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394B1 -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394B1
KR102273394B1 KR1020140091385A KR20140091385A KR102273394B1 KR 102273394 B1 KR102273394 B1 KR 102273394B1 KR 1020140091385 A KR1020140091385 A KR 1020140091385A KR 20140091385 A KR20140091385 A KR 20140091385A KR 102273394 B1 KR102273394 B1 KR 10227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ysis
information
learning
thinking
person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0233A (ko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화 filed Critical 이정화
Priority to KR102014009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3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0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7Personality evalu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 뇌발달 상태에 따른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및, 이를 근거로 개인의 적성과 성격 및 학습특성을 진단하여 종합적으로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은 APL 분석장치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APL 분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질문정보 및 분석결과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질문별 응답정보를 상기 APL 분석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APL 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정보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각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로 구성되는 인지특성 성향과 측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청각, 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시각, 두정엽 발달상태에 따른 운동감각으로 구성되는 감각특성 성향을 분석함과 더불어, 분석된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결과를 근거로 적성과 성격 및 학습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인지특성 성향 분석정보과 감각특성 성향 분석정보 및 적성-성격-학습(APL)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APL 종합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otal analysis of Aptitude-Personality-Learning based on Neuro psychology}
본 발명은 개인의 뇌발달 상태에 따른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및, 이를 근거로 개인의 적성과 성격 및 학습특성을 진단하여 종합적으로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성검사란 피검사자의 특별하거나 독특한 지적능력이나 잠재능력을 파악하고 피검사자의 개별적 능력에 따른 여러 직무에서의 성공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검사를 의미한다.
현재 개인의 고유한 적성-성격-학습유형이나 특성을 진단하고자 하는 검사들이 국내외에서 그동안 특정 학자가 주장하는 성격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성격특성 검사와 진로검사들이 개발되어 진단에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성격 및 진로 검사는 단순히 개인의 적성이나 성격을 분류하는데에 한정되어 있으며 그 원인에 대한 기제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검사는 개인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는 알려줄 수 있지만 개인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아 상태에 따른 접근방법을 개인에 따라 달리 적용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성격이론에 근거하기보다 뇌와 신경과의 메커니즘을 연구하여 개인이 성격과 적성과 학습이나 경험을 처리하는 방식이 개인의 독특한 뇌발달과 관련있다는 연구들을 기반으로 적성-성격-학습유형의 분류를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다시말해, 학습, 진로, 성격 분야에서 종합적인 개인 맞춤식 치료설계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심리검사의 목적이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개인이 독특한 특성에 대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문제 원인으로 작용하는 기제에 대해 보다 개인독특성을 고려한 치료개입을 가능하게 하여 치료의 효과성 증가를 확보할 필요가 있게 된다.
[선행기술문헌]
1. 공부 습관 검사 시스템 및 방법 (특허출원번호 : 10-2009-0045785)
2. 학습 검사 시스템 및 방법 (특허출원번호 : 10-2006-0116515)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개인의 뇌발달에 따른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및, 이를 근거로 분석된 개인의 적성과 성격 및 학습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맞춤형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은 APL(적성-성격-학습, Aptitude-Personality-Learning) 분석장치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APL 분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질문정보 및 분석결과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질문별 응답정보를 상기 APL 분석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APL 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정보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각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로 구성되는 인지특성 성향과 측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청각, 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시각, 두정엽 발달상태에 따른 운동감각으로 구성되는 감각특성 성향을 분석함과 더불어, 분석된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결과를 근거로 적성과 성격 및 학습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인지특성 성향 분석정보과 감각특성 성향 분석정보 및 적성-성격-학습(APL)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APL 종합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은 APL 분석장치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어 사용자단말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에서의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에 있어서,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사용자단말로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관련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인지특성 및 감각특성 관련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APL 분석장치로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인지특성 관련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정보와 감각특성 관련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정보를 각각 수치화하여 기준 수치 이상인 인지특성 성향 및 감각특성 성향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제3 단계에서 생성된 인지특성 성향 및 감각특성 성향을 근거로 적성과 성격 및 학습에 대한 APL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3 및 제4 단계에서 생성된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및 APL에 대한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은 APL 분석장치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APL 분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질문정보 및 분석결과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질문별 응답정보를 상기 APL 분석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APL 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정보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각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를 기준으로 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순차-추상처리와, 순차-현상처리, 조합-추상처리, 조합-현상처리로 구분되는 인지특성 성향과, 좌측두엽, 좌후두엽, 좌두정엽, 우측두엽, 우후두엽, 우두정엽 발달상태에 따른 청각, 시각, 운동감각에 대한 감각특성 성향을 분석함과 더불어,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를 기준으로 분석된 상기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결과를 근거로 적성 또는 성격 또는 학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은 APL 분석장치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어 사용자단말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 관련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제11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인지특성 및 감각특성 관련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APL 분석장치로 제공하는 제12 단계,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인지특상처리 중 하나의 인지특성 성향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13단계,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감각특성 관련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정보를 근거로 좌측두엽, 좌후두엽, 좌두정엽, 우측두엽, 우후각특성 성향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14단계,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성 또는 성격 또는 학습에 대한 APL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15 단계 및, 상기 제13 내지 제15 단계에서 생성된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및 적성 또는 성격 또는 학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APL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16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전두엽 발달에 따른 인지특성 성향과,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 발달에 따른 감각특성 성향 및, 이 인지특성 성향과 감각특성 성향에 기반한 적성-성격-학습 성향에 대한 분석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성-성격- 학습 성향 분석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정보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검사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분석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뇌발달 상태에 따른 분석정보 뿐 아니라, 사용자의 임상척도에 따른 방해요인 성향에 대한 분석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APL 분석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3a 내지 도3d은 상기 사용자단말(200)로 제공되는 질문항목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에 도시된 인지특성 질문내용을 예시한 도면.
도5는 도3에 도시된 감각특성 질문내용을 예시한 도면.
도6은 도2에 도시된 정보분석처리부(120)의 정보처리 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7a 내지 도7c는 도6에 도시된 인지특성 분석처리블럭(122)에서 처리되는 인지특성 분석처리 결과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8은 도1에 도시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a 내지 도9c는 사용자단말(200)로 제공되는 APL 종합분석정보를 예시한 도면.
도10과 도11은 뇌의 구조를 모형화하여 나타낸 도안.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의 분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APL은 Aptitude적성(진로)-Personality성격(인성)-Learning인지(학습) trait Inventory)의 약자로서, 기존의 성격에 근거한 검사들과 달리 Neuro psychology (신경과학)에 근거하여 개발된 검사이다.
즉, 개인의 사고패턴은 우리가 정보를 취하는 방식, 뇌에 저장하는 방식, 표출하는 방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APL은 뇌의 전두엽. 후두엽. 측두엽. 두정엽 기능을 통한 개인의 적성. 성격. 인지 학습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제안된 종합분석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APL은 개인의 뇌 발달에 따른 적성. 성격. 학습유형에 대한 강점과 학습방해요인을 한번에, 종합적으로 평가, 과학적인 개선프로그램 설계가 가능하므로, 유년/초등/청소년/성인으로 분류되며, 학생은 진로.인성.학습지도 활용으로, 성인용은 부모, 커플, 교사, 상담자, 기업장면에서의 전략활용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은 APL 분석장치(100)가 다수의 사용자단말(200)과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APL(Aptitude-Personality-Learning, 적성-성격-학습) 분석장치(100)와 사용자단말(200)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각종 형태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단말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PC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200)은 상기 APL 분석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질문정보 및 분석결과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질문별 응답정보를 상기 APL 분석장치(1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0)로 APL 정보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각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뇌발달 상태에 따른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성향을 분석함과 더불어, 이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성향분석에 따른 적성(Aptitude)-성격(Personality)-학습(Learning) (APL, 이하에서는 "APL"이라 칭함)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인지특성 및 감각특성 성향분석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0)로 타당성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타당성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치화하여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 사용자단말(200)로 재검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0)로 사용자의 임상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해요인 관련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방해요인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치화하여 그 수치화 값에 대응되는 방해요인 분석정보를 추가로 생성하여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APL 분석장치(10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럭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L 분석장치(100)는 단말접속부(110)와 정보분석처리부(120), 서비스제어부(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운용자 단말(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요소는 별개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LAN(16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소는 하나의 서버내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말접속부(110)는 상기 사용자단말(200)과 본 발명에 따른 APL 종합분석 관련 정보 예컨대, 질문정보와 각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정보 및, 응답정보를 근거로 분석된 APL 종합분석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보분석처리부(120)는 상기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질문별 응답정보를 근거로 해당 사용자의 적성-성격-학습(APL)에 대한 종합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분석정보처리부(120)는 타당성 관련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분석의 타당성 여부를 분석하고, 사용자의 인지특성 관련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인지특성 성향 분석정보를 생성하며, 사용자의 감각특성 관련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감각특성 성향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환경 관련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방해요인 분석정보를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성향 분석정보를 근거로 APL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성향 분석정보, 방해요인 분석정보 및 APL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APL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서비스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서비스제어부(130)는 기본적으로 APL 분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 등의 화면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등록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제어부(130)는 단말접속부(110)를 통해 등록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200)로 질문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각 질문정보별 응답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함과 더불어,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각 질문정보별 응답정보를 정보분석처리부(120)로 제공하여 APL 종합분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어부(130)는 정보분석처리부(120)에서 생성된 APL 종합분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함과 더불어,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APL분석을 위한 질문정보와, 각 질문에 대한 응답별 수치정보, 타당성 여부와, 인지특성 및 감각특성 성향을 분류하기 위한 기준수치정보, 타당성 항목별 분석내용, 인지특성 성향별 분석내용, 감각특성 성향별 분석내용,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조합 성향별 APL 분석내용, 방해요인 항목별 분석내용,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등록정보 및, 사용자별 APL 종합분석정보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응답별 수치정보는 각 질문에 대해 다수, 예컨대 5개의 응답정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응답선택정보에 대해 서로 다른 수치를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각 질문에 대해 "매우 그렇다/그렇다/보통이다/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의 응답정보가 설정되고, 각 응답정보에 대해 "5/4/3/2/1"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당성 여부와 방해요인 적용 여부에 대한 기준수치는 예컨대 "5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특성 정보는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 순차-현상적사고, 순차-추상적사고, 변칙-현상적 사고, 변칙-추상적 사고,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전뇌 발달형, 전뇌 미발달형 중 하나의 성향으로 분류되고, 각 인지특성 항목 즉,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에 대한 발달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수치는 예컨대 "5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감각특성정보는 측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청각, 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시각, 두정엽 발달상태에 따른 운동감각으로 구성되는 감각특성 중 하나의 성향으로 분류되고, 각 감각특성 성향 발달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수치는 예컨대, "5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운용자단말(150)은 시스템 운용자가 APL 분석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정보를 등록하거나 조회하는 등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시스템 운용자는 운용자단말(150)을 통해 사용자에 대한 등록처리 및 질문사항에 대한 응답정보의 입력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용자단말(150)은 응답정보가 기재된 답지를 스캔 입력하기 위한 스캐닝수단(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3a 내지 도3d는 도2에 도시된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질문정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3a 내지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문정보는 타당도 질문항목(도3a)과, 인지특성 질문항목(도3b), 감각특성 질문항목(도3c), 방해요인 질문항목(도3d)으로 구성된다.
도3a는 타당도 질문항목으로 저빈도와, 비 일관성, 부정적 인상, 긍정적 인상을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저빈도 질문은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무선적으로 반응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모든 피검사자가 유사하게 반응하도록 고안된 문항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비 일관성 질문은 문항에 대한 반응이 다소 비일관적인 특성을 갖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유사한 내용으로 구성된 질문에 대한 피검사자의 반응 일치성을 평가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정적 인상 질문은 문제 환경이나 상황을 부정적으로 지각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 점수 이상의 점수가 산출된 경우에는 분석을 보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긍정적 인상 질문은 현재 상황에 대해 부정적 특성을 부인하려는 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 점수 이상의 점수가 산출된 경우에는 분석을 보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b는 인지특성 질문항목으로 전두엽의 사고기능과 좌/우반구의 기능 편재화를 기반으로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순차처리 질문은 체계적이고 단계적으로 일을 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질문으로 구성된다. 또한, 변칙처리 질문은 자신의 관심분야에만 몰입하거나 한 번에 다양한 일을 처리하는 경향이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또한, 현상적 사고 질문은 실제로 오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들에 대한 세부적인 반응과 체험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높은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또한, 추상적 사고 질문은 이론과 논리 전개 및 유추 등 보이지 않는 추상적 분야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높은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도4는 도3b에 도시된 인지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질문항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3c는 감각특성 질문항목으로 측두엽과 후두엽 및 두정엽의 기능을 기반으로 청각,시각,운동감각을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측두엽 질문은 듣고 말하는 활동을 좋아하며 토론 등의 청각적 매체를 이용한 활동을 선호하는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된다. 또한, 후두엽 질문은 시각적 구성을 선호하고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책과 노트를 활용하고 그림이나 화면을 사용한 처리가 효율적인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된다. 또한, 두정엽 질문은 사물을 조작하거나 신체를 움직이며 하는 활동을 좋아하고 실습위주의 직접 보고, 해보는 경험 활동을 선호하는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된다. 도5는 도3c에 도시된 감각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질문항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3d는 방해요인 질문항목으로 이는 피검사자의 임상척도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학생용과 성인용으로 구분된다. 먼저, 학생용 방해요인 질문은 성실성, 학습주도성, 학습동기, 학습효능감, 시험불안, 학업스트레스, 학습습관, 공부방법, 집중력, 가족지지를 포함하는 임상척도와, 선호과목, 비선호과목, 성취수준을 포함하는 학업영역 질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성실성 질문항목은 주어진 과제와 계획한 작업을 끈기 있고 꾸준히 실천하는 경향을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고, 학습주도성 질문은 능동적으로 학습을 계획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마음먹은 작업을 해내는 경향을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며, 학습동기 질문은 학습의 필요성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학습에서 높은 성취를 달성하고자 노력하는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고, 학습효능감 질문은 학습에 유능성이 있다고 믿으며 좀 더 노력하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기대하는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며, 시험불안 질문은 시험에 대한 불안을 스스로 조절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시험상황에서 충분한 능력발휘가 어려운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고, 학업스트레스 질문은 현재 학습활동과 관련된 영역에서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며, 학습습관 질문은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태도를 보일 수 있으며 꾸준히 학습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하는 경향이 높은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고, 공부방법 질문은 교사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교과내용을 조직화할 수 있으며 시간대비 효과적인 공부 방법을 적용할 가능성이 높은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며, 집중력 질문은 외부 환경의 변화나 방해에 쉽게 주의가 흐트러지고 꾸준히 집중하기가 어려운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고, 가족지지 질문은 가족내 구성원들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할 수 있고 안정적인 성격과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된다. 또한, 선호과목 질문은 현재 흥미를 가지고 있는 과목영역을 판단하는 질문이고, 비선호과목 질문은 현재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는 과목영역을 판단하는 질문이며, 성취수준 질문은 현재 학업성취 수준을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3d에서 성인용 방해요인 질문은 주도성, 치료의지, 심리적 유연성, 자기효능감, 불안, 우울증, 가족관계, 사회지지, 자살척도, 외상후 스트레스를 포함하는 임상척도와, 흥미영역과 불만족과업 및 성취수준을 포함하는 과업영역 질문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주도성 질문은 독립성이 높고 주도적이며 통제적인 특성이 강한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고, 치료의지 질문은 자신의 현재 문제를 수긍하고 변화시키려는 의지 및 태도가 높은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며, 심리적 유연성 질문은 기존의 사고방식간의 고집이나 갈등 없이 새로운 것을 수용하고 변화에 빠른 적응력을 보일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고, 자기효능감 질문은 수행하는 일에 대한 자신감과 조금만 노력하면 성취할 수 있다는 신념이 높은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며, 불안 질문은 직면한 문제에 대한 지나친 관심과 염려로 높은 긴장과 불안정감을 보이는지를 판단하는 질문으로 구성되고, 우울증 질문은 개인에 대한 부적절감, 무능력, 무망감 등과 미래에 대한 부정적 기대가 높은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되며, 가족관계 질문은 가족내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관계에서의 만족감이 높은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되고, 사회지지 질문은 동료, 친구, 가족구성원들과의 지지기반을 통해 스트레스 완충을 높일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되며, 자살척도 질문은 자살관념이 높아 무망감에서 자살행위에 대한 생각과 계획을 자주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되고, 외상후 스트레스 질문은 끔찍한 사건을 경험한 뒤, 그와 관련하여 강한 두려움이나 공포로 현재도 매우 고통스러울 수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또한, 흥미영역 질문은 현재 흥미를 가지고 있는 영역을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되고, 불만족과업 질문은 만족스럽지 못한 과업영역을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되며, 성취수준 질문은 현재 전반적인 과업 성취 수준이 어느정도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된다.
한편, 도6은 도2에 도시된 정보분석처리부(120)의 내부구성을 블럭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분석처리부(120)는 타당도 분석처리블럭(121)과, 인지특성 분석처리블럭(122), 감각특성 분석처리블럭(123), 방해요인 분석처리블럭(124) 및, APL 분석처리블럭(1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당도 분석처리블럭(121)은 타당도 질문에 대한 응답에 대응되는 수치값을 근거로 왜곡가능성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상기 타당도 분석처리블럭(121)은 각 질문별 응답 수치를 합산하고, 이 합산된 점수에 대해 타당도 응답에 대한 표준화 표본의 원 점수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설정하였을 때의 환산점수 즉, T점수를 산출한 후, 이 타당도 T점수와 기준점수를 비교하여 기준점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응답에 왜곡이 있다고 판단한다. 이때, 도3a에 도시된 각 타당도 질문항목별 기준점수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저빈도 질문그룹에 대해서는 기준점수가 75점으로 T점수가 75점 이상인 경우 피검사자가 문항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하며, 독해력문제, 무선반응, 정신적 혼동, 채점 오류 문항에 대한 특이한 반응 특성 등과 같은 잠정적 원인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으며 재시험을 요구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또한, 비일관성 질문에 대해서는 기준점수가 76점으로 T점수가 76점 이상인 경우 부주의, 독해력 문제, 정신적 혼돈, 채점 오류 등을 포함한 다양한 원인이 가정되어야 하며 임상적 해석은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분석한다. 또한, 부정적 인상 질문에 대해서는 기준점수가 85점으로 T점수가 85점 이상인 경우 자신의 생활에 대해 매우 부정적인 평가나 불만을 시사하는 것으로 부주의한 반응, 불만 또는 부정적 환경 평가, 부정적 과장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해석에 주의가 요구된다고 분석한다. 또한, 긍정적 인상 질문에 대해서는 기준점수가 71점으로 T점수가 71점 이상인 경우 대부분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단점도 없다고 반응한 경우로 타당성의 문제를 의심할 필요가 있으며 해석의 보류가 바람직하다고 분석한다.
상기 인지특성 분석처리블럭(122)은 인지특성 질문에 대한 응답에 대응되는 수치값을 근거로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 성향을 분석한다. 예컨대, 상기 인지특성 분석처리블럭(122)은 각 인지특성 질문그룹별 응답 수치를 합산하고, 이 합산된 점수에 대해 인지특성 응답에 대한 표준화 표본의 원 점수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설정하였을 때의 환산점수 즉, T점수를 산출한 후, 이 인지특성 T점수와 기준점수를 비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T점수를 갖는 인지특성 항목을 근거로 인지특성 성향을 분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지특성 분석처리블럭(122)에서 생성되는 인지특성 성향별 분석내용을 개략적으로 기술하였다.
1. 순차처리 성향 분석
순차처리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좌반구 우세형이며 순서대로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사고와 눈에 보이는 사실 처리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즉, 순차처리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규칙적이고 순차적인 일, 구조화된 일, 명료하게 정해진 예측 가능한 일을 선호하고, 모호하고 비 구조화된 일을 어려워 한다. 또한, 순차처리 성향의 적성특성(Personality)은 성실하고 일관성 있으면 정확한 것을 선호하고, 모호한 상황 대처에 약하다. 또한, 순차처리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꾸준함, 반복학습, 구조화된 학습 환경, 순차적 특성의 교과목을 선호하고, 행동 실천력이 약하며, 정답 없는 서술형에 약하다.
2. 변칙처리 성향 분석
변칙처리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우반구 우세형이며, 덩어리 형태의 인지처리와 직감적이고 눈에 보이지 않는 사고처리에 강한 특성을 갖는다. 즉, 변칙처리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규칙보다는 변화있는 일을 선호하고, 구조화된 규칙적인 일을 지루해하며, 실수가 많으나, 새로운 일을 만들어가고 모호한 일을 유연성 있게 처리하고 변화 대처력이 강하다. 변칙처리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유연성이 있고 비일관성을 가지며, 정확성이 약하고, 감성적이다. 변칙처리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반복 학습을 싫어하고, 구조화된 학습 환경에서 산만하며, 국어와 같은 정확한 공식이 없는 의미 추론과목을 선호하고, 좋아하는 과목만 열중하고, 행동 실천력이 꾸준하지 못하다.
3. 현상적 사고 성향 분석
현상적 사고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실제로 오감을 통해 들어오는 사실정보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반응과 체험과 참여한 대한 관심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다. 즉, 현상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눈에 보이는 지각적인 활동을 선호하고, 섬세하며, 꼼꼼하다. 현상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외부자극에 민감하고 자상하며 소심하다. 현상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오감적 체험을 통한 체험식 경험과 학습과 체험활동, 실험 등 오감을 활용하는 실습을 선호하고 원리만 간단히 설명하는 방식보다 구체적인 실습이 필요하다.
4. 추상적 사고 성향 분석
추상적 사고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개념형성과 현상을 추상적 개념으로 다루고 범주화 및 일반화함으로써 머릿속으로 미리 상상하여 계획을 세우거나 오감을 통한 직접적인 자극상황을 넘어서서 상상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즉, 추상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구상, 기획, 전력 설계, 판단 및 결정 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추상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합리적이고 사소한 것에 크게 진지하지 않은 편이며, 냉정한 느낌도 들 수 있다. 추상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원리적 개념에 대한 이해가 높아 들인 시간에 비해 학습능력이 우수하고, 주제를 주고 알아오게 한 후 토론하는 수업이 효과적이며, 혼자 연구할 수 있는 시간을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5. 순차-현상적 사고 성향 분석
순차적 사고 질문과 현상적 사고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성실하고 현실적 감각을 기반으로 하는 오감을 이용한 사고, 세부적인 정보를 기억하고 일정한 절차와 과정을 중시하며, 구체적인 지시나 방법에 잘 따르는 특성을 갖는다. 즉, 순차-현상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통제와 예측이 가능한 일을 선호하고, 언어교류보다 일에 집중하고, 실천력이 우수한 경향을 보인다. 또한, 순차-현상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성실, 근면하고 꼼꼼하며 명료한 것을 선호하고, 예측 가능하며 성실함과 책임감이 우수하여 타인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다. 순차-현상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구조화된 환경을 선호하고 전체보다 세부적 과제를 잘 수행하며, 사실적 데이터나 순서 및 단계가 있는 학습을 선호하여 역사/수학/과학 계통을 선호하고, 규칙을 잘 따르며, 성실하여 과제나 준비물 완성도가 높다.
이때, 상기 순차-현상적 사고 성향에 대해서는 미발달상태 즉, T값이 기준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는 변칙처리와 추상적 사고에 대한 합산점수가 제1 임계치 미만인지와 제2 임계치 이상인지에 따른 2차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순차-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변칙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정서적 공감능력이 낮아 정서반응이 적고, 감성보다 이성적인 특성을 보인다. 또한, 순차-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변칙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정서적 공감능력이 양호하고 유연한 사고의 특성도 지녀서 문제 해결능력이 비교적 괜찮은 특성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순차-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추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고학년이 올라갈수록 원리나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일 수 있어, 노력에 비해 성적이 오르지 않을 수 있고, 수학이나 과학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어려움을 보일 수 있으며, 스스로 목표에 대한 전략이나 계획을 세우는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순차-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변칙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원리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력이 있어 학업수행을 잘 할 수 있고, 추진하고자 하는 목표의 구상이나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등의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6. 순차-추상적 사고 성향 분석
순차처리 질문과 추상적 사고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판단력과 전략설계에 대한 통찰력이 우수하며 순차적인 특성으로 성실하고 체계적인 특성이 강하여 리더쉽이 있고, 빠른 판단력과 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즉, 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리더쉽이 있고 추상적 사고력이 우수하여, 합리적 의사 결정 능력과, 조직 및 작업파악 능력이 뛰어나며, 협력작업 보다는 개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일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다. 또한, 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분석적이거나 현학적이고 논리적 의사소통에 능할 수 있으며, 목표 지향적이고 진취적이며 체계적인 특성이 있으며, 원칙을 중식하고, 일에 대한 계획과 꾸준한 실천력 및 추진력을 보이지만 타인과의 정서적 공감능력이 약할 수 있고 자기주장이 강할 수 있다. 또한, 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핵심파악능력과 탐구능력이 우수하며 지적 호기심이 강할 수 있으며, 혼자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새로운 개념과 미래에 관심이 많고, 자신에 대한 동기부여 능력이 우수함으로 장기목표설정이 중요하다.
이때, 상기 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에 대해서는 미발달상태 즉, T값이 기준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는 변칙처리와 현상적 사고에 대한 합산점수가 제1 임계치 미만인지와 제2 임계치 이상인지에 따른 2차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변칙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합리성과 성실한 특성을 가진 개인이지만, 정서적 공감능력이 낮아 정서반응이 적고, 감성보다 이성적인 특성을 보일 수 있으며, 학습능력이 우수하여 노력한 시간에 비하여 성취가 클 수 있지만, 타인과 어울리고 협력하려는 노력이 약할 수 있다. 또한, 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변칙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합리성과 감수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 감성능력과 대인관계에 크게 어려움이 없다. 또한, 즉, 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현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큰 줄기의 전략과 기획능력이 우수하지만 세부적인 현실성이 다소 낮아 계획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어 현실감있는 전략설계를 구상할 필요가 있으며, 섬세함이 약하여 꼼꼼함이 약할 수 있다. 또한, 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현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성인 경우에는 큰 윤곽의 전략을 구상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계획대로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세부적인 현실성이 있고, 전체성과 섬세함이 공존한다.
7. 변칙-현상적 사고 성향 분석
변칙처리 질문과 현상적 사고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대안적 방법과 새로운 체계를 선호하고, 확산적 사고를 하며,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지만 실험적 사고를 하고, 틀에 박히지 않은 행동양식을 보이며 자신만의 아이디어와 나름대로의 방식을 추구하고,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한다. 즉, 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팀플레이를 선호하고 대인관계 기술이 높아 타인의 복지와 사회적 서비스에 능할 수 있으며, 현실에 바탕을 둔 실험적 사고를 한다. 또한, 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사회적 관계에서 유연성이 높고 친밀한 의사소통을 선호하며, 타인에게 따뜻하고 관대할 수 있고, 선호도가 뚜렷하여 흥미가 없으면 열정을 갖지 않으며, 감정기복이 심해 틀에 박히지 않은 행동양식을 보이고,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고 타인의 관심과 사랑, 정서적 지지에 민감할 수 있다. 또한, 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주변정리와 시간관리가 어렵고 일 마무리를 못할 수 있으며, 경쟁적 과제보다 협동적 과제와 친밀감을 선호할 수 있고, 동기가 없는 분야는 주의력과 실행력이 약하므로 환경조성과 동기부여가 일의 성취에 중요한 자원이 된다.
이때, 상기 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에 대해서는 미발달상태 즉, T값이 기준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는 순차처리와 추상적 사고에 대한 합산점수가 제1 임계치 미만인지와 제2 임계치 이상인지에 따른 2차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순차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사회성과 정서적 유대감 및 감수성이 잘 발달되어 있고, 섬세하고 따뜻한 성격이지만, 인내심과 성실한 행동실천력이 약하여 학습이나 업무와 관계된 관계성에서는 다소 성실성이나 일관성이 약할 수 있다. 또한, 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순차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적절한 사회성과 적절한 성실성을 함께 공유할 수 있다. 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추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미래 목표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기 보다 눈에 보이는 현상과 과정에 주의를 둘 수 있고, 목표 지향적인 행동이 낮을 수 있으며, 미래에 대해 스스로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한 체계적인 전력을 세우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추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눈에 보이는 현상과 현재 과정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목적하는 바를 구상할 수 있으며, 섬세함과 합리성이 공존할 수 있다.
8. 변칙-추상적 사고 성향 분석
변칙처리 질문과 추상적 사고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변칙적인 인지처리와 추상적인 사고를 하는 특성이 잘 발달되어 있어 인간행위와 마음의 동요에 민감하고, 발언자의 태도, 방법, 개성을 잘 파악하며, 다양한 아이디어 생산이 우수하고 원리나 개념화가 능하여 창의적이고 직감적인 기획능력이 우수함과 더불어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길 선호하며, 예측가능하기 힘든 행동을 보이고 표현적이며 동기부여를 잘 한다. 즉, 변칙적-추상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표현적이고 타인에게 동기부여를 잘하며 창의적인 일을 선호하고, 사회적, 교육적, 영업적 능력 및 대인관계 능력이 높으나 섬세한 실무적 사무능력은 약할 수 있다. 또한, 변칙적-추상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직감이 발달되어 이성적이기 보다는 감수성이 있고, 대인관계에 유연함을 보이며, 개방성과 독창성이 있어 틀에 박히지 않는 행동양식을 보이는 반면, 선호도가 분명하여 흥미 없는 영역에 대해서는 일관성이 약하고 행동수행력이 약할 수 있다. 또한, 변칙-추상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유추력이 좋고 새로운 것과 변화에 관심이 많으며, 창의성이 있어 응용력이 높지만, 반복되는 과제에 동기를 읽기 쉬워 주의력 감소와 산만한 특징을 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칙-추상적 사고 성향에 대해서는 미발달상태 즉, T값이 기준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는 순차처리와 현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미만인지와 제2 임계치 이상인지에 따른 2차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변칙-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순차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자유롭고 활동적이고 일에 대한 선호도가 분명하여 하고 싶은 일에 주로 몰두하나, 규칙적인 행동실천력이 매우 낮아 꾸준함이 필요한 업무나 학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또한, 변칙-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순차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사고가 자유롭고 창의성과 합리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성실도도 평균적으로 발휘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변칙-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현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큰 윤곽에 대한 전략을 세울 수 있지만, 세부적인 업무는 특정 활동 외에는 대체로 섬세함이 낮을 수 있고 현실감각이 낮을 수 있다. 또한, 변칙-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현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큰 윤곽을 잡는 능력 뿐만 아니라 평균수준의 섬세한 세부 작업에서도 꼼꼼한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9.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성향 분석
순차처리 질문과 추상적 사고 질문 및 변칙처리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정보나 사건을 개념화, 구조화하기를 좋아하고 핵심정보와 아이디어를 쉽게 찾으며 이론을 이해하는 것을 선호함은 물론, 감성 리더쉽능력이 있고 변화에 대한 유연한 사고와 감정적 공감능력으로 인해 사회성이 좋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풍부하여 표현적이며 동기부여를 잘하는 특성을 보인다. 즉, 순차-추상-변칙처리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과 표현적이고 타인에게 동기부여를 잘 하는 감성적인 리더쉽이 있고,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과 조직 및 작업 파악 능력이 우수한 반면, 섬세한 실무적 사무능력을 약하다. 또한,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분석적이고 논리적이면서도 직감이 잘 발달되어 있어 감수성이 있고 대인 관계에 유연함이 있으며, 원리나 개념 중심의 사고방식이 강하여 합리성에 의한 행동을 하고, 자유롭고 자기만의 세계를 추구하는 성향이 강함은 물론, 상상력이 풍부하고 독창적이며 감성적이면서도 이성적인 모습을 보이나, 꼼꼼하고 세부적인 일을 처리하는 기능이 발달되어 있지 못하여 현실적인 감각이 부족할 수 있고, 지금-현재 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사고 및 행동특성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핵심파악 능력과 탐구능력이 우수하며, 지적 호기심이 강하고 혼자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보임은 물론, 새로운 개념과 원리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 많고 창의성이 있어서 응용력이 높지만 반복하는 과제에서는 주의력 감소와 산만한 특징을 보인다.
이때, 상기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성향에 대해서는 미발달상태 즉, T값이 기준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는 현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미만인지와 제2 임계치 이상인지에 따른 2차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성향이면서, 현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규칙적이면서도 추상적 사고능력이 우수하고 감성과 직관력이 발달되어 있어서 창의적인 사고능력이 우수하나, 구체적이고 섬세한 능력이 부족하여 현실감각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성향이면서, 현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규칙적이면서도 추상적 사고능력이 우수하고 감성과 직관력이 발달되어 있어서 창의적인 사고능력이 우수하며, 구체적이고 섬세한 능력도 갖추고 있어서 현실감각이 있고 현실적인 조건이나 상황을 고려하면서 목표지향적인 행동을 조화롭게 유지할 수 있다.
10.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 분석
추상적 사고 질문과 변칙처리 질문 및 현상적 사고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눈에 보이는 것을 감성과 직관력을 가지고 창조적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은 물론, 눈에 보이지 않는 원리나 개념들을 추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조해내는 능력도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즉,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필요로 하는 일에서 자신의 감성과 직관력, 창의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으며, 표현적이고 다른 사람들을 동기 부여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유연한 사고와 감성능력이 뛰어나고, 부드럽고, 따뜻하며 섬세하고 수용적인 특성을 보이는 반면, 성실성이 부족하고 예측가능하지 않은 행동특성을 보인다. 또한,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창의성이 있어 응용력이 높지만 반복되는 과제나 흥미가 없는 영역에서는 동기를 잃기 쉬워 주의력 감소와 산만한 특징을 보인다.
이때, 상기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에 대해서는 미발달상태 즉, T값이 기준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는 순차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미만인지와 제2 임계치 이상인지에 따른 2차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순차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눈에 보이는 것을 물론 보이지 않는 원리나 개념 등을 변칙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우수하며 감성과 직관 및 창의적인 특성이 발달되어 있고, 대인관게 유연성이 있으나, 구조화된 환경과 반복되는 과제를 싫어하며 시스템적인 사고가 약한 모습을 보임은 물론, 규칙적이지 않아 일관성이 없고 성실하지 못한 특성을 보인다.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순차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변칙적인 사고능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적인 사고도 발달되어 있어서 규칙적이고 예측가능하며 성실한 특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
11.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성향 분석
변칙처리 질문과 및 현상적 사고 질문 및 순차처리 질문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눈에 보이는 현상을 중심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는 지금-현재 지향적인 특성이 강한 반면,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원리나 개념 중심의 사고능력은 약한 모습을 보이며, 구체적인 사실이나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순서적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강하며 규칙적인 모습을 보이면서도 관계에서의 유연성 및 사물을 창의적으로 변화시키는 능력도 지니고 있다. 즉,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안정되고 시스템이 갖춰진 직장에서 인정받고 수용 받는 분위기가 조성될 때, 그리고 옵션이 있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업무를 수행할 때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목표를 구상하고 전략을 짜고 하는 등의 큰 틀을 짜는 하는 등의 큰 클을 짜는 일 보다는 이미 짜여진 틀 속에서의 구체적이고 섬세한 변화를 추구하는 일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굉장히 성실하면서도 인정 많고 부드러운 성격을 지닌 사람으로, 현실지향적인 특성을 보여 미래보다는 현실의 흥미나 즐거움을 추구하고, 결과보다는 과정 중심적인 행동특성을 보이나, 관계적인 욕구가 강하여 인정, 칭찬 받는 것을 좋아하고 거절이나 부정의 단서에 민감한 특성을 나타내기도 하며 우울이나 불안 등의 정서를 지니기도 한다. 또한,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오감을 통한 구체적 학습 환경을 선호하고, 경쟁적 과제보다는 협동적 과제를 좋아하며, 전체적이기 보다는 세부적 과제를 잘 수행하고 동기부여가 중요하며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해주서야 실행력이 생길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성향에 대해서는 미발달상태 즉, T값이 기준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는 추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미만인지와 제2 임계치 이상인지에 따른 2차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성향이면서, 추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현실지향적인 사고 특성을 지니며 추상적 사고능력이 약하여 목표추구적인 행동이나 주도적인 행동이 약할 수 있고, 원리나 개념중심의 인지특성이 약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성향이면서, 추상적 사고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현실지향적인 사고 특성을 보이면서 추상적 사고능력도 지니고 있어서 목표 추구적인 행동이나 주도적인 행동능력도 가지며, 원리나 개념중심의 인지처리 능력도 지니고 있어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12.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성향 분석
현상적 사고 질문과 순차처리 질문 및 추상적 사고에 대한 T 점수만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눈에 보이는 것과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성실하게 처리하는 능력이 우수하고, 시스템적인 사고로 인해 규칙적이고 일관성 있는 예측이 가능하며, 체계적이고 행동조절력이 강한 모습을 보이는 반면, 지나치게 틀에 얽매이는 원칙적인 사고를 하며 감정적인 공감능력이 약하고 유연성이 부족하여 대인관계 갈등이 많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현실적인 감각과 추상적인 사고능력이 우수하며 사물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개념별로 구조화하는 능력은 우수하나, 정서적 공감능력이 약하고 변화에 대한 유연성이 부족하여 언어를 매개로 하는 인관관계 업무영역보다는 사물을 다루거나 일을 중심으로 하는 구조화된 환경에서 업무능력을 인정 받을 수 있다. 또한,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분석적이고 논리적인 의사소통에 능할 수 있으며, 규칙적이어서 매우 성실한 모습을 보이며 일관되고 예측 가능한 행동을 보임은 물론, 목표를 세우고 실천해 나가는 행동실천력이 뛰어나며 자기 통제력이 우수하여 주변환경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꾸준한 특성을 보이는 반면, 유연성이 부족하여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많이 겪을 수 있으며 지시적이고 비판적인 모습을 보일 수 있다. 또한,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핵심파악 능력과 탐구능력이 우수하며 지적 호기심이 강하고 구조화된 학습 환경을 선호하며, 분명한 원리와 개념이 형성되기까지 꾸준히 반복하는 특성을 보이며,자신에 대한 동기부여 능력이 우수하여 목표설정과 구체적인 방법론을 알게 되면 과제 수행력이 우수하여 많은 학업성취를 이루어내는 특성이 있다.
이때, 상기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에 대해서는 미발달상태 즉, T값이 기준수치 미만으로 판단되는 변칙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미만인지와 제2 임계치 이상인지에 따른 2차 분석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변칙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1 임계치, 예컨대 30 미만인 경우에는 순차적인 인지기능과 구체적 및 추상적인 사고능력이 우수하여 매우 성실하며 목표지향적인 행동특성을 보이나 변칙적 사고능력이 약하여 감성 및 정서 공감능력이 약하고 변화에 유연하지 못한 특성을 보인다. 또한,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성향이면서, 변칙처리에 대한 점수가 제2 임계치, 예컨대 40 이상인 경우에는 매우 성실하고 목표지향적인 특성을 보이면서도 변칙처리능력을 지니고 있어서 창의적이고 감정 공감능력이 있으며 변화에 유연한 특성을 보인다.
13. 전뇌 발달형 분석
각 인지특성 질문그룹에 대한 T 점수가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로서, 순차적인 인지처리 및 변칙적인 인지처리가 가능하고 구체적이면서도 추상적인 사고능력이 발달되어 있어 현실 감각에 바탕을 둔 합리적인 목표 설정과 실행력이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즉, 순차-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의 적성특성(Aptitude)은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면서 새로운 원리나 개념,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 내는 능력이 우수하며,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균형 잡힌 감각으로 합리성과 조화로움을 추구하며 모두에게 이로운 결과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순차-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의 성격특성(Personality)은 모든 것을 수용하는 넓은 포용력과 인간미 넘치는 사랑이 가득한 성품을 지니고 있으며, 성실하고 책임감이 강하여 원칙이 있으면서도 융통성이 있고 합리적이면서도 따뜻한 감성이 있으며, 미래를 추구하면서 현재를 놓치지 않는 행동특성을 보인다. 또한, 순차-추상-변칙-현상적 사고 성향의 학습특성(Learning)은 추상적인 사고능력이 우수하여 원리나 개념중심의 학습을 선호하고 분명한 학습목표를 세우고 이를 계획적으로 성실하게 하나하나 실천해 가는 특성을 보임은 물론, 핵심파악 능력과 탐구능력이 우수하여 지적호기심이 강하고, 자유롭고 수용적인 학습 환경을 선호하며, 주제를 탐구하고 혼자 물제를 해결해나가는 능력이 우수하다.
14. 전뇌 미발달형 분석
각 인지특성 질문그룹에 대한 T 점수가 모두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로, 전반적인 뇌기능 발달이 미약한 사람들로서 생각보다는 감정이나 욕구에 의해 지배받는 행동특성을 보이며, 대인관계도 자기중심적이고 착취적인 특성을 보인다.
도7a 내지 도7c는 상기 인지특성 분석처리블럭(122)에서 처리되는 인지특성 분석처리 결과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으로, 도7a는 적성특성(Aptitude)을 도식화 한 도면이고, 도7b는 성격특성(Personality)을 도식화한 도면이며, 도7c는 학습특성(Learning)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한편, 도6에서 감각특성 분석처리블럭(123)은 감각특성 질문에 대한 응답에 대응되는 수치값을 근거로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의 발달에 따른 청각, 시각, 운동감각의 상태를 분석한다. 예컨대, 상기 감각특성 분석처리블럭(123)은 각 감각특성 질문별 응답 수치를 합산하고, 이 합산된 점수에 대해 감각특성 응답에 대한 표준화 표본의 원 점수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설정하였을 때의 환산점수 즉, T점수를 산출한 후, 이 감각특성 T점수와 기준점수를 비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T점수를 갖는 감각특성 상태를 근거로 감각특성 성향을 분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감각특성 분석처리블럭(123)에서 생성되는 감각특성 성향별 분석내용을 개략적으로 기술하였다.
21. 측두엽-청각
측두엽 발달에 따른 청감각 질문에 대한 점수가 높은 경우로, 토론을 좋아하고 말을 할 때 높낮이를 변화시켜 감정을 표현하며, 기억을 잘 하고 다른 사람이 이야기한 단어나 생각들을 잘 떠올리며, 어휘력이 풍부하고 일을 하면서 중얼거리는 습관이 있으며 소음에 민감하다.
22. 후두엽-시각
후두엽 발달에 따른 시감각 질문에 대한 점수가 높은 경우로, 남들을 의식하며 멋을 추구하는 색상의 옷을 즐겨입고, 색에 민감하며 깔끔하게 정돈된 것을 좋아하고, 주변의 세세한 것까지 관찰하며, 그림이나 표, 지도 등을 제시한 정보를 잘 이해하고 잘 기억한다. 소음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글을 빨리 읽는다.
23. 두정엽-운동감각
두정엽 발달에 따른 운동감각 질문에 대한 점수가 높은 경우로, 춤과 등산 같은 활동을 좋아하고 신체적인 감각을 통해 정서를 느끼며, 손을 많이 움직이면서 이야기하고 창의적 활동을 통한 학습형태를 선호한다. 또한, 사건을 잘 기억하며 시범에 따른 학습을 좋아하고 물체를 조작하면서 개념을 익힌다.
한편, 도6에서 방해요인 분석처리블럭(123)은 학생용과 성인용 방해요인 질문에 대한 응답에 대응되는 수치값을 근거로 방해요인 특성을 각각 구분하여 분석한다. 예컨대, 상기 방해요인 분석처리블럭(124)은 각 방해요인 질문별 응답 수치를 합산하고, 이 합산된 점수에 대해 방해요인 응답에 대한 표준화 표본의 원 점수 평균을 "50", 표준편차를 "10"으로 설정하였을 때의 환산점수 즉, T점수를 산출한 후, 이 방해요인 T점수와 기준점수를 비교하여 기준점수 이상의 T점수를 갖는 방해요인 상태를 근거로 방해요인 성향을 분석한다. 여기서, 학생용 방해요인 분석처리는 성실성, 학습주도성, 학습동기, 학습효능감, 시험불안, 학업스트레스, 학습습관, 공부방법, 집중력, 가족지지에 대한 질문그룹에 대한 각각의 T점수를 산출하고, 성인용 방해요인 분석처리는 주도성, 치료의지, 심리적 유연성, 자기 효능감, 불안, 우울증, 가족관계, 사회지지, 자살척도, 외상후 스트레스에 대한 질문그룹에 대한 각각의 T 점수를 산출하여 T 점수에 대응되는 방해요인 특성을 분석한다. 예컨대, 성실성에 대한 T점수가 51점 이상인 경우, 성실한 특성이 높아 주어진 과제와 계획한 작업을 끈기 있게 꾸준히 실천하는 경향이 있어 학습과 업무에 성실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6에서 APL 분석처리블럭(124)은 인지특성 분석결과와 감각특성 분석결과를 조합하여 이에 대응되는 종합적인 APL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APL 분석처리블럭(124)은 상기 타당성 분석처리블럭(121)과, 인지특성 분석처리블럭(122) 및 감각특성 분석처리블럭(123)으로부터 제공되는 각 질문그룹에 대한 분석정보와 상기 APL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APL 종합분석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도8은 상기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의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APL 분석장치(100)로 분석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일련의 등록처리, 예컨대 회원가입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사용자정보의 등록은 운용자가 APL 분석장치(100)를 통해 직접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명, 나이, 연락처 등을 포함하는 개인정보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단말(200)로부터 APL정보 분석 서비스요구정보가 APL 분석장치(100)로 인가되면(ST1), APL 분석장치(100)는 APL정보 분석을 위한 질문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ST2). 이때, 상기 질문정보는 도3a 내지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당도 질문항목과, 인지특성 질문항목, 감각특성 질문항목 및 방해요인 질문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제공되는 질문정보에 대해 응답정보를 선택하여 APL 분석장치(100)로 제공한다(ST3). 즉, 사용자는 사용자단말(200)로 표시출력되는 각 질문에 대해 "매우그렇다/그렇다/보통이다/그렇지않다/매우 그렇지않다" 중 하나의 응답정보를 선택하여 선택된 응답정보를 사용자단말(200)을 통해 APL 분석장치(1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질문별 응답정보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한다.
이어, 사용자가 질문정보에 대한 응답을 완료하게 되면, APL 분석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질문별 응답정보를 근거로 정보분석처리를 수행한다.
즉, APL 분석장치(100)는 먼저 정보분석처리부(120)를 통해 타당도 특성을 분석한다(ST4). 이때, APL 분석장치(100)는 타당도 질문항목에 대한 T점수를 산출하여, T점수가 기준 점수 미만인 경우 재검사를 요청할 수 있다.
이어, APL 분석장치(100)는 상기 ST4단계에서 타당도 특성에 대한 T점수가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 인지특성 및 감각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T5). 즉, APL 분석장치(100)는 정보분석처리부(120)를 통해 인지특성 질문항목에 대한 순차처리/변칙처리/현상적 사고/추상적 사고 질문그룹별 T점수를 산출하여 기준점수와 비교함으로써, 인지특성 성향 다시 말해,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 순차-현상적사고, 순차-추상적사고, 변칙-현상적 사고, 변칙-추상적 사고,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전뇌 발달형, 전뇌 미발달형 중 하나의 성향을 분류하고, 해당 인지특성 성향에 대응되는 분석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독출하여 인지특성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APL 분석장치(100)는 정보분석처리부(120)를 통해 감각특성 질문항목에 대한 측두엽/후두엽/두정엽 질문그룹별 각 T점수를 산출하여 기준점수와 비교함으로써, 감각특성 성향 다시 말해, 측두엽/후두엽/두정엽 성향을 분류하고, 해당 감각특성 성향에 대응되는 분석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독출하여 감각특성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APL 분석장치(100)는 상기 ST4단계에서 타당도 특성에 대한 T점수가 기준점수 이상인 경우 방해요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다(ST6). 이때,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사용자의 나이 및 직업 등의 등록정보를 근거로 학생용 또는 성인용 방해요인 질문항목에 대한 T점수를 산출하고, T점수에 따른 방해요인 분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서 독출하여 방해요인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상기 ST5 단계에서 생성된 인지특성 결과와 감각특성 결과정보를 근거로, 이에 대응되는 해당 사용자의 적성, 성격, 학습 분석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0)에서 독출하여 APL 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ST6단계에서 생성된 방해요인 분석정보를 추가하여 APL종합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검사자의 특성에 따라, 학생과 부모, 학생과 교사, 상사와 직원 등과 같이 상호 관계성이 있는 사용자간의 조합분석정보의 제공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ST5 내지 ST7 단계에서 생성된 인지특성 성향 분석정보와 감각특성 성향 분석정보, 방해요인 분석정보 및 APL분석정보를 포함하는 APL 종합분석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의 응답정보의 선택 완료시 상술한 분석처리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도록 실시하거나 또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분석결과의 요청이 있는 경우, 예컨대 사용자가 사용자로단말(200)을 통해 "결과보기"항목(미도시)을 선택한 경우, 해당 분석결과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도9a 내지 도9c는 사용자단말(200)로 제공되는 APL 분석결과정보를 예시한 도면으로, 아이(학생)와 부모(성인)의 APL종합분석정보가 도시되어 있다. 도9a 내지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L 종합분석결과정보는 아이와 부모에 대한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및 방해요인별 T점수(도9a)와,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및 방해요인별 분석내용(도9b) 및, APL 분석정보(도9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APL 분석정보(도9c)는 상기 인지특성(도9b)과 감각특성(도9b)을 조합하여 생성되는 성향에 대응되는 적성,성격,학습 분석결과이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전두엽 발달에 따른 인지특성 성향과,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 발달에 따른 감각특성 성향 및, 이 인지특성 성향과 감각특성 성향에 기반한 적성-성격-학습 성향에 대한 분석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분석을 위한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정보의 타당성을 분석함으로써, 해당 검사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분석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뇌발달 상태에 따른 분석정보 뿐 아니라, 사용자의 임상척도에 따른 방해요인에 대한 분석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종합적인 분석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인지특성 성향과 감각특성 성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인지특성 성향은 총 14개로 분류하고, 감각특성 성향은 측두엽과 후두엽 및 두정엽의 3개 특성으로만 분류하여 이들 조합에 따른 성향을 근거로 분석결과를 제공하도록 실시하였다.
그러나, 학자들의 실증된 신경심리 연구결과물들에 근거할 때, 같은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이라 하더라도 좌반구와 우반구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예들 들어 좌측두엽이 잘 기능하는 사람은 순서대로 제시되는 청각자극을 잘 처리할 수 있지만 우측두엽은 잘 기능하더라도 이러한 능력과 관련이 없다.
따라서, 학자들의 실증연구에서 각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이 좌.우반구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한다는 근거를 토대로 3가지가 아닌 6가지로 잠재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두엽과 6개의 측두엽,후두엽,두정엽을 조합하여 적성, 성격, 학습특성에 대한 분석자료를 제공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10은 뇌의 모양을 모형화한 도안으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의 위치에 따라 전두엽(X)과 측두엽(T), 후두엽(O), 두정엽(P)으로 구분되고, 전두엽(X)은 기능에 따라 순차처리 영역(S)과, 추상처리 영역(A), 조합처리 영역(R) 및 현상처리 영역(F)으로 구분된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뇌는 크게 좌반구(Left)와 우반구(Right)로 나뉠 수 있으며, 좌반구와 우반구 분류기준에 따라 그 발달 위치를 근거로 좌전두엽에 대해서는 순차-추상처리 영역(SA)과, 순차-현상처리 영역(SF)으로 구분하고, 우전두엽에 대해서는 조합-추상처리 영역(RA)과, 조합-현상처리 영역(RF)으로 구분하여 총 4개 영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측두엽(T), 후두엽(O), 두정엽(P)에 대해서도 좌반구(Left) 영역과 우반구(Right)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 바, 이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두엽(LT), 좌후두엽(LO), 좌두정엽(LP), 우측두엽(RT), 우후두엽(RO), 우두정엽(RP)의 6개 영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두엽(LT)은 순차적 언어에 관련된 영역으로, 음소와 음절을 잘 구분하고, 연속적인 문장이나 강의식 언어들을 정확히 처리하며, 습득된 지식을 처리하는데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좌후두엽(LO)은 순차적 시각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연속적이고 시각적이며, 사실적이고 체계적인 시각정보를 처리하는데 우수하고, 관찰력이 높으며 빠진 곳을 잘 찾는다. 또한, 상기 좌두정엽(LP)은 공간/배열/위치/운동/신체 감각과 관련된 영역으로 순차적인 기계조립이나 토막 맞추고 짜기 능력이 우수하고, 순서적 배열 및 공간적 능력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우측두엽(RT)은 청크식적인 감각적 언어처리에 관련된 영역으로, 눈에 안보이는 리듬이나 감성적인 글, 사실이 아닌 꾸미는 글의 처리가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우후두엽(RO)은 청크적인 직감적 시각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덩어리식 감각적 시각처리와 시각적 디자인감 및 색채감을 감각적으로 처리하는데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우두정엽(RP)은 공간/배열/위치/운동 등의 신체감각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공간과 배열의 미와 감각이 우수하고, 동시적인 운동이나 감각적 신체 움직임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뇌를 좌반구와 우반구로 구분하여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인지특성 성향과, 6개의 감각특성 성향에 따른 12개 조합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APL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뇌의 좌반구에 대하여 좌전두엽 영역인 순차-추상처리 영역(SA)과, 순차-현상처리 영역(SF)에 대한 좌측두엽(LT), 좌후두엽(LO), 좌두정엽(LP) 영역의 6개 성향을 구분하고, 뇌의 우반구에 대하여 우전두엽 영역인 조합-추상처리 영역(RA)과, 조합-현상처리 영역(RF)에 대한 우측두엽(RT), 우후두엽(RO), 우두정엽(RP) 영역의 6개 성향을 구분하여 사용자 성향에 대응되는 적성특성 또는 성격특성 또는 학습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APL 분석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APL 분석정보는 적성특성 또는 성격특성 또는 학습특성에 대한 APL분석정보를 각각 제공하거나 또는 동시에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 구분에 따른 분석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APL 분석시스템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APL 분석시스템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즉, 도1에서 APL 분석장치(100)는 상기 사용자단말(200)로 정보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APL 분석장치(100)에서 상기 사용자단말(200)로 제공되는 질문정보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나는 교과서만 읽으면 이해가 다 잘된다.
2. 나는 구체적인 지시나 절차가 있는 방식을 좋아한다.
3. 나는 지적 호기심이 많은 편이다.
4. 나는 책보다는 실제로 보이는 사물이나 사람에 관심을 갖는 편이다.
5. 나는 할 일이 있어도 하고 싶은 일이 아니면 자주 미룬다.
6. 나는 지시만 해주면 어떤 영역의 일이든 모두 만족스럽게 해낸다.
7. 나는 책을 많이 읽는 편이다.
8. 나는 작은 일에도 신경이 쓰이는 편이다.
9. 나는 익숙한 것보다 새로운 것에 관심이 더 많다.
10. 나는 다른 사람에 비해 규칙을 잘 지키는 편이다.
11. 나는 학자들의 사상이나 이론이 담긴 책을 읽어도 재미있고 이해도 잘 된다.
12. 나는 손을 움직여 사물을 만들거나 조작하는 것을 좋아한다.
13. 나는 다른 사람에 비해 창의성이 높은 편이다.
14. 나는 상상하는 동화책 종류보다 사실적인 과학책 종류를 더 좋아했다.
15. 나는 원리나 개념에 대해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다.
16. 나는 이론보다는 사람 또는 사물을 보고 듣고 경험하는 것에 예민한 편이다.
17. 나는 미리미리 준비하지 않는다는 말을 듣는 편이다.
18. 나는 한번에 여러 가지 일을 하기보다, 순서대로 한 가지씩 일을 끝내는 편이다
19. 나는 사물의 모습이 달라지면 무엇이 달라졌는지 바로 알아 챈다.
20. 나는 책 읽을 때 내 생각을 덧붙이는 편이다.
21. 나는 다른 아이들에 비해 다소 차분하지 못한 편이다.
22. 대부분의 사람들은 치과에 가기를 좋아한다.
23. 나는 누가 도와주는 것 보다 혼자 터득하며 공부하는 것을 좋아한다.
24. 나는 다른 사람과 이야기 할 때 주목받는 의견이 없어 주로 듣는 편이다.
25. 나는 일이 어렵지 않아도 흥미가 없으면 끝까지 완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26. 나는 핵심만 간단하게 설명하는 것보다 자세하게 설명해 주는 것이 더 좋다.
27. 나는 관심있는 분야를 스스로 탐구하며 알아가는 것을 좋아한다.
28. 나는 사람이나 사물에 대한 관찰력이 좋은 편이다.
29. 나는 대체로 주의가 산만한 편이다.
30. 나는 비교적 계획대로 실천하는 편이다.
31. 나는 복잡한 이론들을 생각하는 것은 머리 아프다.
32. 나는 남들에 비해 논리성이 부족한 것 같다.
33. 나는 좀 더 신중했으면 좋았겠다고 생각한 적이 거의 없다.
34. 나는 무엇을 시작하기 전에 할 일을 미리 계획을 세워야 마음이 편하다.
35. 나는 눈에 안 보이는 생각보다 눈에 보이는 사물에 관심이 많다.
36. 내 생각을 발표하는 것이 어렵다.
37. 나는 다른 아이들에 비해 성실하지 못한 편이다.
38. 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감정을 알아채는 눈치가 예민하지 못한 편이다.
39. 나는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예민한 편이다.
40. 나는 혼자보다 여럿이 협동하는 과제를 선호한다.
41. 나는 일정한 틀이 있는 환경에서 적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42. 나는 준비물을 꼼꼼하게 챙기는 편이다.
43. 나는 선생님한테 배우는 수업보다 직접 토론에 참여하는 수업을 더 선호한다.
44. 나는 이론보다는 직접 보고, 듣고, 해보는 경험을 더 선호한다.
45. 나는 반복되는 내용이나 일은 금방 지루해진다.
46. 나는 주어진 일에 비교적 꾸준하고 성실한 편이다.
47. 나는 미래 목표달성 보다는 현재 일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48. 나는 대체로 세부적인 것까지 신경을 쓰는 편이다.
49. 나는 다른 아이들에 비해 친구들이 많은 편이다.
50. 내 생각을 쓰는 문제보다 정답이 있는 문제가 더 편하다.
51. 나는 감정보다는 합리적인 편이다.
52. 나는 실습 위주의 수업이 재미있다.
53. 나는 정해진 대로 따르기보다 내 방식대로 하는 편이다.
54. 나는 어른들에게 한 번도 꾸중을 듣지 않았다.
55. 나는 일을 어떻게 해야 할지 스스로 전략을 잘 짜는 편이다.
56. 나는 작은 일에도 소심해 지는 편이다.
57. 나는 정해져있는 글을 쓰는 것보다, 마음대로 상상하여 쓰는 것이 더 좋다.
58. 나는 다른 사람을 실망시킨 적이 없다.
59. 나는 어떤 것을 추론하는 주제 보다는 구체적인 사실 데이터를 더 선호한다.
60. 나는 리더쉽이 있는 편이다.
61. 나는 교과서를 꼼꼼하게 보는 것이 어렵다.
62. 나는 스스로 목표를 정하고 추진하는 것을 선호하는 편이다.
63. 나는 사람이나 사물의 생긴 모양에 관심이 없는 편이다.
64. 나는 퍼즐이나 조각 맞추는 것을 잘 한다.
65. 나는 보는 것 보다 설명해주는 것을 더 좋아한다.
66. 나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 눈썰미가 있다.
67. 나는 부지런한 편이다.
68. 나는 가만히 있기보다 활동하는 편이다.
69. 나는 듣는 것보다 보는 것을 잘 기억한다.
70. 나는 공부할 때 노트나 책에 중요한 내용을 잘 정리하지 않는 편이다.
71. 나는 몸을 움직이며 하는 활동을 좋아한다.
72. 나는 책보다 체험을 통해 익히는 것을 선호한다.
73. 나는 글로 설명하기보다 말로 설명하는 것을 좋아한다.
74. 나는 실제 체험 활동을 좋아한다.
75. 나는 한번 본 것을 잘 기억하는 편이다.
76. 나는 구두로 된 지시보다 문자화된 지시사항을 선호한다.
77. 나는 관찰력이 좋은 편이다.
78. 나는 설명들은 것은 잘 기억하지 못하는 편이다.
79. 나는 선생님이 설명하는 것에 집중을 잘 못하는 편이다.
80. 책상에 앉아 있기 보다는 운동을 하거나 몸을 움직이는 것이 좋다.
81. 나는 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다.
82. 나는 불행한 운명을 타고 난 것 같다.
83. 나는 몸으로 하는 레크리에이션 시간이 재미있다.
84. 나는 사물의 형태와 모양을 빨리 파악하는 편이다.
85. 나는 기회가 되면 더 잘 듣기 위해 앞자리에 앉는 편이다.
86. 나는 운동을 즐기는 편이다.
87. 나는 다소 감정적인 편이다.
88. 나는 시각적으로 보는 것을 좋아 하는 편이다.
89. 나는 공부할 때 자주 몸을 푸는 행동을 한다.
90. 나는 말로 상세히 설명하기 보다는 직접 해보는 것을 좋아한다.
91. 나는 눈썰미가 있다는 말을 듣는 편이다.
92. 나는 직접 만지거나 실습하며 공부하는 것이 기억이 잘 된다.
93. 나는 물건을 고를 때 시각적인 디자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94. 나는 가만히 앉아 있는 것이 힘들다.
95. 나는 좀 더 신중했으면 좋았겠다고 생각한 적이 거의 없다.
96. 나는 문제가 있는 사람 같다.
97. 나는 만화책 같은 그림이 들어있는 책을 선호하는 편이다.
98. 나는 손으로 다루는 일을 잘하는 편이다.
99. 나는 듣고 말하는 수업을 좋아 한다.
100. 나는 화가 나면 말보다 행동이 앞서는 편이다.
101. 나는 글씨를 잘 못 써서 남들이 알아보기 어렵다.
102. 나는 움직이며 하는 활동을 좋아하는 편이다.
103. 나는 노트나 책에 그림이나 낙서를 잘 하는 편이다.
104. 나는 무엇을 해야 할 때 만지고 경험해야만 잘 이해가 된다.
105. 나는 기억하기 위해서 메모를 잘하는 편이다.
106. 나는 수업시간에 잘 듣는 편이다.
107. 나는 말이나 글로 설명을 듣기보다는 내 손으로 직접 해봐야 직성이 풀린다.
한편, APL 분석장치(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를 기준으로 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순차-추상처리와, 순차-현상처리, 조합-추상처리, 조합-현상처리로 구분되는 4개의 인지특성 성향 중 하나를 분석하고(도12의 제1 단계), 좌측두엽, 좌후두엽, 좌두정엽, 우측두엽, 우후두엽, 우두정엽 발달상태에 따른 청각, 시각, 운동감각에 대한 6개의 감각특성 성향 중 하나를 분석(도12의 제2 단계)함과 더불어, 뇌의 좌반구와 우반구를 기준으로 분석된 상기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결과에 대응되는 적성과 성격 및 학습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도12의 제3단계), 인지특성 성향 분석정보와 감각특성 성향 분석정보 및 적성-성격-학습(APL)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APL 종합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적성-성격-학습(APL) 분석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도12의 제3단계), 좌전두엽 영역인 순차-추상처리와, 순차-현상처리에 대한 좌측두엽, 좌후두엽, 좌두정엽 영역의 6개 성향과, 우전두엽 영역인 조합-추상처리와, 조합-현상처리에 대한 우측두엽, 우후두엽, 우두정엽 영역의 6개 성향 중 하나의 성향을 분석하여 사용자 성향에 대응되는 APL 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좌측두엽(LT), 좌후두엽(LO), 좌두정엽(LP), 우측두엽(RT), 우후두엽(RO), 우두정엽(RP)의 6개 영역에 대한 감각특성 성향을 분류하기 위한 질문정보와, 4개의 인지특성 성향과 6개의 감각특성 성향 조합에 따른 12개의 APL 분석결과정보가 데이터베이스(150)에 추가 저장되어 상술한 12개 성향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종합적인 APL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타당성 분석을 통해 재검사를 수행하도록 분석하는 것은 물론, 방해요인 분석정보를 추가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APL 분석장치(100)는 먼저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인지특성 관련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정보를 근거로 뇌의 좌전두엽 영역인 순차-추상처리와, 순차-현상처리, 뇌의 우전두엽 영역인 조합-추상처리와, 조합-현상처리 중 하나의 인지특성 성향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감각특성 관련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정보를 근거로 좌측두엽, 좌후두엽, 좌두정엽, 우측두엽, 우후두엽, 우두정엽 중 하나의 발달상태에 따른 청각, 시각, 운동감각에 대한 감각특성 성향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인지특성 성향과 감각특성 성향의 조합에 따른 12개 성향 중 하나의 성향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종합적인 APL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2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100 : APL 분석장치, 110 : 단말접속부,
120 : 정보분석처리부, 130 : 서비스제어부,
140 : 데이터베이스, 150 : 운용자단말,
160 : 랜(LAN), 200 : 사용자단말,
121 : 타당도 분석처리블럭, 122 : 인지특성 분석처리블럭,
123 : 감각특성 분석처리블럭, 124 : 방해요인 분석처리블럭,
125 : APL 분석처리블럭.

Claims (39)

  1. APL(적성-성격-학습, Aptitude-Personality-Learning) 분석장치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APL 분석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질문정보 및 분석결과정보를 표시출력함과 더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질문별 응답정보를 상기 APL 분석장치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APL 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정보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각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근거로 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로 구성되는 인지특성 성향과 측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청각, 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시각, 두정엽 발달상태에 따른 운동감각으로 구성되는 감각특성 성향을 분석함과 더불어, 분석된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결과를 근거로 적성과 성격 및 학습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여 인지특성 성향 분석정보과 감각특성 성향 분석정보 및 적성-성격-학습(APL) 분석정보를 포함하는 APL 종합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L 분석장치는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 청각, 시각, 운동감각별 다수의 질문항목에 대한 각 응답정보를 수치화하고, 그 응답정보의 합산 값이 기준수치보다 높은 인지특성 항목을 근거로 인지특성 성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특성 분석정보는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 순차-현상적사고, 순차-추상적사고, 변칙-현상적 사고, 변칙-추상적 사고,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전뇌 발달형, 전뇌 미발달형 중 하나의 성향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L 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타당성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타당성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치화하여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 재검사를 수행하도록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당성 질문정보는 저빈도와, 비 일관성, 부정적 인상, 긍정적 인상을 판단하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L 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방해요인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해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방해요인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치화하여 그 수치값에 대응되는 방해요인 분석정보를 추가로 생성하여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해요인 분석정보는 학생용과 성인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용 방해요인 분석정보는 성실성, 학습주도성, 학습동기, 학습효능감, 시험불안, 학업스트레스, 학습습관, 공부방법, 집중력, 가족지지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성인용 방해요인 분석정보는 주도성, 치료의지, 심리적 유연성, 자기 효능감, 불안, 우울증, 가족관계, 사회지지, 자살척도, 외상후 스트레스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11. APL 분석장치가 다수의 사용자단말과 결합되어 구성되어 사용자단말로 분석정보를 제공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에서의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에 있어서,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사용자단말로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관련 다수의 질문정보를 제공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사용자단말에서 인지특성 및 감각특성 관련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APL 분석장치로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상기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인지특성 관련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정보와 감각특성 관련 질문에 대응되는 응답정보를 각각 수치화하여 기준 수치 이상인 인지특성 성향 및 감각특성 성향에 대한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제3 단계에서 생성된 인지특성 성향 및 감각특성 성향을 근거로 적성과 성격 및 학습에 대한 APL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제3 및 제4 단계에서 생성된 인지특성과 감각특성 및 APL에 대한 분석정보를 사용자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APL 분석장치에서 사용자단말로 제공되는 인지특성 관련 질문정보는 전두엽 발달상태에 따른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 항목에 대한 질문그룹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APL 분석장치는 인지특성을 순차처리, 변칙처리, 현상적 사고, 추상적 사고, 순차-현상적사고, 순차-추상적사고, 변칙-현상적 사고, 변칙-추상적 사고, 순차-추상-변칙적 사고, 추상-변칙-현상적 사고, 변칙-현상-순차적 사고, 현상-순차-추상적 사고, 전뇌 발달형, 전뇌 미발달형 중 하나의 성향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APL 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타당성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APL 분석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타당성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치화하여 기준점수 미만인 경우 재검사를 수행하도록 분석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타당성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는 저빈도와, 비 일관성, 부정적 인상, 긍정적 인상을 판단하기 위한 질문내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APL 분석장치는 상기 사용자단말로 방해요인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고,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APL 분석장치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방해요인 질문에 대한 응답정보를 수치화하여 수치화된 상태에 대응되는 방해요인 분석정보를 추가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방해요인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는 학생용과 성인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학생용 방해요인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는 성실성, 학습주도성, 학습동기, 학습효능감, 시험불안, 학업스트레스, 학습습관, 공부방법, 집중력, 가족지지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성인용 방해요인 분석을 위한 다수의 질문정보는 주도성, 치료의지, 심리적 유연성, 자기 효능감, 불안, 우울증, 가족관계, 사회지지, 자살척도, 외상후 스트레스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140091385A 2014-07-19 2014-07-19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7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385A KR102273394B1 (ko) 2014-07-19 2014-07-19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385A KR102273394B1 (ko) 2014-07-19 2014-07-19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233A KR20160010233A (ko) 2016-01-27
KR102273394B1 true KR102273394B1 (ko) 2021-07-06

Family

ID=5530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385A KR102273394B1 (ko) 2014-07-19 2014-07-19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3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424B1 (ko) * 2023-05-04 2023-10-24 이천희 성격심리학 기반 통합 프레임워크 구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224B1 (ko) * 2018-10-08 2020-11-03 이은희 사용자 맞춤형 인지치료방법
KR102305395B1 (ko) * 2019-03-20 2021-10-06 신승용 클라우드 기반의 두뇌사고행동패턴평가 시스템
IT201900006686A1 (it) * 2019-05-09 2020-11-09 Baso Labs Sagl Metodo e sistema informatico per valutare un’interazione tra un utente e un dispositivo
KR102419621B1 (ko) * 2022-01-19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성격유형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4968A1 (en) 2012-06-05 2013-12-26 Knack.It Corp.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value from game play dat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1636A (ja) * 1995-09-18 1996-04-16 Fukuto:Kk 進路適性の検査方法
KR101014812B1 (ko) * 2008-10-10 2011-02-14 박형배 신경학적 진단 및 처방 시스템과 신경학적 진단 및 처방 방법
KR20100101281A (ko) * 2009-03-09 2010-09-17 주식회사 해피에듀 학습 유형 검사 시스템 및 검사 방법
KR101170125B1 (ko) * 2009-09-18 2012-07-31 송영선 복수의 인성 검사의 조합에 의한 진로 상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4968A1 (en) 2012-06-05 2013-12-26 Knack.It Corp.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value from game play dat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424B1 (ko) * 2023-05-04 2023-10-24 이천희 성격심리학 기반 통합 프레임워크 구축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233A (ko)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ntala et al. Ten theses of the joy of learning at primary schools
van den Heuvel-Panhuizen et al. Developing a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picturebooks that support kindergartners’ learning of mathematics
Jarvis et al. Human learning
Santos et al. Toward interactive context-aware affective educational recommendations in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Adey et al. Bad education: Debunking myths in education
KR102273394B1 (ko) 신경심리에 기초한 적성-성격-학습 종합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Pathak Encouraging development of a global mindset among students in online international Management courses
Wellington Secondary education: The key concepts
Saravanakumar Life skill education through lifelong learning
Vrana et al. Can a computer administer a Wechsler Intelligence Test?
Barbour et 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eaching Strategies and Resources.
Punia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er Enthusiasm scale
Real-Fernández et al. Definition of a feature vector to characterise learners in adaptive learning systems
KR20020063529A (ko)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
Atkin Thinking: Critical for learning
Franzen Self-perceptions of multiple intelligences among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the Midwest
Kariagina et al. Empathy as an ability: Structure and development during training in psychological counseling
Peleckis et al.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blems of negotiating competencies development for business management students: Case of Lithuania
Urmurzina et al. CROSSCULTURAL ASPECTS OF COMPANY'S GOAL-SETTING SYSTEM AS A FORM OF MOTIVATION
Goodell Introduction: What is learning engineering?
Shaw Learning strategies of youth in transitions to adulthood in the urban life-skills program of A Pocket Full of Hope
Henderson Power relations within the homework process
Annury Students’ Learning Styles: An Ethnographic Case Study at UIN Walisongo Semarang
Sokołowski Edukacja dla zrównoważonego rozwoju. Planowanie kierunku kształcenia w obszarze technologii informacyjnych
Bosse Mindful Design as an Approach to Promote Mindfulness: Implementation of Insights from Socio-Cognitive Mindfulness Theory to Design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