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921B1 -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921B1
KR102284921B1 KR1020190116541A KR20190116541A KR102284921B1 KR 102284921 B1 KR102284921 B1 KR 102284921B1 KR 1020190116541 A KR1020190116541 A KR 1020190116541A KR 20190116541 A KR20190116541 A KR 20190116541A KR 102284921 B1 KR102284921 B1 KR 102284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quercetin
acne
cosmetic composi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797A (ko
Inventor
박정혜
Original Assignee
(주)인코돈바이오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코돈바이오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인코돈바이오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9011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921B1/ko
Priority to PCT/KR2020/012553 priority patent/WO2021060773A1/ko
Publication of KR2021003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46Imid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우수하고, 여드름 피부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어 여드름 피부 증상에 대한 우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CNE OF SKIN COMPRISING QUERCETIN, TERPENE AND VITAMIN K}
본 발명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우수하고, 여드름 피부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어 여드름 피부 증상에 대한 우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도로 발전하고 있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웰빙을 추구하며 신체 건강만큼이나 피부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과 요구도가 높아짐에 따라 미용의 필요성도 새롭게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런 미용에 대한 관심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으로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미용의 개념이 성형이나 메이크업을 통해 미인으로 보이는 것 보다 피부미인을 통해 화장기 없이도 아름다워 보일 수 있는 건강한 피부를 가꾸는 행위로 관심이 전환되고 있는 시점에서 피부문제 중 여드름은 우리 삶에 가장 흔한 고민과 문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신은정, 성인 남자 여드름 환자와 정산인의 여드름에 관한 지식정도와 생활 습관 비교,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361-369, 2012).
과거 여드름은 사춘기의 질환으로 일명 청춘의 꽃이라고 불리며 사춘기가 지나면서 점점 없어졌지만 최근 잘못된 생활습관과 식습관, 수면부족, 스트레스 등 다양한 원인들과 영향으로 20대는 물론 30대 성인들 사이에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15년 여드름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2010년에 비해 9.7% 증가했다. 10대에 비해 특히 20대의 증가율이 높았고, 여성보다는 남성이 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은 다른 질환과는 달리 외부로 노출되고 때로는 직접 만져질 수도 있으므로 다른 내과적 문제보다 더 심각하게 느낄 수 있고 신체상을 부정적으로 만드는 정서적 요인을 야기할 수도 있다(조혜명, 여드름에 관한 문헌적 고찰, 중앙문화사, 64(1), 1999).
이와 같이 나이를 불문하고 발생하는 여드름의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비정상적인 모낭의 정체, 과각질화, 피지분비의 증가, 모낭 내 상주 하는 박테리아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acne)의 증식 등 여러 인자간의 상호 작용과 이러한 모낭 내 물질이 진피로 유출되어 생기는 염증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나(Kligman. A.M. Postadolscent acne in women, Cutis. 1991), 대체로 사춘기 이후 발생하는 여드름은 안드로겐에 의해 피지가 배출되는 상태에서 스트레스, 월경, 임신, 화장품 등 내적 및 외적인 유발요인이 생기면 언제든지 여드름이 생기게 된다. 더욱이 여드름 지속 기간이 길수록 여드름 흉터가 심해진다는 사실은 일찍이 확인되었고, 25세 이후 성인 여드름을 위한 효과적인 관리가 조기에 실시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통하여 그의 연구에 중요성을 부여하였다(Laton. AM, A comparison of intralesional triamcinolone and cryosurgery in treatment of acne keloide, 1995; Cunliffe. W. Natural history of acnes in Acne and related disorders, London, Martin Dunitz, 1989).
지금까지 알려진 여드름에 대한 치료약물은 피지 분비의 조절, 각화과정 이상의 교정, propionibacterium acnes로 대표되는 세균에 대한 억제 기능, 이 세 가지 중에서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역할을 하여야만 여드름 치료에 유용한 약물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피지 과분비 억제를 위해 비정상적인 남성 호르몬의 분비를 제어하는 항안드로겐제 등의 여성호르몬의 사용, 여드름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항균제 및 항생제의 사용, 항염증 작용을 하는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화장료 분야에서는 레소시놀, 황, 살리실산, 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의 성분을 첨가하여 피부 각질제거 및 여드름 균을 억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이 과다하게 첨가될 경우 피부 자극 및 쉽게 건조해지는 부작용이 발생하기 쉬워 레소시놀, 살리실산 같은 경우 배합한도가 정해져 있고, 벤조일퍼옥사이드 같은 성분은 국내에서는 배합금지 성분으로 지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퀘르세틴(Quercetin)은 폴리페놀(polyphenol)류에 속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이며 일반적으로 퀘르세틴의 배당체로서 채소와 과일 등에 널리 분포해 있다. 대개 루티노스(quercetin-3-rutinoside)나 포도당(isoquercetrin)과 같은 당에 결합되어 있다(Anderson and Coyle, (1994) Trends Pharmacol Sci 15:324-332; Faccioli et al., (1996) Mediators Inflamm 5:24-31; Wills-Karp, (1999) Annu Rev Immunol 17:255-281). 이는 항-고혈압 및 항-발암효과(Formica and Regelson, (1995) Food Chem Toxicol 33:1061-1080; Murota and Terao, (2003) Arch Biochem Biophys 417:12-17; Nakayama, (1994) Cancer Res 54:1991s-1993s)를 포함하여 항산화 특성을 가진다(Kandaswami and Middleton, (1994) Adv Exp Med Biol 366:351-376; Robak and Gryglewski, (1988) Biochem Pharmacol 37:837-841). 또한, 퀘르세틴은 정상 말초혈액 단핵구 세포에 있어서 Th2-유도성-IL4 발현을 저하시키며, 복합적인 염증 관련 이상증인 천식의 동물모델에 있어서 항-염증 치료효과를 가진다(Dorsch et al., (1992) Int Arch Allergy Immunol 97:1-7; Rogerio et al., (2007) Inflamm Res 56:402-408).
또한, 테르펜(Terpene)은 가지사슬 C5단위(이소프렌 단위)를 기본으로 이소프렌(C5H8)이 앞끝과 뒤끝에서 결합한 기본골격 (C5H8)n을 가진 화합물의 총칭으로 테르페노이드 또는 이소프레노이드라고도 하며 식물에 널리 분포해 있다. 테르펜은 분자 내에 이소프렌(C5H8) 단위체의 수에 따라 모노테르펜(C10H16)은 2개, 세스퀴테르펜(C15H24)은 3개, 디테르펜(C20H32)은 4개, 트리테르펜(C30H48)은 6개, 테트라테르펜(C40H64)은 8개의 이소프렌 단위체를 각각 가지고 있다. 모노테르펜, 세스퀴테르펜, 디테르펜은 식물의 정유에 많이 포함되어 있다. 테르펜은 식물 스스로 주위 환경과 해충에 대해 방어 기능을 갖는 성분으로, 항균, 항산화 기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비타민 K(Vitamin K)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형액 응고에 관여한다. 비타민 K는 지용성 비타민으로써 짙은 녹색의 엽채류, 허브류 및 식물성 유지류는 비타민 K의 대표적인 급원이다. 비타민 K는 비타민 K 의존성 단백질의 글루탐산이 감마카르복시글루탐산(Gla) 잔기로 카르복실화 하는 과정에 있어서 필수적인 보조인자로 작용한다. 카르복실화된 비타민 K 의존성 단백질(Gla 단백질)은 활성화되어 혈액응고, 뼈와 심혈관의 미네랄화, 에너지 대사, 면역 반응, 세포성장 및 신호 전달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churgers, L.J., J. Uitto, and C.P. Reutelingsperger. 2013. "Vitamin K-dependent carboxylation of matrix Gla-protein: a crucial switch to control ectopic mineralization." Trends Mol Med 19(4):217-226). 비타민 K는 비타민 K 의존성 카르복실라아제에 의한 카르복실화 과정을 거치면서 산화되고 비타민 K 에폭사이드로 전환된다. 산화된 비타민 K는 환원 효소인 에폭사이드 리덕타아제에 의하여 비타민 K 퀴논으로 전환되고, 비타민 K 퀴논은 한 번 더 환원과정을 거치며 디하이드로 퀴논(KH2)을 형성함으로써 비타민 K 의존성 단백질의 카르복실화에 재사용된다. 이 순환과정을 비타민 K 사이클이라고 한다(Shearer, M.J.and P. Newman. 2014. "Recent trends in the metabolism and cell biology of vitamin K with special reference to vitamin K cycling and MK-4 biosynthesis." J Lipid Res 55(3):345-362). 인체 내에서 혈액 응고 기능을 하는 단백질을 응고인자로 일컫는데, 비타민 K 의존성 응고인자는 프로트롬빈(Ⅱ), Ⅶ, Ⅸ, Ⅹ의 4가지가 존재한다. 응고인자의 활성화로 불용성의 피브린이 형성되면서 혈액응고가 이루어진다(Oldenburg, J., C.G. Bevans, A. Fregin, C. Geisen, C. Muller-Reible, and M. Watzka. 2007. "Current pharmacogenetic developments in oral anticoagulation therapy: the influence of variant VKORC1 and CYP2C9 alleles." Thromb Haemost 98(3):570-578).
상기와 같은 효능을 가지는 퀘르세틴과 테르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7181호는 탄닌산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0:1 내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탄닌산과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8971호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달팽이점액 추출물, 봉독 추출물,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살리실릭애씨드(Salicylic Acid), 4-테르피넨올(4-terpinenol) 및 유기황(Organic Sulfonyl)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여드름 발생의 예방과 여드름 피부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기술 중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모두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여드름 발생의 예방과 여드름 피부 증상 개선에 뛰어난 물질을 찾기 위해 연구하던 중 퀘르세틴(Quercetin), 테르펜(Terpene) 및 비타민 K(Vitamin K)를 혼합하면 여드름 피부증상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이들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71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8971호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우수하고, 여드름 피부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어 여드름 피부 증상에 대한 우수한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은 퀘르세틴(Quercetin), 테르펜(Terpene) 및 비타민 K(Vitamin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퀘르세틴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은 퀘르세틴 100중량%에 대해 1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르펜은 모노테르펜(monoterpene)계 물질인 알파 테르피넨(α-Terpine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K는 퀘르세틴 100중량%에 대해 1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D((Vitamin D), 비타민 A(Vitamin A), 비타민 E(Vitamin E), 에탄올(Ethanol),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알란토인(Allantoin), 글리세린(Glycerin), 나이아신(Niacin), 아데닌(Adenine), 시스테인(Cysteine),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및 정제수(Water)로 구성된 첨가제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 어느 1종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우수하고, 여드름 피부 염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여드름 수를 감소시켜 여드름 증상을 완화하고 예방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발생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성장을 억제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내며, 피지의 배출을 활성화시켜서 피지선 내의 피지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여드름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여드름의 발생을 예방하고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도 1은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 혼합물의 여드름균(KCOM 1466)에 대한 항균효과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 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퀘르세틴(Quercetin), 테르펜(Terpene) 및 비타민 K(Vitamin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하, ‘화장료 조성물’이라고도 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퀘르세틴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해 퀘르세틴은 0.001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퀘르세틴이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해 0.001중량%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 관련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퀘르세틴이 화장료 전체 중량%에 대해 10중량%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 피부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형 내 용해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테르펜은 퀘르세틴 100중량%에 대해 1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퀘르세틴이 0.001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고,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퀘르세틴의 중량%를 100중량%로 가정하였을 때 테르펜은 1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비타민 K는 퀘르세틴 100중량%에 대해 1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퀘르세틴이 0.001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고,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퀘르세틴의 중량%를 100중량%로 가정하였을 때 비타민 K는 1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테르펜과 비타민 K 각각이 퀘르세틴 100중량%에 대해 1중량% 미만의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 관련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테르펜과 비타민 K 각각이 퀘르세틴 100중량%에 대해 100중량%를 초과하는 비율로 포함되는 경우에 피부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형 내 용해도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테르펜은 모노테르펜(monoterpene)계 물질인 알파 테르피넨(α-Terpinen)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테르펜 중 모노테르펜계 화합물은 방향(芳香)이 있고, 세스퀴테르펜계 화합물 이상(以上)은 무취인데, 알파 테르피넨(α-Terpinen)은 모노테르펜계 물질이다. 본 발명에서는 테르펜 중 모노테르펜(monoterpene)계 물질인 알파 테르피넨(α-Terpinen)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D((Vitamin D), 비타민 A(Vitamin A), 비타민 E(Vitamin E), 에탄올(Ethanol),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알란토인(Allantoin), 글리세린(Glycerin), 나이아신(Niacin), 아데닌(Adenine), 시스테인(Cysteine),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및 정제수(Water)로 구성된 첨가제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 제형에 있어서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하기 위해,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을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점증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 어느 1종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미스트, 화장수(유연, 수렴), 영양크림, 에센스(바디에센스), 선크림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체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개발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 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 피부외용제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피부 도포제, 액제, 분말제, 캡슐, 정제, 시럽 등의 형태와 같이,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여드름 피부 증상의 완화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제형으로 사용가능하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여드름 피부 개선용 의약외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여드름 피부 증상의 완화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의약외품의 형태로 다양하게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제형화된 제품은 샴푸, 린스, 바디워시, 세정제, 세제 비누, 소독 청결제, 물티슈, 마스크, 패치 또는 필터 충진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의약외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의약외품은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의약외품의 성분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대표적인 화장품류인 화장수를 제조한 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로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의 여드름균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
퀘르세틴(Quercetin), 테르펜(Terpene) 및 비타민 K(Vitamin K) 각각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을 최소성장억제농도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여드름균 Propionibacterium acnes(P. acnes ; KCOM 1466)는 한국 구강미생물자원은행(Korean Collection for Oral Microbiology(KCOM), Gwangju,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고, 퀘르세틴(Quercetin: Q4951)과 테르펜(α-Terpinene: 223182) 및 비타민 K(Phylloquinone: V3501) 는 Sigma-Aldrich 사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최소억제농도는 액체배지 희석법(Murray & Jorgensen, (1981)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66-70)으로 측정하였다. 즉, 세균을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37℃ 세균배양기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1×106 CFU/㎖가 되도록 희석하여 세포배양 용기(96-well plate)에 분주하고, 퀘르세틴은 DMSO(dimethylsulfoxide)에 200㎎/㎖ 농도로, 알파 테르피넨과 비타민 K는 DMSO(dimethylsulfoxide)에 50㎎/㎖ 농도로 각각 용해시킨 후 세균배양액에 첨가하여 최종농도가 0.5, 0.25, 0.125, 0.065, 0.0325 및0.01625㎎/㎖가 되도록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였다.
실험의 음성대조군은 DMSO를 사용하였고, 양성대조군은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용기(96-well plate)에 분주된 세균배양액은 24시간 배양한 후 6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최소억제 농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여드름균( P.acnes, KCOM 1466, KCOM 1542)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
Sample 최소억제농도(㎎/㎖)
P.acnes (KCOM 1466)
퀘르세틴 0.125
알파 테르피넨 0.125
비타민 K >0.5
테트라사이클린 <0.001625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여드름균(P.acnes, KCOM 1466)에서 퀘르세틴의 최소성장억제농도는 0.125㎎/㎖, 알파 테르피넨의 최소성장억제농도는 0.125㎎/㎖로 측정됨에 따라 퀘르세틴과 알파 테르피넨은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타민 K의 여드름균(P.acnes, KCOM 1466)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는 0.5㎎/㎖ 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비타민 K 는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 혼합물의 여드름균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
퀘르세틴(Quercetin), 테르펜(Terpene) 및 비타민 K(Vitamin K)를 다양한 중량%로 혼합한 혼합물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을 최소성장억제농도를 측정하여 관찰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를 각각의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DMSO(dimethylsulfoxide)에 100㎎/㎖ 농도로 각각 용해시킨 후, 세포배양용기(96-well plate)에 분주된 세균배양액에 첨가하여 최종농도가 0.5, 0.25, 0.125, 0.065, 0.0325 및 0.01625㎎/㎖가 되도록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였다. 세포배양용기(96-well plate)에 분주된 세균배양액은 24시간 배양한 후 6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최소억제 농도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표 3과 같다.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 혼합물의 알파 테르피넨 혼합비율에 따른 여드름균( P.acnes, KCOM 1466, KCOM 1542)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
Sample 혼합비율 (단위:중량%) 최소억제농도(㎎/㎖)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비타민 K P.acnes (KCOM 1466)
실험군1-1 1 1000 1 0.125
실험군1-2 1 100 1 0.125
실험군1-3 1 10 1 0.125
실험군1-4 1 5 1 0.065
실험군1-5 1 1 1 0.0325
실험군1-6 1 0.5 1 0.0325
실험군1-7 1 0.1 1 0.065
실험군1-8 1 0.01 1 0.5
실험군1-9 1 0.001 1 >0.5
실험군1-10 1 0 0 0.125
실험군1-11 0 1 0 0.125
실험군1-12 0 0 1 >0.5
실험군1-13 1 0 1 0.2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드름균(P.acnes, KCOM 1466)에서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 혼합물의 알파 테르피넨 혼합 비율에 따른 최소성장억제농도는 실험군 1-1, 실험군 1-2 및 실험군 1-3(알파 테르피넨 비율 1000, 100 및 10중량%)에서는 퀘르세틴군(실험군 1-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1-11)과 같은 최소성장억제농도 0.125㎎/㎖로 측정되었다.
또한, 실험군 1-4, 실험군 1-5, 실험군 1-6 및 실험군 1-7(알파 테르피넨 비율 5, 1, 0.5 및 0.1중량%)에서는 퀘르세틴군(실험군 1-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1-11)의 최소성장억제농도 0.125㎎/㎖보다 낮은 0.065, 0.0325, 0.0325 및 0.065㎎/㎖ 농도를 나타냄에 따라 퀘르세틴군(실험군 1-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1-11)보다 증가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실험군 1-8 및 실험군 1-9(알파 테르피넨 비율 0.01 및 0.001중량%)에서는 퀘르세틴군(실험군 1-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1-11)의 최소성장억제농도 0.125㎎/㎖보다 증가된 0.5 및 >0.5㎎/㎖ 농도를 나타냄에 따라 퀘르세틴군(실험군 1-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1-11)보다 항균력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 혼합물의 비타민 K 혼합비율에 따른 여드름균( P.acnes, KCOM 1466, KCOM 1542)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
Sample 혼합비율 (단위:중량%) 최소억제농도(㎎/㎖)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비타민 K P.acnes (KCOM 1466)
실험군2-1 1 1 1000 >0.5
실험군2-2 1 1 100 >0.5
실험군2-3 1 1 10 >0.5
실험군2-4 1 1 5 >0.5
실험군2-5 1 1 1 0.0325
실험군2-6 1 1 0.5 0.065
실험군2-7 1 1 0.1 0.125
실험군2-8 1 1 0.01 0.25
실험군2-9 1 1 0.001 0.25
실험군2-10 1 0 0 0.125
실험군2-11 0 1 0 0.125
실험군2-12 0 0 1 >0.5
실험군2-13 1 1 0 0.2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드름균(P.acnes, KCOM 1466)에서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 혼합물의 비타민 K 혼합 비율에 따른 최소성장억제농도는 실험군 2-1, 실험군 2-2, 실험군 2-3 및 실험군 2-4(비타민 K 비율 1000, 100, 10 및 5중량%)에서는 퀘르세틴군(실험군 2-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2-11) 보다 증가된 >0.5㎎/㎖ 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군 2-5, 실험군 2-6 및 실험군 2-7(비타민 K 비율 1, 0.5 및 0.1중량%)에서는 퀘르세틴군(실험군 2-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2-11)의 최소성장억제농도는 0.0325, 0.065 및 0.125㎎/㎖를 나타냄에 따라 퀘르세틴군(실험군 2-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2-11)보다 실험군 2-5와 실험군 2-6의 항균력이 증가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실험군 2-7은 같은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실험군 2-8 및 실험군 2-9(비타민 K 비율 0.01 및 0.001중량%)에서는 퀘르세틴군(실험군 2-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2-11)의 최소성장억제농도 0.125㎎/㎖보다 증가된 0.25 및 0.25㎎/㎖ 농도를 나타냄에 따라 퀘르세틴군(실험군 2-10)이나 알파 테르피넨군(실험군 2-11)보다 항균력이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 혼합물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효과
여드름균(P. acnes)주 KCOM 1466와 KCOM 1542을 각각 혈액한천배지(Blood-Agar medium: tryptic soy broth 3%, yeast extract 0.5%, 0.025% resazurin 2㎖, agar 1.5%, cysteine HCl-H2O 0.05%, hemin solution 0.5㎎/㎖, vitamin K1 2㎍/㎖, sheep blood 5.0%)(BRL)를 사용하여 혐기성 세균배양기(Bactron 300)를 사용하여 혐기성조건(anaerobic gas mixture : 85% N2, 10% H2, 5% CO2)에서 배양하였다.
혈액 한천배지에 퀘르세틴 0.05㎎/㎖, 알파 테르피넨 0.05㎎/㎖, 비타민 K 0.05㎎/㎖이 되게 첨가하고 여드름균을 3일간 배양한 후 세균집락(colony)수를 측정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1과 같다.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 혼합물의 여드름균(KCOM 1466)에 대한 항균효과
Sample 첨가물질 및 용량 세균집락수
음성대조군 - 1000 이상
퀘르세틴군 퀘르세틴 (0.05㎎/㎖) 1000 이상
테르펜군 알파 테르피넨 (0.05㎎/㎖) 1000 이상
비타민 K군 비타민 K (0.05㎎/㎖) 1000 이상
혼합물군 퀘르세틴(0.05㎎/㎖) + 테르피넨(0.05㎎/㎖)
+ 비타민 K(0.05㎎/㎖)
56
양성대조군 테트라사이클린(0.005㎎/㎖) 0
상기 표 4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드름균 균주(P.acnes, KCOM 1466)를 혈액 한천배지에 3일간 배양 한 후 세균집락수를 관찰한 결과, 퀘르세틴(0.05㎎/㎖), 알파 테르피넨(0.05㎎/㎖) 및 비타민 K (0.05㎎/㎖)를 단독으로 첨가한 배지에서는 세균집락수가 매우 많아서(세균집락수 1000 이상)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는 0.05㎎/㎖ 농도에서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를 각각 단독으로 첨가한 배지에서는 세균집락수가 1000 이상으로 셀 수가 없을 정도로 많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 각각은 첨가한 농도에서 향균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서, 퀘르세틴(0.05㎎/㎖), 알파 테르피넨(0.05㎎/㎖) 및 비타민 K(0.05㎎/㎖)를 혼합한 혼합물 배지에서 세균집락수가 56으로 현저히 감소되어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 를 혼합할 경우, 이들 각 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항균력이 월등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1. 실험군 3의 화장수 제조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실험군 3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퀘르세틴 0.30중량%, 알파 테르피넨 0.20중량%, 비타민 K 0.20중량%, 비타민 D 0.10중량%, 비타민 A 0.10중량%, 비타민 E 0.10중량%, 에탄올 2.50중량%, 폴리소르베이트 80 1.00중량%, 알란토인 1.00중량%, 글리세린 5.00중량%, 나이아신 0.10중량%, 아데닌 0.10중량%, 시스테인 0.10중량%, 라벤더 오일 0.01중량% 및 정제수를 첨가하여 100 중량%로 조절한 후 혼합하여 실험군 3의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5에서 (가)상을 혼합하여 교반기로 70℃에서 30분간 교반시킨 후, (나)상을 가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분간 균일하게 유화시키고, 서서히 상온으로 냉각하여 실험군 3의 화장수(화장료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화장수 성분표
성분
(단위:중량%)
비교군
3-1
비교군
3-2
비교군
3-3
비교군
3-4
비교군
3-5
비교군
3-6
실험군
3
퀘르세틴 - 0.30 - - 0.30 0.30 0.30
알파 테르피넨 - - 0.20 - 0.20 - 0.20
비타민 K - - - 0.20 - 0.20 0.20
비타민 D 0.10 0.10 0.10 0.10 0.10 0.10 0.10
비타민 A 0.10 0.10 0.10 0.10 0.10 0.10 0.10
비타민 E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에탄올 2.50 2.50 2.50 2.50 2.50 2.50 2.50
폴리소르베이트 8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알란토인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5.00 5.00
나이아신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아데닌 0.10 0.10 0.10 0.10 0.10 0.10 0.10
시스테인 0.10 0.10 0.10 0.10 0.10 0.10 0.10
라벤다 오일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비교군 3-1의 화장수 제조
상기 실험군 3의 화장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퀘르세틴,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를 제외하고 제조하였다.
3. 비교군 3-2의 화장수 제조
상기 실험군 3의 화장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알파 테르피넨 및 비타민 K를 제외하고 제조하였다.
4. 비교군 3-3의 화장수 제조
상기 실험군 3의 화장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퀘르세틴 및 비타민 K를 제외하고 제조하였다.
5. 비교군 3-4의 화장수 제조
상기 실험군 3의 화장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퀘르세틴 및 알파 테르피넨을 제외하고 제조하였다.
6. 비교군 3-5의 화장수 제조
상기 실험군 3의 화장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비타민 K를 제외하고 제조하였다.
7. 비교군 3-6의 화장수 제조
상기 실험군 3의 화장수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알파 테르피넨을 제외하고 제조하였다.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여드름 피부 증상 개선 효과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여드름 피부 증상 개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실험군 3과 비교군 3-1 내지 3-6의 화장수를 여드름 피부를 가진 사람에게 도포하여 피부증상 개선효과를 관찰하였다.
여드름 피부증상 개선 효과 실험은 안면에 여드름 피부를 가진 자원 참여자를 대상으로 여드름 치료제 사용중인자, 질병이 있거나 피부 관리를 받고 있는자는 실험대상에서 제외시켰으며, 실험의 진행은 생명윤리위원회의 윤리규정에 따랐다. 실험 참여자는 35명으로 연령 분포는 19∼35세였다.
실험 참여자에게 실험 내용과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여 이해시킨 후 5명씩 7개의 실험참여군(실험군 3, 비교군 3-1, 비교군 3-2, 비교군 3-3, 비교군 3-4, 비교군 3-5 및 비교군 3-6)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실험군 3과 비교군 3-1 내지 3-6의 화장수를 각 실험참여군에 공급하였다. 공급된 화장수는 모든 실험참여군에서 동일하게 매일 아침과 저녁 각각 1회씩 4주 동안 여드름 발생부위 피부에 도포하게 하였고, 1주에 1회씩 피부를 촬영하였다. 피부 촬영 전 피부 표면 청결을 위해서 세안하고 30분간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여드름 표적부위를 A-ONE Lite(Ver.2.01, 봄텍전자주식회사, Korea)를 이용해 촬영하였다. 촬영된 사진에서 여드름 수를 측정하였고, 여드름 중등도는 Michaelson’s Acne Severity Index(ASI)를 하기 계산식 1에 의해서 계산하였다.
[ 계산식 1 ]
ASI = (면포수×0.5) + (구진수×1) + (농포수×2) + (결절수×3)
각 실험참여군에서 측정된 여드름 중등도를 이용하여,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은 하기 계산식 2에 의해서 계산하였다.
[ 계산식 2 ]
Figure 112019096750427-pat00001
각 실험참여군의 여드름 중동도 개선율을 분석한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화장수 도포 후 여드름 중등도(ASI) 개선율
실험군 여드름 중등도(ASI) 개선율(%)
2주 4주
평균값 표준편차 평균값 표준편차
비교군3-1 3.1 2.7 4.9 2.1
비교군3-2 12.2 4.0 14.7 4.5
비교군3-3 4.1 2.8 5.4 3.2
비교군3-4 3.5 3.1 5.9 3.3
비교군3-5 35.5 5.9 40.2 7.4
비교군3-6 19.7 5.0 21.2 5.6
실험군3 61.5 10.1 71.9 9.7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군 3-1의 화장수(대조 화장수) 도포 실험참여자에서 2주 및 4주 경과 후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은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비교군 3-2의 화장수(퀘르세틴 화장수) 도포 실험참여자에서 2주 및 4주 경과 후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은 2주 12.2%, 4주 14.7%로 나타남에 따라 비교군 3-1에 비하여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이 증가되어 퀘르세틴 함유 화장수는 여드름 피부 증상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군 3-3의 화장수(테르펜 화장수) 도포 실험참여자와 비교군 3-4의 화장수 (비타민 K 화장수) 도포 실험참여자에서 2주 및 4주 경과 후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은 비교군 3-1의 화장수 도포군과 차이가 없어서, 테르펜 함유 화장수와 비타민 K 함유 화장수는 여드름 피부 증상 개선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군 3-5의 화장수(퀘르세틴+테르펜 화장수) 도포 실험참여자에서 2주 및 4주 경과 후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은 2주 35.5%, 4주 40.2% 로 나타나서 비교군 3-2나 비교군 3-3의 화장수에 비하여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이 증가되어 퀘르세틴과 테르펜 함유 화장수는 여드름 피부 증상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군 3-6의 화장수(퀘르세틴+비타민 K 화장수) 도포 실험참여자에서 2주 및 4주 경과 후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은 2주 19.7%, 4주 21.2% 로 나타나서 비교군 3-2나 비교군 3-4의 화장수에 비하여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이 증가되어 퀘르세틴과 비타민 K 함유 화장수는 여드름 피부 증상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군 3의 화장수(퀘르세틴+테르펜+비타민 K 화장수) 도포 실험참여자에서 2주 및 4주 경과 후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은 2주 61.5%, 4주 71.9% 로 나타나서 비교군 3-1 내지 3-6의 화장수에 비하여 여드름 중등도 개선율이 현저히 증가되어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모두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수는 여드름 피부 증상 개선에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5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여드름 발생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의 성장을 억제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내며, 피지의 배출을 활성화시켜서 피지선 내의 피지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여드름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여드름의 발생을 예방하고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또한, 청구범위의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퀘르세틴(Quercetin), 테르펜(Terpene) 및 비타민 K(Vitamin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퀘르세틴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테르펜은 모노테르펜(monoterpene)계 물질인 알파 테르피넨(α-Terpinene)을 이용하되, 퀘르세틴 100중량%에 대해 1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비타민 K는 퀘르세틴 100중량%에 대해 1 내지 10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D((Vitamin D), 비타민 A(Vitamin A), 비타민 E(Vitamin E), 에탄올(Ethanol),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알란토인(Allantoin), 글리세린(Glycerin), 나이아신(Niacin), 아데닌(Adenine), 시스테인(Cysteine),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및 정제수(Water)로 구성된 첨가제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 어느 1종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 어느 1종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16541A 2019-09-23 2019-09-23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4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541A KR102284921B1 (ko) 2019-09-23 2019-09-23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20/012553 WO2021060773A1 (ko) 2019-09-23 2020-09-17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541A KR102284921B1 (ko) 2019-09-23 2019-09-23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97A KR20210034797A (ko) 2021-03-31
KR102284921B1 true KR102284921B1 (ko) 2021-08-03

Family

ID=75166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541A KR102284921B1 (ko) 2019-09-23 2019-09-23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4921B1 (ko)
WO (1) WO202106077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163A (ja) * 1999-08-31 2001-03-13 Figla Co Ltd 抗菌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099B1 (ko) * 2006-03-17 2007-03-12 (주)아모레퍼시픽 3β-히드록시스테로이드 디하이드로게네이즈 활성 억제용피부화장료 조성물
KR20090071529A (ko) * 2009-06-08 2009-07-01 김경희 비타민 케이1 또는 비타민 케이3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17181B1 (ko) 2009-12-01 2012-12-31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탄닌산 및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06441A (ko) * 2011-01-31 2013-09-27 와커 헤미 아게 지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액의 제조방법
KR20160108971A (ko) 2015-03-09 2016-09-21 주식회사 이음코스메틱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35169A (ko) * 2017-06-12 2018-12-20 박정혜 퀘르세틴 및 비타민 d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4163A (ja) * 1999-08-31 2001-03-13 Figla Co Ltd 抗菌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97A (ko) 2021-03-31
WO2021060773A1 (ko)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226664A (ja) Dgla、15−ohepaおよび/または15−hetreを含む医薬組成物、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CN110035797B (zh) 用于治疗痤疮的具有益生元特性的协同草药组合物
JPH1053532A (ja) 植物抽出物含有抗アレルギー剤
KR101253374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171327A (zh) 控油祛痘组合物及其应用
CN106420491A (zh) 一种美白祛斑保湿祛皱多功能护肤品及其制备方法
JPH08325156A (ja) ステビオール配糖体含有皮膚外用剤及び飲食品
CN106389139A (zh) 一种祛痘消痕护肤多功能制剂及其制备方法
CN112315883B (zh) 控油祛痘的护肤组合物及其制剂和应用
KR102284921B1 (ko) 퀘르세틴, 테르펜 및 비타민 k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0588979B1 (en) Cannabinoid and terpene-infused topical cream
JPH11240817A (ja) 美容パック
US20180325973A1 (en) Skin care composition
KR102046566B1 (ko) 피부 가려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081933A (zh) 祛痘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529681B1 (ko) 글루타치오닐 제니스테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KR20040056079A (ko)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5187A (ko) 티트리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0717613B1 (en) Stable composition containing wheat sprout ju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US11524040B2 (en)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acne
KR20180135169A (ko) 퀘르세틴 및 비타민 d를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Farrisa Cosmeceuticals for Acne and Rosacea
CA3061545A1 (en) Skin care composition
KR102038366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