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067B1 -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067B1
KR102282067B1 KR1020190100316A KR20190100316A KR102282067B1 KR 102282067 B1 KR102282067 B1 KR 102282067B1 KR 1020190100316 A KR1020190100316 A KR 1020190100316A KR 20190100316 A KR20190100316 A KR 20190100316A KR 102282067 B1 KR102282067 B1 KR 102282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silicone layer
weakly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0609A (ko
Inventor
최성원
서병수
김봉철
장규영
정문구
김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김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김순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9010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0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0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는,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기재층; 기재층의 일측에 합착되되 보강 판재의 부착면에 부착되며,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강점착성 실리콘층; 및 기재층의 타측에 합착되되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laminating face)을 형성하며, 강점착성 실리콘층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Attaching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알려진 통상의 시트와 달리 실리콘 재질의 물성에 의한 점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장치 혹은 이와 유사한 공정을 진행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 시장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대별되는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주류를 이룬다.
이러한 평판디스플레이, 특히 OLED를 제조할 때는 여러 종류의 기능성 필름, 예컨대 편광필름(polarizer film)과 같은 기능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편광필름은 대상체인 패널(panel)에 부착되어 빛을 편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기술에서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을 상대편 대상체인 패널에 부착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세트 테이블(Set Table)을 적용한 롤 투 스테이지(Roll to Stage) 방식과 드럼(Drum)을 적용한 드럼 투 스테이지(Drum to Stage) 방식이 사용되었다.
롤 투 스테이지 방식은 세트 테이블 상에 대상체인 패널이 배치되고, 어태치 롤러부(Attach Roller)가 회전하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필름의 오버행(Overhang) 현상으로 인한 오차로 고(高)부착 정도 구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롤 투 스테이지 방식 방식은 그 특성상 어태치 롤러부에 기능성 필름이 제대로 흡착되지 못하고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소지가 크고, 이로 인해 패널과의 얼라인(Align)이 틀어질 수밖에 없어 부착에 오차가 발생되는 데, 이를 오버행 현상이라 한다.
드럼 투 스테이지 방식은 드럼의 표면에 기능성 필름을 흡착시켜 드럼의 회전 동작에 따라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인데, 최초 기능성 필름과 패널의 컨택 시 넓은 압축 면적으로 패널의 일측 패드(Pad)에 접촉에 의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또한 드럼의 진공 영역(Vacuum Area) 제한으로 인해 다양한 패널 사이즈(Panel Size) 변경에 제약이 다른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롤 투 스테이지 방식과 드럼 투 스테이지 방식은 나름대로 사용되어 온 기술이기는 하지만, 각기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점착 시트(sheet)를 사용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현재 여러 업체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접착제와 점착제는 평가나 해석하는 기준에 따라 중첩된 의미를 갖기도 한다. 한지만, 통상적으로 접착제와 점착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즉 접착은 본드(bond)나 풀처럼 두 기재를 한번 붙이면 잘 안 떨어지게 하는 성질이지만, 점착은 예컨대, 점착 메모지처럼 붙였다가 떼기를 반복할 수 있게 하는 성질을 일컫는다.
한편, 점착 시트를 이용해서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식은 소정의 점성을 갖는 점착 시트에 편광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을 미리 점착시킨 후, 점착 시트를 가압해서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부착 기술의 적용을 위해서는 점착 시트의 기능이 상당히 중요한데, 현재까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계열의 점착 시트, 공기 흡착층(Air Pocket) 시트, 기공(Porous) 시트 등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적용 중이거나 혹은 적용 예정에 있는 상기 시트들의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첫째, 재질의 높은 연신율로 인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점착 시트의 재질이 주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수지 계열의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장기간 반복사용 시 높은 부착 압력으로 인해 시트가 늘어나서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불가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다. 즉 전술한 점착 시트의 재질 특성상 높은 연신율과 반복사용에 따른 오염문제가 상당할 수 있고, 미세 기공층(Micro Pocket) 파손으로 인한 점착력이 약화하기 때문에 수명이 짧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 편광필름의 부착 공정에 투입되기 위해서는 수천 회 정도의 재사용을 해야 하나 이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셋째, 높은 러닝 코스트(Running Cost)와, 잦은 교체 주기로 인해 다운 타임(Down Time)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전의 점착 시트는 전술한 것처럼 수명이 짧기 때문에 빈번하게 교체할 수밖에 없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데, 특히 시트의 교체 중에는 장비의 가동이 정지되어 생산되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인 로스(loss) 발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혹은 이와 유사한 공정을 진행하는 장치나 설비에 점착 시트를 적용하려면 기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계열의 점착 시트, 공기 흡착층(Air Pocket) 시트, 기공(Porous) 시트 등이 적용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에 적합한 점착 시트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5-0063468호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에 알려진 통상의 시트와 달리 실리콘 재질의 물성에 의한 점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장치 혹은 이와 유사한 공정을 진행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연신율을 거의 제로(zero)에 가깝게 최대한 낮출 수 있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주기가 길어 다운 타임(Down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측에 합착되되 보강 판재의 부착면에 부착되며,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강점착성 실리콘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측에 합착되되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laminating face)을 형성하며, 상기 강점착성 실리콘층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은 패널(panel)에 기능성 필름을 라미네이팅할 때, 상기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장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의 두께가 10~150㎛이되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실리콘 재료에 전체 원료 대비 3~5%의 대전방지제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이 형성되는 상기 기재층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한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강점착성 실리콘층의 두께가 30~150㎛일 수 있고, 상기 기재층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이고, 그 두께가 60~80㎛일 수 있다.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에 대한 표면 편탄도가 조절될 수 있게 상기 기재층과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 사이에 개재되는 평탄도 조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도 조절층은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필름이고, 그 두께가 60~80㎛일 수 있다.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이 형성되는 상기 평탄도 조절층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한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층과 상기 평탄도 조절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기재층과 상기 평탄도 조절층을 연결하는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의 재질이 상기 강점착성 실리콘층의 재질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의 두께가 10~1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단계;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되 보강 판재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강점착성 실리콘층을 상기 기재층의 일측에 합착시키는 강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 및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laminating face)을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상기 기재층의 타측에 합착시키는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타측에 대한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의 합착력이 높아지도록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의 수행 전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기재층의 표면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실리콘 재료에 전체 원료 대비 3~5%의 대전방지제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단계;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되 보강 판재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강점착성 실리콘층을 상기 기재층의 일측에 합착시키는 강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 상기 강점착성 실리콘층의 재질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을 상기 기재층의 타측에 합착시키는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 합착단계; 상기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의 노출면에 평탄도 조절층을 합착시키는 평탄도 조절층 합착단계; 및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laminating face)을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상기 평탄도 조절층의 노출면에 합착시키는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평탄도 조절층에 대한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의 합착력이 높아지도록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의 수행 전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평탄도 조절층의 표면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실리콘 재료에 전체 원료 대비 3~5%의 대전방지제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통상의 시트와 달리 실리콘 재질의 물성에 의한 점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장치 혹은 이와 유사한 공정을 진행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연신율을 거의 제로(zero)에 가깝게 최대한 낮출 수 있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주기가 길어 다운 타임(Down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점착 시트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점착 시트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4의 점착 시트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점착 시트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점착 시트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점착 시트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는 기존에 알려진 통상의 시트, 예컨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계열의 점착 시트, 공기 흡착층(Air Pocket) 시트, 기공(Porous) 시트 등과 달리 실리콘 재질의 물성에 의한 점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도 6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혹은 이와 유사한 공정을 진행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는 그 물성적인 특징으로 인해 연신율을 거의 제로(zero)에 가깝게 최대한 낮출 수 있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주기가 길어 다운 타임(Down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는 기재층(101), 강점착성 실리콘층(102),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의 3개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는 기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 계열의 점착 시트, 공기 흡착층(Air Pocket) 시트, 기공(Porous) 시트 등이 갖는 문제점인 점착제 경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리콘 특유의 성질인 내한, 내열, 내수, 절연 등 다양한 성능을 가진 물성으로 제조된 것이 특징이다.
기재층(10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의 골격, 즉 베이스(base)를 이룬다. 따라서, 기재층(101)의 양측에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와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이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101)은 여러 재질로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기재층(101)을 효율이 우수한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으로 적용하고 있다. 기재층(101)의 두께는 60~80㎛, 바람직하게는 70㎛일 수 있다.
참고로, 폴리이미드(PI) 필름은 영하 269℃에서 영상 400℃의 광범위한 온도 대역에서도 녹는점이 없는 특성을 갖는다. 난연성은 UL 94 V-0 등급으로 연소 시 자기소화 특성이 있어 별도의 난연처리가 필요 없는 열안정성이 우수한 고내열 절연 난연성 필름이다.
또한, 폴리이미드(PI) 필름은 내한, 내전압, 내화학, 내방사능, 내마모성등 화학적, 물리적,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다. 때문에, 전기, 전자, IT, 중공업, 자동차, 태양광, 원자력 및 우주항공 등의 열악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 유지가 필요한 모든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 IT 산업의 발달로 점차 고밀도, 소형화, 슬림(SLIM)화 되는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우수한 제품인데, 이러한 폴리이미드(PI) 필름을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의 기재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은 기재층(101)의 일측에 합착되되 보강 판재(110)의 부착면(111)에 부착되는 실리콘층이다.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은 약점착성 실리콘층(103)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갖는다. 따라서,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이 기재층(101)의 일측에 합착되는 데에 큰 문제는 없다.
보강 판재(110)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의 판재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를 지지한다.
참고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보강 판재(110)의 양단부 영역에는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결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는 도 6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를 적용할 때, 도 6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탑재되는 부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의 역할에 대해서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후술한다.
한편,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은 기재층(101)의 타측에 합착되되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laminating face)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즉 도 6 내지 도 13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가 적용될 때, 도 11처럼 점착 시트(100a)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될 수 있는데, 이때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라미네이팅 면을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이 형성한다.
다시 말해,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은 도 6 내지 도 13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라미네이팅할 때,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의 두께가 30~150㎛인 반면,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의 두께가 10~150㎛일 수 있다.
이러한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은 강점착성 실리콘층(102)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이 기재층(101)의 타측에 합착되게 할 때, 점착력이 약해서 합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을 기재층(101)의 타측에 형성시키기 전에, 코로나처리를 하여 합착력이 높아지게 한다.
참고로, 코로나처리는 방전처리기를 사용하여 코로나염을 발생시킴으로써 그 사이로 필름을 통과시켜 표면을 개질하는 방법이다. 이 처리를 함으로써 기재층(101)의 표면이 산화되어 친수성의 정도를 가리키는 물과의 접촉각이 작게 되는 한편,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게 된다.
이처럼 기재층(101)의 표면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가지면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을 이루는 실리콘 재료(실리콘 계열 점착제)와의 접촉면적이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실리콘 재료가 잘 붙으면서 결과적으로 기재층(101)의 타측에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이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은 전술한 것처럼 도 6 내지 도 13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라미네이팅할 때,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다시 말해,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은 실리콘 자체 물성인 점착 성질을 가지고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게 한다. 따라서,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에는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을 형성하는 실리콘 재료(실리콘 계열 점착제)에 전체 원료 대비 3~5%의 대전방지제가 미리 혼합된다. 이처럼 대전방지제가 미리 혼합된 실리콘 재료(실리콘 계열 점착제)를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는 기재층(101)의 타측에 코팅(혹은 도포) 처리함으로써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점착 시트(100a)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기재층(101)을 준비한다(S11). 앞서 기술한 것처럼 기재층(101)은 60~80㎛의 두께를 갖는 폴리이미드(PI) 필름일 수 있다.
다음,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되 보강 판재(110)의 부착면(111)에 부착되는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을 기재층(101)의 일측에 합착시킨다(S12).
그런 다음,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을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을 기재층(101)의 타측에 합착시킨다(S13).
이때, 기재층(101)의 타측에 대한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의 합착력이 높아지도록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S13)의 수행 전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코로나처리를 해서 기재층(101)의 표면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게끔 하며, 이후에 대전방지제가 미리 혼합된 실리콘 재료(실리콘 계열 점착제)를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는 기재층(101)의 타측에 코팅(혹은 도포) 처리함으로써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 시트(100a)를 제조한 후, 도 1 및 도 2처럼 보강 판재(110)에 부착해서 도 6 내지 도 13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통상의 시트와 달리 실리콘 재질의 물성에 의한 점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장치 혹은 이와 유사한 공정을 진행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물성적인 특징으로 인해 연신율을 거의 제로(zero)에 가깝게 최대한 낮출 수 있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주기가 길어 다운 타임(Down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은 방법을 통해 도 4와 같은 구조의 점착 시트(100b)가 제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점착 시트(100b)가 예컨대, 도 6과 같은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b)는 전술한 기재층(101), 강점착성 실리콘층(102), 약점착성 실리콘층(103) 외에 평탄도 조절층(105)과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이 추가되는 형태를 이룬다.
평탄도 조절층(105)은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에 대한 표면 편탄도가 조절될 수 있게 기재층(101)과 약점착성 실리콘층(103) 사이에 개재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점착력이 약한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이 평탄도 조절층(105)에 잘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서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이 형성되는 평탄도 조절층(105)의 표면이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평탄도 조절층(105)은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필름으로 적용되며, 그 두께는 60~80㎛이다.
참고로, 폴리에스터(PET) 필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후성, 내약품성, 내유성, 스트레스 크랙킹성 또한 우수하다. 무독이고, 흡수가 적으며, 유기용제와 약산에도 잘 견딘다. 광투과율은 90%이다. 잘 타지 않으며 잘 늘어나는 성질을 갖는다. 섬유, 필름, 각조보틀, 전자레인지, 드라이어, 다리미, 전기밥솥 등의 여러 기구물에 적용이 가능하다.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은 기재층(101)과 평탄도 조절층(105) 사이에 추가로 개재된다. 이러한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은 기재층(101)과 평탄도 조절층(105) 사이에서 이들을 이격시키면서 연결하는 접착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은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의 재질과 같은 재료와 물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기재층(101)과 평탄도 조절층(105)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하여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의 두께가 10~150㎛일 수 있다.
이하, 도 4의 점착 시트(100b)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기재층(101)을 준비한다(S21). 앞서 기술한 것처럼 기재층(101)은 60~80㎛의 두께를 갖는 폴리이미드(PI) 필름일 수 있다.
다음,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되 보강 판재(110)의 부착면(111)에 부착되는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을 기재층(101)의 일측에 합착시킨다(S22).
그리고는, 다음,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을 기재층(101)의 타측에 합착시킨다(S23).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이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처럼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이 기재층(101)의 타측에 합착되는 데 전혀 문제가 없다.
다음,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의 노출면에 평탄도 조절층(105)을 합착시킨다(S24). 앞서 기술한 것처럼 평탄도 조절층(105)은 60~80㎛의 두께를 갖는 폴리에스터(PET) 필름일 수 있다.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이 강점착성 실리콘층(102)처럼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106)의 노출면에 평탄도 조절층(105)이 합착되는 데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런 다음,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laminating face)를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을 평탄도 조절층(105)의 노출면에 합착시킨다(S25).
이때 역시, 평탄도 조절층(105)에 대한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의 합착력이 높아지도록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S25)의 수행 전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즉 코로나처리를 해서 평탄도 조절층(105)의 표면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게끔 하며, 이후에 대전방지제가 미리 혼합된 실리콘 재료(실리콘 계열 점착제)를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는 평탄도 조절층(105)의 타측에 코팅(혹은 도포) 처리함으로써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 시트(100b)를 제조한 후, 보강 판재(110)에 부착해서 도 6 내지 도 13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통상의 시트와 달리 실리콘 재질의 물성에 의한 점착 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장치 혹은 이와 유사한 공정을 진행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그 물성적인 특징으로 인해 연신율을 거의 제로(zero)에 가깝게 최대한 낮출 수 있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고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주기가 길어 다운 타임(Down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도 1 및 도 2의 점착 시트(100a) 혹은 도 4의 점착 시트(100b)는 보강 판재(110)에 부착된 후,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를 설치해서 도 6 내지 도 13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그러면, 점착 시트(100a,100b)가 기능성 필름을 점착하고 있다가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 시트(100a,100b)가 적용되면 기존의 롤 투 스테이지 방식과 드럼 투 스테이지 방식이 갖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해서 전술한 본 실시예의 점착 시트(100a,100b)가 적용되는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점착 시트(100a,100b)는 도 6 내지 도 13의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고, 혹은 이와 유사한 공정을 진행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점착 시트(100a,100b)가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1 또는 도 4의 점착 시트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점착 시트를 이용한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제어블록도이며, 도 10 내지 도 13은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기능성 필름이란 빛을 최적의 조건으로 투과, 편광시키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 필름(혹은 시트(sheet)), 예컨대 EMI 필름, 프리즘 필름, 보호 필름, 확산 필름, 반사 필름, DBEF, PVA, TAC, OCA, 이형 필름, 보상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편광필름(polarizer film) 등이 될 수 있고, 패널은 터치패널을 비롯하여 TSP, 윈도우(Window)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이들을 구별하지 않고 기능성 필름과 패널이라는 용어를 사용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는 장치 본체(120)와,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점착 시트(100a,100b)와, 점착 시트(100a,100b)를 장치 본체(120)에 탑재시키는 시트 탑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점착 시트(100a,100b)는 도 1 및 도 2, 혹은 도 4의 점착 시트(100a,100b)일 수 있으며, 어떠한 것이 적용되더라고 상관이 없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는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되 점착 시트(100a,100b)를 이용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와, 장치 본체(120)와는 별개로 마련되되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는 워킹 스테이지(190)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외관 구조를 이룬다.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본체 구동부(121)가 마련된다. 본체 구동부(121)는 장치 본체(120) 전체를 승하강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장치 본체(120)는 워킹 스테이지(190)와 분리되어 이격되어 있어서 이들의 간격 조절을 위해 본체 구동부(121)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한 점착 시트(100a,100b)가 장치 본체(120)의 해당 위치에 탑재될 수 있도록 점착 시트(100a,100b)의 양단부에는 점착 시트(100a,100b)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결합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를 매개로 해서 시트 탑재부(130)에 점착 시트(100a,100b)가 탑재될 수 있다.
시트 탑재부(13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점착 시트(100a,100b)가 탑재되는 장소를 이룬다. 전술한 것처럼 점착 시트(100a,100b)의 양단부에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결합하는데, 이러한 제1 및 제2 시트 클램프(116,117)가 시트 탑재부(130)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점착 시트(100a,100b)가 설치, 즉 탑재될 수 있다.
시트 탑재부(13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제1 시트 클램프(116)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장치 본체(120)의 타측에 마련되며, 제2 시트 클램프(117)가 탑재되게 지지하는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점착 시트(100a,100b)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제1 시트 클램프(116)가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에 탑재되고, 점착 시트(100a,100b)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제2 시트 클램프(117)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에 탑재되는 형태로 점착 시트(100a,100b)가 설치될 수 있는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사이에서 늘어지는 점착 시트(100a,100b)를 가이드하기 위해 다수의 시트 아이들 롤러(134)가 마련된다.
다수의 시트 아이들 롤러(134)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사이에 배치되며, 점착 시트(100a,100b)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시트 아이들 롤러(134)는 모두가 무동력 자유 회전롤러로 적용된다.
시트 아이들 롤러(134)들의 작용으로 점착 시트(100a,100b)가 가이드되기는 하지만 기능성 필름의 부착 시 점착 시트(100a,100b)가 패널 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다 보면 점착 시트(100a,100b)의 초기 장력이 틀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시트 장력 유지부(140)가 마련된다.
시트 장력 유지부(140)는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며, 점착 시트(100a,100b)의 장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시트 장력 유지부(140)가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 측에 마련된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다. 즉 시트 장력 유지부(140)는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측에 마련될 수도 있고, 아니면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와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2) 모두에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트 장력 유지부(14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결합하는 슬라이딩 레일(141)과, 슬라이딩 레일(141)에 레일 맞물림되는 레일 블록(143)을 구비하며,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131)에 결합하는 지지대 서포트(142)와, 지지대 서포트(142)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장력 실린더(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장력 실린더(144)가 정해진 가압력으로 지지대 서포트(142)를 가압하거나 당기기 때문에 초기 세팅된 값의 장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가 갖춰진다.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는 시트 탑재부(130)에 이웃하게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며, 점착 시트(100a,100b)에 기능성 필름이 펼쳐진 상태로 점착되도록 한 후, 점착 시트(100a,100b)를 이용해서 패널에 기능성 필름을 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는 기능성 필름을 점착 시트(100a,100b)에 먼저 점착시킨 후, 기능성 필름과 패널을 상호 얼라인시킨 다음, 점착 시트(100a,100b)를 가압함으로써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부착되고 나면 점착 시트(100a,100b)가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 즉 이탈된다.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부(150)는 롤러 지지모듈(155)에 의해 한 몸체로 연결되는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와, 롤러 지지모듈(155)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롤러 지지모듈(155)을 주행시키는 모듈 주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롤러(151)는 점착 시트(100a,100b)의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점착 시트(100a,100b) 상에서 가압 이동되는 롤러이다. 부착 롤러(151)는 회전 이동되면서 점착 시트(100a,100b)를 가압한다. 따라서 점착 시트(100a,100b)의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고, 또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백업 롤러(152)는 부착 롤러(151)에 외접하며, 부착 롤러(151)의 회전을 지지하는 롤러이다. 백업 롤러(152)는 부착 롤러(151)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백업 롤러(152)의 작용으로 인해 부착 롤러(151)가 점착 시트(100a,100b)의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공정이 잘 진행될 수 있게끔 한다.
시트 이탈 롤러(153)는 패널에 기능성 필름의 부착이 완료된 때 기능성 필름에서 점착 시트(100a,100b)가 이탈되도록 하는 기능의 롤러이다. 이러한 시트 이탈 롤러(153)는 부착 롤러(151)보다 높은 위치에서 점착 시트(100a,100b)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처럼 시트 이탈 롤러(153)가 점착 시트(100a,100b)의 하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시트 이탈 롤러(153)를 업(up)시키면 점착 시트(100a,100b)가 기능성 필름에서 박리, 즉 이탈될 수 있다. 물론, 시트 이탈 롤러(153)는 없어도 되는데, 시트 이탈 롤러(153)가 없는 구조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는 롤러 지지모듈(155)에 의해 한 몸체로 지지된다. 따라서 롤러 지지모듈(155)을 업(up)시키면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 역시 함께 업(up)될 수 있고, 롤러 지지모듈(155)을 다운(down)시키면 부착 롤러(151), 백업 롤러(152) 및 시트 이탈 롤러(153) 역시 함께 다운(down)될 수 있다.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는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며, 롤러 지지모듈(155)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는 저마찰 실린더(16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마찰 실린더(161)에는 부착 롤러(151)가 점착 시트(100a,100b)에 가압되는 가압력을 감지하는 로드 셀(162)이 마련된다. 로드 셀(162)의 정보에 의해 컨트롤러(180)가 저마찰 실린더(161)의 힘을 컨트롤함으로써 일정한 압력으로 점착 시트(100a,100b)를 가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점착 시트(100a,100b)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모듈 주행부(170)는 장치 본체(120)에 마련되되 롤러 지지모듈(155) 및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연결되며, 롤러 지지모듈(155)이 워킹 스테이지(190) 상에서 왕복 구동되도록 주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듈 주행부(17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71)와, 모터(171)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볼 스크루(172)와, 볼 스크루(172)에 나사 방식으로 결합하고 일측에서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연결되는 스크루 너트(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모터(171)가 구동되어 볼 스크루(172)가 회전되면 볼 스크루(172) 상에서 이동되는 스크루 너트(173)의 작용으로 인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를 비롯해서 롤러 지지모듈(155) 전체가 워킹 스테이지(190) 상에서 왕복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의 컨트롤을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는 컨트롤러(180)가 갖춰진다. 컨트롤러(180)는 점착 시트(100a,100b)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도록 하거나 패널에 상기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공정조건에 기초하여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와 모듈 주행부(170)의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에는 워킹 스테이지(190)가 마련된다. 워킹 스테이지(190)는 장치 본체(120)의 일측에 배치되며,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는 장소를 형성한다. 워킹 스테이지(190)는 장치 본체(120)와는 다른 별개의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워킹 스테이지(190)에는 스테이지 얼라인부(191)가 결합한다. 스테이지 얼라인부(191)는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 위치 얼라인(align)을 위해 워킹 스테이지(190)의 위치를 X축, Y축, θ축으로 얼라인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스테이지 얼라인부(19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스테이지 얼라인부(191)는 실린더, 모터 및 볼 스크루의 조합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며, 워킹 스테이지(190)의 위치를 얼라인시킴으로써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 위치가 얼라인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 위치 얼라인(align)을 위하여 스테이지 얼라인부(191)를 워킹 스테이지(190)에 적용하고 워킹 스테이지(190)를 얼라인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워킹 스테이지(190)는 고정시키고 기능성 필름 측의 구조를 얼라인시키는 것을 고려해볼 수도 있을 것인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0처럼 워킹 스테이지(190) 상에 기능성 필름이 로딩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다운(down)된다.
이어 도 11처럼 모듈 주행부(170)의 작용으로 롤러 지지모듈(155)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점착 시트(100a,100b)의 약점착성 실리콘층(103)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된다. 점착 시트(100a,100b)에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고 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업(up)된다.
다음, 워킹 스테이지(190) 상에 패널이 로딩되고,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다시 다운(down)된다. 이때, 별도의 비젼(미도시)이 패널과 기능성 필름의 얼라인 마크(align mark)를 촬영하여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상대적인 얼라인을 조정한다. 조정은 워킹 스테이지(190)에 연결된 스테이지 얼라인부(191)를 통해 진행된다.
패널과 기능성 필름 간의 얼라인 조정이 완료되면 도 12처럼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더 다운(down)되어 부착 롤러(151)의 작용으로 기능성 필름이 패널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13처럼 모듈 주행부(170)의 작용으로 롤러 지지모듈(155)이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부착 롤러(151)가 점착 시트(100a,100b)를 가압하는 힘으로 인해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될 수 있게끔 한다. 패널에 기능성 필름이 부착되고 나면 모듈 업/다운 구동부(160)에 의해 롤러 지지모듈(155)이 다시 업(up)되며, 이의 작용으로 인해 점착 시트가 기능성 필름에서 이탈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 시트(100a,100b)를 사용하기 때문에 패널의 부착 효율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종전의 장치들과 달리 연신율을 거의 제로(zero)에 가깝게 최대한 낮출 수 있어 고(高)부착 정도의 제품 대응이 가능해질 수 있으며,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수명이 연장될 수 있어 러닝 코스트(Running Cost)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주기가 길어 다운 타임(Down Time)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a,100b : 점착 시트 101 : 기재층
102 : 강점착성 실리콘층 103 : 약점착성 실리콘층
105 : 평탄도 조절층 106 :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
110 : 보강 판재 111 : 부착면
120 : 장치 본체 130 : 시트 탑재부
131 : 제1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 132 : 제2 클램프 탑재용 지지대

Claims (16)

  1.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측에 합착되되 보강 판재의 부착면에 부착되며,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강점착성 실리콘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측에 합착되되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laminating face)을 형성하며, 상기 강점착성 실리콘층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포함하며,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이 형성되는 상기 기재층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한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은 패널(panel)에 기능성 필름을 라미네이팅할 때, 상기 기능성 필름이 점착되는 장소를 형성하며,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의 두께가 10~150㎛이되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실리콘 재료에 전체 원료 대비 3~5%의 대전방지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점착성 실리콘층의 두께가 30~150㎛이고,
    상기 기재층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이고, 그 두께가 6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에 대한 표면 편탄도가 조절될 수 있게 상기 기재층과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 사이에 개재되는 평탄도 조절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도 조절층은 폴리에스터(polyester; PET) 필름이고, 그 두께가 6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이 형성되는 상기 평탄도 조절층의 표면은 코로나 방전처리에 의한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평탄도 조절층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기재층과 상기 평탄도 조절층을 연결하는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의 재질이 상기 강점착성 실리콘층의 재질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의 두께가 1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11.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단계;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되 보강 판재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강점착성 실리콘층을 상기 기재층의 일측에 합착시키는 강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 및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laminating face)을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상기 기재층의 타측에 합착시키는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층의 타측에 대한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의 합착력이 높아지도록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의 수행 전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기재층의 표면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실리콘 재료에 전체 원료 대비 3~5%의 대전방지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제조방법.
  14.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기재층 준비단계;
    상대적으로 강한 점착력을 제공하되 보강 판재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강점착성 실리콘층을 상기 기재층의 일측에 합착시키는 강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
    상기 강점착성 실리콘층의 재질과 동일하게 적용되는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을 상기 기재층의 타측에 합착시키는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 합착단계;
    상기 연결용 더미 실리콘층의 노출면에 평탄도 조절층을 합착시키는 평탄도 조절층 합착단계; 및
    실질적으로 라미네이팅 면(laminating face)을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약한 점착력을 제공하는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상기 평탄도 조절층의 노출면에 합착시키는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탄도 조절층에 대한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의 합착력이 높아지도록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 합착단계의 수행 전에 코로나 방전처리를 진행하여 상기 평탄도 조절층의 표면이 소정의 표면거칠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제조방법.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점착성 실리콘층을 형성하는 실리콘 재료에 전체 원료 대비 3~5%의 대전방지제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제조방법.
KR1020190100316A 2019-08-16 2019-08-16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82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16A KR102282067B1 (ko) 2019-08-16 2019-08-16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316A KR102282067B1 (ko) 2019-08-16 2019-08-16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09A KR20210020609A (ko) 2021-02-24
KR102282067B1 true KR102282067B1 (ko) 2021-07-29

Family

ID=7468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316A KR102282067B1 (ko) 2019-08-16 2019-08-16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0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651B1 (ko) * 2021-07-27 2024-04-0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3468A (ko) 2003-12-22 2005-06-28 주식회사한맥아이피에스 주차유도 시스템
KR101447311B1 (ko) * 2007-09-20 2014-10-0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시트, 터치패널용 상부전극 및 화상표시장치
KR101317790B1 (ko) * 2011-06-07 2013-10-15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점착척 및 그 제조방법
KR101799255B1 (ko) * 2011-07-22 2017-1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면 접착 시트, 양면 접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장치의 리페어 방법
KR101931336B1 (ko) * 2012-04-16 2018-12-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의 보호필름 부착용 전사필름 및 전사필름을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75796B1 (ko) * 2017-08-31 2019-05-08 주식회사 두산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0032B1 (ko) * 2018-01-31 2019-11-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다층 점착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0609A (ko)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186315A (ja) 薄膜基板の製造方法
US814937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ground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tape
CN104952373A (zh) 显示装置及制造该装置的弯曲装置
JP5837618B2 (ja) 反射シート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反射シート
WO2012001864A1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I812726B (zh) 附黏著劑層之單面保護偏光薄膜、影像顯示裝置及其連續製造方法
US20140342148A1 (en) Glass structures and methods of creating and processing glass structures
KR102282067B1 (ko) 점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6232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20200059959A (ko) 폴더블 백플레이트 필름 및 폴더블 백플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0247B1 (ko) 보호 필름 박리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2035026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KR102035027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2206345B1 (ko) 다관절 로봇식 보호 필름 박리장치
KR102149194B1 (ko) 드럼식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KR101924954B1 (ko) 고수명 내열 완충 시트
KR200419708Y1 (ko) 반도체칩 접착용 보호시트
KR102132436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장치
JP2007310215A (ja) 軟式液晶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WO2018153151A1 (zh) 移载台、贴附装置及其贴附方法
JP2009036894A (ja) 表示パネルのフレキシブル基板剥離装置
KR20060059605A (ko) 가공 기판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장치의제조방법 및 플렉시블 기판 가접합 장치
KR102102136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20150135106A (ko) 적층체의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2093654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