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8142B1 -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8142B1
KR102658142B1 KR1020210064327A KR20210064327A KR102658142B1 KR 102658142 B1 KR102658142 B1 KR 102658142B1 KR 1020210064327 A KR1020210064327 A KR 1020210064327A KR 20210064327 A KR20210064327 A KR 20210064327A KR 102658142 B1 KR102658142 B1 KR 102658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manned
box
sample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369A (ko
Inventor
정문성
Original Assignee
정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성 filed Critical 정문성
Priority to KR102021006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81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56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Vir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함체의 내부에서 전염성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위한 검체 채취 장비를 보관하여 설정된 기준의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검체 채취 장비를 인출하고, 체액이 묻은 검체(A)를 회수하여 자동으로 검사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10)와, 사용자 단말(4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식별코드의 요청이 접수되면 실시간으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에 송신하는 관리서버(20); 를 포함하고, 관리서버(20)는 무인 검사 장치(10)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40)에 송신하고, 양성 또는 재검이 필요한 사용자 단말(40)의 정보를 공공 기관 서버(30)에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10)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UNMANNED INSPECTION APPARATUS FOR INFECTIOUS VIRUS, UNMANNED INSPECTION SYSTEM USING THE UNMANNED INSPEC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염성 바이러스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대 및 현재까지 전염성 바이러스에 의해 피해가 발생 되고 있고, 이중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신종코로나바이러스(2019 novel Coronavirus, 2019-nCoV)는 2019년 12월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의 원인 바이러스로, 인체 감염 7개 코로나바이러스 중 하나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코·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지만 무증상 감염 사례도 드물게 나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1월 24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사스(SARS,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보다는 낮지만,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보다는 높은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본부의 보고에 따르면 신종코로나바이러스의 유전자 염기서열은 박쥐 유래 유사 코로나바이러스와 가장 높은 상동성(89.1%)을 보였으며, 메르스와는 50%, 사스와는 77.5%의 상동성이 나타났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알파(Alpha)·베타(Beta)·감마(Gamma)·델타(Delta) 등 4속(屬)으로 분류되는데, 신종코로나바이러스는 베타(Beta)군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인체 전염 코로나바이러스는 총 7종으로 HCoV 229E, HCoV NL63, HCoV OC43, HCoV HKU1, SARS-CoV, MERS-CoV, 2019-nCoV가 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신종 코로나 및 그 외 전염성 바이러스는 무엇보다도 조기 발견 후 격리하여 추가 감염자를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전염성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의 확진 여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검사 키트와 검사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신종코로나 확진 여부를 위한 판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Conventional PCR)과 염기서열분석 일치 여부와, 'Real Time PCR' 검사 방법이 제안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가 자가로 검사할 수 있는 자가 검사 방법도 제안되는 등, 보다 빠르게 검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검사방법 및 검사 장치등은 기본적으로 의료진의 문진과 검체체취 과정을 거친 뒤에 검사 기관으로 해당 검체가 전달되어야 한다. 또한, 자가 검사 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검사 후 그 결과를 공공기관과 공유하지 않게 된다.
즉, 종래의 전염성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의 검사 시스템은 의료진의 수작업이 필요함에 따라 의료진의 과중한 업무 부담과, 의료진의 감염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자가 검사의 경우에는 공공기관과의 정보공유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음에 따라 확진자의 조기 격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9196호(2020.05.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진의 업무 부담 및 감염 위험을 줄일 수 있고, 검사 결과에 대해 공공기관과 공유할 수 있어 확진자의 관리가 용이한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함체의 내부에서 전염성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위한 검체 채취 장비를 보관하여 설정된 기준의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검체 채취 장비를 인출하고, 체액이 묻은 검체를 회수하여 자동으로 검사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를 포함하고, 무인 검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력된 식별코드를 수신 및 기록하는 식별부와, 검체를 검사하여 음성 및 양성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와, 식별부 및 검사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범위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와, 보관된 검체의 수량과, 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출력하는 센서부 및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문진과, 검사 절차와 검사 결과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검사부는 함체의 내부에서 검체 채취 장비와, 식별코드가 인쇄되어 해당 검체의 정보를 기록하는 라벨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1박스와, 제1박스와 이격된 위치에서 함체의 내외부로 인출입 가능하고, 외부에서 수납된 검체를 내부로 이동시키는 제2박스와,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제1박스와 제2박스를 전후 방향으로 순차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함체의 내부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보관함으로서 제1박스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출로를 통하여 다단으로 적층된 검체 채취 장비를 제1박스로 순차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제2박스에 수납된 검체에 2차 시약을 투입하여 음성 또는 양성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수단과, 검사가 완료된 검체를 보관하는 보관수단 및 로봇암(Robot Arm)으로서 제2박스에 수용된 검체를 검사수단이 설정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검체 채취 장비는 검사 시약이 함유된 섬유 재질의 검사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 실시예의 무인 검사 장치와, 사용자 단말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식별코드의 요청이 접수되면 실시간으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관리서버는 무인 검사 장치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고, 양성 또는 재검이 필요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공공 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무인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전염성 바이러스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의료진의 업무 부담과 감염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검사 방식임에 따라 사용자들의 검사 예약과 같은 사전 절차를 줄일 수 있고, 검사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의 검사 결과에 대해 선택적으로 설정된 조건에 따라 공공기관에 공유할 수 있어 확진자 또는 의심 증상자에 대한 국가기관의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무인 검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무인 검사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식별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검사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S2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S200 단계에서 검체 회수 및 보관 과정을 간략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지만,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연결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 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의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노트북과 같이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한 장치로서 사용자의 소지 및 이동이 자유로운 모바일 단말에 해당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공공 기관 서버는 질병센터, 외무부, 도청, 구청, 동사무소, 보건소, 경찰청, 소방청,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청와대 또는 그외 공권력의 행사나 절차의 수행이 가능한 권한을 갖는 기관 또는 해당 기관들로부터 절차의 진행을 위임 받은 민간 기관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부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무인 검사 장치(10)와, 관리서버(20)와, 공공기관 서버와, 사용자 단말(40)과, 관리자 단말(5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40)은 ①관리서버(20)에 식별코드를 요청 및 수신하고, ③수신된 식별코드를 이용하여 무인 검사 장치(10)에 검사를 진행한다.
사용자 단말(40)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서 무인 검사 장치(10)와 관리서버(20) 및 공공기관 서버와 통신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40)은 관리서버(20)로부터 식별코드의 요청과 수신할 수 있고, 무인 검사 장치(10)에 식별코드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40)은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40)은 이와 같은 식별코드의 송수신과 메세지의 송수신 및 무인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공공 기관 서버(30) 및/또는 관리서버(20), 또는 공용 앱서버(예를 들면, App Store)로부터 제공 받을 수 있다.
무인 검사 장치(10)는 무인 기기로서 사용자에게 검체(A)를 채취할 수 있는 검사시료를 제공하고, ④제공된 검사 시료를 검사하여 그 결과를 관리서버(20) 및/또는 사용자 단말(40)에 송신한다. 그 상세 구성은 후술한다.
또한, 무인 검사 장치(10)는 검사 결과를 현장에서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40)에 직접 송신함도 가능하다.
관리서버(20)는 가입된 사용자 단말(40)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②사용자 단말(40)에 무인 검사 장치(10)용 식별코드를 생성 및 송신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요청이 접수될 때에 실시간으로 식별코드를 생성 및 송신하게 되며, 그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식별코드는 사용자 단말(40)의 신원 확인이 가능한 정보 또는 연락 가능한 정보와 연계될 수 있다. 식별코드는 복수의 문자 및/또는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OTP(One Time Password) 이거나, QR 코드 중 어느 하나 또는 OTP와 QR 코드가 조합될 수 있다.
즉, 관리서버(20)는 실시간으로 생성된 사용자 단말(40)의 식별코드 정보와 사용자 단말(40)의 신원 확인이 가능한 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무인 검사 장치(10)의 검사 결과에 따라 ⑤공공기관서버 및/또는 사용자 단말(40)에 검사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인 검사 장치(10)의 검사 기록 및 정보는 사용자 단말(40)의 식별코드로만 저장됨에 따라 타인에 의한 개인 정보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무인 검사 장치(10) 내에는 사용자 단말(40)의 검사 기록 정보(식별코드)가 저장되지 않거나 저장되는 기한을 제한할 수 있다.
공공기관 서버는 관리서버(20)의 검사 결과 및 사용자 단말(40)의 정보를 확인하여 ⑥사용자 단말(40)에 안내 메세지(예를 들면, 확진 여부, 격리 여부 또는 치료 센터 안내, 추가 검사)를 송신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50)은 관리서버(20)로부터 무인 검사 장치(10)의 검체(A) 수거 메세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수신된 메세지에 따라 검체(A)를 수거한다. ⑦수거된 검체(A)는 재검사 또는 폐기 가능한 공공기관/지정기관으로 배송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염성 바이러스의 검사 시스템은 무인 검사 장치(10)를 이용하여 의료진의 업무 부담 및 감염 위험도를 줄일 수 있었고, 횟수에 제한이 없는 식별코드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들의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공기관과의 정보 공유를 실현한 것이다.
이중 무인 검사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무인 검사 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무인 검사 장치(1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여기서 도 2는 PCR 검사 장치를 일예로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무인 검사 장치(10)는 컨트롤러(100)와, 식별부(200)와, 검사부(300)와, 디스플레이(400)와, 통신부(500)와, 온도 조절부(600)와, 센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위 구성들은 함체의 내외부에 설치된다.
컨트롤러(10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에 따라 검사 시약을 제공하고, 수거된 검체(A)의 검사결과를 관리서버(2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00)는 설정된 프로그래밍에 따라 디스플레이(400)를 사용방법 및 절차 및 그 외 설정된 사항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100)의 제어는 각 구성의 설명과 함께 설명한다.
식별부(20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식별부(2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식별부(200)는 스캐너(210)와, 기록수단(220)과 프린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21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40)에 출력된 QR코드를 스캔하여 설정된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기록수단(220)은 스캐너(210)에 의해 리딩된 사용자 단말(40)의 식별코드와 시간 등 검사 기록을 생성한다.
프린터(230)는, 예를 들면, 라벨 프린터(230)로서 기록수단(220)에서 기록된 식별코드가 포함된 검사기록을 접착성이 있는 라벨을 출력한다. 여기서 라벨은 사용자에게 제공되어 검체(A)에 부착할 수 있다. 즉, 라벨은 후술되는 검사 시약과 함께 사용자 단말(40)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식별부(200)는 블루투스, RFID 태그, NFC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모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모듈(240)은 블루투스, RFID, NFC와 같은 근거리 무선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40)에서 송신된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기록수단(220) 및 컨트롤러(100)에 출력한다. 따라서 기록수단(220) 및 프린터(230)는 근거리 무선 모듈(240)에 의해 수신된 식별코드를 라벨로 인쇄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100)는 위와 같은 식별코드 및 검사기록을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암호화된 식별정보는 별도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고, 설정 기준(예를 들면, 보관된 검체(A)의 인출 여부, 시간/기간/월/일/요일 중 어느 하나의 주기)에 따라 자동 삭제됨이 바람직하다.
검사부(300)는 사용자게에 검체(A)를 채취할 수 있는 검사 시약 및 장비를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검체(A)를 검사하여 양성 또는 음성, 재검사와 같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이하여 검사부(300)는 도 5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검사부(300)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사부(300)는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 구동수단(320)과, 공급수단(330), 이송수단(340), 검사수단(250) 및 보관수단(360)과, 살균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는 구동수단(320)에 의해 함체의 정면에서 인출입된다. 여기서 제1박스(311)는 공급수단(330)에서 공급된 검사 시약 및 장비(이하, 검체 채취 장비로 총칭함)를 외부로 인출시킨다.
여기서 검체 채취 장비는 예를 들면, 검사 시약이 함유된 섬유 재질의 시트(이하 검사 시트로 총칭함)일 수 있다. 검체(A)는 사용자의 비강 점막에 묻은 액체이거나, 목에서 채취 가능한 가래나 침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검사 시약이 함침된 검사 시트에 자신의 침이나 콧물, 가래를 묻히는 과정만으로 검체(A) 채취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검체 채취 장비는 설정된 재질 및 형상의 용기(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 시트는 용기(B) 내에서 오염 방지가 가능하도록 밀봉된 상태에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박스(311)는 상기와 같은 검체 채취 장비와 함께 프린터(230)에서 인쇄된 식별코드가 인쇄된 라벨을 인출시킴도 가능하다. 또는 라벨은 제1박스(311) 외에 별도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함도 가능하다.
라벨은 사용자가 용기(B)를 개방후에 검사 시트를 다시 용기(B)에 보관한 뒤에 해당 용기(B)에 부착시킨다. 라벨은 해당 검체(A)의 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서 향후 해당 검체(A)에 대한 재검사(정밀검사) 시에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박스(312)는 검체(A)를 함체의 내측으로 인입시킨다. 제2박스(312)는 컨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된 구동수단(320)에 의해 내측이 빈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하고, 이후 사용자가 집어넣은 검체(A)를 내부로 이동시킨다.
구동수단(320)은 컨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를 순차 작동시킨다. 여기서 구동수단(32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숫자로 구비되는 모터와 같은 장치로서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공급수단(330)은 컨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검체(A) 채취장비를 제1박스(311)로 공급한다. 여기서 공급수단(330)은, 함체의 내부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보관함으로서 제1박스(311)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출로를 통하여 다단으로 적층된 검체 채취 장비를 순차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공급수단(330)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장치를 적용함에 따라 그 기계적 구조 및 설명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송수단(340)은, 예를 들면, 로봇암(Robot Arm)으로서 제2박스(312)에 수용된 검체(A)를 검사수단(250)이 설정한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센서부(700)는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 내부의 검체 채취 장비 및 검체(A)의 적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100)는 센서부(7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400) 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안내 정보를 출력하고, 이송수단(340) 및 검사수단(250)을 제어할 수 있다.
검사수단(250)은 이송수단(340)에 의해 전달된 검체(A)를 검사한다. 검사방식은 바이러스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사수단(250)은 검사시트(검체)에 2차 시약을 투입하고, 그 반응을 확인하여 검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일예에 해당되는 것이며, 검사 대상 바이러스에 따라 다양한 검사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보관수단(360)은 검사 완료된 검체(A)를 용기(B)와 함께 보관한다. 예를 들면, 보관수단(360)은 냉동 가능한 탱크로서 검사수단(250)에 의해 검사 완료된 검체(A)를 설정된 온도로서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보관수단(360)은 개폐 가능한 도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보관수단(360)에서 보관된 검체(A)의 수량과,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00)에 출력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보관수단(360)에 보관된 검체(A)의 수량이 설정된 수량에 해당되면 관리서버(20)에 이를 송신하거나, 관리자 단말(50)에 직접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무인 검사 장치(10)는 검체(A)들 중에 양성 검체(A)가 포함되었을 경우 보관된 검체(A) 전부를 지정된 기관으로 이동하여 재검사 또는 폐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살균수단은 컨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를 살균한다. 예를 들면, 살균수단은 플라즈마, UV, 소독제 및 고온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가 함체 외부에서 내부에 이동된 이후, 또는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되기 직전, 또는 설정된 시간 주기 별로 소독한다.
온도 조절부(600)는 보관수단(360) 및 검사부(300)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서 유지한다. 예를 들면, 온도 조절부(600)는 다수의 송풍팬과 에어콘과 같은 냉기를 발생하는 다수의 장치와, 열기를 발생시키는 히터 및 이를 순환시키는 송풍팬과 같은 장치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즉, 온도 조절부(600)는 검체(A)가 냉동 보관될 수 있도록 보관수단(360)을 영하 이하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고, 공급수단(330)의 온도를 냉장 및/또는 설정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온도 조절부(600)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복수의 센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인 검사 장치(10)에서 전면에서 설정된 범위 이내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센서와, 공급수단(330) 및 보관수단(360)내의 수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 및/또는 적재 높이 감지 센서,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의 수납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전류센서, 압전센서 및/또는 광센서와, 함체 내부와 보관수단(360) 및 공급수단(33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온도센서와, 화재 등의 이상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열상 카메라 또는 가스센서, 도어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 개방 감지 센서(예를 들면, 압전센서와 광센서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센서들은 컨트롤러(100) 및/또는 온도 조절부(600) 및 살균수단과 같이 설정된 장치에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관리서버(20)와 관리자 단말(50) 및/또는 사용자 단말(40)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통신부(500)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400)는 컨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하여 검사 절차 및 방법과, 검사 결과, 검사 결과에 따른 향후 진행 정보(예를 들면, 의료기관 및/또는 공공 기관 정보의 연락처와 지리 정보, 재검사 또는 정밀검사, 입원절차)를 시각적 및 청각적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400)는 컨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증상유무나 최근 의심 지역의 방문 여부를 묻는 문진 메세지를 출력함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10)와, 이를 이용한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진행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장치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10)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관리서버(20)에서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S100 단계와, 무인 검사 장치(10)에서 검사하는 S200 단계와, 관리서버(20)(또는 공공 기관 서버(30))에서 검사 결과를 통지하는 S300 단계를 포함한다.
S100 단계는 관리서버(20)에서 식별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무인 검사 장치(10)가 설치된 부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전용 어플리케이션 이용하여 식별코드를 요청할 수 있다.
관리서버(20)는 사용자 단말(40)의 식별 코드 요청에 따라 복수의 숫자와 문자로 이루어진 OTP 또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에 송신한다. 이때,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40)의 개인 정보(또는 회원 가입 시 등록된 정보)가 저장되었다. 따라서 관리서버(20)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40)의 정보에 연계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사용자 단말(40)은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리서버(20)에서 실시간으로 생성된 식별코드를 수신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40)에 출력된 식별코드를 무인 검사 장치(10)에 스캔(또는 근거리 무선 장치를 이용한 송신) 후 출력된 안내 메세지에 따라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S200 단계는 무인 검사 장치(10)에서 사용자에게 검체 채취 장비를 제공하고, 채취된 검체(A)를 검사하여 양성 또는 음성 여부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S200 단계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S2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S200 단계에서 검체(A) 회수 및 보관 과정을 간략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S200 단계는 무인 검사 장치(10)에서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식별정보를 수신 및 기록하는 S210 단계와, 검체 채취 장비를 제공하는 S220 단계와, 검체(A)를 회수하여 검사하는 S230 단계와,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S240 단계와, 검체(A)를 보관하는 S25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10 단계는 무인 검사 장치(10)에서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스캔 또는 수신된 식별코드를 수신 및 기록하여 라벨을 인쇄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0)는 스캐너(210) 또는 근거리 무선 모듈(240)에서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기록수단(220)을 통하여 식별코드 및 시간 등의 검사 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검사 정보는 무인 검사 장치(10)별로 부여된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고유 식별 정보는 관리서버(20)에서 저장되며, 위치 정보에 연계 설정된다.
또한, 무인 검사 장치(10)는 검체(A) 채취에 앞서 사용자의 증상이나 의심 지역 방문 여부를 묻는 문진 입력창을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진 정보를 검사 결과와 함께 관리서버(20)로 송신될 수 있다.
S220 단계는 무인 검사 장치(10)에서 검체 채취 장비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0)는 공급수단(330)에 보관된 검체 채취 장비를 제1박스(311)로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구동수단(320)을 제어하여 제1박스(311)를 함체 외부로 인출시킨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프린터(230)를 제어하여 식별코드 및 검사 정보가 포함된 라벨을 인쇄 및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400)를 통하여 검체(A)의 채취 방법과 라벨 부착 방법을 안내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검체 채취 장비는 시약이 함침 된 종이 또는 섬유 재질의 검사시트로서 용기(B)에 밀봉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00)는 제1박스(311)가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된 이후에 살균수단을 제어하여 제1박스(311)의 내부를 살균 소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수단은 플라즈마, UV, 소독제 중 어느 하나를 제1박스(311)로 출력하여 소독할 수 있다.
S230 단계는 무인 검사 장치(10)에서 사용자의 검체(A)를 회수하여 검사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제1박스(311)를 통하여 배출된 검체 채취 장비를 이용하여 자신의 체액(콧물, 가래, 침)을 검사 시트에 묻히고, 용기(B)에 라벨을 부착한 뒤에 디스플레이(400)의 선택메뉴 또는 제2박스(312)의 수납완료 명령이 설정된 구동 스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00)는 구동수단(320)을 제어하여 제2박스(312)를 함체 외부로 인출시키고, 사용자의 검체(A)가 수용됨이 감지되면 제2박스(312)를 함체 내부로 인입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00)는 검사수단(250)을 제어하여 검사 시트에 합침된 시약과 체액이 접촉된 이후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추가로 설정된 시약을 투입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여 양성과 음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240 단계는 무인 검사 장치(10)에서 검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0)는 검사수단(250)의 검사 결과를 확인하여 관리서버(20)에 검사 결과를 송신한다. 이때, 컨트롤러(100)는 디스플레이(400)를 통하여 검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100)는 관리서버(20)에 검사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100)는, 예를 들면, 검사 후 빠른 시간 내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간이 검사(예를 들면, 코로나19 자가 검사) 결과를 현장에서 디스플레이(40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100)는 관리서버(20)를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4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통지함도 가능하다.
다만, 양성의 경우에는 공공기관의 관리가 필요함에 따라 후술되는 S300 단계와 같이 관리서버(20)에서 공공 기관 서버(30)와 정보를 공유함이 바람직하다.
S250 단계는 무인 검사 장치(10)에서 검체(A)를 보관하는 단계이다. 컨트롤러(100)는 이동수단을 제어하여 제2박스(312)에 수납된 검체(A)를 보관수단(360)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보관수단(360)은 온도 조절부(600)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유지된다.
S300 단계는 관리서버(20)가 무인 검사 장치(10)의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바이러스 감염 양성 결과를 공공 기관 서버(3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300 단계는 관리서버(20)가 식별코드별 결과를 수신하는 S310 단계와, 양성 여부를 감지하는 S320 단계와, 공공기관 서버에 송신하는 S330 단계와, 검체(A) 회수 명령을 송신하는 S340 단계와, 사용자 단말(40)에 안내하는 S350 단계를 포함한다.
S310 단계는 관리서버(20)가 무인 검사 장치(10)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검사결과는 사용자 단말(40)의 식별코드로 분류된다.
S320 단계는 관리서버(20)가 검사 결과에서 양성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S330 단계는 관리서버(20)가 검사결과에서 양성이 감지되면, 해당 식별코드로 연계된 사용자 단말(40)의 신상 정보를 검색하여 공공기관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관리서버(20)는 식별코드에 연계된 사용자 단말(40)의 개인 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 또는 주소, 이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하여 이를 공공기관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S340 단계는 관리자 단말(50)에 양성이 검사된 검체(A)의 회수 명령을 송신하는 단계이다. 관리자 단말(50)로부터 회수된 검체(A)는 공공기관으로 이송되어 재검 또는 폐기될 수 있다. 또는 해당 무인 검사 장치(10)의 보관수단(360)에 보관된 검체(A)의 전량 폐기 또는 전체 재검이 이루어짐도 가능하다.
S350 단계는 사용자 단말(40)에 검사 결과를 안내하는 단계이다. 관리서버(20)는 해당 사용자 단말(40)에 검사 결과(양성 또는 음성)를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통지한다.
여기서 양성의 경우에는 공공기관 서버로 정보가 먼저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순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즉, S330 단계는 S350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S350 단계는 검사 방식에 따라 정밀 검사(예를 들면, 코로나 19의 경우 자가 검사 방식 이후 PCR 검사로의 재검사)를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정밀 검사를 위한 검사 센터 및/또는 공공기관의 연락처와 사이트, 예약 가능한 사이트나 정보를 포함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는, 관리서버(20)는 S350 단계에서 정밀 재검이 필요하다고 분류된 사용자 단말(40)의 정보를 공공기관 서버로 송신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공기관에서의 검진 시에 검진 희망자와 의료진과의 직접 접촉없이 바이러스 검사가 가능하고, 양성 또는 재검이 필요한 의심 증상의 경우 사용자 단말(40)의 정보를 공공기관에 통지함에 따라 추가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10 : 무인 검사 장치 20 : 관리서버
30 : 공공 기관 서버 40 : 사용자 단말
50 : 관리자 단말 100 : 컨트롤러
200 : 식별부 210 : 스캐너
220 : 기록수단 230 : 프린터
240 : 근거리 무선 모듈 300 : 검사부
311 : 제1박스 312 : 제2박스
320 : 구동수단 330 : 공급수단
340 : 이송수단 350 : 검사수단
360 : 보관수단 400 : 디스플레이
500 : 통신부 600 : 온도 조절부
700 : 센서부 A: 검체
B : 용기

Claims (11)

  1. 함체의 내부에서 전염성 바이러스를 검사하기 위한 검체 채취 장비를 보관하여 설정된 기준의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검체 채취 장비를 인출하고, 체액이 묻은 검체(A)를 회수하여 자동으로 검사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를 포함하고,
    무인 검사 장치(10)는
    사용자 단말(40)로부터 출력된 식별코드를 수신 및 기록하는 식별부(200);
    검체(A)를 검사하여 음성 및 양성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300);
    식별부(200) 및 검사부(3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0);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설정된 범위로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600);
    보관된 검체(A)의 수량과, 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00)에 출력하는 센서부(700); 및
    컨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문진과, 검사 절차와 검사 결과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400); 를 포함하고,
    검사부(300)는
    함체의 내부에서 검체 채취 장비와, 식별코드가 인쇄되어 해당 검체의 정보를 기록하는 라벨을 외부로 인출시키는 제1박스(311);
    제1박스(311)와 이격된 위치에서 함체의 내외부로 인출입 가능하고, 외부에서 수납된 검체(A)를 내부로 이동시키는 제2박스(312);
    컨트롤러(100)의 제어에 의해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를 전후 방향으로 순차 이동시키는 구동수단(320);
    함체의 내부에서 다단으로 적층된 보관함으로서 제1박스(311)의 상측으로 연장된 배출로를 통하여 다단으로 적층된 검체 채취 장비를 제1박스로 순차 공급하는 공급수단(330);
    제2박스(312)에 수납된 검체(A)에 2차 시약을 투입하여 음성 또는 양성 여부를 판정하는 검사수단(250);
    검사가 완료된 검체(A)를 보관하는 보관수단(360); 및
    로봇암(Robot Arm)으로서 제2박스(312)에 수용된 검체(A)를 검사수단(250)이 설정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340); 을 포함하고,
    검체 채취 장비는
    검사 시약이 함유된 섬유 재질의 검사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박스(311)와 제2박스(312)를 살균 소독하는 살균수단; 을 포함하고,
    살균수단은
    플라즈마, UV, 소독액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식별코드는
    복수의 숫자와 문자열로 구성된 OTP(One Time Password)와, QR코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식별부(200)는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스캐너(210); 및
    식별코드와 검사 일시 및 무인 검사 장치(10)의 고유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검사 정보를 기록된 라벨을 인쇄하는 프린터(230); 를 포함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식별부(200)는
    식별코드를 수신하는 RFID, 블루투스, NFC 중 어느 하나인 근거리 무선 모듈(240); 을 포함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보관수단(360)은
    온도 조절부(600)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검체 채취 장비는
    검사 시트를 밀봉된 상태로 보관하는 용기(B); 를 포함하고,
    검체(A)는
    라벨이 부착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
  9. 청구항 1의 무인 검사 장치(10)와 사용자 단말(40); 및
    사용자 단말(40)에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식별코드의 요청이 접수되면 실시간으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40)에 송신하는 관리서버(20); 를 포함하고,
    관리서버(20)는
    무인 검사 장치(10)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40)에 송신하고,
    양성 또는 재검이 필요한 사용자 단말(40)의 정보를 공공 기관 서버(30)에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무인 검사 장치(10)에 보관 중인 검체(A)의 회수 및 이송 메세지를 수신하는 관리자 단말(50); 을 더 포함하는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11. 삭제
KR1020210064327A 2021-05-18 2021-05-18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8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27A KR102658142B1 (ko) 2021-05-18 2021-05-18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27A KR102658142B1 (ko) 2021-05-18 2021-05-18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69A KR20220156369A (ko) 2022-11-25
KR102658142B1 true KR102658142B1 (ko) 2024-04-17

Family

ID=84237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327A KR102658142B1 (ko) 2021-05-18 2021-05-18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1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2644A (ja) * 2004-11-23 2008-07-03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医療サービス提供用キオスク
KR101290273B1 (ko) * 2006-12-27 201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혈액검사 자동판매기 및 그 운영 방법
KR102202140B1 (ko) * 2020-04-20 2021-01-14 주식회사 날다 인공지능 전염병 무인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236A (ko) * 2017-03-17 2018-10-01 박은홍 네트워크 기반의 키오스크 타입 소변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109196B1 (ko) 2020-02-11 2020-05-11 대한민국 2019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검출용 lamp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2644A (ja) * 2004-11-23 2008-07-03 ケアストリーム ヘルス インク 医療サービス提供用キオスク
KR101290273B1 (ko) * 2006-12-27 201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인혈액검사 자동판매기 및 그 운영 방법
KR102202140B1 (ko) * 2020-04-20 2021-01-14 주식회사 날다 인공지능 전염병 무인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369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341B1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출입통제 시스템
ES2879691T3 (es) Aparato y método para conectar equipos de esterilización de dispositivos médicos
Maloney et al. Efficacy of control measures in preventing nosocomial transmission of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to patients and health care workers
BR102017004234A2 (pt)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iological indicators
WO2021224907A1 (en) A remote medical examination system and method
Koehler et al. Bronchoscopy safety precautions for diagnosing COVID‐19 associated pulmonary aspergillosis—a simulation study
Aldejohann et al. Expert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ndida auris transmission
Gilchrist A national laboratory network for bioterrorism: evolution from a prototype network of laboratories performing routine surveillance
Tack et al. European Society for Neurogastroenterology and Motility recommendations for conducting gastrointestinal motility and function testing in the recovery phase of the COVID‐19 pandemic
Tack et al. A survey on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motility and functional investigations in Europe and considerations for recommencing activities in the early recovery phase
KR102658142B1 (ko) 전염성 바이러스의 무인 검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무인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rld Health Organization Surveill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Maqbool et al. Ha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rofile, Risk Factors Analysis, and Sensitivity Comparison between Microscopy and Gene Xpert MTB/RIF Assay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KR20220143907A (ko)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관리 시스템을 통해 호흡기 감염을 관리하는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US2023011543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arly Diagnosis of Lung Infection Acuity
Meiring et al. Shedding of Mycobacterium bovis in respiratory secretions of free‐ranging wild dogs (Lycaon pictus): Implications for intraspecies transmission
KR102236568B1 (ko)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비접촉 검체 채취 시스템
KR102406093B1 (ko) 비대면 호흡기 안심 진료소
Zaman et al. Application of Rapid Biological Indicators Coupled With Auto-Reader for the Quality Assurance of Surgical Instruments After Sterilization at a Cardiac Hospital in Bangladesh
Flick-Smith et al. Establishing an in vivo imaging capability in high-containment
CN217518305U (zh) 双直角通道双工位的核酸采集智慧健康小屋
Duan et al. Laboratory management for large‐scale population screening for SARS‐CoV‐2
Blacksell et al. The Biosafety Research Road Map: The Search for Evidence to Support Practices in the Laboratory—Bacillus anthracis and Brucella melitensis
US202301221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eese et al. Assessment of laboratory and biosafety practices associated with bacterial culture in veterinary clin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