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847B1 -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847B1
KR102285847B1 KR1020190166014A KR20190166014A KR102285847B1 KR 102285847 B1 KR102285847 B1 KR 102285847B1 KR 1020190166014 A KR1020190166014 A KR 1020190166014A KR 20190166014 A KR20190166014 A KR 20190166014A KR 102285847 B1 KR102285847 B1 KR 10228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upport
central
locking memb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883A (ko
Inventor
변희선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에바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에바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에스에바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8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02Compacting only
    • B22F3/03Press-moulding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포트(100)와, 상기 서포트(100)에 설치되어 서포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는 연결접속구(200)와, 상기 연결접속구(200)를 서포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고정장치의 상기 고정부재(300)는 걸림부재(310)와, 상기 걸림부재(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편(3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편(320)은 합성수지재이며, 사출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걸림부재(310)는 금형(600)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금형(600)은 하부금형(610)과, 상기 하부금형(6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부금형(620)과, 상기 중심부금형(6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630)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서포트에 각종 부가물(Ventilation duct, Cable tray, Pipe, 기타 의장품)을 설치 시 별도 특별히 고안된 부재를 준비하거나 또는 서포트에 구멍을 시공해서 설치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서포트 장치에 구멍시공에 따른 파손이나 변형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춰 보다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용접작업 없어 설치 공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동, 수정, 변경, 설치 및 해체가 자유로운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Cleat nut type support fixture devi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해양설비, 태양광 Panel, 지진대비한 방화수 배관물 지지, 건축공사에 적용되는 설비 Support, 배관 Support, Cable tray Support, Ventilation duct Support 등을 구조물에 용접작업 없이 간편하게 연결, 고정, 수정, 추가, 해체가 자유로운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67285호의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에 의하면, 금속재 메인파이프(10); 및 상기 메인파이프에 결합되는 바디(21), 상기 바디에 내장된 탄성수단(22),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탄성수단에 의하여 탄지되는 서포트바(23), 그리고 상기 서포트바에 결합되어 서프트바가 바디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고정하는 고정부재(24)를 포함하는 금속재 서포트(20); 상기 메인파이프(10)가 삽입되는 가이드슬리브(32)와, 가이드슬리브(32)에 양측에 결합된 두 분리고리(32a)를 포함하는 수전구 설치구(30m); 및 상기 수전구 설치구(30m) 및 서포트(20)와 메인파이프(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서포트 분리기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서포트(20)의 바디(21)는 외면 하단의 평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삽입고정부(21a)를 갖고, 상기 메인파이프(10)는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 하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21c)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바(23)는 상기 이탈방지부재(21c)에 걸려 바디(21)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부재(23a)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서포트바(23)의 노출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암나사이며, 상기 탄성수단은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서포트바는 상기 코일스프링에 내삽되는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서포트 분리기구(50)는 타격돌기(51b)를 갖는 두 돌출부(51c) 및 상기 메인파이프(10)가 수용되고 두 돌출부(51c)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51a)를 갖는 웨이트(51)와, 상기 웨이트(51)와 결합되는 핸들(5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웨이트(51) 돌출부(51c)의 타격돌기(51b)와 수전구 설치구(30m)의 분리고리(32a)의 충돌시 상기 가이드슬리브(32)에 의한 바디(21)의 이탈방지부재(21c)의 충돌로 메인파이프(10)와 바디(21)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7328호의 조적용 서포트에 의하면, 관 형상으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중앙이 통공된 바닥면에 의해 밀폐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부 내면에는 나선부가 형성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부로 스프링(7)이 삽입되며,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는 높이조절 볼트(5)의 상부가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면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으로 삽입되어 돌출된 높이조절 볼트(5)의 외주면에 스프링(7)이 끼워지는 하부 몸체(4)와; 상기 하부 몸체(4)의 나선부(15)와 조임 결합되도록 하부에 나선 돌기(16)가 형성된 관 형상으로 상부에는 결합봉(9)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봉(9)에는 높이에 따라 굵기를 달리하여 순차적으로 제 1 걸림 단턱(8)과 제 2 걸림 단턱(8')이 다 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9)의 상면에는 높이조절 볼트(5)의 상부가 삽입 인출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한 상부 몸체(3)와; 상기 하부 몸체(4)의 바닥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상부가 삽입되면 하부에는 일정한 높이만큼만 나선부를 형성하여 높이조절 너트(6)를 조임 체결하고, 하부에는 받침편(17)이 일체로 형성된 높이조절 볼트(5)와; 상기 상부 몸체(3)의 결합봉(9)에는 제 1, 2 걸림 단턱(8, 8')의 굵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파이프(2)와; 상기 파이프(2)의 상단에는 조적되는 벽돌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10)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용 서포트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서포트 장치들은 파손이나 변형의 위험이 높아 안정성이 낮고, 이동과 사용이 불편하며 설치 및 해체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서포트에 각종 부가물(Ventilation duct, Cable tray, Pipe, 기타 의장품)을 설치 시 별도 특별히 고안된 부재를 준비하거나 또는 서포트에 구멍을 시공해서 설치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서포트 장치에 구멍시공에 따른 파손이나 변형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춰 보다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용접작업 없어 설치 공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동, 수정, 변경, 설치 및 해체가 자유로운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포트(100)와, 상기 서포트(100)에 설치되어 서포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는 연결접속구(200)와, 상기 연결접속구(200)를 서포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고정장치의 상기 고정부재(300)는 걸림부재(310)와, 상기 걸림부재(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편(3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편(320)은 합성수지재이며, 사출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걸림부재(310)는 금형(600)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금형(600)은 하부금형(610)과, 상기 하부금형(6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부금형(620)과, 상기 중심부금형(6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6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포트에 각종 부가물(Ventilation duct, Cable tray, Pipe, 기타 의장품)을 설치 시 별도 특별히 고안된 부재를 준비하거나 또는 서포트에 구멍을 시공해서 설치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서포트 장치에 구멍시공에 따른 파손이나 변형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춰 보다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용접작업 없어 설치 공수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동, 수정, 변경, 설치 및 해체가 자유로운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에 고정부재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에 고정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 고정부재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 고정부재의 이탈방지편 사진
도 5는 본 발명 고정부재의 걸림부재 사시방향 사진
도 6은 도 5의 측면사진
도 7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고정부재에 임의의 L형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 사진
도 9는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에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에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1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 사진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의 이탈방지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 걸림부재 사진
도 15는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에 임의의 L형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서포트 제조장치의 개요도
도 17은 본 발명의 서포트 제조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조되는 서포트의 개요도
도 1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형사진
도 19는 도 18의 금형 분해 사진
본 발명은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포트(100)와, 상기 서포트(100)에 설치되어 서포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는 연결접속구(200)와, 상기 연결접속구(200)를 서포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고정장치의 상기 고정부재(300)는 걸림부재(310)와, 상기 걸림부재(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편(3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편(320)은 합성수지재이며, 사출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걸림부재(310)는 금형(600)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금형(600)은 하부금형(610)과, 상기 하부금형(6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부금형(620)과, 상기 중심부금형(6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6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에 고정부재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에 고정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 고정부재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 고정부재의 이탈방지편 사진, 도 5는 본 발명 고정부재의 걸림부재 사시방향 사진, 도 6은 도 5의 측면사진, 도 7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고정부재에 임의의 L형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8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 사진, 도 9는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에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 완전히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0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서포트에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1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 사진, 도 12는 도 10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의 이탈방지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 걸림부재 사진, 도 15는 본 발명 서포트에 물체 고정장치의 다른 실시 예 고정부재에 임의의 L형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6은 본 발명의 서포트 제조장치의 개요도, 도 17은 본 발명의 서포트 제조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조되는 서포트의 개요도, 도 1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형사진, 도 19는 도 18의 금형 분해 사진이다.
본 발명은 서포트(100)와, 서포트(100)에 설치되어 서포트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물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트(100)는 제1수평판(110)과, 상기 제1수평판(110)의 좌, 우측 양단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된 제1, 2수직판(120, 130)과, 상기 제1, 2수직판(120, 130)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 3수평판(140, 150)과, 상기 제2, 3수평판(140, 150)의 끝단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제3, 4수직판(160, 1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4수직판(160, 170)의 하면에는 제3, 4수직판(160, 17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걸림홈(161, 1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수직판(120)에는 제1수직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수직판(120)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장방형홀(111)이 등간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걸림부재(310)와, 상기 걸림부재(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편(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재(310)는 금속재이며 육면체 형상이되, 걸림부재(310)의 중심에는 상, 하를 관통하는 볼트결합구멍(3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310)의 상면 좌, 우측에는 각각 걸림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12)는 걸림부재(310)의 상면에 형성된 홈(312-1)과, 상기 홈(312-1)의 좌, 우측 내벽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3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는 홈의 좌, 우측 내벽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홈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순차적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는 외측면 모서리부에 서로 대칭되는 라운드(313)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편(320)은 합성수지재이며 판재형상의 상부몸체(321)와, 상기 상부몸체(321)의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하부몸체(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321)는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21)에 형성된 구멍은 파이프 형상의 하부몸체(322)와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는 하단부 외주연에 걸림부재가 관통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32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와 걸림부재의 결합을 단단하게 하며 걸림부재의 중심이 하부몸체의 중심에 설치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부재의 외측면 중심에는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하부몸체의 내주연에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몸체의 결합홈에 걸림부재가 관통삽입되면, 상기 하부몸체의 내주연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가 걸림부재의 외측면 중심에 형성된 이탈방지홈에 삽입됨으로, 하부몸체와 결합홈이 용이하다.
한편, 상기 서포트 고정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포트(100)는 제1수평판(110)과, 상기 제1수평판(110)의 좌, 우측 양단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된 제1, 2수직판(120, 130)과, 상기 제1, 2수직판(120, 130)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 3수평판(140, 150)과, 상기 제2, 3수평판(140, 150)의 끝단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제3, 4수직판(160, 170)의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9128726381-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의 걸림부재를 서포트의 제1, 2수직판 사이로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를 90°회전시켜 걸림부재의 상면 좌, 우측이 서포트의 제3, 4수직판의 하면에 각각 접촉되게 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편의 상부몸체는 서포트의 제2, 3수평판에 접촉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는 외측면 모서리부에 서로 대칭되는 라운드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걸림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부가 서포트의 제3, 4수직판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홈과의 접촉이 견고하게 되어 고정부재는 서포트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가 서포트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걸림부재를 90°회전시키면, 상기 걸림부재의 상면 좌, 우측이 서포트의 제3, 4수직판의 하면에서 각각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고정부재는 서포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서포트에 설치된 고정부재는 걸림부재의 상면 좌, 우측이 서포트의 제3, 4수직판의 하면에 각각 접촉되게 되면, 서포트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의 중심에 형성된 볼트결합구멍에는 서포트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물체를 볼트를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고정부재(300)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걸림부재(310)와, 상기 걸림부재(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편(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재(310)는 금속재이며 육면체 형상이되, 걸림부재(310)의 중심에는 상, 하를 관통하는 볼트결합구멍(31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310)의 상면 좌, 우측에는 각각 걸림부(31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재(310)는 볼트결합구멍(311) 주위에서 상부로 원기둥형상의 연장부(314)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의 외주연에는 체결홀(316)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12)는 걸림부재(310)의 상면에 형성된 홈(312-1)과, 상기 홈(312-1)의 좌, 우측 내벽에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31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는 홈의 좌, 우측 내벽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홈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순차적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는 외측면 모서리부에 서로 대칭되는 라운드(313)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편(320)은 합성수지재이며 판재형상의 상부몸체(321)와, 상기 상부몸체(321)의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하부몸체(3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몸체(321)는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321)에 형성된 구멍은 파이프 형상의 하부몸체(322)와 연통된다.
상기 하부몸체의 내주연에는 걸림부재의 연장부 외주연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돌기(322-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몸체는 상부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편(32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편은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편에는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별도의 물체를 보조로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편의 하부몸체에는 걸림부재의 연장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서포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포트는 서포트 제조장치(500)에서 순차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 제조장치(500)는 롤 형상의 철판을 거치하는 거치부(510)와, 상기 거치부(510)에서 펼쳐진 철판이 투입되어 구부러짐 없이 판재형상으로 가공하는 롤링부(520)와, 상기 판재형상이된 철판에 철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홀(111)을 형성하는 홀형성부(530)와, 상기 장방형홀이 형성된 철판을 다음공정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가이드부(540)와, 상기 이송가이드부(540)에서 철판을 공급받아 서포트 형상으로 가공하는 형상가공부(5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형상가공부(550)는 복수개의 복수 개의 롤러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철판이 형상가공부의 전방에 투입되어 후방으로 배출되면 서포트 형상으로 제조된다.
상기 형상가공부는 철판이 투입되는 투입부(551)와, 상기 투입된 철판의 좌, 우끝단을 하부수직방향으로 구부려서 서포트의 제3, 4수직판(160, 170)을 형성하는 제1형상가공부(552)와, 상기 제1형상가공부에서 하부수직방향으로 구부러진 철판의 끝단에 톱니로 가공하여 서포트의 걸림홈(161, 171)을 형성하는 제2형상가공부(553)와, 상기 제2형상가공부에서 거친 철판을 서포트 형상으로 구부려서 가공하는 제3형상가공부(554)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형상가공부의 투입부로 투입되어 제1, 2, 3형상가공부를 거치면, 상기 서포트(100)는 제1수평판(110)과, 상기 제1수평판(110)의 좌, 우측 양단에서 상부로 돌출형성된 제1, 2수직판(120, 130)과, 상기 제1, 2수직판(120, 130)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2, 3수평판(140, 150)과, 상기 제2, 3수평판(140, 150)의 끝단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는 제3, 4수직판(160, 170)의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9128726381-pat00002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서포트는 서포트 제조장치(500)의 거치부에 롤 형상으로 거치된 철판을 롤링부로 투입하여 구부러짐 없이 판재형상으로 가공하고, 상기 홀형성부에서 판재형상이된 철판에 철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홀(111)을 형성하며, 상기 장방형홀이 형성된 철판을 이송가이드부에서 다음공정인 형상가공부로 이송시키며, 상기 형상가공부에서 철판을 공급받아 서포트 형상으로 가공하는 형상가공하는 것이다.
상기 형상가공부(500)는 제1, 2, 3형상가공부(552, 553, 55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형상가공부(552)로 투입된 철판의 좌, 우끝단을 하부수직방향으로 구부려서 서포트의 제3, 4수직판(160, 170)을 형성하고, 상기 제2형상가공부(552)에서 하부수직방향으로 구부러진 철판의 끝단에 톱니로 가공하여 서포트의 걸림홈(161, 171)을 형성하며, 상기 제3형상가공부에서 철판을 서포트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구부려서 가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별도의 컷팅부(555)에서 서포트를 사용자를 원하는 길이만큼 절단하여 컨베이어(556)에 의해 이동되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고정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걸림부재(310)와, 상기 걸림부재(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편(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탈방지편은 합성수지재이며, 사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재(310)는 금형(600)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금형(600)은 하부금형(610)과, 상기 하부금형(6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부금형(620)과, 상기 중심부금형(6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630)과, 상기 상부금형(630), 중심부금형(620), 하부금형(6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수직봉(640)과, 상기 제1수직봉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제2수직봉(6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금형(610)은 하부받침판(611)과, 상기 하부받침판(611)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삽입편(6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받침판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삽입편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좌, 우측부가 외부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삽입편의 상면 좌, 우측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걸림부재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금형(610)은 상부에서 하부로 안내홈이 형성된다.
상기 중심부금형(620)은 하부중심금형(621)과, 상부중심금형(6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중심금형, 상부중심금형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중심금형의 하면에는 하부삽입홈이 형성되되, 하부금형의 하부삽입편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중심금형의 삽입홈에는 하부금형의 하부삽입편이 삽입된다.
상기 상부중심금형에는 상부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삽입홀은 육면체 형상이되, 좌, 우측부가 외부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금형은 중심부금형에 삽입되는 상부삽입편(631)과, 상기 상부삽입편의 상부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상부받침판(632)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삽입편은 중심부금형의 상부삽입홀과 대응되는 형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삽입편은 중심부금형의 상부삽입홀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금형(6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1수직봉(640) 단차가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경이 작은 부분이 직경이 큰 부분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직경이 작은 부분이 상기 상부금형(630), 중심부금형(620), 하부금형(6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수직봉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봉은 단차가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경이 작은 부분이 직경이 큰 부분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직경이 작은 부분이 상기 제1수직봉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부금형(630), 중심부금형(620), 하부금형(610)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금형으로 걸림부재(310)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금형에 중심부금형을 결합하고, 상기 중심부금형의 상부에 상부금형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가루형태의 금속을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열을 가하여 금속을 녹인다.
그리고 상기 제1, 2수직봉을 결합시킨 후 가압하여 걸림부재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포트장치의 파손이나 변형의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춰서 보다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이동과 사용이 간편하며 설치 및 해체가 자유로운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서포트
110 : 제1수평판 111 : 제1장방형홀
120 : 제1수직판 130 : 제2수직판
140 : 제2수평판 150 : 제3수평판
160 : 제3수직판 170 : 제4수직판
161, 171 : 걸림홈
300 : 고정부재
310 : 걸림부재 311 : 볼트결합구멍
312 : 걸림부 312-1 : 홈
312-2 : 걸림돌기
313 : 라운드 314 : 연장부
315 : 이탈방지홈 316 : 체결홀
320 : 이탈방지편 321 : 상부몸체
322 : 하부몸체 322-1 : 결합홈
322-1 : 체결돌기
322-2 : 이탈방지돌기
323 : 결합편
500 : 서포트 제조장치 510 : 거치부
520 : 롤링부 530 : 홀형성부
540 : 이송가이드부 550 : 형상가공부
551 : 투입부 552 : 제1형상가공부
553 : 제2형상가공부 554 : 제3형상가공부
555 : 컷팅부 556 : 컨베이어
600 : 금형 610 : 하부금형
611 : 하부받침판 612 : 하부삽입편
620 : 중심부금형 621 : 하부중심금형
622 : 상부중심금형
630 : 상부금형 631 : 상부삽입편
632 : 상부받침판 640 : 제1수직봉
650 : 제2수직봉

Claims (1)

  1. 서포트(100)와, 상기 서포트(100)에 설치되어 서포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는 연결접속구(200)와, 상기 연결접속구(200)를 서포트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지는 서포트 고정장치의 상기 고정부재(300)는 걸림부재(310)와, 상기 걸림부재(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편(3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탈방지편(320)은 합성수지재이며, 사출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걸림부재(310)는 금형(600)으로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금형(600)은 하부금형(610)과, 상기 하부금형(6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부금형(620)과, 상기 중심부금형(6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금형(630)과, 상기 상부금형(630), 중심부금형(620), 하부금형(6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수직봉(640)으로 이루어지는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610)은 하부받침판(611)과, 상기 하부받침판(611)의 상부에 형성되는 하부삽입편(61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받침판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삽입편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좌, 우측부가 외부로 볼록하게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금형(610)은 상부에서 하부로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금형(620)은 하부중심금형(621)과, 중심부중심금형(622) 상부중심금형(6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중심금형, 중심부중심금형, 상부중심금형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중심금형의 하면에는 하부삽입홈이 형성되되, 하부금형의 하부삽입편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중심금형의 삽입홈에는 하부금형의 하부삽입편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중심금형의 삽입홈의 상면에는 좌, 우측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걸림부재에 홈(312-1)과 걸림돌기(312-2)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중심금형과 중심부중심금형에는 서로 연통되며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되는 상부삽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삽입홀은 사각형 형상이되, 외측면의 4개의 모서리 중 2개의 서로 대칭되는 모서리에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금형은 중심부금형에 삽입되는 상부삽입편(631)과, 상기 상부삽입편의 상부에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상부받침판(632)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삽입편은 중심부금형의 상부삽입홀과 대응되는 형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삽입편은 중심부금형의 상부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금형(630)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봉(640) 단차가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직경이 작은 부분이 직경이 큰 부분보다 길이가 길며, 상기 직경이 작은 부분이 상기 상부금형(630), 중심부금형(620), 하부금형(61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금형으로 걸림부재(310)를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하부금형에 중심부금형을 결합하고, 상기 중심부금형의 상부에 상부금형을 결합한 후, 상기 상부금형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분말형태의 금속을 투입하고, 열을 가하여 분말형태의 금속을 녹인후, 상기 수직봉을 결합시킨 후 가압하여 걸림부재를 제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
KR1020190166014A 2019-12-12 2019-12-12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 KR10228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014A KR102285847B1 (ko) 2019-12-12 2019-12-12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014A KR102285847B1 (ko) 2019-12-12 2019-12-12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83A KR20210074883A (ko) 2021-06-22
KR102285847B1 true KR102285847B1 (ko) 2021-08-04

Family

ID=76600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014A KR102285847B1 (ko) 2019-12-12 2019-12-12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8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5527A (ja) * 2002-06-24 2004-01-29 Ntn Corp 送りねじ装置用樹脂ナットの射出成形金型およ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43185A1 (de) * 1992-12-19 1994-06-23 Hilti Ag Befestigungsvorrichtung
JP2937697B2 (ja) * 1993-07-09 1999-08-23 株式会社アイエイアイ ボールナット製造方法
DE102017103771A1 (de) * 2017-02-23 2018-08-23 Secura Services Ag Befestigungsvorrichtung und Befestigungsbaugrupp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5527A (ja) * 2002-06-24 2004-01-29 Ntn Corp 送りねじ装置用樹脂ナットの射出成形金型およ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83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5004B1 (en) Simple lap beam
CN105189887B (zh) 配合形成临时楼梯的阶梯模块
US11296489B2 (en) Support system for electrical boxes
KR102285847B1 (ko) 클리트 너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
KR100758346B1 (ko) 거푸집용 조립식 작업대
KR20210055559A (ko) 방화충전재 일체형 관통슬리브
KR10094736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100511462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연결장치
KR101223458B1 (ko) 파티션 연결구조
KR102237738B1 (ko) 클리트 조인트 볼트형 서포트 고정장치 제조방법
KR101908432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2360848B1 (ko) 프로파일형 서포트 제조방법
JP2014181514A (ja) 鉄筋交差部締結金具
KR101753700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0470819Y1 (ko) 스터드기능을 갖는 조립형 스퀘어바
JP665531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建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
KR20160042374A (ko) 외장패널 고정용 조립식 프레임
JP2016176287A (ja) アルミ製パイプサポート
KR20170000820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2224300B1 (ko) 채널연결용 스프링너트
KR102396003B1 (ko) 내진 기능이 보강된 철근 결속용 커플러
AU2018256603A1 (en) Interlockable partitio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 same
KR102006922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0825251B1 (ko) 조립식 파티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