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754B1 -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754B1
KR102281754B1 KR1020200072118A KR20200072118A KR102281754B1 KR 102281754 B1 KR102281754 B1 KR 102281754B1 KR 1020200072118 A KR1020200072118 A KR 1020200072118A KR 20200072118 A KR20200072118 A KR 20200072118A KR 102281754 B1 KR102281754 B1 KR 102281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module
water
power
dissol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배
김도균
김덕구
Original Assignee
에스지아이티전자(주)
김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아이티전자(주), 김용배 filed Critical 에스지아이티전자(주)
Priority to KR102020007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30H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원자수소를 생성하여 수소수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휴대형 원자수소 생성기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본체부와,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연통되는 하부개방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에 하단이 조립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와 마주보는 본체부의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제어에 따라 수소가 용해된 물의 용존수소량을 측정하는 용존수소센서를 포함하는 휴대형 원자수소 생성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새롭게 생성된 수소수의 용존수소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PORTAB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는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소를 생성하여 수소수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성산소(活性酸素)는 호흡과정에서 몸속으로 들어간 산소가 산화과정에 이용되면서 여러 대사과정에서 생성되어 생체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산화력이 강한 산소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활성산소는 유해산소라고도 하며, 우리가 호흡하는 산소와는 전연 다르게 불안정한 상태로 있는 산소로서, 환경오염과 화학물질, 자외선, 혈액순환장애, 스트레스 등에 의해 산소가 과잉생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과잉 생산된 활성산소는 몸속에서 산화작용을 일으켜서 세포막, DNA, 그 외의 모든 세포 구조를 손상시키고, 손상의 범위에 따라 세포의 기능을 잃게 하거나 몸속의 여러 아미노산을 산화시켜 단백질의 기능 저하를 유발하며, 핵산을 손상시켜 핵산 염기의 변형과 유리, 결합의 절단, 당의 산화분해 등을 일으켜 돌연변이나 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활성산소는 생리적 기능을 저하시켜 각종 질병과 노화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현대인의 질병 중 약 90%가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구체적인 관련 질병으로는 암, 동맥경화증, 당뇨병, 뇌졸중, 심근경색증, 간염, 신장염, 아토피, 파킨슨병, 자외선과 방사선에 의한 질병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질병에 걸리지 않으려면 몸속의 활성산소를 없애주는 것이 최선의 방법인데, 종래에는 몸속의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하기 수소수를 이용하고 있다.
즉, 수소가 풍부하게 포함한 물을 음용하면 각종 질병의 개선, 조기 치료 효과를 얻는 다는 것인데, 이러한 작용은 분자 수소가 체내의 수소 분해 효소에 의해 원자 수소(활성 수소)로 분해되고, 상기 활성 수소가 활성 산소종류들과 차례차례 결합되어 활성 산소들을 제거하면서 물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또한 IT와 같은 산업에서는 초순수(ultra pure water)와 같은 깨끗한 물로 세정을 하여도 제품에 각종 이물질들이 제거가 되지 않아 수소수로 세정을 하면 이물질 제거는 물론 화공약품 저감과 페수 및 대기오염도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생활환경측면에서는 만병의 근원인 활성산소의 제거에는 SOD(활성산소 제거 효소) 관련식품과 비타민C와 같은 것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으나 활성산소에 대한 가장 큰 산화력을 갖는 것이 수소이기 때문에 수소수가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수소수로 목욕을 하면 가려움이 완화되고 피부염증이 개선된다는 연구결과가 이미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수소수 생성장치에 대한 종래의 기술들은 필터의 사용으로 필터교환이 요구되는 불편이 있고, 별도의 용존수소 측정기를 사용해야지만 수소수의 용존수소량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소수의 용존수소량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3129호(2016.07.2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4323호(2016.05.26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08384호(2019.09.24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분해에 의해 분해된 수소와 산소 중 수소를 물이 수용된 용기 본체로 공급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본체부와,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연통되는 하부개방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에 하단이 조립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와 마주보는 본체부의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제어에 따라 수소가 용해된 물의 용존수소량을 측정하는 용존수소센서를 포함하는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새롭게 생성된 수소수의 용존수소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버튼 등을 클릭하는 대신 음성명령을 통해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물병이나 음료수병 등과 같은 통상의 페트병이나 물병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더라도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자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휴대공간이 절약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전극판과 경막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가 전기분해할 물을 본체부(100)에 공급하는 용기부(2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전기분해를 통해 생성된 수소가 용해된 물의 용존수소량을 측정하는 용존수소센서(300)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자수소 생성기는 본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것으로, 케이스(110)와 전기분해모듈(120)과 전원모듈(130) 및 제어모듈(14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전원버튼(150), 바닥판(160), 영상출력모듈(170), 음향인식모듈(180), 음향출력모듈(19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케이스(110)는 본체부(100)의 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에 안착홈(112)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10)는 하부에 전원모듈(130) 및 제어모듈(140)이 내삽될 수 있는 내삽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케이스(110)는 용기부(20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홈(112)의 내주면을 따라 제1 상단나선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상단나선부(114)는 용기부(200)의 하단에 형성된 나선부에 대응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용기부(200)의 나선부가 용기부(200) 하단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면 상기 제1 상단나선부(114)는 케이스(110) 상단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용기부(200)의 나선부가 용기부(200) 하단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면 제1 상단나선부(114)는 케이스(110) 상단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10)는 용기부(200) 대신 시중에서 유통되는 PET병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 PET병의 주둥이를 결합되는 제2 상단나선부(미도시)가 안착홈(112)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홈(112)의 중앙에는 상기 주둥이를 내삽시킬 수 있는 관형 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관형 소켓의 내주면을 따라 제2 상단나선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전기분해모듈(120)은 용기부(200)에 수용된 물이 접촉될 수 있도록 용기부(200)에 마주보는 본체부(100)의 안착홈(112)에 구비되는 것으로, 용기부(200)에 수용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분해모듈(120)은 제1 전극판(122)과 제2 전극판(124) 및 격막판(1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판(122)은 -전극을 갖는 전극판으로, 케이스(110)에 내삽된 전원모듈(130) 및 제어모듈(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전극판(122)은 그 일측 단부에 제어모듈(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돌출형 단자대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전극판(124)은 제1 전극판(122)의 하부에 구비되며 +전극을 갖는 전극판으로, 케이스(110)에 내삽된 전원모듈(130) 및 제어모듈(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2 전극판(124)은 그 일측 단부에 제어모듈(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돌출형 단자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전극판(122)과 제2 전극판(124)은 박판 형태의 평판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며, 면상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전기분해를 위한 경막판으로의 물의 유입이 원활하도록 진행된다. 이때, 제1 전극판(122) 및 제2 전극판(124)에 다수개의 통공(미세구멍)이 있는 것은 물이 전기분해 될 수 있도록 유입된 후 수소, 산소로 분해 시 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2 전극판(124)의 +전극에 의해 발생된 산소는 케이스(110) 외측으로 방출되도록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제2 전극판(124)의 하부측 산소 발생존과 연통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막판(126)은 상기 제1 전극판(122)과 제2 전극판(124)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전극과 +전극의 절연을 확보하면서 전원인가 시 물의 전기분해를 발생시키기 위해 이온성 폴리머 금속 복합체의 양이온 교환막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막판은 외주면 테두리를 제외한 상하부 표면에 도전성 보강용 금속 피막이 코팅될 수 있다. 이때, 경막판의 표면 중 -전극인 제1 전극판(122)에 접촉되는 표면에는 백금 성분이 코팅되며, +전극인 제2 전극판(124)에 접촉되는 표면에는 이리듐 성분이 코팅될 수 있다. 이는, 절연성 경막판에 대한 단면적 저항값이 감소되어 수소 생성속도와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전기분해성능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수지재인 경막판을 사이에 두고 전기분해를 일으키는 제1,2 전극판(122,124)의 표면에 도전성이 증가하도록 백금과 이리듐을 코팅함으로써, 전기분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수소 발생량이 증가된다.
또한, 제1,2 전극판(122,124)의 표면에 코팅된 백금과 이리듐에는 전기적 특성을 강화하도록 탄소 성분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조원가 대비 도전성이 개선됨은 물론 전기적 분해효율이 향상되도록 제1 전극판(122)은 백금이 도금된 티타늄 소재로 구성되고, 제2 전극판(124)은 이리듐이 도금된 티타늄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0)에는 전기분해모듈(120)이 안착홈(112)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112)에 지지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은 제1 전극판(122)과 제2 전극판(124)을 지지하면서 안착홈(112)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메인프레임(116)과, 상기 메인프레임 및 전기분해모듈(12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안착홈(112)에 구비되어 제1 전극판(122)과 제2 전극판(124)을 처짐을 방지하는 지지기둥(1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전원모듈(130)은 상기 케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분해모듈(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는 교환식 또는 충전식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모듈(130)은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전기분해모듈(120)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기분해모듈(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전원버튼(150)은 케이스(110)의 일면에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의 터치나 가압력에 따라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모듈(140)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전원버튼(150)은 제어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제어모듈(140)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인쇄회로기판(PCB) 등으로 구성되어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전원버튼(150)으로부터 수소생성을 요청하는 온(ON)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전기분해모듈(1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모듈(13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전원버튼(150)으로부터 수소생성의 중지를 요청하는 오프(OFF)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전원분해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모듈(13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듈(140)은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전기분해모듈(120)로의 전원공급이 완료되면, 용존수소센서(300)가 용존수소량을 측정하도록 용존수소센서(3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모듈(140)은 용존수소센서(300)로부터 용존수소량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용존수소량 정보를 후술하는 영상출력모듈(170)로 전송한다.
필요에 따라, 제어모듈(140)은 케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원모듈(130)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류공급단자(14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바닥판(160)은 케이스(110)의 하부에 형성된 내삽홈을 외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도록 내삽홈을 커버하는 것으로, 케이스(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110)의 내삽홈에는 하단나선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160)에는 하단나선부에 조립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테두리나선부(16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영상출력모듈(170)은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용존수소센서(300)에 의해 측정된 용존수소량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LCD 액정이나 AMOLED 액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출력모듈(170)은 케이스(110)에 설치되고, 도 3과 같이 제어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모듈(140)로부터 수신된 용존수소량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음향인식모듈(18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음성정보를 제어모듈(140)로 제공한다. 이때, 제어모듈(140)은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음성정보에 따라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모듈(140)은 수소 생성의 요청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포함된 시작단어 리스트를 저장하고, 음성정보에 '수소수 생성' 등과 같이 수소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어가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전기분해모듈(12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모듈(130)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모듈(140)은 수소 생성의 정지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포함된 정지단어 리스트를 저장하고, 음성정보에 '정지', '중단', '멈춰' 등과 같이 수소 생성의 정지를 요청하는 단어가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전원분해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모듈(130)을 제어한다.
상기 음향인식모듈(180)로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음성인식모듈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음향인식모듈(180)은 케이스(110)에 설치되며 도 3과 같이 제어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100)를 구성하는 음향출력모듈(190)은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제어모듈(140)에 의해 생성된 수소수의 생성완료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제어모듈(140)로부터 제공된 생성완료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출력모듈(190)은 케이스(110)에 설치되고, 도 3과 같이 제어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음향출력모듈(190)로는 스피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소수 생성기의 동작을 주시하고 있지 않더라도 수소수의 생성이 완료된 시점을 음향을 통해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는 용기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20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에 연통되는 하부개방구가 구비되는 것으로, 그 하단이 본체부(100)에 선택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부(200)는 상단이 밀폐되고 하단이 개방된 통 형상의 용기몸체(210)만으로 구성되거나, 상하단이 개방된 통 형상의 용기몸체(210)와 상기 용기몸체(210)의 개방된 상단에 착탈되면서 용기몸체(2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마개(2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몸체(21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본체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본체부(100)에 설치된 전기분해모듈(120)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전기분해모듈(120)에 의해 생성된 수소가 물에 용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용기몸체(210)의 하단에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내삽되어 본체부(100)의 제1 상단나선부(114)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부나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몸체(210)의 상단에는 마개(220)의 하부에 내삽되어 마개(220)에 조립될 수 있도록 상부나선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부(200)는 하부나선부(212)와 제1 상단나선부(114)의 결합을 통해 본체부(100)의 상부에 조립되면서 본체부(100)의 안착홈(112)에 연통된다.
상기 마개(220)는 용기몸체(210)의 상부나선부(214)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부나선부(214)에 대응되는 조립나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상단나선부(114), 제2 상단나선부, 하단나선부, 상부나선부(214), 하부나선부(212), 조립나선부는 조립관계에 따라 나사산이나 나사홈 중 어느 한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소수 생성기는 용존수소센서(300)를 포함한다.
상기 용존수소센서(300)는 용기부(200)와 마주보는 본체부(10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제어에 따라 수소가 용해된 물의 용존수소량을 측정하며, 측정된 용존수소량의 정보를 본체부(100), 예컨대 제어모듈(140)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존수소센서(300)는 일단이 케이스에 내삽되어 제어모듈(140)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에 대향되는 타단이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안착홈(11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용존수소센서(300)는 그 타단이 안착홈(112)에 조립된 용기몸체(210)의 하단에 내삽되어 용기몸체(21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용존수소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존수소센서(300)는 수소수의 최종 용존수소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어모듈(140)의 제어에 따라 전기분해모듈(120)의 동작이 정지된 후 수소가 용해된 물의 용존수소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용존수소센서(300)는 시중에서 판매되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케이스
112 : 안착홈 114 : 제1 상단나선부
120 : 전기분해모듈 122 : 제1 전극판
124 : 제2 전극판 126 : 격막판
130 : 전원모듈 140 : 제어모듈
142 : 전류공급단자 150 : 전원버튼
160 : 바닥판 162 : 테두리나선부
170 : 영상출력모듈 180 : 음향인식모듈
190 : 음향출력모듈 200 : 용기부
210 : 용기몸체 212 : 하부나선부
214 : 상부나선부 220 : 마개
300 : 용존수소센서

Claims (5)

  1.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본체부;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연통되는 하부개방구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에 하단이 조립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와 마주보는 본체부의 표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제어에 따라 수소가 용해된 물의 용존수소량을 측정하는 용존수소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안착홈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수소를 생성하는 전기분해모듈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전기분해모듈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과,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음성정보를 제어모듈로 제공하는 음성인식모듈, 및 상기 음성정보에 따라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전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상기 전기분해모듈로의 전원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용존수소센서가 용존수소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분해모듈은 상기 전원모듈 및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을 가지며 일측 단부에 돌출형 단자대가 구비된 제1 전극판과, 전원모듈 및 제어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극을 가지며 일측 단부에 돌출형 단자대가 구비된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의 사이에 구비되고 -전극과 +전극의 절연을 확보하면서 전원인가 시 물의 전기분해를 발생시키기 위해 양이온 교환막으로 형성된 격막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수소 생성의 요청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포함된 시작단어 리스트와 수소 생성의 정지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포함된 정지단어 리스트를 저장하고, 상기 음성정보에 수소의 생성을 요청하는 단어가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미리 지정된 시간동안 전기분해모듈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음성정보에 수소 생성의 정지를 요청하는 단어가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되면 전원분해모듈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전원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격막판은 외주면 테두리를 제외한 상하부 표면에 도전성 보강용 금속 피막이 코팅되고, 상기 금속피막은 단면적 저항값이 감소되어 수소 생성속도와 발생량을 증가시키는 전기분해성능이 개선되도록 제1 전극판에 접촉되는 표면에 백금 성분이 코팅된 금속피막, 및 제2 전극판에 접촉되는 표면에 이리듐 성분이 코팅된 금속피막으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안착홈의 중앙에 페트병의 주둥이를 내삽시킬 수 있는 관형 소켓이 구비되며, 상기 관형 소켓의 내주면에 페트병의 주둥이와 결합될 수 있는 제2 상단나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용존수소센서에 의해 측정된 용존수소량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에 따라 수소수의 생성완료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음향출력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KR1020200072118A 2020-06-15 2020-06-15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KR102281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18A KR102281754B1 (ko) 2020-06-15 2020-06-15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118A KR102281754B1 (ko) 2020-06-15 2020-06-15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754B1 true KR102281754B1 (ko) 2021-07-27

Family

ID=7712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118A KR102281754B1 (ko) 2020-06-15 2020-06-15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7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40872A1 (fr) * 2022-10-18 2024-04-19 Weo Llc. Bouteille d’eau comprenant un dispositif d’augmentation des fonctions de l’eau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99A (ko) * 2002-12-20 2004-06-26 권호용 전기분해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기분해수 생성장치,이온수기 및 용존산소 정수기
KR101624323B1 (ko) 2014-05-02 2016-05-26 (주)기성 호환 가능한 수소수 제조장치
KR101643129B1 (ko) 2015-02-04 2016-07-27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휴대용 수소수기
KR20180103420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파이노 기능수 생성모듈 및 기능수 생성기기
KR101910883B1 (ko) * 2017-06-07 2018-12-20 심영택 용존수소 농도측정기 및 용존수소 농도측정 방법
KR20190108384A (ko) 2018-03-14 2019-09-24 이평호 수소수 발생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5199A (ko) * 2002-12-20 2004-06-26 권호용 전기분해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기분해수 생성장치,이온수기 및 용존산소 정수기
KR101624323B1 (ko) 2014-05-02 2016-05-26 (주)기성 호환 가능한 수소수 제조장치
KR101643129B1 (ko) 2015-02-04 2016-07-27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휴대용 수소수기
KR20180103420A (ko) * 2017-03-10 2018-09-19 주식회사 파이노 기능수 생성모듈 및 기능수 생성기기
KR101910883B1 (ko) * 2017-06-07 2018-12-20 심영택 용존수소 농도측정기 및 용존수소 농도측정 방법
KR20190108384A (ko) 2018-03-14 2019-09-24 이평호 수소수 발생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40872A1 (fr) * 2022-10-18 2024-04-19 Weo Llc. Bouteille d’eau comprenant un dispositif d’augmentation des fonctions de l’eau
WO2024084392A1 (fr) * 2022-10-18 2024-04-25 Weo LLC Bouteille d'eau comprenant un dispositif d'augmentation des fonctions de l'eau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2234C2 (ru) Электролизная ванна для кислой воды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ислой воды
JP5827418B2 (ja) 水素水製造装置
US8329024B2 (en) Electrochemical device and method for long-term measurement of hypohalites
KR102281754B1 (ko) 휴대형 수소수 생성기
CN104257201A (zh) 一种便携式富氢水杯
KR101732659B1 (ko) 가역 고분자전해질막 연료전지를 이용한 기능수 제조장치
US20060196767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lysis water
JPH01156487A (ja) 複極式急速パスの次亜塩素酸塩電解発生器
KR200403522Y1 (ko) 포터블 살균수 생성기
JP4373984B2 (ja) ハイブリッド・オゾン水生成装置
KR20170136121A (ko) 물 저장용기를 가지는 미스트 발생장치
FR2851560B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desinfection electrochimique des eaux
CN112439082A (zh) 一种浓度检测电路、消毒液制造机及其控制方法
KR100539106B1 (ko) 환원수 생성기
CN204245801U (zh) 一种便携式富氢水杯
JP2009050774A (ja) 水処理装置
JPH0933479A (ja) センサカバー及びこれを用いた電解水生成装置
CN108557961A (zh) 一种用于电解水的电极装置
JP2003034889A (ja) 強電解水生成装置の電解方法
KR101891161B1 (ko) 전기분해 살균·환원수 제조장치
JP4291320B2 (ja) オゾン水生成装置
CN208916882U (zh) 一种用于电解水的电极装置
JPH11319829A (ja) アルカリイオン整水装置
TWM582508U (zh) Non-diaphragm hypochlorous acid water making machine
JPH10174971A (ja) 電解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