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6084B1 -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084B1
KR102276084B1 KR1020200005644A KR20200005644A KR102276084B1 KR 102276084 B1 KR102276084 B1 KR 102276084B1 KR 1020200005644 A KR1020200005644 A KR 1020200005644A KR 20200005644 A KR20200005644 A KR 20200005644A KR 102276084 B1 KR102276084 B1 KR 102276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eaf
gasket
opening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기
Original Assignee
김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기 filed Critical 김중기
Priority to KR102020000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 B60J5/108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e.g. lorries, trucks, b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4Enclosed load compartments ; Frameworks for movable panels, tarpaulins or side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02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 E05B83/08Locks for railway freight-cars, freight containers or the like; Locks for the cargo compartments of commercial lorries, trucks or vans with elongated bars for actuating the fastening means
    • E05B83/10Rotary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trucks or 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문틀, 상기 문틀 내측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 및 제2 문짝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문짝, 상기 문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문짝을 수직하게 가로질러 배치되는 문짝의 록킹바, 상기 록킹바에 연결되어 상기 문짝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문짝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가 걸려 고정되게 하거나 해제되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에서, 상기 제1 문짝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외측 문짝부 및 내측 문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문짝부와 상기 내측 문짝부는 그것들의 내측에서 복수개의 스프링 경첩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 문짝부는 외력이 없을 때 상기 스프링 경첩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외측 문짝부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는 제1 문짝 및 제2 문짝으로 이루어진 양문형 도어에서 제1 문짝과 제2 문짝은 다른 문짝의 개폐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Description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s For Truck's Container}
본 발명은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문짝 및 제2 문짝으로 이루어진 양문형 도어에서 제1 문짝과 제2 문짝은 다른 문짝의 개폐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물건을 운송하는 탑차는 트럭의 짐칸에 적재함을 설치한 구성을 가진다. 탑차의 적재함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탑차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도어개폐장치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00) 및 한 쌍의 문짝(200 및 30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문짝(200 및 300)은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된다. 문짝(200 및 300) 각각에는 록킹바(220 및 320), 손잡이(230 및 330), 힌지부재(400) 및 록킹부재(500)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바(220 또는 320)는 문틀(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문짝(200) 또는 제2 문짝(300)을 수직하게 가로질러 배치된다. 손잡이(230 또는 330)는 록킹바(220 또는 320)에 연결되어 제1 문짝(200) 또는 제2 문짝(300)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손잡이(230 또는 330)는 록킹부재(500)에 걸려 고정되거나 해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230 또는 330)를 록킹부재(500)로부터 해제시킨 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문짝(200) 또는 제2 문짝(300)이 힌지부재(400)의 회전에 의하여 개방된다. 문짝(200 및 300)을 폐쇄시킬 때에는 개방의 역순으로 수행하면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문짝(200)의 말단에는 제1 가스켓(210')이 설치되어 있고, 제2 문짝(300)의 말단에는 제2 가스켓(310')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가스켓(210')은 제1 문짝(200)의 말단 모서리 부분을 덮는 제1 가스켓 몸체부(212') 및 제1 가스켓 몸체부(212')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가스켓 날개부(214')를 포함하고, 제2 가스켓(310)은 제2 문짝(300)의 말단 모서리 부분을 덮는 제2 가스켓 몸체부(312') 및 제2 가스켓 몸체부(312')의 내측 및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가스켓 날개부(314' 및 316')를 포함한다.
이때, 제2 가스켓 날개부(314')는 제1 가스켓 날개부(214') 상에 얹혀지고, 제2 가스켓 날개부(316')는 제1 가스켓 몸체부(212') 상에 얹혀진다. 따라서, 제1 문짝(200)은 제2 문짝(300)을 개방하지 않고서는 개방될 수 없다. 즉, 제1 문짝(200)은 제2 문짝(300)을 개방한 후에야 비로소 개방될 수 있다.
제1 문짝(200) 및 제2 문짝(300)이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그것들을 폐쇄시킬 때에는 먼저 제1 문짝(200)을 폐쇄시킨 후 제2 문짝(300)을 폐쇄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도 2의 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제1 문짝(200) 및 제2 문짝(300)으로 이루어지는 양문형 도어를 가지는 통상적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10')에서 제1 문짝(200)과 제2 문짝(300)은 다른 문짝의 개폐에 의존하여 개폐되어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는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특허등록 제10-2021113호(2019. 09. 05. 등록)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한 특허발명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문짝 및 제2 문짝으로 이루어진 양문형 도어에서 제1 문짝과 제2 문짝은 다른 문짝의 개폐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는 문틀, 상기 문틀 내측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 및 제2 문짝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문짝, 상기 문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문짝을 수직하게 가로질러 배치되는 문짝의 록킹바, 상기 록킹바에 연결되어 상기 문짝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문짝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가 걸려 고정되게 하거나 해제되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짝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외측 문짝부 및 내측 문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문짝부와 상기 내측 문짝부는 그것들의 내측에서 복수개의 스프링 경첩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 문짝부는 외력이 없을 때 상기 스프링 경첩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외측 문짝부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문짝은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외측 문짝부 또는 상기 내측 문짝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내측 문짝부가 상기 외측 문짝부에 대하여 수평한 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환됨으로써 닫히게 된다.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에 이웃하는 상기 제2 문짝의 수직 모서리 부분을 덮고,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가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문짝의 가스켓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문짝의 가스켓은 상기 제2 문짝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스켓 제1 및 제2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는 상기 제1 문짝이 닫힐 때 상기 제2 문짝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 제1 및 제2 날개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문짝의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제1 날개부는 상기 가스켓 제2 날개부보다 짧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문짝의 가스켓은 상기 제2 문짝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스켓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문짝의 안쪽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스켓 날개부는 가지지 않으며,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는 상기 제1 문짝이 닫힐 때 상기 제2 문짝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 날개부에 의하여 덮여질 수 있다.
상기 제1 문짝과 상기 제2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손잡이를 상기 록킹부재로부터 해제한 후 상기 손잡이를 회전하고 잡아당기면, 상기 제2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문짝만 열리게 된다.
상기 제1 문짝과 상기 제2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문짝의 상기 손잡이를 상기 록킹부재로부터 해제한 후 상기 손잡이를 회전하고 잡아당기면, 상기 제1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문짝만 열리게 되고, 또한 상기 제2 문짝은 상기 제1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닫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는 제1 문짝 및 제2 문짝으로 이루어진 양문형 도어에서 제1 문짝과 제2 문짝은 다른 문짝의 개폐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개폐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통상적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통상적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서 제1 문짝과 제2 문짝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서 제1 문짝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서 제1 문짝과 제2 문짝이 결합하기 직전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서 제1 문짝과 제2 문짝이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00)을 포함한다. 문틀(100) 내측에는 한 쌍의 문짝(200 및 300)이 배치된다. 즉, 문틀(100)은 제1 문짝(200) 및 제2 문짝(300)을 둘러싸는 구조로 배치된다. 한 쌍의 문짝(200 및 300)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된다. 한 쌍의 문짝(200 및 300) 각각에는 록킹바(220 및 320), 손잡이(230 및 330), 힌지부재(400) 및 록킹부재(500)가 설치되어 있다.
록킹바(220 또는 320)는 문틀(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문짝(200) 또는 제2 문짝(300)을 수직하게 가로질러 배치된다. 손잡이(230 또는 330)는 록킹바(220 또는 320)에 연결되어 제1 문짝(200) 또는 제2 문짝(300)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손잡이(230 또는 330)는 록킹부재(500)에 걸려 고정되거나 해제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손잡이(230 또는 330)를 록킹부재(500)로부터 해제시킨 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문짝(200) 또는 제2 문짝(300)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제1 문짝(200) 또는 제2 문짝(300)이 힌재부재(400)의 회전에 의하여 개방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손잡이(230 또는 330)를 록킹부재(500)로부터 해제시킨 후 전방으로 잡아당기기 전에 손잡이(230 또는 330)를 시계 반대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록킹바(220 또는 320)가 문틀(100)에 설치된 걸쇠로부터 해제되며, 그러한 상태에서 손잡이(230 또는 33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제1 문짝(200) 또는 제2 문짝(300)은 힌재부재(400)의 회전에 의하여 개방된다. 문짝(200 및 300)을 폐쇄시킬 때에는 개방의 역순으로 수행하면 된다.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10)에서, 제1 문짝(200)은 외측 문짝부(202)와 내측 문짝부(204)로 이루어진다. 외측 문짝부(202)와 내측 문짝부(204)는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외측 문짝부(202)는 힌지부재(400)에 연결되는 제1 문짝(200)의 부분이고, 내측 문짝부(204)는 제2 문짝(300)과 접촉 또는 인접하는 제1 문짝(200)의 부분이다.
외측 문짝부(202)와 내측 문짝부(20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것들의 내측에서 복수개의 스프링 경첩(21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때, 외측 문짝부(202)와 내측 문짝부(204)의 내측이라 함은 탑차 적재함의 내부 측을 의미한다. 내측 문짝부(204)는 외력이 없을 때 스프링 경첩(210)의 탄성에 의하여 외측 문짝부(202)에 대하여 내측으로 둔각을 형성한다. 이때, 둔각은 90도와 180도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130도 내지 150도의 각도일 수 있다.
내측 문짝부(204)는 외측 문짝부(202)에 대하여 내측으로 0도에서 180도까지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스프링 경첩(210)으로 비틀림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에서 정해진 둔각을 이루는 위치에 대해서는 스프링 경첩(210)은 비틀림이 없는 평형상태에 있게 되는 한편, 다른 각도에서는 스프링 경첩(210)에 비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 문짝부(20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면, 스프링 경첩(210)은 비틀림이 없는 평형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외측 문짝부(202)는 내측 문짝부(204)에 대하여 설계된 바에 따른 둔각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10)에서, 제2 문짝(300)에는 가스켓(310)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켓(310)은 제1 문짝(200)에 이웃하는 제2 문짝(300)의 수직 모서리 부분을 덮도록 설치된다. 제2 문짝(300)의 가스켓(310)은 제1 문짝(200)의 내측 문짝부(204)를 외측에서 덮음으로써 제1 문짝(200)의 내측 문짝부(204)가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스켓(310)은 제2 문짝(300)의 안쪽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스켓 제1 날개부(312) 및 제2 문짝(300)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스켓 제2 날개부(314)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제1 문짝(200)의 내측 문짝부(204)는 제1 문짝(200)이 닫힐 때 제2 문짝(300)에 설치된 가스켓 제1 및 제2 날개부(312 및 314)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제2 문짝(300)의 가스켓(310)에 있어서, 가스켓 제1 날개부(312)는 가스켓 제2 날개부(314)보다 짧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 문짝(300)의 가스켓(310)은 제1 날개부(312)를 가지지 않고 제2 날개부(314)만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문짝(200)의 내측 문짝부(204)는 제1 문짝(200)이 닫힐 때 제2 문짝(300)에 설치된 가스켓 제2 날개부(314)에 의하여 덮여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10)에서 제1 문짝(200) 및 제2 문짝(300)은 다른 문짝의 개폐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먼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제2 문짝(300)이 닫힌 상태에서 제1 문짝(200)이 닫히는 구조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10)에서 제1 문짝(200)의 내측 문짝부(204)는 외력이 없을 때 스프링 경첩(210)의 탄성에 의하여 외측 문짝부(202)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는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문짝(200)의 내측 문짝부(204)를 제2 문짝(300)의 가스켓(310)에 최대한 가깝게 이동시킨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문짝부(204)의 말단부, 즉 외측 문짝부(202)와 인접하는 말단부에 대향하는 말단부는 가스켓(310)의 제2 날개부(314)에 근접 또는 인접하여 가스켓 제2 날개부(314)보다 내부에 위치하거나 외부에 위치한다. 이때, 내측 문짝부(204)의 말단부가 가스켓 제2 날개부(314)의 외부에 위치하더라도 가스켓 제2 날개부(314)의 말단부 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약간의 힘이 내측 문짝부(204)에 작용하면, 내측 문짝부(204)의 말단부는 가스켓 제2 날개부(314)의 말단부를 밀어서 가스켓 제2 날개부(314)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도 5의 상태에서, 내측 문짝부(204) 또는 외측 문짝부(202)에 대하여 수직하게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 내측 문짝부(204)는 외측 문짝부(202)에 대하여 수평한 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외측 문짝부(202)는 힌지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은 물론이다. 그러면 내측 문짝부(204)는 제2 문짝(300)에 형성된 가스켓(310)의 제1 날개부(312) 및 제2 날개부(314)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제1 문짝(200)이 닫히게 된다. 한편, 제2 문짝(300)의 가스켓(310)에 제1 날개부(312)는 없고 제2 날개부(314)만 있다면, 내측 문짝부(204)는 외부 측으로 가스켓 제2 날개부(314)에 의해 덮여진 상태가 된다.
내측 문짝부(204)가 가스켓 제1 날개부(312) 및 가스켓 제2 날개부(314) 사이에 삽입되거나 가스켓 제2 날개부(314)에 의해 외부 측으로 덮여진 상태에서는, 가스켓 제2 날개부(314)의 힘없는 말단부만이 아니라 힘있는 몸체부가 내측 문짝부(204)를 덮고 있기 때문에 강한 외력을 내측 문짝부(204)에 작용시키지 않는다면 내측 문짝부(204)는 그렇게 닫혀진 상태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하, 이러한 닫힘 상태를 임시적 닫힘 상태라 명명한다.
한편, 그렇게 제1 문짝(200)을 임시적 닫힘 상태로 닫은 후에,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손잡이(230)를 회전시켜 록킹바(220)를 문틀(100)에 마련된 걸쇠에 고정시키고 또한 손잡이(230)를 록킹부재(500)에 고정시킨다면 제1 문짝(200)의 닫힘 상태는 더욱 견고하게 된다. 이하, 이러한 닫힘 상태를 영구적 닫힘 상태 또는 견고한 닫힘 상태라 명명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10)에 의하면, 제1 문짝(200)은 두 가지 닫힘 상태, 즉 임시적 닫힘 상태와 견고한 닫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임시적 닫힘 상태는 제1 문짝(200)의 내측 문짝부(204)가 제2 문짝(300)의 가스켓 날개부(314)에 의하여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강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그 닫힘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탑차가 주행중일 때에는 임시적 닫힘 상태에 있는 것은 사고의 위험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예를 들어 탑차가 택배 차량으로 사용되는 경우, 탑차를 정차 또는 주차시킨 상태에서 택배기사가 탑차 적재함으로부터 물건을 꺼낸 후 제1 문짝(200)을 임시적으로 닫아두는 경우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만약 택배기사가 상기한 임시적 닫힘 상태를 이용할 수 없고 상기한 견고한 닫힘 상태만을 이용할 수 있다면, 상기한 임시적 닫힘 상태를 이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10)에 비하여 택배기사는 견고한 닫힘 상태로 제1 문짝(200)을 닫는데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하게 될 것이고, 그래서 택배기사에게 불편함이 따르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편리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10)는 상기한 편리성에 더하여, 제1 문짝(200)의 외측 문짝부(202)와 내측 문짝부(204)가 스프링 경첩(210)에 의하여 접철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문짝(200)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개방한 후에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는 이점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이점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제1 문짝(200)을 열 수 있게 해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10)에서, 제1 문짝(200)이 닫힌 상태에서 제2 문짝(300)이 열린 상태로부터 닫히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문짝(200)은 상기에서 언급한 견고한 닫힘 상태에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도어개폐장치(10)에서 제1 문짝(200)이 닫힌 상태에서 제2 문짝(300)이 열린 상태로부터 닫히는 것이 가능한 것은 제2 문짝(300)의 가스켓(310)에서 가스켓 제1 날개부(312)가 짧게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아예 가스켓 제1 날개부(312)가 형성되지 않아서 제2 문짝(300)을 닫을 때 가스켓 제1 날개부(312) 및 제2 문짝(300)의 말단부에 마련된 가스켓 몸체부(316)가 그것의 탄성에 의하여 제1 문짝(200)의 내측 문짝부(204)의 말단부를 타고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1 문짝(200)과 제2 문짝(300)이 모두 견고한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제1 문짝(200) 또는 제2 문짝(300)만 열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문짝(200)과 제2 문짝(300)이 모두 견고한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제1 문짝(200)의 손잡이(230)를 록킹부재(500)로부터 해제한 후 손잡이(230)를 회전하고 잡아당기면, 제2 문짝(300)이 닫힌 상태에서 제1 문짝(200)만이 열리게 된다. 제1 문짝(200)이 제2 문짝(300)의 가스켓(310)으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제1 문짝(200)의 구조, 즉 내측 문짝부(204)가 외측 문짝부(202)에 대하여 일정한 둔각을 이루는 위치에서 스프링 경첩(210)이 평형상태를 이루는 구조에 의하여 외측 문짝부(202)가 가스켓 제1 및 제2 날개부(312 및 314)로부터 빠져나오는 경로 상에서 가스켓(310)이 외측 문짝부(202)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1 문짝(200)과 제2 문짝(300)이 모두 견고한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제2 문짝(300)의 손잡이(330)를 록킹부재(500)로부터 해제한 후 손잡이(330)를 회전하고 잡아당기면, 제1 문짝(200)이 닫힌 상태에서 제2 문짝(300)만이 열리게 된다. 이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문짝(300)을 열 때 가스켓 제1 날개부(312) 및 제2 문짝(300)의 말단부에 마련된 가스켓 몸체부(316)가 그것의 탄성에 의하여 제1 문짝(200)의 내측 문짝부(204)의 말단부를 타고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10: 도어개폐장치 100: 문틀
200: 제1 문짝 202: 외측 문짝부
204: 내측 문짝부 210: 스프링 경첩
220,320: 록킹바 230,330: 손잡이
300: 제2 문짝 310: 가스켓
312,314: 가스켓 제1 및 제2 날개부 400: 힌지부재
500: 록킹부재

Claims (8)

  1. 문틀, 상기 문틀 내측에 이웃하게 배치되고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제1 및 제2 문짝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문짝, 상기 문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문짝을 수직하게 가로질러 배치되는 문짝의 록킹바, 상기 록킹바에 연결되어 상기 문짝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기 위한 문짝의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가 걸려 고정되게 하거나 해제되어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짝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외측 문짝부 및 내측 문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문짝부와 상기 내측 문짝부는 그것들의 내측에서 복수개의 스프링 경첩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내측 문짝부는 외력이 없을 때 상기 스프링 경첩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외측 문짝부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문짝은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외측 문짝부 또는 상기 내측 문짝부에 대하여 수직하게 미는 힘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내측 문짝부가 상기 외측 문짝부에 대하여 수평한 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환됨으로써 닫히게 되고,
    상기 도어개폐장치는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에 이웃하는 상기 제2 문짝의 수직 모서리 부분을 덮고,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가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문짝의 가스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문짝의 가스켓은 상기 제2 문짝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스켓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는 상기 제1 문짝이 닫힐 때 상기 제2 문짝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 날개부에 의하여 덮여지며,
    상기 제1 문짝과 상기 제2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손잡이를 상기 록킹부재로부터 해제한 후 상기 손잡이를 회전하고 잡아당기면, 상기 제2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문짝만 열리게 되고,
    상기 제1 문짝과 상기 제2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문짝의 상기 손잡이를 상기 록킹부재로부터 해제한 후 상기 손잡이를 회전하고 잡아당기면, 상기 제1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2 문짝만 열리게 되고, 또한 상기 제2 문짝은 상기 제1 문짝이 닫힌 상태에서 닫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짝의 가스켓은 상기 제2 문짝의 안쪽 면과 바깥쪽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스켓 제1 및 제2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는 상기 제1 문짝이 닫힐 때 상기 제2 문짝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 제1 및 제2 날개부 사이에 삽입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짝의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제1 날개부는 상기 가스켓 제2 날개부보다 짧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문짝의 가스켓은 상기 제2 문짝의 바깥쪽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스켓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문짝의 안쪽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스켓 날개부는 가지지 않으며,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는 상기 제1 문짝이 닫힐 때 상기 제2 문짝에 설치된 상기 가스켓 날개부에 의하여 덮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7. 제1항, 제4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문짝에 설치되는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외측 문짝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문짝에 설치되는 상기 록킹바는 상기 제1 문짝의 상기 내측 문짝부에 상기 제1 문짝에 설치되는 상기 록킹부재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8. 삭제
KR1020200005644A 2020-01-15 2020-01-15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KR102276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44A KR102276084B1 (ko) 2020-01-15 2020-01-15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644A KR102276084B1 (ko) 2020-01-15 2020-01-15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084B1 true KR102276084B1 (ko) 2021-07-12

Family

ID=7685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644A KR102276084B1 (ko) 2020-01-15 2020-01-15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08B1 (ko) * 2021-08-04 2022-04-22 주식회사 한국스마트탑 2단 바닥식 적재함을 구비하는 저상탑차의 적재함 도어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049A (ja) * 1997-12-12 1999-06-29 Nippon Fruehauf Co Ltd 車両荷箱の扉構造
US20020005652A1 (en) * 2000-06-20 2002-01-17 Tolinski Roch J. Lift gate for a motor vehicle
JP2009249926A (ja) * 2008-04-07 2009-10-29 Kyoshin Seisakusho:Kk コンテナなどの後扉の開閉機構
KR20130004169U (ko) * 2011-12-28 2013-07-08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JP5517562B2 (ja) * 2009-10-28 2014-06-11 株式会社パブコ 車両搭載用荷箱のリヤドア構造
KR101966790B1 (ko) * 2018-07-17 2019-04-08 박태민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
KR102021113B1 (ko) * 2019-01-16 2019-09-11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1049A (ja) * 1997-12-12 1999-06-29 Nippon Fruehauf Co Ltd 車両荷箱の扉構造
US20020005652A1 (en) * 2000-06-20 2002-01-17 Tolinski Roch J. Lift gate for a motor vehicle
JP2009249926A (ja) * 2008-04-07 2009-10-29 Kyoshin Seisakusho:Kk コンテナなどの後扉の開閉機構
JP5517562B2 (ja) * 2009-10-28 2014-06-11 株式会社パブコ 車両搭載用荷箱のリヤドア構造
KR20130004169U (ko) * 2011-12-28 2013-07-08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KR101966790B1 (ko) * 2018-07-17 2019-04-08 박태민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
KR102021113B1 (ko) * 2019-01-16 2019-09-11 김중기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9608B1 (ko) * 2021-08-04 2022-04-22 주식회사 한국스마트탑 2단 바닥식 적재함을 구비하는 저상탑차의 적재함 도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2603A (en) Double pivot door for cargo vehicles
US9393855B2 (en) Truck cap assembly
US8448483B2 (en) Securement apparatus for a vehicle storage compartment
CA1325821C (en) Aligning and latching mechanism for a hinged door of a cargo container
US11578516B2 (en) Multifunction securing mechanism for door
CN212637700U (zh) 皮卡车
KR102276084B1 (ko)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KR102021113B1 (ko) 탑차 적재함용 도어개폐장치
WO2006094368A1 (en) Locking mechanism
US9783028B1 (en) Powered dual closure system for vehicles
US5011215A (en) Escape door system
US5110164A (en) Latching apparatus for a panel door
JP3502968B2 (ja) 車両ドアの上下開き構造
KR100812451B1 (ko) 차량의 보조 테일 게이트구조
JP3985913B2 (ja) 車両荷箱の扉構造
US8517436B2 (en) Container door locking assembly
US5036684A (en) Security device for vehicle closing systems
JP3244639U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構造
JP6729065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開閉構造
KR20060018350A (ko) 보조도어가 구비되는 차량의 테일게이트
EP3511492A1 (en) Closure mechanism for doors of goods vehicles
GB203840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oors
GB2213134A (en) Freight containers
US20230228137A1 (en) Diagonally translating door
US1753907A (en) Rear door for vehicle bod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