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529A -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529A
KR20020063529A KR1020020027285A KR20020027285A KR20020063529A KR 20020063529 A KR20020063529 A KR 20020063529A KR 1020020027285 A KR1020020027285 A KR 1020020027285A KR 20020027285 A KR20020027285 A KR 20020027285A KR 20020063529 A KR20020063529 A KR 20020063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occupational
personality
job
car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열
Original Assignee
박노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열 filed Critical 박노열
Priority to KR1020020027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3529A/ko
Publication of KR2002006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5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정된 직업인성이론(MRNHLASOC 이론)인 9각형 모형이론에 따른 378가지의 직업성격 유형을 토대로 피진단자의 직업성격을 측정하여 객관적 직업환경에 통해 장래 진로방향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진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정된 직업인성이론(MRNHLASOC 이론)의 9가지 직업성격 유형을 토대로 378가지의 직업적 성격을 코드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검색되는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질과 능력, 직업적 활동, 수행능력, 직업 선호도를 탐색하여 OMR카드를 작성하는 수단; 상기 OMR카드를 수정된 직업인성이론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유형별로 점수를 매겨 합산·비교하여 점수가 높은 순으로 3개를 선정해 점수순서에 따른 하위코드를 추출하는 수단;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78가지 직업적 성격 유형에 대한 파일 중 그 코드에 해당하는 시트를 호출하여 피진단자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Career research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진단자로부터 OMR카드를 통하여 소질과 능력, 직업적 활동, 수행능력, 직업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수정된 직업인성이론(MRNHLASOC)에 따른 378가지의 개인별 직업성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피진단자로 하여금 자신의 주관적 직업성격에 따른 객관적 직업환경을 통해 장래 진로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자식에 대한 부모들의 교육열이 상당히 높아 학부모들은 과중한 사교육비 지출에도 불구하고 자식들을 일관된 목표나 방향도 없이 오로지 대학에만 보내는 것을 목표로 함으로 인해 그에 따른 부작용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즉, 청소년들은 각 개인의 소질, 능력, 취미를 무시한 교육으로 인해 방황과 일탈이 증가하게 되고, 학부모들은 과중한 사교육비의 부담으로 인해 재산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생기고, 학교교육 또한 목표와 방향이 없이 오로지 대학에만 보내기 위해 획일적이고 형식화된 진로·직업교육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각종 성격검사, 직업 적성검사, 직업 흥미검사 등을 통하여 진로문제를 가진 사람에게 문제 해결의 처방책을 제시하고, 다양한 진로정보를 제공하여 개인으로 하여금 확고한 진로인식을 갖게 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는데 길라잡이 역할이 되도록 하고 있다.
종래 이루어지고 있는 직업 흥미검사는 주로 Kuder식 KOIS에 의거한 것으로, 표준화 직업 흥미검사(이상로 외, 1991), 흥미검사(정범모, 1985), 고교 흥미검사(행동과학연구소, 1991), 표준화 직업 흥미검사(진위교, 1979) 등이 있는데, 상기의 검사방식들은 검사내용 및 예언력의 특징, 검사도구의 특징, 분석방법론의 특징과 연관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검사내용 및 예언력의 한계
적성검사에 사용되는 이론적 언어인 성격(개인의 특이한 행동과 사고를 결정하는 개인 내에 있는 심리체제의 역동적 조직), 적성(어떤 특정분야에서의 성취와 관련된 능력), 흥미(어떤 분야에서 일하고 싶은 동기) 개념으로는 한 개인의 특징적인 직업적 성격을 밝히기에는 한계가 있고, 적성검사의 측정방식은 과목별 적성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직업적성은 측정하지 못하며 실제 지능과 같은 지적능력만을 측정한다.
즉, 언어추리능력, 수량능력, 추상적 추리능력, 공간 지각력, 기계추리능력, 지각속도 및 정확성만을 토대로 함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직업을 예측하는데는 변별 타당력이 떨어지게 되고, 학습 지진아의 경우는 모든 교과의 적성이 낮게 나오고, 지능이 높은 학생의 경우는 대부분의 교과에서 적성이 높게 나오기 때문에 어느 적성이 높은지에 대한 판단이 어려워 예언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2. 검사도구의 한계
종래의 적성검사는 단지 직업적성 혹은 직업흥미를 검사하는 도구로서, 각 문항의 선택지가 학생의 경험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가상적인 경우를 중심으로 반응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양한 영역의 적성과 흥미를 측정하지 못하며, 집단적 단체 검사용이기 때문에 상담을 통한 추가적인 진로지도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3. 분석 방법론의 한계
피진단자 개개인의 적성요인별 점수와 프로파일만 제공하고 있어 가장 높은 적성부분만 인정되고, 다른 요인은 무시되는 경향이 있으며, 검사의 결과로서 안내하는 직업목록이 너무 광범위하며, 권고해 주는 사항이 추상화된 일반사항으로 피진단자에게 적성에 대한 적합한 진로를 제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직업 적성검사는 1960∼1970년대에 제작된 것으로서, 다가오는 21C에 각광받는 전문적이고도 새로운 직업군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오늘날의 직업상황에 부적합한 부분이 너무 많으며, 각 문항의 선택지도 학생의 경험을 잘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가상적인 경우를 중심으로 반응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양한 직업 혹은 흥미영역에서의 변별 타당도가 높지 않고, 진로상담사가 따로 배치되어 있지 않아 단순히 광범위한 직업군과 추상화된 일반사항을 권고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진로문제로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궁극적인 문제해결을 제시해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직업 적성검사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된 특허출원 제1999-48516호인 "진로진단시스템"이 있는데, 이는 직업인성이론(RIASEC)의 6가지 유형을 토대로 120가지 직업적 성격을 코드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검색되는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환경, 희망직업, 진학 및 학업성적, 과목별 성취도, 소질과 능력, 일반 성격유형, 활동유형, 수행능력, 직업 선호도를 탐색하여 OMR카드를 작성하는 수단과; 상기 OMR카드를 직업인성이론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유형별로 점수를 매겨 합산·비교하여 점수가 높은 순으로 3개를 선정하여 점수순서에 따라 하위코드를 도출하는 수단과;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120가지 직업적 성격유형에 대한 파일 중 그 코드에 해당하는 시트를 호출하여 개인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직업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출원된 발명은 홀랜드의 직업인성이론(RIASEC이론)을 근거로 도출한 120가지 직업적 성격유형에 의해 피진단자의 직업성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검사의 신뢰도와 변별 타당도가 높아 진로문제를 가진 사람들에게 다양한 진로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상기 홀랜드의 직업인성이론에 의한 R, I, A 각각의 직업성격 유형은 우리나라의 교육현실과는 부합되지 않는 요소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의 교육체계는 명백하게 인문계와 실업계, 예능계열과 체육계열, 상기 인문계열은 문과계열과 이과계열로 나누어져 조직되기 때문에 학생들은 진학시 계열을 선택하는 문제에 있어 명백하게 분화된 의식을 가지고 대응하게 되는데, 상기 선출원된 발명은 피진단자의 진로계열을 우리나라의 교육실정에 맞도록 정확하게 제시하기가 어려워 피진단자의 측정된 직업성격을 토대로 진로계열을 진단하는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홀랜드의 직업인성이론(RIASEC이론)을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의 교육체계에 맞도록 수정하여 직업성격 유형을 9개의 차원, 즉 MRNHLASOC(M:운동적, R:실제적, N:자연 탐구적, H:인문·사회 탐구적, L:문예적, A:예술적, S:사회적, O:조직 운영적, C:규례적) 모형으로 분류한 후 학년별로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성격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상기 피진단자의 진로(또는 직업)와 관련하여 직업적 성격을발견하고, 성격의 발달과 성격에 적합한 직업의 선택에 도움을 주어 장래 직업의 안정성과 미래 사회의 직업세계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정된 직업인성이론(MRNHLASOC 이론)의 9가지 직업성격 유형을 토대로 378가지의 직업적 성격을 코드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검색되는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질과 능력, 직업적 활동, 수행능력, 직업 선호도를 탐색하여 OMR카드를 작성하는 수단; 상기 OMR카드를 수정된 직업인성이론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유형별로 점수를 매겨 합산·비교하여 점수가 높은 순으로 3개를 선정해 점수순서에 따른 하위코드를 추출하는 수단;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78가지 직업적 성격 유형에 대한 파일 중 그 코드에 해당하는 시트를 호출하여 피진단자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로진단시스템의 자료처리되는 구성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로진단시 제시되는 9각형 모형이론을 도시한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로진단시스템의 진로진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로진단시스템의 처리 체계도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임의의 피진단자의 진로진단 결과인 도형화된 점수분포를 도시한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OMR카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로진단시스템의 자료처리되는 구성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로진단시 제시되는 9각형 모형이론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로진단시스템의 진로진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로진단시스템의 처리 체계도이고, 도5는 본발명에 적용되는 임의의 피진단자의 진로진단 결과인 도형화된 점수분포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OMR카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된 직업인성이론(MRNHLASOC 이론)인 9각형 모형이론의 9가지 유형을 토대로 378가지 직업적 성격을 코드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질과 능력, 직업적 활동, 수행능력, 직업 선호도를 탐색하여 OMR카드를 작성하고, 이를 수정된 직업인성이론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유형별로 점수를 매겨 합산·비교하여 점수가 높은 순으로 3개를 선정하여 점수순서에 따라 하위코드를 도출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78가지 직업적 성격유형에 대한 파일 중 그 코드에 해당하는 시트를 호출하여 개인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정형화된 탐색유형 즉, 소질과 능력, 직업적 활동, 수행능력, 직업 선호도에 대한 탐색한 것을 OMR카드로 작성하며, 작성된 OMR카드는 OMR카드 리더기를 통해 리딩된 후, 중앙전산처리장치에 의해 처리하되, 각 탐색유형별 진단항목의 체크부분을 읽은 다음 수정된 직업인성이론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유형별로 점수를 매겨 합산하여 점수가 높은 순으로 3개를 선정해 결과치 코드를 추출하고, 상기 결과치코드인 하위코드가 추출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78가지 직업적 성격유형에 대한 파일 중에 상기 코드에 해당하는 시트를 호출한다.
상기 시트에는 결과치코드에 해당하는 피진단자의 직업적 성격을 토대로 한진로정보를 제공하되, 영역별 분포도, 도형화된 점수분포 이미지, 행동특성, 직업적 성격, 직업적 권고, 권장직업 및 요구되는 학력, 참고 직업목록(해당자에 한함), 여가정보, 보완점, 미래 발달상, 직업 및 학과전망에 따른 해설 등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존 레위즈 홀랜드(John Lewis Holland)의 직업인성이론(RIASEC이론)을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맞도록 수정하여 직업성격 유형을 9가지로 분류한 9각형 모형이론(MRNHLASOC 이론)을 토대로 하여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성격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피진단자의 진로선택에 따른 진로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9각형 모형이론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가지의 직업성격 유형으로 분류하는데, 각 직업성격 유형별에 따른 성격특성, 자기평가, 직업활동 선호, 유능감, 가치, 생의 목표, 대표 직업 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성격특성
① 실제적 유형 : 남성적이고, 솔직하고, 성실하며, 검소하고, 지구력이 있고, 신체적으로 건강하며, 소박하고, 말이 적으며, 고집이 있고, 직선적이며, 단순하다.
② 운동 기능적 유형 : 씩씩하고, 지구력이 있고, 신체적으로 건강하며, 직선적이며, 끈기가 있다.
③ 자연 탐구적 유형 : 탐구심이 많고, 논리적, 분석적, 합리적이며, 정확하고, 지적 호기심이 많으며, 비판적, 내성적이고, 수줍음을 잘 타며 신중하다.
④ 인문·사회 탐구적 유형 : 논리적이고, 사변적이고, 비판적이다.
⑤ 예능적 유형 : 상상력이 풍부하고, 감수성이 강하며, 자유분방하며, 개방적이고, 감정이 풍부하고, 독창적이고, 개성이 강하고, 협동적이지 않다.
⑥ 문예적 유형 : 글쓰기를 좋아하고, 표현이 다양하며, 감수성이 강하고, 개성적이기를 원한다.
⑦ 사회적 유형 : 사람들을 좋아하며, 어울리기를 좋아하고, 친절하고, 이해심이 많으며, 남을 잘 도와주고, 봉사적이며, 감정적이고, 이상주의적이다.
⑧ 조직 운영적 유형 : 지배적이고, 통솔력, 지도력이 있으며, 말을 잘하고, 설득적이며, 경쟁력이고, 야심적이며, 외향적이고, 낙관적이고, 열성적이다.
⑨ 규례적 유형 : 정확하고, 빈틈이 없고, 조심성이 있으며, 세밀하고, 계획성이 있으며, 변화를 좋아하지 않으며, 완고하고, 책임감이 강하다.
2. 자기평가
① 실제적 유형 : 단순한, 말이 적은, 냉정한, 건실한, 기계적인, 구체적인, 실리적인, 비사교적인, 솔직한, 순응적인, 고집적인, 거칠은, 실제적인, 검소한
② 운동 기능적 유형 : 직선적인, 고집스런, 거친, 의리를 잘 지키는, 용기가 있는
③ 자연 탐구적 유형 : 분석적인, 지적인, 호기심 많은, 학구적인, 꼼꼼한, 정확한, 비판적인, 신중한, 합리적인, 나서지 않는, 소극적인, 인기가 없는
④ 인문·사회 탐구적 유형 : 학구적인, 지적인, 호기심이 많은, 사변적인, 수월한
⑤ 예능적 유형 : 상상력이 풍부한, 직관적인, 독창적인, 감수성이 강한, 까다로운, 감정적인, 관념적인, 복잡한, 순응하지 않는, 개방적인, 충동적인
⑥ 문예적 유형 : 질문이 많은, 회의적인, 감수성이 강한, 독창적인, 개성적인, 상상을 잘 하는
⑦ 사회적 유형 : 이해심 있는, 친절한, 우호적인, 사회성 있는, 외향적인, 관대한, 따뜻한, 재치있는, 도움을 주는, 협동적인
⑧ 조직 운영적 유형 : 외향적인, 지배적인, 열성적인, 설득적인, 지도력이 있는, 획득하려고 하는, 모험심이 있는, 과시적인, 쾌락추구의, 말을 잘하는, 야심적인, 활기찬, 자신감 있는
⑨ 규례적 유형 : 보수적인, 관습적인, 절제된, 적응력, 순응적인, 방어적인, 실천적인, 유순한, 사무적인, 능률적인, 검소한, 질서정연한, 상상력이 없는, 방법적인
3. 직업활동 선호
① 실제적 유형 : 분명하고, 질서정연하고, 체계적인 대상, 연장, 기계, 동물들의 조작을 주로 하는 활동 내지는 신체적 기술들을 좋아하고, 교육적, 치료적 활동은 좋아하지 않는다.
② 운동 기능적 유형 : 운동에 취미가 많고, 몸을 움직이는 것을 좋아하고, 강한 성취동기를 가지며, 수행목표와 업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정밀하게 사고하는 것을 싫어한다.
③ 자연 탐구적 유형 : 관찰적, 상징적, 체계적이며, 물리적, 생물학적, 문화적 현상의 창조적인 탐구를 수반하는 활동들에 흥미를 보이지만, 사회적이고 반복적인 활동들에서는 관심이 부족한 면이 있다.
④ 인문·사회 탐구적 유형 : 인간과 사회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창조적 탐구를 좋아하고, 사업과 상업적인 일에는 별 관심이 없다.
⑤ 예능적 유형 : 예술적 창조와 표현, 변화와 다양성을 좋아하고, 틀에 박힌 것을 싫어하고, 모호하고 자유롭고 상징적인 활동들을 좋아하지만 명쾌하고, 체계적이고 구조화된 활동에는 흥미가 없다.
⑥ 문예적 유형 : 자신의 방식으로 대상을 보고 이를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기를 선호하며, 세계는 자신이 보는 방식대로 존재한다고 보며, 자신의 목소리로 이를 표현하고자 한다.
⑦ 사회적 유형 : 타인의 문제를 듣고 이해하고 도와주고, 치료해 주고, 봉사하는 활동들에 흥미를 보이지만 기계, 도구, 물질과 함께 하는 명쾌하고, 질서정연하고, 체계적인 활동에는 흥미가 없다.
⑧ 조직 운영적 유형 : 조직의 목적과 경제적 이익을 얻기 위해 타인을 선도, 계획, 통제, 관리하는 일과 그 결과로 얻어지는 위신, 인정, 권위를 얻는 활동들을 좋아하지만 관찰적, 상징적, 체계적 활동에는 흥미가 없다.
⑨ 규례적 유형 : 정해진 원칙과 계획에 따라 자료들을 기록, 정리, 조직하는 일을 좋아하고, 체계적인 작업환경에서 사무적, 계산적 능력을 발휘하는 활동을 좋아하고, 창의적, 자율적이며, 모험적, 비체계적인 활동은 매우 혼란을 느낀다.
4. 유능감
① 실제적 유형 : 기계적인 능력은 있으나 대인관계 능력은 부족하며, 수공, 농업, 전기, 기술적 능력은 높으나 교육적 능력은 부족하다.
② 운동 기능적 유형 : 스포츠에 대한 이해, 태도, 기능이 우수하며 특기를 잘 수행하며, 지적인 활동에 대해서는 심리적 포화상태를 경험하는 경우가 많다.
③ 자연 탐구적 유형 : 학구적, 지적인 자부심을 가지고 있으며, 수학적, 과학적인 능력은 높으나 지도력이나 설득력은 부족하지만 연구능력은 높다.
④ 인문·사회 탐구적 유형 : 분석적, 비판적 탐구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논문이나 논설문으로 체계적으로 잘 정리하고, 현실적 감각과 운동기능, 기업가적 수행능력은 부족하기 쉽다.
⑤ 예능적 유형 : 미술적, 음악적 능력은 있으나 사무적 기술은 부족하며, 상징적, 자유적, 비체계적 능력은 있으나 체계적, 순서적인 능력은 부족하다.
⑥ 문예적 유형 : 미학적, 문학적 능력은 있으나 사무적 능력이 부족할 수 있으며, 상징적, 낭만적 사색능력이 뛰어나나 기업가적, 사무적 리더십은 부족한 편이다.
⑦ 사회적 유형 : 사회적, 교육적 지도력과 대인관계 능력은 있으나 기계적, 과학적 능력은 부족하며, 기계적, 체계적 능력이 부족하다.
⑧ 조직 운영적 유형 : 적극적이고, 사회적이고, 지도력과 언어의 능력은 있으나 과학적인 능력은 부족하며, 대인간, 설득적인 능력은 있으나 체계적 능력은 부족하다.
⑨ 규례적 유형 : 사무적이며, 계산적이고, 회계정리 능력은 있지만, 예술적, 상상적인 능력은 부족하며, 체계성, 정확성은 있으나 탐구적, 독창적 능력은 부족하다.
5. 가치
① 실제적 유형 : 특기, 기술, 기능, 전문성, 유능성, 생산성
② 운동 기능적 유형 : 특기, 운동기능, 스포츠맨십, 지구력과 성취업적
③ 자연 탐구적 유형 : 탐구, 지식, 학문, 지혜, 합리성
④ 인문·사회 탐구적 유형 : 탐구, 분석, 학문, 지적 수월성, 정밀한 사고
⑤ 예능적 유형 : 예술, 창의성, 재능, 변화, 자유, 개성
⑥ 문예적 유형 : 자기표현, 창조성, 사상과 표현의 자유, 개성의 실현
⑦ 사회적 유형 : 사랑, 평등, 헌신, 인간존중, 공익, 용서, 봉사
⑧ 조직 운영적 유형 : 권력, 야망, 명예, 모험, 자유, 보상
⑨ 규례적 유형 : 능률, 체계, 안전, 안정
6. 생의 목표
① 실제적 유형 : 기계나 장치의 발전 및 기술사, 전문인
② 운동 기능적 유형 : 뛰어난 운동선수, 지방과 국가를 빛내는 체육인
③ 자연 탐구적 유형 : 사물이나 현상의 발전 및 과학에 대한 이론적 기여
④ 인문·사회 탐구적 유형 : 인간과 사회의 현상에 대한 법칙의 발견 및 인문·사회과학에 대한 이론적 기여
⑤ 예능적 유형 : 예술계의 유명인, 독창적인 작품활동
⑥ 문예적 유형 : 유명한 문필가, 창의적인 문학작품 발표
⑦ 사회적 유형 : 타인들을 돕고, 희생, 존경받는 스승, 치료 전문가
⑧ 조직 운영적 유형 : 사회의 영향력 있는 지도자, 금융과 상업분야의 전문가
⑨ 규례적 유형 : 금융과 회계의 전문가, 사무행정 전문가
7. 대표 직업
① 실제적 유형 : 기술자, 자동기계 및 항공기 조종사, 정비사, 농부, 엔지니어, 전기·기계기사
② 운동 기능적 유형 : 운동선수, 운동코치(감독, 사범), 교사(체육), 운동처방사, 심판, 경호원, 사회체육 지도사
③ 자연 탐구적 유형 : 과학자, 생물학자, 화학자, 물리학자, 인류학자, 지질학자, 의료 기술자, 의사
④ 인문·사회 탐구적 유형 : 인문과학 계열 교수 및 연구원, 사회과학 계열 교수 및 연구원, 사회조사 연구원
⑤ 예능적 유형 : 예술가, 음악가, 무대감독, 배우, 미술가, 무용가, 디자이너
⑥ 문예적 유형 : 작가(시, 소설, 수필, 희곡, 시나리오), 문학 평론가, 자유 기고가, 기자, 잡지 편집인
⑦ 사회적 유형 : 사회복지가, 교육자, 간호사, 유치원 교사, 종교 지도자, 상담가, 임상 치료가, 언어 치료사
⑧ 조직 운영적 유형 : 기업 경영인, 정치가, 판사, 영업사원, 상품 구매인,보험 회사원, 판매원, 관리자, 연출가
⑨ 규례적 유형 : 공인회계사, 경제분석가, 은행원, 세무사, 경리사원, 컴퓨터 프로그래머, 감사원, 안전관리사, 사서, 법무사
본 발명에 의한 진로진단은 이론적으로 인간의 직업성격 유형을 378가지로 세목화하고 있다는 특징을 띠며, 하위 유형에 대해 명시적으로 범주화하여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범주적 해석방법론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피진단자의 '직업성격'에 대해 상상력을 가지고, 현실속에 있는 인물과 연관시켜 연상하며, '마음의 눈'을 가지고 그들을 들여다보고, 진단이 재판처럼 판결을 내리고 선고하는 것은 아니며, 애정을 가지고, 그가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의 성격과 소질 속으로 들어가서 보다 나아지게 하기 위한 이정표를 제시한다.
② 각 코드에 대한 해석에서 연결코드 간의 내적 연관을 고려하되, 세가지 코드 중에서 첫번째 코드를 중심에 놓고 해석하며, 두번째 코드와 세번째 코드와 분리되지 않도록 통합적으로 해석하고, 그 코드 자체를 '한 인물의 성격유형'으로 이해하고 다른 유형과 차별적으로 진술하며, 유형이 각각 다르므로 그 성격부여도 각각 달라야 하며, 특히 진단결과가 '예술적'유형으로 나오면 우리나라의 사회문화를 고려하면서 해석에 유의한다.
③ 첫번째 코드에 대한 설명언어를 다양하게 하는데, 언어(논리)를 풍부하게 가지려고 노력한다. 예컨대, 첫번째가 'R'유형일 경우 '특히 실제적이며', '현실적이며', '현실감각이 있으며', '사물에 대한 지각과 조작능력이 뛰어나며', '사실적으로 환경에 대응하며', '신체운동적 기능적 능력이 뛰어나며' 등의 언어로 개념적으로 조작할 수 있고, 그럴 때 진술의 단순성을 넘어설 수 있으며, 풍부하고 정확한 해설이 가능해진다.
④ '사실'에 입각해서 '거짓이 없는' 형태로 '시적으로 묘사'하고자 애쓰며, 적어도 흠집을 쑤셔놓는 부정적 표현을 피하고, 단정하는 말(예:적극성이 부족하다)을 삼가고, 피상적인 표현(관형적 어법, 진취적)을 피하면서 '문법'에 맞게 진술하며, 긍정적으로 격려하면서 문학적으로, 일상적인 어법으로 그러면서 친근한 말로 표현한다.
⑤ 이 진단 프로그램은 현재의 직업성격을 진단하기도 하지만 직업적 '발달'개념을 염두에 두고 예언한다.
⑥ 보완점을 진술할 때는 피진단자의 장점과 단점을 참작하여 장점에 대해서는 더 잘하게, 약점에 대해서는 유머를 섞어면서 정확하고 설득력 있게, 또 그것을 스스로 극복해 갈 수 있도록 좀 더 적극적인 행동력을 일깨워 준다.
⑦ 반응빈도가 높은 유형에 대해서는 더 신중하고 다양하게 진술내용을 분화시키며, 성별, 연령별 해석내용을 세목화한다.
본 발명에 의해 9각형 모형이론의 직업성격 유형의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기 위한 기초적인 진단자료를 피진단자로부터 OMR카드를 통하여 체크한 문항마다의 활용도와 배점 및 평가기준을 선정하기 위한 탐색기능과 진로진단시의 방법적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소질과 능력탐색 : 피진단자가 자신의 분야별 소질과 능력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성격유형의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며, 피진단자가 가지고 있는 소질과 능력에 대해 피진단자 스스로가 판단하며, 소질과 능력을 가장 많이 가진 항목에서부터 차례대로 서열을 매기고 점수를 부여하고, 각 항목에 대한 반응수치를 카운트하여 최종 결과치에 합산한다.
② 활동탐색 : 본인의 직업성격의 영역별 활동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한 탐색분야로서, 선호하는 활동으로 선택한 항목에 대하여 유형별로 그 갯수를 합산한다.
③ 수행능력 탐색 : 피진단자의 수행능력과 관련된 직업성격 유형을 파악하는데 활용하며, 유능한 것으로 반응한 항목에 대하여 유형별로 그 갯수를 합산한다.
④ 직업 선호도 탐색 : 피진단자의 직업 선호도를 검사하여 직업성격 유형을 판단하는데 활용하며, 선호 직업으로 선택한 항목에 대하여 유형별로 그 갯수를 합산한다.
9각형 모형이론에 의한 9가지 유형별 점수를 별도로 합산, 비교하여 가장 높은 순으로 3개를 선정해 피진단자의 직업성격 유형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예를들면 M=25, R=50, H=25, N=60, L=30, A=45, S=30, O=25, C=65 인 경우 점수가 높은 코드순으로 NCR이 피진단자의 직업성격 유형으로 파악한다.
동점 처리기준은 MRNHLASOC순으로 우선시하도록 하며, 가장 높은 점수와 차점 차이가 5점 미만일 때는 참고 직업목록을 추가하여 피진단자로 하여금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피진단자에게 진로진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로프로그램의 종류는 표1과 같다.
명 칭 대 상 검사내용 결과 및 해석의 내용
(1) 나의 재능(My Talent) 초등학교1∼3년생 나의 소질과 능력내가 하고 싶은 일내가 잘할 수 있는 일나에게 잘 어울리는 직업 ①분석결과를 검사내용의 영역별점수 분포도와 6각형도형으로 나타내고,②가장 높은 점수순으로 세개의 코드를 추출하여 개인의 직업성격 유형을 설정하며,③이에 따라 개성과 행동특성, 직업성격, 직업적권고, 권장직업목록, 권장여가활동, 보완점, 미래의 발달상 등에 대해 예언적 진술을 하고,④권장 직업목록상의 각 직업에 대한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를 제시한다.
(2) 나의 꿈(My Dream) 초등학교4∼6년생
(3) 나의 희망(My Hope) 중학생 소질과 능력 탐색활동탐색수행능력 탐색직업탐색 ①분석결과는 검사내용의 영역별 점수 분포도와 9각형 도형으로 나타내고,②가장 높은 점수순으로 세개의 코드를 추출하여 개인의 직업성격 유형을 설정하며,③이 유형에 따라 개성과 행동특성, 직업성격, 직업적 권고, 권장 직업목록, 권장 여가활동, 보완점, 미래의 발달상 등에 대해 예언적 진술을 하고,④권장 직업목록상의 각 직업에 대한 미래전망을 제시한다.
(4) 나의 길(My Way) 고등학생
(5) 나의 성공(My Success) 대학생 및일반성인
피진단자에게 진로진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진로프로그램의 문항수와 배점은 표2과 같다.
구분 가. 소질과 능력탐색 나. 활동탐색 다. 수행능력 탐색 라. 직업탐색
영역 영역별문항수 총문항수 배점 비율 영역 영역별문항수 총문항수 배점 비율 영역 영역별문항수 총문항수 배점 비율 영역 영역별문항수 총문항수 배점 비율 총문항수 총점
My Talent 9 5 9 5 25 9 4 36 6.25 25 9 4 36 6.25 25 9 5 45 5.00 25 126 100
My Dream 9 5 9 5 25 9 5 45 5.00 25 9 5 45 5.00 25 9 7 63 3.57 25 162 100
My Hope 9 9 9 2.78 25 9 6 54 4.17 25 9 6 54 4.17 25 9 8 72 3.12 25 189 100
My Way 9 9 9 2.78 25 9 7 63 3.57 25 9 7 63 3.57 25 9 9 81 2.78 25 216 100
My Success 9 9 9 2.78 25 9 7 63 3.57 25 9 7 63 3.57 25 9 9 81 2.78 25 216 10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로진단 검사는 모두 다섯가지 유형으로 나누되, 초등학교 1, 2, 3학년용으로 만들어진 My Talent, 초등학교 4, 5, 6학년용으로 만들어진 My Dream, 중학생용으로 구성된 My Hope, 고등학생용으로 구성된 My Way, 대학생과 일반 성인용으로 구성된 My Success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로진단 검사는 직업성격 유형인 아홉가지의 유형 중에서 세자리의 직업 적성코드를 찾아내는 것으로, 검사를 받는 학생이나 성인들이 평소에 어떤 분야에서 소질과 능력이 있으며, 좋아하는 것과 가치롭게 생각하는 것, 하고 싶은 일과 하기 싫은 일, 잘하는 것과 좋아하는 직업 등을 알아봄으로써 각각의 직업성격 유형을 찾아내고자 한다.
각 영역에 대한 문항들에 대한 응답방법은 가장 적절한 것부터 순서를 정하여 배열하는 것, 적절한 것을 골라내는 선다형, 좋아하는 것과 관심있는 것에는 "O", 관심이 없거나 싫어하는 것에는 " ×"로 응답하게 되어 있으며, 응답은 별도로 준비한 OMR카드에 컴퓨터용 사인펜으로 까맣게 칠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진로진단은 John Lewis Holland의 직업인성이론(RIASEC 이론)에 근거하고, 홀랜드의 자기방향탐색(SDS) 검사를 참고로 삼아 우리나라 상황에 맞도록 수정한 것으로, 각 피진단자의 직업성격은 개인의 소질과 능력의 유형에 대한 본인의 상대적 평가인 '소질과 능력', 선호하거나 선호하지 않는 활동에 대한 자기 평가인 '직업적 활동', 직업적 유능감에 대한 자기 평가인 '수행능력', 선호하는 직업과 선호하지 않는 직업의 변별인 '직업 선호도'를 탐색하면 분석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진로진단을 위한 검사의 기초자료로 활용된 것은 홀랜드의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중심으로 하는 VPI(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Holland, 1985)와 이보다 발전된 자기 채점방식으로 직업적 포부와 직업, 활동, 유능감 및 능력평점 등 다섯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SDS(Self-Directed Search, Holland, 1994) 등 두가지를 들 수 있고, Campbell이 개발한 일반 유형에서 좋아하는 것과 소질,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과 성격유형을 도입하여 종합하고, 여기에다 우리나라 교육체계에 맞게 몇 가지를 추가하여 개발하되, 피진단자의 직업성격을 측정하기 위한 탐색항목을 분류하여 제공하는 검사지의 경우 초·중등학교 교사와 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여러 차례 수정과정을 거친 후, 완성하였다.
[문항표본 작성]
문항표본(item pool)은 우선 홀랜드의 자기방향탐색(SDS, 1985)과 직업흥미검사(VPI)를 번안하고, Campbell의 내용도 포함하며, 그 번안된 문항의 내용을 초등, 중학, 고등, 대학, 일반의 수준에 맞게 전문가들에 의해 재구성 및 각색하여서 초등(276문항), 중학(368문항), 고등학(545문항), 대학 및 일반(572문항)의 문항들을 1차적으로 확정하였다.
① 제1차 사전검사
상기의 만들어진 진로진단 검사를 초등학생(192명), 중학생(208명), 고등학생(228명), 일반인(161명)을 대상으로 조사하며, 상기 조사결과 통계적 분석을 하여 변별력과 내적 합치도 내지 요인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하지만 문항의 수가 많아 검사시간이 한시간을 초과함으로 인해 피진단인들의 집중력이 문제가 되어 일반환경 척도, 희망직업 탐색척도, 진학 및 학업성적 탐색척도, 과목별 성취도 척도, 일반유형 척도를 삭제 또는 대폭 수정하였고, 그 결과 소질과 능력탐색, 활동탐색, 수행능력탐색, 직업탐색의 척도로 하는 본 발명과 같은 수정된 진로진단 검사지를 작성하였다.
② 제2차 사전검사
상기 수정된 진로진단 검사를 초등학생(221명), 중학생(221명), 고등학생(287명), 대학생 및 일반인(206명)에게 실시하여 통계적 분석을 한 후 마지막으로 진로진단 검사지를 완성하고, 상기 완성된 진로진단 검사지를 각각의 표준집단 초등학생(271명), 중학생(1576명), 고등학생(690명), 대학생 및 일반인(132명)에 검진하여 최종적인 표준화작업을 마쳐서 완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진로진단하고자 하는 피진단자로부터 탐색자료를 얻어야 하는데, 아래에서는 고등학생을 위한 My Way에 대한 탐색자료의 일실시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 소질과 능력탐색
아래의 표3은 소질과 능력을 아홉가지로 나누어 놓고, 피진단자가 아홉가지 항목을 모두 읽고 난 후, 자신의 소질과 능력의 많고 적음에 따라1위(가장 많음)부터 9위(가장 적음)까지 순위를 매겨 OMR 응답지의 해당란에 칠을하되, 순위가 중복되지 않도록 한다.
영역번호 나의 소질과 능력 순 위
가-1 손재주, 기계조작의 소질과 능력
가-2 운동에 대한 소질과 능력
가-3 자연현상에 대한 과학적 분석의 소질과 능력
가-4 인간과 사회현상에 대한 체계적 탐구의 소질과 능력
가-5 예능적 소질과 능력
가-6 문예창작적 소질과 능력
가-7 사교적이고 봉사적인 소질과 능력
가-8 지도성과 설득의 소질과 능력
가-9 사무관리의 소질과 능력
나. 활동탐색
피진단자가 하고 싶거나 관심이 있는 일에는 O표에, 하기 싫거나 관심이 없는 일에는 ×표에 칠하도록 한다.
나-1. 기계, 전기, 전자제품의 수리
나-2. 운동선수로 참여하기
나-3. 과학 프로젝트 작업
나-4. 경제학분야 잡지 읽기
나-5. 가구나 의복의 디자인
나-6. 시나 소설쓰기
나-7. 개인적인 문제로 고민하는 사람돕기
나-8. 학교나 학급에서 임원으로 일하기
나-9. 기업체의 사무나 경리업무
나-10. 농학, 수산학, 임산학 관련 전공
·
·
·
나-56. 체육학 관련 과목 전공
나-57. 연구소나 실험실에서 작업하기
나-58. 동양사상 강의 청취
나-59. 예술가와 공동으로 작업하기
나-60. 자유기고 활동
나-61. 사회복지 전공
나-62. 벤처산업을 위한 전략과정 이수
나-63. 기업체 경영자의 비서 업무
다. 수행능력탐색
피진단자가 잘 할 수 있는 일에는 O표에, 잘 할 수 없는 일에는 ×에 칠하도록 한다.
다-1. 나는 고장난 전기제품을 수리할 수 있다.
다-2. 나는 친구들에 비해 달리기를 잘 하는 편이다.
다-3. 나는 함수의 뜻을 말할 수 있다.
다-4. 나는 청소년 비행의 사회적 이유를 분석할 수 있다.
다-5. 나는 편곡이나 작곡을 할 수 있다.
다-6. 나는 소설이나 희곡을 쓸 수 있다.
다-7. 나는 친구들이 잘 모르는 것을 친절하게 가르쳐 줄 수 있다.
다-8. 나는 다른 사람을 내 방식대로 일을 하게 할 수 있다.
다-9. 나는 목록별로 책이나 자료를 잘 정리할 수 있다.
다-10. 나는 막힌 하수구를 뚫을 수 있다.
·
·
·
다-56. 나는 운동특기를 가지고 있다.
다-57. 나는 과학실험이나 관찰작업을 한다.
다-58. 나는 공업단지의 입지조건을 몇가지 열거할 수 있다.
다-59. 나는 조각을 잘 할 수 있다.
다-60. 나는 책을 읽고 표현을 달리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다-61. 나는 사람을 편하게 대할 수 있다.
다-62. 나는 다른 사람을 이끌 수 있는 리더쉽을 가지고 있다.
다-63. 나는 사무실 조직의 업무에 잘 적응할 수 있다.
라. 직업탐색
피진단자가 희망하거나 자신에게 잘 어울릴 것 같은 직업이면 O표에, 싫어하거나 관심이 없는 직업이면 ×표에 칠하도록 한다.
라-1. 기술자(엔지니어)
라-2. 운동선수
라-3. 실험실 연구원
라-4. 역사학자
라-5. 음악가
라-6. 시인, 소설가
라-7. 사회복지사
라-8. 전자상거래 컨설턴트(인터넷상의 상거래 중개인)
라-9. 법무사
라-10. 토목, 건축기사
·
·
·
라-71. 전문 경영인
라-72. 컴퓨터 정보검색사
라-73. 요리사
라-74. 경호원
라-75. 생물학자
라-76. 사회학자
라-77. 배우
라-78. 극작가
라-79. 간호사
라-80. 시장, 군수, 도지사
라-81. 전문 비서
이상과 같이 피진단자로부터 소질과 능력탐색, 활동탐색, 수행능력 탐색, 직업탐색과 같은 4가지 탐색유형을 OMR카드로 작성하며, 상기 작성된 OMR카드는 중앙전산처리장치에 의해 채점되며, 각 진단항목의 체크부분을 읽은 다음, 9각형 모형이론의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에 의해 결과치 코드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하위코드가 도출되면 이미 저장된 378가지 직업적 성격유형에 대한 해석파일 중에서 그 코드에 해당하는 시트가 호출된다.
상기 시트에는 직업적 성격유형에 대한 안내, 분석자료, 권장직업, 권장학과 및 진로전망, 여가활동 정보, 진로상담시 유의사항이 제시되고, 피진단자의 진로진단 분석표는 이미 프로그램화된 방식으로 각 항목별로 정리하여 진로상담사와 회원에게 제공되는 인쇄물로 출력되도록 하여 이 자료를 토대로 하여 피진단자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직업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직업정보가 제공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로진단시스템에 의해 임의의 피진단자(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My Hope용)를 진단한 결과, 그 결과치의 코드가 'NRS'로 도출되는 경우 상기 피진단자의 진단결과인 진로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영역별 분포
·운동기능적항목(M)76.2
·실제적항목(R)83.1
·자연탐구적항목(N)88.8
·인문·사회탐구적항목(H)49.6
·문예적항목(L)6.9
·예능적항목(A)29.1
·사회적항목(S)83.8
·조직운영적항목(O)28.4
·규례적항목(C)55.1
상기의 영역별 분포는 직업성격의 아홉가지 하위 영역별 점수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이론적으로 사람의 직업성격이 아홉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전제하는 것이며, 상기 점수분포를 통해 각 영역별 점수들간의 상대적 크기를 알 수 있으며, 이 점수의 크기에 따라 자신의 직업성격 유형이 결정되도록 한다.
상기 점수의 크기는 각 영역에 대한 자신의 경험, 관심이나 흥미, 능력 및 소질의 많고 적음을 의미하며, 점수가 높은 두 세개의 영역을 선택하여 이를 직업성격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해석하고, 가장 높은 항목의 점수가 두 번째 높은 항목의 점수보다 10점 이상 차이가 나면, 그 항목에서 직업적 정체성이 뚜렷하다고 판단한다.
2. 점수분포의 도형화
도5는 직업성격의 아홉가지 요소에 대한 자신의 반응 점수를 이론적 모형에 따라 나타낸 것이며, 상기 반응점수의 분포에 따라 나타난 그림은 그 모양과 넓이의 크기에 따라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상기 그램의 전체적인 모양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그 방면의 직업적 성격이 잘 분화되어 있음을 뜻하고, 동시에 다른 부문에 대한 직업적 흥미나 경험이 적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반면에 전체적인 모양이 중심으로부터 원형에 가깝게 비교적 고르고 완만하게 퍼져 있으면, 여러 방면에 다양한 직업적 흥미나 능력을 갖고 있음을 의미하지만, 아직 자신의 독특한 직업적 성격이 뚜렷이 분화되지 않음을 의미하고, 점수의 크기는 각 영역에 대한 자신의 경험, 관심이나 흥미, 능력 및 소질의 많고 적음을 의미한다.
3. 행동특성
NSR형은 자연 탐구적이고 사회적이며 실제적 유형으로,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객관적입니다. 근면하고 성실하며, 책임감이 강하여 남의 모범이 됩니다. 끈기가 있고 소박합니다. 남에게 친절하고 봉사적입니다.
4. 직업성격
자연과학 분야에 대한 학술적 활동에 높은 관심을 나타냅니다. 과학자와 연구원으로서의 지적능력과 탐구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논리적, 체계적으로 결론을이끌어 내는 지적, 과학적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학문적 성취욕구가 높고, 타고난 지능과 결합하여 높은 업적을 보입니다. 조직 내에서 사람을 편하게 대하고 잘 사귑니다. 남에게 인정을 베풀며 너그러운 마음을 나타냅니다.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건강하며, 사물을 다루는 능력도 갖추고 있습니다.
5. 직업적 권고
진학의 계열이나 전공을 선택할 때 이과계열과 이공학분야를 선택하세요. 높은 지적, 과학적 능력이 요구되는 학자나 연구원으로서 능력을 발휘해 보십시오. 봉사정신과 사교적 능력도 함께 발휘할 수 있는 직종이면 더욱 좋겠습니다. 남을 가르치는 교직이나 의료부문의 전문직으로서 의사(한의사)나 간호사 등도 잘 어울립니다. 또는 사물과 도구를 다루는 전문적 기술자도 적격입니다.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컴퓨터 관련 전문직도 고려해 보십시오.
6. 권장 직업목록 및 요구되는 학력
간호사(B), 교사[자연과학 계열](C), 교수·연구원[자연과학 계열](D), 식품 검사자(C), 약사·약품조제 관리자(C), 영양사[연구직](D), 의사[피부과, 안과, 내과, 이비인후과, 정신과, 치과](D), 정보제공자(INFORMATION PROVIDER:IP)(B), 커뮤니티 디자이너(C), 학자[광물학, 식품영양학, 생물학, 생리학, 간호학](D), 한의사(D), 항공장비 엔지니어(B)
상기의 직업명 다음에 제시된 ( )안의 알파벳은 그 직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학력을 가르키는 것입니다.
A : 고등학교 학력 수준
B : 초급대학 학력 수준
C : 대학 학력 수준
D : 대학원 학력 수준
권장 직업군에는 남녀 구분이 없습니다.앞으로의 직업에는 남녀 성차가 점차 없어지고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십시오. 진학과 직업의 선택을 위해 필요한 정보는 후술하는 권장직업 및 학과전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참고 직업목록
간호사(B), 교사[자연과학 계열, 특수학교](C), 데이터베이스 설계분석가(C), 식물치료사(B), 심장병 모니터 기술자(B), 알콜중독 치료사(C), 운동 생리학자(D), 의사·한의사(D), 임상 심리 치료사(B), 장학사·교육연구사(D)
검사결과 가장 높은 영역과 두 번째 높은 영역의 점수차가 크지 않을 때 앞뒤 영역을 뒤바꾸어 자신의 직업성격을 나타내는 유형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기에 제시된 직업도 자신에게 적합한 것일 수가 있으니 참고해 보십시오.
8. 여가정보
역사 동호회 활동, 테니스 단체활동, 자원봉사, 수영, 여행, 장기, 바둑
9. 보완점
외부의 자극을 민감하게 느끼고 자신의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미적 감수성을 키워 보세요. 항상 새로운 감각과 관념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가지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정관념을 뛰어넘는 독창적인 창의력과 상상력은 자신의 세계를 넓힐 뿐만 아니라 삶을 보다 풍부하게 해 줄 것입니다. 도전적으로 일을 계획, 추진하고 사람과 조직을 이끌어 나가는 리더쉽과 진취적인 태도를 길러 보십시오. 좀 더 야심을 키워야 하며 자신감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자신의 일에 믿음을 가지고 성취목표를 높게 설정해 보십시오.
10. 미래 발당상
지적, 학구적 성취욕구가 높기 때문에 높은 학력과 사회적 지위를 얻을 것입니다. 전문가적 과학 기술능력을 통해 국가와 사회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11. 권장 직업 및 학과전망
가. 권장 직업
1)간호사
향후 5년간 간호사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간호사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변화, 간호관련 제도의 변경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간의 역할 대체정도에 따라서도 고용수준은 달라질 것입니다.
먼저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증가와 경제성장에 따른 전반적인 소득향상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와 더불어 노령층의 증가, 환경오염 등으로 인한 각종 질환의 증가도 이들의 수요를 부추길 것입니다. 이러한 의료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병·의원의 신설 및 증설, 의료인력 확대를 가져오고, 간호인력에 대한 고용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한국보건의료관리연구원의 "간호인력 수급·활용방안 연구"에 의하면 최근 취업 간호사의 추이(1992∼1996)에서도 매년 3,000 여명의 꾸준한 고용증가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보건의료 관련기관에 대한 간호인력의 의무고용 규정 등 제도적인 변화도 간호사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정부에서는 고용의무제도가 지켜지지 않는 의료기관에 대한 불이익을 고려하고 있고, 노인복지시설을 비롯한 각종 복지 관련시설의 확충이 예상됨에 따라 간호사에 대한 고용은 꾸준히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그렇지만 간호사의 일자리 창출은 많은 경우 대체수요에 크게 의존할 것으로 보이며, 간호사를 비롯한 간호인력의 경우 결혼이나 자녀양육 등으로 인해 이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한 고용창출은 지속될 전망입니다. 간호사 및 간호조무사 간의 대체정도에 의해서도 고용은 영향을 받게 되며, 현재 간호사는 규모가 큰 종합병원 혹은 병원에 많은 인력이 고용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비용부담 때문인데, 장기적으로 볼 때 해외고용, 가정간호, 요양원 등의 종사분야의 확대에 의해서도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고용증가에도 불구하고 간호사는 기존 유휴인력과 매년 배출되는 공급인력이 적정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보여 취업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전문 간호분야의 자격을 취득하거나 상위학위를 취득하는 경우 취업에 다소 유리할 전망입니다.
2) 교사[자연과학 계열]
향후 5년간 중·고등학교 교사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매해 자격취득 인원이 과다하고, 재정적 문제 등으로 인해 교원이 적체된 상태여서 취업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중·고등학교 교사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생수 및 학급수의 변화와 교육정책의 변화 등을 꼽을 수 있는데, 학생수로는 향후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이지만, 교사당 학생수를 고려할 때 학급수가 더욱 늘어갈 예정이어서 고용의 순증가가 예상됩니다.
한편 중·고등학교 교사의 고용창출은 고용의 순증가 외에도 정년 및 기타 퇴직으로 인한 대체수요에 의해서도 향후 1∼2년간은 채용인원이 이전보다 더 늘어날 전망인데, 교사의 경우 한번 교직에 몸담으면 이직은 적은편이어서 이로 인한 고용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고등학교 교사 자격증 취득자의 일부는 초등학교의 교과 전담교사 및 사설학원의 강사로도 채용되고 있는데, 최근 초등학교에서의 교사부족이 예상됨에 따라 교과 전담교사의 채용을 늘리고 있어 어느 정도의 고용창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반면에 매년 공급되는 중·고등학교 교사 자격 취득인원(약 25,000명)은 최근의 신규 임용임원(약5,000명)을 크게 초과하고 있습니다. 적체된 인원까지 고려하면 취업을 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중·고등학교 교사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전문성 신장과 개발에 대한 투자를 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
·
·
12) 항공장비 엔지니어
향후 5년간 항공기 정비원의 고용은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인천국제공항의 건설과 정부에서 추진 중인 호남권, 영동권, 전주, 울진 등의 공항건설은 국내외 항공수요의 증가를 의미하며, 이러한 항공수요의 증가가 향후 5년간 계속될 것이므로 항공기 정비원의 일자리 창출은 현재보다 증가할 것입니다. 국내 민간항공사의 항공기 정비원 인력수요는 향후 5년 동안 연간 최소 150명에서 최대 400명 사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이 직업에 대한 지원자의 수도 계속하여 증가할 것으로 보이므로 새로운 기술과 자격을 갖추기 위한 계속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풍부한 경력을 갖추고 새로운 기종에 대한 정비기술이 있는 경우 안정적인 고용 뿐만 아니라 더 나은 조건에서 일할 수 있는 기회도 많이 주어질 것입니다. 정비사의 직업전망은 경력과 새로운 기술의 습득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관련 정보처
대한항공 인사부☎ 02) 656-7319
아시아나항공 인사팀☎ 02) 669-3786
아시아나항공 정비훈련원☎ 02) 3660-0579
한국항공진흥협회☎ 02) 662-6272/5
나. 권장 학과
1) 간호학과
간호학과는 간호사 국가고시에 합격하게 되면, 간호사 면호를 받게 되고, 교직과목을 이수하면, 양호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게 되며, 또한 본인의 희망에 따라일정기간의 연수를 받은 후에는 보건진료원, 조산사, 마취간호사 등의 특수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습니다. 간호학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의료인력을 끊임없이 재생산하고 있으며, 국민의 건강수준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학문분야로서, 임상에서 환자들이 자신의 질환을 받아들이고 꿋꿋이 이겨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과정에서 환자가 간호사를 신뢰하고 의지하는 모습에서 간호사로서의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2) 사범대 이학계열
▶가정교육과 - 중·고등학교 가정교사, 모자보건, 전문기관, 가정복지 전문기관, 식품가공 관련기관, 의류업체 등 진출. ▶과학교육과 -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각종 과학연구기관의 연구실 및 실험실, 전공과 관련된 대학원 진학. ▶농업교육과 - 농업계 고등학교, 중학교 농업, 기술영역의 교사직, 농촌지도직원으로 진출, 농촌지도사업 및 지역사회사업에 참여. ▶물리교육과 - 고등학교 물리교사, 과학교육연구자, 대학원에 진학하여 교육대학, 사범대학 등에서 물리교수 및 과학교수로 활동 가능. ▶생물교육과 - 중·고등학교 생물교사, 대학원, 과학원에 진학하거나 외국 유학 등을 통해 국내외 대학과 연구소 등의 연구원으로 활동. ▶수산교육과 - 수산계학교 교사 수산청 공무원, 수협으로 진출. ▶수학교육과 - 중·고등학교 수학교사, 전산계통 기업체, 유학 및 대학원 진학. ▶전자공학 교육과 - 중·고등학교 공업게 과목 교사, 전자관련 제품의 생산분야, 음향기기, 화상기기, 유무선 통신장비, 각종 계측기, 컴퓨터 등의 완제품 제조업체와 반도체, 자동화계통의 제조 및 운용업체 등에 진출 가능. ▶지구과학 교육과 - 중학교 과학교사나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 ▶컴퓨터 교육과 - 92학년도 개설된 학과로 상업계 및 공업계 전산과 교사직으로 진출. ▶화학교육과 - 고등학교 화학교사, 대학원 진학, 유학을 통해서 학계에서 활동, 연구소 실험실 등으로 진출.
·
·
·
9) 항공기계과
항공기 정비를 위한 정비사로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한국항공 기타 외국 항공사와 군정비사(기술하사관), 군헬기조종사(준사관, 3사관학교)로 진출이 가능하며, 항공기 제작회사로서 대한항공, 대우중공업, 삼성항공 등이 있으며, 일반 기계분야의 기술인으로도 진출이 가능합니다.
이상과 같이 수정된 직업인성이론(MRNHLASOC이론)의 9가지 유형을 토대로 진로진단의 탐색분야를 4가지 항목으로 나눈 시트에 피진단자가 작성한 OMR카드에 의해 결과치에 해당하는 코드를 도출하고, 하위코드가 도출되면 그 코드에 해당하는 378가지 직업적 성격유형, 직업정보, 학과정보, 여가 활동정보 등을 이미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호출하여 진로진단 분석표를 각 항목별로 정리하여 진로상담사가 그 자료를 기초로 하여 피진단자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진로와 직업을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피진단자의 기초적인 검사항목을 통해 수정된 직업인성이론(MRNHLASOC 이론)의 근거로 도출된 378가지 직업성격 유형을 토대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문가 집단이 진단을 내려주는 효과와 같이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우수하여 진로문제를 가진 사람들에게 가장 적절한 진로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며, 우리나라의 현 교육체계 및 미래사회의 다양한 직종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처할 수 있어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분야에 대한 특화된 교육을 통해 개인에게는 확고한 진로의식을 통해 자신의 인생에 대해 준비할 수 있도록 하고, 학부모들에게는 자녀에 대한 진로의 확신 및 낭비적 요소를 억제하고, 국가적으로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여 국제경쟁에서 우월한 지위를 점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수정된 직업인성이론(MRNHLASOC 이론)의 9가지 직업성격 유형을 토대로 378가지의 직업적 성격을 코드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검색되는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질과 능력, 직업적 활동, 수행능력, 직업 선호도를 탐색하여 OMR카드를 작성하는 수단; 상기 OMR카드를 수정된 직업인성이론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유형별로 점수를 매겨 합산·비교하여 점수가 높은 순으로 3개를 선정해 점수순서에 따른 하위코드를 추출하는 수단;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78가지 직업적 성격 유형에 대한 파일 중 그 코드에 해당하는 시트를 호출하여 피진단자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로진단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직업인성이론의 직업성격 유형은 실제적 유형, 운동기능적 유형, 자연탐구적 유형, 인문·사회탐구적 유형, 예능적 유형, 문예적 유형, 사회적 유형, 조직운영적 유형, 규례적 유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로진단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유형은 소질과 능력 탐색, 직업적 활동 탐색, 수행능력 탐색, 직업 선호도 탐색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로진단시스템.
  4. 수정된 직업인성이론(MRNHLASOC 이론)의 9가지 직업성격 유형을 토대로 378가지의 직업적 성격을 코드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제1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검색되는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소질과 능력, 직업적 활동, 수행능력, 직업 선호도를 탐색하여 OMR카드를 작성하는 제2단계; 상기 OMR카드를 수정된 직업인성이론의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유형별로 점수를 매겨 합산·비교하여 점수가 높은 순으로 3개를 선정해 점수순서에 따른 하위코드를 추출하는 제3단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378가지 직업적 성격 유형에 대한 파일 중 그 코드에 해당하는 시트를 호출하여 피진단자의 직업적 성격에 적합한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로진단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정된 직업인성이론의 직업성격 유형은 실제적 유형, 운동기능적 유형, 자연탐구적 유형, 인문·사회탐구적 유형, 예능적 유형, 문예적 유형, 사회적 유형, 조직운영적 유형, 규례적 유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로진단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진단자의 객관적인 직업환경과 주관적인 직업성격을 파악하기 위한탐색유형은 소질과 능력 탐색, 직업적 활동 탐색, 수행능력 탐색, 직업 선호도 탐색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로진단방법.
KR1020020027285A 2002-05-17 2002-05-17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35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285A KR20020063529A (ko) 2002-05-17 2002-05-17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285A KR20020063529A (ko) 2002-05-17 2002-05-17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529A true KR20020063529A (ko) 2002-08-03

Family

ID=2772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285A KR20020063529A (ko) 2002-05-17 2002-05-17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3529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465B1 (ko) * 2005-12-12 2006-07-05 와이즈멘토 유한회사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1094392A2 (en) * 2010-01-29 2011-08-04 Daniel Leininger A system and method of knowledge assessment
KR101143579B1 (ko) * 2010-06-24 2012-05-11 권혁한 부정행위 방지용 오엠알 카드
KR101144998B1 (ko) * 2010-04-23 2012-05-11 주식회사 청담러닝 역량 검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역량 검사 방법
KR101581921B1 (ko) 2014-07-08 2015-12-31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장치
KR20190084708A (ko)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매직큐브 두뇌역량 진단방법
KR20210153953A (ko) * 2020-06-11 2021-12-20 김희준 직업기능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직업기능 검사 방법
KR102419619B1 (ko) * 2021-12-01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적성 유형 및 진로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20484B1 (ko) * 2022-03-10 2022-07-13 (주)스카우트 인적성검사를 통한 ai 매칭 기반의 구인 구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906A (ko) * 1986-06-28 1988-03-30 이건형 진학(진로)적성 진단 검사방법
KR890005648A (ko) * 1987-09-04 1989-05-16 이건형 직업 적성 진단 검사방법
JPH05307352A (ja) * 1992-04-08 1993-11-19 Fukuto:Kk 進路適性検査システム
KR20000049681A (ko) * 2000-04-22 2000-08-05 박은일 구인 구직 쌍방의 가치평가에 의한 인력채용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10112045A (ko) * 2000-06-11 2001-12-20 마쓰다이라 가즈요시 취직정보제공시스템
KR100334138B1 (ko) * 1999-11-04 2002-04-25 박노열 진로진단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906A (ko) * 1986-06-28 1988-03-30 이건형 진학(진로)적성 진단 검사방법
KR890005648A (ko) * 1987-09-04 1989-05-16 이건형 직업 적성 진단 검사방법
JPH05307352A (ja) * 1992-04-08 1993-11-19 Fukuto:Kk 進路適性検査システム
KR100334138B1 (ko) * 1999-11-04 2002-04-25 박노열 진로진단시스템
KR20000049681A (ko) * 2000-04-22 2000-08-05 박은일 구인 구직 쌍방의 가치평가에 의한 인력채용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010112045A (ko) * 2000-06-11 2001-12-20 마쓰다이라 가즈요시 취직정보제공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동아일보] [사회] 2001.07.24 *
카달로그[매일경제] [사회]2000.12.10 *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465B1 (ko) * 2005-12-12 2006-07-05 와이즈멘토 유한회사 학과계열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1094392A2 (en) * 2010-01-29 2011-08-04 Daniel Leininger A system and method of knowledge assessment
WO2011094392A3 (en) * 2010-01-29 2011-10-06 Daniel Leininger A system and method of knowledge assessment
KR101144998B1 (ko) * 2010-04-23 2012-05-11 주식회사 청담러닝 역량 검사를 위한 서버 시스템 및 역량 검사 방법
KR101143579B1 (ko) * 2010-06-24 2012-05-11 권혁한 부정행위 방지용 오엠알 카드
KR101581921B1 (ko) 2014-07-08 2015-12-31 주식회사 테라클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장치
KR20190084708A (ko) 2018-01-09 2019-07-17 주식회사 매직큐브 두뇌역량 진단방법
KR20210153953A (ko) * 2020-06-11 2021-12-20 김희준 직업기능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직업기능 검사 방법
KR102419619B1 (ko) * 2021-12-01 2022-07-12 (주)창의발레소예 모바일 기반 아동 적성 유형 및 진로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20484B1 (ko) * 2022-03-10 2022-07-13 (주)스카우트 인적성검사를 통한 ai 매칭 기반의 구인 구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vi Research methodology: A handbook for beginners
Coaley An introduction to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psychometrics
Astin et al.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Technique: A way to measure college environments.
Burnard et al. Nursing research in action: exploring,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skills
Prussia et al.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outco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elf‐efficacy
Kumar Research methodology in social science
Vonk et al. Research techniques for clinical social workers
Jacobson et al. Does the type of campus influence self-regulated learning as measured by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Chabeli Concept-mapping as a teaching method to facilitate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eview of the literature
Kuther The Psychology Major′ s Handbook
Rao Science process skills of school students
KR20190114729A (ko) 중학생 시기 학생의 진로적합검사용 설문지 및 이를 이용한 진로적합검사방법
Vanaja Inquiry Training Model
KR100334138B1 (ko) 진로진단시스템
KR20020063529A (ko) 진로진단시스템 및 방법
Hubbard et al. Revision of O* NET data collection instruments
Atah et al. Students variables and the development of employability mastery on undergraduates business education students in Federal Universities in Southern Nigeria
Tirri et al. Ethical sensitivity scale
Sharma et al. Impact of spiritu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learning with mediating effect of curiosity
Francis et al. Identifying learning preferences among Italian undergraduate students studying the sociology of religion: Drawing on psychological type preferences
Karabacak et al. An Investigation of the Professional Values of Elementary Teachers.
Tirri Evaluating Teacher Effectiveness by Self-Assessment: A Cross-Cultural Study. Research Report 122.
Starecek et al. Personality traits and motivation of Generation Z students in management study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Çilingir Altiner et al. Do mathematical thinking processes influence visual estimation skills in students?
Hassan et al. A Structural Framework for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and its Consequence on Leadership Succession Planning Strategy Applying to the Leaders of King Khalid University and Qualified Personnel for Leadership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