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095B1 - 일회용 위생 마스크 - Google Patents

일회용 위생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095B1
KR102278095B1 KR1020200136697A KR20200136697A KR102278095B1 KR 102278095 B1 KR102278095 B1 KR 102278095B1 KR 1020200136697 A KR1020200136697 A KR 1020200136697A KR 20200136697 A KR20200136697 A KR 20200136697A KR 102278095 B1 KR102278095 B1 KR 10227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anitary mask
mask
chin rest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환
Original Assignee
백상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상산업(주) filed Critical 백상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13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50Seams
    • A41D2300/52Seams made by welding or glu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 조리 시 및 식당에서 착용이 간편하며, 침 튀김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PET, PP, PS등 및 생분해성 PLA등의 비드에 은(Ag), 황화구리 (CuS), 산화아연(ZnO)의 무기 항균제 또는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카본, PCMX (p-chloro-m-xylenol), DCOIT (4,5-dichloro- 2- octylisothiazole- 3(2H)-one [4,5-dichloro-2-octyl-2H- isothiazole-3-one], OPBA (o-Phenylenediamine), 징크피리치온등의 유기항균제 중 적당한 항균제를 선택하고 양이온,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등의 방담제 (김서림 방지제)를 넣어 만든 마스터배치를 PET, PP, PS등 및 생분해성 PLA등의 시트로 제작한 후 이를 이용하여 일회용 마스크 또는 항균, 방담효과 (김서림 방지효과)가 있는 일회용 위생 마스크의 대량생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위생 마스크 {Diposable sanitary mask}
본 명세서는 위생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품 조리 시 및 식당에서 착용이 간편하며, 침 튀김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PET, PP, PS등 및 생분해성 PLA등을 이용한 일회용 마스크 또는 항균, 방담효과 (김서림 방지효과)가 있는 일회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식당 조리원이나 말을 많이 하는 사람들의 피로도를 줄이고 튀기는 침을 어느 정도 효율적으로 방지하며 위생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착용자 입으로부터 나오는 침을 제어할 수 있는 위생마스크가 최근에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헤드셋 타입의 위생 마스크에 관한 특허로 한국특허 10-1012011에서는 헤드셋 형태로 머리 및 귀 상부를 곡면 형태로 감싸며 착용함과 위생 모자에 클립으로 고정되게 착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나, 착용이 불편하고 소재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또한, 안경형 위생 마스크 및 안경 장착용 위생 마스크인 한국특허 10-1444864에서는 안경처럼 쓸 수 있게 제작되었으나, 고가인 점이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겠다.
제목이 마스크인 한국특허 10-1714193에서는 가볍고 저가이며 쓰고 벗기가 편한 장점이 있는 반면 마스크의 면이 편평함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장치가 있지않아 힘이 없고 구부러지는 단점이 있고, 이엽 위생 마스크에 관한 한국특허 10-1983370에서는 입 밑에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입가림 마스크인 한국공개특허 10-2012-0013171에서는 입가림판과, 입가림판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가 연결되어 마스크체를 얼굴에 견고히 고정하는 마스크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독특한 기술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위생 마스크란 제목의 한국공개특허 10-2015-0142321에서는 커버 하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커버 양단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부가 구비되는 본체부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만들어진 위생용 마스크이고, 위생마스크가 제목인 한국공개 10-2019-0071071에서는 턱마침에 기술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의 일반적인 장점을 살리고 단점 및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PET, PP. PS등 및 생분해성 PLA등을 일회용 투명 또는 반투명 위생 마스크, 또는 항균, 방담효과가 있는 일회용 투명 또는 반투명 위생 마스크를 개발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 10-1012011 호 한국등록특허 10-1444864 호 한국등록특허 10-1983370 호 한국공개특허 10-2012-0013171 호 한국공개특허 10-2015-0142321 호 한국공개특허 10-2019-0071071 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한 결과, 효율적으로 침튀김을 방지하며, 사용이 용이하고, 저가의 일회용 투명 또는 반투명 위생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나뭇잎의 결의 모양을 이용한 돌출부를 마스크의 커버부에 도입하여 마스크면에 힘을 주어 구부러짐이나 휨등을 방지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 후의 답답함을 줄이기 위해 턱에 고정시키는 두기둥의 위기둥과 밑에 기둥의 높이를 똑같거나 위기둥이 높게하여 마스크면이 위쪽으로 가면서 벌어질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귀에 거는 줄은 줄을 끼우는 방식을 사용하여 생산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귀에 거는 줄은 초음파, 레이저 또는 열융착을 사용하여 생산에 자동화를 이룰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귀에 거는 줄을 1개 또는 2개의 구멍을 뚫어 마스크에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침튀김을 방지하고 자동화, 저가화를 이룰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PET, PP, PS등 및 생분해성 PLA등을 이용하여 일회용 마스크 또는 항균, 방담효과가 있는 일회용 마스크로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침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박판형상의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일면 상에 돌출되어 제공되는 제1 턱 받침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일면 상에 돌출되어 제공되는 제2 턱 받침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 1 턱 받침대와 상기 커버부가 인접하는 중심 영역에서 상기 커버부의 외곽부분까지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턱 받침대에서 상기 제1 턱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를 상기 커버부의 일면 상에 곡선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제2 턱 받침대에서 상기 제1 턱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턱 받침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제1 몸체의 중심과 상기 제2 몸체의 중심을 연결하는 수직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돌출부에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경계 돌출부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수직방향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경계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일 구성인,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일정하지 않은 곡률반경을 가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돌출부들은 제1 돌출부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돌출부들은 제2 돌출부로 정의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들은 상기 제1 돌출부들 및 상기 경계 돌출부 대비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커버부의 경계지점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경계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일면 상에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경계 돌출부의 단면의 너비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면의 너비보다 큰,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각각 동일한 정도로 휘어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위생용 마스크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위생용 마스크의 외각부분까지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턱 받침대의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제 2 턱 받침대의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것인,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밴드접합부 및 밴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밴드접합부는 밴드와 연결부를 초음파 융착, 진동 융착, 레이저 융착 및 열융착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융착 방법으로 연결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각각 독립적으로PET, PP, PS 및 PLA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진공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은(Ag), 황화구리 (CuS) 또는 산화아연(ZnO)의 무기 항균제,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카본, PCMX (p-chloro-m-xylenol), DCOIT (4,5-dichloro-2-octylisothiazole-3(2H)-one [4,5-dichloro-2-octyl-2H-isothiazole-3-one], OPBA (o-Phenylenediamine) 및 징크피리치온의 유기 항균제가 함께 포함된,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나뭇잎의 결을 이용한 일회용 위생마스크의 편평력 유지력과 착용 후의 답답함을 줄일 수 있는 입에서 코로 갈수록 넓어지게 제작함으로서 탈부착이 편하고 경제적인 일회용 위생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커버부에 돌출부를 포함하여 편평력 유지력과 착용 후의 답답함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돌출부는 사용자가 마스크를 접었을 때 접혀지는 모양과 반대되는 모양으로 돌출부의 형상을 포함하므로, 편평력 유지가 잘되며, 기존의 마스크에 비하여 적은 양의 원재료를 사용하여 얇은 두께의 마스크를 제작함에도 편평력 유지가 잘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는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를 귀에 거는 방식으로, 2개의 융착부분에서 밴드가 하나로 연결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를 귀에 거는 방식으로, 1개의 융착부분에서 밴드가 하나로 연결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를 귀에 거는 방식으로, 2개의 융착부분에서 밴드가 각각 달린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2개의 밴드를 매듭지어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도 6는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를 귀에 거는 방식으로, 1개의 융착부분에서 2개의 밴드가 달린 형태로, 사용자에 의해 2개의 밴드를 매듭지어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도 7a 및 7b는 본원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로, 융착이 아닌 구멍이 뚫린 형태로 밴드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모습이다.
도 8은 본원발명 일측면에 따른 마스크의 사용 사례이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성분의 함량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PET, PP, PS등 및 생분해성 PLA등의 비드에 은(Ag), 황화구리 (CuS), 산화아연(ZnO)의 무기 항균제,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카본, PCMX (p-chloro-m-xylenol), DCOIT (4,5-dichloro-2-octylisothiazole-3(2H)-one [4,5-dichloro-2-octyl-2H-isothiazole-3-one], OPBA (o-phenylenediamine), 징크피리치온등의 유기항균제 중 적당한 항균제를 선택하나 가능한 한 친환경 무기계 항균제를 사용하며, 양이온,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등의 방담제 (김서림 방지제)를 넣어 만든 마스터배치를 항균 효과와 방담효과가 있는 PET, PP, PS등 및 생분해성 PLA등의 시트로 제조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마스크 제조용 시트는 진공성형 방식으로 대량으로 생산하게 되며 다음의 기술성과 진보성의 특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 위생용 마스크의 도 1에서의 S1은 필름형태의 마스크의 평면성 유지를 위해 나뭇잎의 맥 형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고, 맥이 있을 때의 마스크 평면이 없을 때의 마스크 평면 보다 평평하고 힘을 유지하고 있으며, 모양은 다양한 모양을 사용할 수 있으나 좋기는 나뭇잎 모양이 우수하였다. 특히,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시 접히는 부분과 나뭇잎 맥의 형태, 본원발명에 있어서 돌출부로 명명한 형태가 서로 반대되는 힘을 받도록 되어 있어 마스크의 편평력 유지가 우수하다. 도 1의 S2는 마스크의 평면으로 방담제와 항균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량과 종류에 따라서 투명하거나 반투명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의 S3와 S8은 마스크의 얼굴에의 밀착성을 좋게하기 위한 장치로 S3은 S8과 18 mm로 높이가 같거나 S3이 S8보다 1 mm에서 10 mm 높게 제조하여 얼굴의 밑에서 위로 갈수록 약간 벌어지게 되어 마스크의 착용으로 인한 답답함을 보다 줄 일 수 있고 측면도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의 S4와 S7은 빗살무늬로 고안하였고 마스크를 고급스럽게 보이는 역할을 하며, S5는 밴드와 마스크를 융착하는 부분으로 융착하는 방법은 초음파 융착, 진동 융착, 레이저 융착 및 열융착 방법을 사용하여 2곳에 융착하거나 또는 한곳에 융착할 수 있는데 성능이 제일 좋은 방법은 레이저 융착이나 고가이고 실제적으로는 초음파 융착이나 열융착을 사용하여 융착하며 이를 도 3, 4, 5 및 6에 나타내었다.
융착하지 않는 방법도 사용하였는데 도 7에는 융착하지 않고 2개의 구멍을 뚫어서 밴드를 묶어서 사용할 수 있고 전체적인 모양은 도 7에서 알 수 있다.
귀와 마스크를 연결하여 마스크를 얼굴에 고정하는 밴드는 PET, PP, PS, PE 및 생분해성 PLA를 실로 꼬아 만든 밴드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사용자의 침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박판형상의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일면 상에 돌출되어 제공되는 제1 턱 받침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일면 상에 돌출되어 제공되는 제2 턱 받침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 1 턱 받침대와 상기 커버부가 인접하는 중심 영역에서 상기 커버부의 외곽부분까지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턱 받침대에서 상기 제1 턱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를 상기 커버부의 일면 상에 곡선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부는 커버부의 돌출부(S1) 및 커버부의 돌출부를 제외한 면(S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몸체는 제 1 턱 받침대(S3), 마스크의 제 1 격자무늬부(S4) 및 마스크의 제 2 격자무늬부(S7)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몸체는 추가로 밴드접합부(S5) 및 밴드(S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몸체는 제 2 턱 받침대(S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돌출통로부는 나뭇잎의 맥 모양과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는 도 1에서 S1이며, 필름형태의 마스크의 평면성 유지를 위해 나뭇잎의 맥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맥(돌출부)이 있을 때의 마스크 평면이 없을 때의 마스크 평면 보다 평평하고 힘을 유지할 수 있다. 돌출부의 정면에서 바라본 모양은 다양한 모양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나뭇잎 모양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커버부의 돌출부를 제외한 면(S2)는 마스크의 평면으로 방담제 또는 항균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의 재질, 방담제, 항균제의 사용량과 종류에 따라서 커버부의 전체 외관은 투명하거나 반투명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 상기 제 1 턱 받침대의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제 2 턱 받침대의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것인,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제 1 턱 받침대(S3)와 제 2 턱 받침대(S8)은 마스크와 사용자의 얼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부분으로, S3은 S8과 18 mm로 얼굴에 돌출된 길이가 같거나 S3이 S8보다 1 mm에서 10 mm 높게 제조하여 얼굴의 밑에서 위로 갈수록 약간 벌어지게 되어 마스크의 착용으로 인한 답답함을 보다 줄 일 수 있다. 도 2는 상기 특징을 설명하는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일 구현예에서, 본원발명의 마스크는 제 1몸체에 마스크의 제 1 격자무늬부 (S4)와 마스크의 제 2 격자무늬부(S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격자무늬부와 제 2 격자무늬부는 빗살무늬일 수 있다. 이는 마스크를 고급스럽게 보이는 역할을 한다.
일 구현예에서, 밴드 접합부(S5)는 밴드(S6)와 마스크를 융착하는 부분이다. 상기 융착하는 방법은 초음파 융착, 진동 융착, 레이저 융착 및 열융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밴드 접합부(S5)는 융착하지 않고 구멍을 뚫어서 밴드를 상기 구멍에 통과시켜 고정시킨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밴드의 재질은 PET, PE, PP, PS 및 생분해성 PLA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제2 턱 받침대에서 상기 제1 턱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턱 받침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제1 몸체의 중심과 상기 제2 몸체의 중심을 연결하는 수직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돌출부에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경계 돌출부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수직방향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경계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일 구성인,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경계돌출부는 복수개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며, 상기 경계돌출부를 기준으로 돌출부들의 곡률반경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일정하지 않은 곡률반경을 가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돌출부들은 제1 돌출부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돌출부들은 제2 돌출부로 정의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들은 상기 제1 돌출부들 및 상기 경계 돌출부 대비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커버부의 경계지점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경계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일면 상에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경계 돌출부의 단면의 너비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면의 너비보다 큰,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각각 동일한 정도로 휘어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위생용 마스크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위생용 마스크의 외각부분까지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턱 받침대의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제 2 턱 받침대의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것인,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밴드접합부 및 밴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밴드접합부는 밴드와 연결부를 초음파 융착, 진동 융착, 레이저 융착 및 열융착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융착 방법으로 연결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각각 독립적으로PET, PP, PS 및 PLA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진공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은(Ag), 황화구리 (CuS) 또는 산화아연(ZnO)의 무기 항균제,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카본, PCMX (p-chloro-m-xylenol), DCOIT (4,5-dichloro-2-octylisothiazole-3(2H)-one [4,5-dichloro-2-octyl-2H-isothiazole-3-one], OPBA (o-Phenylenediamine) 및 징크피리치온의 유기 항균제가 함께 포함된, 위생용 마스크를 제공한다.
S1 : 마스크 커버부의 돌출부
S2 : 마스크 커버부의 돌출부를 제외한 면
S3 : 제 1 턱 받침대
S4 : 마스크의 제 1 격자무늬부
S5 : 밴드 접합부
S6 : 밴드
S7 : 마스크의 제 2 격자무늬부
S8 : 제 2 턱 받침대

Claims (15)

  1. 사용자의 침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박판형상의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일면 상에 돌출되어 제공되는 제1 턱 받침대를 포함하는 제1 몸체; 및
    상기 제1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고, 일면 상에 돌출되어 제공되는 제2 턱 받침대를 포함하는 제2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 1 턱 받침대와 상기 커버부가 인접하는 중심 영역에서 상기 커버부의 외곽부분까지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턱 받침대에서 상기 제1 턱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를 상기 커버부의 일면 상에 곡선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돌출부에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위생용 마스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영역은 상기 제2 턱 받침대에서 상기 제1 턱 받침대를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턱 받침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위생용 마스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중심 영역에서 상기 제1 몸체의 중심과 상기 제2 몸체의 중심을 연결하는 수직방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생용 마스크.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경계 돌출부에 의해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수직방향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경계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일 구성인,
    위생용 마스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일정하지 않은 곡률반경을 가진 복수의 영역들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돌출부들은 제1 돌출부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영역 내에 배치되는 상기 돌출부들은 제2 돌출부로 정의되는,
    위생용 마스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들은 상기 제1 돌출부들 및 상기 경계 돌출부 대비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커버부의 경계지점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위생용 마스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경계 돌출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일면 상에 돌출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경계 돌출부의 단면의 너비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의 단면의 너비보다 큰,
    위생용 마스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개로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각각 동일한 정도로 휘어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위생용 마스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위생용 마스크의 내측 영역에서 상기 위생용 마스크의 외각부분까지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위생용 마스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턱 받침대의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는 제 2 턱 받침대의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돌출되는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것인,
    위생용 마스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는 밴드접합부 및 밴드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위생용 마스크.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접합부는 밴드와 연결부를 초음파 융착, 진동 융착, 레이저 융착 및 열융착 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융착 방법으로 연결되는, 위생용 마스크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PET, PP, PS 및 PLA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진공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위생용 마스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각각 독립적으로 은(Ag), 황화구리 (CuS) 또는 산화아연(ZnO)의 무기 항균제, 트리클로산, 트리클로카본, PCMX (p-chloro-m-xylenol), DCOIT (4,5-dichloro-2-octylisothiazole-3(2H)-one [4,5-dichloro-2-octyl-2H-isothiazole-3-one], OPBA (o-Phenylenediamine) 및 징크피리치온의 유기 항균제가 함께 포함된, 위생용 마스크.
KR1020200136697A 2020-10-21 2020-10-21 일회용 위생 마스크 KR10227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97A KR102278095B1 (ko) 2020-10-21 2020-10-21 일회용 위생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697A KR102278095B1 (ko) 2020-10-21 2020-10-21 일회용 위생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095B1 true KR102278095B1 (ko) 2021-07-16

Family

ID=7715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697A KR102278095B1 (ko) 2020-10-21 2020-10-21 일회용 위생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09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011B1 (ko) 2010-08-10 2011-02-08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헤드셋 타입의 위생 마스크
KR20120013171A (ko) 2010-08-04 2012-02-14 박경수 입가림 마스크
KR101444864B1 (ko) 2012-10-22 2014-09-26 (주) 코스모스웨이 안경형 위생 마스크 및 안경 장착용 위생 마스크
KR20150142321A (ko) 2014-06-11 2015-12-22 심규성 위생마스크
KR20160024766A (ko) * 2014-08-26 2016-03-07 씨우 니 리 마스크
KR101983370B1 (ko) 2018-02-12 2019-05-28 김인종 이엽 위생 마스크
KR20190071071A (ko) 2017-12-14 2019-06-24 (주)예인 위생마스크
KR20200030332A (ko) * 2018-09-12 2020-03-20 코오롱머티리얼 주식회사 마스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3171A (ko) 2010-08-04 2012-02-14 박경수 입가림 마스크
KR101012011B1 (ko) 2010-08-10 2011-02-08 주식회사 케이메이트 헤드셋 타입의 위생 마스크
KR101444864B1 (ko) 2012-10-22 2014-09-26 (주) 코스모스웨이 안경형 위생 마스크 및 안경 장착용 위생 마스크
KR20150142321A (ko) 2014-06-11 2015-12-22 심규성 위생마스크
KR20160024766A (ko) * 2014-08-26 2016-03-07 씨우 니 리 마스크
KR20190071071A (ko) 2017-12-14 2019-06-24 (주)예인 위생마스크
KR101983370B1 (ko) 2018-02-12 2019-05-28 김인종 이엽 위생 마스크
KR20200030332A (ko) * 2018-09-12 2020-03-20 코오롱머티리얼 주식회사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1757B1 (ko) 일회용 마스크
US20060000006A1 (en) Protective ear appliance
JP4277006B2 (ja) ダイビング・フェイス・マスク用ストラップ
US20230264052A1 (en) Openable mask
US6745397B2 (en) Eye shade
US5435006A (en) Eye mask
KR102278095B1 (ko) 일회용 위생 마스크
JP4681759B2 (ja) 目元化粧用具
US20050132469A1 (en) Cap
KR100753436B1 (ko) 긴머리 가발
KR102632131B1 (ko) 일회용 마스크
US2936600A (en) Adhesive earring construction
KR101875323B1 (ko)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JP3226830U (ja) マスクの耳掛け構造及びマスク
KR102240573B1 (ko) 취식가능한 구조의 위생마스크
KR101872866B1 (ko) 마스크팩커버
JP3159668U (ja) 飛沫噴出を防ぐマスク
KR102438268B1 (ko) 코 마스크
KR102330550B1 (ko) 걸이끈 조절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0391202Y1 (ko) 컷트보
JP7007004B1 (ja) マスク用の耳掛け紐、及びマスク
JP3237594U (ja) 衛生マスク
KR200497556Y1 (ko) 얼굴을 작게 보이기 위한 마스크
KR102341027B1 (ko) 개폐형 마스크의 커버부 및 이를 이용한 개폐형 마스크
KR20160088149A (ko) 다중 머리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