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3786B1 -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 Google Patents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3786B1
KR100433786B1 KR10-2002-0065305A KR20020065305A KR100433786B1 KR 100433786 B1 KR100433786 B1 KR 100433786B1 KR 20020065305 A KR20020065305 A KR 20020065305A KR 100433786 B1 KR100433786 B1 KR 100433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pear
gibbererin
medicament
gibberel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331A (ko
Inventor
장인국
Original Assignee
장인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349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337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장인국 filed Critical 장인국
Priority to KR10-2002-006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7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36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ompounds having three or more carbocyclic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at least one ring not being a six-member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 이용한 배의 생장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용 약제에 있어서,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 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 배의 만개 후 20일 내지 50일 사이에 처리하면 탁월하게 상품성이 높은 큰 배를 조기에 생산함으로서 노동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배의 품질과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이 높은 농도에서 소량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지베레린 사용량보다 적은 양으로 배를 현저히 비대시킬 수 있고 숙기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 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PLANT GROWTH-REGULATING COMPOSITION COMPRISING GIBBERELLIN A4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OF INCREASING SIZE AND ACCELERATING MATURITY OF PEAR USING THE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 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의 만개 후 20일 내지 50일 사이에 처리하면 탁월하게 상품성이 높은 큰 배를 조기에 생산함으로서 노동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배의 품질과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이 높은 농도에서 소량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지베레린 사용량보다 적은 양으로 배를 현저히 비대시킬 수 있고 숙기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 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지베레린은 식물 호르몬(Hormone)으로 현재까지 126 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여러 종류의 지베레린이 한 식물체에서 생성되어 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지베레린은 식물의 세포분열, 세포생장, 숙기촉진, 숙기지연, 개화촉진, 세포분화(cell differentiation) 및 여러 종류의 효소 생성촉진 등 광범위하게 세포의 대사에 관여하고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어느 특수한 지베레린이 어느 시기에 어느 세포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는 배를 재배시 지베레린 산(Gibberellic acid= GA3=지베레린 A3)이 수입완제품 도포제로 등록되어 신고 배를 포함한 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과실비대가 수확시기에 도달한 무처리에 비해 많지 않으며 숙기도 일주일 정도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가 배 특히, 신고 배의 과실 비대 및 숙기촉진을 위한 재배에 사용된 적은 없었다.
상기와 같이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지베레린 중에서 GA3와 GA4+7(Gibberellin A4+7)만이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GA3는 여러 작물에 골고루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GA4+7은 발효생산시 이성체의 구조가 비슷하고 분리가 힘들어 두 이성체의 혼합물로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사과에 등록되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조성비율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고, GA4+7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등록되어져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지베레린 도포제는 일본 및 중국 등지에서 완제품으로 수입된 도포제로 지베레린 A32.7%를 유효성분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도포제들이 배의 생육기간 중에 도포되면 수확되는 배의 과중이 약간 증가하며 숙기는 7일 정도 빨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지베레린 도포제는 추석을 위하여 출하를 원하는 농민들에 의해 주로 사용되는데 추석이 양력으로 9월말 이전인 경우에는 숙기를 더 단축시키기 위하여 사용이 허용된 양인 과경당 25 mg의 2 배 이상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등록 허용된 양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과경에 과다한 약액이 도포 되고 이 약액이 흘러내려 과실에 약해를 유발시키고 과경에 고르게 도포가 안되어 기형과가 많이 생겨 품질을 떨어떠릴 위험이 있다. 또한, 사용량 이상을 사용함으로서 농약의 잔유량이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의 만개 후 20일 내지 50일 사이에 처리하면 탁월하게 상품성이 높은 큰 배를 조기에 생산함으로서 노동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배의 품질과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이 높은 농도에서 소량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지베레린 사용량보다 적은 양으로 배를 현저히 비대시킬 수 있고 숙기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용 약제에 있어서,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 도포, 산포 또는 침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배의 과실비대 및 숙기촉진용 약제는 지베레린 A4(GA4)(CAS No: 468-44-0)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된 지베레린으로서는 GA3또는 GA4+7이 범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지베레린 A3로는 배 특히, 신고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자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용으로 배의 만개 후 20일 내지 50일 사이에 활성이 높은 농도로 소량 처리하면 탁월하게 상품성이 높은 큰 배를 조기에 생산함으로서 노동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배의 품질과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이 높은 농도에서 소량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지베레린 사용량보다 적은 양으로 배를 현저히 비대시킬수 있고 숙기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본원발명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도포, 산포 또는 침지 처리시기는 과경에 봉지를 씌우기 전인 배의 만개 후 20일 내지 50일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신고 배의 경우 만개 후 25일 내지 40일 사이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 배의 만개 후 20일 이전이나 50일이 지난 후에 도포, 산포 또는 침지 처리하면 본 발명이 의도하는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효과 이외 다른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도포제의 경우 지베레린 A4의 함량은 약제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가 바람직하고, 특히 신고 배의 경우 0.21 중량% 내지 6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다른 종류의 배에 있어서는 0.31 중량% 내지 6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베레린 A4의 함량이 약제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이면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의 효과가 처리비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아 경제적이지 못하고, 또한 상기 지베레린 A4의 함량이 약제에 대하여 10 중량%를 초과하면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의 효과가 더 이상 증대되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도포제의 배에 대한 비대 및 숙기촉진 효과는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도포제의 사용량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도포제의 유효성분 농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실험결과 밝혀졌다. 특히 본 발명자는 지베레린 A4의 농도가 도포제 중의 0.21 중량% 이상인 활성이 높은 농도에서 도포제를 소량 사용함으로써 신고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효과 등의 생장조절에 있어서의 효능이 우수하다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 실험결과에 대하여는 실시예 5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도포제의 경우 사용량은 배 과경당 10 mg 내지 75 mg이 바람직하고, 신고 배의 경우 20 mg 내지 40 mg이 더욱 바람직하고, 신고 배 이외의 배의 경우 10 ㎎ 내지 25 ㎎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도포제의 사용량이 배 과경당 10 mg 미만이면 도포된 약제의 양이 너무 적어 과경에 약제를 고르게 도포할 수 없어 기형과가 생길 수가 있고, 75 mg을 초과하면 도포된 약제의 약액이 흘러내려 오히려 약해를 유발시키고 고르게 도포되지 않아 기형과가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본 발명의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도포량은 유효성분인 지베레린 A4의 함량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그 사용량이 배 과경당 10 ㎎ 내지 70 ㎎이다. 또한, 더욱 바람직한 본 발명의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도포량은 신고 배의 경우 유효성분인 지베레린 A4의 함량이 0.21 중량% 내지 6 중량%이고, 그 사용량이 신고 배 과경당 20 ㎎ 내지 40 ㎎이고, 신고 배 이외의 배의 경우 유효성분인 지베레린 A4의 함량이 0.31 중량% 내지 6 중량%이고, 그 사용량이 배 과경당 10 ㎎ 내지 25 ㎎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 도포, 산포 또는 침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도포, 산포 또는 침지 처리시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의 만개 후 20일 내지 50일 사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제형이 수용제, 수화제, 액제 또는 유제로서 물에 희석해서 사용하는 경우 산포 또는 침지 처리 농도는 부피농도로 10 ppm 내지 60,000 pp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제형이 상기한 바와 같이, 산포 또는 침지할 수 있는 제형인 경우 산포 또는 침지 처리 농도가 10 ppm 미만이면 약제 처리 효과가 미미하고, 60,000 ppm을 초과하면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효과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아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가 도포제로 사용되는 경우 지베레린 A4이외의 부재는 휘발성이 낮고 배의 과경에 약해가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예로는 라노린, 페트로락탐 또는 이와 유사한 연고 등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약제는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이외 초기생장, 수관형성, 가지치기 또는 가지유인 조절용으로도 유용한 효능을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약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3과 6을 제외한 모든 실시예에서 행해진 포장 시험들은 배 1주를 1반복구로 반복구당 동서남북 네방향에서 각 방향당 2개씩 8개의 배를 각 처리에 도포하고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같은 방향에서 가능한 한 같은 가지에 모든 처리들을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처리당 2개씩 도포하여 비교했다. 모든 시험들은 6반복으로 이루어져 처리당 48개의 과일에 도포하여 비교했다.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용도포제를 제외한 도포제들은 GA4또는 GA4+7원제를 라노린에 혼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실시예 1)
신고 배의 비대 시험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 도포제(유효성분: 2.7% 지베레린산)는 일본에서 완제품으로 수입된 도포제로 표 1에서 보듯이 1AP-702와 1AP-704 등 GA4를 유효성분으로 한 도포제에 비해서 비대 효능이 훨씬 떨어졌다. 1AP-704 처리 신고 배는 상용 도포제에 비해 평균 30% 과실 무게가 증가했으며 특상 등급인 750 g 이상 과일 비율도 79%로 상용 도포제 처리 신고 배의 36% 보다 배 이상의 특상품을 생산시켜 품질을 향상시켰다.
처리1) 유효성분 및 함량(%)2) 과중(g)3) 과중 증가(%)3) 특상 비율(%)4)
1AP-702 GA40.8% 835 20 70
1AP-704 GA43.2% 907 30 79
상용 도포제 GA32.7% 698 - 36
1) 처리일: 5/30-5/31/02; 수확일: 9/26/02
2) 함량은 무게농도 %
3) 과중은 1개당 신고 배 수확 후의 무게
4) 특상 등급은 1개당 과중이 750 g 이상인 배
(실시예 2)
신고 배의 숙기 시험
상용 도포제와 비슷한 유효성분 양으로 본 발명품을 제조하여 신고 배에 처리한 후 적기에 수확하는 경우 숙기는 표 2에서와 같이 무처리에 비해서 3주정도 빨랐으며 상용 지베레린 보다는 2주 정도 빠른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용 지베레린의 처리구의 생체중이 1AP-3004A 처리구 생체중에 도달하는 시간이 3주 정도 소요되었으나 숙도는 과숙상태에 있었으므로 상용 지베레린 처리 배를 적기에 수확할 경우 본 발명품 처리 신고 배보다 생체중이 낮을 것이다.
처리1) 유효성분 및 함량(%)2) 수확일 과중(g) 숙도
1AP-3004A GA42.52% 9/14/01 903 완숙
상용 도포제 GA32.70% 10/5/01 898 과숙
무처리 - 10/5/01 782 완숙
1) 처리일: 5/31/01
(실시예 3)
신고 배의 숙도, 당도 및 경도 시험
실시예 3에서는 비슷한 크기의 신고 배들을 수확일이 다르게 수확하여 과실의 당도와 경도를 분석하고 숙도를 비교하였다. 경도는 배 껍질을 1.2-1.3 mm 두께로 횡경이 가장 큰 곳을 잘라내고 그곳에서 다시 시계방향으로 90°되게 횡경이 가장 큰 다른 곳을 잘라내고 같은 방법으로 한 곳을 더 잘라내 과일당 모두 3곳의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는 직경 8 mm 원형측정봉을 10 mm 과일 깊이로 눌렀을 때의 최대 압력으로 표시되었다. 당도는 경도를 측정한 곳에서 3-5 mm 폭의 배를 상하로 잘라내어 측정하였다. 숙도는 맛을 보았을 때 완숙된 정도로 다음과 같이 계량화하였다.
◎숙도 1: 육질이 전혀 풀리지 않고 생내가 나는 배
◎숙도 2: 육질이 약간 풀리고 수분함량도 높아지나 생내가 나는 배
◎숙도 3: 육질이 50% 이상 풀리고 수분도 많으나 약간 생내가 나는 배
◎숙도 4: 육질이 거의 풀리고 생내가 없으나 완숙향이 적은 배
◎숙도 5: 육질이 모두 풀리고 완숙향이 나는 배
◎숙도 6: 육질에서 수분이 빠져나가고 과숙향이 나는 배
◎숙도 7: 육질이 물러버리고 과숙향이 나는 배
본 발명품 처리 배인 1AP-703 처리 배는 2002년 9월 19일 수확시 평균숙도 4.1로 출하적기였으며 상용처리는 2002년 9월 30일 수확한 경우 평균숙도 4로 출하적기였으나 경도로 비교한 경우 1AP-703이나 상용관행처리(65 mg 이상처리) 보다는숙기가 3-4일 떨어졌다. 적기에 수확하는 경우 당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처리1) 처리량 유효성분 및 함량 수확일 과중(g) 당도(Brix)2) 경도(g) 숙도
1AP-703 20 ㎎ GA41.6% 9/19/02 786 13.0 1933 4.1
상용처리 25 ㎎ GA32.7% 9/30/02 768 13.1 2012 4.0
관행처리 65 ㎎ 이상 GA32.7% 9/30/02 727 12.9 1970 4.3
무처리 - - 10/3/02 754 13.2 2201 3.6
1) 처리일: 5/27-5/31일 사이, 관행처리는 같은 시험처리구 안에서 농민들에 의해 농민처리방법으로 처리된 배
2) 당도, 경도, 숙도 등은 15개에서 30개의 과일을 분석한 평균치임
(실시예 4)
GA 7 의 신고 배에 대한 비대 효능 시험
상용으로 사용되는 GA4+7은 상기한 바와 같이, GA4와 GA7두 이성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나 발효생산시 생성되어 분리가 힘들어 각국에서 농약의 유효성분으로 등록시 GA4와 GA7을 독립적으로 등록하지 않아 왔고 GA4+7의 복합물로 유효성분을 등록해 왔다. 두 이성체가 모두 효과가 있는지 또는 GA4만이 신고 배에서 효과가 있는지 알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농도를 이용한 비교시험을 하여 기술적으로 힘든 작업인 GA7을 분리하지 않고 각 이성체의 효능을 알아내었다.
처리1) 지베레린 종류 지베레린함량(%)2) GA4함량 GA7함량 과중(g)3)
1AP-3006 GA4+7 2.5% 1.7% 0.8% 865
1AP-703 GA4 1.6% 1.6% 0% 875
1) 6/1/01과 6/2/01 과경당 25 mg 처리
2) 함량은 무게농도
3) 약제처리 106일 후 수확: 두 지역의 평균치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1AP-3006은 전체 지베레린 함량이 2.5%이나 GA4함량은 1.6%로 1AP-703 보다 높았으나 과실비대 효과는 낮았으므로 복합제로 제제되어 사용되어진 GA4+7도포제에서 GA7은 과실비대 효과가 없거나 오히려 과실비대를 약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은 2002년도에도 두 지역에서 반복되었으나 표 5에서 보듯이 결론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조가 아주 비슷하나 효과가 없는 이성체가 효과가 있는 이성체와 혼합되어 사용될 때 유효한 이성체의 효과를 억제시킬 수 있다는 사실은 생화학에서는 알려져 있으나 기작은 아주 복잡하다. 또 GA7은 다른 배 품종이나 작물에서는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신고 배에서는 과실비대 또는 과실 생장촉진에 효과가 없었다.
(실시예 5)
유효성분 농도와 사용량의 상관 시험
농약의 사용량과 농도를 조절하여 유효성분 사용량이 일정할 때 농약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시험하였다. 신고 배에 GA4또는 GA4+7제제의 과경당 GA4처리량은 같게 하고 사용농도와 양을 다르게 하여 도포하였다. 통상 같은 양의 유효성분이 처리되면 효과가 같은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결과는 그와 다르게 나타났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다.
처리1) 지베레린 처리량(㎎) GA4함량(%) GA7함량(%) 횡경(㎜)2)
1AP-700 GA4 40 0.2 0 102.9
1AP-701 GA4 20 0.4 0 105.2
1AP-702 GA4 20 0.8 0 107.7
1AP-3003 GA4+7 40 0.21 0.1 102.8
1AP-3007 GA4+7 20 0.42 0.2 103.4
1AP-3005 GA4+7 20 0.84 0.4 107.4
1) 처리일: 5/20/02
2) 횡경은 과일당 가장 큰 횡경을 처리 93일 후에 측정
1AP-700과 1AP-701 제재처리는 과경당 유효성분 GA4의 처리 양이 80 ㎍으로 같으나 효과는 1AP-701 제재처리(0.4% 지베레린 A4도포제를 20 mg 처리)가 1AP-700 제제처리보다 높았다. 횡경을 과실무게로 환산하면 6.8% 정도 과중의 증가가 있었다. 1AP-3003과 1AP-3007 처리구에서도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지베레린 A4도포제의 사용량보다 유효성분의 사용농도가 높을 때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지베레린 제제 제조와 사용시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활성이 높은 유효성분을 고농도로 제조하고 고농도로 사용하되 소량을 사용하는 경우 더 효율적이므로 상기한 방법으로 유효성분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농약 잔유량을 줄일 수 있고 또 소량을 사용함으로서 도포가 고르게 되어 기형과를 줄여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약액이 흘러내려 약해를 유발시킬 염려가 없다.
또 표 5에서 보여주는 결과들은 실시예 4에서 언급한 GA4+7복합제제에서 GA4만이 유효성분이고 GA7은 과실비대에 효력이 없는 지베레린 이성체라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6)
지베레린 A 4 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처리 시기 시험
상용 지베레린 도포제를 신고 배에 처리하는 경우 만개 30일 후 처리가 과실비대에 가장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GA4또는 GA4를 함유하는 복합 지베레린 A4+7제제들은 사용적기가 알려져 있지 않다. 사용적기를 알기 위해서는 다년간 여러 지역에서 포장 시험을 해야 하므로 표 6에서는 과실비대 효과를 각각의 포장 시험때 무처리에 비교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여 제시하였다.
표 6에서 보듯이 GA4를 함유하는 제제들의 과실비대 촉진은 이 제제들을 만개 후 25일에서 40일 사이에 도포한 경우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만개 15일 또는 60일 후에 처리한 신고 배들은 처리효과가 없었다.
처리 만개 후 처리시기 제제형태 처리시 GA4농도 및 처리양 무처리시 과중(%)
1AP-3702 15일 후 액제 60 ppm 산포 -11
1AP-3006 25일 후 도포제 1.7% 25㎎ 도포 45
1AP-703 30일 후 도포제 1.6% 20㎎ 도포 41
1AP-3006 35일 후 도포제 1.7% 25㎎ 도포 38
1AP-703 35일 후 도포제 1.6% 20㎎ 도포 55
1AP-703 40일 후 도포제 1.6% 20㎎ 도포 42
1AP-3014D 43일 후 액제 600 ppm 산포 43
1AP-3006 45일 후 도포제 1.7% 25㎎ 도포 33
1AP-3003 60일 후 도포제 1.7% 75㎎ 도포 3
1AP-703 60일 후 도포제 1.6% 25㎎ 도포 -1
(실시예 7)
지베레린 A 4 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산포 또는 침지할 수 있는 제형으로서의 효능 시험
실시예 7에서는 GA4를 함유하는 물질이 도포제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제형으로 되어 침지 또는 산포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도 신고 배에서의 과실 비대 및 숙기촉진 효과가 있었다. 표 7에서는 신고 배를 만개 43일 후에 액제로 제조된 GA4또는 GA4+7제제를 물에 희석하여 침지한 후 110일 후에 수확하였다. 무처리는 125일 후에 수확하였다. 지베레린 A4를 180 ppm 침지한 신고 배는 무처리에 비해 15% 비대하였으며, 숙기는 15일 단축되었다.
처리 지베레린 종류 GA4처리 농도 수확일 과중(g) 증가율(%)
1AP-3014B GA4 180 ppm 9/20/02 890 15
1AP-3016A GA4+7 187 ppm 9/20/02 915 17
무처리 - - 10/5/02 782 -
본 발명의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 배의 만개 후 20일 내지 50일 사이에 도포하면 탁월하게 상품성이 높은 큰 배를 조기에 생산함으로서 노동력을 분산시킬 수 있고 배의 품질과 수확량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이 높은 농도에서 소량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지베레린 사용량보다 적은 양으로 배를 현저히 비대시킬 수 있고 숙기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는 배의 과실비대 및 숙기촉진 이외 초기생장, 수관형성, 가지치기 또는 가지유인 조절용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용 약제에 있어서, 지베레린 A4의 함량이 약제에 대하여 0.1 중량% 내지 10 중량%이고, 배 과경당 10 mg 내지 75 mg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는 신고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도포 처리 시기는 배의 만개 후 20일 내지 50일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도포 처리 시기는 배의 만개 후 25일 내지 40일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유효성분 농도에 효능의 기준을 두고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신고 배의 경우 상기 지베레린 A4의 함량이 약제에 대하여 0.21 중량% 내지 6 중량%이고, 배 과경당 20 ㎎ 내지 40 ㎎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9. 제1항에 있어서, 신고 배 이외의 배의 경우 상기 지베레린 A4의 함량이 약제에 대하여 0.31 중량% 내지 6 중량%이고, 배 과경당 10 ㎎ 내지 25 ㎎을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도포제로 사용되는 경우 라노린 및 페트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배의 초기생장, 수관형성, 가지치기 또는 가지유인 조절용으로 유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12.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를 도포, 산포 또는 침지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도포, 산포 또는 침지 처리시기는 배의 만개 후 20일 내지 50일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의 제형이 수용제, 수화제, 액제 또는 유제로 물에 희석하여 사용되는 경우 산포 또는 침지 처리 농도는 부피농도로 10 ppm 내지 60,0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가 도포제로 사용되는 경우 지베레린 A4를 라노린 및 페트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부재에 혼합되어 도포, 산포 또는 침지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KR10-2002-0065305A 2002-10-24 2002-10-24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KR100433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305A KR100433786B1 (ko) 2002-10-24 2002-10-24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305A KR100433786B1 (ko) 2002-10-24 2002-10-24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331A KR20040036331A (ko) 2004-04-30
KR100433786B1 true KR100433786B1 (ko) 2004-06-04

Family

ID=3733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305A KR100433786B1 (ko) 2002-10-24 2002-10-24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928B1 (ko) * 2012-02-17 2013-09-1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종자의 개갑 및/또는 배 생장 촉진용 조성물
CN113973914B (zh) * 2021-07-30 2023-07-07 海南师范大学 一种诺丽果催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9950A (en) * 1986-01-21 1989-01-2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lant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US6100219A (en) * 1996-02-08 2000-08-08 Sagami Chemical Research Center Plant growth accelerator
US6114284A (en) * 1996-02-28 2000-09-05 Nippon Zeon Co., Ltd. Growth regulator for crop plants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growth of crop plants
KR20030075333A (ko) * 2002-03-18 2003-09-26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지베렐릭 에시드 도포제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9950A (en) * 1986-01-21 1989-01-24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Plant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US6100219A (en) * 1996-02-08 2000-08-08 Sagami Chemical Research Center Plant growth accelerator
US6114284A (en) * 1996-02-28 2000-09-05 Nippon Zeon Co., Ltd. Growth regulator for crop plants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growth of crop plants
KR20030075333A (ko) * 2002-03-18 2003-09-26 동부한농화학 주식회사 지베렐릭 에시드 도포제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331A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475B1 (ko) 풍해를 잘 입지 않는 과실의 재배 방법
DE69814139T2 (de) Verwendung von lysophosphatidylethanolamine (18:1) und lysophosphatidylinositol zur verzögerung der seneszenz und förderung der früchtereifung
KR102030763B1 (ko) 적화 및 적과 효율이 안정적인 적과 방법
Kassem et al. Improving yield, quality and profitability of “Flame Seedless” grapevine grown under arid environmental by growth regulators preharvest applications
US10798944B2 (en) Agent for increasing sugar content in fruit
KR100748716B1 (ko) 칼슘의 흡수를 증진시키는 친환경 비료 조성물
WO2019058211A1 (en) METHOD OF TREATING AND CONTROLLING POST-HARVEST PHYSIOLOGICAL DISORDERS IN FRUITS THROUGH EDIBLE COATINGS
LU83853A1 (fr) Compositions contenant du titane pour le conditionnement de plantes
US20200345008A1 (en) Increased grape yields with brassinosteroid application
KR100433786B1 (ko) 지베레린 a4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제 및 이를이용한 배의 비대 및 숙기촉진 방법
CN104886055B (zh) 一种植物生长调节剂
CN104938489B (zh) 一种植物生长调节剂及其应用
DE870056C (de) Verfahren zum Konservieren von Pflanzenmaterial, insbesondere zum Einsilieren von Gruenfutter, unter Verwendung von milchsaeureerzeugenden Bakterien
CN107371449A (zh) 一种海棠果种子的储藏方法
KR101002570B1 (ko) 기능성 사과 재배를 위한 베타카로틴 조성물
KR102064661B1 (ko) 적화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적화 방법
Sharma et al. The use of growth regulators for early ripening of litchi (Litehi chinensis Sonn.)
JPH1066449A (ja) 果樹の栽培方法
KR101091494B1 (ko) 배의 바람들이 및/또는 무름 현상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그의 조성
KR102330390B1 (ko) 희소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과실 크기 증대 및 완숙과 조기 유도를 위한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생장조절제
KR890004625B1 (ko) 콩나물류의 재배방법
CN111466392B (zh) 一种含有噻霉酮和四氟醚唑的杀菌组合物及其用途
KR20160118174A (ko) 식물 인공수분촉진방법
Farag et al. Mitigation of ethephon and protone influence while improving “anna” apples coloration, fruit quality and storability by preharvest application of sprayable 1-mcp
JP2005229833A (ja) コリン塩及び褐藻抽出物を含有する日持ち向上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412

Effective date: 200803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80502

Effective date: 20090604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706

Effective date: 20090827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