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288B1 -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5288B1
KR102285288B1 KR1020190152167A KR20190152167A KR102285288B1 KR 102285288 B1 KR102285288 B1 KR 102285288B1 KR 1020190152167 A KR1020190152167 A KR 1020190152167A KR 20190152167 A KR20190152167 A KR 20190152167A KR 102285288 B1 KR102285288 B1 KR 10228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unit
scaffolding
fen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713A (ko
Inventor
전두성
Original Assignee
전두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두성 filed Critical 전두성
Priority to KR102019015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528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8Platforms supported by spigots which engage through holes in the plat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2007/005Adaptors to adapt the connection means of one manufacturer's scaffold system to the one of another manufactur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유닛은, 사용자에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보드부, 상기 보드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더부 및 상기 보드부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상기 보드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Scaffolding unit and scaffolding system through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은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절되어 구비되는 개개의 비계 유닛 및 작업현장에 맞게 복수개의 비계 유닛이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는 비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 시스템은 건축물을 시공할 때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가설물로서, 건설, 건축 등 산업 현장에서 인부들이 왕래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 발판이나, 시설물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이나 장비, 자재 등을 올려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임시로 설치한 구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계 시스템은 보통 건축물 외벽 쪽에 개축 및 보수를 하거나 시멘트 칠을 하거나 도료를 칠하는 용도로서 이용된다.
일반적인 비계 시스템은 여러 개의 강관 파이프를 클램프나 조임쇠 등의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강관형 비계와, 상기 비계 프레임의 일부 구성이 완성된 형태로 제공되어, 비계 설치 시 조립 또는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는 시스템 비계 등이 이용되고 있다.
건축물 공사 시에 건축물 내부에서 사용된 자재는 외부로 반출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신축 시에는 건축물 내부에 자재인양구를 형성하여 자재를 외부로 반출한 뒤, 자재인양구를 폐쇄하지만, 리모델링과 같이 기존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공사 시에는 건축물 내부에 자재인양구를 형성할 수 없어, 창문 등 개구부를 이용하여 자재를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이때, 자재 반출로 인한 비계 시스템의 안정성, 자재로부터 발생되는 분진 및 자재 인양 시 발생되는 소음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개선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 10-20222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작업 환경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비계 유닛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작업 환경에 맞게 상기 비계 유닛이 복수개가 용이하게 결합되어 설치되는 비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계 유닛은, 사용자에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보드부, 상기 보드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길이 조절 또는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더부 및 상기 보드부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상기 보드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펜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드부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보드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보드부재에 결합되고, 일부에 구멍 형상의 제1홀이 구비되는 제2보드부재,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보드부재에 결합되고, 일부에 구멍 형상의 제2홀이 구비되는 제3보드부재 및 상기 제1홀 또는 상기 제2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3보드부재를 고정하는 보드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레더부는, 일부에 구멍 형상의 제3홀이 형성되는 제1파이프부재 및 일부가 상기 제3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파이프부재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2파이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펜스부는, 상기 보드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펜스부재, 상기 제1펜스부재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펜스부재 및 상기 제1펜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펜스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펜스부재는 상기 제1펜스부재 또는 상기 제2펜스부재에 구속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펜스부재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펜스부재는, 상기 제1후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후크가 상기 제3펜스부재에 결속되는 경우,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펜스부재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3펜스부재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후크가 상기 제1펜스부재와 결속되는 경우,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후크는,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2후크와 함께 상기 제1펜스부재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계 시스템은, 승강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제1비계유닛,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비계유닛으로부터 연장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제2비계유닛 및 상기 제1비계유닛과 상기 제2비계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제1비계유닛에 결합되고, 일부에 구멍 형상의 링크홀이 형성되는 제1링크부 및 상기 제2비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링크홀에 결합되는 링크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제2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계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링크 유닛을 통해 복수개의 비계 유닛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비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비계 유닛의 승강 조절이 가능하여 작업환경에 적절한 비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계 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보드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레더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펜스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복수개의 비계 유닛이 결합된 본 발명의 비계 시스템 및 결합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링크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계 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계 유닛에 대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보드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레더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펜스부의 구성 및 결합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계 유닛(10, 30)은, 보드부(100), 레더부(300) 및 펜스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드부(100)는, 사용자가 상기 비계 유닛(10, 30) 상에서 움직이며 작업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레더부(300)는, 상기 보드부(10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레더부(300)를 경유하여 상기 보드부(100) 상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더부(30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작업 환경에 요구되는 높이만큼 신속하게 상기 레더부(300)의 길이를 조절하고 상기 보드부(100) 상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펜스부(500)는, 상기 보드부(100)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상기 보드부(10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500)는 상기 사용자가 작업 중 또는 이동 중에 상기 비계 유닛(10, 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보드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보드부(100)는, 제1보드부재(110), 제2보드부재(130), 제3보드부재(150) 및 보드고정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드부재(110)는, 본 발명의 비계 시스템이 적용되는 작업 환경이 주로 각이 진 건물임을 고려할 때,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작업 환경에 따라 판 형상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보드부재(130), 상기 제3보드부재(150) 및 보드고정부재(170)의 결합관계 및 이의 유기적 결합 관계에 의해 구현되는 상기 보드부(100)의 회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보드부재(130)는, 일단부가 상기 제1보드부재(110)에 결합되고, 일부에 구멍 형상의 제1홀(13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3보드부재(150)는,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보드부재(130)에 결합되고, 일부에 구멍 형상의 제2홀(15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드고정부재(170)는, 상기 제1홀(135) 또는 상기 제2홀(155)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3보드부재(15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드고정부재(170)가 상기 제1홀(135)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보드부재(150)는 상기 제2보드부재(130)와의 관계에서 자유도를 얻어 상기 제2보드부재(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드고정부재(170)가 상기 제2홀(155)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3보드부재(150)는 상기 제2보드부재(130)에 구속되어 상기 제2보드부재(13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홀(155)은 상기 제3보드부재(150)의 외측에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작업 환경에 따라 회전 각도를 조절한 후 상기 보드고정부재(170)를 이동시켜 상기 제3보드부재(150)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계 유닛(10, 30)은 상기 사용자가 작업 환경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술한 상기 보드부(100)의 각도 조절과 후술할 상기 레더부(300)의 길이 조절이 함께 연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더부(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레더부(300)는, 제1파이프부재(310) 및 제2파이프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이프부재(310)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부에 구멍 형상의 제3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파이프부재(330)는, 상기 제1파이프부재(310)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제3홀(315)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파이프부재(310)와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홀(315)은 상기 제1파이프부재(310)에 복수개가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2파이프부재(330)의 일부가 상기 제3홀(31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파이프부재(310)를 바닥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제2파이프부재(330)를 원하는 높이에 맞게 조절한 후에 상기 제3홀(315)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상기 레더부(300)는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레더부(300)의 구성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레더부(300)는,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보드부(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보드부(100)의 경우 그 일단부가 회전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제2보드부재(130), 상기 제3보드부재(150) 및 상기 보드고정부재(170)의 구성 및 그 결합 관계가 상기 레더부(300)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파이프부재(330)를 포함하는 상기 레더부(300)의 일단부에 상기 제2보드부재(130), 상기 제3보드부재(150) 및 상기 보드고정부재(170)에 대응하는 구성이 결합되고 상기 제2보드부재(130)에 대응하는 구성이 상기 보드부(100)에 결합되어 상기 레더부(300)는 각도 조절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상기 보드부(100)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펜스부(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펜스부(500)는, 제1펜스부재(510), 제2펜스부재(530) 및 제3펜스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펜스부재(510)는, 상기 보드부(100)에 형성되는 홀에 일단부가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펜스부재(510)는 설치의 용이를 위하여 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이 다각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펜스부재(530)는, 상기 제1펜스부재(510)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펜스부재(530)는 상기 제1펜스부재(510)와 함께 격자 무늬를 이루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보드부(100) 상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거나 작업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펜스부재(550)는 상기 제1펜스부재(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펜스부재(510) 또는 상기 제2펜스부재(530)에 구속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펜스부재(530)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후크(535)를 포함하고, 상기 제3펜스부재(550)는, 상기 제1후크(535)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후크(535)가 상기 제3펜스부재(550)에 결속되는 경우,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후크(535)는 상기 제2펜스부재(53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제3펜스부재(550)와 결속되거나 결속이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후크(535)의 일단부가 상기 제3펜스부재(550)와 결속되는 경우 상기 제3펜스부재(550)는 상기 제2펜스부재(530)에 구속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후크(535)의 일단부가 상기 제3펜스부재(550)로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3펜스부재(550)와의 결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3펜스부재(550)는 상기 제2펜스부재(530)와의 관계에서 자유도를 얻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펜스부재(550)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후크(555)를 포함하고, 상기 제3펜스부재(550)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후크(555)가 상기 제1펜스부재(510)와 결속되는 경우,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펜스부재(510)는 상기 보드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양 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측의 제1펜스부재(5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펜스부재(550)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후크(555)의 일단부가 타측의 제1펜스부재(510)에 결속되거나 결속이 해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후크(555)의 일단부가 상기 제1펜스부재(510)와 결속되는 경우 상기 제3펜스부재(550)는 상기 제1펜스부재(510)에 구속되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드부(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펜스부재(510)에 형성되는 제2후크(555)의 일단부가 상기 보드부(100)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1펜스부재(510)로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펜스부재(510)와의 결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3펜스부재(550)는 상기 제1펜스부재(510)와의 관계에서 자유도를 얻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후크(557)는,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2후크(557)와 함께 상기 제1펜스부재(51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후크(557)의 일부는 상기 제2후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잠금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제2후크(557)의 단부에 갈고리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잠금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제2후크와 함께 상기 제1팬스부재(5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펜스부재(550)는 상기 제1펜스부재(510) 또는 상기 제2펜스부재(530)와의 결속 또는 결속의 해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게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거나 작업 구간에 대하여 상기 보드부의 둘레를 상기 펜스부(500)가 둘러싸는 폐쇄형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안전하게 사용자가 작업하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간단한 외력을 부여하여 상기 펜스부(500) 간의 결속 또는 결속의 해제를 제어할 수 있어 신속하게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비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상술한 비계 유닛이 복수개가 구비되어 결합된 본 발명의 비계 시스템 및 결합 관계에 대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링크유닛(50)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계 시스템은, 제1비계유닛(10), 제2비계유닛(30) 및 링크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비계유닛(10)은, 승강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비계 유닛(10, 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하여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2비계유닛(30)은, 승강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비계유닛(10)으로부터 연장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비계 유닛(10, 30)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하여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는 작업 환경에 맞게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비계유닛(10) 및 상기 제2비계유닛(3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비계유닛(10) 및 상기 제2비계유닛(30)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링크유닛(50)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비계유닛(10)과 상기 제2비계유닛(30)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으로, 제1링크부(51) 및 제2링크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51)는, 상기 제1비계유닛(10)에 결합되고, 일부에 구멍 형상의 링크홀(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부(55)는, 상기 제2비계유닛(30)에 결합되고, 상기 제1링크부(51) 또는 상기 제2링크부(55)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링크홀(53)에 결합되는 링크결합부재(57)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크결합부재(57)는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일단부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51) 또는 상기 제2링크부(55)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링크결합부재(57)의 일단부는 상기 제1비계유닛(10) 또는 상기 제2비계유닛(30)의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었다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링크홀(53)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링크유닛(50)을 통해 복수개의 비계 유닛(10, 30)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결합 또는 해체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제1비계유닛
30: 제2비계유닛
50: 링크유닛
51: 제1링크부
53: 링크홀
55: 제2링크부
57: 링크결합부재
100: 보드부
110: 제1보드부재
130: 제2보드부재
135: 제1홀
150: 제3보드부재
155: 제2홀
170: 보드고정부재
300: 레더부
310: 제1파이프부재
315: 제3홀
330: 제2파이프부재
500: 펜스부
510: 제1펜스부재
530: 제2펜스부재
535: 제1후크
550: 제3펜스부재
555: 제2후크
557: 제2후크

Claims (9)

  1. 승강 조절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제1비계유닛;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제1비계유닛으로부터 연장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 제2비계유닛; 및
    상기 제1비계유닛과 상기 제2비계유닛을 상호 연결하는 링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비계유닛 또는 상기 제2비계유닛은,
    사용자에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보드부;
    상기 보드부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더부; 및
    상기 보드부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상기 보드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펜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부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1보드부재;
    일단부가 상기 제1보드부재에 결합되고, 일부에 구멍 형상의 제1홀이 구비되는 제2보드부재;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2보드부재에 결합되고, 일부에 구멍 형상의 제2홀이 구비되는 제3보드부재; 및
    상기 제1홀 또는 상기 제2홀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보드부재가 상기 제2보드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홀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3보드부재가 상기 제2보드부재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고정되게 구비되는 보드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제1비계유닛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비계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일단부에 구멍 형상의 링크홀이 형성되는 제1링크부; 및
    상기 제1링크부의 일단부가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제1링크부의 일단부가 상기 링크홀에 체결되도록 상기 제2비계유닛에 구비되는 링크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제2링크부;
    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더부는,
    일부에 구멍 형상의 제3홀이 형성되는 제1파이프부재; 및
    일부가 상기 제3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제1파이프부재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제2파이프부재;
    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는,
    상기 보드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펜스부재;
    상기 제1펜스부재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펜스부재; 및
    상기 제1펜스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펜스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3펜스부재는 상기 제1펜스부재 또는 상기 제2펜스부재에 구속되어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펜스부재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제3펜스부재는,
    상기 제1후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후크가 상기 제3펜스부재에 결속되는 경우,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펜스부재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제3펜스부재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2후크가 상기 제1펜스부재와 결속되는 경우,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는,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2후크와 함께 상기 제1펜스부재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잠금부재;
    를 포함하는 비계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152167A 2019-11-25 2019-11-25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 KR102285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167A KR102285288B1 (ko) 2019-11-25 2019-11-25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167A KR102285288B1 (ko) 2019-11-25 2019-11-25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13A KR20210063713A (ko) 2021-06-02
KR102285288B1 true KR102285288B1 (ko) 2021-08-03

Family

ID=7637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167A KR102285288B1 (ko) 2019-11-25 2019-11-25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52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548A (ja) * 1999-09-01 2001-03-21 Takenaka Komuten Co Ltd 脚立連結装置
JP2019027196A (ja) * 2017-08-01 2019-02-21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階段開口部手摺および階段開口部手摺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7579A (ko) * 2004-07-20 2006-01-26 호리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가반식 작업 발판대
KR102022201B1 (ko) 2018-11-15 2019-09-17 정대일 비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548A (ja) * 1999-09-01 2001-03-21 Takenaka Komuten Co Ltd 脚立連結装置
JP2019027196A (ja) * 2017-08-01 2019-02-21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階段開口部手摺および階段開口部手摺を組み込んでなる仮設足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13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2427A1 (en) Mobile anchoring and fall prevention device
KR20180127066A (ko) 시스템 동바리
JP5292441B2 (ja) 足場/養生ユニットおよびその連結装置
US11179585B2 (en) Safety post
KR102144434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JP2019052477A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KR102285288B1 (ko) 비계 유닛 및 이의 결합을 통한 비계 시스템
US10113324B2 (en) Re-positionable floor guide system and tool for use in the same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JP4058383B2 (ja) 足場/養生ユニット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118725B1 (ko) 작업대 지지 장치
KR102197154B1 (ko) 유로폼 리프팅 장치
KR20110024153A (ko) 건축용 서포터
KR101941340B1 (ko) 슬라브 거푸집의 지지 구조
KR20160070652A (ko) 갱폼 일체형 데크 운영 시스템
JP6145362B2 (ja) 中間作業床形成装置及び中間作業床形成方法
JP2015169022A (ja) ブラケット足場用踏板
US20060059859A1 (en) Arch support device
JP4078173B2 (ja) 作業ユニット
KR20090051796A (ko) 거리조절 낙하물 방지망 시스템
KR101757282B1 (ko) 하중이 증가할수록 와이어 로프의 외측을 조일 수 있는 와이어 조임쇠를 포함하는 보일러 전용의 와이어 로프형 비계 시스템의 상부 하중 지지 구조
JP7376371B2 (ja) ダクト施工方法
JP7414769B2 (ja) 設置具、及び、設置具を用いた載置台又は足場
KR20200136162A (ko) 건축 공사용 발판 조립체
JP2009203739A (ja) 建物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