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571B1 -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 Google Patents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571B1
KR102274571B1 KR1020200014170A KR20200014170A KR102274571B1 KR 102274571 B1 KR102274571 B1 KR 102274571B1 KR 1020200014170 A KR1020200014170 A KR 1020200014170A KR 20200014170 A KR20200014170 A KR 20200014170A KR 102274571 B1 KR102274571 B1 KR 102274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gnized
base part
character part
character
polyg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인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인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인사
Priority to KR102020001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6Security printing using a non human-readable pattern which becomes visible on reproduction, e.g. a void ma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4Multicolour printing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물에서 바탕부(1)와 문자부(2)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는 동일 면적의 유닛이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문자부(2)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은 다수개의 내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탕부(1)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서 밖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외부선으로 구성되어,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1)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2)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the improved security printing structure using line drawing figure}
본 발명은 인쇄물에서 바탕부와 문자부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와 상기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화폐, 상품권, 증명서 등의 위변조 행위가 성행하여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상기 위변조 행위에는 복사기, 스캐너, 카메라 등 디지털 기기가 주로 이용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인쇄 방식에 따라 사람의 눈으로 직접 육안으로 인식할 때와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할 때 차이가 발생하는 점에 착안하여,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와 상기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보안 인쇄 구조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1756호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보안인쇄방법’, 2014년04월28일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8599호 ‘보안인쇄를 위한 2단계 물질 코팅방법’, 2013년12월31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인쇄물에서 바탕부와 문자부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와 상기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쇄물에서 바탕부(1)와 문자부(2)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는 동일 면적의 유닛이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바탕부(1)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은 다수개의 내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문자부(2)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서 밖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외부선으로 구성되어,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1)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2)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물에서 바탕부와 문자부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와 상기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안 인쇄 구조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의 문자부와 바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3 내지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인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에서 육안으로 볼 때는 바탕부와 상기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바탕부와 비교하여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는 결과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선화도형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안 인쇄 구조의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인쇄물을 육안으로 인식할 때이고, 도 1(b)는 인쇄물을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할 때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본 발명의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는 모두 인쇄물에서 바탕부와 문자부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와 상기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의 문자부와 바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실시예이고,
도 3 내지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인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에서 육안으로 볼 때는 바탕부와 상기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바탕부와 비교하여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는 결과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는,
인쇄물에서 바탕부(1)와 문자부(2)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는 동일 면적의 유닛이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바탕부(1)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은 다수개의 내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문자부(2)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서 밖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외부선으로 구성되어,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1)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2)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연하면, 본 발명은 육안으로 볼 때는 유닛 당 동일한 크기와 수의 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의 구분 없이 인식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안 밖으로 선을 연장하지 않고, 다각형의 면을 안과 밖으로 펼쳐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2에서 도 2(a)는 문자부를 확대한 것이고, 도 2(b)는 바탕부를 확대한 것이다. 점선은 상기 유닛을 의미한다.
상기 유닛은 설명의 편의상 5각형으로 분할한 것으로, 문자부(2)와 바탕부(1) 내에서 동일한 형상과 모양만 유지한다면 도 3 및 4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분할 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바탕부(1)는 다수개의 상기 내부선 상호간의 교차로 인해 선 밀집도가 높아지고,
상기 문자부(2)는 상기 바탕부(1) 보다 선 밀집도가 낮아지므로,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문자부(2)는 상기 바탕부(1) 보다 선의 소실이 많이 발생하므로,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1)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2)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닛 안에서,
상기 다각형, 상기 내부선 및 상기 외부선을 이루는 선의 굵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내부선의 길이의 합과 상기 외부선의 길이의 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3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5각형과 6각형의 도형이 상호간에 이격되어 있으나, 도 4와 같이 근접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자세히 부연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선의 두께와 선의 수를 이용한 2가지 도형을 만들고 두 도형의 선의 밀집도를 변화시켜서 복사시나 스캔시 밀집도에 따라 소실되는 부분과 소실되지 않는 부분의 차이를 통해서 원본과 복사본을 구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선화를 이용한 선행된 복사방해기법은 선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선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방향성에 따라 복사나 스캔을 하는 방향에 따라서 복사방해 기법의 효과에 차이가 생기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자 선을 사용하되 도형의 형태로 만들어서 방향성을 없애는 기능과 복사방해기능을 동시에 실현 가능한 본 발명을 고안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굵기와 길이의 선을 이용하여 도형(다각형)을 만들고 그 도형의 꼭지점에 연결된 동일한 길이의 선을 도형의 안으로 모으거나(내부선) 밖으로 펼쳐서(외부선) 2가지 모양의 도형을 만든다.
전체적으로 동일한 선의 수를 가진 2가지의 도형이, 문자부(2)에서는 밖으로 외부선이 펼쳐진 도형으로 바탕부(1)에서는 안으로 내부선이 모인 도형이 되는데,
이 도형을 유닛이라는 동일 범위 안에 동일한 수로 배치하면 선의 차지하는 면적이 동일하기 때문에 도형이 충분히 작아지면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는 동일한 패턴이나 색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안으로 내부선을 모은 도형은 선이 중심으로 모이면서 도형 안의 밀집도 높아지고, 밖으로 외부선을 펼친 도형은 도형 전체의 면적에서 선의 밀집도가 낮아진다. 이 밀집도의 차이로 인해서 복사 또는 스캔시 밀집도가 낮은 도형에서 소실효과가 생기고 이런 소실효과를 통해 복사 및 스캔시(카메라 촬영 포함) 원본과 복사물을 구분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동일한 크기의 6각형임에도 불구하고 선이 밖으로 펼쳐진 도형에 비해 안으로 모인 도형은 작아 보이면서 선의 밀집도가 중심부위에서 높다. 복사 및 스캔시에 이런 밀집도의 차이로 인해 밀집도가 낮은 도형에서 선의 소실이 생기고 이를 통해 목적한 복사방해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다각형 중에 6각형을 이용했지만, 동일한 원리로 도 2의 5각형 등 모든 다각형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높은 수의 다각형일수록 내부선의 중첩으로 밀집도가 높아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각형 외에 원, 별, 하트, 문자, 숫자 등 정형 또는 비정형화된 도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다각형의 크기는 50~500μm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문자부(2)에서 상기 다각형을 상호간에 접촉하여 근접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각형, 상기 내부선 및 상기 외부선을 이루는 선의 굵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2~8μm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선화도형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은 다각형과 내부선 및 외부선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선화도형으로 상기 다각형을 이용하되,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용하여 안과 밖으로 선을 연장하지 않고, 다각형의 면을 안과 밖으로 펼쳐서 동일한 효과로 응용 가능하다.
즉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인쇄물에서 바탕부(1)와 문자부(2)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는 동일 면적의 유닛이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바탕부(1)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은 다수개의 내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문자부(2)는,
상기 유닛 안에 상기 다각형의 면을 이루는 선의 중단이 분리되어 꼭지점에서 밖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외부선으로 구성되어,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1)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2)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론으로 본 발명은 인쇄물에서 바탕부와 문자부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와 상기 문자부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합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및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바탕부
2: 문자부

Claims (5)

  1. 인쇄물에서 바탕부(1)와 문자부(2)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는 동일 면적의 유닛이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바탕부(1)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은 다수개의 내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문자부(2)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에서 밖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외부선으로 구성되어,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1)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2)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바탕부(1)는 다수개의 상기 내부선 상호간의 교차로 인해 선 밀집도가 높아지고,
    상기 문자부(2)는 상기 바탕부(1) 보다 선 밀집도가 낮아지므로,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문자부(2)는 상기 바탕부(1) 보다 선의 소실이 많이 발생하므로,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1)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2)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유닛 안에서,
    상기 다각형, 상기 내부선 및 상기 외부선을 이루는 선의 굵기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4. 제3항에서,
    상기 유닛 안에서,
    상기 내부선의 길이의 합과 상기 외부선의 길이의 합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5. 인쇄물에서 바탕부(1)와 문자부(2)로 구성되어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는 동일 면적의 유닛이 다수로 구성되고,
    상기 바탕부(1)는,
    상기 유닛 안에 1개 이상의 다각형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을 이은 다수개의 내부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문자부(2)는,
    상기 유닛 안에 상기 다각형의 면을 이루는 선의 중단이 분리되어 꼭지점에서 밖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외부선으로 구성되어,
    육안으로 볼 때는 상기 바탕부(1)와 상기 문자부(2)의 구분이 없이 인식되고,
    복사 및 촬영을 포함한 스캔수단으로 인식하면 상기 바탕부(1)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부(2)가 밝게 인식되어 위조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KR1020200014170A 2020-02-06 2020-02-06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KR102274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70A KR102274571B1 (ko) 2020-02-06 2020-02-06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70A KR102274571B1 (ko) 2020-02-06 2020-02-06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571B1 true KR102274571B1 (ko) 2021-07-07

Family

ID=7686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170A KR102274571B1 (ko) 2020-02-06 2020-02-06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57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211A (ja) * 2002-02-18 2003-08-27 Toppan Printing Co Ltd コピー偽造防止用紙及びこのコピー偽造防止用紙を用いた有価証券類
KR101348599B1 (ko) 2005-07-20 2014-01-07 제이디에스 유니페이즈 코포레이션 보안인쇄를 위한 2단계 물질 코팅방법
KR20140016121A (ko) * 2012-07-17 2014-02-07 석인수 큐알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과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391756B1 (ko) 2013-07-19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보안인쇄방법
KR101468412B1 (ko) * 2014-08-27 2014-12-03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KR20170128891A (ko) * 2016-05-16 2017-11-24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JP2017205950A (ja) * 2016-05-19 2017-11-24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印刷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211A (ja) * 2002-02-18 2003-08-27 Toppan Printing Co Ltd コピー偽造防止用紙及びこのコピー偽造防止用紙を用いた有価証券類
KR101348599B1 (ko) 2005-07-20 2014-01-07 제이디에스 유니페이즈 코포레이션 보안인쇄를 위한 2단계 물질 코팅방법
KR20140016121A (ko) * 2012-07-17 2014-02-07 석인수 큐알코드를 이용한 정품인증시스템과 방법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391756B1 (ko) 2013-07-19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보안인쇄방법
KR101468412B1 (ko) * 2014-08-27 2014-12-03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KR20170128891A (ko) * 2016-05-16 2017-11-24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JP2017205950A (ja) * 2016-05-19 2017-11-24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偽造防止印刷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00094B2 (ja) 偽造防止用潜像印刷物及びその印刷方法
US5297815A (en) Security printed documents
US5479507A (en) Copy indicating security device
KR101802808B1 (ko)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JP3909238B2 (ja) マイクロパターンを有する印刷物
US6997482B2 (en) Control element for printed matters
KR101468412B1 (ko)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JP6394975B2 (ja) 偽造防止用印刷物
EP1392521A2 (de) Diffraktives sicherheitselement
KR102274571B1 (ko) 선화도형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US20170106689A1 (en) Security Element Having a Lenticular Image
KR100369111B1 (ko) 복사 위조방지용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16563B4 (de) Sicherheitselement als Photokopierschutz
JP2000233563A (ja) 可変穿孔による偽造防止形成体
JP5360724B2 (ja) 潜像印刷物
KR102240840B1 (ko) 위조방지용지 또는 보안 인쇄 구조를 이용한 진위 여부 확인 시스템
KR102350081B1 (ko) 색조합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JP2008030222A (ja) 偽造防止媒体
JP2019031010A (ja) 偽造防止印刷物
KR20120086950A (ko) 위조방지용지
JP2000263912A (ja) 複写防止模様を有する印刷物
JP6780302B2 (ja) 複写防止媒体
JP3695510B2 (ja) 複写防止模様を有する印刷物及びその作成方法
JP3385461B2 (ja) 微細な穿孔を有する真偽判別形成体及び真偽判別装置
KR102539881B1 (ko)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