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762B1 -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762B1
KR102278762B1 KR1020150014823A KR20150014823A KR102278762B1 KR 102278762 B1 KR102278762 B1 KR 102278762B1 KR 1020150014823 A KR1020150014823 A KR 1020150014823A KR 20150014823 A KR20150014823 A KR 20150014823A KR 102278762 B1 KR102278762 B1 KR 102278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broadcast
display device
broadcast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908A (ko
Inventor
시의환
김상진
손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4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762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기초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가장 수신 감도가 높은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방송 수신부와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선택된 방송 신호를 기초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디지털 TV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다. 디지털 TV 서비스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에서는 제공할 수 없었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TV 서비스의 한 종류인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시청 프로그램의 종류, 시청 시간 등을 능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성을 제공한다. IPTV 서비스는 이러한 양방향성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인터넷 검색, 홈쇼핑, 온라인 게임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최근의 디지털 TV는 공중파 방송 서비스 이외에도, 케이블과 같은 유선으로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인공위성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 등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고 있다.
다양한 방송 서비스 제공자마다 제공하는 특색 있는 서비스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유료인 유료 방송 서비스를 가입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료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한편, 유료 방송 서비스는 서비스 대상자만이 유료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전파 전송 방식보다는 케이블 또는 인공 위성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무료인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송 신호 수신을 위해 안테나를 설치하는 가정이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들기도 하였다.
그러나, OTA(On The Air) 방식에 의한 방송 서비스 제공자들도 사용자 확보를 위해 다양하고 흥미로운 방송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어서, 유료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TV 사용자들도 OTA(On The Air) 방식에 의한 공중파 방송 서비스도 이용하려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사용자들은 케이블 또는 인공 위성을 통한 방송 서비스 이외에도 OTA 방식에 의한 방송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TV에 방송 수신용 안테나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만, TV에 연결된 방송 수신용 안테나는 실내 또는 TV와 가까운 실외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안테나가 위치할 수 있는 공간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TV와 유선으로 연결된 안테나는 실내 또는 실외에 있는 다양한 장애물로 인해 안테나의 방사 패턴이 손상되어, 안테나의 방향성이 생기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안테나를 통해 OTA(On The Air)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고, 다양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수신 감도가 좋은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 신호를 선택하여 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의 수신 감도를 높이는 최적의 수신 방향을 산출하고, 안테나의 수신 방향을 조정하여, 안테나의 방송 신호 수신 감도를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중 가장 수신 감도가 높은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방송 수신부;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선택된 방송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중 가장 수신 감도가 높은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방송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복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어서 방송 신호 수신 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의 수신 감도를 높이는 최적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 있어서, 안테나의 방송 신호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상측에 구비된 상측 안테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측면에 구비된 좌측 안테나 및 우측 안테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방송 신호 수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방송 신호 수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방송 신호 수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방송 신호 전송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방송 신호 전송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정보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탑에 대응하는 안테나의 수신 방향 산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탑에 대응하는 안테나 방향 산출에 대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1), 음성 획득부(110), 영상 획득부(120), 방송 수신부(13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통신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1), 음성 획득부(110), 영상 획득부(120), 방송 수신부(13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통신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를 측방 일부 또는 전부와, 후방을 커버하는 케이스(10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08)는 복수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커버가 결합하여 하나의 케이스(108)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08)는 상측 케이스, 측면 케이스, 하측 케이스, 전면 케이스 및 배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1)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방송 서비스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수신부(101)는 VHF(Very High Frequency),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1)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방송 수신부(101)는 내장 안테나(102), 통신부(103), 비교부(104), 스위칭부(105), 증폭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에 내장되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일측면 또는 복수의 측면에 구비되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장 안테나(102)는 구비된 위치에 따라 상측 안테나(102a), 좌측 안테나(102b), 우측 안테나(102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표시기기(100)의 일측면 또는 복수의 측면은 영상표시기기(100)의 베젤(bezel)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의 베젤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케이스(108)의 일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케이스(108)와 내부 기판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상측에 구비된 상측 안테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측 안테나(102a)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측 안테나(102a)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커버하는 케이스(108)의 상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측면에 구비된 좌측 안테나 및 우측 안테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측 안테나(102b)은 영상표시기기(100)의 좌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안테나(102b)은 영상표시기기(100)를 커버하는 케이스(108)의 좌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안테나(102c)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우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안테나(102c)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커버하는 케이스(108)의 우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일측면 또는 복수의 측면에 구비됨에 따라 전방향성(Omni-directional)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전방향성은 무지향성, 무방향성(Non-directional)이라고도 한다.
한편, 내장 안테나(102)는 내장 안테나(102)가 구비된 위치에서 일정 범위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케이스(108)에 슬라이드(Slide) 형태로 구비되어, 케이스(108)의 일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내장 안테나(102)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케이스(108) 상의 레일 부재(미도시)와 연결되어, 연결된 레일 부재의 이동에 따라 케이스(108)의 일정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레일 부재는 비전도성(non-conductive) 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슬라이드 형태, 레일 부재는 공지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부(103)는 후술할 안테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안테나(3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안테나(300)에 방송 수신과 관련된 제어 동작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103)는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안테나(3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3)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안테나(30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비교부(104)는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부(104)는 내장 안테나(102), 안테나(300), 외장 안테나(4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비교부(104)는 측정된 하나 이상의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비교할 수 있다. 그래서 비교부(104)는 수신 감도에 대한 비교 결과를 기초로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 신호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비교부(104)는 제어부(170)에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외장 안테나(4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표시기기(100)에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외장 안테나(400)는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고, 영상표시기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외장 안테나(4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구비된 실내 벽의 일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외장 안테나(400)는 영상표시기기(100)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외장 안테나(400)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일측면 또는 배면 등에 부착될 수도 있다.
스위칭부(105)는 복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방송 신호를 증폭부(106) 또는 튜너(131)로 전달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위칭부(105)는 내장 안테나(102), 안테나(300), 외장 안테나(4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하나의 방송 신호를 증폭부(106) 또는 튜너(131)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스위칭부(105)는 내장 안테나(102), 안테나(300), 외장 안테나(4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비교부(104)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가장 수신 감도가 좋은 방송 신호를 증폭부(106) 또는 튜너(131)에 전달할 수 있다.
증폭부(106)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증폭부(106)는 스위칭부(105)로부터 전송된 방송 신호의 크기를 증폭할 수 있다.
증폭부(106)는 증폭된 방송 신호를 튜너(131)에 전달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1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획득부(110)는 획득된 음성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20)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획득부(120)는 획득한 영상을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튜닝할 수 있다. 튜너(131)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중간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다운 컨버전하여 복조부(132)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튜너(131)는 실시간 스트림과 비실시간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튜너(131)로부터 입력되는 통과대역의 디지털 IF 신호에 대해 자동 이득 제어, 반송파 복구 및 타이밍 복구 등을 수행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채널 등화를 수행한다.
복조부(132)에서 복조 및 채널 등화된 데이터는 MPEG-2 TS(Transport Stream) 패킷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네트워크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서버(700)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게이트웨이(미도시) 또는 중계기(5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여, 서버(7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60)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터넷 모듈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영상표시기기(10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통신부(16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다른 기기가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통신부(160)에 포함된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LAN(Wireless LAN)(Wi-Fi),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장치로 출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사용자 입력값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값은 특정 버튼에 대한 입력 횟수, 특정 휠 키의 일 방향에 대한 입력 횟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시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영상표시기기(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 및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부(220)를 통하여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무선통신부(22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무선통신부(220)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휠 키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LIVE 버튼(233), 외부입력 버튼(234), 음량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버튼(237), 휠 키(238) 및 취소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영상표시기기(100), 외부기기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영상표시기기(100)의 기본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LIVE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입력 버튼(234)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버튼(235)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오디오 출력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 특정 방송 서비스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휠 키(238)는 일 방향 이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휠(Wheel)형태의 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휠 키(238)은 상, 하 방향 또는 상, 하, 좌, 우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휠(Wheel) 형태의 키일 수 있다. 또한, 휠 키(238)은 방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휠 키(238)의 상, 하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휠 키(238)를 회전시키는 사용자 입력일 있고, 좌, 우 방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휠 키(238)를 틸트시키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다. 또한, 휠 키(238)는 푸쉬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LIVE 버튼(297)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5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 조그 키, 터치 패드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영상표시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어서,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획득부(290)는 획득된 음성을 제어부(28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는 안테나(300)로부터 방송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표시기기(1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안테나(300)로부터 방송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영상표시기기(100)는 가정 내 또는 사무실 내에 위치하고, 안테나(300)는 실외 또는 건물 밖에 위치할 수 있다.
안테나(30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안테나(300)는 안테나 모듈(310), 제어 모듈(330), 통신 모듈(350), 구동 모듈(370)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310)은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모듈(310)은 송신탑(600)에서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테나 모듈(310)은 VHF(Very High Frequency), 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310)은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 모듈(310)은 야기 안테나(Yagi Antenna), 포물선 안테나(Parabola Antenna), 루프 안테나(Loop Antenna), 코너 안테나(Corner Antenna) 등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310)은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제어 모듈(3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안테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모듈(330)은 전달 받은 방송 신호를 통신 모듈(350)를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모듈(330)은 안테나 모듈(310)로부터 전달받은 방송 신호를 다양한 형태의 포맷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포맷으로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330)은 전달된 방송 신호를 변환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으로 변환하여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330)은 전달된 방송 신호를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으로 변환하여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30)은 전달된 방송 신호를 암호화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 모듈(330)은 암호화된 방송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 모듈(350)은 영상표시기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350)은 전달된 방송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고,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안테나(3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350)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350)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중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와 통신할 수 있다.
구동 모듈(370)은 안테나 모듈(310)의 방송 신호 수신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모듈(370)은 제어 모듈(3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안테나 모듈(310)의 방송 신호 수신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신호 수신 방향은 상, 하, 좌, 우 각각에 대한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100)의 방송 수신부(101)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101).
방송 수신부(101)는 방송 수신부(101)에 포함된 내장 안테나(102)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안테나(300), 외장 안테나(4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비교부(104), 스위칭부(105) 각각은 내장 안테나(102), 안테나(300), 외장 안테나(4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방송 신호 수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송 수신부(101)의 비교부(104) 및 스위칭부(105) 각각은 내장 안테나(102) 및 외장 안테나(4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부(101)는 복수의 안테나인 내장 안테나(102) 및 외장 안테나(400)로부터 복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방송 신호 수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부(101)의 비교부(104) 및 스위칭부(105) 각각은 내장 안테나(102) 및 안테나(3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부(104) 및 스위칭부(105) 각각은 내장 안테나(102)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통신부(103)를 통해 안테나(300)로부터 전달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부(101)는 복수의 안테나인 내장 안테나(102) 및 안테나(300)로부터 복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방송 신호 수신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부(101)의 비교부(104) 및 스위칭부(105) 각각은 내장 안테나(102), 안테나(300) 및 외장 안테나(4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부(104) 및 스위칭부(105) 각각은 내장 안테나(102) 및 외장 안테나(4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통신부(103)를 통해 안테나(300)로부터 전달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송 수신부(101)는 복수의 안테나인 내장 안테나(102), 안테나(300) 및 외장 안테나(400)로부터 복수의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안테나(300)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때, 안테나(300)로부터 직접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중계기(500)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방송 신호 전송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안테나(30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직접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300)의 통신 모듈(350)은 영상표시기기(100)의 통신부(103)에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는 안테나(3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직접 전송받을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의 방송 신호 전송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안테나(30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중계기(5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300)의 통신 모듈(350)은 중계기(500)에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계기(50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통신부(103)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는 중계기(500)를 통해 안테나(3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한다.
방송 수신부(101)의 비교부(104)는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비교한다(S103).
비교부(104)는 내장 안테나(102), 안테나(300), 외장 안테나(400)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부(104)는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안테나 이득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수신 감도는 dBi 단위일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1)의 비교부(104)는 비교 결과를 기초로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S105).
비교부(104)는 복수의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에 대한 비교 결과를 기초로,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하나의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비교부(104)는 선택된 방송 신호에 대한 정보를 스위칭부(105)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비교부(104)는 제어부(170)에 포함될 수 있어서, 제어부(170)가 상술한 비교부(104)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선택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안테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107).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비교부(104)가 선택한,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안테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위칭부(105)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부(104)는 선택된,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위칭부(10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칭부(105)는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신호 중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칭부(105)는 스위칭 동작에 따라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부(106)에 전달할 수 있다. 그래서 방송 수신부(101)는 내장 안테나(102), 안테나(300), 외장 안테나(400)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 신호 중 수신 감도가 가장 좋은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안테나로부터 방송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부(104)는 제어부(170)에 포함될 수 있어서, 제어부(170)가 상술한 스위칭부(105)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기초로 동작한다(S109).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따른 방송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따른 방송 서비스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00)의 방송 수신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레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S201).
일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지리적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영상표시기기(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영상표시기기(100)가 위치하는 지역의 우편번호(ZIP Code)를 획득하고, 획득된 우편번호를 기초로 영상표시기기(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통해 영상표시기기(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기초로 영상표시기기(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GPS 모듈(미도시)를 통해 영상표시기기(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영상표시기기(100)가 위치하는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는 안테나(300)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일 수도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획득된 위치 정보를 서버(700)에 전송한다(S203).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획득된 위치 정보를 서버(7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700)는 방송 신호 수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700)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의 <DTV Reception Maps>와 같이 방송 수신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700)는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수신 정보를 검색한다(S205).
서버(7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수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 정보는 송신탑(600)의 위치, 송신탑(600)과의 거리, 송신탑(600)에 대한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정보는 복수의 송신탑(600) 각각이 송신하는 방송 신호의 종류, 세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정보는 송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버츄얼 채널(Virtual Channel)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수신 정보는 해당 위치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탑의 위치,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의 세기,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채널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700)는 검색된 방송 수신 정보를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한다(S207).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전송된 방송 수신 정보에 따른 복수의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한다(S209).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를 통해 방송 수신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방송 수신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수신된 방송 수신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표시기기(100)의 위치에서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 정보,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탑 정보,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의 세기,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의 주파수 대역,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의 방송 서비스 제공자 정보, 수신 가능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채널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채널에 대한 정보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방송 서비스에 대한 정보일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수신 정보 표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15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표시기기(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도창(810)을 표시하고, 방송 수신 정보에 대한 방송 수신 정보창(820)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 정보창(820)에 영상표시기기(100)의 위치에서 수신 가능한 복수의 방송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방송 수신 정보창(820)에 수신 가능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신호 세기, 방송 서비스 제공자, 방송 신호에 포함된 채널 정보, 주파수 대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한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방송 수신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 정보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한다(S211).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방송 수신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채널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은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100)를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응하는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한다(S213).
제어부(170)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00)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탑(6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하나 이상의 송신탑(600)의 위치를 기초로 선택된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탑(600)에 대한 안테나(300)의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70)는 수신된 방송 수신 정보를 기초로, 송신탑(600)과 안테나(300) 사이에서 방송 수신을 방해하는 조건을 회피하기 위한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안테나(300)의 수신 방향 산출 시, 안테나(300)가 방송 신호 수신 가능한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산출을 통해, 전체 영역에 대한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체 영역은 전체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일부 영역은 일부 방향을 의미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안테나(300)의 방사 패턴이 전??항성(Omni-Direction)이 아닌 타원 형태를 갖는 방사 패턴을 가지면, 특정 방향에 대한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가 다른 방향에 대한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안테나(300)의 일정 방향에 대한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기초로, 안테나(300)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안테나(300)가 방송 신호 수신 가능한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에 대한 산출을 통해, 전체 영역에 대한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영역을 스캔 영역이라고 할 수 있고, 스캔 영역에 대해 산출된 안테나 방향은 전체 영역에 대한 안테나 방향과 같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탑에 대응하는 안테나의 수신 방향 산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안테나(300)를 기준으로 제1 송신탑(610) 및 제2 송신탑(620)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하는 경우, 제2 송신탑(620)을 스캔 영역에 포함되도록 대칭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2 송신탑(620)과 원점 대칭인 위치에 제2 가상 송신탑(625)이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1 송신탑(610) 및 제2 가상 송신탑(625)에 대한 안테나(300)의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안테나(300)의 방사 패턴은 타원 형태와 같이 전방향성에 가까운 형태를 갖기 때문에, 제어부(170)가 전체 영역의 일부인 스캔 영역에 포함된 송신탑(600)의 위치를 기초로 안테나(300)의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하여도 전체 영역에 포함된 송신탑(600)의 위치를 기초로 안테나(300)의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송신탑에 대응하는 안테나 방향 산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안테나(300)를 기준으로 제1 송신탑(610), 제2 송신탑(620), 제3 송신탑(630)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하는 경우, 제2 송신탑(620) 및 제3 송신탑(630)을 스캔 영역에 포함되도록 대칭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2 송신탑(620)과 원점 대칭인 위치에 제2 가상 송신탑(625)이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제3 송신탑(630)과 원점 대칭인 위치에 제3 가상 송신탑(635)이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1 송신탑(610), 제2 가상 송신탑(625), 제3 가상 송신탑(635)에 대한 안테나(300)의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안테나(300)의 방사 패턴은 타원 형태와 같이 전방향성에 가까운 형태를 갖기 때문에, 제어부(170)가 전체 영역의 일부인 스캔 영역에 포함된 송신탑(600)의 위치를 기초로 안테나(300)의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하여도 전체 영역에 포함된 송신탑(600)의 위치를 기초로 안테나(300)의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안테나 수신 방향 산출에 대한 설명은 설명을 위한 예시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안테나(300)의 방사 패턴 형태 및 사용자 또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통해 안테나 수신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한다.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산출된 안테나 수신 방향에 대한 수신 방향 정보를 안테나(300)에 전송한다(S215).
제어부(170)는 통신부(103)을 통해 산출된 안테나 수신 방향에 대한 수신 방향 정보를 안테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산출된 안테나 수신 방향에 대한 수신 방향 정보를 안테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안테나(300)의 제어 모듈(330)은 전송된 수신 방향 정보를 기초로 안테나 모듈(310)의 방송 신호 수신 방향을 조정한다(S217).
제어 모듈(330)은 통신 모듈(350)을 통해 영상표시기기(100)로부터 전송된 수신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수신된 수신 방향 정보를 기초로, 안테나 모듈(310)의 방송 신호 수신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330)은 구동 모듈(3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모듈(330)은 구동 모듈(370)이 안테나 모듈(310)의 방송 신호 수신 방향을 조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모듈(370)은 수신된 수신 방향 정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안테나 모듈(310)의 방송 신호 수신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안테나(300)의 안테나 모듈(310)은 조정된 방송 수신 방향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219).
안테나 모듈(310)은 조정된 방송 수신 방향으로, 복수의 송신탑(300)에서 송신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310)은 산출된 안테나 수신 방향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서, 안테나 모듈(310)이 수신하는 복수의 방송 신호는 단계 S211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300)의 제어 모듈(330)은 수신된 방송 신호를 통신 모듈(350)을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에 전송한다(S221).
제어 모듈(330)은 조정된 방송 수신 방향으로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방송 신호를 통신 모듈(350)을 통해 영상표시기기(100)의 통신부(103)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3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방송 신호를 변환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으로 변환하여 통신부(103)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30)은 수신된 방송 신호를 암호화하여 통신부(103)에 전송할 수도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는 전송된 방송 신호를 기초로 동작한다(S223).
제어부(170)는 통신부(103)을 통해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03)는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증폭부(106)에 전달할 수 있다. 증폭부(106)은 전달된 방송 신호를 증폭하여 제어부(170)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제어부(170)에 바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방송 신호를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따른 방송 서비스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따른 방송 서비스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전달된 방송 신호가 암호화된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복호화된 방송 신호를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영상표시기기의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4)

  1. 수신 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타원 형태의 방사 패턴을 갖는 제1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상기 제1 안테나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한 지역에 대해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방송 수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한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방송 신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탑 중 상기 제1 안테나의 방송 신호 수신 가능한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인 스캔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송신탑의 위치를 대칭 이동 하고, 상기 스캔 영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탑의 위치 및 상기 대칭 이동된 가상 송신탑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안테나의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높이는 수신 방향을 산출하고,
    상기 제1 안테나가 상기 산출된 수신 방향에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중 가장 수신 감도가 높은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방송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방송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중 가장 수신 감도가 좋은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비교부와,
    상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중 상기 선택된 방송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부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내장되어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내장 안테나와,
    상기 선택된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내장된 제2 안테나,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
  8. 수신 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타원 형태의 방사 패턴을 갖는 제1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상기 제1 안테나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한 지역에 대해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방송 수신 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한 지역에서 수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방송 신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채널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하나 이상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
    선택된 하나 이상의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송신탑 중 상기 제1 안테나의 방송 신호 수신 가능한 전체 영역 중 일부 영역인 스캔 영역에 위치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송신탑의 위치를 대칭 이동 하고 상기 스캔 영역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송신탑의 위치 및 상기 대칭 이동된 가상 송신탑의 위치를 기초로 상기 제1 안테나의 방송 신호의 수신 감도를 높이는 수신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안테나가 상기 산출된 수신 방향에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중 가장 수신 감도가 높은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방송 신호를 기초로 상기 방송 신호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중 가장 수신 감도가 높은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복수의 방송 신호 각각의 수신 감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방송 신호 중 가장 수신 감도가 좋은 방송 신호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방송 신호를 증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는
    상기 제1 안테나,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내장된 제2 안테나, 상기 영상표시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안테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KR1020150014823A 2015-01-30 2015-01-30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8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823A KR102278762B1 (ko) 2015-01-30 2015-01-30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823A KR102278762B1 (ko) 2015-01-30 2015-01-30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908A KR20160093908A (ko) 2016-08-09
KR102278762B1 true KR102278762B1 (ko) 2021-07-19

Family

ID=5671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823A KR102278762B1 (ko) 2015-01-30 2015-01-30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255B1 (ko) * 2020-01-03 2022-02-28 김동주 디지털 신호 통합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신호처리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2957A (ja) * 2002-05-13 2003-11-21 Synclayer Inc 車載用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載用送受信システム。
JP2005323247A (ja) * 2004-05-11 2005-11-17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JP2013110702A (ja) * 2011-11-24 2013-06-06 Ntt Docomo Inc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61854B2 (ja) * 2009-09-29 2013-03-13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アエレクトロニクス 受信装置、受信装置のアンテナ切替え回路、及び受信装置のチューナ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2957A (ja) * 2002-05-13 2003-11-21 Synclayer Inc 車載用アンテ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車載用送受信システム。
JP2005323247A (ja) * 2004-05-11 2005-11-17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
JP2013110702A (ja) * 2011-11-24 2013-06-06 Ntt Docomo Inc 移動通信端末、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通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908A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9575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72573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612036B2 (en) Portable terminal, pairing system and pairing method
KR102016171B1 (ko) 미디어 서비스들을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KR2015014561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45283B2 (en) Display device
KR201701216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46067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2002799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876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EP3525453A1 (en) Display device
US20220124415A1 (en) Display device
KR102263155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605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102653A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7722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P429741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KR1022494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7400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245072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015814A1 (en) Display device and audio output system
KR20240027003A (ko) 무선 디스플레이 장치, 무선 셋톱박스 및 무선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20042249A1 (en) Audio signal output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