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268B1 - 코 마스크 - Google Patents

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268B1
KR102438268B1 KR1020210172518A KR20210172518A KR102438268B1 KR 102438268 B1 KR102438268 B1 KR 102438268B1 KR 1020210172518 A KR1020210172518 A KR 1020210172518A KR 20210172518 A KR20210172518 A KR 20210172518A KR 102438268 B1 KR102438268 B1 KR 102438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mask
mask body
line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트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트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트만
Priority to KR102021017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Gyroscop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입을 통해 호흡이 가능하도록 코만 감싸 착용하는 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와 광대부(B)를 감싸는 마스크 본체(100)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단에 부착된 귀걸이용 고리(200)를 포함하는 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가 코 전체를 감싸는 중앙부(110)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좌우 광대부를 감싸는 양측부(120)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120)가 눈밑 라인을 따라 광대부의 전면을 경유하는 상부 하향곡선부(121a)와 상기 상부 하향곡선부로부터 연장되어 광대부의 상단을 따라 광대부의 측면을 경유하는 상부 상향곡선부(121b)를 가진 상단라인(121)과, 광대부의 하단을 따라 광대부의 전면을 경유하는 하부 상향곡선부(122a)와 광대부의 하단을 따라 광대부의 측면을 경유하는 하부 하향곡선부(122b)를 가진 하단라인(122)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코 마스크{Nose mask}
본 발명은 입을 통해 호흡이 가능하도록 코만 감싸 착용하는 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대기 중에 각종 오염물질이 함유된 미세먼지나 황사 등을 공기와 함께 호흡하게 되면서 비염, 기관지염 등 각종 호흡기 질환에 시달리는 사람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미세먼지를 차단시켜 호흡기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외출시 마스크 착용하는 사람이 점차 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호흡기 전염성 질병의 확산으로 인하여 공기중 감염을 막기 위하여 마스크의 착용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일반 마스크의 경우, 코와 입을 모두 가리도록 되어 있어 호흡 시 수분이나 열의 방출이 원활하지 못하고 안면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아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동계에는 안경 착용자의 경우 안경에 김이 서려 시야가 방해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자전거를 타거나 등산, 마라톤 등 레포츠를 하는 경우, 평상시에 비해 호흡량이 늘어나므로 원활한 호흡이 이루어지지 못해 결국, 마스크를 벗게 되고 이로 인하여 미세먼지 등을 그대로 호흡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음식을 먹을 경우에 부득이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데, 최근과 같이 호흡기 전염성 질병의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수가 모여 있는 음식점에서 마스크를 벗게 되면 호흡기 전염성 질병에 걸릴 확률이 상당히 높아지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5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호흡이 용이하면서 김서림이 적고, 마스크를 벗지 않고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여 호흡기 전염성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코 마스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와 광대부를 감싸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단에 부착된 귀걸이용 고리를 포함하는 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가 코 전체를 감싸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좌우 광대부를 감싸는 양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가 눈밑 라인을 따라 광대부의 전면을 경유하는 상부 하향곡선부와 상기 상부 하향곡선부로부터 연장되어 광대부의 상단을 따라 광대부의 측면을 경유하는 상부 상향곡선부를 가진 상단라인과, 광대부 하단을 따라 광대부 전면을 경유하는 하부 상향곡선부와 광대부의 하단을 따라 광대부의 측면을 경유하는 하부 하향곡선부를 가진 하단라인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에는 코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1초음파융착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마스큰 본체의 양측부에는 코 아래에서 광대부 라인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융착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융착라인과 제2융착라인은 초음파 융착장치를 통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초음파 융착장치는 외피 사이에 필터체가 겹쳐진 상태의 원단지가 통과하는 성형롤러와, 상기 성형롤러와 마주하도록 설치된 초음파발생기와, 상기 성형롤러의 표면에 상기 제1융착라인과 제2융착라인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초음파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와 마주하여 응력을 집중시켜 상기 성형롤러를 통과하는 원단지의 외피와 필터체를 융착시키는 다수의 융착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가 코 전체를 감싸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좌우 광대부를 감싸는 양측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 마스크에 비하여 입으로 호흡이 가능해지면서 호흡이 편안해 지고, 안경착용자의 경우에는 김서림이 방지되며, 특히 마스크를 벗지 않고 음식을 섭취할 수 있어서 다수가 모이는 식당에서 코를 통한 호흡기 전염성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마스크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 마스크는 코와 광대부(B)를 감싸는 마스크 본체(10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양측단에 부착된 귀걸이용 고리(20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 본체(100)를 이루는 원단지(A)는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한 쌍의 외피(101)와, 상기 외피(101) 사이에서 상기 외피(101)들과 함께 융착되는 필터체(1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피(101)는 부직포를 비롯하여, 안면의 움직임에 따라 변형이 자유롭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드러운 박막의 천연고무 또는 니트릴 고무(예를 들면 라텍스)로 형성되거나, 신축성 및 촉감이 극대화되도록 나일론 극세사나 스판텍스 또는 나일론 극세사와 스판텍스를 혼합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으나, 특별히 소재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아울러, 상기 필터체(102)는 항균필터, 초정전필터, 활성탄소필터 및 극세사 메쉬필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특별히 소재를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코 전체를 감싸는 중앙부(110)와, 상기 중앙부(110)로부터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좌우 광대부(B)를 감싸는 양측부(12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좌우 광대부(B)는 눈밑을 경유하는 상단라인(121)과 광대부(B)의 하부를 경유하는 하단라인(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라인(121)은 광대부(B)가 전방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양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형태임을 고려하여, 눈밑 라인을 따라 광대부(B)의 전면을 경유하는 상부 하향곡선부(121a)와, 상기 상부 하향곡선부(121a)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광대부(B)의 상단을 따라 광대부(B)의 측면을 경유하는 상부 상향곡선부(121b)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양측부(120)가 광대부(B)로부터 들뜨지 않고 광대부(B)를 자연스럽게 감싸면서 안면에 긴밀히 밀착되며, 그 결과 마스크 본체(100)의 착용감이 우수해지고 상단라인(121)을 통한 외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동시에 귀걸이용 고리(200)로부터의 당김력이 상방 또는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마스크 본체(100)가 아래로 처지거나 미끄러져 내려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하단라인(122)은 광대부(B) 하단을 따라 광대부(B) 전면을 경유하는 하부 상향곡선부(122a)와, 광대부(B)의 하단을 따라 광대부(B)의 측면을 경유하는 하부 하향곡선부(122b)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상향곡선부(122a)로 인하여 입 위쪽의 개방감이 증대되어 말을 하거나 음식을 먹을 때 입을 편안하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 하향곡선부(122b)로 인하여 마스크 본체(100)의 착용면적이 귀의 아래쪽을 향해 넓어지면서 귀걸이용 고리(200)로부터의 당김력이 수평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며, 그 결과 착용시 마스크 본체(100)가 상부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된 착용상태가 유지되며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하단라인(122)으로 인하여 상기 양측부(120)가 광대부(B)로부터 들뜨지 않고 광대부(B)를 자연스럽게 감싸면서 안면에 긴밀히 밀착되며, 그 결과 마스크 본체(100)의 착용감이 우수해지고 상기 하단라인(122)을 통한 외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아울러,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중앙부(110)에는 코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1융착라인(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제1융착라인(130)에 의하여 코의 양측 가장자리부의 강도가 주변부 보다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코의 양측 가장자리가 코로부터 들뜨지 않고 긴밀히 밀착되면서 착용감이 우수해지고 외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아울러,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양측부(120)에는 코 아래에서 광대부(B) 라인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융착라인(14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100)는 제2융착라인(140)에 의하여 광대부(B)를 가로지르는 부위의 강도가 주변부보다 상승하게 되고, 그 결과 광대부(B)로부터 들뜨지 않고 긴밀히 밀착되면서 착용감이 우수해지고 외기의 유입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1융착라인(130)과 제2융착라인(140)은 초음파 융착장치(300)를 통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초음파 융착장치(300)는 외피(101) 사이에 필터체(102)가 겹쳐진 상태의 원단지(A)가 통과하는 성형롤러(310)와, 상기 성형롤러(310)와 마주하도록 설치된 초음파발생기(320)와, 상기 성형롤러(310)의 표면에 상기 제1융착라인(130)과 제2융착라인(14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초음파발생기(32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와 마주하여 응력을 집중시켜 상기 성형롤러(310)를 통과하는 원단지(A)의 외피(101)와 필터체(102)를 융착시키는 다수의 융착돌기(330)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원단지(A)가 성형롤러(3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초음파발생기(320)로부터 성형롤러(310)를 향해 초음파가 발생되면, 상기 초음파의 무수한 떨림으로부터 열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열로 인하여 상기 융착돌기(330)들의 대향지점이 국부적으로 용융되면서 원단지(A)를 이루는 외피(101)와 상기 외피(101) 사이에 위치한 필터체(102)가 서로 융착되며, 그 결과 제1융착라인(130)과 제2융착라인(140)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성형롤러(310)에는 제1융착라인(130)과 제2융착라인(140) 이외에 귀걸이용 고리(200)의 부착지점과, 상기 마스크 본체(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가장자리 라인을 비롯하여 기타 융착이 요구되는 다양한 부위에도 융착돌기(33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지점 및 부위들에 대한 원단지(A)의 융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융착이 완료된 원단지(A)는 커팅공정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마스크 본체(100) 형태로 커팅된다.
그 결과, 재봉라인 없이 깔끔하게 마감된 미려한 마스크 본체(100)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코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마스크 본체(100)가 양쪽 뺨 전체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일반 마스크에 비하여 착용감이 우수하고, 여성들의 경우에는 화장의 번짐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코 마스크는 미세먼지의 경우에는 코 호흡만을 통해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운동시에는 입을 통해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으며, 안경 착용자들의 경우 김서림이 방지되므로 일반 마스크에 비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이 증진된다.
특히, 본 발명의 코 마스크는 마스크를 벗지 않고 음식을 섭취할 수 있어 다수가 모인 식당에서 식사를 할 경우, 호흡기 전염성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마스크 본체 101...외피
102...필터체 110...중앙부
120...양측부 121a...상부 하향곡선부
121b...상부 상향곡선부 122a...하부 상향곡선부
122b...하부 하향곡선부 130...제1융착라인
140...제2융착라인 200...귀걸이용 고리
300...초음파 융착장치 310...성형롤러
320...초음파발생기 330...융착돌기
A...원단지 B...광대부

Claims (3)

  1. 코와 광대부를 감싸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단에 부착된 귀걸이용 고리를 포함하는 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코 전체를 감싸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좌우로 연장 형성되어 좌우 광대부를 감싸는 양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는 눈밑 라인을 따라 광대부의 전면을 경유하는 상부 하향곡선부와 상기 상부 하향곡선부로부터 연장되어 광대부의 상단을 따라 광대부의 측면을 경유하는 상부 상향곡선부를 가진 상단라인과, 광대부의 하단을 따라 광대부의 전면을 경유하는 하부 상향곡선부와 광대부의 하단을 따라 광대부의 측면을 경유하는 하부 하향곡선부를 가진 하단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마스크 본체의 중앙부에는 코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1융착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양측부에는 코 아래에서 광대부 라인을 따라 상향 경사지게 제2융착라인이 형성된 코 마스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융착라인과 제2융착라인은 초음파 융착장치를 통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초음파 융착장치는 외피 사이에 필터체가 겹쳐진 상태의 원단지가 통과하는 성형롤러와, 상기 성형롤러와 마주하도록 설치된 초음파발생기와, 상기 성형롤러의 표면에 상기 제1융착라인과 제2융착라인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초음파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와 마주하여 응력을 집중시켜 상기 성형롤러를 통과하는 원단지의 외피와 필터체를 융착시키는 다수의 융착돌기들을 구비한 한 코 마스크.
KR1020210172518A 2021-12-06 2021-12-06 코 마스크 KR102438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518A KR102438268B1 (ko) 2021-12-06 2021-12-06 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518A KR102438268B1 (ko) 2021-12-06 2021-12-06 코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268B1 true KR102438268B1 (ko) 2022-08-31

Family

ID=8306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518A KR102438268B1 (ko) 2021-12-06 2021-12-06 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2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993Y1 (ko) * 2004-03-17 2004-07-01 서성권 코 보 마스크 : (코 호흡을 보호한다는 의미의약어).
KR200477568Y1 (ko) 2014-01-07 2015-06-26 오정환 코 마스크
JP2018042962A (ja) * 2016-09-12 2018-03-22 順二 林 シリコーンノーズマスク
KR20200116431A (ko) * 2020-04-27 2020-10-12 이종섭 코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993Y1 (ko) * 2004-03-17 2004-07-01 서성권 코 보 마스크 : (코 호흡을 보호한다는 의미의약어).
KR200477568Y1 (ko) 2014-01-07 2015-06-26 오정환 코 마스크
JP2018042962A (ja) * 2016-09-12 2018-03-22 順二 林 シリコーンノーズマスク
KR20200116431A (ko) * 2020-04-27 2020-10-12 이종섭 코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022Y1 (ko) 기능성 마스크
US8209778B2 (en) Headgear
US5809572A (en) Multiple-layer, formed face mask for use in a cold weather hood
KR101889651B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650167B1 (ko) 다기능 마스크
CN203467713U (zh) 一种防疫口罩
KR20130064189A (ko) 안경에 김서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CN111513397A (zh) 一种硅胶口罩
JP3229909U (ja) マスク用インナーフレーム
KR102438268B1 (ko) 코 마스크
KR102121934B1 (ko) 기능성 마스크
JP2001000565A (ja) 衛生マスク
US11938088B2 (en) Stress reducing, light blocking, sleeping mask to improve sleep and overall health
KR20170098047A (ko) 헤어웨어
JP3233169U (ja) 衛生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
KR20200000394U (ko) 안면 마스크
JP6920768B1 (ja) マスク
WO2022014070A1 (ja) マウスカバー
KR101580134B1 (ko) 자외선 차단 마스크
CN210642606U (zh) 口罩
JP3238363U (ja) 衛生マスク
JP6966682B1 (ja) マスク
KR102456197B1 (ko) 흘러내리지 않는 마스크
CN212994594U (zh) 一种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