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858B1 -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 Google Patents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858B1
KR100826858B1 KR1020080005556A KR20080005556A KR100826858B1 KR 100826858 B1 KR100826858 B1 KR 100826858B1 KR 1020080005556 A KR1020080005556 A KR 1020080005556A KR 20080005556 A KR20080005556 A KR 20080005556A KR 100826858 B1 KR100826858 B1 KR 100826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infant
outer shell
infants
protective ou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준
Original Assignee
이영준
주식회사 에임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준, 주식회사 에임메드 filed Critical 이영준
Priority to KR1020080005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858B1/ko
Priority to US12/863,552 priority patent/US20110132379A1/en
Priority to TW098101737A priority patent/TW200936114A/zh
Priority to PCT/KR2009/000239 priority patent/WO2009091207A2/ko
Priority to CN2009801091823A priority patent/CN101969892B/zh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83Splints for the neck or head
    • A61F5/05891Splints for the neck or head for the head, e.g. jaws, nos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영유아의 머리에 대해 최대한 적게 접촉되면서도 안정되게 착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두부의 꼭지부위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 틈새를 유지할 수 있어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납작머리증후군이나 후두부가 비뚤어진 사두증(Plagiocephaly)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동양인의 단두형 두개골 (Brachycephalic Cranium)을 자연스럽게 서양인의 주두형 두개골(Scaphocephalic Cranium)에 가까운 형태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두형교정기는 견고한 경질소재로서 착용시 타원형의 주두형으로 머리 뒷부분의 굴곡을 형성하며 양측의 단부는 영유아의 귀 윗쪽으로 돌출되어 귀이격돌부(12)를 형성한 보호외피체(10)(12a)(12b)와, 탄력있는 연질소재로서 보호외피체(10) 내측에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결합되면서 후두부의 꼭지부위를 직접 압박하지 않고 주두형의 굴곡형태로 후두부의 꼭지부위를 제외한 양쪽의 측두부에만 접촉되는 탄성내피체(30)(30a)(30b)와, 영유아의 머리 위쪽 부분에 띠형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보호외피체(10) 상측의 양쪽 단부에 결합 고정된 머리고정구(40)를 포함하여 제품 구성된다.
두형교정기, 반헬멧, 영유아, 주두형, 단두형, 납작머리증후군, 사두증

Description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Cranial Orthosis for Preventing Brachycephaly and Plagiocephaly in Infants}
본 발명은 영유아의 두개골 및 안면골 형태 교정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유아의 머리에 대해 최대한 적게 접촉되면서도 안정되게 착용될 수 있는 주두형 굴곡을 가진 반헬멧 형태로서 영유아가 똑바로 누었을 때나 비스듬하게 누었을 때 영유아의 후두부 꼭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 틈새를 유지할 수 있어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납작머리증후군과 후두부가 비뚤어지는 사두증(Plagiocephaly)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두부 꼭지부부위를 제외한 양쪽의 측두부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접촉되면서 단두형(Brachcephalic)의 두개골을 자연스럽게 서양인의 주두형(Scaphocephalic) 머리모양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사람의 두개골(Cranium) 형태는, 크게 전후방향으로 길고 좌우방향으로는 좁은 주두형(Scaphocephalic)과 좌우방향으로 넓고 전후방향은 짧은 형태의 단두형(Brachycephalic)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부분의 서구인은 주두형이고 동양인은 단두형에 가까운 특징을 보인다.
최근 주두형의 서구인 머리 및 얼굴 형태를 선호하는 경향에 따라, 신생아의 출생 시부터 잠자는 형태를 엎드려 재움으로써 머리의 측면이 자체 머리의 무게에 의한 반복적인 압력에 의하여 주두형의 머리 형태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이처럼 엎드려 재우는 자세에 의한 신생아 및 영아의 돌연사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체위에 의한 두개골의 형태 변형 또는 형태 교정의 위험성이 제기되어, 의료계에서는 신생아 및 영유아 시기에는 반듯이 눕혀 재울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한편, 출생 시부터 또는 출생 후 사고 등에 의해 머리의 형태가 고르지 못하게 된, 소위 사두증(비뚤어진 머리) 환아의 두형 교정치료를 위해 의료용구로서 특별 제작된 헬멧을 이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외국의 일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다.
즉, 도 10의 두개골 촬영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헬멧형 두형교정모를 착용하기 전의 영유아의 두개골이 한쪽으로 삐뚤어진 형태였으나, 수개월 이상 헬멧형 두형교정모를 착용함에 따라 두개골의 형태가 좌우대칭으로 고르게 변화된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소개되고 있는 헬멧형 두형교정모는 단단한 물질로 원하는 머리형의 단일층을 만든 다음, 체위성 사두증 환아의 머리에 씌워 놓고 헬멧의 모양에 맞추어 머리형태가 변형될 때까지 압박을 가하며 기다리는 것이다. 해외 특히, 북미지역에서 사용하는 헬멧은 두개골 교정용으로 두개골의 이상부위를 압박하는 형태이며 사두증의 교정이나 두개골 교정수술 후 보조기로 주고 사용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소개된 대부분의 두형교정모는, 소아가 누워서 자더라도 머리에 착용된 헬멧에 의해 납작한 뒷머리로 변형되는 납작머리증후군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 소아가 비스듬하게 잘 때 발생될 수 있는 좌우 뒷머리모양이 틀려지는 사두증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변형된 머리형태의 교정을 유도하기 위해 헬멧으로 머리에 능동적 압박을 가함으로써 뇌 등의 두부 장기발육에 이상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는 논란이 있으며, 더욱이 두개골을 압박하게 되는 헬멧 자체의 재질이 딱딱하여 2차적인 사두증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에 대해 전체적으로 씌어져 착용되는 형태임에 따라 착용 시 압박감이 높고 통풍성이 열악하여 사용이 많은 불편을 초래하였다.
또한 영유아기 이후의 소아에 착용하는 경우에는 장기간의 교정기간이 필요하고 기대한 교정효과를 충분히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으며, 가격 또한 미화 2,000-4,000달러(한화 200-400만원)의 고가로써 비용 부담이 상당히 크다는 등의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한편, 두개골의 형태가 전후방향으로 길고 좌우방향으로는 좁은 주두형의 서양 영유아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미국특허(US 5951503 A 또는 US 6939316 B2)의 두형교정기를 보면, 도 11 내지 도 12b(설명 편의상 원문 도면변경 없이 사용함)에서 보는 것처럼 딱딱한 외피(12)와 내피를 감싸는 부드러운 다수의 천층(48,50,52,54)과, 착용시 두개골의 양쪽 측면에 지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날개부(14)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기에 기본 구성이 착용 시 좀 더 안정된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두개골의 앞쪽 이마에 지지 고정되는 밴드형태의 머리고정구(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미국특허의 두형교정기는 도 12a 및 도 12b에서 보는 것처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매트리스 바닥에 똑바로 누웠을 때 서양인 영유아의 후두부 꼭지가 두형교정기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며, 또한 매트리스 바닥에 비스듬하게 누웠을 때에도 계속적으로 후두부의 꼭지가 두형교정기에 접촉될 뿐 날개부(14)가 위치한 양쪽 측두부 앞쪽과 상기 후두부 꼭지쪽 사이의 중간인 측두부 뒤쪽은 두형교정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 틈새(44)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이는 미국인을 포함한 대부분의 서양인의 경우, 두개골의 형태가 전후방향으로 길고 좌우방향으로는 좁은 주두형이므로 동양인의 단두형 두개골과 달리 똑바로 누웠을때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납작머리증후군의 치료 보다는, 소위 두개골이 한쪽으로 삐뚤어지는 사두증의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기 위한 구조로서 단두형의 동양인 영유아에게는 적용되기 곤란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두개골의 형태가 좌우방향으로 넓고 전후방향은 짧은 단두형의 동양인 영유아가 똑바로 누었을 때나 비스듬하게 누었을 때 구조적으로 영유아의 후두부 꼭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 틈새를 유지할 수 있어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납작머리증후군과 후두부가 비뚤어진 사두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후두부 꼭지부위를 제외한 양쪽의 측두부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접촉되면서 단두형의 두개골을 자연스럽게 서양인의 주두형 머리모양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개골과 얼굴 형태가 형성되는 결정적인 시기인 영유아기에 가장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영유아의 두개골 크기에 맞는 경질소재의 외피체와 말랑말랑한 연질소재의 내피체로 구성된 반헬멧 형태로 구조 개선시켜, 전체적으로 크기가 줄어든 단순화된 형태로서도 안정된 착용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시 압박감이 없고 통풍성도 우수하여 사용이 편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를 제공함에도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형태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견고한 경질소재의 외부구성인 외피체와는 달리 내부구성인 내피체가 탄력있는 연질소재로서, 기존의 의료용구로 개발된 헬멧형 두형교정모와 같이 영유아의 머리(특히 후두부)를 과도하게 직접 압박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영유아기의 어린 소아를 대상으로 주로 누워있을 때 자신의 머리 무게에 의해서만 전체적으로 두형교정기의 부드러운 탄성내피체로 압력이 가볍게 가해져 서양인에 가까운 주두형으로의 두개골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여, 머리모양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변형된 머리모양도 점진적으로 대칭형 및 주두형으로 교정할 수 있는 안전한 반헬멧 타입의 새로운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는, 기본적으로 견고한 경질소재로서 착용시 타원형의 주두형 형태로 머리 뒷부분의 굴곡을 형성하며 양측의 단부는 영유아의 귀 윗쪽으로 돌출되어 귀이격돌부를 형성한 보호외피체와, 탄력있는 연질소재로서 상기 보호외피체 내측에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결합되면서 후두부의 꼭지부위를 직접 압박하지 않고 주두형의 형태로 후두부의 꼭지부위를 제외한 양쪽의 측두부에만 접촉되는 탄성내피체와, 영유아의 머리 위쪽 부분에 띠형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외피체 상측의 양쪽 단부에 결합 고정된 머리고정구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제품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내피체는 단일구조로 구성될 경우, 착용시 머리의 뒷쪽 부분인 후두부로의 통풍성이 높아질 수 있도록 보호외피체와 서로 동일 위치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내피체는 복수구조로 구성될 경우에는, 착용시 후두부의 중앙부위와 틈새가 유지되면서 접촉되어 압박되지 않도록 중간 부분의 탄성내피체가 좌우 양쪽 부분의 탄성내피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두께(높이)로 형성되며, 이 역시 머리의 뒷쪽 부분인 후두부로도 자연스럽게 통풍될 수 있도록 보호외피체와 서로 동일 위치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외피체는 상측부위와 하측부위가 단일구조이거나 또는 이중결합구조로서 일체형성되되, 착용시 바닥과 접촉할 때의 안정성이 높아지도록 곡면형상인 내측면과 달리 바닥면과 접촉하는 외측면이 상대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호외피체는 양측 단부로 돌출된 귀이격돌부 내측에 대해 상기 탄성내피체의 양쪽 단부가 연장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탄성내피체와 유사한 두께로 일체 결 합되는 간격유지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반헬멧 타입의 두형교정기는 영유아의 머리 아래쪽인 턱부분에 걸림지지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간격유지구가 위치한 양쪽의 귀이격돌부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띠형태의 턱걸림구가 더 포함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반헬멧 형태로서 구조 개선된 본 발명의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는, 영유아의 머리에 대해 최소한의 면적으로 접촉되고 안정되게 착용될 수 있으면서도 내피는 견고한 외피와는 달리 탄력있는 형태로서 영유아의 머리를 직접 압박하지 않으면서 동양인의 단두형 두형을 자연스럽게 서양인에 가까운 주두형의 머리모양으로 성장 유도할 수 있으며, 머리의 전체적인 형태가 한쪽으로 비뚤어지는 사두증의 치료는 물론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납작머리증후증까지도 방지할 수 있다.
즉, 서양인의 특징인 주두형의 두개골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변형되는 사두증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된 통상 단면이 항아리형태인 서양인의 두형교정기와 달리, 좌우방향으로 넓고 전후방향은 짧으면서 특히 두개골의 후두부가 전두부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납작하여 납작머리증후군이 쉽게 발생될 수 있는 동양인의 단두형 두개골 형태 교정에 적합한 반원형태로서, 착용시 후두부의 꼭지부위를 제외한 양쪽의 측두부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두형교정기에 접촉되면서 자연스럽게 서양인의 주두형에 가깝게 영유아의 두형이 교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외피 및 내피가 탄력있는 형태로써 수면 중에 영유아의 머리 눌림을 구조적으로 막아 두형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변형된 두형을 교정할 수 있으며, 착용 시 압박감이 없어 편안하고 안정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후두부에 다수 관통시킨 통기공에 의해 통풍성도 우수할 뿐만 아니라, 영유아를 엎어 재우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돌연사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반헬멧형으로 크기가 줄어든 단순화된 형태로서도 안정된 착용상태가 유지되면서 서양인에 가까운 주두형 두형에 가까운 교정은 물론, 착용 시 압박감이 없고 통풍성도 우수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편의상 단일 또는 복수구조로 응용 구성될 수 있는 보호외피체(10)와 귀이격부(12) 및 탄성내피체(30)는 해당 실시예에 따라 분리된 복수번호로 기재하여 설명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은 소아의 성장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두개골의 기형적 변형이나 동양인에 있어 좌우방향으로 넓고 전후방향은 짧은 단두형 두형 변형에 대해 영유아기에 가장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반헬멧형 두형교정기이며, 특히 전후방향으로 길고 좌우방향으로는 좁은 서양인에 가까운 주두형 두개골의 형성을 수동적인 방식으로 안전하게 유도함으로서, 서구인들과 유사한 두개골 및 안면골 형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영유아기에 사용하는 반헬멧 타입의 새로운 두형교정기이 다.
즉, 영유아 두개골의 후면부 및 측면부 변형을 방지하여 두개골이 한쪽으로 비뚤어지는 사두증은 물론 동양인에게 쉽게 발생될 수 있는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납작머리증후군의 발생도 함께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적으로 머리 뒷부분과 측면 일부만을 감싸는 반헬멧 형태로서, 기본적으로 두형교정기의 중앙부위가 두개골의 후두부 중앙 꼭지부분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압박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주두형 굴곡의 반헬멧 타입으로 첨부한 실시예들의 도면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5와 도 6의 제품구조에서 보는 것처럼 다양한 형태로 제품 형성될 수 있다.
우선 도 1과 도 2의 기본 실시예에서 보는 것처럼, 전체의 형태를 유지하여 두개골 형태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외부구조체인 견고한 경질소재의 보호외피체(10)와, 착용시 상기 보호외피체(10)와 머리 뒷부분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게 되는 부드러운 연질소재의 탄성내피체(30)(30a)(30b)와, 영유아의 머리 위쪽부분을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머리고정구(4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 영유아의 턱부분에도 걸쳐져 보다 안정된 착용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턱걸림구(5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형교정기는 머리고정구(40)가 착용자인 영유아 머리의 귀 위쪽으로 안정되게 결속 지지될 수 있도록 보호외피체(10)의 양측 단부로 귀이격돌부(12)가 연장 돌출되고, 이들 양쪽의 귀이격돌부(12) 내측으로는 영유아 머리의 양쪽 측면과 안정되게 밀착 지지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구(40)가 부착됨을 기본으로 한다. 물론 상기 간격유지구(40)의 구성없이 상기 보호외피체(10)의 연장된 양측 단부의 귀이격돌부(12)까지 탄성내피체(30)가 함께 연장되어 상기 간격유지구(40)의 밀착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는 구성관계를 기본적으로 유지한다.
즉, 본 발명의 두형교정기는 영유아의 머리 전체를 직접 압박하지 않고 구조적으로 머리 뒤쪽 중앙부위에 해당되는 후두부의 꼭지부위를 제외한 양쪽의 측두부에만 면접촉되면서 머리 위쪽부분은 선접촉으로 지지되어 이탈방지 기능을 하는 최소한의 반헬멧 크기로 구성되는데, 영유아가 잠을 잘 때 바닥에 직접 접촉되어 압박되는 바깥쪽의 보호외피체(10)는 영유아의 머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안쪽의 부드러운 연질소재의 탄성내피체(20)와 달리, 딱딱한 경질소재로서 내측의 상기 탄성내피체(30)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양쪽 측부보다 중앙 후측이 상대적으로 날렵하게 좁아진 주두형으로 형성되며, 전방쪽으로 향하는 양쪽의 측면 단부는 영유아의 귀 위쪽으로 돌출되어 귀이격돌부(12)를 형성한다.
또한 보호외피체(10) 내측에 결합 구성되는 탄성내피체(30)는 탄력있는 부드러운 재질로서 이 역시 실질적으로 머리 뒷쪽의 중앙부위인 후두부의 꼭지부위와 양쪽의 측두부에만 접촉되도록 타원형의 주두형 형태로서 형성되며, 기본 실시예 중 도 1의 두형교정기에서는 상기 탄성내피체(30)가 보호외피체(10)와 같이 단일구조로서 형성되어 상기 보호외피체(10) 내측에 일체 결합된다. 물론 상기 보호외피체(10) 역시 탄성내피체(30)보다 상대적으로 큰 주두형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내측에 탄성내피체(30)가 일체 결합된 바깥쪽의 보호외피체(10)는 양측 단부로 귀이격돌부(12)가 연장 돌출되면서 착용시 영유아의 귀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 상측 중간부위에 일정폭의 띠형상으로 머리(두개골) 위쪽부분에 선접촉되는 머리고정구(40)가 일체 결합된다.
그러나 제품의 보다 간단한 성형성 및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여 머리고정구(40)가 일체 결합되는 보호외피체(10)가 단일구조로 형성되지 않고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분리구조의 실시예에서 보는 것처럼, 상하 분리되어 상측의 보호외피체(10)(10b)에 상기 머리고정구(4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측의 보호외피체(10)(10b)가 하측의 보호외피체(10)(10a)와 일체 결합되는 구성관계를 이룰 수 있다. 물론 보호외피체(10)(10a)(10b)가 분리형성되어 일체결합되는 구성관계에서는 당연히 귀이격돌부(12)(12a)(12b)도 이들 상하측의 보호외피체에 각각 연장 돌출되어 일체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호외피체(10)의 양쪽 측면 단부에 돌출된 귀이격돌부(12)의 내측에는 탄성내피체(30)와 유사한 두께의 간격유지구(20)를 별도 구성시켜 본 발명의 두형교정기를 착용하는 영유아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간격유지구(20)의 별도 구성없이 상기 탄성내피체(30)가 보호외피체(10)의 귀이격돌부(12)까지 연장 구성되어 일체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두형교정기는 상기한 기본 실시예의 제품 구조로서도 도 9의 사용상태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별다른 문제없이 영유아의 머리에 착용시켜 머리의 눌림을 막아 두형의 변형방지 및 교정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유아의 머리에 대해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된 착용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영유아의 머리 아래쪽인 턱부분에 걸림 지지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띠형태의 턱걸림구(50)가 추가적으로 부착 구성될 수 있다.
즉, 탄성내피체(30)와 유사한 두께로 간격유지구(20)가 형성되어 보호외피체(10)의 양쪽 귀이격돌부(12) 내측에 각각 일체 결합되고, 상기 귀이격돌부(12)보다 아래쪽에 띠형태의 턱걸림구(50)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물론 상기 턱걸림구(50)는 귀이격돌부(12) 아래쪽에 힌지결합이 아닌 다양한 탈부착 형태로서 적용될 수 있으며, 중간에는 접촉되는 영유아의 턱부위에 부드럽게 마찰 지지될 수 있도록 별도의 결속유지띠(52)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두형교정기는 바깥쪽으로 노출된 보호외피체(10)의 외측면이 영유아의 머리가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안쪽의 상기 탄성내피체(30)와 같이 기본적으로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되나, 필요에 따라서는 착용시 바닥면에서 흔들리지 않고 안정되게 놓여질 수 있도록 상기 보호외피체(10)의 저부(16)를 평평하게 변경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관계로서 주두형 굴곡을 가진 반헬멧 타입으로 제품 형성되는 본 발명의 영유아용 두형교정기는 견고한 재질의 보호외피체(10)가 외부의 형태를 지지하여 두개골 형태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며, 탄성을 갖는 부드러운 재질의 탄성내피체(30)는 착용 시 상기 보호외피체(10)와 영유아의 머리 뒷부분 및 측면 사이에서 완충작용, 머리고정, 통기 및 땀흡수 등의 역할을 하면서 불필요한 압박을 주지 않아 안전한 교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주두형 반헬멧 타입의 영유아용 두형교정기는 반듯이 누운 영유아의 머리에 착용하였을 때 도 3a 및 도 3b의 작동상태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탄성내피체(30)의 완충작용을 통해 보호외피체(10)의 굴곡 위에 머리가 얹혀지고 외부의 강제적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자신의 머리 무게에 의한 자연스러운 압력이 가해지면서, 비대칭적으로 변형되었거나 단두형 머리모양이 견고한 상기 보호외피체(10)의 주두형 굴곡에 맞도록 점차 대칭적이고 부드러운 타원형의 주두형 머리모양으로 교정되어 갈 수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단두형의 두개골 후두부가 탄성내피체(30) 및 보호외피체(10)의 중앙부위에 대해 일정간격으로 틈새가 유지될 수 있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는, 영유아가 두형교정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똑바로 누었을 때나 비스듬하게 누었을 때 구조적으로 영유아의 후두부 꼭지부위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일정 틈새를 보다 확실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구성관계는 도 1의 실시예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단일구조의 보호외피체(10) 내측에 일체 결합되는 탄성내피체(30)가 복수구조로서 후두부의 중앙부위가 구조적으로 좀 더 확실하게 이격되어 틈새가 유지될 수 있도록, 중간 부분의 탄성내피체(30)(30a)가 좌우 양쪽부분의 탄성내피체(30)(30b)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두께(높이)로 형성되어 제품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역시 도 4a 및 도 4b의 작동상태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영유아가 두형교정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똑바로 누었을 때나 비스듬하게 누었을 때, 구조적으로 후두부의 중앙부위가 양쪽의 탄성내피체(30)(30b)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중간쪽 부분의 탄성내피체(30)(30a)와 약간의 틈새를 유지하면서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압박되지 않아 두개골의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두개골 뒤쪽의 중앙부위인 후두부의 꼭지부위를 제외한 양쪽의 측두부가 전체적으로 중간 부분의 탄성내피체(30)(30a)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 좌우 양쪽부분의 탄성내피체(30)(30b)에 골고루 접촉되면서 영유아의 두개골을 자연스럽게 서양인의 주두형 머리모양으로 유도할 수 있으며 두개골의 비대칭적인 변형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반헬멧 형태의 두형교정기는 도 5a 내지 도 6b의 응용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앙부위에 다수의 통기공(14a,14b)(32a,32b)을 형성시킴으로서 착용시 두개골 후두부로도 자연스럽게 통풍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 개선시킬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머리의 뒤쪽 부분과 위쪽 부분에 대해 각각 최소한의 크기로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내측에 탄성이 우수한 부드러운 재질의 탄성내피체(30)가 구성되고 외측에는 딱딱한 재질의 보호외피체(10)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반헬멧형 두형교정기는, 착용 후 구조적으로 통기성을 확실하게 제공하면서 나아가 영유아의 후두부가 납작해지는 것을 좀 더 확실히 방지하여 주두형의 두개골로 유도할 수 있도록 바깥쪽의 보호외피체(10)는 안쪽의 탄성내피체(30)와 함께 서로 동일위치에 다수의 통기공(32a,32b)(14a,14b)이 각각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기존의 헬멧형 두형교정기에 비해 획기적으로 크기가 줄어든 구조로서도 안정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시 압박감도 줄이고 통풍성도 높일 수 있도록 보호외피체(10)와 탄성내피체(30)에 함께 관통 형성시키는 통기공(14a,14b)(32a,32b)은 공기가 부드럽게 통과될 수 있는 기본적으로 장방형의 유선형으로서, 중간 부위의 통기공(14a)(32a)이 넓고 위아래쪽의 통기공(14b)(32b) 이 상대적으로 좁게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기능과 형태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두형교정기에 관통 형성되는 전체 통기공(14a,14b)(32a,32b)은 형태에 관계없이 보다 많은 수의 통기공을 관통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응용 실시예 역시 도 8a 및 도 8b의 작동상태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영유아가 두형교정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닥(매트리스)에 똑바로 누었을 때나 비스듬하게 누었을 때, 착용자인 영유아의 두개골 후두부가 탄성내피체(30) 및 보호외피체(10)의 중앙부위에 대해 기본적으로 일정간격으로 틈새가 유지되면서 비대칭적으로 변형되었거나 단두형인 머리모양이 견고한 보호외피체(10)의 주두형 굴곡에 맞도록 점차 대칭적이고 부드러운 타원형의 주두형 머리모양으로 교정되어 갈 수 있으며, 나아가 영유아의 후두부가 이들 탄성내피체(30)와 보호외피체(10)에 관통 형성시킨 장방형의 통기공(32a,32b)(14a,14b)을 통해 구조적으로 보다 확실한 통풍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반헬멧 타입의 영유아용 두형교정기에 대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두형교정기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바닥(매트리스)에 똑바로 누운 상태 및 비스듬하게 누운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두형교정기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바닥(매트리스)에 똑바로 누운 상태 및 비스듬하게 누운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응용 실시예에 의한 반헬멧 타입의 영유아용 두형교정기에 대한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의 실시예에 의한 두형교정기의 정면도와 측면도 및 분리상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5의 실시예에 따라 통기공을 갖는 두형교정기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바닥(매트리스)에 똑바로 누운 상태 및 비스듬하게 누운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두형교정기를 영유아의 머리에 착용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두형교정기 착용 전과 착용 후의 두개골 변화를 비교한 촬영사진.
도 11은 종래의 주두형 영유아용의 두형고정기에 대한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종래의 주두형 두형교정기를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바 닥(매트리스)에 똑바로 누운 상태 및 비스듬하게 누운 상태에서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a)(10b) : 보호외피체 12(12a)(12b) : 귀이격돌부
14a,14b,32a,32b : 통기공 20 : 간격유지구
30(30a)(30b) : 탄성내피체 40 : 머리고정구
50 : 턱걸침구 52 : 결속유지띠

Claims (7)

  1. 견고한 경질소재로서 착용시 타원형의 주두형 형태로 머리 뒷부분의 굴곡을 형성하며 양측의 단부는 영유아의 귀 윗쪽으로 돌출되어 귀이격돌부를 형성한 보호외피체와,
    탄력있는 연질소재로서 상기 보호외피체 내측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게 중간부분과 좌우 양쪽부분의 복수구조로 분리 형성되어 결합되면서 후두부의 꼭지부위를 직접 압박하지 않고 주두형의 굴곡 형태로 후두부의 꼭지부위를 제외한 양쪽의 측두부에만 접촉되도록 중간부분이 좌우 양쪽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두께)로 형성된 탄성내피체와,
    영유아의 머리 위쪽 부분에 띠형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외피체 상측의 양쪽 단부에 결합 고정된 머리고정구를 포함하여 제품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내피체는 머리 뒷쪽의 후두부로도 자연스럽게 통풍될 수 있도록 보호외피체의 중간부위와 서로 동일 위치의 중간부분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05556A 2008-01-18 2008-01-18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26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56A KR100826858B1 (ko) 2008-01-18 2008-01-18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US12/863,552 US20110132379A1 (en) 2008-01-18 2009-01-16 Head-Shape Remodelling Instrument
TW098101737A TW200936114A (en) 2008-01-18 2009-01-16 Cranial orthosis
PCT/KR2009/000239 WO2009091207A2 (ko) 2008-01-18 2009-01-16 두형 교정기
CN2009801091823A CN101969892B (zh) 2008-01-18 2009-01-16 头形矫正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556A KR100826858B1 (ko) 2008-01-18 2008-01-18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858B1 true KR100826858B1 (ko) 2008-05-06

Family

ID=39649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5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26858B1 (ko) 2008-01-18 2008-01-18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32379A1 (ko)
KR (1) KR100826858B1 (ko)
CN (1) CN101969892B (ko)
TW (1) TW200936114A (ko)
WO (1) WO2009091207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325A (ko) * 2017-05-17 2018-11-27 김은형 두상 교정 장치
KR102159199B1 (ko) 2020-03-10 2020-09-23 주식회사 영화의료기 유아 사두증 예방용 스마트 필로우
KR102159198B1 (ko) 2019-08-08 2020-09-23 주식회사 영화의료기 유아 사두증 예방용 스마트 필로우를 이용한 스마트 쿠션
KR102463670B1 (ko) * 2021-09-27 2022-11-04 주식회사 아이러브 내외피 분리제작형 두상 교정모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70035S1 (en) * 2012-07-03 2012-10-30 Mieth Bernd S Head restraint device
CN105555234B (zh) * 2013-06-21 2018-08-10 陶特产品有限责任公司 用于早产儿的头部定位辅助设备
TWI577296B (zh) * 2015-04-02 2017-04-11 Head helmet for head correction
CN105534630B (zh) * 2016-02-01 2017-10-24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婴儿智能头盔
CN105769409A (zh) * 2016-03-26 2016-07-20 周鹏 一种斜头矫形带
CN105796223B (zh) * 2016-05-13 2017-10-13 和炜方 头颅矫形器
US10561521B2 (en) 2017-03-30 2020-02-18 Cranial Technologies, Inc. Point of service method of manufacture of custom headwear
US10463525B2 (en) 2017-03-30 2019-11-05 Cranial Technologies, Inc Custom headwear manufactured by additive manufacture
US10710356B2 (en) 2017-03-30 2020-07-14 Cranial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point of service manufacture of custom cranial remodeling devices
US10682846B2 (en) * 2017-03-30 2020-06-16 Cranial Technologies, Inc. Point of service manufacturing method for custom cranial remodeling device
US10703084B2 (en) 2017-03-30 2020-07-07 Cranial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point of service manufacture of custom headwear
US10603203B2 (en) 2017-03-30 2020-03-31 Cranial Technologies, Inc. Custom cranial remodeling devices manufactured by additive manufacture
US10726617B2 (en) 2017-03-30 2020-07-28 Crani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e of custom headwear by additive manufacturing
US10846925B2 (en) 2017-03-30 2020-11-24 Crani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e of custom cranial remodeling devices by additive manufacturing
CN109199665A (zh) * 2017-06-29 2019-01-15 深圳市普天阳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术后头盔及制作方法
CN109674563A (zh) * 2019-02-26 2019-04-26 徐开寿 一种婴幼儿防畸形头部固定器
US11579119B1 (en) 2019-11-22 2023-02-14 Cypress In-Line Inspection, LLC Radial springs on sensor arms of pipeline inspection tool
CN113520689B (zh) * 2021-07-08 2022-08-12 曲靖市妇幼保健院 一种新生幼儿颅骨矫治器
JP7591281B2 (ja) 2021-09-15 2024-11-28 株式会社Berry 頭蓋形状矯正ヘルメット及び頭蓋形状矯正ヘルメットの製造方法
IL286516A (en) * 2021-09-19 2023-04-01 EYAL Naama Roller support accessor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324A (en) 1987-04-17 1988-10-11 The Children's Orthopedic Hospital And Medical Center Therapeutic and protective infant helmets
KR19990009035A (ko) * 1997-07-07 1999-02-05 정재호 두개골 및 안면골의 형태변형을 위한 헬멧
KR19990032918A (ko) * 1997-10-18 1999-05-15 이순호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US5951503A (en) 1996-09-30 1999-09-14 Pomatto; Jeanne K. Cranial orthosis band
US6939316B2 (en) 2003-07-14 2005-09-06 Infa-Safe, Inc. Cranial orthosis for preventing positional plagiocephaly in infants
KR20070087789A (ko) * 2005-11-30 2007-08-29 윤수한 두형 기형 예방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815A (en) * 1990-04-09 1993-01-12 Andujar Edward M Protective headgear
USRE36583E (en) * 1993-03-05 2000-02-22 Pomatto; R. Craig Cranial remodeling orthosis
US6423019B1 (en) * 1997-02-20 2002-07-23 Cleveland Clinic Foundation Cranial remodeling headpiece
US5918335A (en) * 1998-06-03 1999-07-06 Han; Tien-Hsi Baby pillow
US6665884B1 (en) * 2002-05-31 2003-12-23 Adams Usa Helmet with self-adjusting padding
US7430765B2 (en) * 2006-02-27 2008-10-07 The Boppy Company Infant hats, caps, bonnets, and hoods with padded pressure relief reg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324A (en) 1987-04-17 1988-10-11 The Children's Orthopedic Hospital And Medical Center Therapeutic and protective infant helmets
US5951503A (en) 1996-09-30 1999-09-14 Pomatto; Jeanne K. Cranial orthosis band
KR19990009035A (ko) * 1997-07-07 1999-02-05 정재호 두개골 및 안면골의 형태변형을 위한 헬멧
KR19990032918A (ko) * 1997-10-18 1999-05-15 이순호 신생아 장구머리 유지기
US6939316B2 (en) 2003-07-14 2005-09-06 Infa-Safe, Inc. Cranial orthosis for preventing positional plagiocephaly in infants
KR20070087789A (ko) * 2005-11-30 2007-08-29 윤수한 두형 기형 예방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RE36583 B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325A (ko) * 2017-05-17 2018-11-27 김은형 두상 교정 장치
KR102018421B1 (ko) 2017-05-17 2019-09-04 김은형 두상 교정 장치
KR102159198B1 (ko) 2019-08-08 2020-09-23 주식회사 영화의료기 유아 사두증 예방용 스마트 필로우를 이용한 스마트 쿠션
KR102159199B1 (ko) 2020-03-10 2020-09-23 주식회사 영화의료기 유아 사두증 예방용 스마트 필로우
KR102463670B1 (ko) * 2021-09-27 2022-11-04 주식회사 아이러브 내외피 분리제작형 두상 교정모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91207A3 (ko) 2009-10-22
US20110132379A1 (en) 2011-06-09
CN101969892B (zh) 2012-08-29
CN101969892A (zh) 2011-02-09
TW200936114A (en) 2009-09-01
WO2009091207A2 (ko)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858B1 (ko) 단두증 및 사두증 예방을 위한 영유아용 두형교정기
US6592536B1 (en) Corrective infant helmet
US6470886B1 (e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headgear
US10315001B2 (en) Cranium cuddler
JP4250592B2 (ja) 患者支持面用ヘッドレスト
KR20210061602A (ko) 코골이 방지 베개
CN101258972A (zh) 并入有用于防止和矫正婴儿非骨连接头颅畸形的头枕的床垫
US9220629B2 (en) Wearable airway supporting device
CN102316830B (zh) 并入有用于预防及矫正婴儿非骨性联接头颅畸形的头枕的床垫
US20150112238A1 (en) Neck braces
TW201434418A (zh) 頭盔型頸椎保護枕
KR200434837Y1 (ko) 허리 보호대
KR101456461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용 수면보조장치
US7566313B1 (en) Corrective infant headgear
CN112566591A (zh) 下颌角度支撑用辅助器及含其的下颌角度矫正装置
CN213128926U (zh) 一种枕头
KR20160001493U (ko) 밴드교정용구
US6487736B1 (en) Head support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JP2006068520A (ja) 枕と枕を利用した矯正技術
US9005149B1 (en) Spinal decompression and sleep therapy system
JP5418796B2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治療具
WO2009149375A1 (en) Headgear device and methods thereto
JP2012250012A (ja) 頚椎前屈保持装具
CN210612315U (zh) 颈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