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864B1 - 의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의료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864B1
KR102274864B1 KR1020157024542A KR20157024542A KR102274864B1 KR 102274864 B1 KR102274864 B1 KR 102274864B1 KR 1020157024542 A KR1020157024542 A KR 1020157024542A KR 20157024542 A KR20157024542 A KR 20157024542A KR 102274864 B1 KR102274864 B1 KR 102274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arcuate
needle
fastener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1043A (ko
Inventor
와이 엔. 친
그레이 엠. 코뵐루스키
자파르 에스. 하산
Original Assignee
서지매틱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매틱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서지매틱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50121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4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7T-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9H-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27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nchoring barbs or pin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ancho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2Multiple-needled, e.g. double-needled,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42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located close to needle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63Implantable repair or support meshes, e.g. hernia meshes
    • A61F2002/0072Delivery too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heu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의료 고정장치는 개시된다. 고정장치는 제1 방향으로 제1 축에 대해 회전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인입되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맞춰지는 제1 아치형 니들; 제2 방향으로 제2 축에 대해 회전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인입, 되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맞춰지는 제2 아치형 니들; 그리고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이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이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 고정장치{MEDICAL FASTENING DEVICE}
본 출원서는 2013년 2월 15일에 제출된 U.S.가출원 출원서[Serial No. 61/765,460]의 우선 청구항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의료 장치와 관련이 있으며, 조직이나 보철재료를 위한 의료 고정장치와 더 특별하게 관련이 된다.
조직을 고정하는 것은 의료산업에서 오랫동안 필요했고, 이에 대응하여, 다르게 적용되고 사용되는 한정된 수량의 조직 고정장치가 개발되어왔다. 이러한 장치 중에 복강경을 고정하는 장치나 테커는 탈장의 복강경 치료(laparoscopic repair of hernias) 같은 최소침습수술에 종종 사용되었다. 전형적인 복강경 수술은 얇은 삽입물과 복부의 상대적으로 작은 절개부분 혹은 접촉부분 복부 내벽의 탈장(hernia) 결함들에 접근하는 긴 수술도구를 포함한다. 게다가, 복강경(laparoscopic) 수술 도구는 텍을 사용하여 복부 내벽의 결함 위에 보철메시를 위치하고 보철메시를 고정하는 등으로 사용된다.
전통적인 복강경 테커는 배치할 수 있는 텍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얇고 긴 관 부재를 제공하고, 끝 부의 발사 메커니즘은 그것의 말단 끝에 위치한다. 특히, 끝 부분의 발사 메커니즘은 텍을 축 방향의 긴부재 말단으로부터 즉시,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따라서 조직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긴부재를 위치시켜 고정하는 이상적인 적용을 제안한다. 그러나 복강경 테커의 상대적으로 견고하고 긴 성질, 제한된 위치와 접근 가능한 구멍들의 수, 그리고 전형적인 탈장 결함들의 위치 때문에 복강경 수술장치의 끝 부분을 복부 내벽의 정면에 위치시키는 것은 어렵거나 거의 불가능하다. 실제로, 복강경 테커를 이용하여 수술을 하는 의사는 전형적으로 테커를 한 손에 잡고, 텍 설치를 위한 최고의 각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심지어 복부의 외부의 벽을 다른 한 손으로 누르는 동안 수술도구를 약간 휘기도 한다.
나아가, 탈장 결함들에 제한적인 접근과 전형적인 탈장의 최소침습성질(minimally invasive nature) 때문에, 복강경 테커는 텍 배치에 단순한 액션의 구동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이에 대응하여, 복부 내벽에 보철메시를 고정하기 위한 간단한 수단과 텍을 구비한다. 더 구체적으로, 기존의 테커는 스크류(screw) 방식 혹은 심플 푸쉬(simple push) 방식의 작동 구비하여 실이나 미늘과 함께 텍을 복부의 조직 안에 체결하여 설치를 도와준다. 금속의 경우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코일모양의 텍들, 이 텍들은 환자에게 고통이나 염증을 야기하고, 복부 내벽으로부터 제거되어, 수술 후 다른 질병을 야기할 수 있다. 금속 텍과 관련된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수되는 텍은 계속 개발되고 구비되어 왔다.
흡수 가능한 텍은 결국, 몸에 흡수될 것이며, 따라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환자에게 적은 염증이나 고통을 야기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흡수 가능한 텍은 또한, 최적보다 적은 고정력과 장력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우에, 복부 벽에 탈장결함들을 봉합하거나 보철메시를 봉합하는 것은 더 큰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봉합과 관련된 상대적으로 복잡한 성질은 복강경 혹은 다른 최소침습수술(minimally invasive procedures)의 목적으로 탈장 결함들에 봉합 선들을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사용자나 의사를 위한 충분히 용이한 설치과정은 최소침습수술 혹은, 조직을 고정하는 혹은 조직에 봉합 선들을 설치하는 복강경 수단들이 필요하다. 그것은 또한, 조직봉합 및/혹은 조직에 보철메시를 봉합하기 위한 더욱 효과적이고 믿을 만한 수단을 제공하는 의료 고정장치를 위하여 필요하다. 나아가, 패스너를 구비하는 의료 고정장치는 강하게 고정한 조직이 부정적 영향 없이 환자의 염증, 고통 그리고 다른 문제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본원의 일 측에 따라, 고정장치는 개시되었다. 고정장치는 제1 방향으로 제1 축에 대해 회전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인입되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맞춰지는 제1 아치형 니들; 제2 방향으로 제2 축에 대해 회전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인입, 되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맞춰지는 제2 아치형 니들; 그리고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 각각이 작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이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일측에 따라, 조직 고정장치는 개시되었다. 조직 고정장치는 제어단부와 작업단부 사이를 연장하는 긴부재, 발사구멍을 구비하는 작업단부; 작업단부의 발사구멍 내부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제1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맞춰지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인입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방출되는 제1 아치형 니들; 작업단부의 발사구멍 내부에 위치하고 제2 방향으로 제2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맞춰지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인입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방출되는 제2 아치형 니들; 그리고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을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제어단부를 통하여 수용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이 결합 되어 맞물리도록 구성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일측에 따라, 조직 고정장치는 개시되었다. 조직 고정장치는 제어단부와 작업단부 사이를 연장하는 긴부재, 발사구멍을 구비하는 작업단부; 발사구멍의 내부에 배치되어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는 제2 아치형 니들, 상기 제2 아치형 니들은 패스너의 단부를 맞물려 수용하도록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함; 그리고 아치형 니들이 작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작동 시 설치되는 패스너 각 단부들에 맞물리도록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 각각 조직 및 보철 중 하나를 통해 전방회전으로 전진시키고, 해제 시 패스너의 맞물린 단부들을 당기도록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를 통해 역방향으로 아치형 니들을 후퇴시키는 상기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또 다른 일측에 따라, 조직 패스너는 개시되었다. 조직 패스너는 리딩단부와 트레일링단부를 구비하는 긴 필라멘트; 리딩단부에 배치되는 니들가이드; 그리고 트레일링단부에 배치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전진에 저항하는 보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와 다른 예시들, 그리고 본원의 특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함께 읽을 때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고정장치의 상부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고정장치의 작업단부의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고정장치의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고정장치의 조작단부의 측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의 고정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8-10은 도1의 고정장치 작업단부가 전개되는 각 단계 동안의 부분적인 측 단면도이다;
도11-13은 도1의 고정장치 작업단부가 전개되는 각 단계 동안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의 고정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패스너의 리본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15-16은 패스너의 대체되는 리본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또 다른 고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의 고정장치의 작업단부의 사시도이다;
도19는 도17의 고정장치의 작업단부의 상부평면도이다;
도20-22는 도17의 고정장치의 작업단부가 전개되는 각 단계 동안의 사시도이다;
도23-28은 단일 니들 고정장치와 함께 사용되도록 형성된 비선형 필라멘트, 니들가이드와 단일 보유요소가 구비된 패스너의 다양한 사시도이다;
도29-34는 단일 니들 고정장치와 함께 사용되도록 형성된 선형 필라멘트 세그먼트,니들가이드와 단일 보유요소가 구비된 다른 패스너의 다양한 사시도이다;
도35-40은 단일 니들 고정장치와 함께 사용되도록 형성된 선형 필라멘트 세그먼트, 니들가이드, 두 보유요소를 구비하는 다른 패스너의 다양한 사시도이다;
도41은 단일 니들 고정장치와 함께 사용되도록 맞춰진 맞물리는 형상을 가지는 다른 패스너의 사시도이다;
도42는 도41의 패스너의 상부평면도이다;
도43-44는 단일 아치형 니들을 통하여 맞물려지는 도41의 패스너의 사시도이다;
도45-46은 맞물리는 상태로 전개되는 도41의 패스너의 사시도이다;
도47은 이중 니들 고정장치와 함께 사용되도록 형성된 두 리딩단부를 구비하는 다른 패스너의 상부평면도이다;
도48은 도47의 사시도이다;
도49-50은 이중 니들 고정장치와 함께 맞물리도록 형성된 도47의 패스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경될 여지가 있으며 대체적인 구성이 가능하고, 일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시되었으며,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묘사될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형태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지만 반대로, 모든 변경된 예를 포함하는 의도이며, 대안의 구성 및 동등물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있음을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리고 도1을 참조하여, 의료 고정장치(medical fastening device)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20번으로 지시된다. 의료 고정장치(20)는 여기서 더 잘 기술되는 바와 같이, 수술환경(surgical environment)에서 패스너들(fasteners)을 효과적이고 편리한 수단들(means)로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복강경수술(laparoscopic procedures)과 같은 최소침습수술(minimally invasive surgical procedures) 동안 패스너의 설치(installation)를 추가적으로 용이하게(facilitate) 할 수 있다. 탈장의 복강경치료로 사용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도1-7의 제1 실시예의 고정장치(20)는 조직의 아래 섹션들(sections), 복부 내부 혹은 주위에, 복부 벽의 조직을 고정하거나 내부에서 복부의 벽에 보철메시를 고정하여 배치할 수 있다. 비록 일 실시예가 개시된 여기에 복강경용도들로 적용되는 조직을 고정하는 것으로만 묘사였지만, 본 발명은 같거나 혹은 비슷한 의료절차에 응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도 1-3으로 돌아가, 고정장치(20)는 일반적으로 그곳과 인접하는 끝부분(proximal end)에 배치된(disposed) 제어단부(control end, 24)와 그 부분의 말단(distal end)에 배치된 작업단부(working end, 26) 사이를 연장하는 긴부재(22, elongate member)를 포함(include)할 수 있다. 제어단부(24)는 고정장치(20)의 작업단부(26)에서 작동되는 그립(grip, 28)뿐만 아니라 압축할 수 있는(compressible) 방아쇠(trigger, 30)혹은 사용자의 입력(input)을 수용하는 것과 사용자(user)의 입력을 고정하는 액션(fastening action)으로 변환(converting) 한 것을 수용하기 위한 다른 적당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단부(26)는 측면 발사구멍(firing aperture, 32) 혹은 그것의 길이방향(longitudinal)의 측면에 배치된 고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스너(34)가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하나 이상의(one or more) 패스너(34)는 전방으로 전진될 수 있고, 긴부재(22)의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섹션을 따라서 배치된 가이드(guide, 36)를 통해 작업단부(26)의 발사구멍(32)에 공급(fed)될 수 있다.
도4-7에서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장치(20)의 작업단부(26)는 제1 아치형 니들(first arcuate needle, 38)과 제2 아치형 니들(second arcuate needle, 40)이 초기위치와 기본위치에서 작업단부(26)의 측면 발사구멍(32) 안에 각각 충분히(substantially) 은폐(concealed)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enclose)할 수 있다. 특히, 제1 아치형 니들(first arcuate needle, 38)은 44번 화살표(44)로 표시된(indicated) 바와 같이 제1 방향(first direction)의 제1 축(first axis, 42)에 대해 전진하도록(advance) 회전 가능하게(rotatably) 혹은 선회 가능 하게(pivotally), 그리고 나아가 반대방향(opposing)이나 역방향(reverse)으로 후퇴(retracted)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혹은 선회 가능하게 맞춰(adapted)질 수 있다. 비슷하게 제2 아치형 니들(second arcuate needle, 40)은 48번 화살표(second arrow, 48)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방향(second direction)의, 제1 축(42)과 동축(axially)으로 오프셋(offset)되는, 제2 축(second axis, 46)에 대해 나아가도록 회전 가능하게 혹은 피봇 가능하게, 나아가 반대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후퇴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혹은 선회 가능하게 맞춰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38, 40) 각각의 내부 엣지(edge)는 훅(hook), 그루브(groove), 가지(tine), 표면 경사진(canted surface) 같은 형태 혹은 어떤 다른 적당한 구조(structure)로 그곳에 형성된(configured) 패스너를 맞물거나(engage) 수용하는(receive) 리세스(recess, 5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현재 일 실시예가 역방향(retrograde) 타입의 리세스(50)와 아치형 니들(38, 40), 맞물리는 형상으로 패스너(34)를 묘사하고 있을지라도, 이는 니들이 전진하는 동안 패스너(34)와 맞물리게 형성된 전방(antegrade) 타입의 리세스와 같은 다른 구성과 같거나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변경예(modifications)에, 리세스는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38, 40) 각각의 외부 엣지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 변경예에, 작업단부(26)의 발사구멍은 말단 발사구멍(end-firing aperture) 및 비스듬한 발사구멍(oblique-firing aperture) 혹은 어떤 다른 알맞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4-7을 참고하여, 고정장치(20)는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response) 수용하는 제어단부(24)를 통하여 움직이도록(operatively) 결합 된(coupled)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38, 40)과 적어도 하나의 구동 메카니즘(drive mechanism, 52)을 더 구비(employ)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구동 메커니즘(52)은 직접적으로(directly) 제1 아치형 니들(38)에 결합 되어 작동하는 제1 기어(first gear, 54), 직접적으로 제2 아치형 니들(40)에 결합 되어 작동하는 제2 기어(second gear, 56), 그리고 직접적으로 제1 아치형 니들(38)과 제1 기어(54)에 각각 결합 되는 구동기어(drive gear, 58)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기어(56) 및 제2 기어(56)는 축 방향으로 오프셋 되지만, 회전식으로 정렬되고 서로 접촉할 수 있어서, 제1 기어(54)의 회전은 제2 기어(56)의 동일하지만 역방향 회전에 직접 대응하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나아가, 구동 메커니즘(52)은 적어도(at least) 구동기어(58)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적어도 작업단부(26)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직접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기어랙(gear rack, 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4-7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인접한(proximal) 방향 혹은 62번 화살표(62)로 표시된 제어단부(24)의 전방(toward)으로 이동하는 기어랙(60)은 구동기어(58)와 그것을 따르는 44번 화살표를 통해 표시되는 시계반대방향(counterclockwise)으로 회전하도록 결속된 제1 아치형 니들(38)과 제1 기어(54)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기어(54)의 회전과 같이, 제2 기어(56)와 첨부된 제2 아치형 니들(40)은 48번 화살표(48)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혹은 시계방향에서 동등하게 회전하도록 동시에 야기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말단 방향 혹은 작업단부(26)의 전방에서 이동하는 기어랙(60)은
구동기어(58)와 제2 그것을 따라 첨부된 제1 아치형 니들(38)과 제1 기어(54)가 기어(56)와 첨부된 제2 아치형 니들(40)이 반시계방향에서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야기 되는 동안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야기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는 오직 일 실시예만 개시되었지만, 다른 가능한 구동 메커니즘들과/혹은 다른 기어 형상들은 청구항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게 당업자(skilled in art)에게 명백히(apparent) 할 것이다. 실시예는, 다른 변경예로, 예를 들어, 고정장치(20)는 다른 하나와 부분적으로 대항(oppose)하는 혹은 대안으로, 같은 방법과 다른 하나와 관련된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 이상의 아치형 니들을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인 변경예로, 아치형 니들(38, 40)은 순차적(sequentially) 보다(rather than) 동시에 다른 하나와 관련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되고/되거나, 다른 하나와 서로 동일하지 않은(non-identical) 각 변위 비율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변경예으로, 아치형 니들(38, 40)은 공통의 축보다 동축의 오프셋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 변경하여, 고정장치(20)는 평행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비수직의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형성된 아치형 니들을 긴부재(22)에 제공할 수 있다. 더 변경하여, 고정장치(20)의 작업단부(26)는 하나 이상의 축에 대해 긴부재(22)와 관련하여, 선회 가능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4-7의 구동 메커니즘(52)은, 구동 메커니즘(52)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적, 전기적, 전기기계적, 전자기적,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포함하는, 일정 수의 다른 작동 수단 중 하나를 구비하는 제어단부(24)를 수용하도록 맞춰지고 및/또는 팽창될 수 있다. 도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그립(28)과 압축성의 방아쇠(30)를 구비하는 제어단부(24)는 예를 들어, 작동로드(actuator rod, 64)의 기계적 조립(mechanical assembly), 구동카라(drive collar, 66), 구동핀(drive pin, 68), 압축스프링(compression spring, 70) 등을 사용하여 구현(implemented) 될 수 있다. 작동로드(64)는 긴부재(22) 안에서 슬라이드 가능(slidably)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제어단부(24)와 작업단부(26)의 기어랙(60) 사이에서 동축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작동로드(64)의 말단(distal end)은 기어랙(60)에 인접한 단부에(proximal end), 실시예는, 기어랙(60)의 구멍(aperture, 74)안에 로드핀(rod fin, 72)을 고정(anchoring) 혹은 어떤 다른 적당한 수단에 의해 직접 결합될 수 있다. 구동카라(66)는 적어도 작동로드(64), 작동막대(64)의 인접한 단부와 긴부재(22)와 구동카라(66)는 중의 모두로 인해 각 제어단부(24)와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동축으로 그리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카라(66)는 구동핀(68)을 그곳에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하고 방사형으로 그곳에 배치된 그루브(76)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아쇠(30)는 고정핀(anchor pin, 80)에 대하여 제어단부(24)를 가로질러 선회 가능하게 고정되고(anchored) 종방향인(transverse) 요크(yoke, 78)를 통하여 제어단부(24)와 선회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구동핀(68)은 또한 그루브(76)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스듬한(bias) 구동핀(68)이 형상되는 방법으로 작동로드(64)및 긴부재(22) 중 하나의 회전 가능한 위치에서 방아쇠(30)의 요크(78)를 가로축으로 가로질러 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방아쇠(30)의 요크(78)는 충분한 여유(clearance)와 구동카라(66)에 대해 충분히 마운트(mounted)되도록 형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압축스프링(70)은 작동로드(64)의 인접하는 단부에 대해, 동축으로 비스듬한 구동카라(66)가 형상되도록, 그것을 따라 고정장치(20)의 말단부의 전방에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아쇠(30)의 디폴트(default)혹은 스타팅(starting) 위치는 각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38,40) 각각이 작업단부(26)의 측면 발사구멍(32) 안으로 최고로(fully) 후퇴된 니들 위치와 대응 될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52)의 작동에서, 방아쇠(30)는 고정장치(20)의 인접한 단부 전방의 작동로드(64)와 구동카라(66) 둘 모두를 차례로 미는 구동핀이 원인이 될 수 있는 82번 화살표(82)와 같이 표시되는 그립(28)의 전방 선회(pivot)로 압축되거나 혹은 원인이 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작동로드(64)가 작업단부(26)로부터 멀리 당겨짐에 따라, 그것의 말단부의 로드핀(72)은 마찬가지로 도4의 62번 화살표(62)로 이전에 표시된 바와 같은 인접한 방향에서 기어랙(60)을 당길 수 있다. 나아가, 62번으로 도시된 방향으로 기어랙(60)을 당기는 것은 구동기어(58)를 회전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고, 이 효과로, 제1 및 제2 기어(54, 56)가 회전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기어들 각각이 회전함에 따라,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37, 40)은 니들위치가 최고로 연장되는 것에 도달될 때까지 보여지는 반대방향(44, 48)으로 동시에,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반대로, 구동 메커니즘(52)의 역행에서, 방아쇠(30)는 이완(decompressed) 혹은 디폴트 위치로 돌아가도록 야기될 수 있다. 방아쇠(30) 해제(Releasing)는 압축스프링(70)을 그것의 디폴트 상태(state)로 완화(relieving)와 언로딩 (unloading)하는 것과 같이 제어단부(24)와 고정장치(20)의 말단부 전방으로부터 구동카라(66)와 작동로드(64) 및 구동핀(68)을 누를 수 있다. 나아가 방아쇠(30)의 해제와 같이, 작동로드(64)의 로드핀(72)은 최고로 후퇴된 니들 위치나 디폴트 위치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을 재설치(restore)하고, 길이 방향(longitudinally)으로 기어랙(60)을 밀어 초기의 위치로 돌릴(back) 수 있다.
도8-13으로 돌아가서, 작업단부(26)의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38, 40)의 전진의 다른 단계들은 예를 들어, 도4-7의 구동 메커니즘(52)이 작동하는 동안, 제공 된다. 디폴트로 후퇴된 니들 위치에서, 도8과 도11에서 실시예가 도시하는 것처럼,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38, 40)은 작업단부(26)의 측면 발사구멍(32)의 내부와 충분하게 바로 하단(beneath)에, 충분히 은폐될(concealed) 수 있고,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패스너들(34)는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38, 40)과 용이하게(facilitates) 맞물릴(engagement) 수 있는 방법으로 위치한 단부들(ends, 86, 88) 혹은 니들가이드(needle guide)들과 측면 발사구멍(32)을 따라(along) 제거 가능하게(removably) 유지(retained)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전진하는 동안,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38, 40) 각각은 도9와 도 12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 가능하다면(if applicable) 조직(tissue)과/혹은 보철재료(prosthetic material)의 관련된 섹션(sections)들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장될 수 있고 앞쪽(forwardly)으로 전진될 수 있다. 앞서, 최대로 확장된 니들의 위치에서, 도10과 도13의 실시예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38, 40) 각각은 패스너(34)의 각 니들가이드들이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아치형 니들의 훅(hook, 50)은 니들가이드 혹은 제1 단부(first end, 86)와 맞물려질 수 있고, 제2 아치형 니들가이드(40)의 훅(50)은 도10과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니들가이드 혹은 제2 단부(second end, 88)와 맞물려질 수 있다.
구동 메커니즘(52)을 따라, 앞서 안전하게(securely) 맞물린, 방아쇠(30)는 사용자의 패스너(34)의 배치와 설치에 의해 해제되고 풀릴 수 있다. 해제 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38, 40)들 각각은 패스너(34)의 각 단부들(86, 88)이 끌리는 동안 도8과 도11의 초기로(initial) 후퇴된 니들의 위치로 돌아가고 어떠한 사용 가능한 보철재료와/혹은 조직의 관련된 섹션을 통해 후퇴가, 도10과 도13의 연장된 니들 위치로부터의 후퇴가 야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아치형 니들(38)의 훅(50)은 제2 아치형 니들(40)의 훅(50)이 제2 아치형 니들(40)에 의해 패스너(34)의 제2 니들가이드(88)를 후방으로(retractively) 끄는 동안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38, 40)이 도8과 도11의 최대로 후퇴된 니들 위치까지 패스너(34)의 맞물린 제1 아치형 니들(86)의 경로를 따라서 제1 니들에 의해 후퇴되게 당겨질 수 있다. 앞서 배치된, 패스너(34)의 제2 단부(88)가 도8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최대로 후퇴된 니들 위치에서 제2 아치형 니들이 가장 가까운 조직의 섹션 안으로 설치되는 동안 패스너(34)의 제1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최대로 후퇴된 니들 위치에서 제1 아치형 니들이 가장 가까운(proximate) 조직의 섹션 안으로 설치될 수 있다. 앞서 배치된, 패스너(34)의 제2 단부(88)가 도8과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최대로 후퇴된 니들 위치에서 제2 아치형 니들이 가장 가까운 조직의 섹션 안으로 설치되는 동안 패스너(34)의 제1 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최대로 후퇴된 니들 위치에서 제1 아치형 니들이 가장 가까운(proximate) 조직의 섹션 안으로 설치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패스너(34)는 패스너(34)의 단부들(86, 88)에 배치된 보유요소들(retention elements), 등에 의해 부분 유지되고, 충분한 나선의 형상에서(helical configuration) 조직과/혹은 보철재료의 하나 이상의 섹션 안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스너(34)의 단부들(86, 88)은 이전의 배치된 조직 안으로 후퇴를 방지(resist)하고 패스너(34)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조직 안으로 침입이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다.
도8-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38, 40) 각각의 외주(circumference)는 반드시 정확히(truly) 혹은 일관된(consistently) 아치형은 아니지만, 다소 비스듬한(obliquely) 아치 형태(form)를 포함(comprise) 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38, 40) 각각의 경로가 정확히(truly) 원형(circular)일 필요는 없다(not necessarily). 오히려, 도9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 내부로 전진하는 사이에 최적(optimum)의 범위(reach) 혹은 연장(extension)을 유지하는(still) 동안, 도8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후퇴된 니들 위치에 있을 때 낮은 프로파일로 유지하는 것은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38,40) 각각에 유리한 형상이다. 이 방법에서, 실시예가 전진하는 사이에, 제1 아치형 니들(38)은 조직의 제1 섹션을 통해 인입(enter)되며, 조직의 제2 섹션을 통해 방출(exit)될 수 있고, 그 동안 제2 아치형 니들(40)이 조직의 제2 섹션을 통해 동시에 인입되고, 조직의 제1 섹션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반대로, 해제하고 후퇴하는 동안, 제1 아치형 니들(38)은 조직의 제2 섹션을 통해 뒤로 후퇴되며 역으로, 조직의 제1 섹션을 통해 방출되고, 그 동안 제2 아치형 니들(40)이 조직의 제2 섹션을 통해 동시에 뒤로 후퇴되고 역으로, 조직의 제1 섹션을 통해 방출된다. 나아가, 아치형 니들(38, 40) 각각은 조직을 통해 이동(travels)함에 따라 점진적으로(progressively) 견고하게(tighter) 당겨지게 생성되고(creates) 따라서 조직은 더 견고히 고정되는 모양이 되거나/되고, 그렇지 않으면 캠드(cammed) 방식(fashion)에 의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도5-6을 다시 참조할 뿐만 아니라 도14를 참조하여, 고정장치(20)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34)가 설치되도록 실시예를 따라, 카트리지, 스트링, 리본(ribbon, 90) 혹은 패스너(34)가 배치 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적당한 부품(collection) 더 포함할 수 있다. 도5-6과 14의 구체화된 실시예에 따라, 패스너들(34)의 리본(30)은 가이드(guides, 36)와 긴부재(22)를 따라서 적어도 제어부(24)부터 작업단부(26)의 말단까지 일반적으로 연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작업단부(26)의 측면 발사구멍의 전방에 설치된 패스너(34)를 고정(holding)하는 리본(90)의 새로운(new) 세그먼트들(segments)을 전달(feed)하도록 형성된 피드패스(feed path, 92)뿐만 아니라, 제어단부(24)에 배치되어, 리턴롤(return roll, 91) 전방에 리본(90)의 세그먼트들을 사용하도록 형성된 리턴패스(return path, 94)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장치는(20) 제자리에(replaceable) 놓여질 수 있는 리본(90),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부착될(inserted) 수 있는 그곳의 컴파트먼트(compartment, 96)는 새로운 리본(90)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컴파트먼트(96)는 한정된(contained)곳에서(therein) 긴부재(22)의 피드패스(92)와/혹은 리턴패스(94)가 적당히(appropriately) 맞춰진(aligned) 리본(90)이 위치될 수 있다. 도5-6과 14가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르면, 컴파트먼트(96)는 그리고 나아가, 선형으로 유지하는 리턴패스(94)와 피드패스(92)와 리본(90) 사이에서 함께 동축으로 회전하는 것이 허용(allowed)된 긴부재(22)와 즉시 결합 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변경에서, 도15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4의 리본(90)은 고정장치(20) 내부로 전개와 사전 설치(preloaded)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다수의(the number of) 패스너(34)들이 연장되도록 형성된 피드롤(feed roll, 93)을 더 포함(incorporat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롤(93)은 작업단부 전방에 증가되게 공급하도록 결합된 피드패스(92)와 고정장치(20)의 컴파트먼트(96)안에 보관(housed)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패스너(34)에 도1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연속리본(continuous ribbon, 98)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리본들(90, 98)은 실시예의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38, 40)이 제거 가능하게 맞물릴 시, 그 사이로 각 패스너가 유지됨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 각 패스너(34)는 또한 각(respective) 리본들(90, 98)이 니들가이드들 혹은 단부들(86, 88)과 그곳에 적당히 맞춰지고 맞물릴 수 있게 대응하는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38, 40)로 인해 멈추고(spaced) 위치될 수 있다. 고정장치(20), 구동 메커니즘(52), 리본들(90, 98) 그리고/혹은 컴파트먼트(96)는 리본(90, 98)을 추가적으로(incrementally) 나아가게 하는 방법으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38, 40) 그리고 측면 방사구멍(32)의 적당한 위로 위치되는 새 패스너(34)를 더 형성할 수 있다. 리본(90, 98)은 자동(automatically)혹은 반 자동(semi-automatically)이나 수동(manually)으로 더 전진 될 수 있다.
도18-19는 더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바에 따르면, 고정장치(120)의 작업단부(126)는 니들 형상을 사용하는,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진(enclosing) 단일 아치형 니들(140)이 디폴트 혹은 최대로 후퇴하는 니들 위치 동안 작업단부(126)의 측면 발사구멍(132) 안으로 충분히 숨겨질 수 있는 수단이(implemented) 될 수 있다 이전 실시예의 제2 아치형 니들(40)과 비슷하게, 도18-19의 아치형 니들(140)은148번 화살표(148)로 표시된 제1 방향에서 종 방향의 축(146)에 대하여 회전 혹은 선회로 조직의 하나 이상의 섹션을 통하여 전진 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역 혹은 반대 방향에서 조직의 하나 이상의 섹션으로 선회 가능하게 혹은 피봇 가능하게 후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아치형 니들(140)의 내부 엣지는 훅, 그루브, 가지, 표면 경사진 같은 형태 혹은 어떤 다른 적당한 구조로 그곳에 형성된 패스너(134)를 맞물거나 수용하는 리세스(150)를 포함 할 수 있다. 비록 현재 도시된 일 실시예가 역 방향 타입의 리세스(150)와 아치형 니들(140)로 묘사 하고 있을지라도, 예를 들어, 동안의 패스너(134)가 맞물리는 형상으로 후퇴하는 동안에 니들이 전진하는 동안 패스너(134)가 맞물리게 형상된 전방 타입의 리세스 같은 다른형상과 같거나 유사하게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변경예에서, 리세스는 아치형 니들(140)의 외부 엣지로 제공될 수 있다.
여전히 도17-19를 참조하여, 고정장치(120)는 이전 실시예의 구동 메커니즘(52)와 비슷한 구동 메커니즘(15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비록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구동 메커니즘(152)은 후퇴위치와 연장위치 사이에서 제어단부에 수용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도록 형상된 아치형 니들(140)과 아치형니들(140)이 다시(likewise) 움직이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구동 메커니즘(152)은 182번 화살표(182)로 표시된 방향으로 아치형 니들(140)의 전진을 야기하는 방아쇠(130)의 압력(compression)으로 인해, 실시예에 따르면, 조직과/혹은 어떠한 적용 가능한 보철재료의 관련된 섹션들을 통해 144번 회전방향(144)으로 향하도록 도시된 최대 연장된 니들 위치가 형상될 수 있다. 더욱이, 최대로 연장된 니들 위치는 그립(128)과 관련된 방아쇠(130)의 최대로 압축된 위치와 즉시 대응될 수 있다. 나아가 구동 메커니즘(152)은 182번 화살표(182)로 표시된 반대 방향으로 아치형 니들(140)의 후퇴를 야기하는 방아쇠(130)의 해제로 인하여, 실시예에 따르면, 조직의 관련된 섹션들에서 148번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최대로 후퇴된 니들 위치가 형상될 수 있다. 최대로 후퇴된 니들 위치는 그립(128)과 관련된 방아쇠(130)의 최대로 해제된 위치와 즉시 대응될 수 있다. 추가적인 변형으로, 고정장치(120)는 긴부재(122)에서 평행성, 그렇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수직인 축에 대해 회전하는 형상의 아치형 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도17-19의 구동 메커니즘은 위한 기계적, 전기적, 전자기계적, 전자기적 등을 포함하는 작동수단의 어떠한 결합을 구비하는 제어단부(124)를 수용하도록 맞춰질 수 있다.
도17의 제어단부(124)는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카라(166), 구동핀(168), 압축스프링(170) 등 이전 실시예의 조립되는 수단이 될 수 있게 사용되도록 그립(128)과 방아쇠(130)을 구비한다. 더욱이, 구동카라(166)는 적어도 제어단부(124)와 관련되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는 구동카라(66)와 긴부재(122) 전부의 작업단부(126)의 구동 메커니즘(152)과 결합 될 수 있다. 구동카라(166)는 그곳에서 추가적으로 구동핀(168)을 수용하는 형태와 그 부근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그루브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방아쇠(130)는 선회 가능하게 고정된 제어단부(124)와 종방향 고정핀(180)에 대해 가로질러지는 요크(178)를 통해 제어단부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동핀(168)은 또한 구동카라(166)와 긴부재(122)의 회전위치에 상관없이 구동카라(166)에서 그루브(176)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구동핀(168)의 방법에서 방아쇠(130)의 요크(178)을 가로질러 종방향으로 결합 될 수 있다. 특히, 방아쇠(130)의 요크(178)은 구동카라(166)에 대해 충분하게 마운트 되도록 충분히 여유가 있게 형성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압축스프링은(170) 연장된 부재와 동축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구동카라(166)를 따라 디폴트하게 최대로 후퇴된 니들 위치 전방의 아치형 니들(140)과 관련되어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20-22를 참조하여, 작업단부(126)의 아치형 니들(140)의 전진의 다른 단계들, 예를 들어, 구동 메커니즘(152)의 작동하는 동안은 제공된다. 후퇴된 니들의 위치에서, 도20의 실시예의 도시된 바와 같이, 아치형 니들(140)은 작업단부(126)의 측면 작동구멍(132)안에서 충분히 낮게 배치되고, 충분히 숨겨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설치된 패스너(134)는 아치형 니들(140)과 맞물리기 용이한 방법으로 위치된, 단부들(186, 188)과 측면발사구멍(132)을 따라 제거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전진하는 동안, 아치형 니들(140)은 도21-22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된 조직의 섹션들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앞으로 전진할 수 있다. 앞서 최대로 연장된 니들 위치에서, 아치형 니들(140)은 설치된 패스너(134)의 니들가이드(188) 혹은 리딩단부(leading end)와 맞물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니들가이드(188)이 맞물릴 시, 방아쇠(130)는 사용자가 패스너(134)를 설치하면서 아치형 니들(140)이 연장된 니들 위치로부터 후퇴하는 사이, 조직의 관련된 섹션을 통해 후퇴되고, 그것과 함께 패스너(134)의 니들가이드(188)혹은 리딩단부를 당기는 동안, 도20의 처음으로 후퇴된 니들 위치로 돌아가며 해제될 수 있다. 앞서 배치된, 패스너(134)는 패스너(134)의 하나 이상의 단부들(186,188)에 배치된 보유부재, 보유요소 등으로 유지될 수 있는 조직과/혹은 보철재료의 하나 이상의 섹션 안에 일반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패스너(134)의 단부들(186,188)은 배치된 모양에서 조직 내부에 패스너(134)를 유지하고 수축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해 조직으로 들어가기 용이하게 맞춰질 수 있다.
도23-40으로 돌아가서, 다양한 조직 패스너들(234, 334, 434)의 실시예는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도17-22의 싱글 니들 방식의 의료고정장치(1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들(234, 334, 434) 각각은 트레일링단부(trailing end, 286, 386, 486)와 리딩단부(288, 388, 488)을 연장하는 긴 필라멘트(filament, 202, 302, 402)를 일반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리딩단부(288, 388, 488)은 니들가이드(140)의 리세스 혹은 훅(150) 등과 맞물리게 혹은 상호작용 가능하게 형성된 니들가이드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니들가이드(288, 388, 488) 각각은 모양 루프, 원, 타원, 달걀모양, 다각형 혹은 아치형 니들(140)에 의해 배치되는 사이에 맞물릴 수 있는 어떤 다른 적당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니들가이드들(288, 388, 488) 각각은 이전에 설치된 조직을 통해 후퇴에 저항하도록 형상된 방법으로 그곳으로부터 그 위와 접선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유요소(204, 304, 40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유요소들(204, 304, 404)은 일반적으로 하나이상의 가지, 핀, 경사진요소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더욱이, 니들가이드들(288, 388, 488)과 보유요소들(204, 304, 404)는 그곳에서 또한 후퇴를 막는 동안, 조직의 섹션을 통해 그곳으로 전진하기 용이하도록 형성 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패스너들(234, 334, 434)의 트레일링단부들(286, 386, 486)은 일반적으로 조직의 섹션을 통해 전진에 저항하도록 형성된 보유부재(206, 306, 40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부재들(206, 306, 406)은 동일 평면에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가로지르는(intersecting), 평면 안에 누워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로(outwardly) 연장된 요소 혹은 저마다 니들가이드들(288, 388, 488)의 평면에 다른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23-28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스너들(234) 각각은 일반적으로 선형(linear)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비선형(nonlinear) 세그멘트(segments, 208)를 따라 긴 필라멘트(202) 제공할 수 있게 보여진다. 예를 들어 도23-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필라멘트는(202)는 리딩단부와 필라멘트(202) 사이에 혹은 니들가이드(288)에 배치된 곡선 모양의 비선형 세그먼트(208)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이점들 중에서도, 이러한 형상은 실시예에 따라,
아치형 니들(140)과 맞물림뿐만 아니라 아치형 니들(140)과 연동되는(associated) 측면 발사구멍(132)과 관련하여 패스너(234)의 위치에서 서로 도움(aid)을 제공(serve)할 수 있다. 나아가, 도23-28의 실시예의 니들가이드들(288) 각각은 그곳을 접하게 연장된 오직 하나의 보유요소(204)를 구비하는 루프의 모양을 일반적으로 가질 수 있다. 더욱이, 보유요소(204)는 배치 시, 패스너(234)의 후퇴를 방지하는 형상의 경사진(canted) 요소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도23-28의 패스너(234)와 비교하여, 도29-34의 패스너(334)들 각각은 비선형이 아닌 세그먼트들과 순(purely) 선형의 긴 필라멘트(302)를 제공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리딩단부나 니들가이드(388)의 비슷항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더, 도29-34의 니들가이드(388) 각각은 배치 시, 그것으로부터 패스너(334)의 후퇴에 저항하도록 형상된 접하게 연장하는 오직 하나의 경사진 보유요소(304)를 구비하는 루프의 모양을 일반적으로 가질 수 있다. 더 비교하면, 도35-40의 패스너들(434) 각각은 도29-34의 패스너들(334)과 같이 비선형이 아닌 세그먼트들과 순 선형의 긴 필라멘트(405), 뿐만아니라 도23-34의 패스너들(234, 334)과 같이 일반적인 루프(loop)의 모양을 하는 니들가이드(388)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패스너들(434) 각각은 그곳에서 접선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경사진 보유요소(404)를 가지는 니들가이드(488)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두 보유요소들(404)은 패스너(434)의 후퇴에 저항하기 위하여 트레일링단부(486)의 전방과 리딩단부(488)으로부터 바로 유도될 수 있다.
도 23-40의 패스너들(234, 334, 434)은 실시예에 따라, 그것의 보유요소(206, 306, 406)의 변경을 통해 더 다양해 질 수 있다. 도23-39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부재들(206-1, 306-1, 406-1)은 일반적으로 각 패스너(234-2, 334-2, 434-2)의 동일 평면(coplanar)상의 평면 안에 누운 종 방향으로 연장된 선형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도24와 30 그리고 36에서, 보유 부재들(206-2, 306-2, 406-2) 각각은 패스너(234-2, 334-2, 434-2)의 더 전진을 방지하게 형성되도록 내부에(inwardly) 배치된 슬롯들(slots)과 디스크(disk) 모양의 요소가 동일 평면에 제공될 수 있다. 도25와 도31 그리고 도37에서, 지지부재(206-3, 306-3, 406-3)은 패스너(234-3, 334-3, 434-3)의 트레일링단부(286, 386, 486)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디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와 반대로, 도25, 도31 그리고 도37의 보유부재들(206-3, 306-3, 406-3) 각각은 패스너(234-3, 334-3, 434-3)의 수직인 평면 안에 누울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26, 도32 그리고 도38의 지지부재들(206-4, 306-4, 406-4) 각각의 패스너(234-4, 334-4, 434-4)의 동일 평면상의 평면 안에 누울 수 있고, 각 필라멘드(202, 302, 402)가 일반적으로 평행인 H 모양의 갈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27, 도33 그리고 도39에서, 보유부재들(206-5, 306-5, 406-5) 각각은 조직을 통하여 그것의 전진에 반대하도록 배치되고, 패스너(234-5, 334-5, 434-5)의 평면상의 평면 안에 누워 일반적으로 A모양의 갈래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28, 도34와 도40에서, 보유부재들(206-3, 306-3, 406-3) 각각은 패스너(234-6, 334-6, 434-6)와 동일한 평면에 있고, 조직을 통해 그것의 전진을 저항하도록 배열된 갈래의 안쪽으로 둥근(rounded)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패스너들(234, 334, 434)의 오직 특정 실시예가 도23-40에 제공되었지만, 다른 대안들 또는 변형들이 첨부된 청부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함이 이해될 것이다.
도41-46으로 돌아가서, 싱글 니들 형상과 결합되게 구비하는 패스너(534)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은 제공될 것이다. 비슷하게 이전의 실시예들에서, 패스너(534)는 트레일링단부(586)과 리딩단부(588) 사이에서 선형으로 연장된 긴 필라멘트(502)를 포함 할 수 있다. 리딩단부(588)에서, 패스너(534)는 조직을 통하여 패스너(543) 전진을 촉진(promotes) 하지만 후퇴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접하게 연장된 비스듬한 보유요소(504)를 구비하는 니들가이드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트레일링단부(586)에서 패스너(534)는 이전에 설치된 리딩단부(588)과 맞물리도록(interlock) 형성된 상대적으로 오픈(open) 보유부재(506)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더, 설치된 패스너(534)의 오픈 트레일링단부(586)는 도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아치형 니들(140)의 전진하는(advancing) 단부의 앞쪽에 즉시 위치되며, 도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에 작동된 것을 통해서 아치형 니들(140)로 인해 나아간다. 이전에 최고로 연장되었을 때, 아치형 니들(140)의 리세스 혹은 훅(150)은 패스너(534)의 리딩단부(588)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아치형 니들(140)의 후퇴와 같이, 패스너(534)의 플렉시블(flexible) 리딩단부(588)는 오픈 트레일링단부(586)를 통해서 최대로 부착되도록 야기 될 수 있다. 도45-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534)는 트레일링단부(586)의 오픈 보유부재(506)와 리딩단부(588)의 보유요소(504)의 맞물리는 성질을 통해 조직 안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47-5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패스너(634)의 또 다른실시예는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너(634)는 형성된 두 제1 단부(686)과 제2 단부(688)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더, 제1 및 제2 단부(686, 688)의 각각은 조직을 통하여 전진이 용이하지만 후퇴를 방지하도록 형상된 방법으로 접하게 연장된 하나 이상의 보유요소들(604) 구비하는 니들가이드를 포함 할 수 있다. 도49-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47-48의 패스너(634)는 이중의 니들 형상이 구비된 혹은 다른 하나와 관계되어 동축으로 배치된 두 아치형 니들(140)을 구비하는 고정장치를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아치형 니들들(140) 각각은 작동 시, 두 아치형 니들들(140)은 전방으로 회전하며 조직을 통과하고, 설치된 패스너(634)의 각 단부들(686, 688)과 맞물리고 해제 시, 두 아치형 니들들(140)이 티슈를 통해서 역으로 회전하며 조직을 통하여 패스너(634)의 맞물린 단부들(686, 688)을 끌어 동시에 후퇴하도록 형상된 방법으로 구동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하게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신속하고 믿을 수 있게 조직과/혹은 어떠한 적용 가능한 보철재료도 패스너를 설치하게 맞춰질 수 있는 의료 고정장치를 명시하여(sets forth) 나타낼 수 있다.
장치는 조직을 고정하기 위한 시간을 완벽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다른 방법들의 사용보다 뛰어나게 쉽게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소들의 특이한 결합의 명시를 통하여, 나아가, 본 발명에서 요소들을 명시한 특이한(unique) 결합을 통하여, 조직고정장치는 환자에게서 염증과 다른 질병을 줄이도록 그리고, 부착(attachment)과 봉합(closure)의 보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없이 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20 : 고정장치
22 : 긴부재
24 : 제어단부
26 : 작업단부
28 : 그립
30 : 방아쇠
32 : 발사구멍
34 : 패스너
36 : 가이드
38 : 제1 아치형 니들
40 : 제2 아치형 니들
42 : 제1 축
44 : 44번 화살표
46 : 제2 축
48 : 48번 화살표
50 : 훅
52 : 구동 메커니즘
54 : 제1 기어
56 : 제2 기어
58 : 구동기어
60 : 기어랙
62 : 62번 화살표
64 : 작동로드
66 : 구동카라
68 : 구동핀
70 : 압축스프링
72 : 로드핀
74 : 구멍
76 : 그루브
78 : 요크
80 : 고정핀
82 : 82번 화살표
86 : 제1 단부
88 : 제2 단부
90 : 리본
91 : 리턴롤
92 : 피드패스
93 : 피드롤
94 : 리턴패스
96 : 컴파트먼트
98 : 연속리본
120 : 고정장치
122 : 긴부재
124 : 제어단부
126 : 작업단부
128 : 그립
130 : 방아쇠
132 : 구멍
134 : 패스너
140 : 아치형 니들
144 : 회전 방향
148 : 148번 화살표
150 : 훅
152 : 구동 메커니즘
166 : 구동카라
168 : 구동핀
170 : 압축스프링
176 : 그루브
178 : 요크
180 : 고정핀
182 : 182번 화살표
186 : 제1 단부
188 : 제2 단부
202 : 필라멘트
204 : 보유요소
206 : 보유요소
206-1 : 보유부재
206-2 : 보유부재
206-3 : 보유부재
206-4 : 보유부재
206-5 : 보유부재
234 : 패스너
234-1 : 패스너
234-2 : 패스너
234-3 : 패스너
234-4 : 패스너
234-5 : 패스너
234-6 : 패스너
286 : 트레일링단부
288 : 니들가이드
302 : 필라멘트
304 : 보유요소
306 : 보유요소
306-1 : 보유부재
306-2 : 보유부재
306-3 : 보유부재
306-4 : 보유부재
306-5 : 보유부재
334 : 패스너
334-1 : 패스너
334-2 : 패스너
334-3 : 패스너
334-4 : 패스너
334-5 : 패스너
334-6 : 패스너
386 : 트레일링단부
388 : 니들가이드
404 : 보유요소
402 : 필라멘트
406 : 보유요소
406-1 : 보유부재
406-2 : 보유부재
406-3: 보유부재
406-4: 보유부재
406-5: 보유부재
434 : 패스너
434-1 : 패스너
434-2 : 패스너
434-3 : 패스너
434-4 : 패스너
434-5 : 패스너
434-6 : 패스너
486 : 트레일링단부
488 : 리딩단부
502 : 필라멘트
504 : 보유요소
524 : 패스너
586 : 트레일링단부
588 : 리딩단부
604 : 보유요소
634 : 패스너
686 : 제1 단부
688 : 제2 단부

Claims (46)

  1. 제1 방향으로 제1 축에 대해 회전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인입되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맞춰지는 제1 아치형 니들;
    제2 방향으로 제2 축에 대해 회전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인입, 되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맞춰지는 제2 아치형 니들; 및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 각각이 작동 가능하게 결합 되고,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이 결합 되어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구동 메커니즘;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작동 시 설치되는 패스너의 단부들과 맞물리도록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 각각 조직 및 보철 중 하나를 통해 전방회전으로 전진시키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의 해제 시 나선형으로 패스너의 맞물린 단부들을 당기도록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를 통해 역방향으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을 후퇴시키도록 형성되는,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이 제2 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오프셋 되는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2 축과 동축인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동일한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반대인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3 방향으로 제3 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아치형 니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축은 제1 및 제2 축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이며, 상기 제3 방향은 제1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이 패스너의 단부를 맞물리게 수용하는 형성된 리세스를 제공하는 고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동일하고 대칭적인 각 변위 비율로 회전되는 고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비대칭적인 각 변위 비율로 회전될 수 있는 고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되는 고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역방향의 배치로 후퇴됨에 따라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조직 및 보철의 재료 중 하나의 제1 및 제2 섹션들을 통해 설치되는 패스너의 일 단부를 당기도록 상기 구동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고정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전방의 배치로 전진됨에 따라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조직 및 보철의 재료 중 하나의 제1 및 제2 섹션들을 통해 설치되는 패스너의 일 단부를 당기도록 상기 구동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고정장치.
  14. 제어단부 및 작업단부 사이를 연장하는 긴부재, 상기 작업단부는 발사구멍을 구비함;
    작업단부의 발사구멍 내부에 위치하고 제1 방향으로 제1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맞춰지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인입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방출되는 제1 아치형 니들;
    작업단부의 발사구멍 내부에 위치하고 제2 방향으로 제2 축에 대해 회전하도록 맞춰지며,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2 섹션을 통해 인입되고,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의 제1 섹션을 통해 방출되는 제2 아치형 니들; 및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을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제어단부를 통하여 수용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이 결합 되어 맞물리도록 구성된 구동 메커니즘;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역방향의 배치로 후퇴됨에 따라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조직 및 보철의 재료 중 하나의 제1 및 제2 섹션들을 통해 패스너의 일 단부를 당기도록 상기 구동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조직 고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긴부재의 제어단부에 배치된 방아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작동되고, 방아쇠는 맞물린 위치와 풀리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맞물린 방아쇠의 위치는 연장된 니들 위치와 대응되고, 풀린 방아쇠의 위치는 후퇴된 니들 위치와 대응되는 조직 고정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선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패스너가 리본을 잡고, 해제 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에 의해 맞물릴 수 있도록 설치 전에 작업단부의 발사구멍 위로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를 잡도록 형성된 리본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조직 고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발사구멍 위에서 다음의 패스너를 잡도록 각각 설치 후에 상기 리본이 전진 되는 조직 고정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작업단부와 긴부재가 제어단부와 공통된 길이방향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조직 고정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단부가 긴부재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조직 고정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이 패스너의 단부를 맞물리게 수용하도록 형성된 리세스를 제공하는 조직 고정장치.
  21. 삭제
  22. 제14항에 있어서,
    작동 시, 설치되는 패스너의 단부들과 맞물리도록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를 전진시키고; 해제 시, 나선형으로 패스너의 맞물린 단부들을 당기도록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를 통해 역방향으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을 후퇴시키도록 상기 구동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조직 고정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전방의 배치로 전진 됨에 따라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조직 및 보철의 재료 중 하나의 제1 및 제2 섹션들을 통해 패스너의 일 단부를 당기도록 상기 구동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조직 고정장치.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이 제2 축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오프셋 되는 조직 고정장치.
  2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2 축과 동축인 조직 고정장치.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동일한 조직 고정장치.
  2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과 반대인 조직 고정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제3 방향으로 제3 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아치형 니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축은 제1 및 제2 축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축이며, 상기 제3 방향은 제1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조직 고정장치.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동일하고 대칭적인 각 변위 비율로 회전되는 조직 고정장치.
  3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비대칭적인 각 변위 비율로 회전될 수 있는 조직 고정장치.
  3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서로에 대해 회전되는 조직 고정장치.
  3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구멍이 작업단부에 대해 측면 발사구멍, 말단 발사구멍 및 비스듬한 발사구멍 중 하나로 형성되는 조직 고정장치.
  33. 제어단부 및 작업단부 사이를 연장하는 긴부재, 작업단부는 발사구멍을 구비함;
    발사구멍의 내부에 배치되어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는 제1 아치형 니들, 상기 제1 아치형 니들은 패스너의 단부를 맞물려 수용하도록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함;
    제1 아치형 니들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 시에, 조직 및 보철 중 하나를 통하여 전방 회전으로 상기 제1 아치형 니들을 전진시키고 설치될 패스너의 단부에 맞물리고, 해제 시에, 패스너의 맞물린 단부를 당기도록 조직 및 보철 중 하나를 통하여 반대 회전으로 상기 제1 아치형 니들을 후퇴시키는, 구동 메커니즘;
    발사구멍의 내부에 배치되어 후퇴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는 제2 아치형 니들, 상기 제2 아치형 니들은 패스너의 제2 단부를 맞물려 수용하도록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하고, 제1 아치형 니들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됨; 및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의 반대로 회전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아치형 니들;
    을 포함하는 조직 고정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긴부재의 제어단부에 배치된 방아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작동되고, 방아쇠는 맞물린 위치와 풀리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맞물린 방아쇠의 위치는 연장된 니들 위치와 대응되고, 풀린 방아쇠의 위치는 후퇴된 니들 위치와 대응되는 조직 고정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선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패스너가 리본을 잡고, 해제 시 제1및 제2 아치형 니들에 의해 맞물릴 수 있도록 설치 전에 작업단부의 발사구멍 위로 적어도 하나의 패스너를 잡도록 형성된 리본카트리지를 더 포함하는 조직 고정장치.
  36. 삭제
  37. 제3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이 각각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 시 동시에 설치되는 패스너 저마다의 단부들에 맞물리도록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 각각 조직 및 보철 중 하나를 통해 전방회전으로 전진시키고, 해제 시 동시에 패스너의 맞물린 단부들을 당기도록 조직 및 보철재료 중 하나를 통해 역방향으로 제1 및 제2 아치형 니들들 각각을 후퇴시키는 상기 구동 메커니즘이 형성되는 조직 고정장치.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은 방아쇠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작동되고, 방아쇠는 맞물린 위치와 풀리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맞물린 방아쇠의 위치는 연장된 니들 위치와 대응되고, 풀린 방아쇠의 위치는 후퇴된 니들 위치와 대응되는, 고정장치.
KR1020157024542A 2013-02-15 2014-02-14 의료 고정장치 KR102274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65460P 2013-02-15 2013-02-15
US61/765,460 2013-02-15
PCT/US2014/016442 WO2014127216A1 (en) 2013-02-15 2014-02-14 Medical faste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043A KR20150121043A (ko) 2015-10-28
KR102274864B1 true KR102274864B1 (ko) 2021-07-08

Family

ID=51351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4542A KR102274864B1 (ko) 2013-02-15 2014-02-14 의료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439646B2 (ko)
EP (2) EP3354206B1 (ko)
JP (2) JP2016506858A (ko)
KR (1) KR102274864B1 (ko)
CN (1) CN105142539B (ko)
AU (2) AU2014216180B2 (ko)
BR (1) BR112015019519A2 (ko)
CA (1) CA2900385A1 (ko)
ES (1) ES2676560T3 (ko)
IL (1) IL240576B (ko)
WO (1) WO2014127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1728B2 (en) 2013-02-15 2019-03-19 Surgimatix, Inc. Medical fastening device
CA2900385A1 (en) 2013-02-15 2014-08-21 Surgimatix, Inc. Medical fastening device
CA2905345A1 (en) * 2013-03-15 2014-09-25 Ams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tool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o tissue
JP6505673B2 (ja) * 2013-09-26 2019-04-24 サージマ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Surgimatix, Inc. 自動装填機構及び縫合要素捕捉部を備えた腹腔鏡縫合装置
US9867609B2 (en) 2013-09-26 2018-01-16 Surgimatix, Inc. Laparoscopic suture device with stripper plate
US9936942B2 (en) 2013-09-26 2018-04-10 Surgimatix, Inc. Laparoscopic suture device with release mechanism
US11246583B2 (en) * 2014-06-18 2022-02-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sertion devices, anchors, and methods for securing an implant
KR101796685B1 (ko) * 2014-12-08 2017-11-10 육상수 봉합용 매듭 및 봉합장치
KR101648014B1 (ko) * 2014-12-26 2016-08-12 국립암센터 수술용 봉합장치
KR20170107447A (ko) * 2014-12-30 2017-09-25 서지매틱스, 아이엔씨. 충격 전개 기능을 가지는 복강경 수술 장치
US11918204B2 (en) * 2015-06-01 2024-03-05 Lsi Solutions, Inc. Suturing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needles and methods thereof
EP3302301B1 (en) * 2015-06-01 2020-05-06 LSI Solutions, Inc. Needle for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US10433831B2 (en) * 2015-06-01 2019-10-08 Lsi Solutions, Inc. Needle for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KR20180087286A (ko) * 2015-11-12 2018-08-01 서지매틱스, 아이엔씨. 스트리퍼 플레이트를 갖는 복강경 수술용 봉합용 디바이스
US9439647B1 (en) 2016-03-02 2016-09-13 Arthrogenx, LLC. Suture passing instruments and methods
AU201612825S (en) * 2016-05-27 2017-01-10 Medical fastening device
US10143465B2 (en) 2016-10-24 2018-12-04 ReViable Surgical, Inc. Laparoscopic suturing devices, needles, sutures, and drive systems
US11344294B2 (en) * 2016-10-24 2022-05-31 ReViable Surgical, Inc. Laparoscopic suturing devices, needles, sutures, and drive systems
US10603031B2 (en) * 2017-02-03 2020-03-31 Lsi Solutions, Inc. Suturing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WO2019152317A1 (en) 2018-01-28 2019-08-08 Lsi Solutions, Inc. Suturing devic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needles and methods thereof
CN109303595B (zh) * 2018-10-31 2021-08-03 江苏海泽医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带缝合功能的穿刺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568A (ja) * 2001-06-07 2009-08-13 Olympus Corp 内視鏡用縫合器
WO2012088232A2 (en) * 2010-12-23 2012-06-28 Surgimatix, Inc. Skin suturing device using rotating needle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283A (en) * 1988-12-29 1990-08-21 John Lezdey Surgical clip
US5074874A (en) * 1989-05-16 1991-12-24 Inbae Yoon Suture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endoscopic surgery
US5364408A (en) * 1992-09-04 1994-11-15 Laurus Medical Corporation Endoscopic suture system
US5527321A (en) * 1993-07-14 1996-06-1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Instrument for closing trocar puncture wounds
US5470338A (en) * 1993-10-08 1995-11-28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Instrument for closing trocar puncture wounds
US5755728A (en) * 1996-03-07 1998-05-26 Maki; Neil J. Suture apparatus with loop end portions
JP4136020B2 (ja) * 1996-04-17 2008-08-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医療用結紮具
CA2224366C (en) * 1996-12-11 2006-10-31 Ethicon, Inc. Meniscal repair device
US6206895B1 (en) * 1999-07-13 2001-03-27 Scion Cardio-Vascular, Inc. Suture with toggle and delivery system
GB9929599D0 (en) * 1999-12-15 2000-02-09 Atlantech Medical Devices Limi A graft suspension device
EP1511429B1 (en) * 2002-06-12 2009-07-22 Boston Scientific Limited Suturing instruments
US6726705B2 (en) 2002-06-25 2004-04-27 Incisive Surgical, Inc. Mechan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bilateral tissue fastening
US20080132919A1 (en) * 2002-10-03 2008-06-05 Faising Chui Cycling suturing and knot-tying device
EP2664283B1 (en) * 2004-05-14 2017-06-28 Ethicon, LLC Suture devices
US8123764B2 (en) 2004-09-20 2012-02-28 Endoevolutio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ally invasive suturing
DE602006020077D1 (de) * 2006-05-16 2011-03-24 Marlen Andreevich Sulamanidze Chirurgisches nahtmaterial
WO2008069816A1 (en) * 2006-12-06 2008-06-12 Ryan Timothy J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ing sutures
US20090093824A1 (en) 2007-10-04 2009-04-09 Hasan Jafar S Wound closure fasteners and device for tissue approximation and fastener application
US8932327B2 (en) * 2008-04-01 2015-01-13 Covidien Lp Anchoring device
SG196767A1 (en) * 2008-11-03 2014-02-13 Ethicon Llc Length of self-retaining su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using the same
US20100312260A1 (en) * 2009-06-03 2010-12-09 Herron Daniel M Interrupted tissue apposition devices
US8876841B2 (en) 2009-07-20 2014-11-0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pinal disc anulus repair method and apparatus
JP5882337B2 (ja) * 2010-09-30 2016-03-09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Smith & Nephew,Inc. 組織固定具
AU2011326446B2 (en) * 2010-11-09 2016-03-03 Ethicon, Llc Emergency self-retaining sutures and packaging
JP6125488B2 (ja) * 2011-03-23 2017-05-10 エシコン・エルエルシーEthicon LLC 自己保持可変ループ縫合材
US9237887B2 (en) * 2011-05-19 2016-01-19 Biomet Sports Medicine, Llc Tissue engaging member
CA2900385A1 (en) 2013-02-15 2014-08-21 Surgimatix, Inc. Medical fasten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568A (ja) * 2001-06-07 2009-08-13 Olympus Corp 内視鏡用縫合器
WO2012088232A2 (en) * 2010-12-23 2012-06-28 Surgimatix, Inc. Skin suturing device using rotating need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27216A1 (en) 2014-08-21
IL240576B (en) 2020-06-30
US9439646B2 (en) 2016-09-13
ES2676560T3 (es) 2018-07-20
AU2018205091A1 (en) 2018-07-26
BR112015019519A2 (pt) 2017-07-18
EP2956067B1 (en) 2018-04-18
US20140236193A1 (en) 2014-08-21
EP2956067A1 (en) 2015-12-23
AU2018205091B2 (en) 2019-12-05
CA2900385A1 (en) 2014-08-21
CN105142539A (zh) 2015-12-09
US20160374663A1 (en) 2016-12-29
WO2014127216A4 (en) 2014-11-20
EP3354206A1 (en) 2018-08-01
AU2014216180B2 (en) 2018-08-02
JP2018083101A (ja) 2018-05-31
JP2016506858A (ja) 2016-03-07
KR20150121043A (ko) 2015-10-28
AU2018205091B9 (en) 2020-01-16
IL240576A0 (en) 2015-09-24
EP3354206B1 (en) 2020-06-17
US10492778B2 (en) 2019-12-03
AU2014216180A1 (en) 2015-08-20
CN105142539B (zh) 2019-04-05
EP2956067A4 (en) 2016-12-21
JP6662924B2 (ja)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864B1 (ko) 의료 고정장치
US10231728B2 (en) Medical fastening device
US8852088B2 (en) Tissue retractor assembly
AU2011349175B2 (en) Skin suturing device using rotating needles
US10398432B2 (en) Laparoscopic suture device with autoloading and suture capture
US7815652B2 (en) Surgical fastener and instrument
WO2012122129A1 (en) Suture passing devices and methods
US201202591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eating urinary incontinence
US9867609B2 (en) Laparoscopic suture device with stripper plate
CN110313951B (zh) 缝合线锁扣及缝合线锁结系统
ES2932653T3 (es) Dispositivo de sutura laparoscópica con despliegue por impulsos
KR20210148307A (ko) 수술용 패스닝 디바이스
CN111182838A (zh) 多缝线穿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