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891B1 - 헤어용품 - Google Patents

헤어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9891B1
KR101279891B1 KR1020110072606A KR20110072606A KR101279891B1 KR 101279891 B1 KR101279891 B1 KR 101279891B1 KR 1020110072606 A KR1020110072606 A KR 1020110072606A KR 20110072606 A KR20110072606 A KR 20110072606A KR 101279891 B1 KR101279891 B1 KR 101279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mber
pair
hair
core materi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449A (ko
Inventor
황철원
Original Assignee
황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철원 filed Critical 황철원
Priority to KR1020110072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891B1/ko
Priority to PCT/KR2011/005540 priority patent/WO2013012116A1/ko
Publication of KR20130011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36Hair straps; Hai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용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람의 뒷머리 및 양쪽 옆머리를 둘러싸며 사람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사람의 양쪽 옆머리를 눌러주는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는 탄성변형 가능한 와이어에 의해 상기 밴드부의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 심재 및, 상기 심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심재는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와이어부재 및 제2와이어부재로 분할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품을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용품{Hair goods}
본 발명은 헤어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용품은 미적 감각 및 개성 추구를 위해 일상에서 착용하는 헤어핀, 헤어띠 등의 장식용은 물론, 헤어스타일(hair style)을 다듬기 위한 미용보조기구, 세안시 머리카락이 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안보조기구, 레저활동시 등에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헤어보호용 등 여러가지 용도가 있다.
이와 같은 헤어용품은 헤어스타일의 다양한 창출 및 변화 등에 대응하여 다양한 미적 감각 및 개성 추구, 편의성 향상 등을 위해, 새로운 용도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옆머리 및 뒷머리를 용이하게 눌러줄 수 있는 헤어용품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람의 뒷머리 및 양쪽 옆머리를 둘러싸며 사람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사람의 양쪽 옆머리를 눌러주는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는 탄성변형 가능한 와이어에 의해 상기 밴드부의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 심재 및, 상기 심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심재는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와이어부재 및 제2와이어부재로 분할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품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심재는 상기 밴드부의 상측단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측단부 및, 상기 밴드부의 하측단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 하측단부, 그리고 상기 상측단부와 하측단부의 양쪽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상하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부재는 상기 상측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상측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부재는 상기 하측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상측부 나머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심재의 한 쌍의 상하연결부는 적어도 상기 제1와이어부재와 상기 제2와이어부재의 연결부분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심재의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상측단부와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연결부분, 하측단부와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연결부분이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재의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상측단부, 하측단부 연결부분 이외 부분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심재는 상기 제1와이어부재 및 제2와이어부재가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와이어부재 및 제2와이어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는 관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심재의 관형부재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부분이 전 길이에 걸쳐 절개될 수 있다.
상기 밴드부에는 사람의 양쪽 귀에 각각 걸어질 수 있도록 한 쌍의 귀걸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은 뒷머리 및 양쪽 옆머리를 눌러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다양한 헤어스타일(hair style)를 추구하기 위해 머리손질이나 장식용 등으로서 유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은 귀에 걸쳐질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착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은 심재가 상하로 제1와이어부재, 제2와이어부재로 분할 형성됨으로써 심재의 와이어 벤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어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적용 모식도.
도 2는 사시도.
도 3은 정면도.
도 4는 측면도.
도 5는 평면도.
도 6은 심재의 사시도.
도 7은 심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어용품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심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은 사람의 양쪽 옆머리를 눌러줄 수 있도록 착용 가능토록 이루어진 밴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100)는 기본적으로 사람의 양쪽 옆머리를 눌러줄 수 있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옆머리 누름부(B1)를 포함하며, 아울러 한 쌍의 옆머리 누름부(B1)가 사람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옆머리 누름부(B1)를 연결하며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된 연결부(B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밴드부(100)의 연결부(B2)는 사람의 뒷머리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밴드부(100)의 한 쌍의 옆머리 누름부(B1)와 연결부(B2)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함께 탄성변형가능토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은 사람의 양쪽 귀(4)에 각각 걸어질 수 있도록 밴드부(100)의 양 앞쪽 끝단(102B)으로부터 뒤쪽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하측단이 개방된 한 쌍의 귀걸이홈(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을 귀걸이홈(110)에 귀(4)가 걸리도록 머리(2)의 뒤쪽에 착용하면, 밴드부(100)가 뒷머리 및 양쪽 옆머리를 밑으로 내리거나 또는 위로 올려주기 위해 눌러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은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뒷머리(2) 및 양쪽 옆머리는 눌러주는 헤어스타일(hair style)(예컨대, 모히칸(mohican)스타일 등)를 다듬는 등 머리손질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즉, 머리가 짧은 사람(특히 남성)의 머리손질에 있어, 항상 가시같이 지저분하게 뻗치는 옆머리은 모히칸(Mohican)스타일이나 스파이키스타일 등과 같은 입체적이고 개성있는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트렌디(trendy)한 멋 혹은 깔끔한 멋을 추구하는데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보편적으로 서양인은 작고 갸름한 얼굴과 가늘과 부드러운 모발을 가진데 반해, 동양인은 넓적한 얼굴과 굵고 억세 모발을 가지고 있어 옆머리가 잘 뜨는 편이다. 참고로 모히칸스타일은 일명 축구선수인 베컴의 이름을 딴 베컴머리라고도 불리는 스타일로서, 머리의 좌우를 짧게 깍거나 삭발을 하여 가운데 부분만 기르는 헤어스타일을 말한다. 스파이키스타일은 앞머리를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머리를 완전히 위로 올리는 스타일을 말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을 일정시간 머리에 착용하면, 밴드부(100)에 의해 뒷머리 및 옆머리에 압박이 가해짐으로써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뒷머리 및 옆머리가 눌려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옆머리 및 뒷머리가 뜨는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됨으로써 머리손질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은 머리손질을 위한 왁스나 젤 등의 헤어보조용품이나 펌, 스트레이트 등의 미용관리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이나 시간 등의 측면에서 월등히 우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은 머리손질 중 숏커트(short cut)를 할 때, 머리(2) 길이를 맞추는데도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은 일반적인 헤어밴드나 두건 등과 같이 장식용으로도 유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은 밴드부(100)가 양쪽 옆머리 및 뒷머리(2)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밴드부(100)의 앞쪽 끝단 사이의 거리(100A)가 밴드부(100)의 최대 폭(100B)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머리(2)에 착용가능하지만, 귀걸이홈(110)에 의해 귀(4)에 걸쳐짐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으며, 귀(4)부분에서의 과도한 압박감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스타일을 다듬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기 위해, 머리(2)의 하부를 폭넓게 눌러줄 수 있도록 상하방향의 너비(100T)가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밴드부(100)는 상하방향 너비(100T)가 밴드부(100)의 상측단(102C)의 최대 폭(100B)의 1/2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00)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밴드부(100)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θ1)로 경사질 수 있다. 즉 사람의 머리둘레는 일반적으로 귀 위쪽부분이 귀 아래쪽부분보다 더 큰데, 이에 대응하여 밴드부(100) 또한 상측 둘레가 하측 둘레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밴드부(100)가 머리(2) 형상에 최대한 가깝게 형성되어 머리(2)에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00)의 앞쪽 끝단(102B)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뒤쪽으로 소정의 각도(θ2)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밴드부(100)가 양쪽 옆머리를 눌러주더라도 얼굴에 간섭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귀걸이홈(110)의 후방(112)은 사람의 귀바퀴 뒤쪽을 감싸도록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사람의 귀바퀴는 뒤쪽이 후방을 향해 볼록한데 이에 대응하여 귀걸이홈(110)의 후방(112)이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이 안정적으로 부드럽게 착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이 뒷머리(2)에 올바르게 착용될 수 있도록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귀걸이홈(110)의 전방(114)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앞쪽으로 소정의 각도(θ3)로 경사질 수 있다. 즉, 귀걸이홈(110)의 전방(104)이 귀 앞쪽을 압박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으로 인한 불편함, 압박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귀걸이홈(110)의 상단(116)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귀에 대응하여 상측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은 다양한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밴드부(100)는 탄성변형가능한 와이어(예컨대,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의해 밴드부(100)의 윤곽을 형성하는 심재(104) 및, 심재(104)를 피복하는 외피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심재(104)가 탄성변형용이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헤어용품(10)이 머리(2)에 맞춰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재에 의해 심재(104) 및 사람의 머리(2), 얼굴을 보호할 수 있으며, 외피재의 다양한 디자인에 의해 미적 감각 및 개성을 추구할 수 있다.
여기서 외피재는 직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충격완화 및 푹신푹신한 착용감 등을 위해 밴드부(100)는 외피의 내부에 충진된 탄성을 갖는 쿠션(cusion)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재는 탄성을 가진 소재라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며, 예컨대 스폰지, 고무, 종이, 발포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밴드부(100)는 소재 자체가 탄성변형이 용이한 실리콘, 플라스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심재(104)는 없어도 무방하다.
미설명도면부호 '102A'는 밴드부(100)의 양 앞쪽 끝단(102B) 사이의 중앙지점이며, '102D'는 밴드부(100)의 하측단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헤어용품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밴드부(100)는 탄성변형가능한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밴드부의 윤곽을 형성하는 심재(미도시) 및, 밴드부(10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심재가 탈의 가능토록 심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외피재는 심재를 피복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가지며, 심재의 탈의, 피복이 가능토록 주머니 등과 같이 내부공간의 일부분이 개봉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외피재의 개봉된 부분(102h)에는 피복한 심재의 은닉 등을 위해 외피재의 개봉된 부분(102h)가 가능토록 지퍼(103)가 달릴 수 있다. 이외에도 외피재에는 외피재의 개봉된 부분(102h)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다면 단추, 후크 등 다양한 용품이 달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외피재는 심재의 피복, 탈의에 용이토록 직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직물과 같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소재이든 무방하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심재에 관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심재(104)는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와이어부재(210) 및 제2와이어부재(220)로 분할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성을 취하는 것이 와이어의 벤딩 작업의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심재(104)는 제1와이어부재(210) 및 제2와이어부재(220)로 분할 제작되어 일체로 결합됨에 있어, 와이어의 벤딩 작업이 용이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심재(104)는 밴드부의 상측단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측단부(104a) 및, 밴드부의 하측단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 하측단부(104b), 그리고 상측단부(104a)와 하측단부(104b)의 양쪽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상하연결부(104c,104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심재(104)를 위해, 제1와이어부재(210)는 상측단부(104a) 및 한 쌍의 상하연결부(104c,104d)의 상측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제2와이어부재(220)는 하측단부(104b) 및 한 쌍의 상하연결부(104c,104d)의 상측부 나머지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와이어부재(210)와 제2와이어부재(220)가 상하로 분할 구성됨에 따라, 제1와이어부재(210)가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2와이어부재(220) 또한 좌우 대칭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제1와이어부재(210)와 제2와이어부재(220)의 벤딩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심재(104)의 한 쌍의 상하연결부(104c,104d)는 적어도 제1와이어부재(210)와 제2와이어부재(220)의 연결부분이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1와이어부재(210)와 제2와이어부재(220)의 결합에 있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심재(104)는 제1와이어부재(210)와 제2와이어부재(220)의 연결부분 이외는 모두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사람의 두상에 맞춰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즉, 심재(104)의 상측단부(104a) 및 하측단부(104b), 상측단부(104a)와 한 쌍의 상하연결부(104c,104d)의 연결부분, 하측단부(104b)와 한 쌍의 상하연결부(104c,104d)의 연결부분이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고, 심재(104)의 한 쌍의 상하연결부(104c,104d)의 상측단부(104a), 하측단부(104b) 연결부분 이외 부분이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심재(104)는 제1와이어부재(210)와 제2와이어부재(220)의 본드나 용접 등에 의해 접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다음과 같이 제1와이어부재(210) 및 제2와이어부재(220)가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제1와이어부재(210) 및 제2와이어부재(220)와 일체로 결합되는 관형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제1와이어부재(210)와 제2와이어부재(220)의 결합력을 높이고 보강하며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또한, 관형부재(230)에 의한 결합에 의해, 제1와이어부재(210)와 제2와이어부재(220)를 겹쳐서 결합하지 않아도 된다.
심재(104)의 관형부재(230)는 심재(104)의 제1와이어부재(210) 및 제2와이어부재(220)와 다양한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작업(P)에 의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심재(104)의 관형부재(230)는 제1와이어부재(210), 제2와이어부재(220)가 용이하게 삽입되며 제1와이어부재(210), 제2와이어부재(220)에 견고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부분이 전 길이에 걸쳐 절개된 절개라인(230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2; 머리 4; 귀
10; 헤어용품 100; 밴드부
104; 심재
110; 귀걸이홈

Claims (7)

  1. 사람의 뒷머리 및 양쪽 옆머리를 둘러싸며 사람의 머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사람의 양쪽 옆머리를 눌러주는 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는 탄성변형 가능한 와이어에 의해 상기 밴드부의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 심재 및, 상기 심재를 피복하는 외피재를 포함하고;
    상기 심재는 하나의 라인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제1와이어부재 및 제2와이어부재로 분할 형성되어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상기 밴드부의 상측단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 상측단부 및, 상기 밴드부의 하측단 윤곽에 대응되게 형성된 하측단부, 그리고 상기 상측단부와 하측단부의 양쪽 끝단을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상하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와이어부재는 상기 상측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상측부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와이어부재는 상기 하측단부 및 상기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상측부 나머지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한 쌍의 상하연결부는 적어도 상기 제1와이어부재와 상기 제2와이어부재의 연결부분이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품.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상측단부와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연결부분, 하측단부와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연결부분이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심재의 한 쌍의 상하연결부의 상측단부, 하측단부 연결부분 이외 부분이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상기 제1와이어부재 및 제2와이어부재가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와이어부재 및 제2와이어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는 관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심재의 관형부재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 부분이 전 길이에 걸쳐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품.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는 사람의 양쪽 귀에 각각 걸어질 수 있도록 한 쌍의 귀걸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용품.
KR1020110072606A 2011-07-21 2011-07-21 헤어용품 KR10127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06A KR101279891B1 (ko) 2011-07-21 2011-07-21 헤어용품
PCT/KR2011/005540 WO2013012116A1 (ko) 2011-07-21 2011-07-27 헤어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06A KR101279891B1 (ko) 2011-07-21 2011-07-21 헤어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49A KR20130011449A (ko) 2013-01-30
KR101279891B1 true KR101279891B1 (ko) 2013-06-28

Family

ID=4784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606A KR101279891B1 (ko) 2011-07-21 2011-07-21 헤어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9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310A (ko) * 2015-06-16 2016-12-26 (주) 컨템포 남자 전용 겔펌제를 이용한 퍼머방법과 그 겔펌제 및 겔펌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665B1 (ko) * 2013-04-25 2014-02-24 권영해 다운펌 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267B1 (ko) * 1997-10-18 2000-06-01 이순호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KR200386248Y1 (ko) * 2005-03-07 2005-06-10 김충기 착용이 안전한 마스크
KR200408636Y1 (ko) * 2005-11-21 2006-02-10 최남열 헤어스타일 보호구
KR20090058763A (ko) * 2007-12-05 2009-06-10 김재성 귀걸이홈이 형성된 스포츠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267B1 (ko) * 1997-10-18 2000-06-01 이순호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KR200386248Y1 (ko) * 2005-03-07 2005-06-10 김충기 착용이 안전한 마스크
KR200408636Y1 (ko) * 2005-11-21 2006-02-10 최남열 헤어스타일 보호구
KR20090058763A (ko) * 2007-12-05 2009-06-10 김재성 귀걸이홈이 형성된 스포츠형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310A (ko) * 2015-06-16 2016-12-26 (주) 컨템포 남자 전용 겔펌제를 이용한 퍼머방법과 그 겔펌제 및 겔펌제 제조방법
KR101874961B1 (ko) * 2015-06-16 2018-08-02 (주) 컨템포 남자 전용 겔펌제를 이용한 퍼머방법과 그 겔펌제 및 겔펌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49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77879S1 (en) Toboggan hat for long hair styles
KR101104768B1 (ko) 헤어용품
JP3199442U (ja) ユーザーによる調節可能なヘッドバンド
KR101392845B1 (ko) 인조속눈썹 및 인조속눈썹 제작방법
US20110036370A1 (en) Hair volumizing accessory
KR20110078384A (ko) 마스크 팩
KR101279891B1 (ko) 헤어용품
KR200459012Y1 (ko) 머리카락를 눌러주는 헤어밴드
KR100753436B1 (ko) 긴머리 가발
KR101625054B1 (ko) 롤링 포니테일 가발
US20130263879A1 (en) Hair volumizer and method of use
KR101625048B1 (ko) 앞머리용 부분 가발
KR20160059377A (ko) 브러쉬 내장형 화장용구
KR20130011445A (ko) 헤어용품
KR20140005538A (ko) 헤어드라이어가 가능한 옆머리 누름장치
KR101346675B1 (ko) 아이라인이 형성된 인조속눈썹
JP4328901B1 (ja) 理美容用フェースカバー
JP6949351B2 (ja) 頭部着用具
KR200437115Y1 (ko) 헤어밴드
WO2013012116A1 (ko) 헤어용품
CN205267344U (zh) 自助剪发头套
KR102003324B1 (ko) 곡률 조절이 가능한 모자
KR101625044B1 (ko) 슬림형 통가발
KR101718451B1 (ko) 턱,볼처짐 및 주름 개선시트
KR101366665B1 (ko) 다운펌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