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5323B1 -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 Google Patents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5323B1
KR101875323B1 KR1020170034862A KR20170034862A KR101875323B1 KR 101875323 B1 KR101875323 B1 KR 101875323B1 KR 1020170034862 A KR1020170034862 A KR 1020170034862A KR 20170034862 A KR20170034862 A KR 20170034862A KR 101875323 B1 KR101875323 B1 KR 101875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base
wig
hair
fing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팔
박웅준
박창준
Original Assignee
박종팔
박웅준
박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팔, 박웅준, 박창준 filed Critical 박종팔
Priority to KR1020170034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41G3/0016Fastening thereof by adjusting or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8Bases for wigs made of a fram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41G5/0006Toupées covering a bald portion of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인의 경우 머리숱의 양이나 두발 상태 등을 고려하고, 탈모자의 경우 탈모상태나 두발건강상태, 탈모 부위 등을 고려하여 핑거로드의 장착 간격과 핑거로드의 형태를 선택 구현함으로써, 자연스럽고 착용자에게 적합하며 다양한 헤어스타일 연출이 가능한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가모가 식재되는 식모부재로 이루어진 가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호형을 이루는 헤어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모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전후 측부를 따라 배치되는 핑거로드와, 상기 핑거로드에 구비되는 가모 식재용 핑거중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식모부재는 장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Description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IMPROVEMENT WIG OF HAIR BAND TYPE}
본 발명은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어밴드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의 양측부에 핑거형 식모부가 배치됨은 물론, 핑거형 식모부에 대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장착 간격 조절 및 다양한 형태의 식모부 장착이 가능함으로써, 착용자의 특성에 맞게 설정할 수 있어 자연스럽고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한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가발은 선천적인 유전으로 성인이 되어 머리카락이 탈모되거나, 신체적인 장애가 발생하여 심한 탈모 증세로 인하여 머리카락이 적거나 없어서 보기 싫을 때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머리의 외형과 그 형태가 비슷한 표피에 실제모발 또는 인공 모발을 직조하여 제작한다.
근자 들어 스트레스의 증가 내지는 환경 변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탈모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이러한 추세에 부합하여 탈모를 방지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각종 탈모방지 제품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탈모를 방지하기 위한 각종 탈모방지 제품은 원칙적으로 탈모를 방지하는 데는 그 한계성이 있어 상기 탈모 방지제품의 지속적인 개발여부와는 관계없이 탈모인구는 점점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미 탈모가 상당히 진행된 사람은 탈모로 인한 외모 콤플렉스를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발을 착용하게 되는데, 지금까지의 가발은 그 형태가 검은색이나 살색의 망사부로 이루어진 가발베이스에 모발을 심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가발을 머리에 썼을 때 사용자 자신의 머리카락과 가모와의 색상이나 굵기 또는 형태에 차이가 나타나게 되어 가발을 착용한다하더라도 외부적으로 볼 때 자연스럽게 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912935호인 베이스부와 식모라인 만으로 제공되는 부분가발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베이스부와 식모라인만으로 제공되어 부분가발 구조를 이루되, 베이스부는 스킨컬러베이스부에 인공 또는 천연모발이 식모되어 전면은 꺽임부를 갖고 후면은 라운드부를 형성하여 착용자의 가름마 부위나 또는 볼륨연출부로 제공되고, 식모라인부는 가발모가 식재된 제1식모라인 및/또는 제2식모라인이 베이스부의 전면 양측부에 ∪자형이나 타원형으로 감싸는 구조로 부착 및 제공됨으로 통풍성과 자모와의 섞임 효과를 갖도록 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12935호(2009.08.12.등록) 문헌 2. 대한민국등록실용 제20-0460389호(2012.05.10.등록)
본 발명은 헤어밴드형 베이스와, 이의 양측부를 따라 배치되는 식모부와, 베이스와 식모부 간의 상호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장착수단을 마련하여 착용자의 특성에 맞게 적합하고 다양한 형태의 가발 설계가 가능한 한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식모부에 요철부를 마련하여 식재된 가모가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등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본인모와 가모가 자연스럽게 한데 어울릴 수 있도록 한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가모가 식재되는 식모부재로 이루어진 가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호형을 이루는 헤어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모부재는 상기 베이스의 전후 측부를 따라 배치되는 핑거로드와, 상기 핑거로드에 구비되는 가모 식재용 핑거중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식모부재는 장착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은,
베이스와, 이의 양측부를 따라 배치되는 식모부(핑거로드)와, 베이스로부터 식모부의 탈부착을 위한 장착수단을 마련하며, 일반인의 경우 머리숱의 양이나 두발 상태 등을 고려하고, 탈모자의 경우 탈모상태나 두발건강상태, 탈모 부위 등을 고려하여 핑거로드의 장착 간격과 핑거로드의 형태를 선택 구현함으로써, 자연스럽고 착용자에게 적합하며 다양한 헤어스타일 연출이 가능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을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을 나타낸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에 대한 요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에서 다른 예의 장착수단을 나타낸 요부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은,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되고 가모가 식재되는 식모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우선, 상기 베이스(10)는 머리에 착용 시 머리의 외형과 대응되게 호형을 이루는 헤어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결국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10)는 이의 양단(兩端)이 머리의 양쪽 귀 측에 위치하도록 머리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감안하여 둥근 아치(arch) 형태를 가지면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니 아니하고 베이스(10)의 중단에서 양단 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 등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식모부재(20)는 상기 베이스(10)의 전후 측부를 따라 배치되는 핑거로드(21)와, 상기 핑거로드(21)에 구비되는 가모 식재용 핑거중계부(2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식모부재(20)는 장착수단(30)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데,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장착수단(30)은
상기 베이스(10)의 전후 측부를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는 끼움부(31), 그리고
상기 핑거로드(21) 단부(端部)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1)에 억지 끼움되는 돌출형 대응끼움부(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31)와 상기 대응끼움부(32) 각각은 단면이 삼각이나 사각 등의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사각이면서 상기 끼움부(31)의 상하 내벽에 요입형 함몰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대응끼움부(32)에서 상기 함몰부(3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함몰부(33)와 암수 결합되도록 돌출형 융기부(34)가 더 형성됨으로써, 상기 끼움부(31)에 대한 상기 대응끼움부(32) 억지 끼움 시 상기 융기부(34)가 상기 함몰부(33)와 암수 결합되면서 상기 끼움부(31)와 상기 대응끼움부(32) 간의 결합력을 더 높일 수 있다.
이상의 결합 구조를 통해서 상기 베이스(10)에 상기 핑거로드(21)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핑거로드(21)의 회전 동작이 제한됨으로써, 본 발명의 개량가발 착용 시 식모나 본인모가 엉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33)와 상기 융기부(34)는 상기 끼움부(31)와 상기 대응끼움부(32) 각각의 일면에만 형성되도록 하여 장착 시 상기 핑거로드(21)의 상하가 뒤집혀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의 [가]는 핑거로드(21) 단부 측 일부 입체 구성도이고, 도 3의 [나]는 핑거로드(21) 단부 측 일부 평면 구성도이며, 도 3의 [다]는 핑거로드(21) 단부 측 일부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의 [라]는 핑거중계부(22)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입체 구성도이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핑거중계부(22)에 식재된 가모의 슬립(slip)을 방지하게 되는 다수의 요철부(2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23)는 상기 핑거로드(21)의 양측부를 따라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핑거로드(21)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상하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요철부(23)는 상기 핑거로드(21)의 양측부를 따라 형성되는 경우,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도브테일(dove-tail)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핑거중계부(22)에 의해 식재된 가모나 상기 핑거중계부(22)가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등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고, 나아가 가모와 본인모 간의 자연스러운 섞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핑거중계부(22)는 모노사 또는 면사, 합사와 같이 가모를 엮어 식재할 수 있는 실이면 족하며, 이러한 상기 핑거중계부(22)는 상기 요철부(23) 사이사이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핑거로드(21)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의 [다]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 또는 이들 모두는 하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고 상면이 둥근 아치(arch) 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 모두가 하면이 상방으로 볼록하고 상면이 둥근 아치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짐으로써, 머리에 착용 시 머리 외형에 맞게 밀착됨은 물론 좀 더 자연스럽고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는 머리에 상기 베이스(10) 착용 시 머리의 외형과 대응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는 각기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상기 베이스(10)의 중단부(中端部)에서 양단부(兩端部) 측으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짧아지게 배치됨으로써, 더욱 더 자연스럽고 다양한 헤어스타일의 연출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는 착용자의 상태나 헤어스타일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10)에 장착되는 수량을 조절하여 장착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베이스(10)에 좁은 간격으로 상기 핑거로드(21) 장착 시 가모만으로도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고, 반대로 넓은 간격으로 상기 핑거로드(21) 장착 시 가모와 본인모가 한데 어울려서 보다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이때 좁은 간격이란,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끼움부(31) 마다 상기 핑거로드(21)를 장착함으로써, 핑거로드(21)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는 것을 의미하고,
넓은 간격이란,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끼움부(31)에 상기 핑거로드(21)를 장착하되, 사이사이를 비워두는 형태로 상기 핑거로드(21)를 장착함으로써, 핑거로드(21) 간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장착수단(30)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의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착용자의 머리 크기나 굴곡 등을 고려하여 이에 맞는 핑거로드(21)를 제작 준비하여 장착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탈모 부위를 고려하여 각기 다른 길이를 갖는 핑거로드(21)들 중 적절한 길이의 핑거로드(21)를 선택하여 장착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가]는 다른 예의 장착수단(30')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평면 구성도이고, 도 4의 [나]는 다른 예의 장착수단(30')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단면 구성도이며, 도 4의 [다] 및 [라]는 핑거로드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 구성도이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예의 장착수단(30')이 마련될 수 있는데,
다른 예의 장착수단(30')은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서 하방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되 측방으로 개구된 진입공간부(35)와,
상기 진입공간부(35)에서 측방 측에 상기 진입공간부(35)와 연통되면서 측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핑거로드(21)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공간을 갖는 장착공간부(36)와,
상기 장착공간부(36)의 양 측벽에 좌우 길이를 갖는 형태로 형성되는 장홈(37)과,
상기 핑거로드(21)의 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홈(37)의 단면 공간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슬라이더(38)와,
상기 진입공간부(35)에 끼워지고 이웃한 상기 베이스(10) 표면과 동일한 표면을 갖는 마감부재(39)
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재(39)는 상기 진입공간부(35)에 끼워진 상태에서 마찰로 인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진입공간부(35)로 상기 핑거로드(21)의 단부가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끼워지게 되고,
도 4의 [다]에서와 같이, 상기 진입공간부(35)의 바닥에 상기 핑거로드(21)의 단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측방 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장착공간부(36)로 상기 핑거로드(21)의 단부가 진입하게 되며, 이때 상기 슬라이더(38)도 함께 진입하면서 상기 장홈(37)에 끼워지게 되고,
도 4의 [라]에서와 같이, 상기 진입공간부(35)에서 상기 핑거로드(21)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 영역을 차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마감부재(39)가 끼워지며, 이때 특히 마감부재(39)의 하단이 상기 핑거로드(21)의 단부를 지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핑거로드(21)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베이스
20 : 식모부재
21 : 핑거로드
22 : 핑거중계부
23 : 요철부
30 : 장착수단
31 : 끼움부
32 : 대응끼움부
33 : 함몰부
34 : 융기부

Claims (4)

  1.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되고 가모가 식재되는 식모부재(20)로 이루어진 가발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호형을 이루는 헤어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모부재(20)는 상기 베이스(10)의 전후 측부를 따라 배치되는 핑거로드(21)와, 상기 핑거로드(21)에 구비되는 가모 식재용 핑거중계부(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식모부재(20)는 장착수단(30)에 의해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핑거중계부(22)에 식재된 가모의 슬립(slip)을 방지하게 되는 다수의 요철부(2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30)은 상기 베이스(10)의 전후 측부를 따라 요입되게 형성되는 끼움부(31)와, 상기 핑거로드(21) 단부(端部)에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31)에 억지 끼움되는 대응끼움부(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 또는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 또는 이들 모두는 아치(arch) 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는 머리에 상기 베이스(10) 착용 시 머리의 외형과 대응되게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식모부재(20)의 핑거로드(21)는 각기 서로 다른 길이를 갖고, 상기 베이스(10)의 중단부(中端部)에서 양단부(兩端部) 측으로 갈수록 점차 길이가 짧아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KR1020170034862A 2017-03-20 2017-03-20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KR101875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62A KR101875323B1 (ko) 2017-03-20 2017-03-20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62A KR101875323B1 (ko) 2017-03-20 2017-03-20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323B1 true KR101875323B1 (ko) 2018-07-05

Family

ID=62920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862A KR101875323B1 (ko) 2017-03-20 2017-03-20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3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01Y1 (ko) * 2018-07-25 2018-11-19 송현서 개선된 붙임 머리
KR20180003352U (ko) 2018-11-12 2018-11-30 황태영 증모 클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632B1 (ko) * 2008-09-25 2009-03-20 서혜영 탈부착 고리를 갖는 헤어밴드형 부분가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632B1 (ko) * 2008-09-25 2009-03-20 서혜영 탈부착 고리를 갖는 헤어밴드형 부분가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901Y1 (ko) * 2018-07-25 2018-11-19 송현서 개선된 붙임 머리
KR20180003352U (ko) 2018-11-12 2018-11-30 황태영 증모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315B1 (en) Hair extension system and method
US20100192965A1 (en) Expandable Wig
KR101875323B1 (ko)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KR101650167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0750833B1 (ko) 구두의 착용감이 향상되게 한 뒤꿈치 보형물 내 쿠션부재
US3015105A (en) Safety face mask
KR101166331B1 (ko) 가발을 구비한 헤어밴드
KR101104768B1 (ko) 헤어용품
JP4681759B2 (ja) 目元化粧用具
KR100753436B1 (ko) 긴머리 가발
KR200476298Y1 (ko) 형상 변형이 용이한 귀형상의 장식물이 구비된 헤어밴드
KR101625054B1 (ko) 롤링 포니테일 가발
KR101625048B1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101097286B1 (ko) 머리띠형 부분가발
US9894974B2 (en) Hair accessory
US20130298927A1 (en) Dual comb hair accessory having planar stretch elements with embedded decorative designs
KR101207455B1 (ko) 남성용 가발
KR200490151Y1 (ko) 포니테일 가발
KR101279891B1 (ko) 헤어용품
KR101745248B1 (ko)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개량가발
JP7030314B1 (ja) 衛生マスク用サポート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KR20200038840A (ko)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
KR200355051Y1 (ko) 볼륨 업 가발
KR200190831Y1 (ko) 두건이 구비된 헤어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