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8840A -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 - Google Patents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8840A
KR20200038840A KR1020190060403A KR20190060403A KR20200038840A KR 20200038840 A KR20200038840 A KR 20200038840A KR 1020190060403 A KR1020190060403 A KR 1020190060403A KR 20190060403 A KR20190060403 A KR 20190060403A KR 20200038840 A KR20200038840 A KR 20200038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flat frame
hair
wearer
w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990B1 (ko
Inventor
박동근
Original Assignee
박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근 filed Critical 박동근
Publication of KR20200038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8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41Bases for wigs
    • A41G3/0058Bases for wigs made of a fram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08Fasten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기 탈모가 진행되는 남성에게 착용이 되는 가발에 관한 것으로, 이마부분에 착용자의 탈모진행정도에 따라 절개되는 제 1절개홈을 통해, 착용자의 자연모를 두상 평면 프레임 외부로 빼내어, 두상 평면 프레임에 사전 식모되어 있는 가발모가 자연모가 자연스럽게 얽히며 섞여지도록 함으로써, 남성의 앞머리 탈모 커버가 가능토록 한 것이며, 두상 평면 프레임을 이루는 제 1, 2, 3면이 머리면에 완전 밀착되어지면서 붙힘수단 역할을 하여, 두상 평면 프레임이 착용 후 상부로 말려 올라가지 않는 고정력을 가지도록 하여, 두상 평면 프레임을 착용자의 두상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A men's wig suitable for an initial level of hair loss that does not require much of a holding means}
본 발명은 초기 탈모수준에 별도의 붙힘수단없이 간편하고 손쉽게 착용이 가능한,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유전적, 환경적, 정신적 요소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두피의 모세혈관이 수축되면서 가려움 증세와 함께 두피조직으로부터 머리카락이 이탈되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현대인들의 말 못하는 고민거리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으며, 암환자 등과 같이 다량의 항생제를 복용하는 사람들 사이에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탈모에 대한 문제의 대안으로 대하여 일반적으로 약물을 두피에 도포하거나 섭취함으로 탈모현상을 치료하게 되지만, 치료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므로 우선적으로 가발을 사용하게 되며, 특히 탈모가 심한 경우는 머리에 착탈이 가능한 가발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가발은 패션을 위해 착용되는 것을 비롯하여, 선천적인 유전으로 성인이 되어 머리카락이 탈모되거나, 신체적인 장애가 발생하여 심한 탈모 증세로 인하여 머리카락이 적거나 없어서 보기 싫을 때에, 또는 사고를 당하여 머리에 큰 상처가 났을 때의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것으로, 머리의 외형과 그 형태가 비슷한 표피에 실제 모발 또는 인공 모발을 직조하여 제작된다.
더불어, 탈모로 인해 가발을 착용하게 되는 남성의 경우, 정수리 부분의 원형탈모부분은 커버가 가능하지만, 대다수의 남성들에게 많이 발생되는 이마쪽 M자 탈모부분에는 확실한 커버가 되지 않았기에, 이마부분의 커버하기 위해서는, 부분 가발을 다수 사용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고, 본래의 헤어와 가발부분이 타인에게 손쉽게 식별할 수 있다는 등의 큰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이렇나 기존의 가발들은 별도의 접착제나 착용자의 머리에 붙히기 위한 붙임수단이 별도로 필요하기에, 이를 사용하는 착용자는 착용시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가발의 베이스는 연질의 폴리우레탄 50중량%와 경질의 폴리우레탄 50중량%가 배합된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됨으로써, 부드러운 재질이지만 늘어나지는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시 늘어나지 않아 불편하다는 문제 또한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44099호(2013.03.0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남성의 초기 탈모시 손쉽고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남성용 가발에 관한 것이며, 사용자의 탈모가 발생된 앞머리 부위에 대응되어 사전에 절개한 제 1절개홈을 통해, 착용자의 자연모를 가발모와 섞으며 두상 평면 프레임의 상면에 자연스럽게 얹혀지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모발형태를 가지도록 하고,
이러한 두상 평면 프레임은 머리의 테두리, 정수리, 테두리와 정수리를 연결하는 제 1, 2, 3면이 머리면에 완전 고정됨으로써 붙힘수단으로 이용되어, 착용자의 두상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붙힘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두상 평면 프레임이 착용자의 두상에 용이하게 안착고정될 수 있도록 한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남성의 초기탈모시 사용되는 가발이며,
연질의 폴리우레탄 60중량%와 경질의 폴리우레탄 40중량%로 배합된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하며,
착용자의 두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되어지며,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가발모(H2)가 식모되기 위한 평면 베이스인 두상 평면 프레임(10);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에서 앞머리가 덮여지는 이마부에, 초기 탈모가 진행된 부분인 정수리에서 이마부를 향해 다수의 제 1절개홈(21)이 길게 절개형성되어, 착용자의 기존 자연모(H1)를 상기 제 1절개홈(21)로 빼내어, 제 1절개홈(21) 주변 두상 평면 프레임(10)에 사전 식모되어 있는 가발모(H2)와 섞어,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전면부가 덮어짐으로써, 착용자의 전면부 앞머리 탈모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전면 평면 프레임(20);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양옆에 빈공간의 제 2절개부(31)를 형성하여,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착용자의 양옆의 자연모(H1)가 위치되도록 하는 양면 평면 프레임(30);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후두부에 빈공간의 제 3절개부(41)를 형성하여,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착용자의 후두부의 자연모(H1)가 위치되도록 하는 후면 평면 프레임(40);으로 구성되며,
붙힘수단으로서,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두상 둘레에 링 형태로 접촉되는 제 1평면(a)과, 두상의 양측에서 제 1평면(a)에 양단부가 연결되되, 정수리 부분을 향해 형성되는 제 2평면(b)과, 상기 제 1평면(a)의 이마측과 제 2평면(b)을 연결시키는 제 1절개홈(21)의 나머지 부분인 제 3평면(c)을 길게 형성하여, 머리면에 밀착되도록 형성시키고,
착용된 두상 평면 프레임(10)이 착용자의 정수리측으로 말려올라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두상 평면 프레임(10)이 별도의 가발 붙힘수단이나 고정수단없이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두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 1절개홈(21)은 착용자의 앞머리 탈모정도에 맞춰, 가발모(H2)로 커버해야할 위치에 따라 크기 및 절개부분이 상이해지도록 하거나 또는 사전설정된 탈모유형에 따라 다수의 형태가 사전제작되어 착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남성의 초기 탈모시 손쉽고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두상 앞부분 탈모수준에 맞춰 두상 평면 프레임에 제 1절개홈을 절개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범위가 폭넓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절개홈을 통해 두상 평면 프레임의 외부로 빼내어진 자연모가, 두상 평면 프레임에 식모되어 있는 가발모와 섞이면서 자연스러운 모발의 효과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상 평면 프레임의 제 1절개홈 외부로 자연모가 빼내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면서,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양측과 후두부의 자연모는 그대로 외부에서 보일수 있도록 하도록 형상을 제작함과 동시에,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머리의 테두리, 정수리, 테두리와 정수리를 연결하는 제 1, 2, 3면이 머리면에 완전고정되면서, 착용자의 정수리측으로 말려 올라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붙힘수단 없이도, 가발이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두상 평면 프레임의 가발이 사전에 여러 크기 및 형태로 사전제작되어지고, 이에 사용자는 이러한 다수의 가발 중 하나를 착용하여, 자신의 두상에 별도의 붙힘수단없이 분리되지 않고 고정착용할 수 있는 크기의 가발을 바로바로 선택착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상 평면 프레임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상 평면 프레임 상면에서 자연모와 가발모가 섞여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발모가 식모된 두상 평면 프레임을 나타낸 일실시예이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m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남성의 초기탈모시 사용되는 가발이며,
연질의 폴리우레탄 60중량%와 경질의 폴리우레탄 40중량%로 배합된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가발모(H2)가 식모되기 위한 평면 베이스인 두상 평면 프레임(10);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에서 앞머리가 덮여지는 이마부에, 초기 탈모가 진행된 부분인 정수리에서 이마부를 향해 다수의 제 1절개홈(21)이 길게 절개형성되어, 착용자의 기존 자연모(H1)를 간단한 빗질로 상기 제 1절개홈(21)로 손쉽게 빼내어, 제 1절개홈(21) 주변 두상 평면 프레임(10)에 사전 식모되어 있는 가발모(H2)와 섞어,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전면부가 덮어짐으로써, 착용자의 전면부 앞머리 탈모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전면 평면 프레임(20);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양옆에 빈공간의 제 2절개부(31)를 형성하여,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착용자의 양옆의 자연모(H1)가 위치되도록 하는 양면 평면 프레임(30);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후두부에 빈공간의 제 3절개부(41)를 형성하여,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착용자의 후두부의 자연모(H1)가 위치되도록 하는 후면 평면 프레임(40);으로 구성되며,
붙힘수단으로서,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두상 둘레에 링 형태로 접촉되는 제 1평면(a)과, 두상의 양측에서 제 1평면(a)에 양단부가 연결되되, 정수리 부분을 향해 형성되는 제 2평면(b)과, 상기 제 1평면(a)의 이마측과 제 2평면(b)을 연결시키는 제 1절개홈(21)의 나머지 부분인 제 3평면(c)을 길게 형성하여, 머리면에 밀착되도록 형성시키고,
착용된 두상 평면 프레임(10)이 착용자의 정수리측으로 말려올라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두상 평면 프레임(10)이 별도의 가발 붙힘수단이나 고정수단없이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두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두상 평면 프레임(10)이 사전제작되어, 붙힘수단없이 분리되지 않는 크기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은 탈모가 진행되기 시작한 남성의 초기탈모시기에 사용되는 가발로써, 두상 평면 프레임(10), 전면 평면 프레임(20), 양면 평면 프레임(30), 후면 평면 프레임(40)을 포함한다.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가발모(H2)가 식모되기 위한 평면 베이스로, 이러한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사전제작되어 사용자가 직접 착용하면서 붙힘수단이 없이 두상에 밀착되는 것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연질의 폴리우레탄 60중량%와 경질의 폴리우레탄 40중량%로 배합된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착용자의 두상에 밀착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연질의 플라스틱 등)로 제작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색상은 두피와 유사하게 하는 등, 그 색상 또한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음이다.
이러한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우선적으로 착용자의 두상의 크기나 면적, 형상에 맞게 동일하게 제작되어진 후, 착용자의 초기탈모 수준 또는 사용자가 가발모(H2)로 커버를 원하는 부위에 따라, 후술될 전면 평면 프레임(20)(M자 탈모 등 착용자의 이마 및 이마와 인접한 머리 앞부분)에 제 1절개홈(21)을 다수 절개하도록 하고, 양면 평면 프레임(30)(두상의 양옆)에는 제 2절개부(31)를 다수 절개형성하고, 후면 평면 프레임(40)(뒷통수) 등 후두부)에는 제 3절개부(41)를 다수 절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전면 평면 프레임(20)은 전술된 두상 평면 프레임(10)에서, M자 탈모 등 착용자의 이마 및 이마와 인접한 머리 앞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즉, 두상 평면 프레임(10)에서 앞머리가 덮여지는 이마부에, 초기 탈모가 진행된 부분인 정수리에서 이마부를 향해 다수의 제 1절개홈(21)이 길게 절개형성되는 것으로, 머리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상, 하 방향으로, 일정면적으로 다수개가 상호간 이격되며 절개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착용자의 기존 자연모(H1)를 이러한 상기 제 1절개홈(21)로 빼내고, 제 1절개홈(21) 주변에 사전 식모되어 있는 가발모(H2)가 이러한 자연모(H1)와 섞이도록 빗어줌으로써,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전면부가 덮어지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전면부 앞머리 탈모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양면 평면 프레임(30)은 두상 평면 프레임(10)에서 착용자의 양옆에 빈공간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이러한 양옆에 제 2절개부(31)(빈공간)가 형성되어, 상기 제 2절개부(31)를 통해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착용자의 양옆 자연모(H1)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물론, 제 2절개부(31) 내 이러한 자연모(H1)는 제 2절개부(31) 주변에 사전 식모되어 있는 가발모(H2)와 섞여질 수 있음이다.
상기 후면 평면 프레임(40)은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후두부에 빈공간의 제 3절개부(41)를 형성하여,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착용자의 후두부의 자연모(H1)가 위치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물론, 제 3절개부(41) 내 이러한 자연모(H1)는 제 3절개부(41) 주변에 사전 식모되어 있는 가발모(H2)와 섞여질 수 있음이다.
즉, 본 발명에서의 남성 초기탈모 수준은 앞머리 탈모나 M자 탈모, 이마라인 탈모이기에, 전면 평면 프레임(20)에서는 다수의 제 1절개홈(21)을 통해 자연모(H1)를 외부로 빼내어 가발모(H2)와 섞어 사용하였지만, 양면 평면 프레임(30) 및 후면 평면 프레임(40)의 경우, 사용자가 양측과 후두부에는 탈모진행이 되지 않았기에, 착용자의 양측과 후두부에는 큰 빈공간으로 제 2절개부(31)와 제 3절개부(41)가 형성되는 것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제 2절개부(31)와 제 3절개부(41) 또한 착용자의 양측 또는 후두부에도 탈모가 진행되어, 가발모(H2)로 커버를 원한다면, 제 1절개홈(21)과 마찬가지로 탈모진행부분에 맞춰, 다수 절개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음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상기 제 1절개홈(21)을 통해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상면으로 빼내어지는 자연모(H1)가, 가발모(H2)와 얽혀 섞이면서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자연스러운 모발의 형태를 가지도록 하되, 자연모(H1)가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상부로 제 1절개홈(21)을 통해 빼어내지고,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이러한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붙힘수단으로서,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두상 둘레에 링 형태로 접촉되는 제 1평면(a)과(제 1평면(a)의 경우, 착용자의 후두부에 위치되는 부분은, 후두부에서 자연모(H1)가 있는 부분에 위치되어진다.), 두상의 양측에서 제 1평면(a)에 양단부가 연결되되, 정수리 부분을 향해 형성되는 제 2평면(b)과, 상기 제 1평면(a)의 이마측과 제 2평면(b)을 연결시키는 제 1절개홈(21)의 나머지 부분인 제 3평면(c)을 길게 형성하여, 머리면에 밀착되도록 형성시킴으로 인하여, 별도의 가발 붙힘수단이나 고정수단없이, 두상 평면 프레임(10) 착용 후 시간이 흐를수록 두상 평면 프레임(10)이 착용자의 정수리측(머리상부)으로 말려 올라가며 벗겨지는 않고, 착용시의 위치에서 확실하게 머리면에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경우, 다양한 크기 및 형태가 사전제작된 후, 사용자가 가발모(H2)로 커버를 원하는 부위를 제 1, 2, 3절개홈(21, 31, 41)으로 차후 절개하여 사용해야 할 것이며, 제 1, 2, 3절개홈(21, 31, 41) 형성 후, 남은 두상 평면 프레임(10) 일면에 가발모(H2)가 식모되어져야 할 것이다.
상기 제 1, 2, 3절개홈(21, 31, 41)은 착용자의 탈모정도에 맞춰, 가발모(H2)로 커버해야할 위치에 따라 크기 및 절개부분이 상이해질 수 있음이지만, 제작자가 사전에 탈모유형에 따라 다수의 형태(절개크기 및 형태)로 사전제작한 후, 이들을 집적 착용하며서 자신에 두상에 맞아 별도의 붙힘수단없이도 고정되는 것으로 착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두상 평면 프레임 20: 전면 평면 프레임
21: 제 1절개홈 30: 양면 평면 프레임
31: 제 2절개부 40: 후면 평면 프레임
41: 제 2절개부
H1: 자연모 H2: 가발모

Claims (1)

  1. 남성의 초기탈모시 사용되는 가발이며,
    연질의 폴리우레탄 60중량%와 경질의 폴리우레탄 40중량%로 배합된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어, 탄력적으로 늘어나는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가발모(H2)가 식모되기 위한 평면 베이스인 두상 평면 프레임(10);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에서 앞머리가 덮여지는 이마부에, 초기 탈모가 진행된 부분인 정수리에서 이마부를 향해 다수의 제 1절개홈(21)이 길게 절개형성되어, 착용자의 기존 자연모(H1)를 간단한 빗질로 상기 제 1절개홈(21)로 손쉽게 빼내어, 제 1절개홈(21) 주변 두상 평면 프레임(10)에 사전 식모되어 있는 가발모(H2)와 섞어,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전면부가 덮어짐으로써, 착용자의 전면부 앞머리 탈모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전면 평면 프레임(20);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양옆에 빈공간의 제 2절개부(31)를 형성하여,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착용자의 양옆의 자연모(H1)가 위치되도록 하는 양면 평면 프레임(30);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의 후두부에 빈공간의 제 3절개부(41)를 형성하여, 탈모가 진행되지 않은 착용자의 후두부의 자연모(H1)가 위치되도록 하는 후면 평면 프레임(40);으로 구성되며,
    붙힘수단으로서, 상기 두상 평면 프레임(10)은, 두상 둘레에 링 형태로 접촉되는 제 1평면(a)과, 두상의 양측에서 제 1평면(a)에 양단부가 연결되되, 정수리 부분을 향해 형성되는 제 2평면(b)과, 상기 제 1평면(a)의 이마측과 제 2평면(b)을 연결시키는 제 1절개홈(21)의 나머지 부분인 제 3평면(c)을 길게 형성하여, 머리면에 밀착되도록 형성시키고,
    착용된 두상 평면 프레임(10)이 착용자의 정수리측으로 말려올라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두상 평면 프레임(10)이 별도의 가발 붙힘수단이나 고정수단없이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두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다수의 두상 평면 프레임(10)이 사전제작되어, 붙힘수단없이 분리되지 않는 크기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
KR1020190060403A 2018-10-04 2019-05-23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 KR102276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973 2018-10-04
KR20180117973 2018-10-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8840A true KR20200038840A (ko) 2020-04-14
KR102276990B1 KR102276990B1 (ko) 2021-07-12

Family

ID=7029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403A KR102276990B1 (ko) 2018-10-04 2019-05-23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895A (ko) * 2020-11-05 2022-05-12 박동근 탈모진행 형태에 맞춰 착용이 가능한 남성용 가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16U (ja) * 1991-04-02 1993-04-06 ヘキサプロセス株式会社 ヘアーエクステンシヨン
KR100629394B1 (ko) * 2005-03-08 2006-09-29 김영휴 스킨베이스 가발
KR20090031782A (ko) * 2006-08-31 2009-03-2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자모 활용형 가발
KR20100012353U (ko) * 2009-06-04 2010-12-14 박수민 두피건강증진용 피톤치드성분과 pcm 성분이함유된가발
KR101244099B1 (ko) 2011-07-12 2013-03-18 박명원 남성형 복합 탈모용 단계형 가발
KR101633384B1 (ko) * 2015-06-12 2016-06-24 주식회사 제이패션 벗겨짐 방지 가발의 제조방법
JP2018003213A (ja) * 2016-07-06 2018-01-11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部分ウィッグ及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16U (ja) * 1991-04-02 1993-04-06 ヘキサプロセス株式会社 ヘアーエクステンシヨン
KR100629394B1 (ko) * 2005-03-08 2006-09-29 김영휴 스킨베이스 가발
KR20090031782A (ko) * 2006-08-31 2009-03-27 가부시키가이샤 아데랑스 홀딩스 자모 활용형 가발
KR20100012353U (ko) * 2009-06-04 2010-12-14 박수민 두피건강증진용 피톤치드성분과 pcm 성분이함유된가발
KR101244099B1 (ko) 2011-07-12 2013-03-18 박명원 남성형 복합 탈모용 단계형 가발
KR101633384B1 (ko) * 2015-06-12 2016-06-24 주식회사 제이패션 벗겨짐 방지 가발의 제조방법
JP2018003213A (ja) * 2016-07-06 2018-01-11 株式会社アートネイチャー 部分ウィッグ及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895A (ko) * 2020-11-05 2022-05-12 박동근 탈모진행 형태에 맞춰 착용이 가능한 남성용 가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990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11146A (en) Perforated medicating face mask
US20100263237A1 (en) Toe nail polish guard
KR102415067B1 (ko) 탈모진행 형태에 맞춰 착용이 가능한 남성용 가발
KR20080062653A (ko) 서로 다른 길이의 줄(날개형 식모라인)을 이용하는부분가발
KR20200038840A (ko) 붙힘수단이 별도로 필요없는 초기 탈모수준에 적합한 남성용 가발
ES2312814T3 (es) Peluca provista de un elemento flexible autoadherente.
KR20150124022A (ko) 입체형상 헤어 마스크팩
JP2008266877A (ja) カツラ
KR20180020224A (ko) 코 부목
US20020124865A1 (en) Eyelash makeup shield with grooves
US4150678A (en) Cushioned retainer pads for wigs
KR101207455B1 (ko) 남성용 가발
JP5016328B2 (ja) 自毛活用型かつら
US20170265541A1 (en) Headband with features for adding removable decorative adornments
JP6752853B2 (ja) ウィッグベース、ウィッグキャップ、およびウィッグ
KR101583449B1 (ko) 목 화장용구
KR101875323B1 (ko) 핑거형 식모부를 갖는 헤어밴드 타입의 개량가발
RU197986U1 (ru) Накладка для волос
KR101647616B1 (ko) 항암환자 및 탈모자용 두상맞춤형 가발
KR101346675B1 (ko) 아이라인이 형성된 인조속눈썹
KR101936512B1 (ko) 이.미용용 헤어에어프론
JP5221905B2 (ja)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JP3227063U (ja) 睫毛エクステンション装着練習用マネキン顔
KR102486075B1 (ko) 인조모 증착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인조모 증착방법
KR200450353Y1 (ko) 개량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