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468B1 -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468B1
KR102274468B1 KR1020210055027A KR20210055027A KR102274468B1 KR 102274468 B1 KR102274468 B1 KR 102274468B1 KR 1020210055027 A KR1020210055027 A KR 1020210055027A KR 20210055027 A KR20210055027 A KR 20210055027A KR 102274468 B1 KR102274468 B1 KR 102274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cine
refrigerant
housing
lower housing
auxiliar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한
Original Assignee
(주)다솔닷아이엔씨
김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솔닷아이엔씨, 김규한 filed Critical (주)다솔닷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5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provided with liquid material between doub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61J1/165Cooled holders, e.g. for medications, insulin, blood,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1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liquefied gases, e.g. liquid air
    • F25D3/105Movable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 하부하우징의 이중 격벽 안에 냉매가 충입된 냉매파이프를 설치하여, 이 냉매파이프에 의해 상, 하부하우징의 백신 보관 공간이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하부하우징의 가이드벽 사이에 수용된 백신을 정렬장치로 가압하여, 상부하우징의 보조도어 직하방에 백신이 위치되도록 하되, 이때, 보조도어를 개방하여 하부하우징 내에 수용된 백신을 인출하면, 정렬장치가 가이드벽 사이에 수용된 백신을 보조도어 방향으로 밀어내어, 보조도어 직하방에 백신이 순차적으로 자동 위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부하우징의 이중 격벽 내에 냉매 파이프가 설치되어, 이 냉매 파이프에 저장된 냉매에 의해 백신 보관공간 내의 온도가 극저온 상태로 변화되고, 이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백신 보관공간 내에 백신을 저장하여, 안전하게 보관 할 수 있으며, 수분이나 외부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백신을 안전하게 보관되고, 온도계와 압력계를 이용하여 백신 보관공간과 냉매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보조도어를 통해 백신 보관공간 내의 백신을 독립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보조도어를 통해 백신 인출시 정렬장치가 백신을 보조도어 방향으로 밀어내어, 보조도어 직하방에 백신이 자동 위치되고, 외기 유입 방지로 백신 보관공간 내의 온도가 극저온 상태로 유지된다.

Description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Vaccine cold storage equipment with vaccine alignment function}
본 발명은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조도어를 통해 하부하우징 내에 수용된 백신을 인출함에 따라, 하부하우징의 가이드벽 사이에 수용된 백신이 정렬장치에 밀려 보조도어 직하방에 순차적으로 자동 위치되는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는 포유류와 조류에서 호흡기질환, 소화기 질환, 간질환, 뇌질환 등을 일으키는 RNA 바이러스이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에 속하는 바이러스 중에서 돼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TGEV,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와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는 매우 전염성이 높은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위장관 소화기계통에 침입하여 구토, 설사로 인한 탈수와 고열을 일으키며 치사율도 높아서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바이러스이다.
이들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매우 높음에도 다른 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질병처럼 치료제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백신개발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효율성이 떨어지는 실정이다.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 virus disease 2019, COVID-19) 또는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Corona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초기에는 원인을 알 수 없는 호흡기 전염병으로만 알려졌으나, 세계보건기구(WHO)가 2020년 1월 9일 해당 폐렴의 원인이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 2월 11일 명명)라고 밝히면서 병원체가 확인됐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의 병원체는 '사스-코로나 바이러스-2(SARS-CoV-2)'이다. 국제바이러스분류위원회(ICTV)는 2020년 2월 11일 코로나-19의 병원체에 SARS-CoV-2라는 이름을 제안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위원회는 이 바이러스가 2003년 유행한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비슷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는 중국이 학계를 통해 공개한 해당 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입수해 분석한 결과 박쥐 유래 유사 코로나 바이러스와 가장 높은 상동성(89.1%)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 4종과의 상동성은 39%~43%로 낮았으며, 메르스와는 50%, 사스와는 77.5%의 상동성을 확인하였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질환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감염에 의한 호흡기 증후군이라 정의되고 있으며, 질병 분류는 법정감염병 제1급감염병 신종 감염병증후군 및 질병 코드는 U07.1이다.
병원체는 SARS-CoV-2로써 Corona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이고, 전파 경로는 현재까지 비말(침방울), 접촉을 통한 전파로 알려졌다. 따라서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을 통한 전파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건을 만진 뒤 눈, 코, 입을 만짐으로써 전파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전 세계 치명률은 평균 약 3.4%(WHO, 3.5 기준)로 알려졌으나,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감염자의 6%가 사망자로 등록될 만큼 국가별·연령별 치명률 수준은 매우 상이하며, 고령,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주로 중증 및 사망을 초래한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단쇄 양성가닥(single positive strand)의 나선형 구조(helical structure)를 가지는 RNA 바이러스로써 총 5개의 구조 단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spike glycoprotein(S protein)에 의해 전자현미경 상에서 마치 왕관이나 후광이 있는 것처럼 관찰된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27-34K B로 현존하는 RNA 바이러스 중 제일 큰 것으로 알려졌으며, 알파, 베타, 델타, 감마의 4군으로 세분화되어 있고, 이중 베타군이 전염성과 병독성이 높다고 알려졌다. SARS-CoV-2는 표면에 존재하는 S protein이 숙주 세포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ACE2)에 결합하면서 침입하며, ACE2는 구강과 비강 점막, 비인두, 폐, 위, 소장, 대장 등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 바이러스성 폐렴 소견이 관찰되는 특징이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1~14일(평균 4~7일)이고, 진단 기준으로는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의 검체에서 바이러스 분리 또는 검체에서 특이 유전자를 검출하여 진단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의 증상으로는 발열, 권태감, 기침, 호흡곤란 및 폐렴 등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호흡기감염증이 나타나며, 그 외 가래, 인후통, 두통, 객혈과 오심, 설사 등도 나타난다. 현재 수액 보충, 해열제 등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것 외에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가 없는 것이 현실이며,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SARS-CoV-2에 대한 항체가 있더라도 재감염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질병 감염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는 증거가 없다고 발표하여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계기가 되었다.
백신이 적절한 효과를 내는 보관 온도는 백신마다 다르다. WHO는 민감성에 따라 백신을 A∼F까지 6개 그룹으로 나누고 있다. 먹는 소아마비 백신은 온도 변화에 가장 잘 견디는 A그룹에, 인플루엔자도 비교적 온도 내성이 강한 B그룹에 속한다. 반면, B형 간염이나 폐렴구균 백신은 온도에 매우 민감한 F그룹에, 일본뇌염 역시 상당히 민감한 E그룹에 속한다. 그 외에 빛에 민감한 홍역이나 BCG 등 일부 백신의 경우 빛이 통과하지 않는 어두운 시약병에 담아 유통해야 한다.
이 중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화이자가 공동 개발한 핵산(m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은 영하 94도, 그리고 미국 모더나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은 영하 20도에서 보관해야 한다. RNA 자체도 불안정하지만 함께 들어가는 보조제가 불안정해 매우 낮은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바이러스가 단백질 등 생체물질을 이용하는 백신은 온도에 민감해서 아무리 효율이 높은 백신이라도 유통과정에서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면 효능이 사라진다. WHO에 따르면, 유통과정 중 온도를 제대로 지키지 못해 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백신이 최대 50%에 육박한다.
종전의 백신 저온 보관장치는 극저온 장치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대폭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백신을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이 백신 저온 보관장치를 개방하게 되면, 외기가 백신 저온 보관장치로 인입되면서, 백신의 온도 변화가 발생되어, 백신의 효력이 상실되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6877호(공개일자: 2016년 09월 1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 하부하우징의 이중 격벽 안에 냉매가 충입된 냉매파이프를 설치하여, 이 냉매파이프에 의해 상, 하부하우징의 백신 보관 공간이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하부하우징의 가이드벽 사이에 수용된 백신을 정렬장치로 가압하여, 상부하우징의 보조도어 직하방에 백신이 위치되도록 하되, 이때, 보조도어를 개방하여 하부하우징 내에 수용된 백신을 인출하면, 정렬장치가 가이드벽 사이에 수용된 백신을 보조도어 방향으로 밀어내어, 보조도어 직하방에 백신이 순차적으로 자동 위치되는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는, 이중 격벽으로 구성되어 이중 격벽 사이에 하부누출방지 공간을 형성하고, 그 내측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되어 백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벽을 형성한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백신 보관공간을 형성하며, 이중 격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중 격벽 사이에 상부누출방지 공간을 형성하고, 상면 일측에 상기 백신 보관공간과 연통되도록 개폐되어, 상기 가이드벽을 따라 이동된 상기 하부 하우징 내의 백신의 인출을 허용하는 보조도어를 형성한 상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후면에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하우징의 정면 및 양 측면을 로킹하는 클램핑 유닛; 상기 상, 하부하우징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실링부재; 이중 격벽의 상기 상, 하부누출방지 공간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냉매를 충입하는 냉매 파이프; 상기 냉매 파이프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 내부로 냉매를 충입하는 냉매 주입용 밸브; 상기 냉매 파이프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 내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 배출용 밸브;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벽 사이로 삽입된 백신의 외면을 일 방향으로 누름 가압하여, 상기 백신이 상기 상부 하우징의 보조도어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백신을 일렬 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렬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은, 상면에 상기 백신 보관공간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와, 상기 냉매 파이프 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와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와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가 상기 하부 하우징의 하면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제2밸브 안착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하우징은, 그 외면이 원형, 도넛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하우징은, 서로 마주보는 상, 하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한 쌍의 개폐 감지용 접점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장치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된 탄성스프링과; 판재 형상으로, 상기 탄성스프링 말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부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기 백신을 상기 상부하우징의 보조도어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패널; 상기 탄성스프링과 반대되는 상기 하부하우징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패널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의 보조도어 직하방에 위치되는 상기 백신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렬장치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스프링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과 일체로 압축 및 팽창 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 내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탄성스프링이 상, 하 및 좌, 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포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부하우징의 이중 격벽 내에 냉매 파이프가 설치되어, 이 냉매 파이프에 저장된 냉매에 의해 백신 보관공간 내의 온도가 극저온 상태로 변화되고, 이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백신 보관공간 내에 백신을 저장하여, 안전하게 보관 할 수 있으며, 수분이나 외부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백신을 안전하게 보관되고, 온도계와 압력계를 이용하여 백신 보관공간과 냉매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보조도어를 통해 백신 보관공간 내의 백신을 독립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보조도어를 통해 백신 인출시 정렬장치가 백신을 보조도어 방향으로 밀어내어, 보조도어 직하방에 백신이 자동 위치되고, 백신 인출을 위해 상, 하부하우징 개폐가 불필요하여, 백신 보관공간 내로 외기가 유입될 우려가 없으며, 또한, 외기 유입 방지로 백신 보관공간 내의 온도가 극저온 상태로 유지되어, 백신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보관할 수 있고, 냉매 압력 정보를 사용자에 알려 줌으로써, 백신 보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의 상부하우징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의 냉매파이프를 투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의 A-A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의 하부하우징을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의 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의 에어포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의 에어포켓의 다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12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100)은 이중 격벽으로 구성되어 이중 격벽 사이에 하부누출방지 공간(101)을 형성하고, 그 내측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되어 백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벽(102)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00)은 바닥면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하우징(100)은 상기 상부하우징(200)과 상, 하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3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하부하우징(100)은 상기 상부하우징(200)과 결합되어, 그 내부 공간에 백신 보관공간(10)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하우징(100)은 내측 바닥면에 안착시트(100a)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시트(100a)에 백신(V)이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100)은 냉매에 의한 저온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SUS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벽(102)은 그 내측에 백신(V)을 수용하여, 이 백신(V)이 상기 정렬장치(800)에 밀려 정렬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벽(102)의 말단은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와 동일 수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하면에는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와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와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가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밸브안착부(103)를 더 형성한다.
상기 제1밸브안착부(103)는 상기 냉매주입용 밸브(710) 및 냉매 배출용 밸브(720)의 하단이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하면과 동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냉매주입용밸브(710) 및 냉매 배출용 밸브(720)의 삽입을 허용한다.
상기 하부 하우징(100)은 그 외면이 원형, 도넛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누출방지 공간(101)은 그 내부에 냉매 파이프(600)를 수용하여, 상기 냉매 파이프(600)에서 냉매가 누출되는 경우, 냉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 하우징(200)은 상기 하부 하우징(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백신 보관공간(10)을 형성하며, 이중 격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중 격벽 사이에 상부누출방지 공간(201)을 형성하고, 상면 일측에 상기 백신 보관공간(10)과 연통되도록 개폐되어, 상기 가이드벽(102)을 따라 이동된 상기 하부 하우징(100) 내의 백신의 인출을 허용하는 보조도어(202)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하우징(200)은 상기 하부하우징(100)과 상, 하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부(3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하우징(200)은 상기 하부하우징(100)으로 부터 힌지부(300)에 의해 상방향으로 회전 개방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백신(V)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상기 상부하우징(200)은 냉매에 의한 저온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SUS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보조도어(202)는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백신 보관공간(V)과 연통되는 인출공(202a)을 밀폐하거나 혹은 개방한다.
상기 인출공(202a)은 상기 백신(V)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혹은 상기 백신(V)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백신(V)의 인출을 허용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와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와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가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밸브안착부(203)를 더 형성한다.
상기 제1밸브안착부(103)는 상기 냉매주입용 밸브(710) 및 냉매 배출용 밸브(720)의 상단이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상면과 동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냉매주입용밸브(710) 및 냉매 배출용 밸브(720)의 삽입을 허용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0)은 그 외면이 상기 하부 하우징(100)에 대응하도록 원형, 도넛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누출방지 공간(201)은 그 내부에 냉매 파이프(600)를 수용하여, 상기 냉매 파이프(600)에서 냉매가 누출되는 경우, 냉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0)은 상면에 상기 백신 보관공간(10)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200a)와, 상기 냉매 파이프(600) 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200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계(200a)는 백신 보관공간(10) 내의 온도를 표시하기 위하여 백신 보관공간(10)과 연결되어, 외부에서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의 온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계(200b)는 냉매 파이프(600)의 압력을 표시하기 위하여 냉매 파이프(600)와 연결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600) 내의 압력을 표시한다.
힌지부(30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0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힌지부(300)는 상부 하우징(200)을 회동시켜서 백신 보관공간(10)을 개폐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재질은 저온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알루미늄이나 SUS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클램핑 유닛(400)은 상기 하부 하우징(100)과 상기 상부 하우징(2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정면 및 양 측면을 로킹한다.
상기 클램핑 유닛(400)은 후크(401)와 걸림돌기(402)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핑 유닛(400)은 상기 후크(401)를 걸림돌기(402)에 걸어 당겨서 밀착함으로써, 로킹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공지공용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후크(401)는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정면 및 양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돌기(402)는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정면 및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재(500)는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 사이의 틈새를 마감한다.
상기 실링부재(500)는 실리콘 재질이나 러버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상, 하부 하우징(200, 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 하부하우징(200, 100) 사이에 압착되어, 상기 상, 하부 하우징(200, 100) 사이를 통해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냉매 파이프(600)는 이중 격벽의 상기 상, 하부누출방지 공간(201, 101)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냉매를 충입한다.
상기 냉매 파이프(600)는 그 단면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매 파이프(600)는 그 배열 방식이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의 배열 형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냉매 파이프(600)에 충입되는 냉매는 액체 헬륨가스를 사용할 수 있고, 이 헬륨은 원자들 사이에 인력이 약하기 때문에 상온에서는 기체로 존재하고, 절대영도에 가까운 온도에서 액화되기 시작하며, 끓는 점은 약 4K (= -268℃, 1기압 기준)인데, 증발을 이용하면 원자핵에 중성자가 둘인 헬륨-4는 1.8K, 중성자가 하나인 헬륨-3은 0.4K까지 물질을 냉각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액체질소와 함께 냉매로서 저온에서 물질로 사용된다.
상기 냉매 파이프(600)는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로 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그 내부에 냉매를 충입한다.
상기 냉매 파이프(600)는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를 통해 냉매를 외부로 배출한다.
냉매 주입용 밸브(710)는 상기 냉매 파이프(600)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600) 내부로 냉매를 충입한다.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는 체크밸브로서, 일명 퀵 커플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는 냉매 파이프(600) 안으로 냉매를 주입하는 경우 사용하는 밸브이다.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는 상기 제1, 제2밸브안착부(103, 203)로 삽입되어,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상, 하면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냉매 배출용 밸브(720)는 상기 냉매 파이프(600)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600) 내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는 냉매 파이프(600) 내에 수용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냉매 파이프(600)의 타단에 설치된다.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는 체크밸브로서, 일명 퀵 커플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는 냉매 파이프(600) 안에 수용된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사용하는 밸브이다.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는 상기 제1, 제2밸브 안착부(103, 203)로 삽입되어,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상, 하면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정렬장치(800)는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벽(102) 사이로 삽입된 백신(V)의 외면을 일 방향으로 누름 가압하여, 상기 백신(V이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백신(V)을 일렬 방향으로 정렬한다.
상기 정렬장치(800)는 상기 보조도어(202)를 통해 상기 백신(V)이 인출되면, 상기 백신(V)을 상기 보조도어(202) 방향으로 누름 가압하여, 일렬로 정렬된 상기 백신이 상기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순차적으로 위치되도록 강제한다.
상기 정렬장치(800)는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된 탄성스프링(801)과, 판재 형상으로, 상기 탄성스프링(801) 말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상기 백신을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패널(802) 및 상기 탄성스프링(801)과 반대되는 상기 하부하우징(100)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패널(802)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위치되는 상기 백신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부(803)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스프링(801)은 상기 하부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상기 백신(V)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가압패널(802)을 가압한다.
상기 탄성스프링(801)은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가압패널(802)을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렬장치(800)는 내부에 공기층(804a)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스프링(801)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801)과 일체로 압축 및 팽창 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801) 내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탄성스프링(801)이 상, 하 및 좌, 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포켓(80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포켓(804)은 그 내부의 공기층(804a)에 전체 면적 대비 70%비율의 공기를 내장하여, 압축되는 상기 탄성스프링(801)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801)의 압축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탄성스프링(801)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에어포켓(804)은 그 외면에 복수개의 공기출입공(804b)을 형성하고, 이 공기출입공(804b)을 통해 상기 공기층(804a) 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공기층(804a) 내로 공기가 인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801)과 일체로 압축 및 팽창되어 상기 탄성스프링(801)의 내주면을 지지한다.
상기 가압패널(802)은 상기 백신(V) 누름 가압시, 이 백신(V)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부(803)는 상기 가압패널(802)에 의해 상기 하부하우징(100) 일단으로 이동하는 백신(V)이 상기 하부하우징(100) 벽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백신(V)이 상기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개폐 감지용 접점센서(9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상, 하부 하우징(200, 100)의 서로 마주보는 상, 하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00)과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개폐 감지용 접점센서(900)는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에 의해 서로 맞닿아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밀폐신호를 외부의 기기로 출력한다.
상기 개폐 감지용 접점센서(900)는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 개방시 서로 단락되어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개방신호를 외부의 기기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제1, 제2밸브 안착부(103, 203)에 설치된 상기 냉매 주입용밸브(710)를 통해, 상기 상, 하부누츨방지 공간(201, 101) 내에 구비된 상기 냉매파이프(600) 내로 냉매를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냉매파이프(600) 내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냉매파이프(600)를 따라 순환 작동되면서 냉기를 발산하고, 이 냉기는 상기 상, 하부누출방지 공간(201, 101) 내에서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과 열교환 작용되면서,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을 냉각하여,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 내의 백신 보관공간(10)이 극저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냉매파이프(600) 내에서 냉매가 누출되면, 이 냉매는 상기 상, 하부누출방지 공간(201, 101)에 체류된 상태로, 상기 상, 하부누출방지 공간(201, 101) 내에서 차단되어 외부로 냉매가 누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하우징(200, 100) 사이를 연결하는 클램핑 유닛(400)의 후크(401)를 걸림돌기(402)에서 해제한 후, 상기 상부하우징(200)을 상기 힌지부(300)를 축으로 상방으로 회전 개방한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200)에 설치된 후크(401)를 상기 하부하우징(100)에 설치된 걸림돌기(402)로 부터 이탈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하우징(200)을 회전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개방에 의해 상기 하부하우징(100) 내의 백신 보관공간(10)이 노출되고, 이 노출된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백신 보관공간(10)으로 복수개의 백신(V)을 일렬되게 삽입한다.
즉, 상기 하부하우징(200) 내에 설치된 상기 정렬장치(800)를 상기 보조도어(20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되, 그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벽(102) 내로 복수개의 백신(V)을 일렬되게 삽입하여, 상기 가이드벽(102) 사이에 복수개의 백신(V)이 일렬로 정렬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정렬장치(800)의 가압패널(802)은 상기 가이드벽(102) 사이에 위치된 백신(V) 중 상기 보조도어(202)와 반대되는 선단의 상기 백신(V)에 밀착되어, 상기 백신(V)을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 방향으로 누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벽(102) 사이로 삽입되어 일렬로 정렬 배치되는 상기 백신(V)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상기 가압패널(802)이 상기 보조도어(20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801)을 압축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백신(V) 중 상기 가압패널(802)에 밀착되는 상기 백신(V)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어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위치되는 상기 백신(V)은, 그 외면이 상기 쿠션부(803)에 밀착되어, 상기 백신(V) 외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면,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가이드벽(102)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상기 백신(V)이 일렬로 정렬 배치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상부하우징(200)을 상기 힌지부(300)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이 서로 밀착 결합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400)의 후크(401)를 상기 걸림돌기(402)에 걸어 고정하면,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이 서로 밀착 고정되어, 극저온 상태의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에 상기 백신(V)이 안전하게 보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에 수용된 상기 백신(V)은 극저온 상태의 온도에 상응하도록 냉각되어, 이 백신(V)이 상온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에서 안전하게 보관된다.
이때,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 사이에 구비된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압착되면서,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여, 외기가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상기 상부하우징(200)이 상기 하부하우징(100) 상면에서 분리되면, 상기 개폐 감지용 접점센서(900)가 단락되면서,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분리 여부를 외부기기(예컨대, 디스플레이기기, 스마트폰)로 알림하여,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면에 설치된 온도계(200a)를 통해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의 온도를 확인하여,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의 온도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파이프(600)와 연결된 압력계(200b)를 통해 상기 냉매파이프(600) 내의 압력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계(200a) 및 압력계(200b)는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의 온도 및 상기 냉매파이프(600) 내의 압력 값을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기기(예컨대, 디스플레이, 스마트폰)를 통해 질병관리본부(예컨대, 병원기관)로 제공하여, 백심 보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계(200a) 및 상기 냉매파이프(600) 내의 압력이 비 정상인 경우에는, 상기 냉매파이프(600) 내에 충입된 냉매를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 후,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를 통해 상기 냉매파이프(600) 내로 냉매를 재 충입하여,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의 온도가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의 백신(V)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를 개방하여 상기 인출공(202a)을 형성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인출공(202a)을 통해 상기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위치된 상기 백신(V)을 파지하여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상기 백신(V)이 상기 상부하우징(200) 상면에 형성된 인출공(202a)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하우징(200) 상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가이드벽(102) 사이에서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위치된 상기 백신(V)이 인출되면, 상기 백신(V)이 인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때, 압축되어 있던 상기 탄성스프링(80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압패널(802)이 상기 백신(V)을 상기 보조도어(202) 방향으로 가압하여, 일렬로 정렬된 복수개의 상기 백신(V)이 상기 가압패널(802)에 밀려 일제히 상기 가이드벽(102)을 따라 상기 보조도어(202) 방향으로 수평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가압패널(802)에 밀려 이동하는 복수개의 상기 백신(V) 중 상기 가압패널(802)과 반대되는 후단에 위치된 상기 백신(V)은 상기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이동되면서, 그 외면이 상기 쿠션부(803)에 충돌되어 상기 백신(V)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탄성스프링(801)은 그 내부에 에어포켓(804)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포켓(804)이 상기 탄성스프링(801)과 일체로 압축 및 팽창 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801) 내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탄성스프링(801)이 압축 및 팽창되는 과정에서 좌, 우 및 상, 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포켓(804)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에어포켓(804)이 2가지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일단, 상기 에어포켓(804)은 그 내부의 공간층(804a) 전체면적 대비 70%비율의 공기를 내장하여, 압축되는 상기 탄성스프링(801)에 의해 상기 탄성스프링(801)의 압축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으로 팽창되어 상기 탄성스프링(801) 내주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에어포켓(804)은 원상태로 복원되는 상기 탄성스프링(801)에 의해 그 압입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801)의 내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탄성스프링(80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예로, 상기 에어포켓(804)은 그 외면에 복수개의 공기출입공(804b을 형성하고, 이 공기출입공(804b)을 통해 상기 공기층(804a) 내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공기층(804a) 내로 공기가 인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801)과 일체로 압축 및 팽창되어 상기 탄성스프링(801)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로 상기 인출공(202a)을 밀폐하여, 상기 백신 보관공간(10)이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백신 보관공간(10)의 극저온 상태가 유지되고,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인출공(202a)을 통해 상기 백신(V)을 순차적으로 인출함으로써, 상기 백신(V)이 상기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자동 정렬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상기 냉매파이프(600)로 냉매를 공급한 후, 상기 상부하우징(200)을 개방하여 상기 백신 보관공간(10) 내에 백신(V)을 수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백신 보관공간(10)에 백신(V)을 수용하고, 상기 냉매파이프(600)에 냉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보조도어(202)를 통해 하부하우징(100) 내의 백신(V)을 독립적으로 인출하여, 하부하우징(100) 내의 백신(V)이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자동 위치되도록 하는 구조는,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이중 격벽 내에 냉매 파이프(600)가 설치되어, 이 냉매 파이프(600)에 저장된 냉매에 의해 백신 보관공간(10) 내의 온도가 극저온 상태로 변화되고, 이 극저온 상태를 유지하는 백신 보관공간(10) 내에 백신을 저장하여, 안전하게 보관 할 수 있으며, 수분이나 외부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백신을 안전하게 보관되고, 온도계(200a)와 압력계(200b)를 이용하여 백신 보관공간(10)과 냉매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보조도어(202)를 통해 백신 보관공간(10) 내의 백신(V)을 독립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보조도어(202)를 통해 백신(V) 인출시 정렬장치(800)가 백신(V)을 보조도어(202) 방향으로 밀어내어,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백신(V)이 자동 위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백신 보관공간 100 : 하부 하우징
100a : 안착시트 101 : 하부누출방지 공간
102 : 가이드벽 103 : 제1밸브 안착부
200 : 상부 하우징 200a : 온도계
200b : 압력계 201 : 상부누출방지 공간
202 : 보조도어 202a : 인출공
203 : 제2밸브 안착부 300 : 힌지부
400 : 클램핑 유닛 401 : 후크
402 : 걸림돌기 500 : 실링부재
600 : 냉매 파이프 710 : 냉매 주입용 밸브
720 : 냉매 배출용 밸브 800 : 정렬장치
801 : 탄성스프링 802 : 가압패널
803 : 쿠션부 804 : 에어포켓
804a : 공기층 804b : 공기출입공
900 : 개폐 감지용 접점센서

Claims (7)

  1. 이중 격벽으로 구성되어 이중 격벽 사이에 하부누출방지 공간(101)을 형성하고, 그 내측 바닥면에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연장 형성되어 백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벽(102)을 형성한 하부 하우징(10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백신 보관공간(10)을 형성하며, 이중 격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중 격벽 사이에 상부누출방지 공간(201)을 형성하고, 상면 일측에 상기 백신 보관공간(10)과 연통되도록 개폐되어, 상기 가이드벽(102)을 따라 이동된 상기 하부 하우징(100) 내의 백신의 인출을 허용하는 보조도어(202)를 형성한 상부 하우징(200);
    상기 상부 하우징(200)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20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힌지부(300);
    상기 하부 하우징(100)과 상기 상부 하우징(2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정면 및 양 측면을 로킹하는 클램핑 유닛(400);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되어, 상기 상, 하부하우징(200, 100) 사이의 틈새를 마감하는 실링부재(500);
    이중 격벽의 상기 상, 하부누출방지 공간(201, 101)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냉매를 충입하는 냉매 파이프(600);
    상기 냉매 파이프(600)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600) 내부로 냉매를 충입하는 냉매 주입용 밸브(710);
    상기 냉매 파이프(600)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냉매 파이프(600) 내의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매 배출용 밸브(720); 및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벽(102) 사이로 삽입된 백신의 외면을 일 방향으로 누름 가압하여, 상기 백신이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백신을 일렬 방향으로 정렬하는 정렬장치(800);
    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하면 및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상면에는,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와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어, 상기 냉매 주입용 밸브(710)와 상기 냉매 배출용 밸브(720)가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하면 및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제2밸브 안착부(103, 203)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200)은,
    상면에 상기 백신 보관공간(10)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계(200a)와, 상기 냉매 파이프(600) 내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20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하우징(200, 100)은,
    그 외면이 원형, 도넛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하우징(200, 100)은,
    서로 마주보는 상, 하면에 서로 대칭되게 한 쌍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00)과 상기 상부 하우징(2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한 쌍의 개폐 감지용 접점센서(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장치(800)는,
    상기 하부하우징(100)의 내벽면에 고정 설치된 탄성스프링(801)과;
    판재 형상으로, 상기 탄성스프링(801) 말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하부하우징(100) 내에 수용된 상기 백신을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패널(802);
    상기 탄성스프링(801)과 반대되는 상기 하부하우징(100)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패널(802)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200)의 보조도어(202) 직하방에 위치되는 상기 백신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쿠션부(80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장치(800)는,
    내부에 공기층(804a)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스프링(801)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탄성스프링(801)과 일체로 압축 및 팽창 되면서, 상기 탄성스프링(801) 내주면을 지지하여, 상기 탄성스프링(801)이 상, 하 및 좌, 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포켓(80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KR1020210055027A 2021-04-28 2021-04-28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KR10227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27A KR102274468B1 (ko) 2021-04-28 2021-04-28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027A KR102274468B1 (ko) 2021-04-28 2021-04-28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468B1 true KR102274468B1 (ko) 2021-07-08

Family

ID=7689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027A KR102274468B1 (ko) 2021-04-28 2021-04-28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4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873U (ja) * 1991-10-25 1993-11-22 株式会社セントラルユニ 小物品の保管及び払出し用収納カートリッジ
JPH06211294A (ja) * 1992-11-04 1994-08-02 Nippon Toreele Mobil Kk 蓄冷式冷凍冷蔵箱体
JP2002011072A (ja) * 2000-06-29 2002-01-15 Tosho Inc 薬品収納装置
KR20160106877A (ko) 2015-03-03 2016-09-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백신 운반용 기구
KR20170089623A (ko)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마크에이트 스마트 복약지도 케이스 및 그 관리방법
CN208453450U (zh) * 2018-05-29 2019-02-01 东莞益凯实业有限公司 一种分药盒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873U (ja) * 1991-10-25 1993-11-22 株式会社セントラルユニ 小物品の保管及び払出し用収納カートリッジ
JPH06211294A (ja) * 1992-11-04 1994-08-02 Nippon Toreele Mobil Kk 蓄冷式冷凍冷蔵箱体
JP2002011072A (ja) * 2000-06-29 2002-01-15 Tosho Inc 薬品収納装置
KR20160106877A (ko) 2015-03-03 2016-09-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백신 운반용 기구
KR20170089623A (ko)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마크에이트 스마트 복약지도 케이스 및 그 관리방법
CN208453450U (zh) * 2018-05-29 2019-02-01 东莞益凯实业有限公司 一种分药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934B1 (ko) 충격방지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Castro et al. Covid-19 and pregnancy: an overview
Liao et al. Analysis of vaginal delivery outcomes among pregnant women in Wuhan, Chin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hen et al. Epidemiology of autoimmune reactions induced by vaccination
Clark et al. Protective effect of WC3 vaccine against rotavirus diarrhea in infants during a predominantly serotype 1 rotavirus season
KR102264816B1 (ko) 백신 인출용 보조도어를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Rong-sheng et al. Epidemiology, treatment, and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of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a review
Fulton et al. Bovine viral diarrhea virus types 1 and 2 antibody response in calves receiving modified live virus or inactivated vaccines
Newcomer et al. Prevention of abortion in cattle following vaccination against bovine herpesvirus 1: A meta-analysis
Wesley et al. Infection with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stimulates an early gamma interferon response in the serum of pigs
KR102274468B1 (ko) 백신정렬 기능을 갖는 백신 저온 보관장치
KR102265331B1 (ko) 백신 저온 보관장치 및 그 백신 저온 보관방법
Shrestha et al.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 pediatric perspective
KR102264817B1 (ko) 백신 냉각 및 해동 기능을 갖는 백신 보관장치
Fulton et al. Humoral immune response and assessment of vaccine virus shedding in calves receiving modified live virus vaccines containing bovine herpesvirus‐1 and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1a
Senapathi et al. Perioperative management for cesarean section in COVID-19 patients
Barlough et al. Experimental inoculation of cats with human coronavirus 229E and subsequent challenge with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
Ogden et al. Fatal fungal endarteritis caused by Bipolaris spicifera following replacement of the aortic valve
Creisher et al. Adverse outcomes in SARS-CoV-2–infected pregnant mice are gestational age–dependent and resolve with antiviral treatment
Wiley et al. A 5-year evaluation of the adenoclone test for the rapid diagnosis of adenovirus from conjunctival swabs
Fung et al. Virulence of Klebsiella pneumoniae serotype K2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in K. pneumoniae liver abscess
Ahmed et al. Liver function tests; a marker of severity in Covid 19 patients
Karami et al. SARS-CoV-2 in brief: from virus to prevention
KR20220060269A (ko)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증 동시 진단키트
KR102658142B1 (ko)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