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245B1 -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 Google Patents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245B1
KR102282245B1 KR1020190115696A KR20190115696A KR102282245B1 KR 102282245 B1 KR102282245 B1 KR 102282245B1 KR 1020190115696 A KR1020190115696 A KR 1020190115696A KR 20190115696 A KR20190115696 A KR 20190115696A KR 102282245 B1 KR102282245 B1 KR 10228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color
inducer
fruit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859A (ko
Inventor
김외출
Original Assignee
김외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외출 filed Critical 김외출
Priority to KR1020190115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2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의 실질적인 수확에 앞서 과실수에 매달린 과일의 표면에 살포시킴에 따라 과일의 빠른 착색과 숙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착색유도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인산가리를 베이스로 하여 이에 칼슘보충액과 생장조정제를 혼합시킴으로서 인산가리나 생장조정제를 단독으로 물과 혼합시켜 사용하는 경우보다 과일의 착색에 필요한 기간을 보다 더 단축시키면서도 그 착색율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생장조정제의 약리작용을 통하여 수확전의 낙과를 최대한으로 억제시킴과 동시에, 칼슘보충액의 약리작용을 통하여 과일의 밀정상(과육의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몽우리가 지면서 해당 몽우리 부분부터 과육이 뭉개져 들어가는 현상)을 추가로 방지하여 과일의 수확량과 상품성 및 장기보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식초에 계란껍질을 투입시켜 계란껍질이 식초에 완전히 녹아 들어간 용액을 칼슘보충액으로 사용함에 따라, 인체에 해로운 약품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면서도 과일의 밀정상은 80%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과실수용 착색유도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실수용 착색유도제{Inducing material of coloration for fruit-tree}
본 발명은 과일의 실질적인 수확에 앞서 과실수에 매달린 과일의 표면에 살포시킴으로서 과일의 빠른 착색과 숙성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과실수용 착색유도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과를 포함하는 각종 과일은 그 성장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이후 정상적인 출하시기에 맞추어 수확을 하여야 되지만,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그 출하시기 이전에 다량의 과일이 낙하 및 손상되어 상품가치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고, 추석과 같이 과일의 물량이 집중되는 시기에 대량 수확을 할 경우에는 과일 가격의 폭락으로 말미암아 과수원 농가의 수입에 커다란 타격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과일의 색상을 빠르게 발현시키는 한편, 그 숙성도를 높여 출하시기를 앞당기거나, 추석과 같이 과일의 출하물량이 집중되는 시기의 전,후로 과일을 수확할 수 있도록 착색유도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에는 덜 익은 상태의 과일을 수확한 후 탄화칼슘(카바이드)과 함께 보관시킴으로서, 탄화칼슘이 수분과 결합하여 발생하는 아세틸렌 가스 성분에 의하여 과일의 색상이 발현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탄화칼슘(카바이드)을 이용하는 기존의 후숙식 착색유도 방법은 과일의 껍질이나 표면에 인체에 유해한 중금속이 다량으로 잔류하는 결과를 초래함에 따라 이미 법적으로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에세폰(Ethephon)과 같은 식물 생장조정용 약품(이하, 생장조정제라 한다)을 물에 희석시킨 다음 이를 착색기에 접어든 과일의 표면에 직접 살포(분사)시킴으로서 과일의 낙과를 방지함과 동시에 과일의 빠른 착색과 숙성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나, 에세폰(Ethephon)과 같은 단일 약품만을 물에 희석시켜 사용할 경우, 과일의 착색 및 숙성을 요구하는 수준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약품의 농도를 다소 높게 하여야 되는 데, 에세폰의 고농도 희석액을 이용한 살포작업시 다량의 에틸렌 가스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살포작업을 수행하는 사람이 해당 가스 성분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두통이나 신경마비 등의 증상이 유발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인공 화학적 착색제를 고농도로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인체 유해성은 에세폰 뿐만 아니라 리테인{상표명, AVG(Aminoethoxyvinylglycine)라고도 함}이나 안티폴{상표명, 제조원 Bayer CropScience(영국)}과 같은 또 다른 생장조정제에 있어서도 동일한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이었으며, 인위적인 과일의 착색 및 숙성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과일의 과육 내부에 밀정상(과육이 뭉개지면서 발생하는 몽우리)이 유발됨에 따라 과일의 상품성과 장기보존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인산가리와 같은 비료를 이용하여 과일의 착색 및 숙성을 유도하는 방식도 알려져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생장조정제와 같은 약품의 살포를 전제로 하는 하나의 보조적인 방법에 불과한 것으로서, 인산가리와 같은 비료만을 단독으로 사용해서는 과일의 착색시간을 줄이고 그 숙성도를 요구하는 수준으로 이끌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5435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물과 인산가리를 베이스로 하여 이에 칼슘보충액과 생장조정제를 혼합시킴으로서 인산가리나 생장조정제를 단독으로 물과 혼합시켜 사용하는 경우보다 과일의 착색에 필요한 기간을 보다 더 단축시키면서도 그 착색율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생장조정제의 약리작용을 통하여 수확전의 낙과를 최대한으로 억제시킴과 동시에, 칼슘보충액의 약리작용을 통하여 과일의 밀정상을 추가로 방지하여 과일의 수확량과 상품성 및 장기보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식초에 계란껍질을 투입시켜 계란껍질이 식초에 완전히 녹아 들어간 용액을 칼슘보충액으로 사용함에 따라, 인체에 해로운 약품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면서도 과일의 밀정상은 80%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과실수용 착색유도제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된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물과 인산가리를 베이스로 하여 칼슘보충액과 생장조정제를 혼합시킨 착색유도제에 당도첨가제를 추가로 혼합시킴으로서, 과일의 색상과 숙성도 뿐만 아니라 과일의 당도와 표면 광택 및 그 향기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하여 과일의 상품가치를 보다 더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당도첨가제를 소주와 막걸리를 베이스로 하는 바탕용액에 흑설탕과 물엿과 감초와 계피와 사카린을 일정 비율로 혼합시켜 제조함으로서, 착색유도제에 포함되는 약품 성분을 한층 더 묽은 농도로 희석시켜 인체의 유해성을 최대한으로 줄이면서도 과일의 표면으로 살포된 약품 성분이 빠른 시간내에 소실되지 않고 착색 및 숙성에 필요한 기간 동안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그 약리작용이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착색유도제는, 물 1~3L를 바탕용액으로 하여 칼슘보충액 1~2L와 생장조정제 400~600mL와 인산가리 0.5~2.5kg을 혼합하여 액상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칼슘보충액은 염화칼슘 1~15% 농도의 칼슘수용액이 사용되거나 또는 바탕용액이 되는 식초 15~20L에 계란껍질 0.5~1.5kg을 투입하여 3~4개월 동안 숙성시킨 용액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생장조정제는 리테인이나 안티폴 또는 에세폰 중에서 택일한 약품이 사용되거나, 안티폴 300~400mL와 에세폰 100~200mL를 혼합한 약품이 사용되거나, 리테인 100~150mL와 안티폴 200~300mL와 에세폰 100~150mL를 혼합시킨 약품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착색유도제에 당도첨가제 0.5~1L를 추가로 혼합시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당도첨가제는 수크랄로스나 에틸말톨 또는 스테비오사이드 중에서 택일한 감미료 또는 이들 감미료중에서 2~3종을 혼합시킨 것을 바탕용액이 되는 물과 1:0.1~1의 비율로 희석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하거나, 소주 100±20L와 막걸리 100±20L를 혼합하여 제조된 200±40L의 바탕용액을 기준으로 하여, 흑설탕 60±20kg과 물엿 6±2L와 감초 5±2kg과, 계피 2±1kg과, 사카린 200±50g을 혼합시켜 3~5개월 동안 숙성시킨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과 인산가리를 베이스로 하여 이에 칼슘보충액과 생장조정제를 혼합시킴으로서 인산가리나 생장조정제를 단독으로 물과 혼합시켜 사용하는 경우보다 과일의 착색에 필요한 기간을 보다 더 단축시키면서도 그 착색율은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생장조정제의 약리작용을 통하여 수확전의 낙과를 최대한으로 억제시킴과 동시에, 칼슘보충액의 약리작용을 통하여 과일의 밀정상을 추가로 방지함으로서 과일의 수확량과 상품성 및 장기보존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식초에 계란껍질을 투입시켜 계란껍질이 식초에 완전히 녹아 들어간 용액을 칼슘보충액으로 사용함에 따라, 인체에 해로운 약품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면서도 과일의 밀정상은 80%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당도첨가제를 추가로 혼합시킨 경우에는, 과일의 색상과 숙성도 뿐만 아니라 과일의 당도와 표면 광택 및 그 향기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과일의 상품가치를 보다 더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당도첨가제를 소주와 막걸리를 베이스로 하는 바탕용액에 흑설탕과 물엿과 감초와 계피와 사카린을 일정 비율로 혼합시켜 제조한 경우에는, 착색유도제에 포함되는 약품 성분을 한층 더 묽은 농도로 희석시켜 인체의 유해성을 최대한으로 줄이면서도 과일의 표면으로 살포된 약품 성분이 빠른 시간내에 소실되지 않고 착색 및 숙성에 필요한 기간 동안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그 약리작용이 충분히 발현되도록 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착색유도제의 경우에도 종래의 기술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과실수에 매달린 과일의 표면에 살포하여 과일의 착색 및 숙성을 유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며, 물 1~3L(리터)를 바탕용액으로 하여, 과일의 밀정상을 억제하기 위한 칼슘보충액 1~2L와, 과일의 낙과를 방지하고 과일의 착색 및 숙성을 유도하기 위한 생장조정제 400~600mL(밀리리터)와, 상기 생장조정제의 기능을 보조하여 과일의 착색을 보다 더 확실하게 유도하기 위한 인산가리 0.5~2.5kg을 혼합하여 액상으로 제조된 것이다.
위에서 언급되어진 혼합비율은 작업자가 등과 어깨에 짊어지고 사용하는 등분무기의 저장통 용량(통상 330×170×460), 즉 1회의 살포작업에 사용되는 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착색유도제를 일시에 대량으로 제조할 수도 있는 바, 간단한 예를 들자면 5~10회의 살포작업에 사용될 착색유도제를 한꺼번에 제조코자 할 경우 위에서 언급되어진 각 성분의 혼합량을 각각 5~10배로 늘리면 된다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적 사항임을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색유도제에 있어 물과 칼슘보충액이 분말 형태를 가지는 인산가리 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액상베이스를 제공하게 되며, 과일의 밀정상을 충분히 억제시킬 수 있는 최적 혼합비율(물:칼슘보충액)이 1:1 내지 3:2의 무게비율이 되는 것이며, 물과 칼슘보충액이 혼합된 2~5L의 액상베이스를 기준으로 하여 생장조정제의 첨가량이 400mL 미만이 되면, 과일의 착색과 숙성기간이 불필요하게 지연되고, 생장조정제의 첨가량이 600mL를 초과하는 것은 인체의 유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물과 칼슘보충액이 혼합된 2~5L의 액상베이스를 기준으로 하여 인산가리의 첨가량이 0.5kg 미만이 되면, 과일의 착색과 숙성을 유도하는 생장조정제의 보완적인 기능을 제대로 달성하기 어렵고, 인산가리의 첨가량이 2.5kg를 초과하게 되면, 착색유도제의 점도가 불필요하게 높아짐에 따라 원활한 살포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인산가리 역시 화학약품이 되므로 과도한 사용은 인체나 환경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칼슘보충액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시중에서 농업용으로 널리 시판되는 염화칼슘(CaCl2, Calcium chloride) 1~15% 농도의 칼슘수용액을 들 수 있는 바, 상기 염화칼슘 성분은 과일, 특히 사과에 적합한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하여 밀정상을 억제시키는 데 효과가 있으며, 초산칼슘이나 인산칼슘 또는 탄산칼슘이나 질산칼슘과 비교하여 그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물에 쉽게 녹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염화칼슘을 이용한 칼슘보충액 역시 화학약품에 해당하고, 앞서 설명되어진 생장조정제와 함께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인 칼슘보충액이 요구되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식초와 계란껍질을 이용한 칼슘보충액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그 제조법은 식초 15~20L에 계란껍질 0.5~1.5kg을 투입하여 3~4개월 동안 숙성시킴으로서, 계란껍질이 식초에 완전히 녹아 들어가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이와 같이 제조된 칼슘보충액을 1~2L 단위로 나누어 사용하면 되는 것이며, 상기 식초로서는 현미식초가 가장 바람직하다.
위에서 언급되어진 식초와 계란껍질의 혼합비율은 염화칼슘을 이용한 칼슘보충액과 동등한 수준의 약리효과를 얻어내기 위한 최적 비율에 해당하는 것인 바, 식초 15~20L를 기준으로 계란껍질이 0.5kg 미만으로 투입되면, 칼슘보충 기능을 제대로 달성할 수 없고, 계란껍질이 1.5kg을 초과하여 투입되면, 계란껍질이 식초에 완전히 녹아 들어가도록 하는 데 필요한 숙성기간이 불필요하게 길어지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생장조정제는 앞선 종래기술 내용에서 설명되어진 리테인이나 안티폴 또는 에세폰 중에서 하나의 약품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안티폴 300~400mL와 에세폰 100~200mL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리테인 100~150mL와 안티폴 200~300mL와 에세폰 100~150mL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이외에도 착색이나 숙성 및 낙과방지의 용도를 가지는 다른 여러 가지의 생장조정제, 예를 들어 에틸렌(Ethylene)이나 2,4,5TP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색유도제에는 당도첨가제 0.5~1L를 추가로 혼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는 바, 상기 당도첨가제는 착색유도제가 제공하는 과일의 색상과 숙성기능에 과일의 당도와 표면 광택 및 그 향기를 더하여 과일의 상품가치를 보다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서는 식품첨가물의 일종인 수크랄로스나 에틸말톨 또는 스테비오사이드를 들 수 있다.
상기 수크랄로스(Sucralose)는 합성 감미료의 일종으로서, 미국에서는 스플렌다(Splenda)라는 상품명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서도 2000년 식약청의 고시를 통하여 식품첨가물로 지정된 이후 빵이나 과자, 껌이나 음료수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에틸말톨(Ethyl maltol)은 몇몇 설탕 과자에 들어가는 보통의 향미료인 유기 화합물로서, 더 흔히 사용되는 향미료 말톨의 메틸기를 에틸기로 치환시킨 것이며, 달콤한 향기를 가지는 흰색의 고체이다.
또한, 상기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는 스테비아의 잎에 들어 있는 단맛이 나는 감미료로서, 1971년 일본의 모리타 화학 공업에서 최초로 상품화 하였으며 설탕과 같은 자당을 기준으로 그 300배에 해당하는 단맛을 내며 섭취시에도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의 식이요법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는 바, 이외에도 위에서 언급되어진 3가지 감미료와 유사한 다른 종류의 감미료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3가지 종류의 감미료 중에서 하나를 택일하거나, 이들 감미료중에서 2~3종을 혼합시킨 다음, 해당 감미료 성분을 바탕용액이 되는 물과 1:0.1~1의 비율(무게비율)로 희석시켜 사용하게 되는 바, 물과 감미료의 혼합비율이 1:0.1 미만이 되면, 과일의 당도와 표면 광택 및 향기를 요구하는 수준까지 발현시키기가 어렵고, 물과 감미료의 혼합비율이 1:1을 초과하게 되면, 감미료의 사용량에 비하여 그 약리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비경제적이 된다.
상기와 같이 시중에 널리 시판되는 감미료를 당도첨가제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화학약품에 해당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보다 더 환경친화적인 당도첨가제를 제안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제조법은 소주 100±20L와 막걸리 100±20L를 혼합하여 제조된 200±40L의 바탕용액을 기준으로 하여, 흑설탕 60±20kg과 물엿 6±2L와 감초 5±2kg과, 계피 2±1kg과, 사카린 200±50g을 혼합시켜 3~5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방식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당도첨가제를 0.5~1L 단위로 나누어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소주와 막걸리를 포함한 각 성분의 혼합비율 역시 감미료를 이용한 당도첨가제와 동등한 수준의 약리효과를 얻어낼 수 있는 동시에 그 숙성에 필요한 기간을 최대한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최적의 비율이 되며, 상기 소주는 30도의 도수를 가지는 과실주용 소주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고, 상기 막걸리는 효모 성분의 활용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시중에 시판되는 어떠한 종류의 막걸리를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착색유도제는 물과 인산가리를 베이스로 하여 이에 칼슘보충액과 생장조정제를 혼합시킴으로서 인산가리나 생장조정제를 단독으로 물과 혼합시켜 사용하는 경우보다 과일의 착색에 필요한 기간을 보다 더 단축시키면서도 그 착색율은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생장조정제의 약리작용을 통하여 수확전의 낙과를 최대한으로 억제시킴과 동시에, 칼슘보충액의 약리작용을 통하여 과일의 밀정상을 추가로 방지함으로서 과일의 수확량과 상품성 및 장기보존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식초에 계란껍질을 투입시켜 계란껍질이 식초에 완전히 녹아 들어간 용액을 칼슘보충액으로 사용함에 따라, 인체에 해로운 약품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면서도 과일의 밀정상은 80%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당도첨가제를 추가로 혼합시킨 경우에는, 과일의 색상과 숙성도 뿐만 아니라 과일의 당도와 표면 광택 및 그 향기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과일의 상품가치를 보다 더 극대화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당도첨가제를 소주와 막걸리를 베이스로 하는 바탕용액에 흑설탕과 물엿과 감초와 계피와 사카린을 일정 비율로 혼합시켜 제조한 경우에는, 착색유도제에 포함되는 약품 성분을 한층 더 묽은 농도로 희석시켜 인체의 유해성을 최대한으로 줄이면서도 과일의 표면으로 살포된 약품 성분이 빠른 시간내에 소실되지 않고 착색 및 숙성에 필요한 기간 동안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여 그 약리작용이 충분히 발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과실수에 매달린 과일의 표면에 살포하여 과일의 착색을 유도하는 착색유도제에 있어서,
    상기 착색유도제는 물 1~3L를 바탕용액으로 하여, 칼슘보충액 1~2L와 생장조정제 400~600mL와 인산가리 0.5~2.5kg과 당도첨가제 0.5~1L를 혼합하여 액상으로 제조된 것이고,
    상기 당도첨가제는 소주 100±20L와 막걸리 100±20L를 혼합하여 제조된 200±40L의 바탕용액을 기준으로 하여, 흑설탕 60±20kg과 물엿 6±2L와 감초 5±2kg과, 계피 2±1kg과, 사카린 200±50g을 혼합시켜 3~5개월 동안 숙성시킨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슘보충액은 염화칼슘 1~15% 농도의 칼슘수용액이 사용되거나 또는 바탕용액이 되는 식초 15~20L에 계란껍질 0.5~1.5kg을 투입하여 3~4개월 동안 숙성시킨 용액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장조정제는 리테인이나 안티폴 또는 에세폰 중에서 택일한 약품이 사용되거나, 안티폴 300~400mL와 에세폰 100~200mL를 혼합한 약품이 사용되거나, 리테인 100~150mL와 안티폴 200~300mL와 에세폰 100~150mL를 혼합시킨 약품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15696A 2019-09-19 2019-09-19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KR10228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696A KR102282245B1 (ko) 2019-09-19 2019-09-19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696A KR102282245B1 (ko) 2019-09-19 2019-09-19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859A KR20210033859A (ko) 2021-03-29
KR102282245B1 true KR102282245B1 (ko) 2021-07-27

Family

ID=75250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696A KR102282245B1 (ko) 2019-09-19 2019-09-19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2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085A (ja) * 1994-04-22 1995-11-07 Idemitsu Kosan Co Ltd 植物の栽培方法
KR20050050333A (ko) * 2003-11-25 2005-05-31 정귀숙 식물 착색제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식물 착색제
KR100543524B1 (ko) 2003-12-02 2006-01-20 (주)대 유 과실 및 과채류 착색촉진용 복합비료
KR101459604B1 (ko) * 2013-03-27 2014-11-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크랄로오스를 포함하는 과실의 당도 및 착색 증진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859A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1268B (zh) 一种蓝莓全果粉的加工方法
US10798944B2 (en) Agent for increasing sugar content in fruit
CN108812879A (zh) 一种蔬果保鲜剂及其制备方法
KR100543524B1 (ko) 과실 및 과채류 착색촉진용 복합비료
KR100922689B1 (ko) 칼슘의 함량이 높은 사과의 재배 방법
CN106689172B (zh) 含几丁聚糖和氯吡脲的组合物
KR100300188B1 (ko) 허브사과잼의제조방법
CN110235936A (zh) 一种果蔬复合保鲜营养剂及其制备方法
KR102282245B1 (ko) 과실수용 착색유도제
Mworia et al. Effect of MA storage and 1-MCP on storability and quality of ‘Sanuki Gold’kiwifruit harvested at two different maturity stages
CN107372808A (zh) 一种水果复合保鲜剂及其制备方法
US2760869A (en) Method of producing condiments
CN101218937B (zh) 草莓生物抗菌保鲜剂及其保鲜方法
Ali et al. Application of Biodegradable Aloe vera gel and Linseed mucilage for extending the shelf life of Plums
CN106962464B (zh) 一种蒜薹冷库贮藏防腐保鲜剂及其制备和使用方法
NO154542B (no) Ensileringsmiddel
EA015502B1 (ru) Низкожирный потребительский продукт, содержащий натуральную консервирующую систему,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González et al. Maturation of loquat fruit (Eriobotrya japonica Lindl.) under Spanish growing conditions and its postharvest performance
Chauhan et al. Effect of pre-harvest foliar spray of nutrients and plant bio-regulator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fruit of mango cv. DASHEHARI.
ES2363586B1 (es) Mezcla homogenea de consistencia pastosa que contiene ingredientes de origen 100% natural, para el sazonamiento de comidas, y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on de dicha mezcla
KR100433786B1 (ko)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JPH01211445A (ja) 生鮮食物用鮮度保持剤
Wike et al. Synergetic effect of edible coatings from natural materials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fruits and vegetables
Kumar et al. Pre-harvest spray of chitosan, calcium chloride and low temperature storage (7 0C) effect on biochemical attributes of strawberry cv. Camarosa
CN105341732A (zh) 一种麦门冬润肺果香鸡肉排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