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5370B1 -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 Google Patents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5370B1
KR102275370B1 KR1020190121261A KR20190121261A KR102275370B1 KR 102275370 B1 KR102275370 B1 KR 102275370B1 KR 1020190121261 A KR1020190121261 A KR 1020190121261A KR 20190121261 A KR20190121261 A KR 20190121261A KR 102275370 B1 KR102275370 B1 KR 10227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slot
crusher
present
sl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821A (ko
Inventor
정병일
Original Assignee
정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520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47474B1/ko
Application filed by 정병일 filed Critical 정병일
Priority to KR102019012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370B1/ko
Priority to PCT/KR2020/000816 priority patent/WO2020226262A1/ko
Publication of KR20200127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의 간격을 조정하며 석재를 분쇄하는 이동부에 설치되는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또는 이동부는, 일면에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폭방향으로 교번되어 배치된 플레이트; 상기 볼록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과 한 쌍의 측벽으로 형성되고, 볼록한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가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바닥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슬롯; 및 상기 슬롯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강부재가 장착되는 홈보다 외부로 보강부재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좁게 형성됨으로써 플레이트가 마모되더라도 보강부재가 이탈되어 분쇄기 내부로 투입되지 않아, 갑작스런 분쇄기의 작업중지를 예방하고 분쇄기의 고장 및 수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죠 크러셔 뿐만 아니라 콘 크러셔의 라이너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보강부재의 설치면적을 증가시켜 플레이트의 마모를 방지하므로 분쇄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CRUSHER LINER WITH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은 분쇄기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등을 분쇄하는 분쇄기는 죠 크러셔와 콘 크러셔로 구분될 수 있고, 이들 분쇄기들은 각각의 환경 또는 상황에 맞게 사용되었다.
석재를 분쇄하는 작업현장에서는 죠 크러셔와 콘 크러셔를 병행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상대적으로 큰 석재를 죠 크러셔가 분쇄하고, 분쇄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석재를 콘 크러셔가 분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 중 죠 크러셔의 개략도이지만, 통상의 죠 크러셔라 가정하였을 때 플레이트(110, 210)가 사이에 석재 등의 분쇄대상물이 투입되고, 액추에이터(미부호)에 의해 이동부(200)의 플레이트(210)가 고정부(100)의 플레이트(110) 쪽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가압을 통해 분쇄대상물은 분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고정부(100)와 이동부(200)의 플레이트(110, 210)의 하단이 마모가 가장 심하게 발생한다.
분쇄기가 석재 등을 분쇄하면서 고정부(100)와 이동부(200)의 플레이트(110, 210)는 마모되고, 마모된 플레이트(110, 210)를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인건비 등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도 10은 등록실용신안 제20-0207715호(2000.12.15. 공고)(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의 죠판을 나타낸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죠판(2)의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사용시간을 연장키고자 한 것으로, 죠판(2)은 특수강으로 형성된 슈퍼볼(4)을 볼록한 부분에 배치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죠판(2)은 특수강으로 형성된 슈퍼볼(4)에 비해 강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이를 도 1의 플레이트에 적용한다면, 플레이트(110, 210)가 마모되면서 플레이트(110, 210)로부터 이탈되기 쉽다.
예컨대, 도 11은 특허문헌 1의 실제 죠판을 나타낸 것이며, 죠판(2) 앞부분이 마모되면서 슈퍼볼(4)이 이탈한 모습이다. 도 10에서 끝단 부분은 죠판(2) 소재만으로 되어있어 슈퍼볼(4)보다 상대적으로 빨리 마모가 진행되고, 결국 볼을 잡아주는 힘이 약해져 볼의 이탈이 쉽게 발생한다.
따라서, 죠판(2)으로부터 이탈된 슈퍼볼(4)은 분쇄기 내부로 투입되며, 플레이트(110, 210) 교체 뿐만 아니라 분쇄작업 전부를 중지하여 슈퍼볼(4)을 찾아 제거해야만 정상적인 분쇄작업이 가능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KR 20-0207715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가 마모되더라도 슈퍼볼과 같은 보강부재가 분쇄기 내부로 투입되지 않도록 하여, 분쇄기의 작업중지를 최소화하고 보강부재의 설치면적을 증가시켜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의 간격을 조정하며 석재를 분쇄하는 이동부에 설치되는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또는 이동부는, 일면에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폭방향으로 교번되어 배치된 플레이트; 상기 볼록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과 한 쌍의 측벽으로 형성되고, 볼록한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가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바닥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슬롯; 및 상기 슬롯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이 상기 볼록한 방향으로 수렴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바닥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의 간격을 조정하며 석재를 분쇄하는 이동부에 설치되는 분쇄기 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이동부는 상방으로 테이퍼진 깔때기 형상이고, 상기 이동부는 상면이 상기 고정부의 하면과 대면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고정부와 가까워지면서 사이에 위치한 석재가 분쇄되고, 상기 고정부의 하면과 상기 이동부의 상면은, 바닥면과 한 쌍의 측벽을 가진 환형의 홈을 이루고, 각각 하방과 상방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가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바닥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슬롯에 수용되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슬롯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이 하방으로 수렴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슬롯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이 상방으로 수렴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보강부재가 수용되도록 상기 보강부재의 밑면보다 상기 슬롯의 개구부가 같거나 크게 형성된 삽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마지막으로 수용되는 상기 보강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슬롯을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마지막으로 수용되는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서 상기 볼트와 결합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어느 한 보강부재와 그와 인접한 보강부재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철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어느 한 보강부재와 그와 인접한 보강부재는 서로 에폭시 경화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강부재가 장착되는 홈보다 외부로 보강부재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좁게 형성됨으로써 플레이트가 마모되더라도 보강부재가 이탈되어 분쇄기 내부로 투입되지 않아, 갑작스런 분쇄기의 작업중지를 예방하고 분쇄기의 고장 및 수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죠 크러셔 뿐만 아니라 콘 크러셔의 라이너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보강부재의 설치면적을 증가시켜 플레이트의 마모를 방지하므로 분쇄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죠 크러셔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죠 크러셔의 고정부 또는 이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죠 크러셔의 고정부 또는 이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형성되는 슬롯의 개략도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의 슬롯에 보강부재가 수용된 모습을 개략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형성되는 슬롯의 삽입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의 (b)는 도 6의 (a)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 크러셔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크러셔의 콘케이브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 크러셔의 콘케이브의 저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 크러셔의 맨틀의 종단면도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 크러셔의 맨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의 죠 크러셔의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제 모습을 찍은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죠 크러셔(10)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죠 크러셔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죠 크러셔의 고정부 또는 이동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죠 크러셔의 고정부 또는 이동부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형성되는 슬롯의 개략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의 슬롯에 보강부재가 수용된 모습을 개략도이며,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에 형성되는 슬롯의 삽입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죠 크러셔(10)는 고정부(100)와 이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0)는 죠 크러셔(10)의 일측에 마련되고, 이동부(200)는 고정부(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00)와 이동부(200)의 각각의 플레이트(110, 210)는 오목부(111, 211)와 볼록부(112, 212)가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00)의 오목부(111)는 이동부(200)의 볼록부(212)와 맞물리도록 대응되고, 고정부(100)의 볼록부(112)는 이동부(200)의 오목부(211)와 맞물리도록 대응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고정부(100)와 오목부(111)를 불특정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부(200)는 액추에이터(미부호)와 연동되어 고정부(100)와의 간격을 조정가능하다. 즉, 이동부(200)는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일단부가 고정부(100)를 향하여 왕복운동하고, 이로써 고정부(100)와 이동부(200) 사이로 투입된 석재 등을 분쇄할 수 있다.
고정부(100)와 이동부(200)는 플레이트(110, 210)와 슬롯(120, 220) 및 보강부재(13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플레이트(110, 210)는 일면에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오목부(111, 211)와 볼록부(112, 212)가 폭방향으로 교번되어 배치될 수 있다.
슬롯(120, 220)은 볼록부(112, 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록부(112, 212)에 형성될 수 있다. 슬롯(120, 220)은 일종의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홈으로 후술하는 보강부재(130, 230)를 수용할 수 있다. 슬롯(120, 220)은 바닥면(122, 222)과 한 쌍의 측벽(123, 223) 및 개구부(121, 22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슬롯(120, 220)은 개구부(121, 221)를 통해 볼록부(112, 212)의 볼록한 방향으로 내부가 노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슬롯(120, 220)은 길이방향의 양끝단에 바닥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124, 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24, 224)는 슬롯(120, 220)에 후술하는 보강부재(130, 230)의 안정적인 수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슬롯(120, 220)은 개구부(121, 221)의 폭(x)이 바닥면(122, 222)의 폭(y)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x<y). 다시 말해, 각각 한 쌍의 측벽(123, 223)이 바닥면(122, 222)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며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롯(120, 220)은 한 쌍의 측벽(123, 223)이 상방으로 수렴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슬롯(120, 220)에 수용되는 보강부재(130, 230)는 슬롯(120, 220)의 개구부(121, 221)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120, 220)의 폭 방향 단면은 상방이 개구된 사다리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보강부재(130, 230)를 수용하여 보강부재(130, 230)의 이탈을 방지하기만 하면 어떠한 모양이라도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참고로, 도 3에는 볼록부(112, 212)를 표현함에 있어서 사다리꼴로 표현하지 않았지만, 이는 볼록부(112, 212)를 오목부(111, 211)와 대비하여 강조하고자 도시한 것이다.
한편, 슬롯(120, 220)은 삽입구(125, 225)가 형성될 수 있다.
슬롯(120, 220)은 개구부(121, 221)가 바닥면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므로 후술하는 보강부재(130, 230)가 삽입될 수 없다. 하지만, 삽입구(125, 225)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의 (a)을 참조하면, 삽입구(125, 225)의 폭(x)은 바닥면(122, 222)의 폭(y)과 같게 형성될 수 있다(x=y).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삽입구(125, 225)의 위치에 대응하는 슬롯(120, 220)의 측벽의 높이가 낮게 형성됨으로써, 보강부재(130, 230)를 삽입구(125, 225)를 통해 보다 쉽게 삽입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슬롯(120, 220)은 후술하는 보강부재(130, 2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으로 볼트(미도시)와 너트(미도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플레이트(110, 210)는 슬롯(120, 220)을 관통하는 구멍(미도시)이 형성되고, 보강부재(130, 230)와 상기 구멍을 상기 볼트가 관통하며, 상기 너트는 플레이트(110, 210)의 타면에서 상기 볼트와 결합할 수 있다.
보강부재(130, 230)는 슬롯(120, 220)에 수용될 수 있다.
보강부재(130, 230)는 초경합금 또는 하이스강(High Speed Steel, HSS) 또는 하이크롬강(High Chrome, Hi-Cr)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부재(130, 230)는 삽입구(125, 225)를 통해 슬롯(120, 220)에 투입되고, 사용자에 의해 슬롯(120, 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며, 슬롯(120, 220)의 끝단부터 하나씩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삽입구(125, 225)에 마지막 보강부재(130, 230)를 투입하고, 상기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결합수단으로 슬롯(120, 220)에 보강부재(130, 230)를 고정할 수 있다.
참고로, 어느 한 슬롯(120, 220)에 최초로 투입되어 슬롯(120, 220)의 끝단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30, 230)는, 슬롯(120, 220)에 형성된 경사부(124, 224)에 대응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경사부(124, 224)에 위치하는 보강부재(130, 230)는 슬롯(120, 220)의 길이방향을 따른 단면이 평행사변형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평행사변형의 단면을 가진 보강부재(130, 230)는 슬롯(130, 230)의 끝단에서 이웃하는 보강부재(130, 230)와 함께 접하는 면이 바닥면(122, 222)과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제작자 또는 사용자의 선택사항으로 보강부재(130, 230의 형태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는 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한 슬롯(120, 22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보강부재(130, 230)들 사이에 틈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쐐기(미도시)를 상기 틈에 삽입함으로써 보강부재(130, 230)의 움직임 또는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쐐기로는 철판(미도시)인 것이 바람직하며, 쐐기는 보강부재(130, 230) 사이뿐만 아니라, 보강부재(130, 230)와 슬롯(120, 220)의 측벽(123, 223) 사이에도 박혀 보강부재(130, 230)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어느 한 슬롯(120, 220)에 투입된 어느 한 보강부재(130, 230)와 그와 인접한 보강부재(130, 230)는 서로 에폭시 경화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에폭시 경화는 자외선 경화 또는 열경화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경화제 또는 경화촉진제를 사용하여 경화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는 달리 콘 크러셔에 적용되는 분쇄기라이너를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분쇄기로 콘 크러셔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 크러셔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크러셔의 콘케이브의 종단면도이며,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 크러셔의 콘케이브의 저면도이고,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 크러셔의 맨틀의 종단면도이며,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콘 크러셔의 맨틀의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가 설치되는 분쇄기는 콘 크러셔(20)로서, 고정부(300)와 이동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00)를 이루는 콘 케이브(310)와 이동부(400)를 이루는 맨틀(410)은 상방으로 테이퍼진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300)는 이동부(400)의 외측에 배치되고, 이동부(400)는 고정부(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300)를 이루는 콘 케이브(310)는 이동부(400)의 맨틀(410)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동부(400)의 상면 또는 맨틀(410)의 상면은 고정부(300)의 하면 또는 콘 케이브(310)의 하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미부호)를 통해 투입되는 석재(미부호)는 고정부(300)와 이동부(400)의 사이로 이동되고, 이동부(400)는 액추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이동 즉, 편심운동 등의 움직임에 의해 고정부(300)와의 간격 변화에 의해 상기 석재를 분쇄할 수 있다. 즉, 이동부(400)가 고정부(300)와 가까워지면서 사이에 위치한 석재가 분쇄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서로 접하는 고정부(300)의 하면과 이동부(400)의 상면은 슬롯(320, 420)과 보강부재(330, 43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320, 420)은 전체적으로 환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콘 크러셔(20)의 고정부(300)의 하면에 복수 개의 슬롯(320)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 9에는 콘 크러셔(20)의 이동부(400)의 상면에 복수 개의 슬롯(420)이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슬롯(320, 420)은 바닥면(322, 422)과 한 쌍의 측벽(323, 42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00)의 슬롯(330)은 한 쌍의 측벽(323)이 하방으로 수렴되게 형성되고, 이동부(400)의 슬롯(420)은 한 쌍의 측벽(423)이 상방으로 수렴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300)의 슬롯(320)은 하방으로 개구부(32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동부(400)의 슬롯(420)은 상방으로 개구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슬롯(320, 420)은 후술하는 보강부재(330, 430)가 삽입되도록 삽입구(325, 425)가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슬롯(320, 420)에 대한 설명과 삽입구(325, 425) 및 결합수단(미도시)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6의 죠 크러셔(10)의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죠 크러셔 20 : 콘 크러셔
100, 300 : 고정부 200, 400 : 이동부
110, 210 : 플레이트 111, 211 : 오목부
112, 212 : 볼록부 120, 220, 320, 420 : 슬롯
121, 221, 321, 421 : 개구부 122, 222, 322, 422 : 바닥면
123, 223, 323, 423 : 측벽 124, 224 : 경사부
125, 225, 325, 425 : 삽입구 130, 230, 330, 430 : 보강부재
310 : 콘 케이브 410 : 맨틀

Claims (9)

  1.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와의 간격을 조정하며 석재를 분쇄하는 이동부에 설치되는 분쇄기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또는 이동부는 일면에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폭방향으로 교번되어 배치된 플레이트;
    상기 볼록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면과 한 쌍의 측벽으로 형성되고, 볼록한 방향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가 노출되며, 상기 개구부의 폭이 상기 바닥면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사다리꼴 홈 형상을 갖는 슬롯; 및
    상기 슬롯에 수용되며 상기 바닥면과 마주하는 밑면, 상기 측벽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측면 및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된 상면을 갖는 보강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 중 길이방향의 양끝단에는 바닥면이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를 제외한 나머지 슬롯들의 바닥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는 종단면이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를 제외한 나머지 슬롯들에 배치되는 상기 보강부재는 종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를 상기 슬롯의 상부로부터 상기 슬롯의 내부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구에서 상기 보강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삽입구는 상기 슬롯의 일부에만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의 개구의 폭(x)은 상기 보강부재의 상기 밑면의 폭(y)보다 크게 형성된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한 쌍의 측벽이 상기 볼록한 방향으로 수렴되게 형성되는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마지막으로 수용되는 상기 보강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수단;
    을 더 포함하는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슬롯을 관통하는 구멍;
    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수단은,
    마지막으로 수용되는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서 상기 볼트와 결합하는 너트;
    를 더 포함하는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어느 한 보강부재와 그와 인접한 보강부재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쐐기;
    를 더 포함하는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철판인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9. 제1항에 있어서,
    어느 한 보강부재와 그와 인접한 보강부재는 서로 에폭시 경화를 통해 고정되는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KR1020190121261A 2019-05-03 2019-10-01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KR10227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261A KR102275370B1 (ko) 2019-05-03 2019-10-01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PCT/KR2020/000816 WO2020226262A1 (ko) 2019-05-03 2020-01-16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035A KR102047474B1 (ko) 2019-05-03 2019-05-03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KR1020190121261A KR102275370B1 (ko) 2019-05-03 2019-10-01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035A Division KR102047474B1 (ko) 2019-05-03 2019-05-03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821A KR20200127821A (ko) 2020-11-11
KR102275370B1 true KR102275370B1 (ko) 2021-07-08

Family

ID=7345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261A KR102275370B1 (ko) 2019-05-03 2019-10-01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3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4824B2 (ja) * 2008-11-07 2016-11-30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タバコ製品とプロセス
CN108745462A (zh) * 2018-09-10 2018-11-06 江苏富强特钢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功能的破碎机鄂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4824Y2 (ja) * 1980-12-29 1985-10-17 日伸合成樹脂株式会社 ボ−ルジヨイント
JPS6084153A (ja) * 1983-06-03 1985-05-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ジヨ−クラツシヤ用歯板
KR200207715Y1 (ko) 2000-04-18 2000-12-15 대양특수제강주식회사 슈퍼 죠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4824B2 (ja) * 2008-11-07 2016-11-30 アール・ジエイ・レイノルズ・タバコ・カンパニー タバコ製品とプロセス
CN108745462A (zh) * 2018-09-10 2018-11-06 江苏富强特钢有限公司 一种具有缓冲功能的破碎机鄂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821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80965B (zh) 可松开的联接组件
US6712551B2 (en) Compactor tooth
AU2021204256B2 (en) A lining for a haul truck body, a transition lining element and a method for fastening a lining
AU2011352071A2 (en) Crushing bod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047474B1 (ko)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KR20010013531A (ko) 로터리식 분쇄기
KR100768569B1 (ko) 건설폐기물처리용 죠크라샤
US20160367995A1 (en) Roller with Replaceable Edge Reinforcements
KR102275370B1 (ko) 보강부재가 마련된 분쇄기라이너
US3236463A (en) Centrifugal hammer and renewable tip
US2310758A (en) Impact member for impact crushers
US2605972A (en) Mill hammer with removable tip
KR101974865B1 (ko) 3단 팁 플레이트를 갖는 수직 임팩트 크러셔
KR102016736B1 (ko) 임팩터 크러셔용 조립식 마모부재
CN115501941A (zh) 研磨辊
KR100608487B1 (ko) 웨어 임펙트 플레이트가 장착된 외벽 함몰형 로터
KR101551463B1 (ko) 수직축 임팩트 크러셔용 분할 타입 분배판
US20160250646A1 (en) Treaded lifter bar
EP2644276B1 (en) A wear element system
KR200398510Y1 (ko) 조 크러셔
US20010045476A1 (en) Concaves for gyratory crusher
KR20130142714A (ko) 임팩트 크라샤 분쇄 날
JPH0634824Y2 (ja) 破砕機の歯板
CN216172834U (zh) 可拆卸破碎机锤头
KR101740396B1 (ko) 분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축 임팩트 크러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