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2034B1 -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 Google Patents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2034B1
KR102282034B1 KR1020180136155A KR20180136155A KR102282034B1 KR 102282034 B1 KR102282034 B1 KR 102282034B1 KR 1020180136155 A KR1020180136155 A KR 1020180136155A KR 20180136155 A KR20180136155 A KR 20180136155A KR 102282034 B1 KR102282034 B1 KR 10228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wall
barrier
unit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079A (ko
Inventor
강예석
현동헌
송주엽
오홍석
김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80136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0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079A/ko
Priority to KR1020210095166A priority patent/KR102304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그 상단이 제방의 표면 높이와 일치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기초구조체와, 상기 기초구조체의 수용공간 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내장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는 차수벽 및 상기 차수벽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은 평수위시에는 차수벽이 지중에 매복되어 도로나 보행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하천 수위가 상승시에는 차수벽이 지상으로 돌출되어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함으로써, 고수부지의 자동차 진입부나 하천 산책로 연결부와 같이 홍수 방어벽의 연결이 어려운 제방 월류 취약 지점에 홍수 방어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LIFTING TYPE FLOODING PROTECTION WALL}
본 발명은 홍수 방어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수위시에는 차수벽이 제방에 매설된 기초구조체 내부에 내장되어 도로나 보행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하천 수위가 상승시에는 차수벽이 기초구조체 내부로부터 상승하여 기초구조체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할 수 있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인근에는 물의 범람시 불어나는 하천수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제방을 설치한다. 하지만, 최근에 급격한 도시화와 이상기후 및 호우 강도가 커짐에 따라 제방의 높이를 최초 설계하였을 때보다 예상 강우량이 많아지게 되어 근래에는 제방에 별도의 홍수 방어벽을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고수부지의 자동차 진입부나 하천 산책로 연결부의 경우 홍수 방어벽 연결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제방 월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방 월류의 취약 지점에 홍수 방어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홍수 방어벽의 설치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수위시에는 차수벽이 지중에 매복되어 도로나 보행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하천 수위가 상승시에는 차수벽이 지상으로 돌출되어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할 수 있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제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그 상단이 제방의 표면 높이와 일치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기초구조체와, 상기 기초구조체의 수용공간 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내장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는 차수벽 및 상기 차수벽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홍수 방어벽에 있어서, 상기 차수 유닛은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과 월류 방어벽 사이에서 월류 방어벽의 연결이 끊어진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수 방어벽은 상기 차수 유닛이 복수 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구조체는 제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2 개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단에는 구비되는 하판 및 상기 측벽의 양쪽 끝에 구비되는 마감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개방형 채널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구조체는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수벽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구조체의 수용공간 내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벽은 평수위시에는 상기 기초구조체 내의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하천 수위가 상승시에는 상기 승하강 장치에 의해 기초구조체내로부터 상승하여 기초구조체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수위의 월류를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수벽은 섬유보강합성수지(FRP, Fiber Reinforced Plastic)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차수 유닛 사이에는 차수벽이 승강시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 틈새의 수밀을 위한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은 지중에 매설되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차수 유닛과 차수 유닛의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며 차수 유닛 외벽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중매설부와, 상기 지중매설부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며 차수벽이 승하강시 차수벽과 함께 승하강하여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를 차폐함으로써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에서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는 서로 나란히 마주하는 차수벽의 단부를 각각 둘러싸며 차수벽과 함께 승하강하는 차수판들과, 상기 차수판들 사이에 설치되어 차수 유닛과 차수 유닛 사이의 틈새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중앙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수판들은 기 설정된 각도(θ)로 서로 경사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수 방어벽은 단일의 차수 유닛으로 구성되되, 상기 단일의 차수 유닛에는 기초구조체의 수용공간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차수벽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속되는 차수벽과 차수벽의 하천을 마주하는 면에는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 틈새의 수밀을 위한 가요성 수밀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요성 수밀포는 그 하단이 납(P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요성 수밀포는 수압에 의해 연속되는 차수벽과 차수벽의 하천을 마주하는 면에 밀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벽이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과 마주하는 면에는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과 차수벽 사이 틈새의 수밀을 위한 에어 튜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하강 장치는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장치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수 방어벽의 상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은, 평수위시에는 차수벽이 지중에 매복되어 도로나 보행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하천 수위가 상승시에는 차수벽이 지상으로 돌출되어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함으로써, 고수부지의 자동차 진입부나 하천 산책로 연결부와 같이 홍수 방어벽의 연결이 어려운 제방 월류 취약 지점의 홍수를 방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평수위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수위상승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수위상승시 차수 유닛과 차수 유닛 사이의 수밀을 위한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브라켓 승하강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수위상승시 단일의 차수 유닛에 설치된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의 수밀을 위한 수밀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은 단수 또는 복수의 차수 유닛(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차수 유닛(100)은 크게 기초구조체(10), 차수벽(20), 및 승하강 장치(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체(10)는 지중에 매설되어 차수벽(20)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제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그 상단이 제방의 표면 높이와 일치하도록 지중에 매설된다. 여기에서 길이 방향이란 하천의 흐름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기초구조체(10)는 2 개의 사각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측벽(1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상기 측벽(11)의 하단에는 하판(12)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11)의 양쪽 단부에는 마감벽(13)이 구비되는 상부 개방형 채널 타입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11), 하판(12) 및 마감벽(13)으로 구획된 내부 공간은 차수벽(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기초구조체 측벽(11)의 내측면에는 차수벽(2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체(10)는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으나 이에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철제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거나 공장에서 제작된 구조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마감벽(13)의 두께는 차수벽(20)과 차수벽(20) 사이의 수밀을 위하여 되도록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20)은 기초구조체(10)의 수용공간 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내장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면서 홍수를 방어하는 부분이다.
도 3은 평수위시 상기 차수벽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수위 상승시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수벽(20)은 평수위시에는 기초구조체(10) 내의 수용공간에 내장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수 유닛(100)이 매설된 장소는 제방 표면의 높이와 일치하게 되어 그 곳으로 차량의 통행이나 사람의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하천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벽(20)이 승하강 장치(30)에 의해 기초구조체(10) 내로부터 상승하여 기초구조체(10)의 상면 위로 돌출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홍수 시에는 제방의 월류를 방지하여 홍수를 방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20)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구조체(10)의 수용공간 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기초구조체(10)의 측벽(11)과 마주하는 차수벽(20)의 외면에는 기초구조체(10)의 가이드 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가이드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가이드 홈의 대응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차수벽(20)은 기초구조체(10)의 수용공간 내외로 흔들림 없이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차수벽(20)은 섬유보강합성수지(FRP, Fiber Reinforced Plastic)로 이루어질 수 있다. FRP는 경량이면서도 완벽한 방수성능을 가지고 있고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물론 상기 차수벽(20)은 FRP 이외에 콘크리트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은 차수 유닛(100)이 복수 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차수 유닛(100) 사이에는 차수벽(20)이 승강시 차수벽(20)과 차수벽(20) 사이 틈새의 수밀을 위한 브라켓(6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수위상승시 차수 유닛(100)과 차수 유닛(100) 사이의 수밀을 위한 브라켓(60)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60)은 지중에 매설되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차수 유닛(100)과 차수 유닛(100)의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며 차수 유닛 외벽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중매설부(61)와, 상기 지중매설부(61)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며 차수벽(20)이 승하강시 차수벽과 함께 승하강하여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를 차폐함으로써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에서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하는 승하강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하강부(62)는 서로 나란히 마주하는 차수벽(20)의 단부를 각각 둘러싸며 차수벽(20)과 함께 승하강하는 차수판들(62a, 62b)과, 상기 차수판들(62a, 62b) 사이에 설치되어 차수 유닛(100)과 차수 유닛(100) 사이의 틈새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중앙 분리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수판(62a, 62b)은 차수벽(20) 상단 일측과 맞닿아, 차수벽(20) 승강시 차수벽(20)과 함께 승강된다. 이 후 차수벽(20) 하강 후에는 작업자가 승강된 브라켓(60)을 지중으로 삽입하여 하강시킨다. 한편, 차수판(62a, 62b)의 중앙에는 중앙 분리판(63)이 구비되어 차수 유닛(100)과 차수 유닛(100) 사이의 틈새를 승하강함으로써 승하강부(62)가 차수 유닛(100)과 차수 유닛(100) 사이를 승하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중매설부(61)는 차수 유닛(100)과 차수 유닛(100)의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는 외벽(61a, 61b)과 지중매설부(61) 내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6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지중매설부(61)의 외벽(61a, 61b)과 차수 유닛(100)의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승하강부(62)가 수용되어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브라켓 승하강부(62)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수판들(62a, 62b)은 θ의 각도로 서로 경사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물론 지중매설부(61)의 외벽(61a, 61b) 역시 차수판들(62a, 62b)의 θ 각도에 맞추어 서로 경사 결합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차수 유닛(100)이 굴곡부에 매설되는 경우 차수 유닛(100)과 차수 유닛(100) 사이의 실제 공간에 맞추어 차수판들(62a, 62b)을 적절한 각도로 현장 제작하여 경사 결합시켜 차수벽(20) 사이를 수밀시킴으로써 굴곡 부위와 같은 홍수 취약 지점의 홍수 방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홍수 방어벽은 단일의 차수 유닛(100)으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의 차수 유닛(100)에는 기초구조체(10)의 수용공간 내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차수벽(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장거리 구간이나 굴곡부에 차수 유닛(100)을 설치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차수벽(20)을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병렬로 연결된 차수벽(20) 사이의 틈이 차수의 취약 지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수위상승시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의 수밀을 위한 수밀포가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연속되는 차수벽(20)과 차수벽(20)의 하천을 마주하는 면에는 차수벽(20)과 차수벽(20) 사이 틈새의 수밀을 위한 가요성 수밀포(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요성 수밀포(40)는 그 하단이 납(P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납은 비중이 11.35로서 매우 무거워 가요성 수밀포(40)가 물에 의해 차수벽(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가요성 수밀포(40)의 재질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차수벽(20)이 기초구조체(10)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가요성 수밀포(40)가 수압에 의해 연속되는 차수벽(20)과 차수벽(20)의 하천을 마주하는 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차수벽(20)과 차수벽(20) 사이 틈새로 물이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차수벽(20) 중에서 최초 차수벽이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C)과 마주하는 면 및 최종 차수벽이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C)과 마주하는 면에는,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C)과 차수벽(20) 사이 틈새의 수밀을 위한 에어 튜브(5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최초 차수벽(20)이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C)과 마주하는 면에는 에어 튜브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 튜브 홈에 공기의 인입에 의해 부피가 달라지는 에어 튜브(50)를 삽입하여 차수벽(20)의 상승시 에어 튜브(50) 내로 공기를 주입해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C)과 차수벽(20) 사이 틈새의 수밀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수벽(20)의 하강시에는 에어 튜브(50) 내의 공기를 배출시켜 에어 튜브(50)가 에어 튜브 홈 내부로 내장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장치(30)는 기초구조체(10)의 수용공간 내에서 차수벽(20)을 승하강시키는 장치로서, 기초구조체(10)의 수용공간 내 차수벽(20)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 장치(30)는 공지의 모든 승하강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구동되는 실린더 타입(3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하강 장치(30)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중앙 통제실에서 제어 유닛(미도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홍수 방어벽(100)의 상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평상시 홍수 방어벽(100)의 기초구조체(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100)에 있어서, 상기 홍수 방어벽(100)은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C)과 월류 방어벽(C) 사이에서 월류 방어벽의 연결이 끊어진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평수위시에는 차수벽(20)이 지중에 매복되어 도로나 보행로의 역할을 담당하고, 하천 수위가 상승시에는 차수벽(20)이 지상으로 돌출되어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함으로써, 고수부지의 자동차 진입부나 하천 산책로 연결부와 같이 월류 방어벽의 연결이 어려운 제방 월류 취약 지점에 홍수 방어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기초구조체 11 : 측벽
12 : 하판 13 : 마감벽
20 : 차수벽 30 : 승하강 장치
31 : 유압 실린더 40 : 차수벽
41 : 차수벽 하단 50 : 에어 튜브
60 : 브라켓 61 : 지중 매설부
61a, 61b : 지중 매설부 외벽 61c : 지중 매설부 측벽
62 : 승하강부 62a, 62b : 차수판
63 : 중앙 분리판 70 : 덮개
100 : 차수 유닛
B : 제방
C : 기 설치 월류 방어벽

Claims (13)

  1. 제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되, 그 상단이 제방의 표면 높이와 일치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며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기초구조체;
    상기 기초구조체의 수용공간 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내장된 상태에서 승하강하는 차수벽; 및
    상기 차수벽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수 유닛이 복수 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차수 유닛은,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과 월류 방어벽 사이에서 월류 방어벽의 연결이 끊어진 장소에 설치되며:
    상기 기초구조체는,
    제방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2 개의 측벽;
    상기 측벽의 하단에는 구비되는 하판; 및
    상기 측벽의 양쪽 끝에 구비되는 마감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개방형 채널 타입이고:
    상기 차수벽은,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구조체의 수용공간 내에 끼워져 결합되어, 평수위시에는 상기 기초구조체 내의 수용공간에 내장되고, 하천 수위가 상승시에는 상기 승하강 장치에 의해 기초구조체내로부터 상승하여 기초구조체의 상면 위로 돌출되어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하는 것이며:
    상기 복수 개의 차수 유닛 사이에는 차수벽이 승강시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 틈새의 수밀을 위한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은,
    지중에 매설되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차수 유닛과 차수 유닛의 마주하는 단부를 둘러싸며 차수 유닛 외벽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중매설부와;
    상기 지중매설부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며 차수벽이 승강시 차수벽과 함께 승강하여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를 차폐함으로써 차수벽과 차수벽 사이에서 하천수의 월류를 방지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하강부는,
    서로 나란하게 인접한 차수벽의 단부를 각각 둘러싸며 차수벽과 함께 승강하는 차수판들과;
    상기 차수판들 사이에 설치되어 차수 유닛과 차수 유닛 사이의 틈새 사이에서 승강하는 중앙 분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차수판들은,
    지중매설부의 외벽들 사이의 굴곡각(θ)에 대응하는 각도(θ)로 서로 경사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구조체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은,
    섬유보강합성수지(FRP, Fiber Reinforced Plasti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벽이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과 마주하는 면에는,
    기 설치된 월류 방어벽과 차수벽 사이 틈새의 수밀을 위한 에어 튜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장치는,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장치는,
    하천의 수위에 따라 제어 유닛에 의해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 방어벽의 상부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KR1020180136155A 2018-11-07 2018-11-07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KR10228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55A KR102282034B1 (ko) 2018-11-07 2018-11-07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KR1020210095166A KR102304842B1 (ko) 2018-11-07 2021-07-20 승하강식 월류 차단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55A KR102282034B1 (ko) 2018-11-07 2018-11-07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166A Division KR102304842B1 (ko) 2018-11-07 2021-07-20 승하강식 월류 차단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079A KR20200053079A (ko) 2020-05-18
KR102282034B1 true KR102282034B1 (ko) 2021-07-28

Family

ID=709129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155A KR102282034B1 (ko) 2018-11-07 2018-11-07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KR1020210095166A KR102304842B1 (ko) 2018-11-07 2021-07-20 승하강식 월류 차단 구조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166A KR102304842B1 (ko) 2018-11-07 2021-07-20 승하강식 월류 차단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82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870B1 (ko) 2023-03-15 2023-06-28 (주)리버앤텍 승하강식 월류방지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1471B (zh) * 2020-11-28 2022-02-01 南京佳乐船舶设备有限公司 自伸缩式钢板桩护岸
CN113152371B (zh) * 2021-04-23 2022-12-27 四川鑫博大园林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垂直止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390168B1 (ko) * 2021-08-04 2022-04-25 주식회사 어스 차수판이 구비된 옹벽
CN113565063A (zh) * 2021-09-14 2021-10-29 江苏雄速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用防洪排水装置
CN114718034B (zh) * 2022-04-19 2024-05-28 扬州大学 一种离散式升降导流墩及其运行方法
CN115233615B (zh) * 2022-09-03 2024-03-29 浙江钱塘江海塘物业管理有限公司 海塘防浪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5928656B (zh) * 2023-01-06 2024-03-26 山东黄河顺成水利水电工程有限公司第八工程处 一种水利工程防汛用挡水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1139A (ja) * 2008-10-27 2010-05-06 Hideki Fujita 防潮装置および防潮構造
KR101051983B1 (ko) * 2011-02-22 2011-07-26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227B1 (ko) * 2000-01-19 2003-01-24 (주)화신엔지니어링 공압식 가동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1139A (ja) * 2008-10-27 2010-05-06 Hideki Fujita 防潮装置および防潮構造
KR101051983B1 (ko) * 2011-02-22 2011-07-26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승하강식 홍수방지용 벽체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870B1 (ko) 2023-03-15 2023-06-28 (주)리버앤텍 승하강식 월류방지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079A (ko) 2020-05-18
KR102304842B1 (ko) 2021-09-27
KR20210094504A (ko)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2034B1 (ko) 리프트형 홍수 방어벽
US104580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rising floodwall system
CN202249014U (zh) 地下车库防洪板
CN109844228A (zh) 用于可伸缩防洪墙系统的方法及系统
JP5936580B2 (ja) ピット式立体駐車場の浸水防止装置
KR100865370B1 (ko) 하천 경관개선용 범람방지장치
JP4134242B2 (ja) 防潮壁
JP5746948B2 (ja) 避難用建物
JP2012255293A (ja) 構造物
EP2354326B1 (en) Anti-flooding device
WO2014119877A1 (ko) 방파벽 기능을 갖는 조립식 높이가변형 차단구조물
KR101359482B1 (ko) 승하강식 다단 홍수 방지벽
KR101143759B1 (ko) 전력맨홀 배수장치
KR102018462B1 (ko) 빗물 차단 시스템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101014377B1 (ko) 교량 엘리베이터 지지용 피트 구조물
KR101351837B1 (ko) 지하도 출입구의 물막이 장치
JP6813823B1 (ja) 堤防
GB2456394A (en) Flood defence system
JP5747300B1 (ja) 溢水防止装置
KR100783119B1 (ko) 부력기능을 갖는 시설물
WO2003042459A1 (fr) Systeme de controle de marees a commande hydraulique
KR101651793B1 (ko) 튜브 수문 모듈
KR100545132B1 (ko) 굴곡진 하천 제방 측면 보강대
KR102650128B1 (ko) 맨홀 뚜껑 개방 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