving device having a stirrup box in which the stirrup is retractably stored and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a loa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ake out the stirrup from the stirrup box and seat it in the pouring space when the moving device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and
A wel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welding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bead of the mold to install the stirrup to the mold,
A pair of side pushers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each end protruding by sliding toward the form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rm, respectively, so that the form is fixed by the moving device;
The mobile device is
a pair of vertical frames having lower ends respectively seated on the pair of guide rails and sliding along the guide rails; and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beam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의 측판들에 형성된 비드들에는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들이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복수 개로 형성되며,
U형 스터럽이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관통공들에 거꾸로 끼워져 상기 측판들에 형성된 비드들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A rectangular lower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are erec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space for pouring mortar for concrete pouring, and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s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stirrup in a beam structure formwork that forms a beam by combining with the poured concrete by forming beads extending along it and inserted into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pouring space,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a moving device having a stirrup box in which the stirrup is retractably stored and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a loa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ake out the stirrup from the stirrup box and seat it in the pouring space when the moving device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and
A wel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welding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bead of the mold to install the stirrup to the mold,
In the beads formed on the side plates of the formwork,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symmetrically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The U-shaped stirrup is inserted upside down into the through-holes formed symmetrically at regular intervals to connect the beads formed on the side plates, so that the pouring space of the form is not deformed,
The mobile device is
a pair of vertical frames having lower ends respectively seated on the pair of guide rails and sliding along the guide rails; and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of a formwork for beam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장방형의 하판과 한 쌍의 측판이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세워져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판과 상기 측판들의 내주면에 폭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비드들이 형성되어 상기 타설공간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보를 이루는 보 구조용 거푸집에 스터럽을 설치하는 스터럽 설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스터럽이 인출 가능하게 저장된 스터럽 박스를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가 상기 스터럽의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스터럽 박스로부터 상기 스터럽을 인출하여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시키는 로딩장치; 및
상기 이동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타설공간에 안착된 스터럽과 상기 거푸집의 각 비드들과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여 상기 거푸집에 상기 스터럽을 설치하는 웰딩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웰딩장치는,
시작단이 상기 이동장치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웰딩회동암;
시작단이 상기 웰딩회동암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웰딩회동암의 끝단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는 웰딩연계암; 및
시작단이 상기 웰딩연계암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웰딩연계암의 끝단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며, 끝단에 용접수단을 구비하는 웰딩전극암을 포함하고,
상기 웰딩장치는,
상기 스터럽과 상기 비드가 맞닿는 부분 중, 상기 이동장치의 이동방향으로 형성되는 일측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는 제1 웰딩기; 및
상기 스터럽과 비드가 맞닿는 부분 중, 상기 이동장치 이동방향의 역방향으로 형성되는 타측의 맞닿는 부분을 용접하는 제2 웰딩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장치는,
하단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A rectangular lower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are erect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to form a space for pouring mortar for concrete pouring, and the lower plate and the side plates protrud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width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installing a stirrup in a beam structure formwork that forms a beam by combining with the poured concrete by forming beads extending along it and inserted into the concrete to be poured into the pouring space,
a pair of guide rails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rmwork;
a moving device having a stirrup box in which the stirrup is retractably stored and moving along the pair of guide rails;
a loa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configured to take out the stirrup from the stirrup box and seat it in the pouring space when the moving device arrives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tirrup; and
A welding device installed in the moving device and welding the stirrup seated in the pouring space and a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bead of the mold to install the stirrup to the mold,
The welding device is
a welding pivot arm having a starting end coupled to the moving device and rotat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welding linkage arm having a start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welding pivot arm and rot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welding pivot arm; and
A starting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welding linkage arm, rotate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welding linkage arm, and includes a welding electrode arm having a welding means at the end,
The welding device is
a first welding machine for welding the abutting portion of the stirrup and the bead, which is form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device, among the abutting portions; and
and a second welding machine for welding the abutting portion of the other sid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device among the abutting portions of the stirrup and the bead,
The mobile device is
a pair of vertical frames having lower ends respectively seated on the pair of guide rails and sliding along the guide rails; and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beam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frame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s.
청구항 1, 2, 5, 6, 7 및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은,
U형 스터럽, 개방형 스터럽 또는 폐합형 스터럽인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5, 6, 7 and 8,
The stirrup is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beam structural formwork, which is a U-shaped stirrup, an open stirrup or a closed stirrup.
청구항 1, 2, 5, 6, 7 및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럽이 U형 스터럽인 경우, 양단이 상기 거푸집의 측판들에 각각 맞닿아 상기 웰딩장치에 의해 각각 용접되어 접합됨으로써, 상기 거푸집의 타설공간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5, 6, 7 and 8,
When the stirrup is a U-shaped stirrup,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the side plates of the formwork and are welded and joined by the welding device, respectively, so that the pouring space of the formwork is not deformed. Stirrup installation device.
청구항 1, 2, 5, 6, 7 및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들은,
돌출된 끝단이 구부러진 구조인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5, 6, 7 and 8,
The beads are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formwork for beam structure with a bent structure at the protruding end.
청구항 1, 2, 5, 6, 7 및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은,
내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요철문양을 포함하는 보 구조용 거푸집의 스터럽 설치장치.
9.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2, 5, 6, 7 and 8,
The formwork is
A stirrup installation device for a formwork for beam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uneven pattern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01190A 2019-08-19 2019-08-19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beam structural form KR1022862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90A KR102286212B1 (en) 2019-08-19 2019-08-19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beam structural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190A KR102286212B1 (en) 2019-08-19 2019-08-19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beam structural 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87A KR20210021787A (en) 2021-03-02
KR102286212B1 true KR102286212B1 (en) 2021-08-04

Family

ID=75169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190A KR102286212B1 (en) 2019-08-19 2019-08-19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beam structural 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21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4257A (en) * 2012-03-27 2013-10-07 Ohbayashi Corp Reinforcing bar assembling device and reinforcing bar assembling method
KR101681544B1 (en) * 2015-11-24 2016-12-0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ed system for constructin a concrete structure
KR101777979B1 (en) *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Permanent Beam Form
KR102008724B1 (en) * 2018-11-29 2019-08-08 임환빈 Permanent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2116B2 (en) * 1993-04-06 1999-06-28 俊雄 竹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welded reinforcing bar with formwork
KR100954447B1 (en) 2010-01-12 2010-04-27 (주)동하이엔지 Beam structural for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4257A (en) * 2012-03-27 2013-10-07 Ohbayashi Corp Reinforcing bar assembling device and reinforcing bar assembling method
KR101681544B1 (en) * 2015-11-24 2016-12-0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ed system for constructin a concrete structure
KR101777979B1 (en) * 2016-12-16 2017-09-12 티앤에스슈퍼데크(주) Permanent Beam Form
KR102008724B1 (en) * 2018-11-29 2019-08-08 임환빈 Permanent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787A (en)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463B1 (en) Bending machine of welded steel mesh for mesh fence
JP5843293B2 (en) Lined concrete pla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bile centle
KR102286212B1 (en) Equipment for installation of beam structural form
KR101558992B1 (en) Reinforcement facilities for mold for building structure
KR102468364B1 (en) Clamping jig for welding stud of assembly housing
JP6464535B2 (en) Mobile work scaffold
KR20180131929A (en) Structural Mold Manufacturing Method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Structural Mold Thereof
KR20210063914A (en) Automatic concrete form lifting apparatus having guide member and automatic concrete form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CN210847775U (en) Arc-shaped steel lining forming device
JPH11323835A (en) Corrugated steel plate for bridge
JP6142341B2 (en) Bending machine
JP4862802B2 (en) Curved pan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7150132A (en) Deck plate and end close processing method of deck plate
JP6893017B2 (en) Jig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rebar cages using the jigs
KR102530079B1 (en) Mold for removing concrete air pocket and preventing concrete spillage
KR101884880B1 (en) Temporary reinforcing structures
KR101830348B1 (en) Bracket of baseboard formwork for building construction
JP7021808B2 (en) Jig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rebar cages using the jigs
CN110617106A (en) Tunnel transverse drain pipe fix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302161B1 (en) Formwork for building walls / slabs
CN214939231U (en) Bridge expansion joint notch structure
KR102265336B1 (en) Reform method of aluminum form
JP3861017B2 (en) Column beam joint construction method
CN210082027U (en) Improved special superposed beam shaping die assembly
KR102180821B1 (en) Reinforcement and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to colum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