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593B1 -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593B1
KR102279593B1 KR1020210008210A KR20210008210A KR102279593B1 KR 102279593 B1 KR102279593 B1 KR 102279593B1 KR 1020210008210 A KR1020210008210 A KR 1020210008210A KR 20210008210 A KR20210008210 A KR 20210008210A KR 102279593 B1 KR102279593 B1 KR 102279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cage
transport
transfer
mar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김식
Original Assignee
김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연 filed Critical 김도연
Priority to KR102021000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8Loading ramps; Loading docks
    • B65G69/287Constructional features of deck or sur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8/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he permanent way of railways; 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tramway rails
    • E01H8/1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ails, flange grooves, or the like railway parts, e.g. removing ice from contact rails, removing mud from flange groo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42Persons or animals, dead or al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축을 가둔 채 이송시키기 위한 가두리 케이지; 및 가축의 수송차량으로부터 상기 가두리 케이지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유도장치;를 포함하되, 이동유도장치는, 수송차량의 후위에 수송차량들이 배차되는 방향으로 시설되는 이송레일; 내부에 가두리 케이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전동방식에 의해 이송레일을 따라 구름되는 전동바퀴가 마련된 좌우 이송프레임; 좌우 이송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채, 수송차량의 수송칸 내의 가축을 가두리 케이지로 유도하거나 또는 가두리 케이지 내의 가축을 수송칸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유도부재는, 좌우 이송프레임의 상측에 전동방식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채, 전진시에는 수송차량의 수송칸 내부 상측으로 진입되고, 후진시에는 가두리 케이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채, 수송칸 내의 가축 또는 가두리 케이지 내의 가축을 채찍질 하면서 가축의 이동을 재촉하는 채찍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Livestock transfer apparatus in livestock market and livestock transfer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가축(경매)시장에서 가축을 이송차량 내로 안전하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수송차량 내의 가축을 가두리 케이지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에 관련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개시하지 않는 한, 이 섹션에서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되었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단정해서는 안된다라는 점을 미리 전제한다.
우(于)시장은 소(송아지)를 사고파는 시장을 일컫는데, 현행 우시장은 이송차량에 의해 이송되어온 소를 끌어 내리고 고삐를 강압적으로 잡아 당겨서 계류장으로 끌고간 후 계류대에 묶어놓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저항하는 소에 의해 작업자가 다칠 수 있고, 소가 저항하는 과정에서 넘어져 다침에 따라 상품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소를 강압적으로 끌어내리거나 완력으로 고삐를 잡아당겨서 이동시킴에 따라 소에게 심한 스트레스를 주게 됨으로써 동물학대의 우려도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축시장에서 소, 돼지 등 가축의 이동시 가축이나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하고, 가축을 완력으로 하차시키거나 이동시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가축이 받는 스트레스를 경감시켜줄 수 있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가축이송장치를 이용하는 가축이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은,
가축을 가둔 채 이송시키기 위한 가두리 케이지; 및 가축의 수송차량으로부터 상기 가두리 케이지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유도장치;를 포함하되, 이동유도장치는, 수송차량의 후위에 수송차량들이 배차되는 방향으로 시설되는 이송레일; 내부에 가두리 케이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전동방식에 의해 이송레일을 따라 구름되는 전동바퀴가 마련된 좌우 이송프레임; 좌우 이송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채, 수송차량의 수송칸 내의 가축을 가두리 케이지로 유도하거나 또는 가두리 케이지 내의 가축을 수송칸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유도부재는, 좌우 이송프레임의 상측에 전동방식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채, 전진시에는 수송차량의 수송칸 내부 상측으로 진입되고, 후진시에는 가두리 케이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채, 수송칸 내의 가축 또는 가두리 케이지 내의 가축을 채찍질 하면서 가축의 이동을 재촉하는 채찍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가두리 케이지는,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 양 측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 및 전후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출입문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과 출입문은 원형파이프를 절곡 성형하여 모서리 없는 형태로 제작된 것 포함하며, 바닥판 저부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마련되고, 지게차의 들어갈 수 있는 포크 유입부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출입문에는 가축의 고유번호, 이력, 몸무게가 기록된 엘이디 전광판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채찍부재는, 슬라이딩 프레임에 수평 설치되는 수평지지바; 수평지지바에 지지된 채, 모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축의 후위를 채찍질 함과 아울러 길이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수평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회전바;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수직회전바에는 정전기 발생기가 설치되되, 정전기 발생기는 선택적으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바람직하게, 좌우 이송프레임의 하부에는 바닥판이 마련되고, 바닥판에 올려지는 가두리 케이지 및 가축의 무게를 계량하는 저울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좌우 이송프레임의 전동바퀴 외향측에는, 좌우 이송프레임의 이송에 따라 상기 이송레일 상의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가축이송장치를 이용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 이송방법으로, 수송차량의 수송칸에 실려 있는 가축을 가두리 케이지로 이송시킬 때는, 이동유도장치의 좌우 이송프레임이 전동바퀴의 동력에 의해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정차된 수송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단계; 가축시장의 계류장에 비치되어 있는 빈 가두리 케이지를 지게차 또는 인력에 의해 수송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좌우 이송프레임의 수납공간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유도부재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전후진 전동부재에 의해 가축이 실려 있는 수송차량의 수송칸 내부로 전진시키는 단계; 및 슬라이딩 프레임을 전후진 전동부재에 의해 후진시킴과 함께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된 채찍부재를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축의 엉덩이 부위를 채찍질함으로써 가축을 수송칸에서 가두리 케이지로 강제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가두리 케이지의 가축을 수송차량의 수송칸으로 이송시킬 때는, 이동유도장치의 좌우 이송프레임이 전동바퀴의 동력에 의해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정차된 수송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단계; 가축시장의 계류장에 계류되어 있던 가축이 들어 있는 가두리 케이지를 지게차 또는 인력에 의해 수송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좌우 이송프레임의 수납 공간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유도부재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전후진 전동부재에 의해 가축이 들어가 있는 가두리 케이지로 후진시키는 단계; 및 슬라이딩 프레임을 전후진 동작부재에 의해 전진 동작시킴과 함께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된 채찍부재를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서 가축의 엉덩이 부위를 채찍질함으로써 가축을 가두리 케이지에서 수송칸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가축이상에서의 가축이송방법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현행 가축시장에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가축의 상하차 작업을 자동화함으로써 가축 및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축을 완력으로 고삐를 잡아당기거나 강한 채찍질을 가하지 않고 최대한 절제된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가축을 이동시킴에 따라 가축에게 심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므로 동물학대에 대한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이송장치가 적용된 가축시장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케이지의 상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유도장치에 대한 상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유도장치에서 슬라이딩 프레임이 전진된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유도장치에서 슬라이딩 프레임이 후진된 상태도
도 5는 도 4a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이송방법에 대한 흐름도 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이송방법에 대한 흐름도 2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하부", "전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이송장치가 적용된 가축시장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 케이지의 상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유도장치에 대한 상세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유도장치에서 슬라이딩 프레임이 전진된 상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유도장치에서 슬라이딩 프레임이 후진된 상태도, 도 5는 도 4a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이송방법에 대한 흐름도 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이송방법에 대한 흐름도 2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축시장(1)에서의 가축이송장치(100)는 가두리 케이지(200) 및 이동유도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두리 케이지(200)는 수송차량(3)으로부터 하차된 가축(소, 돼지 등)을 가둔 채, 가축시장에 마련된 다수의 계류장(2)으로 안전하게 이송하여 배치하거나, 반대로 계류장(2)으로부터 수송차량(3)으로 상차하기 위해 가축을 안전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두리 케이지(200)는 도 2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210)과,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220)과, 전후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출입문(2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두리 케이지(200)의 바닥판(210) 저부에는 작업자에 의한 수동이동을 위하여 캐스터(21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지게차(4)에 의한 이송을 위하여 포크가 들어갈 수 있는 포크 유입부(212)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포크 유입부(212)는 바닥판(210)을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서, 바닥판(210)의 저면으로 포크가 유입되도록 하는 이격다리(213)가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가두리 케이지(200)에는 가축의 고유번호, 이력, 몸무게 등이 출력되는 엘이디 전광판(214)이 설치될 수 있다. 엘이디 전광판(214)의 설치위치는 눈에 잘 뛰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문(230)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출입문(230)은 가축이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좌,우 양문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밀고 들어가기가 편리한 여닫이문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 프레임(220)과 출입문(230)은 가축이 다치지 않도록 모서리가 없는 원형파이프를 절곡 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가두리 케이지(200)는 가축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를 다르게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미소는 상대적으로 몸이 크므로 어미소용 가두리 케이지는 가로×세로×높이가 2500×1000×1500(mm)의 크기로 제작할 수 있고, 송아지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몸집이 작으므로 송아지용 가두리 케이지는 가로×세로×높이가 2000×700×1200(mm)으로 각각 구별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두리 케이지(200)의 크기가 다른 경우, 육안상으로는 그 크기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크기별로 서로 다른 색상으로 제작하거나, 별도의 표식을 부착하여 육안구별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이동유도장치(300)는 도 3, 4a 및 4b에 상세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 케이지(200)를 특정 수송차량(3)의 후위에 위치시키기 위한 가이더의 역할을 함과 함께, 가축을 수송차량(3)에서 가두리 케이지(200)로, 또는 가두리 케이지에서 수송차량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송레일(310), 좌우 이송프레임(320) 및 유도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레일(310)은 수송차량(3)의 후위에 수송차량들이 배차된 방향으로 시설되어, 좌우 이송프레임(320)이 특정 수송차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송레일(310)은 가두리 케이지(200) 및 작업자의 이동시 걸림턱이 되지 않도록 설치 바닥면에 매립형으로 시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우 이송프레임(320)은 이송레일 상에 설치된 채, 이송레일을 따라 이송하면서 수송차량(3)에서 가두리 케이지(200)로, 또는 가두리 케이지에서 수송차량으로 가축을 안전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프레임(321)과, 상부프레임의 하부 모서리에 설치되는 다리프레임(3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좌우 이송프레임(320)의 전방에는, 개방에 의해 수송차량(3)의 수송칸(3a)과 좌우 이송프레임 사이의 이격된 측면공간을 차폐함으로써, 가축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양문형의 개폐도어(323)가 설치될 수 있다.
좌우 이송프레임(320)의 전방 하부에는 받침판(324)이 설치될 수 있다. 받침판(324)은 수송차량(3)의 수송칸(3a) 뒷문을 열였을 때 이의 받침대 역할을 함과 아울러 가축이 수송칸에서 가두리 케이지(200)로 건너갈 수 있도록 브릿지(bridge)역할도 한다.
다리프레임(322)의 하단에는 전동방식에 의해 이송레일(310)을 따라 자동으로 구름동작되는 전동바퀴(325)가 설치될 수 있으며, 4개의 다리프레임(322) 내부 영역에는 가두리 케이지(2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326)이 마련될 수 있다.
전동바퀴(325)는 각 모터(M)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며, 각 모터(M)는 제어반(400)에 의해 온/오프 및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구동방향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좌우 이송프레임(320)의 전동바퀴(325) 외향측에는, 좌우 이송프레임(320)의 이송에 따라 이송레일(310) 상의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327)가 설치될 수 있다. 가축시장의 환경상 바닥에 이물질과 배설물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송레일(310) 상에 이것들이 존재할 경우 좌우 이송프레임(320)의 원활한 이송에 방해가 되고, 탈선의 우려도 있으므로 이를 제거해야 한다. 스크레이퍼(327)는 이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좌우 이송프레임(320)의 하부에는 바닥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또한, 바닥판에 올려지는 가두리 케이지(200) 및 가축의 무게를 계량하기 위한 전자식 저울(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울에 계량된 총 중량에서 가두리 케이지(200)의 중량을 빼면 목적하는 가축의 중량이 도출되며, 이렇게 도출된 가축의 중량은 엘이디 전광판(214)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유도부재(330)는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좌우 이송프레임(320)의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진시에는 그 전방이 수송차량(3)의 수송칸(3a) 상측으로 진입될 수 있고, 후진시에는 그 후방이 가두리 케이지(200)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프레임(331)과,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방 하측 및 후방 하측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채, 수송칸(3a) 내의 가축 또는 가두리 케이지(200) 내의 가축을 채찍질 하면서 가축의 이동을 재촉하는 채찍부재(33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 이송프레임(320)은 전후진 전동부재(34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는데, 전후진 전동부재(340)는 예를 들어, 좌우 이송프레임(320)에 설치되는 모터(341)와, 모터의 축에 직결되는 구동 체인기어(342)와, 구동 체인기어와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제1 종동 체인기어(미도시)와, 제1 종동 체인기어에 동축상으로 연결되는 제2 종동 체인기어(343)와, 제2 종동 체인기어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아이들 체인기어(344)와, 일단은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측 전방에 타단은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측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중앙부위는 제2 종동 체인기어(343)의 상측과 아이들 체인기어(344)의 하부에 치합되는 전후진용 체인(34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시키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고, 모터와 기어에 의해 전후진 시키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채찍부재(332)는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프레임(331)에 회전 구동수단(33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지지바(332-2)와, 길이방향 이송수단에 의해 수평 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채 채찍 역할을 하는 수직 회전바(332-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채찍부재(332)는 수평 지지바(332-2)의 전후 회전에 의해 수직 회전바(332-3)가 함께 회전되면서 가축의 엉덩이 부위를 반복적으로 약한 타격을 가함으로써 이동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회전 구동수단(332-1)은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프레임(331)에 설치되는 정역 회전모터(332-1a)와, 정역 회전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 체인기어(332-1b)와, 수평 지지바(332-2)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종동 체인기어(332-1c)와, 구동 체인기어(332-1b)와 제1 종동 체인기어(332-1c)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체인(332-1d)과, 제1 종동 체인기어(332-1c)와 동축상으로 결합되는 제2 종동 체인기어(332-1e)와, 제2 종동 체인기어와 제2 체인(332-1g)에 의해 연결되는 제3 종동 체인기어(332-1f)로 구성될 수 있으며, 최종의 출력부인 제2 종동 체인기어(332-1f)는 수평 지지바(332-2)와 연결된다.
또한, 길이방향 이동수단(미도시)은 수직 회전바(332-3)를 가축의 몸집에 맞게 위치를 이동시켜서 정확한 위치에서 채찍질을 하기 위한 용도로서, 예를 들어, 리니어모터, 체인 및 체인기어, 래크와 피니언기어 중 어느 하나를 취사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수직 회전바(332-3)의 외부에는 가죽에 의해 감싸여진 형태로 구성하여, 가축에 타격을 가하였을 때 타격통증이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수평 지지바(332-2) 및 수직 회전바(332-3)를 사출에 의해 성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수직 회전바(332-3)의 외면에 보다 강한 자극을 가하기 위하여 자극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 한편, 수직 회전바(332-3)에는 정전기 발생기(미도시)가 부설될 수 있다. 정전기 발생기는 강하게 저항하는 가축에 한하여 정전기 충격을 가해 줌으로써 이동하지 않고 버티는 가축을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정전기 발생기는 그 구성을 특정하지 않으며,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수직 회전바(332-3)에는 발광체(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발광체는 가축에게 빛을 비추어서 소몰이를 하기 위한 것으로, 정전기 발생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발광체는 전기전원에 의해 발광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교환식 배터리에 의해 발광될 수도 있다.
한편, 채찍부재(332)는,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수평 지지바(332-2)는 회전되지 않고 지지대의 역할을 하고, 수직 회전바(332-3)가 모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축의 후위를 채찍질 함과 아울러 상기한 길이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수평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가축이송장치(100)를 이용하는 가축이송방법을 설명한다.
- 가축을 승차시키는 방법(도 6 참조)
1 단계로, 이동유도장치(300)의 좌우 이송프레임(320)을 이송레일(310)을 따라 이동시켜서 정차된 수송차량(3)의 후방에 위치토록 한다(S100).
2 단계로, 가축시장의 계류장(2)에 비치되어 있던 빈 가두리 케이지(200)를 지게차(4) 또는 인력에 의해 수송차량(3)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좌우 이송프레임(320)의 수납공간(326) 내로 이동시킨다(S200)
3 단계로, 유도부재(330)의 슬라이딩 프레임(331)을, 가축이 실려 있는 수송차량(3)의 수송칸(3a) 내부로 전진 동작시킨다(S300).
4 단계로, 슬라이딩 프레임(331)을 후진 동작시키면서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된 채찍부재(332)에 의해 가축을 채찍질 하면서 수송칸(3a)으로부터 가두리 케이지(200)로 이동시킨다(S400).
5 단계로, 가축이 들어가 있는 상기 가두리 케이지(200)를 지게차 또는 인력에 의해 계류장(2)으로 이동시킨다(S500).
- 가축을 하차시키는 방법(도 7 참조)
1 단계로, 이동유도장치(300)의 좌우 이송프레임(320)을 이송레일(310)을 따라 이동시켜서 정차된 수송차량(3)의 후방에 위치시킨다(S100).
2 단계로, 가축시장의 계류장(2)에 계류되어 있던 가축이 들어 있는 가두리 케이지(200)를 지게차 또는 인력에 의해 수송차량(3)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좌우 이송프레임(320)의 수납공간(326) 내로 이동시킨다(S200).
3 단계로, 유도부재(330)의 슬라이딩 프레임(331)을 가축이 들어 있는 가두리 케이지(200)로 후진 동작시킨다(S300).
4 단계로, 슬라이딩 프레임(331)을 전진 동작시키면서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된 채찍부재(332)에 의해 가축을 채찍질 하면서 가두리 케이지(200)로부터 수송칸(3a)으로 이동시킨다(S400).
이상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축시장에서 가축을 싣고 내리는 작업을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 공정에 의해 기계적으로 진행함에 따라 가축과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며, 가축을 완력으로 고삐를 잡아당기거나 강한 채찍질을 가하지 않고 최대한 절제된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가축을 이동시킴에 따라 가축에게 심한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므로 동물학대에 대한 우려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 : 가축시장 2 : 계류장
3 : 수송차량 4 : 지게차
100 : 가축이송장치 200 : 가두리 케이지
210 : 바닥판 220 : 측면 프레임
230 : 출입문 300 : 이동유도장치
310 : 이송레일 320 : 좌우 이송프레임
323 : 개폐도어 324 : 받침판
325 : 전동바퀴 326 : 수납공간
327 : 스크레이퍼 330 : 유도부재
331 : 슬라이딩 프레임 332 : 채찍부재
340 : 전후진 전동부재 400 : 제어반

Claims (8)

  1. 가축을 가둔 채 이송시키기 위한 가두리 케이지; 및
    가축의 수송차량으로부터 상기 가두리 케이지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이동유도장치;를 포함하되,
    이동유도장치는, 수송차량의 후위에 수송차량들이 배차되는 방향으로 시설되는 이송레일; 내부에 가두리 케이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전동방식에 의해 이송레일을 따라 구름되는 전동바퀴가 마련된 좌우 이송프레임; 좌우 이송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채, 수송차량의 수송칸 내의 가축을 가두리 케이지로 유도하거나 또는 가두리 케이지 내의 가축을 수송칸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고,
    유도부재는, 좌우 이송프레임의 상측에 전동방식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채, 전진시에는 수송차량의 수송칸 내부 상측으로 진입되고, 후진시에는 가두리 케이지의 개방된 상측에 위치되는 슬라이딩 프레임; 및 슬라이딩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채, 수송칸 내의 가축 또는 가두리 케이지 내의 가축을 채찍질 하면서 가축의 이동을 재촉하는 채찍부재;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가두리 케이지는,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판; 양 측면을 이루는 측면 프레임; 및 전후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출입문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면 프레임과 출입문은 원형파이프를 절곡 성형하여 모서리 없는 형태로 제작된 것 포함하며,
    바닥판 저부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가 마련되고, 지게차에 들어갈 수 있는 포크 유입부가 마련된 것을 더 포함하고,
    출입문에는 가축의 고유번호, 이력, 몸무게가 기록된 엘이디 전광판이 설치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채찍부재는,
    슬라이딩 프레임에 수평 설치되는 수평지지바;
    수평지지바에 지지된 채, 모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축의 후위를 채찍질 함과 아울러 길이방향 이동수단에 의해 수평지지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회전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수직회전바에는 정전기 발생기가 설치되되, 정전기 발생기는 선택적으로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우 이송프레임의 하부에는 바닥판이 마련되고, 바닥판에 올려지는 가두리 케이지 및 가축의 무게를 계량하는 저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좌우 이송프레임의 전동바퀴 외향측에는, 좌우 이송프레임의 이송에 따라 상기 이송레일 상의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레이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8. 청구항 1 또는 2항 기재된 가축이송장치를 이용하는 가축시장에서의 가축 이송방법으로,
    수송차량의 수송칸에 실려 있는 가축을 가두리 케이지로 이송시킬 때는,
    이동유도장치의 좌우 이송프레임이 전동바퀴의 동력에 의해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정차된 수송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단계;
    가축시장의 계류장에 비치되어 있는 빈 가두리 케이지를 지게차 또는 인력에 의해 수송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좌우 이송프레임의 수납공간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유도부재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전후진 전동부재에 의해 가축이 실려 있는 수송차량의 수송칸 내부로 전진시키는 단계; 및
    슬라이딩 프레임을 전후진 전동부재에 의해 후진시킴과 함께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된 채찍부재를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축의 엉덩이 부위를 채찍질함으로써 가축을 수송칸에서 가두리 케이지로 강제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가두리 케이지의 가축을 수송차량의 수송칸으로 이송시킬 때는,
    이동유도장치의 좌우 이송프레임이 전동바퀴의 동력에 의해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정차된 수송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단계;
    가축시장의 계류장에 계류되어 있던 가축이 들어 있는 가두리 케이지를 지게차 또는 인력에 의해 수송차량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좌우 이송프레임의 수납 공간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유도부재의 슬라이딩 프레임을 전후진 전동부재에 의해 가축이 들어가 있는 가두리 케이지로 후진시키는 단계; 및
    슬라이딩 프레임을 전후진 전동부재에 의해 전진 동작시킴과 함께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된 채찍부재를 회전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서 가축의 엉덩이 부위를 채찍질함으로써 가축을 가두리 케이지에서 수송칸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방법.
KR1020210008210A 2021-01-20 2021-01-20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 KR102279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210A KR102279593B1 (ko) 2021-01-20 2021-01-20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210A KR102279593B1 (ko) 2021-01-20 2021-01-20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593B1 true KR102279593B1 (ko) 2021-07-20

Family

ID=7712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210A KR102279593B1 (ko) 2021-01-20 2021-01-20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59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676B1 (ko) * 2021-03-18 2021-12-24 김도연 움직임 제한기능을 갖는 가축 이송용 케이지
KR20230059233A (ko) 2021-10-26 2023-05-03 이수진 가축운송용 가축슬립방지 알루미늄판 결합구조
KR102558350B1 (ko) * 2022-01-28 2023-07-21 주식회사 위젠트 비접촉 생체안면인식 가축개체별 관리시스템
KR102665559B1 (ko) 2022-11-07 2024-05-14 주식회사 위젠트 가축정보 획득이 가능한 비접촉식 우형기 및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780A (ko) * 2007-07-03 2009-0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균돼지 이동용 통로장치
KR200471322Y1 (ko) * 2013-02-21 2014-02-21 정상천 가축 수송차량용 화물적재함
KR20170133916A (ko) * 2016-05-27 2017-12-06 메디키네틱스 주식회사 사지동물 운반용 수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780A (ko) * 2007-07-03 2009-01-1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균돼지 이동용 통로장치
KR200471322Y1 (ko) * 2013-02-21 2014-02-21 정상천 가축 수송차량용 화물적재함
KR20170133916A (ko) * 2016-05-27 2017-12-06 메디키네틱스 주식회사 사지동물 운반용 수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676B1 (ko) * 2021-03-18 2021-12-24 김도연 움직임 제한기능을 갖는 가축 이송용 케이지
KR20230059233A (ko) 2021-10-26 2023-05-03 이수진 가축운송용 가축슬립방지 알루미늄판 결합구조
KR102558350B1 (ko) * 2022-01-28 2023-07-21 주식회사 위젠트 비접촉 생체안면인식 가축개체별 관리시스템
KR102665559B1 (ko) 2022-11-07 2024-05-14 주식회사 위젠트 가축정보 획득이 가능한 비접촉식 우형기 및 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593B1 (ko) 가축시장에서의 가축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축이송방법
US3998343A (en) Cargo moving apparatus for trucks
DE2338333A1 (de) Ortsveraenderlicher foerderer mit symmetrischer ausfahrmoeglichkeit
EP11629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estrus in swine
CA2479806C (en)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nimals in an oblong corridor section
US2807234A (en) Livestock feeding apparatus
US2932415A (en) Apparatus for compaction, transportation and discharge of bulk material
KR101521667B1 (ko) 항공기 화물실 내에서 대상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
CN210619642U (zh) 一种生猪出栏用的推送装置
DE1431846B2 (de) Montageanlage fur die Endmontage von vierrädrigen Fahrzeugen
US3317949A (en) Apparatus for dressing slaughtered animals
EP1189800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ransport von lasten
CA2621934A1 (en) Chicken-loading vehicle
CN109319632A (zh) 一种货物传输电梯
US3430732A (en) Automatic grocery cart
JP3333754B2 (ja) コンベア装置を備えた貨物自動車の安全装置
JP2820382B2 (ja) 台車の位置決め装置
JP2755540B2 (ja) 搬送容器反転設備
JPS6234364B2 (ko)
CN218228788U (zh) 一种便捷卸猪装置
DE2016156B2 (de) Anlage zum Umladen von Müll
CN216722581U (zh) 一种大型养猪场用成品猪转运设备
JP4470337B2 (ja) 縦列型格納装置
KR200234205Y1 (ko) 이동대차의동력을주차구획으로전달하도록된주차설비의차량이송장치
DE2541877A1 (de) Transportfahrzeug fuer stallanlagen zum entmisten von fest- und fluessigmist, futtertransport und sonstige oertliche transportarbei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