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267B1 -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 Google Patents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267B1
KR100246267B1 KR1019970054118A KR19970054118A KR100246267B1 KR 100246267 B1 KR100246267 B1 KR 100246267B1 KR 1019970054118 A KR1019970054118 A KR 1019970054118A KR 19970054118 A KR19970054118 A KR 19970054118A KR 100246267 B1 KR100246267 B1 KR 100246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newborn
holding means
long hair
re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2918A (ko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순호
Priority to KR1019970054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267B1/ko
Publication of KR19990032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의 머리에 착용시켜 본연의 장구머리를 유지시키기 위한 신생아용 장구머리 유지기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 머리, 특히 후두부, 양 측두부 및 양 두정 하부를 주로 감싸도록 형성된 일체형과 이 일체형을 귀 주위 및 가장자리 부분을 천으로 하는 (2분형) 두 종류로 이마 두정부 및 턱부등에 이탈방지와 조절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신생아 머리에 착용시키면, 신생아의 눕는 자세와 무관하게 장구머리가 유지된다. 또한, 신생아가 옆으로 누우면 자연적으로 장구머리가 되는 것을 감안하여 후두부 외표에 돌출하는 부재를 임으로 착탈할 수 있는 수단을 예비하여 홀더만으로 미흡하다고 생각될 때 돌출 부재를 장착하여 신생아가 항상 옆으로 누어지게 유도한다.

Description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본 발명은 신생아 본연의 장구머리를 그대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구머리 유지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들은 일상 생활에서 유아(어린애)들을 보고 “예쁘다”,“잘생겼다”하며 칭찬을 아끼지 않는다. 그러면서 머리 모양도 살피며 칭찬한다. 그러나, 납작 머리 등 너무 뒤틀린 경우에는 함구한다. 이는 우리들이 장구머리 형태를 가장 좋아하기 때문이다. 이는 바로 창조 본연의 모습인 것이다.
변형된 경우를 보고 듣고 산모들이 장구머리로 키우기를 원하고 엎어 키우다가 때로는 질식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우리는 어떻게 하면 그런 사고 없이 우리가 원하는 장구머리로 키울 수가 있을까 하는데 그 동기가 되며 신생아에게 아무 지장 없이 장구머리로 자랄 수 있도록 장구머리 유지기를 제공하여 본연의 장구머리를 이루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는 모두 태아때 복중에서 장구머리로 자라 태어났다. 분만중 위치 이상으로 다소 변형되는 경우도 있다. 신생아 두위는 평균 32.7 내지 33.4cm로 첨부된 도면 중에서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관골의 미완성으로 두개골이 무르며 이 두개관골은 주로 전두골(A), 양 두정골(B), 양 측두골(D) 및 후두골(C)로 이루어지며, 각 골간의 연결은 거상선으로 결합하여 이를 봉합이라 한다.
가장 중요한 봉합으로는, 양 측 두정골(B)간의 시상 봉합(I), 전두인(A)과 양 두정골(B)간의 관상봉합(G) 및 두정골(B)과 후두인(C)간의 삼각봉합(H) 등이며, 두개 측벽에 관골 전두 봉합, 설상 전두 봉합, 측두 두정봉합, 인상 봉합, 두정 유양 봉합 등도 있다.
또한, 신생아는 이들 봉합이 미완성으로 약하며 뼈들 사이에 단지 결체 조직막으로 덮여진 곳이 있는데 이를 신문이라 하여 그 안에 대동맥지의 맥박이 보이거나 촉지된다.
이 외표에 있는 이들 신문은 전두신문(대신문)(E), 후두신문(소신문)(F), 유양신문(J) 및 설상신문(L)등이 있다. 그중 장구머리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후두신문(F)으로 생후 10주에 폐쇄된다. 다른 신문들은 더 장기간이 소요되며 이 기간중 신생아 두위는 약5cm 정도 자란다. 이와 같이 신생아 머리가 어릴수록 무르고 약해 변형되기 쉬운 기간인 2개월간 신생아 머리를 적당히 감싸고 조절하여 장구머리 그대로 유지시키는 기구다.
신생아는 기본적으로 후두골이 돌출한 장구머리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신생아는 두개관골의 미완성으로 머리가 무르고 약해서 초기 화골되는 과정에서 누워있는 위치에 따라서 후두부 등에 지속적인 압박으로 납작머리 또는 많이 틀어지는 변형이 종종 발생한다. 이는 어릴수록 변형이 잘된다. 이런 것들을 보고 장구머리로 키우기 위하여 엎어 키우다가 질식 사고로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를 감안하여, 신생아에게 아무 피해없이 장구머리를 유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신생아 본연의 장구머리 유지를 위한 수단으로 장구머리 유지기를 제공하여 우리가 원하고 바라는 아름다운 머리 모양을 이루게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이 확인바 바로는, 신생아의 머리 형상을 출생시의 모양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기구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예를 들면, 한국 실용 신안 공고 공보 제95-6718호 및 공개 공보 제94-21868호에는, 장구 머리를 교정하고 또한 외부 충격이나 질식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유아용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유아용 베개는 유아 머리 주변을 감쌀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를 구비한다. 본체는 전방, 상방, 측방 및 후방의 내피와 외피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주머니와, 상기 주머니 내부에 삽입된 복수개의 패드와, 베개의 전방에 유아의 안면 부위보다 돌출되는 돌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유아 머리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은 완충될 수 있으나, 유아 머리와 베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점에 미루어 볼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유아의 장구머리 유지는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믿어진다.
실용 신안 공고 공보 제95-10707호 및 공개 공보 제95-26547호에는 유아의 두개골에 과도한 자극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아용 베개가 개시되어 있다. 제95-10707호 공보에 개시된 유아용 베개는 통기성이 양호한 쿠션 패드, 커버 및 보조 커버를 사용하므로써 유아가 질식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95-26547호 공보에 개시된 베개는 “0”자형 프레임을 베개 내부에 설치하므로서, 베개의 중앙부분이 사람 머리모양과 유사한 형상이 된다.
그러나, 이들은 다 베개에 관한 것으로 장구머리 유지는 이룰 수 없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신생아의 두개골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
제2(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의 착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b)도는 제2(a)도에 도시된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에 가이드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2(c)도는 제2(a)도의 평면도.
제2(d)도는 제2(b)도의 평면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분형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의 착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3(b)도는 제3(a)도에 도시된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에 가이드 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4(a)도는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감합될 수 있는 장방형 가이드 부재의 종방향 정면도.
제4(b)도 및 제4(c)도는 각각 제4(a)도의 측면도 및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2 : 본체 10 : 가이드 부재
14,16,18,20 : 고정편 32 : 통기구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는 후두부, 양 측두부 및 양 두정하부를 커버하여, 본연의 장구머리 형상을 그대로 유지토록 형성된 일체형과 이 일체형의 귀 주위 및 가장자리 부분을 직물로 하는 두 종류로 구성되며, 양 측두부에 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한 쌍의 타원형 개구를 갖는다. 또한, 면직 안감을 두며 수많은 통기구를 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써 착용 상태의 장구머리 유지기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탄력성이 좋고 가벼우며 색상을 임의로 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4개의 고정편(14,16,18,20)으로 구성된다. 또한, 후두부에 가이드 부재(10)를 착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는 신생아가 옆으로 누우면 자연적으로 장구머리가 되는 것을 감안하여 앞의 유지기만으로 미흡할 경우 돌출 가이드 부재를 장착하여 (구성하여) 애가 항상 옆으로 누어지게 유도한다.
이 가이드 부재(10)의 높이는 2.5cm, 5cm, 7cm 3 종류로 이루어지며, 외후두 중심부에 종방향으로 걸이부 및 소켓 또는 소켓만으로 온전히 고정하며, 고도를 조정한다. 이는 확실히 신생아를 옆으로 누어지게 한다.
또한, 가이드 부재(10)는 제4(a)도 내지 제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할 수 있도록 저면에 4개의 플러그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바,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는 면파스너로 본체부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중 가장 쉬운 방법은 가이드 부재를 면파스너로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홀더는 양측두부 및 후두부를 약간 두께를 더해 탄력과 강도를 조절하여 애가 바로 누울때에도 양측부두가 물러나지 않도록 잘 감싸는데 작용토록 한다.
또한, 유지기 주변 이마와 두정부, 턱부 등에 고정편을 두어 이탈 방지와 착용 상태를 조절한다. 이러한 고정편들은 탄력과 색상을 임의로 할 수 있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넓이는 0.2 내지 0.3cm로 양단은 모두 면파스너를 겸비하여 고정편을 어느 곳에나 직접 또는 반전 접착 고정이 가능하다. 이는 구멍과 고리부와 면파스너를 동일한 곳에 두어 겸용하므로 매우 편리하며 필요시 따로 면직물을 덧입힐 수도 있다. 이는 고정편이 좁음으로 가능하다. 이것들은 다 착탈이 가능하며 고정편(14,16,18)은 상호 결합하여 이동 방지와 착용 상태를 보다 확고히 한다.
또한 턱부의 고정편은 양쪽 귀밑을 연결하므로 만약의 경우 당겨질때에도 하악골 각부에 받쳐져 후두에 하등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이 고정편 턱부는 가느다란 것이 아니고 직물로 약간두껍게 형성되어 충격이 없으며 아울러 땀 흡수가 잘 되어 습진 등을 예방한다. 따라서 고정편(20)은 하등의 질식 위험이 없다.
또한, 고정편(20)은 양측 후경부로 연결될 경우 후두부에 어느 정도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고정편(22a, 22b, 22c, 22d)은 구멍과 걸이부와 면파스너를 이용하므로 장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홀더는 내면에 직물을 두어 땀을 잘 흡수케하여 촉감을 양호하게하며 수많은 통기구를 두어 애머리를 시원케 한다.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써, 간명성을 위하여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단, 제2실시예는 홀더 귀 주위와 가장자리 부분을 천으로 하는 2분형으로 본체(102)와 (4)가 연결되며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직물로 이루어지므로 신생아 머리에 보다 더 잘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2)와 천부분의 홀더(104)와 연결은 슬라이더 파스너 같은 것이나, 재봉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장구머리 유지기는 2개월 내지 2.5개월 사용하며 이는 후두신문 (소신문) 폐쇄기간이기도 하다. 이 기간중 신생아 두위는 약 5cm 정도 자람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구머리 유지기는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고 경량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할 때 신생아 머리의 변형을 방지하여 본연의 장구머리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신생아 머리의 적어도 후두부와 양 측두부를 감싸서 후두부의 형상이 출생초기의 형상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가장자리로부터 그 중심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유지 수단과; 상기 유지 수단에 형성되어 신생아 머리로부터 유지 수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리고 신생아 머리에 맞도록 유지 수단의 신생아 머리 수용 상태를 조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유지 수단은, 후두부를 감쌀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직물로 이루어진 홀더와, 머리를 어느 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신생아의 후두부에 대응하는 중심부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소정 높이의 가이드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에는 착용시 통기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한 단부가 유지 수단에 고정되며 다른 단부가 면파스너를 갖는 다수의 고정편을 구비하며, 상기 유지 수단의 어느 한 측면은 고정편의 자유 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면파스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KR1019970054118A 1997-10-18 1997-10-18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KR100246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118A KR100246267B1 (ko) 1997-10-18 1997-10-18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118A KR100246267B1 (ko) 1997-10-18 1997-10-18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18A KR19990032918A (ko) 1999-05-15
KR100246267B1 true KR100246267B1 (ko) 2000-06-01

Family

ID=1952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118A KR100246267B1 (ko) 1997-10-18 1997-10-18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2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91B1 (ko) * 2011-07-21 2013-06-28 황철원 헤어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858B1 (ko) * 2008-01-18 2008-05-06 이영준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KR101104768B1 (ko) * 2010-05-03 2012-01-12 황철원 헤어용품
KR200459012Y1 (ko) * 2011-07-22 2012-03-21 김대성 머리카락를 눌러주는 헤어밴드
KR101245817B1 (ko) * 2011-10-11 2013-03-21 임진호 다운파마용 헤어밴드 및 이를 이용한 다운파마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19U (ko) * 1985-07-12 1987-01-29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19U (ko) * 1985-07-12 1987-01-2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891B1 (ko) * 2011-07-21 2013-06-28 황철원 헤어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18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0576A (en) Visor-type mask for dentists
KR100826858B1 (ko)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US6470886B1 (e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headgear
US4492326A (en) Sling-type infant carrier
US3171133A (en) Protective helmet
US5950888A (en) Detachable activity flap
JP4250592B2 (ja) 患者支持面用ヘッドレスト
CN107427660B (zh) 颅骨抱紧器
US6016807A (en) TMJ tensioning device
US10897666B2 (en) Sound-attenua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8683614B2 (en) Pillow bib
US20080115788A1 (en) Ventilator mask attachment device with straps
KR100246267B1 (ko)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US7264603B2 (en) Orthopedic arm sling
US3741202A (en) Non slip retention means for use on a wearer s head
US20180021224A1 (en) Pacifier Holder ("PH") & Eye Cover ("EC" attachment)
ES2241617T3 (es) Colchon para soportar un bebe.
US20120148970A1 (en) Cushion Comfort Cushion System for use with Orthodontic Protraction Face Masks: The Naomi Pillow
US11938088B2 (en) Stress reducing, light blocking, sleeping mask to improve sleep and overall health
KR200200621Y1 (ko) 두개골 및 안면골을 성형시키는 헬멧
CA2300266A1 (en) Orthopedic helmet cap
CN214018112U (zh) 一种头部保护罩
JP3227739U (ja) マスク
US6487736B1 (en) Head support
CN212995815U (zh) 婴幼儿头型矫正枕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