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7514B1 -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7514B1
KR102277514B1 KR1020200131211A KR20200131211A KR102277514B1 KR 102277514 B1 KR102277514 B1 KR 102277514B1 KR 1020200131211 A KR1020200131211 A KR 1020200131211A KR 20200131211 A KR20200131211 A KR 20200131211A KR 102277514 B1 KR102277514 B1 KR 102277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eight
parts
joint
joint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우
Original Assignee
경원케이비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원케이비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원케이비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4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0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carbo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2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alkyl, ammonium or metal silicates; containing silica sols
    • C04B28/26Silicates of the alkali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06Methods of making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0Packing of plastic or elastic materials, e.g. wood,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63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ling material for cavities or the like
    • C04B2111/00672Pointing or join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사(silica sand) 및 질경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 포장용 블록 줄눈 시공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은 친환경 식물성 바인더와 천연 규사로 구성된 친환경 소재로서 환경에 무해하고, 물과 반응하여 줄눈부에 고형화되어 종래의 규사 줄눈재와 비교해 줄눈재의 유실 방지 및 잡초 발생 예방 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WATER-CURABLE COMPOSITION FOR FILLING BLOCK JOINT}
본 발명은 인터로킹 블록 등의 바닥 포장용 블록의 줄눈 시공에 사용되는 줄눈 채움재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보차도용 인터로킹 블록(interlocking block)은 외부하중에 대한 저항력은 i)블록 측면 돌기, 받침안정층, 블록 강도 및 ii)블록 간 사이에 설치되는 줄눈 채움재에 의한 하중전달 및 충격흡수 등에 의해 하중을 분산하는 성능이 이루어진다.
특히, 블록 사이에 설치되는 줄눈재는 블록 간 충돌 및 마모를 억제하는 완충 역할을 도모하여 블록 파손을 최소화하므로 반드시 규정된 간격과 줄눈재 양을 확보하여야 한다.
지금까지 인터로킹 블록 등의 포장용 블록의 시공 방법으로서는 블록을 배열한 후에 블록 간의 줄눈부에 규사 등의 줄눈모래를 충전하고 블록이 어긋나지 않도록 한 방법이 주로 채택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의 줄눈 모래는 우수, 줄눈재 사이로의 식생 및 블록의 유동, 침하 등에 의해 손실이 발생하며 이러한 줄눈재의 유실 및 손실은 블록포장 공용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063959호 (공개일: 2011.03.3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147706호 (공개일: 2003.05.2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40898호 (공개일: 2005.05.03.)
본 발명은 전술한 기존 줄눈 채움재의 문제점에 착안해 줄눈 채움재 손실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신규한 바닥 포장용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줄눈 채움 시공 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규사(silica sand) 및 질경이 추출물 함유 바인더를 포함하는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을 제안한다.
상기 질경이 추출물 함유 바인더는 질경이 추출물 외에 물유리(water glass) 및 탄산나트륨(Na2Co3)을 포함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바인더는 질경이 추출물 90 내지 95 중량%, 물유리 3 내지 5 중량% 및 탄산나트륨 2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은, 규사 100 중량부 기준으로, 질경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인더 5 ~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규사 95 중량% 및 질경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바인더 5 중량%를 포함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인더에 포함되는 질경이 추출물은, 조추출물 또는 유기용매 가용 추출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조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극성용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기용매 가용 추출물은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부탄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한 추출물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질경이 조추출물은 질경이를 채집하여 물로 수세한 후 음건하고, 이를 잘게 분쇄하여 질경이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 부피의 물, 에탄올 및 메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의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약 1 : 0.1 내지 1 : 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약 10℃ 내지 100℃에서 약 1시간 내지 5일, 바람직하게는 3일 동안 열수 추출, 환류 순환 추출, 가압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여 감압여과, 원심분리하고, 이를 다시 저급 알코올의 극성용매 또는 혼합용매로 추출한 후 이를 농축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경이 유기용매 가용 추출물은 질경이를 채집하여 물로 수세한 후 음건하고, 이를 잘게 분쇄하여 질경이 시료 중량의 약 1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10배 부피의 물, 에탄올 및 메탄올 등과 같은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의 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약 1 : 0.1 내지 1 : 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로 각 용매의 끓는점에서 약 1시간 내지 1일 동안 열수 추출, 환류 순환 추출, 가압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하여 감압 여과,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취하여 감압하에서 진공 농축한다. 이를 다시 소량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에 용해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의 유기용매와 증류수를 동량으로 혼합한 혼합용매로 추출한 후, 이를 농축함으로써 질경이 유기용매 가용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규사 100 중량부 기준으로 용융 슬래그 10 ~ 3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용융 슬래그는 배합수와 반응해 고화됨으로써 외력에 대한 변형 저항성을 향상시키고 규사의 소실을 억제해 결과적으로 블록 포장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포장용 블록 둘레를 따라 주야간 시인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에 규사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5 중량부의 함량으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1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야간 표식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2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식별기능의 특별한 향상 없이 오히려 다른 성분들의 필수 함량을 감소시켜 조성물의 물성 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리비드는 그 표면을 투명한 실란계 화합물 또는 실리콘 오일로 코팅한 후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코팅된 유리비드는 향상된 재귀반사도를 가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은, 포장용 블록 줄눈의 주야간 시인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유리비드 외에 칼사이트(calcite)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칼사이트는 육방정계에 속하는 탄산무수염광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유리비드 입자 주변에 배치되어 유리비드에서 반사되는 불빛을 굴절시켜 노면 표지의 표면에서의 휘도를 증대시켜 야간 시인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주간에는 빛을 난반사시켜 시인성 향상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칼사이트 분말은 상기 유리비드 100 중량부 기준으로,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는데, 2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시인성 향상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6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조성물의 유동성 및 결합력을 약화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규사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 10 중량부의 불소첨가 왁스, 실리콘 비드 및 우레탄 비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함으로써, 경화된 줄눈부에 소수성을 부여해 방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은, 폴리부타디엔(BR), 합성 폴리이소프렌(IR), 천연 고무(NR), 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공액 디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규사 100 중량부 기준으로 5 ~ 1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종 탄성중합체 및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부터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줄눈부의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 줄눈 채움재 조성물을 이용한 바닥 포장용 블록 줄눈 시공방법으로서, (a) 지면에 다수의 바닥 포장용 블록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로 배열하는 시공이 완료된 노면에 상기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20 ~ 80 중량부의 배합수를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에 첨가해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시공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은 친환경 식물성 바인더와 천연 규사로 구성된 친환경 소재로서 환경에 무해하고, 물과 반응하여 줄눈부에 고형화되어 종래의 규사 줄눈재와 비교해 줄눈재의 유실 방지 및 잡초 발생 예방 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원 실시예에서 씨앗 발아 특성 분석에 사용된 Mock-up 시험체 모식도의 단면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시중에서 사용되는 일반 규사 줄눈재 시험체 씨앗 발아 특성 시험 결과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줄눈 채움재 조성물(PFM 줄눈샌드) 시험체 씨앗 발아 특성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PFM 줄눈샌드를 포함하는 시험체 및 일반 규사 줄눈재를 사용하는 시험체 각각에 대한 재령 10일에서의 잔디 형성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PFM 줄눈샌드를 포함하는 시험체 및 일반 규사 줄눈재를 사용하는 시험체 각각에 대한 재령 15일에서의 잔디 형성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건조된 질경이를 세절해 10배의 에탄올로 4℃에서 3일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잔사에 다시 5배의 에탄올을 넣고 2회 추출을 반복하여 얻어진 여과액을 모아 농축하여 질경이 조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질경이 조추출물 95 중량%, 물유리 3 중량% 및 탄산나트륨 2 중량%를 포함하는 바인더와 천연 규사를 5 : 95의 중량비로 혼합해 본 발명에 따른 줄눈 채움재 조성물 (PFM(Pavement Fixing Mortar) 줄눈샌드)를 얻었다.
아래 실험예에서 상기 PFM 줄눈샌드의 고형화 특성을 파악하고자 공용 중 수분흡수를 모사한 변수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또한, 공용 중 인터로킹 블록에서 자주 발생하는 줄눈재에서의 씨앗 발아로 인한 블록 손상에 대한 저항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존 줄눈재와의 씨앗 발아 특성을 실외 시험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예>
1. PFM 줄눈샌드의 성형화 특성 평가
(1) 성형화 특성 시험방법
PFM 줄눈샌드에 대한 성형화 특성분석을 위한 시험방법은 관련 기준이 없는 관계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PFM 줄눈샌드는 질경이 추추물을 포함하는 식물성 바인더와 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식물성 바인더는 공용 중 수분에 노출될 경우 바인더 간 응집력에 의해 고형 및 성형화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고형화 시간 및 응집력은 유입되는 수분량에 의해 변화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PFM 줄눈샌드 대비 수분량에 변화를 주어 고형화 시간 및 응집력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에 따라, PFM 줄눈샌드 중량 대비 수분량은 5~80%까지 총 7개 변수로 하여 각 변수별 고형화 및 성형화 특성을 시간에 따라 수분량에 따라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표 1> PFM 줄눈샌드 성형화 특성 분석을 위한 시험변수
Figure 112020107380207-pat00001
(2) 성형화 특성 시험결과
PFM 줄눈샌드 중량 대비 배합수를 변수로 첨가한 혼합물의 성형특성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PFM 줄눈샌드 중량 대비 5~10% 배합수 첨가 혼합물은 배합수 부족에 의해 거친 상태를 나타냈으며, PFM 줄눈샌드 중량 대비 20% 배합수 첨가 혼합물은 배합상태가 매우 양호했으며 성형성 또한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PFM 줄눈샌드 중량 대비 30~40% 배합수 첨가 혼합물은 배합수 증가로 혼합물 유동성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성형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료 상부에서 약 8~9.0mm 깊이로 수축현상이 발생하였다. PFM 줄눈샌드 중량 대비 60~80% 배합수 첨가 혼합물은 급격한 유동성 증가와 성형 후 배합수 블리딩 현상이 과도하게 발생하였으며 성형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시료상부에서 약 17~19mm이상의 매우 큰 수축현상이 발생하였다.
<표 2> 배합수별 PFM 줄눈샌드 성형특성
Figure 112020107380207-pat00002
2. PFM 줄눈샌드의 고형화 특성 평가
PFM 줄눈샌드 중량 대비 배합수량 변동에 의한 고형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FM 줄눈샌드 대비 배합수 5~10% 수준에서는 성형은 가능하였으나 고형화 현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PFM 줄눈샌드 대비 배합수 20% 수준은 성형 및 고형화 현상이 가능 뚜렷하게 이루어졌으나 바인더 간 응집력에 의한 외부하중 저항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의 경화를 나타내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PFM 줄눈샌드 대비 배합수 30~40% 수준부터는 고형화 과정에서 수축현상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고형화 과정에서 배합수 증발에 따른 규사입자의 재배열에 의한 다짐효과로 판단된다. 그리고, PFM 줄눈샌드 대비 배합수 60~80% 수준은 과도한 배합수로 인해 매우큰 수축과 유동성 발생으로 성형 및 고형화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PFM 줄눈샌드 대비 배합수량 변수별 고형화 특성 분석에 있어 대기 중 노출에 따른 표면층 고화현상이 두드러지게 발생하였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PFM 줄눈샌드 대비 배합수 20% 시료는 성형 후 5일에서 시료 전단면에 걸쳐 약간의 함수현상을 나타내었으나 전단면에 걸쳐 고른 응집력 및 고형화 특성을 나타내었고, PFM 줄눈샌드 대비 배합수 30~80% 수준부터는 시료 전단면이 아닌 표면층 수분 증발에 따른 고형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배합수 증가에 따라 표면층 고형화 두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합수 함량 30%에서는 성형 후 5일부터 표면층 고형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고형화된 두께는 약 14.5mm로 측정되었으며 40% 시료는 표면부 13mm 깊이까지 고형화가 진행되었으며 60% 및 80% 시료는 각각 12mm 및 10mm의 고형화 두께를 나타내었다.
배합수 20%보다 많은 함수조건에서 PFM 줄눈샌드는 표면부에서 수분증발에 따른 고형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함수량이 클 경우 표면부 고형화 두께는 감소하였으며 상부 고형화 두께로 인한 수분증발 억제로 하부 함수조건은 유지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표 3> 배합수별 PFM 줄눈샌드 고형화특성
Figure 112020107380207-pat00003
3. 씨앗 발아 특성
보차도용 인터로킹 블록은 공용 중 우수, 바람 및 동식물 활동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줄눈재 사이로 식물씨앗이 유입되어 식생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 간 줄눈재에서의 식생은 줄눈재 거동을 방해함과 동시에 줄눈재 유실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특히 미관상 이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실제 보도용 인터로킹 블록과 줄눈재를 이용하여 실외 Mock-up 시험용 시험체를 제작하여 줄눈재 내 씨앗 발아 특성을 다음과 같이 비교 평가하였다.
줄눈재 내 씨앗 발아 특성 비교분석을 위해 인터로킹 블록은 200×200×60mm 투수블록을 사용하였으며 줄눈재는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일반 규사 줄눈재와 PFM 줄눈샌드를 각각 적용한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줄눈재 사이 씨앗 발아를 위한 씨앗은 두 시험체 모두 동일한 양을 계량하여 살포하였으며 주기적인 살수를 통해 씨앗 발아를 촉진시켰으며, 또한, 줄눈재 자체의 씨앗 발아 저항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줄눈재와 씨앗만을 혼합한 시험체를 제작하여 씨앗 발아 시기 및 발아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보차도용 인터로킹 블록에 사용되는 줄눈재는 각 사용용도에 따라 품질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도 씨앗 발아 특성 비교분석을 위해 사용된 각 줄눈재의 관련기준 품질기준 적합성 정도를 블록종류에 따른 줄눈재 품질기준(서울시 2018)에 따라 사전에 평가하였다.
씨앗 발아 특성 비교분석을 위한 일반 규사 줄눈재 및 PFM 줄눈샌드에 대한 품질기준 적합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0.08mm 통과량 및 최대입경 기준 모두를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표 4> 일반 줄눈재 입도분포 특성
Figure 112020107380207-pat00004
<표 5> PFM 줄눈샌드 입도분포 특성
Figure 112020107380207-pat00005
<표 6> 줄눈재 종류별 품질기준 적합성 평가결과
Figure 112020107380207-pat00006
씨앗 발아 특성 비교분석을 위한 시험체는 실제 현장상황을 모사하기 위해 200×200×60mm 투수블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제작하였다(도 1 참조).
각 블록간 간격은 2~3mm가 기준이나 본 시험체에서는 씨앗 발아를 촉진하기 위해 약 5mm로 간격으로 설치하였으며, 투수 블록 설치를 위해 약 30mm 높이로 받침 모래를 시공한 후 투수블록 6장을 배치한 후 블록 사이에 일반 규사 줄눈재 및 PFM 줄눈샌드를 각 시험체에 삽입하였고, 각 줄눈재는 40mm 깊이로 1차 삽입 후 동일한 양의 혼합 씨앗을 살포하였으며 살포된 씨앗 위 10mm 높이로 각 줄눈재를 덮어 씨앗 발아의 최적 조건을 만족시켰다.
<표 7> 씨앗 발아 시험을 위한 줄눈재 및 혼합씨앗 혼합비율
Figure 112020107380207-pat00007
씨앗 발아 특성 비교분석을 위한 실외 Mock-up 시험체 제작 후 시험체 간 씨앗 발아 특성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비교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각 시험체에서 씨앗 발아 시기에 있어 일반 줄눈재에서는 씨앗 살포 이후 약 3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발아하였으며 PFM 줄눈샌드 시험체에서는 약 5일 후부터 생장이 관찰되었다.
일반 줄눈재를 사용한 시험체에서는 인터로킹 블록 간 모두 줄눈 및 시험체 측면 나무형틀 사이에서 씨앗 발아 및 식생 발생했고, 일반 규사 줄눈재와 씨앗만 혼입된 시험체에서도 80%이상의 면적에서 잔디식생 확인되었다(도 2 참조).
반면, PFM 줄눈샌드를 사용한 시험체에서는 인터로킹 블록 간 줄눈 간격에서는 미미한 씨앗 발아가 관찰되었으며 대부분의 식생은 측면 목재형틀에서 발생했고, PFM 줄눈샌드와 씨앗만 혼입된 시험체에서는 씨앗 미발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3 참조).
또한, 모든 시험체에서 잔디의 생육은 약 7일이 경과한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10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각 시험체가 발아 면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일반 줄눈재를 삽입한 시험체에서는 줄눈부 면적 173㎠ 중 약 80%에 해당하는 137㎠에서 잔디 생육이 관찰되었으나 PFM 줄눈샌드로 설치한 시험체에서는 약 15.5㎠에서만 씨앗 발아가 관찰되어 전체면적 대비 약 9.0%에 해당하는 면적에서의 생육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15일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일반 줄눈재를 삽입한 시험체에서는 줄눈부 면적 173㎠ 중 약 86.4%에서 씨앗 발아 및 잔디형성이 관찰되었으며 PFM 줄눈샌드 시험체에서는 전체면적 대비 약 14.2% 면적에서의 생육이 관찰되어 두 시험체 간 약 6배이상의 씨앗 성장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줄눈재와 씨앗만을 혼입한 일반 줄눈재 시험체에서는 재령 15일에서 전체면적 중 약 80%에서 씨앗 발아가 이루어졌으나 PFM 줄눈샌드 시험체에서는 씨앗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음(도 5 참조).
<도 8> PFM 줄눈샌드와 일반 줄눈재 간 씨앗 발아 특성 평가 결과
Figure 112020107380207-pat00008
이상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5)

  1. 규사(silica sand) 100 중량부 기준으로,
    질경이 추출물, 물유리(water glass) 및 탄산나트륨(Na2Co3)을 함유하는 바인더 5 ~ 10 중량부;
    불소첨가 왁스, 실리콘 비드 및 우레탄 비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1 ~ 10 중량부; 및
    폴리부타디엔(BR), 합성 폴리이소프렌(IR), 천연 고무(NR), 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공액 디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5 ~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경이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추출 용매로 이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규사 100 중량부 기준으로,
    용융 슬래그 10 ~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
  5. (a) 바닥 포장용 블록이 배열된 노면에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 100 중량부 기준으로 20 ~ 80 중량부의 배합수를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에 첨가해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경화성 줄눈 채움재 시공방법.
KR1020200131211A 2020-10-12 2020-10-12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 KR102277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11A KR102277514B1 (ko) 2020-10-12 2020-10-12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211A KR102277514B1 (ko) 2020-10-12 2020-10-12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514B1 true KR102277514B1 (ko) 2021-07-15

Family

ID=7688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211A KR102277514B1 (ko) 2020-10-12 2020-10-12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51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7706A (ja) 2001-08-29 2003-05-21 Taisei Rotec Corp 勾配区間のブロック舗装の構築方法
KR20050040898A (ko) 2005-04-12 2005-05-03 황익현 다공성 시멘트 콘크리트 표면공극 채움 포장방법
JP2011063959A (ja) 2009-09-16 2011-03-31 Taiheiyo Cement Corp 下敷材、歩行者系道路および下敷材の製造方法
KR101343940B1 (ko) * 2013-07-17 2013-12-31 씨지 주식회사 천연접착제, 상기 천연접착제를 포함하는 천연내장재 접착제, 천연페인트, 이러한 천연내장재 접착제 및 천연페인트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 시공방법
EP1675464B1 (en) * 2003-09-17 2014-06-04 Frederiksen Jens Sønderberg Weed control in joints of concrete block and other paving stone
EP2914562B1 (en) * 2012-10-31 2017-11-29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lkali-activated aluminosilicate binder with superior freeze-thaw stability
KR102154493B1 (ko) * 2019-05-30 2020-09-11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자기복원성 바이오 섬유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7706A (ja) 2001-08-29 2003-05-21 Taisei Rotec Corp 勾配区間のブロック舗装の構築方法
EP1675464B1 (en) * 2003-09-17 2014-06-04 Frederiksen Jens Sønderberg Weed control in joints of concrete block and other paving stone
KR20050040898A (ko) 2005-04-12 2005-05-03 황익현 다공성 시멘트 콘크리트 표면공극 채움 포장방법
JP2011063959A (ja) 2009-09-16 2011-03-31 Taiheiyo Cement Corp 下敷材、歩行者系道路および下敷材の製造方法
EP2914562B1 (en) * 2012-10-31 2017-11-29 Construction Research & Technology GmbH Alkali-activated aluminosilicate binder with superior freeze-thaw stability
KR101343940B1 (ko) * 2013-07-17 2013-12-31 씨지 주식회사 천연접착제, 상기 천연접착제를 포함하는 천연내장재 접착제, 천연페인트, 이러한 천연내장재 접착제 및 천연페인트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 시공방법
KR102154493B1 (ko) * 2019-05-30 2020-09-11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자기복원성 바이오 섬유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1389A (en) Sport and recreational surface
KR101014813B1 (ko) 재생(순환) 가열 아스팔트조성물
CA2580734C (en) Materials for travelled surfaces
KR102277514B1 (ko) 수경화성 블록 줄눈 채움재 조성물
CN105648865A (zh) 热带地区路面的铺设方法
US20240043329A1 (en) Permeable pavement system including a permeable pavement composition and a related method
GB2366567A (en) Asphalt composition
KR100349087B1 (ko) 칼라아스콘
US20220362651A1 (en) Erosion Resistant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Raghuram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stone matrix asphalt (SMA) using low cost fibres
KR100189508B1 (ko) 세립자투수성아스팔트_콘크리트박층포장방법
Widyaningsih et al. Influence of hyacinth plant as filler on mixed ac-wc (asphalt concrete-wearing course) with marshall test
CN202323706U (zh) 一种环氧沥青铺装坑槽修补结构
JP3732460B2 (ja) 植物含有舗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舗装方法
KR102154493B1 (ko) 자기복원성 바이오 섬유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재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시공방법
JP4361477B2 (ja) 法面や路面の被覆方法及び法面や路面の被覆構造
DE102011008190A1 (de) Gussasphalt &#34;Roadcover&#34;
KR102188826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개선된 입도분포의 골재를 포함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hanza et al. Evaluation on the Effect of Zinc Oxide Addition to Aging Rate of Asphalt and Performance of Resilience Modulus in Asphalt Concrete–Wearing Course
CN219059618U (zh) 一种防止公路沉降的路基结构
US20220204404A1 (en) Composition for surfacing lightly trafficked thoroughfares, allowing plant growth to be limited or even completely suppressed
US2535644A (en) Stabilized soil road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Li et al. Mechanical performance of pavement using porous asphalt as overlay in maintenance
Manoj Laboratory studies on MARSHALL PROPERTIES of different open graded mixes
DE2360540C3 (de) Verwendung von Holz- oder Torfmehl in bituminösen Mass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