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3237B1 -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3237B1
KR102273237B1 KR1020190034493A KR20190034493A KR102273237B1 KR 102273237 B1 KR102273237 B1 KR 102273237B1 KR 1020190034493 A KR1020190034493 A KR 1020190034493A KR 20190034493 A KR20190034493 A KR 20190034493A KR 102273237 B1 KR102273237 B1 KR 102273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cosmetic composition
weight
formula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791A (ko
Inventor
한누리
문선영
신병모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4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237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8Two- or multipart kits
    • A61K2800/882Mixing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1제 및 2제의 혼합을 통하여 높은 점도를 갖는 겔 제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겔 형성의 시각적 효과에 따라 제품에 대한 인지 효능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of transforming formula}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킨케어 화장품에서 앰플(Ampoule), 세럼(Serum) 제형은 화장수 및 유액 등과 함께 오래 전부터 널리 사용된 유형이다. 유화기술, 화장법의 역사적 변천 및 진보에 따라 각 시대별로 여러 가지 제형이 제조되었는데, 계면화학의 진보, 화장품의 제조기술 수준의 향상 및 화장법의 발달이 오늘날의 다양한 형태의 제형을 만들어내고 있다. 상기 앰플은 점증제와 중화제를 한 배치 내에서 혼합하여 점증을 시키는 제형과 달리, 점증제와 중화제를 1제와 2제로 나뉘어 사용 직전 혼합하는 제형이다.
최근에는 특이 성분을 이용한 트랜스포밍 화장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트랜스포밍 화장품은 사용 과정에서 그 제형이 변하는 제품을 지칭하며, 특히, 피부에 닿으면 피부의 온도에 따라 상이한 제형으로 바뀐 듯 느껴지는 제품을 포함한다. 이처럼 제형이 전환되는 화장품은 사용자에게 편리성과 우수한 흡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 재미를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상기 트랜스포밍 화장품으로는 밤 형태의 제형이 피부에 닿으면 오일 제형으로 전환되는 오일밤 제품, 겔 제형에서 액상으로 전환되는 제품 등이 출시된 바 있다.
한편, 겔 제형의 화장품은 피부에 촉촉하게 발리면서, 산뜻하게 흡수되기 때문에 스킨케어 영역을 넘어 메이크업 제품으로도 그 적용 분야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높은 점도를 갖는 제품을 제공하면서, 제품에 대한 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액상의 제형으로부터 겔 제형으로의 전환되는 트랜스포밍 화장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684909
일 양상은 중화제가 함유된 액상 제형의 1제, 및 점도 형성제가 함유된 액상 제형의 2제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중화제가 함유된 액상 제형의 1제, 및 점도 형성제가 함유된 액상 제형의 2제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1제 및 2제의 혼합에 의해 겔 제형을 형성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 제품을 사용 또는 사용하기 전, 어느 하나의 제형에서 또 다른 제형으로 변화하는 특성을 지니는 조성 또는 조성물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형은 사용 편리성 및 우수한 사용감과 함께 사용자에게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제형에 높은 점도를 갖는 물질로 변화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액상 제형에서 겔 제형으로 전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는 용기 내 분리된 공간에 격리되어 담겨 있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기 전 조건에서 중화제가 함유된 1제 및 점도 형성제가 함유된 2제는 각각 액상 제형으로 유지 및 보관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1제 및 2제를 혼합하여 겔 제형을 형성한 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겔 제형으로의 변화는 고농축, 및 고점도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에게 시각적 효과를 부여하여 제품에 대한 인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겔 제형으로 변화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흘러내림 없이 유효 성분을 피부에 산뜻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혼합은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개시될 수 있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공지의 기술적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1제 및 2제가 담겨 있는 용기와 동일한 용기에서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혼합은 1제와 2제 사이 위치하는 분리벽 또는 분리막의 파괴, 1제 또는 2제의 토출 또는 분사 등을 통하여 진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1제 및 2제를 1:6 내지 1:12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량비는 1:6 내지 1:10, 1:6 내지 1:8, 1:7 내지 1:12, 1:7 내지 1:10, 1:7 내지 1:8, 1:8 내지 1:12, 1:8 내지 1:10, 1:9 내지 1:12, 또는 1:9 내지 1: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1제는 1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중화제를 0.5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화제의 함유량은 0.5 내지 8중량%, 0.5 내지 6중량%,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2중량%, 2 내지 10 중량%, 2 내지 8 중량%, 2 내지 6 중량%, 2 내지 4 중량%, 4 내지 10 중량%, 4 내지 8 중량%, 또는 4 내지 6 중량%일 수 있으나, 조성물의 용도, 및 목적하는 효과 등에 따라 적의 변경 가능하다.
상기 중화제는 트로메타민, 수산화나트륨, 알지닌,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아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화제는 트로메타민, 또는 수산화나트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케어, 예를 들어,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5 내지 10 중량%의 중화제, 및 5 내지 30% 중량%의 보습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나, 이는 적의 변경 가능 하다. 상기 보습 성분으로는 1,2-헥산디올, 부틸렌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카프릴헥실글라이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2제는 2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점도 형성제를 0.01 내지 10 중량%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도 형성제의 함유량은 0.01 내지 8중량%, 0.01 내지 6중량%, 0.01 내지 4 중량%, 0.5 내지 2중량%, 2 내지 10 중량%, 2 내지 8 중량%, 2 내지 6 중량%, 2 내지 4 중량%, 4 내지 10 중량%, 4 내지 8 중량%, 또는 4 내지 6 중량%일 수 있으나, 조성물의 용도, 및 목적하는 효과 등에 따라 적의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점도 형성제은 제1제의 중화제의 중량과 비교하여, 2:1 내지 5:1의 비율(중량)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점도 형성제와 중화제의 중량비는 2:1 내지 4.5:1, 2:1 내지 4:1, 2:1 내지 3.5:1, 2:1 내지 3:1, 또는 2:1 내지 2.5:1일 수 있으나, 조성물의 용도, 및 목적하는 효과 등에 따라 이 역시 적의 변경 가능하다.
상기 점도 형성제는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잔탄검, 셀룰로오스검, 카보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케어, 예를 들어,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01 내지 10 중량%의 점도 형성제, 및 5 내지 30% 중량%의 보습 성분을 함유할 수 있으나, 이는 적의 변경 가능 하다. 상기 보습 성분으로는 1,2-헥산디올, 부틸렌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카프릴헥실글라이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정제수, 분산제,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의하면, 단일의 용기 내에서 액상 제형의 1제 및 2제의 혼합을 통해 높은 점도를 갖는 겔 제형의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겔 형성의 시각적 효과에 따라 제품에 대한 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밍 제형 화장료 조성물에서, 액상의 1제 및 2제의 혼합에 따른 겔 형성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중화제가 함유된 1제와 점도 형성제가 함유된 2제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제는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원료 성분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이를 상온에서 아지 믹서(Agi mixer)/호모믹서(Homo mixer)를 사용하여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또한, 2제는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과 함량에 따라 원료 성분을 비이커에 계량한 후, 이를 상온에서 아지 믹서를 사용하여 5분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1제 및 2제를 각각 용기 내 분리된 공간에 1:9의 중량비로 충진함으로써,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1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트로메타민 4
성분 함량 (중량%)
2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0.9
이후, 액상의 1제와 2제를 동일한 용기에서 혼합한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내에서 액상의 조성물이 겔 제형으로 전환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점도 형성제의 함량에 따른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효능 비교
본 실시예에서는 점도 형성제의 함량 및 그에 따른 중화제 비율을 조절하여,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하기 표 3 및 표 4와 같이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1제 및 2제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조성물의 점도를 비교하였다(측정 조건: Brookfield LVT, Spindle No.4@30rpm). 한편, 2제 내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0.6중량% 함유된 경우, 그 점도가 18500 (cP)으로 측정되었던 반면, 2제 내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1.5 중량% 함유된 경우, 탱글한 겔의 형성에 의해 점도 측정이 어려워 경도 측정기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1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트로메타민 2.2
2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0.6
성분 함량 (중량%)
1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트로메타민 6
2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1.5
그 결과,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0.6 중량%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9.2,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1.5 중량%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는 14로 측정되었다(측정 조건: 봉9호, 봉직경 15pi, T.Speed 2cm/min, S.ADJ.25mm, Range 500). 이러한 실험 결과는 2제 내 점도 형성제의 함량을 1 내지 2 중량%로 조정함으로써, 겔 제형으로의 트랜스포밍 효과를 향상시키고, 이에 따른 사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3. 중화제의 변경에 따른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효능 비교
본 실시예에서는 점도 형성제를 포함하는 2제의 조성 및 함량은 동일하게 유지한 채, 1제에 포함된 중화제의 종류만을 변경하여, 하기 표 5 및 표 6과 같이,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실시예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1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트로메타민 6
2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1.5
성분 함량 (중량%)
1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수산화나트륨 6
2제 정제수 To 100
1,2 헥산디올 2
부틸렌글라이콜 10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카프릴릴글라이콜 0.1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1.5
그 결과, 상기 1제 및 2제의 혼합에 의해 형성된 조성물에 대하여,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경도를 비교한 결과, 중화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경도는 모두 14 정도로 유사하게 나타내었다.

Claims (12)

  1. 트로메타민, 또는 수산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화제가 함유된 액상 제형의 1제, 및 점도 형성제로서 아크릴레이트/베헤네스-25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함유된 액상 제형의 2제를 포함하는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1제 및 2제는 수성상의 액상 제형으로, 혼합에 의해 투명한 겔 제형을 형성하며,
    상기 1제는 1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의 중화제, 및 5 내지 30 중량%의 보습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2제는 2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의 점도 형성제 및 5 내지 30 중량%의 보습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보습성분은 1,2-헥산디올, 부틸렌글리콜, 에틸헥실글리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중화제와 상기 점도 형성제간 중량비는 2:1 내지 5:1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제 및 2제는 용기 내 분리된 공간에 격리되어 담겨 있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1제 및 2제를 혼합하여 겔 제형을 형성한 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서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1제 및 2제를 1:6 내지 1:12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34493A 2019-03-26 2019-03-26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2273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493A KR102273237B1 (ko) 2019-03-26 2019-03-26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493A KR102273237B1 (ko) 2019-03-26 2019-03-26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91A KR20200113791A (ko) 2020-10-07
KR102273237B1 true KR102273237B1 (ko) 2021-07-06

Family

ID=7288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493A KR102273237B1 (ko) 2019-03-26 2019-03-26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2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614B1 (ko) * 2010-06-25 2012-10-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KR101911308B1 (ko) * 2017-03-08 2018-10-24 정관영 하이드로겔형 보습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909B1 (ko) 2010-11-26 2016-12-09 (주)아모레퍼시픽 스프레이 타입의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614B1 (ko) * 2010-06-25 2012-10-15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혼합식 화장료 조성물
KR101911308B1 (ko) * 2017-03-08 2018-10-24 정관영 하이드로겔형 보습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791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34788B (en) Single phase microemulsion composition, oil in water (o/w) supermicro emulsion external ag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846696B2 (ja) アルキルケタールエステルを含有する個別健康管理用処方物および製造方法
CN104739656B (zh) 一种含阴离子Gemini表面活性剂的纳米乳液及其制备方法
KR101145060B1 (ko) 제형 안정성을 개선시킨 o/w 형 화장료 조성물
US20150099638A1 (en) High internal phase compositions utilizing a gemini surfactant
JP3657148B2 (ja) 透明化粧料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EA029421B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й в виде эмульсии масло-в-воде
KR102273237B1 (ko) 트랜스포밍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KR101428474B1 (ko)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95208A1 (de) Ester von oligohydroxycarbonsäuren und deren verwendung
US6706768B2 (en) Production and use of novel alkoxylated monoesters
KR20180003146A (ko) 피부 위 전상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38013B1 (ko) 안정한 수중유형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KR102635300B1 (ko) 오일 드롭을 포함하는 투명한 겔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JP2022548683A (ja) 高オイル含有量のゲル組成物、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KR101684909B1 (ko) 스프레이 타입의 에어로졸 화장료 조성물
CA2540915C (en) Alkoxylated fully hydrogenated jojoba wax esters
JP4136966B2 (ja) 毛髪化粧料
KR102633490B1 (ko) 사용감이 개선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456778B2 (ja) ゲル状組成物及びそれからなる皮膚外用剤
JPH01102012A (ja) 化粧料
KR102045251B1 (ko) 섬유 형성능을 가지는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KR20230151936A (ko) 안정한 고 내부상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