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881B1 -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 Google Patents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881B1
KR102539881B1 KR1020220137255A KR20220137255A KR102539881B1 KR 102539881 B1 KR102539881 B1 KR 102539881B1 KR 1020220137255 A KR1020220137255 A KR 1020220137255A KR 20220137255 A KR20220137255 A KR 20220137255A KR 102539881 B1 KR102539881 B1 KR 102539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atent image
reproduction
are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광희
오창진
정종갑
임태순
Original Assignee
한국조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조폐공사
Priority to KR102022013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8Conditioning data for presenting it to the physical printing elements
    • G06K15/1848Generation of the printable i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05Associated digit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95Secure printing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은 원본 이미지를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시키는 그라데이션 클리핑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데이션 클리핑 단계를 통해, 원본 이미지는 재현 영역(100)에 속하는 재현 라인(110)으로 클리핑되고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잠상 라인(210)으로 클리핑되며, 상기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라데이션 영역(G)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Security printed matter and Encoding method of image for secure printing}
본 발명은 보안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안 인쇄물은 위변조 방지 기능이 내장된 인쇄물을 말한다. 위변조 방지 기능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격자필름으로 잠상부를 판별할 수 있는 보안 인쇄물에 관한 것이다. 이때, 보안 인쇄물은 배경부와 잠상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배경부와 잠상부는 패턴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이때, 격자필름에서 빛이 투과되는 패턴과 잠상부의 패턴이 일치하면 잠상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21658호 (공개일 : 2019년03월06일) 2.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51968호 (공개일 : 2022년04월27일)
기존 보안 인쇄물에서 배경부는 육안으로 식별되는 이미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잠상부는 별도의 인쇄없이 흰색 여백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 보안 인쇄물에서 배경부와 잠상부의 색상 차이는 크게 존재한다. 따라서, 그 배경부와 잠상부의 색상 차이로 인해 기존 보안 인쇄물의 잠상부의 은폐력이 낮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격자필름으로 잠상부가 판별되는 보안 인쇄물에서 잠상부의 은폐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은 원본 이미지를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시키는 그라데이션 클리핑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데이션 클리핑 단계를 통해, 원본 이미지는 재현 영역(100)에 속하는 재현 라인(110)으로 클리핑되고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잠상 라인(210)으로 클리핑되며, 상기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라데이션 영역(G)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기 재현 영역(100)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재현 라인(110)을 포함하고, 상기 재현 라인(110)에서 상기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구간은 삭제되고, 상기 잠상 영역(200)에 속하여 삭제된 재현 라인(110)의 구간은 공백 구간(100a)이며, 상기 잠상 라인(210)은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공백 구간(11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백 구간(100a)은 상기 재현 라인(110)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현 라인(1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재현 라인(1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분리된 재현 라인(110) 조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상 라인(2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잠상 라인(2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분리된 잠상 라인(210) 조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 영역(G)은 상기 재현 라인(1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재현 라인(1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 영역(G)은 상기 잠상 라인(2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잠상 라인(2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현 라인(1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지고, 상기 재현 라인(110) 조각의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잠상 라인(2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지고, 상기 잠상 라인(210) 조각의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은 중간 이미지 뒤에 기 설정된 투명도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를 배치시키는 믹싱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보안 인쇄물은 기재; 및 상기 기재 위에 인쇄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는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재현 영역(100)은 재현 라인(110)을 포함하고, 상기 잠상 영역(200)은 잠상 라인(210)을 포함하고, 상기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라데이션 영역(G)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현 영역(100)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재현 라인(110)을 포함하고, 상기 재현 라인(110)에서 상기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구간은 삭제되고, 상기 잠상 영역(200)에 속하여 삭제된 재현 라인(110)의 구간은 공백 구간(100a)이며, 상기 잠상 라인(210)은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공백 구간(11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백 구간(100a)은 상기 재현 라인(110)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현 라인(1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재현 라인(1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분리된 재현 라인(110) 조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상 라인(2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잠상 라인(2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분리된 잠상 라인(210) 조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 영역(G)은 상기 재현 라인(1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재현 라인(1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 영역(G)은 상기 잠상 라인(2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잠상 라인(2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현 라인(1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지고, 상기 재현 라인(110) 조각의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잠상 라인(2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지고, 상기 잠상 라인(210) 조각의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안 인쇄물은 상기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되는 이미지 뒤에 기 설정된 투명도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현 영역 또는 잠상 영역에 그라데이션 영역을 형성하여 보안 인쇄물에서 잠상부의 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의 원본 이미지이다.
도 3은 중간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는 최종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서 B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A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도 7은 도 4에서 H 영역을 확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기의 방법은 프로세서 상에서 동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원본 이미지 파일이 준비될 수 있다(S1). 도 2는 원본 이미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원본 이미지은 전체 이미지 영역(1000)을 가질 수 있다. 전체 이미지 영역은 기 설정된 단위의 좌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본 이미지는 여권 사진 또는 외국인등록증 사진일 수 있다. 원본 이미지 파일은 기 설정된 파일 형식에 따를 수 있다.
그리고, 원본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S2). 감마 보정은 이미지의 밝기를 높이거나 낮추는 방식으로 감마(Gamma)값을 조정하여 이미지의 대비는 그대로 가져가면서 전체적으로 이미지를 균등한 밝기로 조정하는 작업이다. 감마 보정은 레벨(Level)값 조정과 비슷한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흑인 또는 백인의 이미지 같은 경우 밝은쪽이나 어두운쪽 한쪽에 치우쳐져 있어 안면 인식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밝기를 균등하게 만들면서 대비되도록 조정하여 이미지 인식에 도움을 주게 하기 위해 원본 이미지에 대하여 감마 보정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S2를 통해 감마 보정이 진행된 원본 이미지에 대하여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S3). 히스토그램 평활화는 어두운색이나 밝은색 한쪽에 치우쳐진 이미지를 균등하게 퍼질 수 있도록 작업하고 선명도를 올려 이미지 인식력을 높이는 작업이다. 히스토그램 평활화는 대비(Contrast) 조정과 비슷한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국인등록증 이미지의 경우 해상도 낮은 이미지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아 얼굴이 희미한 경우에 윤곽이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비가 높을수록 잠상의 인식력이 향상되므로, 대비를 높여 패턴을 적용하기 위해 히스토그램 평활화가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히스토그램 평활화가 적용된 원본 이미지에 그라데이션 클리핑(Gradation Clipping)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S3). 그라데이션 클리핑을 통해, 도 3과 같은 중간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 클리핑 공정에서, 원본 이미지는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될 수 있고, 원본 이미지는 재현 영역(100)에 속하는 재현 라인(110)으로 클리핑되고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잠상 라인(210)으로 클리핑될 수 있다.
여기서, 재현 영역(100)은 제 1 방향(도 5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도 5에서 Y 방향)으로 배열되는 재현 라인(110)을 포함할 수 있다. 재현 라인(110)에서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구간은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잠상 영역(200)에 속하여 삭제된 재현 라인(110)의 구간은 공백 구간(100a)일 수 있다. 공백 구간(100a)은 재현 라인(110)과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재현 라인(110)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50㎛)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재현 라인(1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분리된 재현 라인(1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재현 라인(110) 조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재현 라인(110)의 조각 사이즈는 다양할 수 있다. 재현 라인(110)는 측부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재현 라인(1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재현라인(1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연장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재현 라인(11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재현 라인(110)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재현 라인(1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재현 라인(110) 조각의 단부를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재현 라인(1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연장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재현 라인(110) 조각의 단부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잠상 영역(200)은 제 1 방향(도 5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도 5에서 Y 방향)으로 배열되는 잠상 라인(210)을 포함할 수 있다. 잠상 라인(210)은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공백 구간(11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잠상 라인(210)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50㎛)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잠상 라인(2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분리된 잠상 라인(2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잠상 라인(210) 조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잠상 라인(210)의 조각 사이즈는 다양할 수 있다. 잠상 라인(210)는 측부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잠상라인(2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잠상 라인(2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연장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잠상라인(21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잠상 라인(210)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잠상 라인(2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잠상 라인(210) 조각의 단부를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잠상 라인(2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연장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잠상 라인(210) 조각의 단부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그라데이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에 의해, 원본 이미지가 시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잠상 영역(200)은 은폐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잠상의 은폐력을 높임과 동시에 원본 이미지가 끊기지 않고 육안으로 자연스럽게 인식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그리데이션 영역(G)의 중심에 있는 잠상 라인(210)은 편광필터에 의해 정확히 식별될 수 있다.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각각은 잠상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편광 필터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각각은 잠상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편광 필터의 골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믹싱 공정(S5)이 진행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을 형성한다고 하여도 기본적으로 전체 패턴이 제 2 방향으로 분리된 선 또는 제 1 방향으로 분리된 점선(달리 표현하면, 조각)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이미지에 끊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믹싱 공정에서, 중간 이미지 뒤에 기 설정된 투명도(예를 들어, 50%)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간 이미지 뒤에 배치되는 원본 이미지의 투명도는 S1 단계에서의 원본 이미지 보다 기 설정된 비율 만큼 투명도가 높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에 끊김 현상을 줄이는 것에 의해, 원본 이미지와의 차이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믹싱 공정이 적용된 최종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하, 중간 이미지 및 최종 이미지를 엔코디드 이미지(Encoded Image)로 통징한다.
엔코디드 이미지는 중간 이미지 만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엔코디드 이미지는 위와 같이 믹싱을 통해 중간 이미지와 투명도가 조절된 원본 이미지가 결합된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도 1의 프로세스는 전체 또는 일부가 생략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S1 내지 S5에서 S1, S2, S3, S5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프로세스는 순서를 달리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1 보다 S2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엔코디드 이미지는 고해상도의 인쇄기를 통해 인쇄되어 보안 인쇄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보안 인쇄물은 도 3 또는 도 4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안 인쇄물은 기재(미도시) 및 그 기재 위에 인쇄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의 모양 및 소재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쇄되는 이미지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은 보안력이 높게 요구되는 외국인 등록증 또는 여권에 적용될 수 있다. 기재 위에 인쇄되는 이미지는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되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재현 영역(100)은 제 1 방향(도 5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도 5에서 Y 방향)으로 배열되는 재현 라인(110)을 포함할 수 있다. 재현 라인(110)에서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구간은 삭제될 수 있다. 여기서, 잠상 영역(200)에 속하여 삭제된 재현 라인(110)의 구간은 공백 구간(100a)일 수 있다.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재현 라인(110)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50㎛)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재현 라인(1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분리된 재현 라인(1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재현 라인(110) 조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재현 라인(110)의 조각 사이즈는 다양할 수 있다. 재현 라인(110)는 측부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재현 라인(1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재현라인(1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연장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재현 라인(11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재현 라인(110)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재현 라인(1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재현 라인(110) 조각의 단부를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재현 라인(1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연장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재현 라인(110) 조각의 단부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잠상 영역(200)은 제 1 방향(도 5에서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도 5에서 Y 방향)으로 배열되는 잠상 라인(210)을 포함할 수 있다. 잠상 라인(210)은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공백 구간(110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잠상 라인(210)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50㎛)로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잠상 라인(2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분리된 잠상 라인(2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잠상 라인(210) 조각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잠상 라인(210)의 조각 사이즈는 다양할 수 있다. 잠상 라인(210)는 측부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잠상라인(2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잠상 라인(2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된 영역일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연장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잠상라인(210)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잠상 라인(210)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잠상 라인(2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잠상 라인(210) 조각의 단부를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잠상 라인(2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연장되는 방향에서 이웃하는 잠상 라인(210) 조각의 단부와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에 의해, 원본 이미지가 시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잠상 영역(200)은 은폐될 수 있다. 그라데이션 영역(G)은 잠상의 은폐력을 높임과 동시에 원본 이미지가 끊기지 않고 육안으로 자연스럽게 인식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그리데이션 영역(G)의 중심에 있는 잠상 라인(210)은 편광필터에 의해 정확히 식별될 수 있다.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각각은 잠상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편광 필터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각각은 잠상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편광 필터의 골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잠상 라인(210)은 이웃하는 재현 라인(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편광 필터를 제 2 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육안으로 편광 필터를 통해, 재현 라인(110)에 의한 이미지 또는 잠상 라인(210)에 의한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다.
이때, 보안 인쇄물은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되는 이미지 뒤에 기 설정된 투명도(예를 들어, 50%)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재현 영역(100)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재현 라인(110)이 있고 잠상 영역(200)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잠상 라인(210)이 있다. 기 설정된 투명도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는 이웃하는 재현 라인(110) 사이의 공백 영역에서 원본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연장되게 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투명도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는 이웃하는 잠상 라인(210) 사이의 공백 영역에서 원본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연장되게 할 수 있다.
재현 영역(100)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재현 라인(110) 조각이 있고 잠상 영역(200)에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는 잠상 라인(210) 조각이 있다. 기 설정된 투명도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는 이웃하는 재현 라인(110) 조각 사이의 공백 영역에서 원본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연장되게 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투명도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는 이웃하는 잠상 라인(210) 조각 사이의 공백 영역에서 원본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연장되게 할 수 있다.
1 : 원본 이미지
2 : 중간 이미지
3 : 최종 이미지
100 : 재현 영역
110 : 재현 라인
110a : 공백 구간
200 : 잠상 영역
210 : 잠상 라인
G : 그라데이션 영역

Claims (20)

  1. 원본 이미지를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중간 이미지를 생성하는 그라데이션 클리핑 단계; 및
    상기 그라데이션 클리핑 단계에서 이용된 원본 이미지 보다 기 설정된 비율 만큼 투명도가 높은 원본 이미지를 중간 이미지 뒤에 배치시키는 믹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데이션 클리핑 단계를 통해, 원본 이미지는 재현 영역(100)에 속하는 재현 라인(110)으로 클리핑되고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잠상 라인(210)으로 클리핑되며,
    상기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라데이션 영역(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영역(100)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재현 라인(110)을 포함하고,
    상기 재현 라인(110)에서 상기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구간은 삭제되고,
    상기 잠상 영역(200)에 속하여 삭제된 재현 라인(110)의 구간은 공백 구간(100a)이며,
    상기 잠상 라인(210)은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공백 구간(110a)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백 구간(100a)은 상기 재현 라인(110)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라인(1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재현 라인(1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분리된 재현 라인(110) 조각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라인(2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잠상 라인(2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분리된 잠상 라인(210) 조각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영역(G)은 상기 재현 라인(1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재현 라인(1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영역(G)은 상기 잠상 라인(2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잠상 라인(2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라인(1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지고,
    상기 재현 라인(110) 조각의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라인(2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지고,
    상기 잠상 라인(210) 조각의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10. 삭제
  11. 기재; 및
    상기 기재 위에 인쇄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는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되는 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재현 영역(100)은 재현 라인(110)을 포함하고,
    상기 잠상 영역(200)은 잠상 라인(210)을 포함하고,
    상기 재현 라인(110) 및 잠상 라인(210) 중 적어도 하나는 그라데이션 영역(G)을 포함하고,
    상기 재현 영역(100)과 잠상 영역(200)으로 분리되는 이미지 뒤에 상기 이미지 보다 높은 투명도를 가지는 원본 이미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영역(100)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배열되는 재현 라인(110)을 포함하고,
    상기 재현 라인(110)에서 상기 잠상 영역(200)에 속하는 구간은 삭제되고,
    상기 잠상 영역(200)에 속하여 삭제된 재현 라인(110)의 구간은 공백 구간(100a)이며,
    상기 잠상 라인(210)은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이웃하는 공백 구간(110a)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백 구간(100a)은 상기 재현 라인(110)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라인(1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재현 라인(1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분리된 재현 라인(110) 조각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라인(210)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잠상 라인(210)의 조각은 제 1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분리된 잠상 라인(210) 조각은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영역(G)은 상기 재현 라인(1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재현 라인(1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 영역(G)은 상기 잠상 라인(210)의 측부를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상기 잠상 라인(210)의 투명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재현 라인(1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지고,
    상기 재현 라인(110) 조각의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 라인(210) 조각은 양측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그라데이션 영역(G)을 가지고,
    상기 잠상 라인(210) 조각의 그라데이션 영역(G)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투명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인쇄물.
  20. 삭제
KR1020220137255A 2022-10-24 2022-10-24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KR102539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255A KR102539881B1 (ko) 2022-10-24 2022-10-24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255A KR102539881B1 (ko) 2022-10-24 2022-10-24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881B1 true KR102539881B1 (ko) 2023-06-02

Family

ID=86755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255A KR102539881B1 (ko) 2022-10-24 2022-10-24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8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5893A (ko) * 2005-12-05 2008-08-19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보안화 이미지 형성 방법
JP4377532B2 (ja) * 2000-07-11 2009-1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潜像表示媒体、潜像表示媒体の製造方法
KR20170128891A (ko) * 2016-05-16 2017-11-24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KR20190021658A (ko) 2017-08-23 2019-03-06 한국조폐공사 메탈릭 컬러 요판잉크를 사용하는 보안인쇄물
KR20220051968A (ko) 2020-10-20 2022-04-27 한국조폐공사 흰색 보안 패턴을 가지는 보안 인쇄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7532B2 (ja) * 2000-07-11 2009-1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潜像表示媒体、潜像表示媒体の製造方法
KR20080075893A (ko) * 2005-12-05 2008-08-19 커먼웰쓰 사이언티픽 앤드 인더스트리얼 리서치 오가니제이션 보안화 이미지 형성 방법
KR20170128891A (ko) * 2016-05-16 2017-11-24 한국조폐공사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KR20190021658A (ko) 2017-08-23 2019-03-06 한국조폐공사 메탈릭 컬러 요판잉크를 사용하는 보안인쇄물
KR20220051968A (ko) 2020-10-20 2022-04-27 한국조폐공사 흰색 보안 패턴을 가지는 보안 인쇄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2054B2 (ja) 光沢差のある画像をシミュレート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A2112641C (en) Varying tone security document
US20070133059A1 (en) Security document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halftone dots that contain microscopic images
KR101802808B1 (ko)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JP6976527B1 (ja) 潜像印刷物
US20080134920A1 (en) Security Element and Printing Method
MX2008014176A (es) Medios de impresion con seguridad mejorada con proteccion contra duplicacion.
KR101468412B1 (ko) 위조 방지용 인쇄물 및 그에 대한 위조 여부 확인 방법
US7856140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computer and printing system for trapping image data
JP4380107B2 (ja) コピー偽造防止用紙及びこのコピー偽造防止用紙を用いた有価証券類
KR102539881B1 (ko) 보안 인쇄물 및 보안 인쇄 대상 이미지의 엔코딩 방법
US11317001B2 (en) Anti-counterfeiting printed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350081B1 (ko) 색조합을 이용한 개량형 보안 인쇄 구조
EP3678871B1 (en) Full color, digitally printed copy evident documents
EP3686027B1 (de) Verfahren zum drucken von authentifizierungskennzeichen mit einem amplitudenmodulierten rasterdruck
KR102340035B1 (ko) 위조방지 기능을 가진 디지털 보안용지 제조장치
KR102402655B1 (ko) 위조방지 인쇄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4017568A (ja) 潜像印刷物及びその作成方法
JP2008221691A (ja) 網点印刷物及びその印刷方法
JP2009154364A (ja) 偽造防止印刷物
WO2022101355A1 (de) Verfahren zum drucken und erkennen von authentifizierungskennzeichen mit einem amplitudenmodulierten rasterdruck
Scarborough et al. Techniques for digital enhancement of latent prints obscured by disruptive backgrounds
Kuznetsov et al. The processing of fine detail for digital halftone 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