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384B1 -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384B1
KR102275384B1 KR1020190140427A KR20190140427A KR102275384B1 KR 102275384 B1 KR102275384 B1 KR 102275384B1 KR 1020190140427 A KR1020190140427 A KR 1020190140427A KR 20190140427 A KR20190140427 A KR 20190140427A KR 102275384 B1 KR102275384 B1 KR 10227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composition
compound
electrolyte
i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363A (ko
Inventor
박영인
박재형
육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마
Priority to KR1020190140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38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1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 C07F7/0812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4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04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 H01G9/2013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the electrolyte comprising ionic liquids, e.g. alkyl imidazolium iod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45Room temperature molten salt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과 같은 이차전지, 초고용량축전기 (ultracapacitor), 콘덴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전지발광 셀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전해질 조성물은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짐과 동시에 고온에서도 이온전도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특히 상온 및 고온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여 이차전지의 활용 온도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전해질 조성물은 휘발의 우려가 없어 장시간 사용가능한 이차전지의 제조가 가능하고, 특히 대기압 조건에서 본 발명의 이온성액체를 간단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 {IMIDAZOLE COMPOUND FOR A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ELECTROLYTE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과 같은 이차전지, 초고용량축전기 (ultracapacitor), 콘덴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전지발광 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공칭 전압 (nominal voltage)이 3.2~3.7V로 높고 무게당 용량도 다른 이차전지에 비해 월등히 높기 때문에 이차전지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리튬염을 함유한 전해액 등을 포함하는 주 소재와 분리막 및 케이스 등을 포함하는 부소재로 구성된다.
리튬 이차전지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양극과 음극 소재 개발에 노력이 집중되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전극의 에너지 저장용량을 증대시키고 수명을 늘리는 등 많은 발전이 있었으나, 전지의 안정성 및 전압에 밀접하게 연관된 전해액에 대한 개발은 아직도 시작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리튬 이차전지의 전해액으로는 통상 8mS/cm의 높은 이온전도도와 -20~60℃의 실용적인 작동온도 범위를 갖는 비수계 유기용매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비수계 유기용매를 기반으로 하는 전해액은 100℃에서 분해되기 시작하는 낮은 열적 안정성 때문에 전지의 안정성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낮은 열적 안정성을 보완하기 위해 포스페이트계 또는 질소-인 화합물과 같은 난연제가 15~30wt% 이상으로 첨가되어 사용되었으나, 이와 같은 난연제로 인하여 전해액의 전기적 특성은 급속히 나빠지게 되는바 전지의 성능발현 및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전지의 대용량화 및 고에너지화 추세에 따라 만충전 전압 4V 이상의 고전압 전지에 대한 요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전압 양극제의 활용이 도모되고 있지만, 종래의 비수계 유기용매 전해액의 경우는 4.5V 이하의 낮은 산화 전압을 나타내어 이와 같은 고전압 양극제와 함께 고전압용 리튬 이차전지를 구성하기에 부족하였다.
또한, 전해액의 낮은 열적 안정성 및 낮은 산화 전압을 보완하기 위하여, 난연성, 낮은 증기압, 높은 열적 안정성, 높은 전기화학적 안정성, 높은 이온 농도, 낮은 독성을 갖는 이온성 액체를 비수계 유기용매 대신에 전해액으로 사용한 예가 있었으나, 이온성 액체는 리튬이차 전지의 전기적인 특성, 특히 출력성능 저하를 야기하고, 이온성 액체의 불안정성 및 상대적으로 높은 환원전위 때문에 충방전시 이온성 액체가 전극피막(SEI layer)의 원인을 제공하여 전지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하기 특허문헌 1은 이온성액체고분자(polymeric ionic liquid), 무기입자(inorganic particle) 및 유기전해질(organic electrolyte);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복합전해질을 개시하고 있으나, 하기 특허문헌 1의 전해질 역시 전술한 문제점들을 포함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점들을 보완한 리튬 이차전지용 이온성 액체 전해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26648호 (2016.03.09)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 전도도가 우수하고, 상온 및 고온의 넓은 범위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며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휘발의 우려가 없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가 가능한 전해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이미다졸 화합물은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1345977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 비닐(vinyl)기, 또는 알릴(allyl)기이며, R2는 H 또는 C1 내지 C3의 알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전술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이온결합하여 이온성액체인 염을 형성하는 음이온;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제2 양이온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 양이온은 4-아자피리디늄(4-azapyridinium), 피롤리디늄(prrolidinium), 피페리디늄(pperidinium), 피라졸륨(prazolium), 피리디늄(pridinium), 피리미디움(pyrimidium), 암모니움(ammonium) 및 포스포니움(phosphonium) 중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불소(F)를 함유하는 음이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헥사풀루오로 포스페이트(PF6) 또는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포네이트 (OTF)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성액체; 및 용매인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성 액체; 및 에스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가 혼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PC), 디메틸 카보ㄴ네이트 (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렌 메틸 카보네이트 (ethylene methyl carbonate, EMC) 또는 에틸렌 아세테이트 (ethylene acetate, E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성액체; 및 에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가 혼합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dipropylene glycol dimethyl ether, DMM), 디메틸 에테르 (dimethyl ether, DME) 또는 디에틸 에테르 (diethyl ether, DE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양한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초고용량 축전기 (ultracapacitor)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콘덴서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전지발광 셀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전해질 조성물은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짐과 동시에 고온에서도 이온전도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특히 상온 및 고온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여 이차전지의 활용 온도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전해질 조성물은 휘발의 우려가 없어 장시간 사용가능한 이차전지의 제조가 가능하고, 특히 대기압 조건에서 본 발명의 이온성액체를 간단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해질용 이온성액체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해질용 이온성액체의 수분함량 데이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해질용 이온성액체의 할라이드함량의 데이터이다.
도 4 내지 18은 순서대로 각각 실시예 1 내지 15의 전기전도도 데이터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등과 같은 이차전지, 초고용량축전기 (ultracapacitor), 콘덴서,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전지발광 셀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전해질 조성물은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짐과 동시에 고온에서도 이온전도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높은 열적 안정성을 가지며 특히 상온 및 고온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액체상태로 존재하여 이차전지의 활용 온도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전해질 조성물은 휘발의 우려가 없어 장시간 사용가능한 이차전지의 제조가 가능하고, 특히 대기압 조건에서 본 발명의 이온성액체를 간단하게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이차전지용 전해질의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이미다졸 화합물은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9113459771-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 비닐(vinyl)기, 또는 알릴(allyl)기이며, R2는 H 또는 C1 내지 C3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후술하는 음이온과 결합하여 이온성액체를 형성할 수 있는 양이온 화합물의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1의 화합물과 이온결합하여 염을 형성하는 음이온;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제2 양이온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 양이온은 4-아자피리디늄(4-azapyridinium), 피롤리디늄(prrolidinium), 피페리디늄(pperidinium), 피라졸륨(prazolium), 피리디늄(pridinium), 피리미디움(pyrimidium), 암모니움(ammonium) 및 포스포니움(phosphonium) 중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양이온은 하기 표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다.
양이온 화합물 명칭 구조식 양이온 명칭 구조식
4-아자피리디늄
(4-azapyridinium)
Figure 112019113459771-pat00003
피리디늄
(pridinium)
Figure 112019113459771-pat00004
피롤리디늄
(prrolidinium)
Figure 112019113459771-pat00005
피리미디움
(pyrimidium)
Figure 112019113459771-pat00006
피페리디늄
(pperidinium)
Figure 112019113459771-pat00007
암모니움
(ammonium)
Figure 112019113459771-pat00008
피라졸륨
(prazolium)
Figure 112019113459771-pat00009
포스포니움
(phosphonium)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0
즉, 상기 표 1에 열거된 양이온들은 상기 화학식 1의 양이온 화합물과 함께 또는 이와 별도로 후술하는 음이온들과 이온결합하여 이온성액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양이온들은 불소(F)를 함유하는 음이온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음이온은 하기 표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식을 갖는 것들 일 수 있다.
음이온 화합물 명칭 구조식

헥사풀루오로 포스페이트(PF6)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1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포네이트 (OTF)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2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FSI)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3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TFSI)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4
예를 들어, 상기 양이온 화합물들은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 음이온과 결합하여 이온성액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 음이온이 결합하면 하기 화학식 2 및 3의 구조를 갖는 이온성액체를 형성하게 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5
[화학식 3]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6
특히, 상기 화학식 2 및 3의 결합에 따른 이온성액체가 형성될 경우 전해질의 열적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며, 이온전도 특성이 현저하게 증가하고, 이차전지의 내구성 및 효율 또한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 화학식 1과 마찬가지로 상기 화학식 2 및 3에서 R1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 비닐(vinyl)기, 또는 알릴(allyl)기이며, R2는 H 또는 C1 내지 C3의 알킬기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2 및 3의 이온성액체의 경우 이를 이차전지의 전해질 첨구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다른 전해질 성분 없이 이를 단독으로 전해질로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2 및 3의 이온성액체를 리튬이차전지의 전해질로 사용할 경우, 매우 안정적인 이차전지의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구현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상기 음이온으로 헥사풀루오로 포스페이트(PF6) 또는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포네이트 (OTF)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또 다른 구현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성 액체; 및 용매인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또 다른 구현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성 액체; 및 에스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가 혼합된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상기 에스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PC), 디메틸 카보ㄴ네이트 (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렌 메틸 카보네이트 (ethylene methyl carbonate, EMC) 또는 에틸렌 아세테이트 (ethylene acetate, EA)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또 다른 구현 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성 액체; 및 에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가 혼합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에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dipropylene glycol dimethyl ether, DMM), 디메틸 에테르 (dimethyl ether, DME) 또는 디에틸 에테르 (diethyl ether, DEE)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다양한 구현 예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은 특히,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 조성물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은 이차전지 이외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전기장치에 전해질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초고용량 축전기 (ultracapacitor)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콘덴서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도록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라 전지발광 셀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상기 다양한 구현예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주성분,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도록 제조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조성물에 포함되는 이온성액체는 공지의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연속생산방법(continuous process by microreactor)에 의하여, 20ppm 이하의 수분 및 10ppm 이하의 할라이드 함량의 고순도 이온성액체 생산에 적합한 공정을 선택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춤과 동시에 전해질의 이온전도 특성 등과 같은 품질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구현예로써 전해질 조성물에 포함되는 이온성액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실험에 있어서, 사용된 분석 장비들은 다음과 같다.
NMR 스펙트럼은 600MHz Bruker Advance spectrometer로 측정하였고, TGA(열중량분석기)는 PERKIN ELMER TGA 7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조건은 질소 기류 하에서 초기온도 30℃(5min) → 10℃/min → 800℃으로 실시하였다.
전기전도도 측정은 Metrohm 856 Conductivity Module을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샘플은 Acetonitrile에 용해해서 측정하였다.
할라이드 음이온 분석은 Metrohm 848 Titrino plus를 사용하였으며, 칼피셔 수분측정은 마찬가지로 Metrohm 870 KF Titrino plus 장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합성 진행에 있어서 반응 진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얇은막크로마토그라피(TLC)용 Silica Gel은 Merck 60 F254를 사용하였다.
[실시 예 1] BMDS와 1-Methylimidazole의 coupling. (BMDS)Im-Cl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7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1,3-Bis(chloromethyl)tetramethyl-disiloxane (BMDS), 98% 20g (0.087mol, TCI)을 Acetonitrile 100ml에 녹인 후 1-Methylimidazole, 99% 21.48g(0.261mol, 3equiv, Across)을 넣고 48시간 교반하며 환류 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2)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48시간 환류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반응하지 않고 남은 1-Methylimidazole을 제거하기 위하여 THF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32.55g(수율 94.84%)의 갈색 액체를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9.542ppm(s,1H), δ7.883ppm(d, 2H), δ7.751ppm(d, 2H), δ3.815ppm(s, 4H), δ3.776ppm(s, 6H), δ0.341ppm(s, 12H)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1.602 mS/cm
수분(Water Contents) : 67.87ppm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265.16℃ dec.
[실시 예 2] (BMDS)Im-TFSI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8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Im-Cl 15g(0.038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9% 13.13g(0.045mol, 1.2equiv, Rhodia)을 마저 넣고 35℃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1)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32.19g(수율 95.66%)의 갈색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8.995ppm(s,1H), δ7.694ppm(d, 2H), δ7.617ppm(d, 2H), δ3.797ppm(s, 4H), δ3.725ppm(s, 6H), δ0196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9.103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17.119 mS/cm
수분(Water Contents) : 41.77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443.39℃ dec.
[실시 예 3] (BMDS)Im-FSI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19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Im-Cl 15g(0.038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Potass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8% 10.02g(0.045mol, 1.2equiv, Chemlin)을 마저 넣고 35℃ 에서 12시간 교반 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49)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 한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24.75g(수율 95.11%)의 갈색 고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9.012ppm(s,1H), δ7.657ppm(d, 2H), δ7.577ppm(d, 2H), δ3.759ppm(s, 4H), δ3.685ppm(s, 6H), δ0.332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8.648(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19.319 mS/cm
수분(Water Contents) : 52.21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286.35℃ dec.
[실시 예 4] BMDS와 1,2-Dimethylimidazole의 coupling. (BMDS)Di-me-Im-Cl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0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1,3-Bis(chloromethyl)tetramethyl-disiloxane (BMDS),98% 20g(0.087mol, TCI)을 Acetonitrile 100ml에 녹인 후 1,2-Dimethylimidazole, 98% 25.15g(0.261mol, 3equiv, Alfa)을 넣고 48시간 교반하며 환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0)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48시간 환류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반응하지 않고 남은 1,2-Dimethylimidazole을 제거하기 위하여 THF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35.65g(수율 96.95%)의 흰색 고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7.735ppm(d, 2H), δ7.574ppm(d, 2H), δ3.898ppm(s, 4H), δ3.768ppm(s, 6H), δ2.565ppm(s, 6H), δ0.155ppm(s, 12H)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2.290 mS/cm
수분(Water Contents) : 62.25ppm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257.15℃ dec.
[실시 예 5] (BMDS)Di-me-Im-TFSI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1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Di-me-Im-Cl 15g(0.038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9% 12.25g(0.042mol, 1.2equiv, Rhodia)을 마저 넣고 35℃ 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1)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30.49g(수율 94.07%)의 갈색 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7.591ppm(d, 2H), δ7.538ppm(d, 2H), δ3.829ppm(s, 4H), δ3.774ppm(s, 6H), δ2.558ppm(s, 6H), δ0.202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8.942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18.639 mS/cm
수분(Water Contents) : 99.19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436.25℃ dec.
[실시 예 6] (BMDS)Di-me-Im-FSI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2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Di-me-Im-Cl 15g(0.038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Potass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8% 9.36g(0.042mol, 1.2equiv, Chemlin)을 마저 넣고 35℃ 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49)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23.74g(수율 93.87%)의 갈색 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7.611ppm(d, 2H), δ7.556ppm(d, 2H), δ3.819ppm(s, 4H), δ3.747ppm(s, 6H), δ2.538ppm(s, 6H), δ0.182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8.658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21.051 mS/cm
수분(Water Contents) : 88.75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312.33℃ dec.
[실시 예 7] BMDS와 1-Ethylimidazole의 coupling. (BMDS)Et-Im-Cl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3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1,3-Bis(chloromethyl)tetramethyl-disiloxane, (BMDS),98% 20g(0.087mol, TCI)을 Acetonitrile 100ml에 녹인 후 1-Ethylimidazole, 98% 25.15g(0.261mol, 3equiv, Across)을 넣고 48시간 교반하며 환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1)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48시간 환류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반응하지 않고 남은 1-Ethylimidazole을 제거하기 위하여 THF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34.94g(수율 95.02%)의 갈색 액체를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9.446ppm(s, 2H), δ7.890ppm(d, 2H), δ7.687ppm(d, 2H), δ4.243ppm(q, 4H), δ3.977ppm(s, 4H), δ1.411ppm(t, 6H), δ0.179ppm(s, 12H)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2.267 mS/cm
수분(Water Contents) : 31.32ppm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258.83℃ dec.
[실시 예 8] (BMDS)Et-Im-TFSI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4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Et-Im-Cl 15g(0.035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9% 12.25g(0.042mol, 1.2equiv, Rhodia)을 마저 넣고 35℃ 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2)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31.19g(수율 96.23%)의 갈색 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9.009ppm(s, 2H), δ7.802ppm(d, 2H), δ7.547ppm(d, 2H), δ4.219ppm(q, 4H), δ3.884ppm(s, 4H), δ1.432ppm(t, 6H), δ0.185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8.786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17.447 mS/cm
수분(Water Contents) : 73.09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436.25℃ dec.
[실시 예 9] (BMDS)Et-Im-FSI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5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Et-Im-Cl 15g(0.035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Potass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8% 9.36g(0.042mol, 1.2equiv, Chemlin)을 마저 넣고 35℃ 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0)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 한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23.48g(수율 92.84%)의 갈색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8.980ppm(s, 2H), δ7.703ppm(d, 2H), δ7.506ppm(d, 2H), δ4.202ppm(q, 4H), δ3.846ppm(s, 4H), δ1.448ppm(t, 6H), δ0.162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8.781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19.787 mS/cm
수분(Water Contents) : 78.31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328.51℃ dec.
[실시 예 10] BMDS와 1-Butylimidazole의 coupling. (BMDS)Bu-Im-Cl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6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1,3-Bis(chloromethyl)tetramethyl-disiloxane, (BMDS),98% 20g(0.087mol, TCI)을 Acetonitrile 100ml에 녹인 후 1-Butylimidazole, 99% 32.49g(0.261mol, 3equiv, Alfa)을 넣고 48시간 교반하며 환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0)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48시간 환류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반응하지 않고 남은 1-Butylimidazole을 제거하기 위하여 THF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38.67g(수율 92.82%)의 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9.701ppm(s, 2H), δ7.970ppm(d, 2H), δ7.880ppm(d, 2H), δ4.232ppm(t, 4H), δ3.887ppm(s, 4H), 1.735ppm(m, 4H), δ1.187ppm(m, 4H), δ0.849ppm(t, 6H), δ0.119ppm(s, 12H)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3.874 mS/cm
수분(Water Contents) : 93.97ppm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255.74℃ dec.
[실시 예 11] (BMDS)Bu-Im-TFSI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7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Bu-Im-Cl 15g(0.031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9% 10.81g(0.037mol, 1.2equiv, Rhodia)을 마저 넣고 35℃ 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1)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29.18g(수율 96.11%)의 연한 갈색 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9.092ppm(s, 2H), δ7.716ppm(d, 2H), δ7.652ppm(d, 2H), δ4.184ppm(t, 4H), δ3.858ppm(s, 4H), 1.782ppm(m, 4H), δ1.269ppm(m, 4H), δ0.904ppm(t, 6H), δ0.066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9.019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19.531 mS/cm
수분(Water Contents) : 83.53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408.79℃ dec.
[실시 예 12] (BMDS)Bu-Im-FSI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8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Bu-Im-Cl 15g(0.031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Potass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8% 8.26g(0.037mol, 1.2equiv, Chemlin)을 마저 넣고 35℃ 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3)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22.85g(수율 94.89%)의 연한 갈색 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9.066ppm(s, 2H), δ7.683ppm(d, 2H), δ7.623ppm(d, 2H), δ4.155ppm(t, 4H), δ3.852ppm(s, 4H), 1.764ppm(m, 4H), δ1.289ppm(m, 4H), δ0.918ppm(t, 6H), δ0.045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8.889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21.656 mS/cm
수분(Water Contents) : 20.88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284.60℃ dec.
[실시 예 13] BMDS와 1-Vinylimidazole의 coupling. (BMDS)Vinyl-Im-Cl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29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1,3-Bis(chloromethyl)tetramethyl-disiloxane, (BMDS),98% 20g(0.087mol, TCI)을 Acetonitrile 100ml에 녹인 후 1-Vinylimidazole, 99% 24.62g(0.261mol, 3equiv, Alfa)을 넣고 48시간 교반하며 환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2)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48시간 환류 후 반응액을 감압 농축하고, 반응하지 않고 남은 1-Vinylimidazole을 제거하기 위하여 THF로 3회 세척하였다.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34.75g(수율 95.44%)의 점성이 높은 갈색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10.052ppm(s, 2H), δ8.434ppm(d, 2H), δ7.999ppm(d, 2H), δ7.440ppm(m, 2H), δ6.109ppm-δ6.113ppm(d, 1H), δ5.339ppm-δ5.345ppm(d, 1H), δ3.922ppm(s, 4H), δ0.089ppm(s, 12H)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3.621 mS/cm
수분(Water Contents) : 46.99ppm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289.57℃ dec.
[실시 예 14] (BMDS)Vinyl-Im-TFSI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30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Vinyl-Im-Cl 15g(0.035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9% 12.37g(0.043mol, 1.2equiv, Rhodia)을 마저 넣고 35℃ 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1)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30.58g(수율 93.86%)의 갈색 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9.400ppm(s, 2H), δ8.208ppm(d, 2H), δ7.713ppm(d, 2H), δ7.313ppm(m, 2H), δ5.913ppm-δ5.951ppm(d, 1H), δ5.391ppm-δ5.413ppm(d, 1H), δ3.884ppm(s, 4H), δ0.132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8.735(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20.017 mS/cm
수분(Water Contents) : 36.54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378.05℃ dec.
[실시 예 15] (BMDS)Vinyl-Im-FSI 의 합성
Figure 112019113459771-pat00031
250ml 4-neck round bottle flask에 (BMDS)Vinyl-Im-Cl 15g(0.035mol)을 물 100ml에 녹인 후 Potass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98% 9.45g(0.043mol, 1.2equiv, Chemlin)을 마저 넣고 35℃ 에서 12시간 교반시켰다. TLC(SiO2, Methylenechloride : Methyl alcohol = 9 : 1, Rf=0.53)으로 반응 종결을 확인하였다. 교반 후 얻어진 화합물을 물로 3회 이상 세척 후 감압 농축하여 23.56g(수율 92.79%)의 갈색 액체 화합물을 얻었다.
1 H-NMR (DMSO-d 6 , 600MHz) : δ9.394ppm(s, 2H), δ8.194ppm(d, 2H), δ7.796ppm(d, 2H), δ7.289ppm(m, 2H), δ5.945ppm-δ5.951ppm(d, 1H), δ5.390ppm-δ5.411ppm(d, 1H), δ3.884ppm(s, 4H), δ0.208ppm(s, 12H)
19 F-NMR (DMSO-d 6 , 600MHz) : δ-78.665(ppm)
전기전도도(Electro Conductivity) : 22.327 mS/cm
수분(Water Contents) : 26.10ppm
할라이드(Halide Contents) : N.D
열 중량분석(Thermo gravimetric analysis) : 223.25℃ dec.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
    [화학식 1]
    Figure 112019113459771-pat0003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 내지 C10의 알킬기, 비닐(vinyl)기, 또는 알릴(allyl)기이며,
    R2는 H 또는 C1 내지 C3의 알킬기인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2. 청구항 1의 화합물; 및
    청구항 1의 화합물과 이온결합하여 염을 형성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 양이온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 양이온은 4-아자피리디늄(4-azapyridinium), 피롤리디늄(prrolidinium), 피페리디늄(pperidinium), 피라졸륨(prazolium), 피리디늄(pridinium), 피리미디움(pyrimidium), 암모니움(ammonium) 및 포스포니움(phosphonium) 중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불소(F)를 함유하는 음이온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헥사풀루오로 포스페이트(PF6) 또는 트리플루오르메탄설포네이트 (OTF)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7.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가 청구항 1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성 액체; 및
    용매인 아세토니트릴;이 혼합되어 형성된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8.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가 청구항 1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성 액체; 및
    에스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가 혼합되어 형성된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ethylene carbonate, 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PC), 디메틸 카보ㄴ네이트 (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렌 메틸 카보네이트 (ethylene methyl carbonate, EMC) 또는 에틸렌 아세테이트 (ethylene acetate, EA)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10.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bis(fluorosulfonyl)imide, FSI) 또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가 청구항 1의 화합물과 결합하여 형성된 이온성 액체; 및
    에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가 혼합되어 형성된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dipropylene glycol dimethyl ether, DMM), 디메틸 에테르 (dimethyl ether, DME) 또는 디에틸 에테르 (diethyl ether, DEE)인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12. 청구항 2 내지 11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용 조성물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전해질 조성물인 전해질 조성물.
  13. 청구항 1의 화합물 또는 청구항 2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14. 청구항 1의 화합물 또는 청구항 2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초고용량축전기 (ultra capacitor).
  15. 청구항 1의 화합물 또는 청구항 2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콘덴서.
  16. 청구항 1의 화합물 또는 청구항 2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17. 청구항 1의 화합물 또는 청구항 2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전해질 조성물을 전해질의 첨가제, 조절제 또는 촉진제 성분으로 함유하는 전지발광 셀.
KR1020190140427A 2019-11-05 2019-11-05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 KR102275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427A KR102275384B1 (ko) 2019-11-05 2019-11-05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427A KR102275384B1 (ko) 2019-11-05 2019-11-05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363A KR20210054363A (ko) 2021-05-13
KR102275384B1 true KR102275384B1 (ko) 2021-07-09

Family

ID=7591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427A KR102275384B1 (ko) 2019-11-05 2019-11-05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384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67B1 (ko) * 2010-07-14 2012-06-22 주식회사 세원 신규한 이미다졸륨 염 및 이를 함유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전해질 조성물
KR101747864B1 (ko) 2014-08-28 201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전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USSIAN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A, 2015, VOL. 89, NO. 12, PP. 2204-22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363A (ko)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1559B2 (en) Functionalized ionic liquid electrolytes for lithium ion batteries
JP4024824B2 (ja) 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の製造方法
KR100900132B1 (ko) 제4급 암모늄염, 전해질, 전해액 및 전기 화학 디바이스
US11050087B2 (en) Silane functionalized ionic liquids
JP5950916B2 (ja) シアノ−アルコキシ−ボレートアニオンを含む電解質配合物
EP2526105B1 (en) Electrolyte formulations
JP6101575B2 (ja) 非水電解液用添加剤、非水電解液、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JPWO2011037263A1 (ja) 電解液用溶媒、電解液、及びゲル状電解質
EP2535328A1 (en) Fluoroalkane derivative, gelling agent and gel composition
JP6267038B2 (ja) 非水電解液及びこれを含む蓄電デバイス
JP2014070035A (ja) イオン液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質並びに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解液
KR102275384B1 (ko) 이차전지의 전해질 용액용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전해질 조성물
WO2020191149A1 (en) Modified ionic liquids containing cyclic phosphorus moiety
JP5875954B2 (ja) シアノボレート化合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電解質
JP2010215512A (ja) イオン液体、イオン液体の製造方法、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WO2020132479A1 (en) Modified ionic liquids containing boron
KR101614017B1 (ko) 에테르 작용기가 치환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이온성 액체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상 또는 겔 전해질
EP3605698A1 (en) New components for electrolyte compositions
WO2013010640A1 (en) Compounds containing alkyl-alkoxy-cyano-borate anions
JP2010235583A (ja) イオン液体、電解質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KR102669779B1 (ko) 실란 작용기를 가진 이온성 액체들
US20230125746A1 (en)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and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