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865B1 -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865B1
KR102277865B1 KR1020190071433A KR20190071433A KR102277865B1 KR 102277865 B1 KR102277865 B1 KR 102277865B1 KR 1020190071433 A KR1020190071433 A KR 1020190071433A KR 20190071433 A KR20190071433 A KR 20190071433A KR 102277865 B1 KR102277865 B1 KR 102277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ivestock
products
unit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3853A (ko
Inventor
김재곤
김경태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서화학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서화학, 김도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서화학
Priority to KR1020190071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865B1/ko
Publication of KR2020014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227/40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5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meat-wastes or from other wastes of animal origin, e.g. skins, hair, hoofs, feathers, bl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가축의 털과 피부 등 각종 부산물로부터 고농축 아미노산을 추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수집부(10)와, 수집 탱크에 수집된 가축 부산물(W)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는 전처리부(20)와, 전처리부(20)로부터 공급받는 가축 부산물(W)이 기름(S)에 튀겨지는 유탕처리부(30)와, 유탕처리 된 상기 가축 부산물(W)을 잘게 분쇄하여 유기 분말로 만드는 분쇄부(40)와, 상기 유기 분말이 수집되는 유기 분말 저장부(50) 및, 유탕처리부(30)에서 유탕처리 온도를 제어시키는 제어부(60);로 구성되되, 유탕처리부(30)에는 유탕처리를 위한 기름(S)이 내부에 채워지고, 기름(S)을 비등점 이상의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히터(331)가 설치되어, 가축 부산물(W)이 전처리부(20)를 통과하는 즉시 비등점 이상의 기름(S)에 직접 접촉되면서 유탕처리가 가능한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The system of extracting highly enriched amino acid from livestock byproducts}
본 발명은 가축의 털과 피부 등 각종 부산물로부터 고농축 아미노산을 추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축의 축사나 도축장에서는 항상 사육 또는 도축 과정에서 가축의 털이나 피부 또는 내장이나 기타 부산물이 배출된다. 이러한 가축 부산물은 산출된 순간으로부터 불과 30분 후부터 부패가 시작되어 김이 발생되기 시작되므로, 3시간만 방치하여도 완전히 부패가 되어 극심한 악취가 발생되기 시작하여 즉시 어떤 식으로든 처리가 필요하다.
그런데 통상 가축 부산물은 그 자체로서 고농축 아미노산 성분이므로 성분 만을 놓고 본다면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가능성을 가진다. 특히 고농축 아미노산 유기질 비료로서도 활용될 수도 있고, 또한 고품질의 액비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기타 제약업이나 식품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기술로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로는 가축 부산물을 처리하는 방법의 문제이다. 종래에는 가축 부산물을 곧바로 분해 및 발효 공정으로 처리하다 보니 각종 가축의 털이나 발톱 또는 피부와 같은 단단하고 뻣뻣한 부산물의 처리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둘째로는 종래 가축 부산물의 처리기술은 가축 부산물에 상당량의 톱밥을 섞고 함수율을 65%~70%로 만들어서 탱크로리와 같은 장비에 저장하여 공기를 주입하면서 발효시키는 기술이다. 따라서 고농도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가축 부산물(W)에 그보다 더 많은 비중의 톱밥이 혼합됨으로써, 처리 과정의 시간 소요문제 뿐만 아니라 발효 후의 최종 생성물에 함유된 아미노산의 비중이 너무 적어 유기농 비료로 사용될 수 없고 고작해야 토질 개선제로만 사용될 수 있다.
셋째로는 가축 부산물(W)의 처리에 대량의 톱밥과 대형 탱크로리가 필요하다 보니 영세한 규모와 자본을 가진 축사에서는 그나마 가축 부산물(W)을 토질 개선제로서 배출시키는 기술도 사용하기 어려워, 방치되거나 묻는 경우가 많아 엄청난 악취가 축사 주위에 항상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넷째로는 가축 부산물을 처리하는 공정에서 주로 염산으로 아미노산을 녹이는 공정이 있는데, 염산에 녹이는 공정 자체에서 엄청난 악취가 배출되어 공정 자체가 커다란 공해 배출원이 되는 문제가 있다. 염산에 녹이는 공정에서는 최종적으로는 중화를 거쳐 염분을 투입하여 액비로 생산되지만, 그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그 시간 동안의 엄청난 악취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축 부산물은 그 자체가 고농축 유기비료로 생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로서는 대량의 톱밥으로 인해 기껏해야 토질개선제로 사용되는 문제와, 처리 과정에서 엄청난 악취가 발생됨에도 처리에 너무 장시간이 소요되어 공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 대량으로 사용되는 질소 비료는 토양 개선에는 도움이 되지 않으면서 토양에 축적되어 토양을 산성화 시키고, 하천으로 흘러들어감으로써 대량의 녹조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공기 중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이산화탄소를 훨씬 능가하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가축 부산물이 발생되자마자 최단시간의 처리만으로도 악취 문제가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축 부산물이 가지고 있는 고농축 아미노산을 다량의 불순물 없이 그 자체로 유기비료로 만들 수 있다면, 현재 대량의 질소비료로 인한 토양과 하천의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유기농 비료를 얻을 수 있고, 가축 부산물로 인한 엄청난 악취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이 절실히 요청되는 상황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3713호(공개일자: 2019. 04. 01)
이에 본 발명은 가축 부산물이 발생되자마자 최단시간의 처리만으로도 악취 문제가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축 부산물이 가지고 있는 고농축 아미노산을 다량의 불순물 없이 그 자체로 유기비료로 제조될 수 있게 됨으로써, 현재 대량의 질소비료로 인한 토양과 하천의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유기농 비료를 얻을 수 있고, 가축 부산물로 인한 엄청난 악취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부산물(W)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은 가축 부산물(W)이 내부에 수집되는 수집부(10)와, 수집 탱크에 수집된 가축 부산물(W)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는 전처리부(20)와, 전처리부(20)로부터 공급받는 가축 부산물(W)이 기름(S)에 튀겨지는 유탕처리부(30)와, 유탕처리 된 상기 가축 부산물(W)을 잘게 분쇄하여 유기 분말로 만드는 분쇄부(40)와, 상기 유기 분말이 수집되는 유기 분말 저장부(50) 및, 상기 유탕처리부(30)에서 유탕처리 온도를 제어시키는 제어부(60)로 구성되되, 상기 유탕처리부(30)에는 유탕처리를 위한 기름(S)이 내부에 채워지고, 기름(S)을 비등점 이상의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히터(331)가 설치되어, 상기 가축 부산물(W)이 전처리부(20)를 통과하는 즉시 비등점 이상의 기름(S)에 직접 접촉되면서 유탕처리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유탕처리부(30)는 전처리부(20)로부터 공급받는 가축 부산물(W)이 유탕처리부(30)에 채워진 상기 기름(S)에 완전히 잠겨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분쇄부(4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와 깊이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유탕처리부(30)의 내부에는 전처리부(20)로부터 공급받는 가축 부산물(W)을 상기 기름(S)의 내부에서 분쇄부(40)를 향해 전량 이동시킬 수 있는 견인 컨베이어(31)가 설치된다.
이 경우 유탕처리부(30)는 내부에 상기 기름(S)이 채워지며 가축 부산물(W)이 내부에 잠겨서 통과될 수 있게 일정한 깊이와 길이가 형성된 유탕조(32)와, 유탕조(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탕조(32) 내부의 기름(S)을 가열시키는 히터(331)가 설치된 히팅조(33) 및, 가축 부산물(W)이 유탕조(32) 내부를 통과하도록 가축 부산물(W)을 견인시키는 견인 컨베이어(31)로 이루어지며, 견인 컨베이어(31)는 전부 또는 일부가 기름(S)에 잠겨 회전되되, 회전 방향은 견인 컨베이어(31)에서 기름(S)에 잠긴 하부가 가축 부산물(W)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이고, 견인 컨베이어(31)에는 바람직하게는 견인 컨베이어(31)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판 부재인 견인 스크러버(311)가 견인 컨베이어(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 마다 부착되어, 견인 스크러버(311)의 전진에 따라 가축 부산물(W)이 전량 유탕조(32) 내부에서 분쇄부(40)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때 견인 컨베이어(31)는 하나의 루프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루프의 내측에는 루프의 길이방향 상부 양 측에 각각 구동 롤러(312)가 설치되고, 루프의 길이방향 하부 양 측에 각각 피동 롤러(313)가 설치되며, 피동 롤러(313)는 상기 유탕조(32) 내부의 기름(S)에 잠기게 설치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탕조(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 군데 이상 설치되는 온도센서(611,612,613,614,615)와, 온도센서(611,612,613,614,615)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히터(331)를 제어하여 유탕조(32) 내부 온도를 상기 온도범위 내로 조절시키는 온도조절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탕조(32)의 하부 벽면에는 바람직하게는 견인 스크러버(311)의 측면에 간섭되는 위치에 교반 돌기(321)가 형성되어, 견인 스크러버(311)가 전진하면서 교반 돌기(321)로 인해 일시적으로 후진 방향으로 밀리다가 탄성력으로 즉시 원상복귀 되면서 견인되는 가축 부산물(W)에 대해 전진방향으로 충격을 줌으로써, 기름(S) 내부에서 가축 부산물(W)이 충격으로 인해 들뜨면서 교반된다.
이때 견인 스크러버(311)의 높이는 바람직하게는 유탕조(32)의 저면과 견인 컨베이어(31) 표면 간의 거리와 같거나 더 크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전처리부(20)에는 바람직하게는 수집부(10)로부터 유탕처리부(30)로 가축 부산물(W)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이송 과정에서 선별이 이루어지는 이송 컨베이어(21)가 설치되고, 이송 컨베이어(21)에서 유탕처리부(30) 방향의 단부에 인접한 지점에는 이송 컨베이어(21)의 표면을 긁어내는 이탈 블레이드(22)가 고정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21)의 표면에 부착된 가축 부산물(W)이 이탈 블레이드(22)에 걸려 유탕처리부(30)로 낙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은 가축 부산물이 발생되자마자 최단시간의 처리만으로도 악취 문제가 원천적으로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가축 부산물이 가지고 있는 고농축 아미노산을 다량의 불순물 없이 그 자체로 유기비료로 제조될 수 있게 됨으로써, 현재 대량의 질소비료로 인한 토양과 하천의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친환경적인 유기농 비료를 얻을 수 있고, 가축 부산물로 인한 엄청난 악취 문제가 해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유탕처리부의 정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전처리부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도 1에서 유탕처리부의 추가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 부산물(W)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 부산물(W)이 내부에 수집되는 수집부(10)와, 전처리부(20)와, 유탕처리부(30)와, 분쇄부(40)와, 유기 분말 저장부(50) 및, 제어부(60)로 구성된다.
수집부(10)는 대형 또는 소형 축사나 도축장으로부터 배출되는 가축 부산물(W)이 곧바로 내부에 공급되는 설비이다.
전처리부(20)는 수집부(10)에 수집된 가축 부산물(W)이 후술하게 될 유탕처리부(30)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축 부산물(W) 중에 섞여 있는 가축 부산물(W) 외의 물질들을 제거시키기 위한 선별 작업이 이루어지는 섹터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이 축사나 도축장에 곧바로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경우 이물질은 거의 발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유탕처리부(30)는 전처리부(20)로부터 전달받는 가축 부산물(W)이 직접 기름(S)에 튀겨지도록 처리시키는 설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탕처리부(30)에는 유탕처리를 위한 기름(S)이 내부에 채워지고, 기름(S)을 비등점 이상의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히터(331)가 설치되어, 상기 가축 부산물(W)이 전처리부(20)를 통과하는 즉시 비등점 이상의 기름(S)에 직접 접촉되면서 유탕처리가 이루어진다.
분쇄부(40)는 유탕처리 된 가축부산물이 일정한 시간 동안 유탕처리가 됨으로써 바삭 한 상태가 되었을 때 분말 형태로 잘게 분쇄시키는 분쇄유닛(41)이 설치된 기구이다.
유기 분말 저장부(50)는 분쇄부(40)에서 잘게 분쇄된 가축부산물이 분말 형태로 보관될 수 있는 함체로 이루어진다.
제어부(60)는 유탕처리부(30)의 기름(S) 온도와 유탕처리부(30)에서 기름(S)에 접촉된 가축부산물이 이동되는 속도를 제어시킴으로써, 가축부산물이 비등점 이상의 온도로 설정되어 기름(S)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기름(S)과의 접촉을 유지시켜 최종적으로 분쇄부(40)로 이동되는 가축 부산물(W)이 분쇄되기 용이하도록 바삭한 상태가 되게 제어시킨다.
이때 제어부(60)에서 유탕처리부(30)의 가축부산물 이동 속도를 너무 낮게 유지시킬 경우에는 가축부산물이 분쇄부(40)로 이동되기 전에 상당량이 기름(S)에 녹아버릴 우려가 있고, 또한 이동 속도를 너무 빠르게 유지시킬 경우에는 유탕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부(60)에서 가축부산물에 접촉되는 기름(S)의 온도를 너무 높게 유지시키거나 낮게 유지시킬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0)는 기름(S)의 온도와 가축부산물의 이동 속도 양자 모두가 미리 설정된 범위로 유지되게 제어시킴으로써, 가장 처리되기 쉬운 상태로 가축부산물이 유탕처리 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의 각 구성과 구성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탕처리부(30)는 전처리부(20)로부터 공급받는 가축 부산물(W)이 유탕처리부(30)에 채워진 상기 기름(S)에 완전히 잠겨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분쇄부(4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와 깊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축 부산물(W)이 기름(S)에 완전히 잠김으로써, 가축 부산물(W) 중의 일부 또는 일부 부위가 유탕처리 되지 않고 공기 중에서 부패되는 현상이 완전하게 방지된다.
이때 유탕처리부(30)의 내부에는 전처리부(20)로부터 공급받는 가축 부산물(W)이 기름(S) 속에서 너무 장시간 정체되지 않고 기름(S)의 내부에서 분쇄부(40)를 향해 전량 이동될 수 있는 견인 컨베이어(31)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탕처리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기름(S)이 채워지며 가축 부산물(W)이 내부에 잠겨서 통과될 수 있게 일정한 깊이와 길이가 형성된 유탕조(32)와, 유탕조(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탕조(32) 내부의 기름(S)을 가열시키는 히터(331)가 설치된 히팅조(33) 및, 가축 부산물(W)이 유탕조(32) 내부를 통과하도록 가축 부산물(W)을 견인시키는 견인 컨베이어(3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견인 컨베이어(31)는 전부 또는 일부가 기름(S)에 잠겨 회전되되, 회전 방향은 견인 컨베이어(31)에서 기름(S)에 잠긴 하부가 가축 부산물(W)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이다.
특히 견인 컨베이어(31)에는 견인 컨베이어(31)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판 부재인 견인 스크러버(311)가 견인 컨베이어(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 마다 부착되어, 견인 스크러버(311)의 전진에 따라 가축 부산물(W)이 전량 유탕조(32) 내부에서 분쇄부(40)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 경우 견인 컨베이어(31)와 견인 스크러버(311)가 서로 이루는 각도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직각에 가까울 수 있으며, 또는 견인 스크러버(311)의 끝단이 유탕조(32)의 바닥을 일정한 압력으로 긁으면서 진행될 수 있도록 견인 스크러버(311)가 견인 컨베이어(31)의 전진 방향으로 약간 경사가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그리고 견인 컨베이어(31)의 하부 표면과 유탕조(32) 바닥과의 거리는 대략 300mm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견인 스크러버(311)는 재질에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금속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또는 실리콘이나 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다만 수지로 제작될 경우에는 다량의 가축 부산물(W)을 기름(S) 속에서 몰아갈 수 있을 정도의 강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너무 유연한 재질 보다는 보다 강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컨베이어(31)는 하나의 루프로 형성되고, 루프의 내측에는 루프의 길이방향 상부 양 측에 각각 구동 롤러(312)가 설치되고, 루프의 길이방향 하부 양 측에 각각 피동 롤러(313)가 설치되며, 피동 롤러(313)는 상기 유탕조(32) 내부의 기름(S)에 잠기게 설치된다.
즉 견인 컨베이어(31)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롤러(312)는 기름(S) 밖에 설치됨으로써 기름(S)으로 인한 모터의 기기 이상이 초래되지 않으며, 또한 구동 롤러(312)와 피동 롤러(313)를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주어 설치시킴으로써, 견인 컨베이어(31)의 하부는 기름(S)에 충분히 잠기게 제작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견인 컨베이어(31)의 저면을 따라 진행하는 가축 부산물(W)들도 전량 기름(S)에 완전히 잠김으로써, 유탕처리 되지 않고 부패되는 부위가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부(60)에는 유탕조(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 군데 이상 설치되는 온도센서(611,612,613,614,615)와, 온도센서(611,612,613,614,615)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히터(331)를 제어하여 유탕조(32) 내부 온도를 상기 온도범위 내로 조절시키는 온도조절 유닛이 설치되어, 가축 부산물(W)이 이동되는 속도와 기름(S)의 온도가 모두 제어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름(S)의 온도를 더 높이거나 낮출 수도 있으며, 이러한 기름(S)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제어부(60)는 견인 컨베이어(31)의 회전 속도를 변경시켜, 가축 부산물(W)이 기름(S)에 녹을 정도로 고온에서 장시간 기름(S)에 잠김으로써 발생되는 가축 부산물(W)의 손실이 초래되지 않으면서도, 분쇄부(40)에서 처리되기 적당한 상태로 유탕처리 되어 분쇄부(40)로 공급된다.
한편, 유탕조(32)에서는 가축 부산물(W)이 기름(S) 내부를 통과하면서 견인 스크러버(311)가 가축 부산물(W)을 계속 전진시키는 과정에서 일정한 교반이 일어나, 가축 부산물(W) 전체가 기름(S) 내부에서 고르게 유탕처리 된다.
다만 이러한 교반 효과를 보다 더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에서는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첫째로는 견인 컨베이어(31)를 구동시키는 구동 롤러(312)의 회전을 간헐적으로 급정지시킴으로써, 이동되는 가축 부산물(W)이 앞으로 나아가려는 관성으로 인해 넓게 퍼지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둘째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 돌기(321)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에서 유탕조(32)의 하부 벽면에는 견인 스크러버(311)의 측면에 간섭되는 위치에 교반 돌기(321)가 형성되어, 견인 스크러버(311)가 전진하면서 교반 돌기(321)로 인해 일시적으로 후진 방향으로 밀리다가 탄성력으로 즉시 원상복귀 되면서 견인되는 가축 부산물(W)에 대해 전진방향으로 충격을 줌으로써, 기름(S) 내부에서 가축 부산물(W)이 충격으로 인해 들뜨면서 교반된다.
특히 견인 스크러버(311)가 강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견인 스크러버(311)가 도 4의 (a)에서 (b)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교반 돌기(321)에 막혀서 일시적으로 뒤로 밀리게 된다. 이때 일정한 각도까지 견인 스크러버(311)가 뒤로 밀리게 되면 어느 순간에 견인 스크러버(311)의 탄성력으로 인해 견인 스크러버(311)는 교반 돌기(321)에서 순간적으로 벗어나면서 전방의 가축 부산물(W)을 힘껏 박차게 된다. 이 순간 견인 스크러버(311)로 부터 가축 부산물(W)들은 강한 충격을 받으며 기름(S) 중에서 넓은 공간으로 비산되며, 따라서 부분적으로 뭉쳐 있는 가축 부산물(W)들은 전량 고르게 유탕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때 견인 스크러버(311)가 교반 돌기(321)로 인해 뒤로 밀리는 순간에도 가축 부산물(W)을 뒤로 남겨두게 되지 않도록 견인 스크러버(311)의 높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탕조(32)의 저면과 견인 컨베이어(31) 표면 간의 거리와 같거나 더 크게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여러 가지 효과를 고려하여 스크러버의 높이가 제작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견인 스크러버(311)가 교반 돌기(321)를 지나면서 가축 부산물(W)을 박차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교반 스크러버의 높이를 유탕조(32)의 저면과 견인 컨베이어(31) 표면 간의 거리보다 더 작게 제작할 수도 있다.
유탕처리가 완료된 가축 부산물(W)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스크러버(311)가 기름(S) 밖으로 가축 부산물(W)을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분쇄부(40)로 전달시킨다. 이때 분쇄부(40)에는 분쇄 유닛으로 가축 부산물(W)을 이동시키는 분쇄유닛 공급 컨베이어(42)가 설치되어 유탕처리부(30)로부터 전달받은 가축 부산물(W)을 분쇄유닛(41)으로 공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장조(51)는 분쇄된 분말 형태의 가축 부산물(W)을 저장시키는 함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분쇄된 분말 형태의 가축 부산물(W)은 그 자체로 고농축 아미노산이어서 유기농 비료로 바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가축 부산물(W)로 생성되던 많은 톱밥을 활용한 토질개선제에 비해 훨씬 고부가가치의 산물로 재탄생된다.
한편, 전처리부(20)에서 유탕처리부(30)로 가축 부산물(W)이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가축 부산물(W)은 아직 유탕처리 된 상태가 아니므로 많은 습분을 함유하므로 전처리부(20)에 설치된 이송 컨베이어(21) 표면에 들러붙을 수 있다. 이렇게 이송 컨베이어(21) 표면에 들러붙은 가축 부산물(W)은 도 1에서 이송 컨베이어(21)의 오른쪽 끝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도 유탕처리부(30)로 낙하되지 않고 다시 이송 컨베이어(21)를 따라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좌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21)에서 유탕처리부(30) 방향의 단부에 인접한 지점에는 이송 컨베이어(21)의 표면을 긁어내는 이탈 블레이드(22)가 고정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21)의 표면에 부착된 가축 부산물(W)이 이탈 블레이드(22)에 걸려 유탕처리부(30)로 낙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S : 기름 W : 가축 부산물
10 : 수집부 11 : 수집조
20 : 전처리부 21 : 이송 컨베이어
22 : 이탈 블레이드 30 : 유탕처리부
31 : 견인 컨베이어 32 : 유탕조
33 : 히팅조 40 : 분쇄부
41 : 분쇄유닛 42 : 분쇄유닛 공급 컨베이어
50 : 저장부 51 : 저장조
60 : 제어부 62 : 온도센서
311 : 견인 스크러버 312 : 구동 롤러
313 : 피동 롤러 321 : 교반 돌기
331 : 히터
611,612,613,614,615 : 온도센서

Claims (8)

  1. 가축 부산물(W)이 내부에 수집되는 수집부(10)와;
    수집 탱크에 수집된 가축 부산물(W)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는 전처리부(20)와;
    전처리부(20)로부터 공급받는 가축 부산물(W)이 기름(S)에 튀겨지는 유탕처리부(30)와;
    유탕처리 된 상기 가축 부산물(W)을 잘게 분쇄하여 유기 분말로 만드는 분쇄부(40)와;
    상기 유기 분말이 수집되는 유기 분말 저장부(50); 및,
    상기 유탕처리부(30)에서 유탕처리 온도를 제어시키는 제어부(60);로 구성되되,
    상기 유탕처리부(30)에는 유탕처리를 위한 기름(S)이 내부에 채워지고, 기름(S)을 비등점 이상의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히터(331)가 설치되어, 상기 가축 부산물(W)이 전처리부(20)를 통과하는 즉시 비등점 이상의 기름(S)에 직접 접촉되면서 유탕처리가 되고,
    상기 유탕처리부(30)는 전처리부(20)로부터 공급받는 가축 부산물(W)이 유탕처리부(30)에 채워진 상기 기름(S)에 완전히 잠겨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분쇄부(4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와 깊이가 형성되며,
    유탕처리부(30)의 내부에는 전처리부(20)로부터 공급받는 가축 부산물(W)을 상기 기름(S)의 내부에서 분쇄부(40)를 향해 전량 이동시킬 수 있는 견인 컨베이어(3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부산물(W)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탕처리부(30)는 내부에 상기 기름(S)이 채워지며 가축 부산물(W)이 내부에 잠겨서 통과될 수 있게 일정한 깊이와 길이가 형성된 유탕조(32)와, 유탕조(32)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탕조(32) 내부의 기름(S)을 가열시키는 히터(331)가 설치된 히팅조(33) 및, 가축 부산물(W)이 유탕조(32) 내부를 통과하도록 가축 부산물(W)을 견인시키는 견인 컨베이어(31)로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 컨베이어(31)는 전부 또는 일부가 기름(S)에 잠겨 회전되되, 회전 방향은 견인 컨베이어(31)에서 기름(S)에 잠긴 하부가 가축 부산물(W)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는 방향이고,
    견인 컨베이어(31)에는 견인 컨베이어(31)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판 부재인 견인 스크러버(311)가 견인 컨베이어(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 간격 마다 부착되어, 견인 스크러버(311)의 전진에 따라 가축 부산물(W)이 전량 유탕조(32) 내부에서 분쇄부(40)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부산물(W)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컨베이어(31)는 하나의 루프로 형성되고, 루프의 내측에는 루프의 길이방향 상부 양 측에 각각 구동 롤러(312)가 설치되고, 루프의 길이방향 하부 양 측에 각각 피동 롤러(313)가 설치되며, 피동 롤러(313)는 상기 유탕조(32) 내부의 기름(S)에 잠기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부산물(W)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탕조(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 군데 이상 설치되는 온도센서(611,612,613,614,615)와, 온도센서(611,612,613,614,615)로부터 온도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온도 정보가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히터(331)를 제어하여 유탕조(32) 내부 온도를 상기 온도범위 내로 조절시키는 온도조절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부산물(W)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탕조(32)의 하부 벽면에는 견인 스크러버(311)의 측면에 간섭되는 위치에 교반 돌기(321)가 형성되어, 견인 스크러버(311)가 전진하면서 교반 돌기(321)로 인해 일시적으로 후진 방향으로 밀리다가 탄성력으로 즉시 원상복귀 되면서 견인되는 가축 부산물(W)에 대해 전진방향으로 충격을 줌으로써, 기름(S) 내부에서 가축 부산물(W)이 충격으로 인해 들뜨면서 교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부산물(W)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스크러버(311)의 높이는 유탕조(32)의 저면과 견인 컨베이어(31) 표면 간의 거리와 같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부산물(W)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20)에는 수집부(10)로부터 유탕처리부(30)로 가축 부산물(W)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이송 과정에서 선별이 이루어지는 이송 컨베이어(21)가 설치되고, 이송 컨베이어(21)에서 유탕처리부(30) 방향의 단부에 인접한 지점에는 이송 컨베이어(21)의 표면을 긁어내는 이탈 블레이드(22)가 고정 설치되어, 이송 컨베이어(21)의 표면에 부착된 가축 부산물(W)이 이탈 블레이드(22)에 걸려 유탕처리부(30)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KR1020190071433A 2019-06-17 2019-06-17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KR102277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33A KR102277865B1 (ko) 2019-06-17 2019-06-17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433A KR102277865B1 (ko) 2019-06-17 2019-06-17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853A KR20200143853A (ko) 2020-12-28
KR102277865B1 true KR102277865B1 (ko) 2021-07-16

Family

ID=7408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433A KR102277865B1 (ko) 2019-06-17 2019-06-17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8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453A (ja) * 2000-04-14 2001-10-23 Shuzo Nakazono 油を用いた蛋白質含有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442482B1 (ko) * 2013-06-28 2014-09-24 맹진영 단백질 및 아미노산 공급원으로서의 돼지털 분말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395B1 (ko) 2017-09-22 2019-09-03 김택수 축산분뇨, 농수산 부산물 또는 남은 음식물의 혼합발효에 의한 유기질 비료 생산을 위한 퇴비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3453A (ja) * 2000-04-14 2001-10-23 Shuzo Nakazono 油を用いた蛋白質含有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442482B1 (ko) * 2013-06-28 2014-09-24 맹진영 단백질 및 아미노산 공급원으로서의 돼지털 분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853A (ko) 202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316723T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ydrolyse von proteine enthaltendem rohmaterial und anwendung deren hydrolyseprodukte
KR101475696B1 (ko) 도축 부산물 처리 장치
JP2000504267A (ja) 有機材料の生物学的処理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処理を行うための装置
KR20150138992A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284180B1 (ko) 유기성 슬러지 교반장치
CN109349191A (zh) 一种自行走型水产养殖用喂食机器人
US20100135110A1 (en) Agitator for treating organic waste
KR102277865B1 (ko) 가축 부산물의 고농축 아미노산 추출 시스템
US4424129A (en) Dewatering apparatus for waste recovery systems
RU2595670C9 (ru) Система для разложения органических соединений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CN204560872U (zh) 一种鱿鱼肉循环脱腥装置
KR200406374Y1 (ko) 도축 부산물을 이용한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유기질 비료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비화 장치
CN107711661A (zh) 一种水产养殖用肥料的投放装置
KR101365468B1 (ko) 액비 발효장치
RU258402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боя, переработк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и утилизации боенских отходов
US10780374B2 (en) Animal byproduct recovery system
KR101747078B1 (ko) 퇴비처리용 교반장치
EP2222172A1 (en) Apparatus for salting, pickling or adding additives to meat, fish or similar products, and a method for use thereof
CN106472414A (zh) 一种生态养鸡法
KR101955338B1 (ko) 고품질 펠릿 제조용 팜 부산물의 전처리 장치
CN205475149U (zh) 双船式水华清除装置
EP3986168B1 (en) Boiling machine
JP4858828B2 (ja) 動物の組織、または臓器から重金属を除去する方法
KR20190018404A (ko) 고품질 펠릿 제조용 팜 부산물의 전처리 장치
KR20150061073A (ko) 돈축 분뇨 액비화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