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448B1 -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및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및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448B1
KR102273448B1 KR1020147010390A KR20147010390A KR102273448B1 KR 102273448 B1 KR102273448 B1 KR 102273448B1 KR 1020147010390 A KR1020147010390 A KR 1020147010390A KR 20147010390 A KR20147010390 A KR 20147010390A KR 102273448 B1 KR102273448 B1 KR 102273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datory
mites
host
neoseiurus
m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6766A (ko
Inventor
카렐 조제프 플로렌트 볼크만스
이본네 마리아 반 호우텐
아델마르 임마누엘 반 발
아르노 테오도르 스탬
Original Assignee
코퍼트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퍼트 비.브이. filed Critical 코퍼트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4006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14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Vir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포식성 이리응애의 이용에 의한 생물학적 작물 보호 분야와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작물에서의 포식성 이리응애의 방사를 위한 시스템 및 이러한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에서의 숙주 응애의 신규한 용도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용도는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 종의 선택에 의해 특징을 가진다.

Description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및 생산 방법{Phytoseiid predatory mite relea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포식성 이리응애(Phytoseiid predatory mite)를 이용한 생물학적 작물 보호 분야와 관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작물에서 포식성 이리응애를 방사시키는 시스템 및 그러한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에서의 숙주 응애의 새로운 이용과 관련되어 있다.
생물학적 작물 보호를 위한 포식성 이리응애의 용도는 농업 및 원예에서 점점 더 유명해지고 있다. 현재 이리응애 포식자는 초식성 응애, 삽주벌레 및 가루이와 같은 해충을 박멸하는 데에 쓰이고 있다. 이러한 인기 이면의 원동력 중 하나는 이러한 작물 보호 도구로 사용되는 이리응애 포식자에 대한 방사 시스템의 입수용이성이다.
현재 가장 효율적인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GB 2 393 890에 개시된 사쉐(sachet) 타입의 것이다. 그러한 방사 시스템은 이리응애 포식자 종의 재생산 군집, 적절한 숙주 응애 종(이리응애 포식자를 위한 좋은 먹이 공급원로서의)의 재생산 군집 및 숙주 응애의 먹이 공급원을 담는 용기를 포함한다. 숙주 응애의 이리 천적의 군집 발달 및 먹이 공급원에서 숙주 응애의 군집 발달로 인하여, 이리응애 포식자의 연장된 방사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만들어졌다. 실시하는 데 있어, 이리 포식성의 연장된 방사는 약 3 내지 6주로 제한된다.
GB 2 393 890의 이리응애 방사 사쉐 시스템의 개발 이후로, 이리응애 포식자에 대한 추가적인 숙주의 입수용이성에 대하여 발달이 주로 존재하여 왔다. 이러한 새롭게 입수가능한 숙주들의 다수는 인공 숙주였다. 인공 숙주는 이리응애의 자연 서식지인, 즉 엽권과 같은 곳에서는 흔하지 않은 숙주였다. 예를 들어 참조문헌으로서 코퍼트(Koppert B.V.,)의 국제 출원, WO2006/057552, WO2006/071107 및 WO2007/075081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WO2008/015393, WO2008/104807 및 EP2232986는 이리응애 포식자 및 숙주 응애의 추가적인 조합을 개시하고 있다.
몇 년 동안의 이리응애 포식자 방사 시스템에 대한 발달에도 불구하고, 본 시스템의 이리응애 포식자 방사 활성은 약 3 내지 6주로 여전히 제한되어 있다. 이 기간동안 본 방사 시스템의 이리응애 포식자의 축적된 생산은 방사 시스템에 들어있는 캐리어 그램당 약 300 내지 400 이리응애 개체로 제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의 연구는 특정한 특별한 특징을 가지는 숙주 응애의 신중한 선택이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의 지속성 및/또는 방사된 이리응애 포식자의 누적수와 관련해 개선된 성능을 가지는 이리응애 포식자 방사 시스템을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놀라운 효과를 가져오는 숙주 응애의 특별한 특징은 그의 고유 성장률(rm)과 관련이 있다. 고유 성장률(rm)이 0.28 미만인 숙주 응애의 이용이, 6 주보다 긴(구체적으로는 7 주보다 긴)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활성 및/또는 방사 시스템의 생존 시간 동안 캐리어 그램 당 400이 넘는 이리 개체의 생산된 이리응애 포식자의 누적수를 갖는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가 6 주보다 긴 이리 포식 응애 방사 활성 및/또는 캐리어 그램 당 400이 넘는 생산된 이리응애 포식자의 누적수를 가지는 이리 포식 응애 방사 시스템을 가져올 수 있다는 사실은 선행기술에는 기록되지 않았던 점이다.
본 발명은 그러므로, 제1 관점에 따라,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활성이 최소한 7 주인 것 및/또는 캐리어 그램 당 400 개체 넘게 생산된 이리응애 포식자의 누적수를 가지는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과 관련된 것으로서,
- 포식성 이리응애의 군집:
-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의 군집을 포함하는 포식성 이리응애의 개체를 위한 먹이 공급원
을 포함한다.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적절한 유형의 어느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응애 방사 시스템은 포식성 이리응애의 개체 및 숙주 응애의 개체를 담기에 적절한 용기를 포함한다. 용기는 입구 및/또는 포식성 이리응애의 이동상을 위한 출구 개구를 만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방사 시스템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제품, 예를 들면, 코퍼트 비.브이.(Koppert B.V.)의 더 스위르스키-마이트®(the Swirski-Mite®)제품 및 다른 사쉐 유형의 방사 시스템이 시장에서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또한 문헌[GB 2 393 890]은 방사 시스템의 적절한 유형에 대해 개시한다.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포식성 이리응애의 군집을 포함한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포식성 이리응애는 해충 유기체(벌레 및 응애)를 잡아먹는 곳인 식물을 자연 서식지로 한다. 그들은 문헌[de Moraes et al., 2004]에 기술된 바와 같이 그들의 자연 서식지로부터 고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특히 유용한 포식성 이리응애는:
- 암브리세이우스(Amblyseius) 속, 예를 들어 암브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Amblyseius andersoni), 암브리세이우스 에어리알리스(Amblysieus aerialis),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또는 암브리세이우스 라르고엔시스(Amblyseius largoensis), 이우세이우스(Euseius) 속, 예를 들어 이우세이우스 핀란디쿠스(Euseius finlandicus), 이우세이우스 히비스키(Euseius hibisci), 이우세이우스 오발리스(Euseius ovalis), 이우세이우스 빅토리엔시스(Euseius victoriensis), 이우세이우스 스트리풀라투스(Euseius stipulatus), 이우세이우스 스쿠탈리스(Euseius scutalis), 이우세이우스 툴라렌시스(Euseius tularensis), 이우세이우스 아도엔시스(Euseius addoensis), 이우세이우스 콩코르디스(Euseius concordis), 이우세이우스 호(Euseius ho) 또는 이우세이우스 시트리(Euseius citri), 네오세이우루스(Neoseiulus) 속, 예를 들어 네오세이우루스 바케리(Neoseiulus barkeri), 캘리포니쿠스이리응애(Neoseiulus californicus), 네오세이우루스 쿠쿠메리스(Neoseiulus cucumeris), 네오세이우루스 롱기스피노수스(Neoseiulus longispinosus), 네오세이우루스 워머스레이(Neoseiulus womersleyi), 네오세이우루스 이다에우스(Neoseiulus idaeus), 네오세이우루스 아노니무스(Neoseiulus anonymus) 또는 네오세이우루스 팔라시스(Neoseiulus fallacis), 티플로드로말루스(Typhlodromalus) 속, 예를 들어 티플로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Typhlodromalus limonicus), 티플로드로말루스 아리포(Typhlodromalus aripo) 또는 티플로드로말루스 페레그리누스(Typhlodromalus peregrinus), 티플로드로미프스(Typhlodromips) 속, 예를 들어 티플로드로미프스 몬트도렌시스(Typhlodromips montdorensis)와 같은 순이리응애 아과(Amblyseiinae );
- 가렌드로무스(Galendromus) 속, 예를 들어 서양이리응애(Galendromus occidentalis), 티플로드로무스(Typhlodromus) 속, 예를 들어 티플로드로무스 피리(Typhlodromus pyri), 티플로드로무스 도리나에(Typhlodromus doreenae) 또는 티플로드로무스 아티아세(Typhlodromus athiasae) 와 같은 티플로드로미나에 아과(Typhlodrominae);
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식성 이리응애는 지중애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 암브리세이우스 에어리알리스(Amblysieus aerialis), 암브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Amblyseius andersoni), 네오세이우루스 바케리(Neoseiulus barkeri), 캘리포니쿠스이리응애(Neoseiulus californicus), 네오세이우루스 쿠쿠메리스(Neoseiulus cucumeris), 네오세이우루스 팔라시스(Neoseiulus fallacis), 티플로드로미프스 몬트도렌시스(Typhlodromips montdorensis)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용된 포식성 이리응애의 아과, 속 및 종의 이름은 별도의 진술이 없다면 문헌[Moraes, G.J. et al., 2004]에 나타나 있다.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포식성 이리응애 군집의 군집 발달에 적절한 먹이 공급원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먹이 공급원은 숙주 응애의 군집을 포함한다. 숙주 또는 숙주 응애라는 용어는 숙주로서 선택된 응애가 포식성 이리응애의 먹이 공급원로 적절하다는 것을 표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숙주 응애는 고유 성장률(rm)이 0.28보다 작다. 통상의 기술자는 고유 성장률(rm)이 개체 당 군집의 증가의 이론적 최대 비율을 반영하는 군집 동태 단위라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연구에 의해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를 이용함에 의해서 연장된 이리응애 방사 활성 및/또는 더 높은 누적 이리응애 방사를 가지는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이 놀랍게도 밝혀졌다. 발명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이러한 이론 관측에 구애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낮은 고유 성장률(rm)를 가지는 숙주의 군집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산 활성을 가진다. 숙주의 낮은 분산 활성은 숙주 응애의 더 많은 개체가 방사 시스템 밖으로 이동하는 대신에 방사 시스템에 남아있을 입수용이성을 증가시킨다. 이는 더 긴 시간의 기간동안 방사 시스템 내의 이리응애 포식자가 충분한 먹이 공급원을 이용할 수 있다는 입수용이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가 이용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고유 성장률(rm)이라는 용어의 의미 및 숙주 응애에 대한 rm 값을 확립하는 방법을 알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rm 값은 25 ℃에서 85 % 상대 습도(RH)에 의해서 결정된다. 다른 종의 rm 값은 예를 들어 다양한 문헌 자료들로부터 또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 내에서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은 0.02-0.28, 0.28, 0.27, 0.26, 0.25, 0.24, 0.23, 0.22, 0.21, 0.20, 0.19, 0.18, 0.17, 0.16, 0.15, 0.16, 0.15, 0.14, 0.13, 0.12, 0.11, 0.10, 0.09, 0.08, 0.07, 0.06, 0.05, 또는 0.04의 고유 성장률(rm)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유 성장률(rm)은 0.23 미만, 예를 들면 0.20 미만과 같은 0.25 미만의 값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따르면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는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터(Lepidoglyphus destructor)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응애 및 이의 포식성 이리응애의 사육에 있어서의 용도는 WO2007/075081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에 의해 수행된 실험은 포식성 이리응애의 사육을 위한 숙주로서의 본 응애 용도의 특별한 효과를 확립해 왔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 숙주의 특별한 효과가 분산 활성에 긍정적으로 반영되는 고유 성장률(rm)의 상대적으로 낮은 값과 연결되어 있음을 추론하였다. 연장된 이리응애 방사 활성 및 더 높게 축적된 이리응애 방사와 연결되어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터에서 나타난 놀라운 효과는 당 업계에서 아직 보고된 바 없다. 또한 숙주의 이러한 놀라운 효과와 고유 성장률(rm) 사이에서 발명자에 의해 확립된 연결은 본 발명의 선행 기술 분야에서 보고된 바 없다.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터의 rm 값은 0.18이다(문헌[Stratil, Stratil & Knuele (1980)]).
다른 숙주 응애의 고유 성장률에 대한 알려진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되기에 적절한 숙주의 추가적인 선택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0.071의 rm값을 가지는 트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Thyreophagus entomophagus)가 문헌에 보고되었다(문헌[Chmielewski, 1990]). 본 기록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서의 숙주 응애로서 사용하기 위해 고유 성장률(rm)이 0.28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숙주가 선택될 수 있다. 포식성 이리응애 지중해이리응애의 사육을 위한 숙주로서, 트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의 이용이 WO2008/015393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는 본 응애의 rm 값을 기록한 것은 아니며, 0.28보다 작은 rm 값의 숙주를 선택할 때 얻어질 수 있는 효과에 신경을 쓴 것도 아니다.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숙주 응애를 위한 먹이 공급원을 더 포함한다. 선택된 숙주 응애를 위한 먹이 공급원로서 적절한 선택은 통상의 기술자의 지식 범위 내 및 다음에 이어지는 문헌과 인용된 참조문헌 중 하나 이상의 개시로부터 더 파생될 수 있다: WO2006/057552, WO2006/071107, WO2007/075081, WO2008/015393.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는 제1 숙주이고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제1 숙주 응애와는 다른 제2 숙주 응애를 포함한다. 포식성 이리응애를 위한 먹이 공급원로서 적절한 추가의 숙주 응애의 첨가는 예를 들면 포식성 이리응애의 개선된 군집 발달이 얻어질 수 있다는 사실의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가 시스템으로부터 연장된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를 얻기 위해 추가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는 군집 발달률이라는 관점에서는 포식성 이리응애를 위한 이상적인 숙주는 아닐 수 있다. 추가적인 숙주 응애와의 조합은 작물 발달의 이른 단계 동안, 방사 시스템에서의 이리응애 포식자의 방사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방사 시스템의 전개 이후의 이른 단계에서의 빠른 최초의 포식성 이리응애의 방사는 연장된 포식성 방사 활성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포식성 이리응애가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에서보다 제2 숙주에서 개선된 군집 발달을 가지도록, 제2 숙주 응애가 선택된다.
이와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제2 숙주 응애는 제1 숙주 응애에 비해 더 높은 고유 성장률(rm)을 가진다. 제2 숙주 응애는 0.28-0.45, 예를 들면, 0.30, 0.31, 0.32, 0.33, 0.34, 0.35, 0.36, 0.37, 0.38, 0.39, 0.40, 0.41, 0.42, 0.43, 0.44와 같은 최소한 0.28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숙주로서 선택되는 바람직한 숙주로는 설탕응애(Carpoglyphys lactis)가 있다. 설탕응애는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해둘 필요가 있다. 이 숙주의 보고된 고유 성장률(rm)은 대신 0.29이다 문헌[Chmielewski (1971)]. 또한 발명자에 의해 이루어진 관찰은 이 숙주를 상대적으로 높은 분산 거동을 가지는 숙주로서 분류하였다.
포식성 이리응애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 및 본 발명 내에서 특히 고려되는 임의의 제2 숙주 응애의 특정한 조합이 아래의 표 I에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합이 방사 시스템, 방사 시스템 및 방사 시스템의 제조에 있어서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의 용도 및 방사 시스템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 본 발명의 모든 측면 내에서 고려된다는 점을 특히 기억해두어야 한다.
[표 I]
Figure 112014037071490-pct00001
본 발명에 따른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에서, 일실시태양에 따르면 최소 7 주의 이리응애 방사 활성이 얻어질 수 있다. 현재 시장의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4 내지 6 주의 이리응애 방사 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 내에서 최소한 7 주는, 최소 8 주, 최소 9 주, 최소 10 주, 최소 11 주를 포함한다. 최소 7 주의 기간은 또한 최소 49 일과 같이 일로서도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 내에서 최소한 49 일은, 50-78일, 예를 들면,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또는 77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 따르면 캐리어 그램 당 최소 400 이리응애 개체의 누적이리응애 방사 활성이 얻어질 수 있다. 현재 시판되는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캐리어 그램 당 약 300 내지 400 이리응애 개체로 제한되는 누적 이리응애 방사 활성을 가진다. 최소한 400이라는 것은, 400-1000, 예를 들면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850, 900, 950, 1000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포식성 이리응애 및 숙주를 위한 적합한 양 및 비율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한 비율의 예는 WO2006/057552, WO2006/071107, WO2007/075081 및 WO2008/015393 로부터의 값일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이리응애 포식자 방사 시스템에서 숙주 개체의 수에 대한 상대적인 포식성 이리응애 종의 개체의 비율은 약 1000:1, 예를 들면 약 100:1일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숙주 개체의 수에 대한 포식성 이리응애 종의 개체의 비율은 1:1부터 1:100, 예를 들어 1:2에서 1:50, 1:2에서 40, 1:2에서 1: 30일 수 있다. 만약 제1 및 제2 숙주가 이용된다면, 이들은 각각 다른 비율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제2 숙주에 비해,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의 양을 더 많이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20-30 ℃, 바람직하게는 20-25 ℃ 및 77 % ±10 %의 상대 습도, 바람직하게는 83-87 % 상대 습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85 % 상대 습도 조건 하에서 최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용하는 동안에는 그러한 조건, 특히 20-25 ℃ 및 83-87 % 상대 습도 하에서 방사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리응애 포식자 방사 시스템은 작물 해충을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작물 해충은 트리알레우로데스 베이포라리오럼(Trialeurodes vaporariorum) 또는 베미시아 타바시(Bemisia tabaci)와 같은 가루이; 파총채벌레, 또는 꽃노랑 총채벌레와 같은 프랭클리니엘라 종(Frankliniella spp)과 같은 총채벌레; 테트라니쿠스 속( Tetranychus spp .),예를 들면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테라니쿠스 에반시(Teranychus evansi) 및 테라니쿠스 칸자와이(Teranychus kanzawai)또는 파노니쿠스(Panonychus spp .), 예를 들면 사과응애(Panonychus ulmi )와 같은 잎응애; 차먼지응애(Polyphagotarsonemus latus) 또는 타르소네무스 팔리두스(Tarsonemus pallidus ) 와 같은 먼지응애; 토마토녹응애(Aculops lycopersici )와 같은 혹응애; 귤가루깍지벌레(Panonychus citri)와 같은 가루깍지벌레 유충; 아오니디엘라 아우란티(Aonidiella aurantii)와 같은 깍지벌레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보호되어야 하는 작물은 (온실) 야채 작물, 예컨대 토마토(리코페르시콘 에스쿨렌툼(Lycopersicon esculentum)), 고추(캅시쿰 안눔(Capsicum annuum)), 가지(솔라눔 멜로게나(Solanum melogena)), 박과작물(쿠쿠르비타세아에(Cucurbitaceae)), 예컨대 오이(쿠쿠미스 사티바(Cucumis sativa)), 참외(쿠쿠미스 멜로(Cucumis melo)), 워터멜론(시트룰루스 라나투스(Citrullus lanatus)); 연실류(예컨대 딸기(프라가리아 x 아나나사(Fragaria x ananassa)), 나무딸기(루부스 이데아우스(Rubus ideaus)), (온실) 관상 작물 (예컨대 장미, 거베라, 국화(chrysanthemums)), 나무 작물, 예컨대 감귤류 종(Citrus spp.,), 아몬드, 바나나 또는 농작물, 예컨대 면, 옥수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최소 7 주의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활성 및/또는 캐리어 그램 당 400이 넘는 이리응애 포식자의 축적된 생산을 가지는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의 제조를 위한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의 용도를 겨냥한 것이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은 작물 보호, 특히 원예에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서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과 연결되어 논의된 바와 유사한 바람직하고 및 대안이 되는 실시태양이, 정의내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측면에서의 이러한 바람직하고 대안이 되는 실시태양의 이점은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과 연결된 논의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을 생산하는 방법과 관련되어 있다. 방법은:
(A) 포식성 이리응애를 선택하는 단계;
(B)
- 포식성 이리응애의 군집;
- 사육 숙주 응애의 군집;
- 사육 숙주 응애의 먹이 공급원
을 포함하는 사육 조성물에서 포식성 이리응애를 사육하는 단계:
(C) 임의적으로, 추가적인 숙주 응애의 군집을 사육 조성물에 추가하는 단계;
(D) 포식성 이리응애의 이동상을 위한 출구를 가지는, 포식성 이리응애를 담기에 적합한 용기를 공급하는 단계;
(E) 임의적으로 용기 안의 추가적인 숙주와 함께 사육 조성물의 팩킹하는 단계
를 포함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육 숙주로 및/또는 임의적으로 추가적인 숙주로,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가 선택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이 생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포식성 이리응애가 선택된다. 포식성 이리응애는 포식성 이리응애 어떤 것이라도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식성 이리응애로서 특히 흥미로운 것은 본 발명의 방사 시스템과 관련하여 이미 논의되어 왔다. 바람직하게는 포식성 이리응애는 지중해이리응애, 암브리세이우스 에어리알리스, 암브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 네오세이우루스 바케리, 캘리포니쿠스이리응애, 네오세이우루스 쿠쿠메리스, 네오세이우루스 팔라시스, 또는 티플로드로미프스 몬트도렌시스로부터 선택된다.
본 방법에서 포식성 이리응애는
- 포식성 이리응애의 군집
- 사육 숙주 응애의 군집
- 사육 숙주 응애의 먹이 공급원
을 포함하는 사육 조성물에서 사육된다. 이러한 사육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절차, 예를 들면 WO2006/057552, WO2006/071107, WO2007/075081, WO2008/015393 또는 이러한 문서들 중 인용된 모든 참조문헌들에 알려진 절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임의적으로 추가적인 숙주 응애의 군집이 사육 조성물에 추가된다. 추가될 때에 추가적인 숙주는 바람직하게는 사육 조성물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다. 임의적인 추가된 숙주 응애의 세부사항은 하단에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포식성 이리응애를 담기에 적절한 용기가 공급된다. 상기 용기는 포식성 이리응애의 이동상을 위한 출구를 가진다. 다르게는 용기는 포식성 이리응애의 이동상을 위한 출구 개구를 만들기에 적절한 수단이 제공된다. 용기의 기술적인 세부사항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 시스템과 관련하여 상술된 바 있다.
사육 조성물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절차를 이용하여 용기에 팩킹된다. 사육 조성물에 추가된 경우에 임의적인 추가된 숙주는 사육 조성물과 함께 용기에 팩킹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가 선택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는 사육 숙주일 수 있거나 다르게는, 추가적인 숙주가 추가되는 경우에, 또한 추가적인 숙주일 수도 있다.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는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숙주이다. 이러한 경우에 사육 숙주는 본 발명의 응애 방사 시스템과 관련되어 논의된 제2 숙주이다. 0.28 미만의 고유 성장률(rm)을 가지는 숙주 응애 및 추가적인 숙주의 세부사항을 위해 가능한 선택은 본 발명의 응애 방사 시스템과 관련되어 상술되어 왔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되어,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과 연관하여 논의된 바와 유사한, 바람직하고 대안이 되는 실시태양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의 맥락 내에서의 이들 바람직하고 대안이 되는 실시태양의 이점은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과 연관된 논의의 관점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 다음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논의될 것이다.
[실시예]
지중해이리응애의 두 스톡 사육 시스템을 코퍼트(Koppert)에서 유지했다: (I) 숙주 응애 설탕응애에서의 지중해이리응애 및 (II) 숙주 응애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터에서의 지중해이리응애. 이 두 스톡 사육 시스템을 이용함에 의해, 세 가지의 다른 사육 조성물을 준비했다 :
1. 그램 당 약 100 지중해이리응애 및 300 설탕응애(코퍼트 바이올로지칼 시스템즈(Koppert Biological Systems)의 표준화된 느린 방사 시스템)를 함유하는 가습시킨 밀기울 및 영양분의 캐리어 물질.
2. 그램당 약 50 지중해이리응애 및 1000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터를 함유하는 가습시킨 밀기울 및 영양분의 캐리어 물질.
3. 그램당 약 50 지중해이리응애 및 300 설탕응애 및 1000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터를 함유하는 가습시킨 밀기울 및 영양분의 캐리어 물질.
각각의 조성물로부터, 10 그램을 유리병으로 주입하였다(2 통으로)(3회 수행 x 2 통= 총 6 병). 각각의 유리병은 포화된 염화나트륨 용액의 층(2 cm 깊이)에 플라스틱 버킷(10 리터)에 별도로 놓았다. 버킷은 통기되지 않는 플라스틱 뚜껑으로 견고하게 닫혀 있었다. 염 용액은 75 %의 주위 상대 습도를 제공하였다. 버킷은 21 ℃ 섭씨온도의 방에 놓았다.
그 다음주 동안, 응애 (포식성 응애 및 먹이 응애)는 병을 탈출하여 염 용액에 빠지게 되었다. 일주일에 한번 모든 유리병은 새 포화 염 용액이 들어있는 새로운, 깨끗한, 플라스틱 버킷으로 옮겼다. 사용된 버킷에서 탈출한 응애의 숫자 (또는 방출 시스템의 생산)는 그리드 및 쌍안경을 사용하여 알려진 계수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각 측정 사이의 시간 간격의 중간 지점에서, 통기를 위해 버킷으로부터 뚜껑을 열었다 닫았다.
포식성 응애의 탈출(생산)이 상당히 감소할 때까지 대략 매 7 일마다 본 절차를 반복하였다.
모든 3회 처리의 3개의 응애 종의 평균 누적 생산은 하단의 표 II에 나타나 있다. 날짜가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나 있다.
[표 2]
Figure 112014037071490-pct00002
데이터는 둘 모두 설탕응애를 포함한 처리 1 및 3이 모두 포식성 응애를 더 빨리 생산하기 시작하였음을 보여준다. 모두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터를 포함한 처리 2 및 3은(지중해이리응애의 낮은 시작 농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더 많은 포식성 응애를 생산하고, 더 오래 지속된다. 이 데이터로부터 처리 2 및 3이 (1) 누적 생산, (2) 주 당 평균 생산 (3) 시스템의 지속성과 관련하여 더 잘 수행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참조문헌]
[ De Moraes , G.J., McMurtry , J.A., Denmark , H.A. &
Campos , C.B., 2004] A revised catalog of the mite family
Phytoseiidae. Magnolia Press Auckland New Zealand 494 pp.
[Chmielewski , W., 1971]. Morfologia, biologia i ekologia Carpoglyphus lactis (L., 1758) (Glycyphagidae, Acarina), Prace-Naukowe-Instytutu- Ochrony-Roslin. 1971, publ. 1972, 13: 2, 63-166.
[Chmielewski , W., 1990]. Bio Ekologia I Rozwøj poplacji Thyreophagus entomophagus (Lab.) (Acarida, Acaridae-rozkruszka znajdowanego w ulach pszczelich/Bio ecology and population development of Thyreophagus. pszczelnicze zeszyty naukowe 31-42.
[Stratil , H.U., H.H. Stratil & W. Knoule., 1980]. Untersuchungen ouber die spezifische Vermehrungsrate von Populationen der im Lagergetreide lebenden Milbe Glycyphagus destructor (Schrank, 1781) bei verschiedenen Temperatur- und Luftfeuchtebedingungen.

Claims (24)

  1. - 포식성 이리응애의 군집:
    - 제1 숙주 응애의 군집 및 제1 숙주 응애와 다른 제2 숙주 응애의 군집을 포함하는, 포식성 이리응애 군집의 개체를 위한 먹이 공급원;
    - 숙주 응애를 위한 먹이 공급원을 포함하는 캐리어
    를 포함하고, 제1 숙주 응애로서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터 또는 트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로부터 응애 종이 선택되고, 선택된 제2 숙주 응애가 설탕응애(Carpoglyphys lact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가:
    - 순이리응애(Amblyseiinae) 아과;
    - 티플로드로미나에(Typhlodrominae) 아과
    로부터 선택된 것인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가 지중해이리응애, 암브리세이우스 에어리알리스, 암브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 네오세이우루스 바케리, 캘리포니쿠스이리응애, 네오세이우루스 쿠쿠메리스, 네오세이우루스 팔라시스 또는 티플로드로미프스 몬트도렌시스로부터 선택된 것인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4. (A) 포식성 이리응애의 선택;
    (B)
    - 포식성 이리응애의 군집
    - 제1 사육 숙주 응애의 군집
    - 제1 사육 숙주 응애를 위한 먹이 공급원
    을 포함하는 사육 조성물에서의 포식성 이리응애의 사육;
    (C) 추가적인 숙주 응애로서 제1 사육 숙주 응애와 다른 제2 사육 숙주 응애의 군집의 사육 조성물에의 추가;
    (D) 포식성 이리응애의 이동상을 위한 출구를 갖는, 포식성 이리응애를 담기에 적절한 용기의 제공;
    (E) 용기 안에의 사육 조성물의 패킹
    을 포함하고, 제1 사육 숙주 응애 및 제2 사육 숙주 응애 중 하나가 레피도글리푸스 데스트럭터 또는 트레오파구스 엔토모파구스로부터 선택되고, 다른 것은 설탕응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을 생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가:
    - 순이리응애 아과;
    - 티플로드로미나에 아과
    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가 지중해이리응애, 암브리세이우스 에어리알리스, 암브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 네오세이우루스 바케리, 캘리포니쿠스이리응애, 네오세이우루스 쿠쿠메리스, 네오세이우루스 팔라시스 또는 티플로드로미프스 몬트도렌시스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7. 제1항에 따른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을 사용하여, 작물을 보호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작물 보호가 가루이; 총채벌레; 잎응애; 먼지응애; 혹응애; 가루깍지벌레 유충; 깍지벌레로부터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것인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작물이 야채 작물; 연실류, 관상 작물, 나무 작물 또는 농작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가 암브리세이우스 속, 이우세이우스 속, 네오세이우루스 속, 티플로드로말루스 속, 티플로드로미프스 속, 가렌드로무스 속 또는 티플로드로무스 속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가 암브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 암브리세이우스 에어리알리스, 지중해이리응애, 암브리세이우스 라르고엔시스, 이우세이우스 핀란디쿠스, 이우세이우스 히비스키, 이우세이우스 오발리스, 이우세이우스 빅토리엔시스, 이우세이우스 스트리풀라투스, 이우세이우스 스쿠탈리스, 이우세이우스 툴라렌시스, 이우세이우스 아도엔시스, 이우세이우스 콩코르디스, 이우세이우스 호, 이우세이우스 시트리, 네오세이우루스 바케리, 캘리포니쿠스이리응애, 네오세이우루스 쿠쿠메리스, 네오세이우루스 롱기스피노수스, 네오세이우루스 워머스레이, 네오세이우루스 이다에우스, 네오세이우루스 아노니무스, 네오세이우루스 팔라시스, 티플로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 티플로드로말루스 아리포, 티플로드로말루스 페레그리누스, 티플로드로미프스 몬트도렌시스, 서양이리응애, 티플로드로무스 피리, 티플로드로무스 도리나에 또는 티플로드로무스 아티아세로부터 선택된 것인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12.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가 암브리세이우스 속, 이우세이우스 속, 네오세이우루스 속, 티플로드로말루스 속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3.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식성 이리응애가 암브리세이우스 안데르소니, 암브리세이우스 에어리알리스, 지중해이리응애, 암브리세이우스 라르고엔시스, 이우세이우스 핀란디쿠스, 이우세이우스 히비스키, 이우세이우스 오발리스, 이우세이우스 빅토리엔시스, 이우세이우스 스트리풀라투스, 이우세이우스 스쿠탈리스, 이우세이우스 툴라렌시스, 이우세이우스 아도엔시스, 이우세이우스 콩코르디스, 이우세이우스 호, 이우세이우스 시트리, 네오세이우루스 바케리, 캘리포니쿠스이리응애, 네오세이우루스 쿠쿠메리스, 네오세이우루스 롱기스피노수스, 네오세이우루스 워머스레이, 네오세이우루스 이다에우스, 네오세이우루스 아노니무스, 네오세이우루스 팔라시스, 티플로드로말루스 리모니쿠스, 티플로드로말루스 아리포, 티플로드로말루스 페레그리누스, 티플로드로미프스 몬트도렌시스, 서양이리응애, 티플로드로무스 피리, 티플로드로무스 도리나에 또는 티플로드로무스 아티아세로부터 선택된 것인 방법.
  14.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작물이 리코페르시콘 에스쿨렌툼(Lycopersicon esculentum), 캅시쿰 안눔(Capsicum annuum), 솔라눔 멜로게나(Solanum melogena), 쿠쿠르비타세아에(Cucurbitaceae), 쿠쿠미스 멜로(Cucumis melo), 시트룰루스 라나투스(Citrullus lanatus), 프라가리아 x 아나나사(Fragaria x ananassa), 루부스 이데아우스(Rubus ideaus), 장미, 거베라, 국화(chrysanthemums), 감귤류 종(Citrus spp.,), 아몬드, 바나나, 면 또는 옥수수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147010390A 2011-09-20 2012-09-19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및 생산 방법 KR102273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39058A NL1039058C2 (en) 2011-09-20 2011-09-20 Phytoseiid predatory mite relea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NL1039058 2011-09-20
PCT/NL2012/050663 WO2013043050A1 (en) 2011-09-20 2012-09-19 Phytoseiid predatory mite relea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766A KR20140066766A (ko) 2014-06-02
KR102273448B1 true KR102273448B1 (ko) 2021-07-07

Family

ID=47003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390A KR102273448B1 (ko) 2011-09-20 2012-09-19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및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2) US9693540B2 (ko)
EP (1) EP2757876B1 (ko)
JP (1) JP5960830B2 (ko)
KR (1) KR102273448B1 (ko)
AP (1) AP2014007590A0 (ko)
BR (1) BR112014006668B1 (ko)
CA (1) CA2849393C (ko)
DK (1) DK2757876T3 (ko)
ES (1) ES2558515T3 (ko)
HU (1) HUE026578T2 (ko)
IL (1) IL231606A (ko)
MX (1) MX350464B (ko)
NL (1) NL1039058C2 (ko)
PL (1) PL2757876T3 (ko)
PT (1) PT2757876E (ko)
UA (1) UA112199C2 (ko)
WO (1) WO2013043050A1 (ko)
ZA (1) ZA2014028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16609B1 (pt) 2012-01-04 2019-05-14 Koppert B.V., Composição de ácaro, método para o cultivo de uma espécie ácaro predador, uso de uma composição, sistema de cultivo para o cultivo de uma espécie ácaro predador, e método de controle biológico de pragas em uma lavoura
CN103238569B (zh) * 2013-05-13 2015-08-12 广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捕食螨饲养装置及其饲养方法
CN104222011B (zh) * 2013-06-21 2016-08-10 首伯农(北京)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生产捕食螨的新方法
US11066167B2 (en) * 2016-02-02 2021-07-20 Chandler Bennett Method and apparatus used for biological control of agricultural pests
CN106358877A (zh) * 2016-09-13 2017-02-01 广东省生物资源应用研究所 中华甲虫蒲螨在制备柑橘木虱生物防治制剂中的应用
IL257892A (en) * 2018-03-05 2018-05-02 Bio Bee Sde Eliyahu Ltd New methods for cultivation, cultivation and controlled release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CN108739675B (zh) * 2018-05-02 2021-03-30 华南农业大学 一种双斑恩蚜小蜂规模化繁殖的方法
FR3084562B1 (fr) * 2018-07-31 2021-04-02 Bioline France Systeme de lutte biologique comprenant des acariens predateurs dans un etui
JP7292720B2 (ja) * 2019-09-19 2023-06-19 株式会社アグリ総研 天敵昆虫を農作物へ誘引す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5393A2 (en) * 2006-08-02 2008-02-07 Syngenta Bioline Limited Method for rearing predatory mites
US7947269B2 (en) 2004-12-31 2011-05-24 Koppert B.V. Mite composition,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phytoseiid predatory mite, rearing system for rearing said phytoseiid predatory mite and methods for b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55156C (en) 2004-02-17 2006-01-24 Syngenta Bioline Limited System for providing beneficial insects or mites
WO2006057552A1 (en) 2004-12-31 2006-06-01 Koppert B. V. Mite composition,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the phytoseiid predatory mite amblyseius sirskii, rearing system for rearing said phytoseiid mite and methods for b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JP2006230229A (ja) * 2005-02-23 2006-09-07 Arysta Lifescience Corp 天敵昆虫の餌昆虫と餌植物の運搬方法及びその装置
MX277715B (en) * 2005-12-29 2010-07-30 Koppert Bv Mite composition comprising glycyphagidae and phytoseiid mites,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phytoseiid predatory mite, rearing system for rearing said phytoseiid predatory mite and methods for b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GB0703672D0 (en) 2007-02-26 2007-04-04 Biolog Crop Prot Ltd Mite composition,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mite, rearing system, use of the composition in biological pest control, and method of biological pest
KR20070110008A (ko) * 2007-07-30 2007-11-15 코퍼트 비.브이. 응애 조성물, 그의 용도, 포식성 이리응애의 사육 방법,상기 포식성 이리응애를 사육하는 사육 시스템 및작물에서의 생물학적 해충 방제 방법
ES2345594B1 (es) 2009-03-26 2011-07-13 Agrocontrol 2007, S.L Composicion de acaros, procedimiento para la cria de los mismos y utilizacion de dicha composicion en programas de control biologico.
KR20120066738A (ko) * 2010-12-15 2012-06-25 (주) 에코윈 꿀벌부채명나방의 알을 이용한 포식성 천적의 사육방법
JP5271363B2 (ja) * 2011-01-06 2013-08-21 コッパート・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ダニ構成物、その使用、捕食性カブリダニAmblyseiusswirskiiを飼育するための方法、前記捕食性カブリダニを飼育するための飼育システム、および作物に対する生物的害虫防除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7269B2 (en) 2004-12-31 2011-05-24 Koppert B.V. Mite composition, use thereof, method for rearing a phytoseiid predatory mite, rearing system for rearing said phytoseiid predatory mite and methods for biological pest control on a crop
WO2008015393A2 (en) * 2006-08-02 2008-02-07 Syngenta Bioline Limited Method for rearing predatory mit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lorida Entomologist, vol.96(4), pp.1508-1512(2013)
J.bio-sci vol.16 pp.1-10(2008.12.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757876E (pt) 2016-02-09
MX350464B (es) 2017-09-05
NL1039058C2 (en) 2013-03-21
US11026409B2 (en) 2021-06-08
CA2849393C (en) 2021-05-18
IL231606A (en) 2017-07-31
ES2558515T3 (es) 2016-02-04
US9693540B2 (en) 2017-07-04
IL231606A0 (en) 2014-05-28
ZA201402823B (en) 2015-11-25
JP2014531209A (ja) 2014-11-27
UA112199C2 (uk) 2016-08-10
KR20140066766A (ko) 2014-06-02
CA2849393A1 (en) 2013-03-28
AP2014007590A0 (en) 2014-04-30
US20150030689A1 (en) 2015-01-29
EP2757876A1 (en) 2014-07-30
HUE026578T2 (en) 2016-06-28
DK2757876T3 (en) 2016-01-25
JP5960830B2 (ja) 2016-08-02
WO2013043050A1 (en) 2013-03-28
BR112014006668A2 (pt) 2017-04-04
US20170325430A1 (en) 2017-11-16
EP2757876B1 (en) 2015-10-14
MX2014003380A (es) 2014-12-05
BR112014006668B1 (pt) 2019-04-30
PL2757876T3 (pl)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448B1 (ko) 포식성 이리응애 방사 시스템 및 생산 방법
JP5393155B2 (ja) ニクダニ科ダニおよびカブリダニを含むダニ構成物、その使用、捕食性カブリダニを飼育するための方法、前記捕食性カブリダニを飼育するための飼育システム、ならびに作物に対する生物学的害虫防除方法
KR101014095B1 (ko) 응애 조성물, 그의 용도, 포식성 이리응애인지중해이리응애의 사육 방법, 상기 이리응애를 사육하는사육 시스템 및 작물에서의 생물학적 해충 방제 방법
KR101396798B1 (ko) 포식 응애를 사육하는 방법
ES2397050T3 (es) Composición de ácaros, método de cría de una especie de ácaro depredador fitoseido, y uso de la composición para el control de plagas en cultivos
ES2345594B1 (es) Composicion de acaros, procedimiento para la cria de los mismos y utilizacion de dicha composicion en programas de control biologico.
KR20090115764A (ko) 진드기 조성물
EP3326463B1 (en) Mite composition and its use as biological control agent
KR20220149506A (ko) 응애를 사육하기 위한 응애 조성물 및 방법
JP2006158348A (ja) 生物防除法
AU2019352760A1 (en) Mi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aring mites
JP2019062885A (ja) 天敵の定着方法および害虫防除方法
BE1030252B1 (nl) Mijtsamenstelling en werkwijze voor het voeden van roofmijten
ES2345593B1 (es) Composicion de acaros, procedimiento para la cria de los mismos y utilizacion de dicha composicion en programas de control biolog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