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611B1 -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 Google Patents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611B1
KR102272611B1 KR1020200150007A KR20200150007A KR102272611B1 KR 102272611 B1 KR102272611 B1 KR 102272611B1 KR 1020200150007 A KR1020200150007 A KR 1020200150007A KR 20200150007 A KR20200150007 A KR 20200150007A KR 102272611 B1 KR102272611 B1 KR 102272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eet
cavity
light ex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멤스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멤스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멤스룩스
Priority to KR102020015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611B1/ko
Priority to CN202111321634.3A priority patent/CN114545539A/zh
Priority to EP21207647.5A priority patent/EP4001750A3/en
Priority to JP2021183723A priority patent/JP7409614B2/ja
Priority to US17/523,948 priority patent/US11774661B2/en
Priority to US18/210,098 priority patent/US1206664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반사형 디스플레이의 프론트 라이트 유닛, 인테리어용 조명, 생활 조명 또는 광고 조명에 적용가능한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는, 일 면에 형성된 미세패턴부를 다수로 갖고, 상기 미세패턴부는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한 저면과 상기 저면의 각 변에 연결된 다수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저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고, 상기 내측면들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내측면들은 상기 곡면이다.

Description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LIGHT EMITTING SHEET AND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반사형 디스플레이의 프론트 라이트 유닛, 인테리어용 조명, 생활 조명 또는 광고 조명에 적용가능한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이다.
평판 도광 플레이트 기술분야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닛, 전자종이, RLCD 등 반사형 디스플레이의 야간시인성을 높여 주는 전면 광원에 응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층 광학필름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광판(LGP)은 측면(CCFL 또는 LED)에서 입사된 빛을 평면의 상부로 출광시키는 역할로서, 표면에 3차원의 구조체 혹은 2차원의 패턴이 형성된다. 확산 시트(Diffuser sheet)는 도광판(LGP) 상부에 있는 패턴에 의한 닷(Dot)을 제거하는 용도이다. 프리즘 시트(Prism sheet)는 수직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로 출광하는 빛의 진행방향을 보정하여 수직 출광이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2장 시트가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백라이트 유닛은 다층의 광 시트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두께가 증가한다는 점, 제조 비용 증가한다는 점, 광효율 저하 등의 여러 문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2개의 사례가 있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역경사 구조를 채용한 단일 시트 도광판의 예들로서, 비특허문헌 1과 비특허문헌 2에 관련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단일 시트 도광판은 역사다리꼴의 단면을 가지는 패턴 구조를 적용하여 도광판 자체만으로 빛을 수직으로 출광한다. 이와 같은 자체 수직출광 패턴 구조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의 프리즘 시트 2장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패턴을 적용하여 도광판 패턴이 눈에 두드러지게 보이는 것을 막음으로써 확산 시트의 필요성도 없어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역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는 패턴 구조를 적용하면, 단일 시트의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할 수 있다.
하지만, 비특허문헌 1과 비특허문헌 2의 문제점으로는, 별도의 프리즘 시트 없이 한 층의 광학 시트만을 이용하여 빛을 수직으로 출광시키기 위해서는 표면에 형성된 패턴이 반드시 역경사 구조를 가져야 한다. 여기서, 역경사 구조라 함은, 패턴의 하부보다 상부가 더 큰 구조로서, 구체적으로는 패턴의 측벽 외부가 도광판 표면과 이루는 각이 0도에서 90도 사이인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역경사 구조는 필연적으로 목보다 머리가 더 큰 형태이므로, 대량 생산이 절대적으로 중시되는 산업 특성상 몰드에 의한 사출이나 캐스팅 등이 까다롭고 어렵다.
도 4는 종래의 매립된 에어갭 구조를 채용한 단일 시트 도광판을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일 예로서, 특허문헌 1에 관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백라이트 유닛은, 역경사 구조를 도광판 내 또는 표면에 매설한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더욱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하지만, 이와 같이 도광판 내에 공기층을 매립하는 구조 역시 대량 생산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5는 종래의 가드링 구조를 구비한 도광판 및 라이트 유닛으로서, 특허문헌 2에 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가드링 구조를 구비한 도광판 및 라이트 유닛의 문제점은, 가드링(24a)이 외력이나 자체적으로 도광부(21)로부터 분리되면, 외부의 이물질이 미세패턴부(22)에 전면적으로 퍼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도광부(21)와 가드링(24a) 사이의 충분한 접착 강도를 구현하기 위해서, 가드링(24a)의 폭이 넓어지면 넓어질수록, 도광부(21), 미세패턴부(22) 및 출광부재(23)를 구비한 도광판(20)의 전체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도광판(20)이 단독으로 프론트 라이트(front light)로 사용될 시 심미성을 해칠 수 있다.
또한, 출광부재(23)와 도광부(21)를 서로 붙여야만 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시스템의 두께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고, 공정 과정이 복잡하며, 제조 비용의 상승의 문제가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가드링 구조를 구비한 도광판 및 라이트 유닛의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드링 구조를 구비한 도광판은, 출광부재(23)와 도광부(21)를 전사하고 접착하는 과정에서, 1) 도광부(21)와 출광부재(23)간의 접착 유효면적이 작아 접착강도가 약하고, 2) 접착 시, 라미네이터로 압력을 주어 붙이는데, 이 과정에서 이상적인 경우(ideal)와는 달리 실제 현상에서는 미세패턴부(22) 사이의 빈 공간(air)이 많기 때문에, 미세패턴부(22)의 형상 변형이 이뤄져 미세패턴부(22) 사이의 빈 공간(air)으로 출광부재(23)가 붕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설계 시 의도했던 광학적 특성이 나오기 어렵다. 또한, 3) 가드링(24a)의 파손 시, 빈 공간을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미세패턴부(22) 전체로 유입될 수 있는 문제도 존재한다.
KR 2011-0060348 A KR 2020-0009930 A
J.-H. Lee, H.-S. Lee, B.-K. Lee, W.-S. Choi, H.-Y. Choi, and J.-B. Yoon, "Simple LCD Backlight Unit Comprising Only a Single-sheet Micropatterned Polydimethylsiloxane (PDMS) Light-guide Plate," Optics Letters, vol. 32, no.18, page 2665-2667 Jeongho Yeon, Joo-Hyung Lee, Hong-Seok Lee, Hoon Song, Yong-Kweun Mun, Yoon-Sun Choi, Hwan-Young Choi, Sangyoon Lee, and Jun-Bo Yoon  "An effective light-extracting microstructure for a single-sheet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Journal of Micromechanics and Microengineering, 22 (2012) 095006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기계적 안정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단일의 출광 시트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빛을 출광시킬 수 있는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별도의 프리즘이나 휘도 증가 시트(BEF, Brightness Enhancement Film) 없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빛을 출광시킬 수 있는 라이트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는, 일 면에 형성된 미세패턴부를 다수로 갖고, 상기 미세패턴부는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한 저면과 상기 저면의 각 변에 연결된 다수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저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는,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 아래에 다수로 배치된 미세패턴부; 및 상기 베이스 시트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다수의 미세패턴부 사이사이에 배치된 가드링;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패턴부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각 변에 연결된 상기 가드링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위로 출광시키는 출광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 시트는 일 면과 타 면을 갖는 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부는 상기 일 면에 형성된 미세패턴부를 다수로 갖고, 상기 미세패턴부는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한 저면과 상기 저면의 각 변에 연결된 다수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저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위로 출광시키는 출광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 시트는 일 면과 타 면을 갖는 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부는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 아래에 다수로 배치된 미세패턴부; 및 상기 베이스 시트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다수의 미세패턴부 사이사이에 배치된 가드링;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패턴부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각 변에 연결된 상기 가드링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의 도광판을 가공하는데 사용하였던 종래 방식(예를 들어, 기계가공, 레이저가공, 잉크젯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대량 생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기계적 안정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출광 시트를 도광 시트와 결합하여 이중 시트 구조로 적용 시, 개개의 미세패턴부에 대해 가드링을 두어 미세패턴부의 기계적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프리즘이나 휘도 증가 시트(BEF) 없이, 수직 방향으로 빛을 출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종래 수직출광을 위해서 흔히 채용되어 온 역경사 구조를 배제하고, 몰드 혹은 스탬프로부터 쉽게 사출 성형이 가능한 정방향 경사 구조와 양각 몰드를 채용하여 높은 효율로 빛을 수직으로 출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 간 접착없이 대량 생산이 가능한 초박형 라이트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방향 뿐만 아니라 양 방향 출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단방향 출광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광체의 수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피광체, 예를 들어 비투과형 피광체 뿐만 아니라 투과형 피광체에도 조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층 광학필름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역경사 구조를 채용한 단일 시트 도광판의 예들이다.
도 4는 종래의 매립된 에어갭 구조를 채용한 단일 시트 도광판을 적용한 백라이트 유닛의 일 예이다.
도 5는 종래의 가드링 구조를 구비한 도광판 및 라이트 유닛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가드링 구조를 구비한 도광판 및 라이트 유닛의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의 출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의 여러 변형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의 출광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과 사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 구비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과 이의 출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 구비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과 이의 출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3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출광 시트, 도 11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 및 도 17에 도시된 출광 시트의 출광 모습을 보여주는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의 다른 조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형태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형태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형태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형태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와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의 출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광 시트(210), 출광 시트(230) 및 도광 시트(210)의 일 측에 하나 또는 다수로 배치된 광원을 포함한다.
출광 시트(230)는 도광 시트(210)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출광 시트(230)는 도광 시트(210)와 접착된다. 따라서, 출광 시트(230)와 도광 시트(210) 사이에는 소정의 접착 유효면적을 갖는다.
출광 시트(230)는 도광 시트(210) 사이의 접착제의 예로서는, 압력민감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광학용투명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 광학용투명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UV 접착제, 올리고머(Oligomer), 프라이머(primer), 실란 커플링제(silane),나노복합수지 코팅(Silica-organic hybrid resins), 수성 초산비닐수지 에멀젼 접착제(Water based PVAc adhesive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출광 시트(230)와 도광 시트(210) 사이에는 출광 시트(230)와 도광 시트(210)의 광학적 굴절률보다 낮은 저굴절률 물질이 배치될 수 있다. 저굴절률 물질로는 공기, 액체, 및 여타의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가 있다.
도광 시트(210)와 출광 시트(230)는 투명 재질로서, 투명 재질의 예로서, PMMA(Polymethylmethacrylate), SMMA(Styrenemethyl Methacrylate), COC(Cyclic olefin copolymer), AryLite, Polycarbonate, PET(Polyethyleneterephtalate), PI(Polyimide), PE(Polyethylene), PES(Polyethersulfone), PO(Polyolefin), PVA(Polyvinylalcohol), PVC(Polyvinylchloride), TAC(Triacetylcellulose), PS(Polystylene), PP(Polypropylen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AN/AS(Styrene Acrylonitril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TT(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U(Polyurethane), PUA(Polyurethane Acrylate),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PAR(Polyarylate), Silicone, PDMS(Polydimethylsiloxan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광 시트(210)와 출광 시트(230)는 동일 재질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재질일 수도 있다.
출광 시트(230)는 베이스 시트(231), 복수의 미세패턴부(233) 및 가드링(235)을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 시트(231), 복수의 미세패턴부(233) 및 가드링(235)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출광 시트(230)를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231)는 상면과 하면(231b)을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231b)에 복수의 미세패턴부(233)와 가드링(235)이 배치될 수 있다.
미세패턴부(233)는 베이스 시트(231)의 아래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세패턴부(233)는 캐비티(233c,cavity)와 캐비티(233c) 내에 배치된 돌출패턴(233p)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출패턴(233p)은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231b)으로부터 위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패턴(223)은 광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광 시트(210) 상에 위치한 베이스 시트(231)를 지지하여 베이스 시트(231)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캐비티(233c)는 출광 시트(230)의 하면에 형성된 소정 형상의 음각 패턴일 수 있다. 캐비티(233c)는 출광 시트(23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를 가지며 깊이가 깊어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의 빈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캐비티(233c)의 평면 형상은 원형이나 다각형, 기타 부정형의 폐곡선일 수 있다. 상기 캐비티(233c)가 음각 형상으로 출광 시트(230)에 형성되기 때문에, 출광 시트(230)는 도광 시트(210)에 밀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캐비티(233c)는 가드링(235)의 내측면(235s),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231b) 및 돌출패턴(233p)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가드링(235)은 출광 시트(230) 하면의 가장자리 뿐만 아니라, 다수의 미세패턴부(233)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가드링(235)의 하면은 도광 시트(210)와 접착될 수 있다.
가드링(235)의 내측면(235s)은 원뿔대의 옆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가드링(235)의 내측면(235s)의 단면은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231b)과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베이스 시트(231)의 하면(231b)은 돌출패턴(233p)의 경사면과 둔각을 형성할 수 있다.
가드링(235)이 다수의 미세패턴부(233) 사이사이 배치되므로, 출광 시트(230)와 도광 시트(210)의 가압 접착 시에 출광 시트(230)와 도광 시트(210) 사이의 접착 유효면적을 넓혀 출광 시트(230)의 붕괴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출광 시트(230)와 도광 시트(210)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켜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다수의 미세패턴부(233)를 개별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가드링(235)은 각 미세패턴부(233)를 개별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가드링(Individual Guardring, IG)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도 9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의 출광 특성을 살펴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 시트(210)가 도광 시트(210)의 일 측에 일렬로 배치된 광원(LED)들로부터 빛을 수신하면, 도광 시트(210) 내에서 진행되던 빛 중 일부 빛(1번 광선, 2번 광선, 3번 광선)이 가드링(235)의 내측면(235s)의 일부 면(빛이 출광되는 면)에서 반사되어 출광 시트(230)를 통해 밖으로 출광된다. 이 때, 가드링(235)의 내측면(235s)의 일부 면(빛이 출광되는 면)에 입사된 빛(1번 광선, 2번 광선, 3번 광선) 모두가 출광 시트(230)와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광원(LED)로부터 수직으로 입사되는 2번 광선은 가드링(235)의 내측면(235s)의 일부 면(빛이 출광되는 면)에 반사되어 출광 시트(23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출력되지만, 비스듬한 방향으로 입사된 1번 및 3번 광선들은 출광 시트(230)와 예각(또는 낮은 각)을 형성하면서 출광된다. 이는 가드링(235)의 내측면(235s)의 일부 면(빛이 출광되는 면)이 광원(LED)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에 기인한다.
이와 같이, 낮은 각으로 출광되는 빛(1번 광선, 3번 광선)을 가능한 출광 시트(23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해서, 출광 시트(230)는 도 10에 도시된 캐비티(233c)와 다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와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는 음각 패턴의 캐비티(233c')를 갖는다. 여기서, 캐비티(233c')는 미세패턴부로 명명될 수 있고, 다수로 출광 시트(23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233c')는, 출광 시트(23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h)를 갖는다. 캐비티(233c')는 홈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깊이(h)는 1μm 이상 100μm 이하일 수 있다.
캐비티(233c')는, 상기 깊이(h)가 깊어질수록 캐비티(233c')의 단면의 폭(여기서, 상기 단면은 캐비티(233c')의 중심축(C)을 지나면서 출광 시트를 수직으로 자르는 가상의 면이다.)이 좁아진다. 여기서, 캐비티(233c')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사다리꼴 단면의 하변과 옆변 사이의 각도(θ)는 0(°)도 초과 90도(°) 미만일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사다리꼴 단면의 옆변은 직선이 아닌 곡선일 수 있고, 곡선일 경우에 옆변은 사다리꼴 단면의 내측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곡선일 수 있다.
캐비티(233c')는,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한 저면과 상기 저면을 구성하는 각 변에 연결된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233c')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저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여기서, 출광 시트(230')의 내측면들은 셋 이상으로 구성되고, 저면의 각 변은 캐비티(233c')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이고, 내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캐비티(233c')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저면의 각 변과 곡면인 내측면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고, 저면의 각 변의 곡률과 내측면의 곡률반경(R)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캐비티(233c')의 평면 형상은 곡률반경(R)이 100nm ~ 1mm 범위인 곡선으로 이루어진 다각형 형태의 폐곡선일 수 있다.
여기서, 출광 시트(23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 아래에 배치된 가드링으로 구성된 경우, 캐비티(233c')는 베이스 시트의 하면(231b')과, 상기 하면(231b')의 각 변에 연결된 가드링의 다수의 내측면(235s')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는 음각 패턴의 캐비티(233c')를 갖기 때문에,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다양한 각도로 입사되는 빛들을 출광 시트(23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는 도 9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보다 출광 특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의 여러 변형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변형 예에 따른 캐비티는 3개의 변으로 구성된 하면(231b'')과 3개의 내측면(235s'')으로 정의된다. 제2 변형 예에 따른 캐비티는 4개의 변으로 구성된 하면(231b''')과 4개의 내측면(235s''')으로 정의된다. 제3 변형 예에 따른 캐비티는 5개의 변으로 구성된 하면(231b'''')과 5개의 내측면(235s'''')으로 정의된다. 제4 변형 예에 따른 캐비티는, 4개의 변으로 구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변은 곡선이고, 나머지 2개의 변은 직선인 하면(231b''''')과, 2개의 곡면인 제1 내측면(235sa)과, 2개의 평면인 제2 내측면(235sb)으로 정의된다. 제5 변형 예에 따른 캐비티는 제4 변형 예에 다른 캐비티와 비교하여 제2 내측면(235ab')이 곡면이되, 바깥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의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저면까지 소정 깊이를 가지며, 깊이가 깊어질수록 개비티의 폭이 좁아진다. 또한, 캐비티는 저면과 상기 저면에 연결된 내측면들로 정의될 수 있고, 상기 내측면은 캐비티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고, 저면의 각 변도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면들의 개수는 저면의 각 변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적어도 셋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내측면들 중 일부는 곡면일 수 있고, 나머지는 평면일 수도 있다. 또한, 내측면들 전부가 곡면일 수도 있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의 출광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과 사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광원(1400)과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포함한다.
광원(1400)은 출광 시트(230)의 일 측에 하나 또는 다수로 배치될 수 있다. 광원(1400)은 LE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CCFL일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광원(1400)과 하나의 출광 시트(23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단일의 출광 시트(230')를 이용하여 소정의 출광 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후술할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과 유사한 출광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광원(1400), 도광 시트(210) 및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도광 시트(210)를 더 포함하고, 광원(1400)은 도광 시트(210)의 일 측에 하나 또는 다수로 배치되고,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는 도광 시트(210) 상에 배치된다.
도 1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과 유사한 출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2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출광 시트(230'')는 캐비티(233c'')를 갖고, 캐비티(233c'') 내에 배치된 돌출패턴(233p)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17의 출광 시트(230'')에서 캐비티(233c'')와 돌출패턴(233p)가 미세패턴부로 명명될 수 있다.
돌출패턴(233p)은 캐비티(233c'') 내에 배치되고, 캐비티(233c'')의 저면으로부터 개구 방향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패턴(233p)은 캐비티(233c'')의 저면으로부터 위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뿔대 형상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는,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와 비교하여, 돌출패턴(233p)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출광 특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 구비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과 이의 출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출광 시트(230'')과 출광 시트(230'')의 일 측에 배치된 광원(1400)을 포함한다.
출광 시트(230'')는 하면에 형성된 캐비티(233c'')를 갖고, 캐비티(233c'') 내에 배치된 돌출 패턴(233p)을 포함한다.
캐비티(233c'')는 저면과 상기 저면에 연결된 다수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고, 상기 저면은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의 위치에 배치되며, 내측면은 캐비티(233c'') 내부로 볼록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내측면들의 개수는 적어도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내측면들 중 일부는 곡면일 수 있고, 나머지는 평면일 수도 있다. 또한, 내측면들 전부가 곡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출광 시트(230'')는 광원(1400)으로부터의 빛을 수신하고, 수신된 빛 중 일부 빛은 캐비티(233c'')를 정의하는 내측면에 반사되어 출광 시트(230'') 위로 반사되며, 수신된 빛 중 일부 빛은 돌출 패턴(233p)에 반사되어 출광 시트(230'') 위로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되는 빛들은 출광 시트(23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도 18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은 돌출 패턴(233p)을 더 구비하기 때문에, 출광 특성이 더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돌출 패턴(233p)이 출광 시트(230'')를 지지하기 때문에, 출광 시트(230'')의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 구비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과 이의 출광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광 시트(210), 도광 시트(210) 상에 배치된 출광 시트(230''), 도광 시트(210)의 일 측에 배치된 광원(1400)을 포함한다. 출광 시트(230'')는 도 1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면에 형성된 캐비티(233c'')를 갖고, 캐비티(233c'') 내에 배치된 돌출 패턴(233p)을 포함한다.
도 19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은 2장의 시트를 이용하여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9의 라이트 유닛의 출광 시트(230'')는 도광 시트(210)로부터 빛을 수신하고, 수신된 빛 중 일부 빛은 캐비티(233c'')를 정의하는 내측면에 반사되어 출광 시트(230'') 위로 반사되며, 수신된 빛 중 일부 빛은 돌출 패턴(233p)에 반사되어 출광 시트(230'') 위로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되는 빛들은 출광 시트(230'')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3의 제4 변형 예에 따른 출광 시트, 도 11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출광 시트 및 도 17에 도시된 출광 시트의 출광 모습을 보여주는 광학 현미경 이미지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출광 시트에 형성된 음각 패턴(또는 캐비티)에 의해,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음각 패턴을 정의하는 내측면 중 일부 면에 반사되어 일 방향으로 광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음각 패턴 내에 배치되는 돌출 패턴을 더 구비하면, 돌출 패턴에 의해서도 빛이 출광되므로 출광 특성이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상술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 형태들에 따른 출광 시트는, 음각 패턴(캐비티)에 대응되는 양각 패턴의 몰드를 제작한 후, 제작된 양각 패턴의 몰드를 출광 시트의 일 면(하면)에 스탬핑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종래 수직출광을 위해서 흔히 채용되어 온 역경사 구조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30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출광 시트를 응용한 라이트 유닛의 실시 형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1 내지 도 3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예로 들어 다양한 라이트 유닛들을 설명한다. 따라서, 도 21 내지 도 30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도 18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로 대체 적용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출광 시트(230'),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을 포함한다.
출광 시트(230')는 도 11 내지 도 15에서 상술한 캐비티(233c')를 갖는 일 면과 광원(1400)으로부터의 빛이 출광되는 출광면(237)을 포함한다. 여기서, 출광면(237)은 출광 시트(230')의 타 면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광원(1400)은 출광 시트(23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출광 시트(230')로 빛을 방출한다. 광원(1400)은 하나 또는 다수의 LED일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CCFL일 수도 있다.
광원(1400)은 하우징(2000) 내부에 배치된다. 광원(1400)이 하우징(2000) 내부에 배치되므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나 빛 등이 광원(1400)에 미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2000)은 출광 시트(230')의 일 측면을 포함하는 일 측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000)은 광원(1400)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출광 시트(230')가 아닌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0)은 광원(1400)이 수납되는 수납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납홈에는 출광 시트(230')의 일 측부가 수납될 수도 있다.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광원(1400)로부터 방출된 빛이 출광 시트(230')로 입사되고, 출광 시트(230') 내에서 전반사하면서 진행하던 빛이 캐비티(233c')를 정의하는 내측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출광면(237)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반사되어 출광면(237)을 통해 외부로 출광된다. 출광면(237)에서 출광된 빛은 피광체(P, 예를 들어, 인쇄물)에 반사되어 출광 시트(230')를 투과함으로서 사용자(P)에게 이르게 된다. 여기서, 피광체(P)는 출광 시트(230')의 출광면(237)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면, 단일의 출광 시트(230')만을 사용하여 피광체(P)를 조명할 수 있고, 어두운 환경뿐만 아니라 밝은 환경에서도 사용자는 피광체(P)에 표시된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피광체(P)에 조명이 가해지므로 사용자(U)에게 피광체(P)의 노출 확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출광 시트(230a'),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을 포함한다.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의 구조는 도 21에 도시된 광원(1400) 및 하우징(200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출광 시트(230a')는 도 2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의 타 측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39)를 더 포함한다. 연장부(239)는 출광 시트(230')의 타 측부로부터 연장되되 출광 시트(230')의 일 측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
출광 시트(230a')는 출광부와 연장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광부는 도 2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와 대응되는 부분을 지칭하고, 연장부(239)는 출광부의 타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출광부의 일 측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
출광 시트(230a')는 출광부(도 2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와 연장부(239) 사이에 피광체(P)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238)를 갖는다. 여기서, 연장부(239)는 출광부 측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연장부(239)를 출광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피광체(P)를 수납부(238)에 수납할 수 있고, 수납부(238)에 수납된 피광체(P)는 연장부(239)의 탄성에 의해 수납부(238) 내에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고정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면, 도 21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의 이점과 더불어 피광체(P)를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출광 시트(230a') 내에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출광 시트(230b'),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을 포함한다.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의 구조는 도 21에 도시된 광원(1400) 및 하우징(200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출광 시트(230b')는 도 22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a')의 연장부의 끝 단부로부터 연장된 지지부(2301)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2301)는 출광 시트(230a')의 끝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301)는 하우징(2000)을 커버하도록 절곡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한다.
출광 시트(230b')는 출광부(도 2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 연장부(239) 및 지지부(2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출광부는 도 2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와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고, 연장부(239)는 출광부의 타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출광부의 일 측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 지지부(2301)는 하우징(2000)을 커버하도록 절곡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한다.
도 2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면, 도 22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의 이점과 더불어 출광 시트(230b')로 라이트 유닛을 지지할 수 있고, 라이트 유닛 전체가 출광 시트(230b')의 재질로 구현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통일성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출광 시트(230c'), 광원(1400), 하우징(2000) 및 배터리(3000)를 포함한다.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의 구조는 도 21에 도시된 광원(1400) 및 하우징(200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출광 시트(230c')는 도 22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a')의 연장부(239)의 끝 단부로부터 연장된 지지부(2301')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2301')는 연장부(239)의 끝 단부로부터 연장되되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301')는 연장부(239)의 끝 단부에서 하우징(2000)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한다.
출광 시트(230c')는 출광부(도 2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 연장부(239) 및 지지부(2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출광부는 도 2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와 대응되는 부분일 수 있고, 연장부(239)는 출광부의 타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출광부의 일 측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 지지부(2301')는 연장부(239)의 끝 단부에서 하우징(2000)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고,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한다.
출광 시트(230c')의 출광부와 연장부(239)는 지지부(2301')에 지지되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301')의 상면과 연장부(239)의 일 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일 수 있다.
배터리(3000)는 출광 시트(230c')의 지지부(2301') 상에 배치되고, 광원(1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3000)가 지지부(2301') 상에 배치되므로, 사용자(U)에게 배터리(3000)가 노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2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면, 도 22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의 이점과 더불어 출광 시트(230c')로 라이트 유닛을 지지할 수 있고, 라이트 유닛 전체가 출광 시트(230c')의 재질로 구현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통일성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출광부와 연장부(239)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피광체(P)의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배터리(3000)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출광 시트(230d'), 광원(1400) 및 하우징(2000)를 포함한다.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의 구조는 도 21에 도시된 광원(1400) 및 하우징(200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한다.
출광 시트(230d')는 도 22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a')의 일 측부로부터 연장된 지지부(2301'')를 더 포함한다. 지지부(2301'')는 출광 시트(230a')의 일 측부로부터 연장되되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2301'')는 출광 시트(230a')의 일 측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연장부(239)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한다.
출광 시트(230d')는 출광부, 연장부(239) 및 지지부(2301'')를 포함한다. 여기서, 출광부는 도 2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와 대응되는 부분이고, 연장부(239)는 출광부의 타 측부로부터 연장되어 출광부의 일 측부 방향으로 절곡된 것일 수 있다. 지지부(2301'')는 출광부의 일 측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연장부(239)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도록 한다.
출광 시트(230d')의 출광부와 연장부(239)는 지지부(2301'')에 지지되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2301'')의 상면과 출광부의 일 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일 수 있다.
광원(1400)이 지지부(2301'')의 끝 단부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2000)이 광원(1400)과 지지부(2301'')의 끝 단부를 수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터리(미도시)가 지지부(2301'') 상에 배치되고, 광원(1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미도시)가 지지부(2301'') 상에 배치되므로, 사용자(U)에게 배터리가 노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2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사용하면, 도 22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의 이점과 더불어 출광 시트(230d')로 라이트 유닛을 지지할 수 있고, 라이트 유닛 전체가 출광 시트(230d')의 재질로 구현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통일성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출광부와 연장부(239)가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사용자가 피광체(P)의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 25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지지부(2301'')가 두 번 절곡되도록 연장되고, 출광 시트(230e')의 출광부와 연장부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여기서, 출광 시트(230e')의 출광부와 연장부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한다.
따라서, 도 2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 22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의 이점과 더불어 출광 시트(230d')로 라이트 유닛을 지지할 수 있고, 라이트 유닛 전체가 출광 시트(230d')의 재질로 구현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통일성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배터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 22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출광 유닛(230f')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출광 시트(230f')는 연장부(239')를 포함하고, 출광 시트(230f')의 연장부(239')의 일 면은 캐비티(233c')를 갖는다. 이에 따라, 연장부(239')는 캐비티(233c')를 갖는 일 면과 출광면(237)을 갖는다.
도 2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 22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의 이점과 더불어, 피광체(P)가 양면 인쇄물인 경우에, 라이트 유닛의 일 측에 위치한 사용자 1(U1)에게는 피광체(P)의 일 면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고, 동시에 라이트 유닛의 타 측에 위치한 사용자 2(U2)에게는 피광체(P)의 타 면의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 27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출광 시트(230g')의 연장부가 출광부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는다는 점과, 광원(1400')과 하우징(2000')에서 차이가 있다.
하우징(2000')은 광원(1400')을 수납하고, 출광 시트(230g')의 양 끝단 (출광부의 일 측부와 연장부의 끝 단부)를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1400')은 출광 시트(230g')의 양 끝단, 즉 출광부의 일 측부와 연장부의 끝 단부 상에 배치된다. 즉, 광원(1400')이 출광부와 연장부로 동시에 빛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1(U1)과 사용자 2(U2)에게 동시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출광 시트(230h'),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은 도 21에 도시된 광원(1400) 및 하우징(200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한다.
출광 시트(230h')는 도 2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와 비교하여 양 면에 캐비티(233c')를 갖는다.
출광 시트(230h')의 일 면에 형성된 캐비티(233c')에서 반사된 빛은 타 면으로 출광되고, 출광 시트(230h')의 타 면에 형성된 캐비티(233c')에서 반사된 빛은 일 면으로 출광된다. 즉, 출광 시트(230h')의 양 면이 출광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출광 시트(230h')의 일 면 상에 제1 투과형 피광체(P1)가 배치되고, 출광 시트(230h')의 타 면 상에 제2 투과형 피광체(P2)가 배치되면, 사용자 1(U1)은 출광 시트(230h')의 일 면에서 출광되는 빛을 통해 제1 투과형 피광체(P1)에 인쇄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 2(U2)는 출광 시트(230h')의 타 면에서 출광되는 빛을 통해 제2 투과형 피광체(P2)에 인쇄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0은 도 2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의 다른 조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출광면(237) 상에 위치한 투과형 피광체(P')로 빛을 출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U')는 투광형 피광체(P')에 담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비투과형 피광체 뿐만 아니라 투과형 피광체도 조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1 내지 도 33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출광 시트를 응용한 라이트 유닛의 실시 형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1 내지 도 3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예로 들어 다양한 라이트 유닛들을 설명한다. 따라서,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를 도 18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로 대체 적용이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출광 시트(230i'), 광원(1400) 및 하우징(2000)을 포함한다.
광원(1400)은 출광 시트(230i')의 일 측부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2000)은 광원(1400)을 수납하고, 출광 시트(230i')의 일 측부를 수납한다.
출광 시트(230i')는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가 다수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출광 시트(230')는 대략 1 T(mm) 내외일 수 있다. 출광 시트(230i')가 다수의 출광 시트(230')의 결합으로 구성된 경우, 하나의 출광 시트(230')를 사용한 것보다 단방향 출광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출광 시트(230i')는 다수의 출광 시트(230')가 하나의 몸체(body)로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출광 시트(230') 각각은 캐비티(233c')가 형성된 일 면이 같은 방향에 위치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출광 시트(230i')를 갖는 라이트 유닛은, 광원(1400)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출광 시트(230i')의 양 면에서 전반사되면서 출광 시트(230i') 내부를 진행하고, 진행되던 빛이 캐비티(233c')을 정의하는 내측면에서 출광 시트(230i')의 출광면 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출광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출광 시트(230i'')는 다수의 출광 시트(23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출광 시트(230')은 적층되고, 적층된 두 개의 출광 시트(230') 사이에 소정의 에어갭(airgap)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출광 시트(230') 각각은 캐비티(233c')가 형성된 일 면이 같은 방향에 위치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출광 시트(230i'')를 갖는 라이트 유닛은, 광원(1400)으로부터 입사된 빛은 출광 시트(230i') 내의 각각의 출광 시트(230')의 양 면에서 전반사되면서 각각의 출광 시트(230') 내부를 진행하고, 진행되던 빛이 캐비티(233c')을 정의하는 내측면에서 출광 시트(230i'')의 출광면 측 방향으로 반사되어 출광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출광 시트는 다수의 출광 시트(23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출광 시트(230') 중 둘 이상은 하나의 몸체로 접합되고, 나머지 하나 이상은 하나의 몸체로 접합된 출광 시트의 일 면에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 31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출광 시트(230j')에서 차이가 있다.
출광 시트(230j')는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가 다수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출광 시트(230j')는 다수의 출광 시트(230')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두 개의 출광 시트(230')의 출광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될 수 있다.
출광 시트(230j')는 다수의 출광 시트(23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출광 시트(230')은 하나의 몸체로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출광 시트(230j')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은, 양면 출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출광 시트(230j')를 사이에 두고 양 측에 각각 배치된 사용자 1(U1)에도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2(U2)에도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출광 시트(230j'')는 다수의 출광 시트(23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출광 시트(230')은 적층되고, 적층된 두 개의 출광 시트(230') 사이에 소정의 에어갭(airga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출광 시트(230j'')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도 양면 출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따른 라이트 유닛은, 도 33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과 비교하여 출광 시트(230k')에서 차이가 있다.
출광 시트(230k')는 도 11에 도시된 출광 시트(230')가 다수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출광 시트(230k')는 다수의 출광 시트(230')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결합된 것일 수 있다.
두 개의 출광 시트(230')의 캐비티(233c')가 형성된 일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될 수 있다.
출광 시트(230k')는 다수의 출광 시트(23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출광 시트(230')은 하나의 몸체로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출광 시트(230k')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은, 양면 출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출광 시트(230k')를 사이에 두고 양 측에 각각 배치된 사용자 1(U1)에도 조명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2(U2)에도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출광 시트(230k')는 다수의 출광 시트(230')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출광 시트(230')은 적층되고, 적층된 두 개의 출광 시트(230') 사이에 소정의 에어갭(airgap)이 형성될 수 있다.
출광 시트(230k')는 적어도 두 개의 출광 시트(230')을 포함하고, 두 개의 출광 시트(230')은 캐비티(233c')가 형성된 일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캐비티(233c')가 완전히 겹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출광 시트(230k'')는 적어도 두 개의 출광 시트(230')을 포함하고, 두 개의 출광 시트(230')은 캐비티(233c')가 형성된 일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캐비티(233c')가 서로 엇갈리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출광 시트(230k''')는 적어도 두 개의 출광 시트(230')을 포함하고, 두 개의 출광 시트(230')은 캐비티(233c')가 형성된 일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결합되고, 서로 마주보는 캐비티(233c')가 부분적으로 겹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라이트 유닛들은 출광 시트(230')를 다수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한 출광 시트를 포함하므로, 출광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방향 출광 뿐만 아니라 양 방향 출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도광 시트
230, 230', 230'': 출광 시트
233c, 233c', 233c'': 캐비티
233p: 돌출패턴

Claims (27)

  1. 일 면에 형성된 미세패턴부를 다수로 갖고,
    상기 미세패턴부는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한 저면과 상기 저면의 각 변에 연결된 다수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저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고,
    상기 내측면들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내측면들은 상기 곡면인, 출광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패턴부는 상기 캐비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개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패턴을 포함하는, 출광 시트.
  3.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 아래에 다수로 배치된 미세패턴부; 및
    상기 베이스 시트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다수의 미세패턴부 사이사이에 배치된 가드링;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패턴부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각 변에 연결된 상기 가드링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인, 출광 시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패턴부는 상기 캐비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개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패턴을 포함하는, 출광 시트.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개구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출광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들 모두가 상기 곡면인, 출광 시트.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들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내측면들은 상기 곡면인, 출광 시트.
  8.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위로 출광시키는 출광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 시트는, 일 면과 타 면을 갖는 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부는 상기 일 면에 형성된 미세패턴부를 다수로 갖고,
    상기 미세패턴부는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한 저면과 상기 저면의 각 변에 연결된 다수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저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이고,
    상기 내측면들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내측면들은 상기 곡면인, 라이트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패턴부는 상기 캐비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개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패턴을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10.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빛을 위로 출광시키는 출광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 시트는, 일 면과 타 면을 갖는 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부는,
    베이스 시트;
    상기 베이스 시트 아래에 다수로 배치된 미세패턴부; 및
    상기 베이스 시트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다수의 미세패턴부 사이사이에 배치된 가드링;를 포함하고,
    상기 미세패턴부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각 변에 연결된 상기 가드링의 내측면들에 의해 정의되는 캐비티를 갖고,
    상기 캐비티는 개구로부터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상기 내측면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캐비티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인, 라이트 유닛.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패턴부는 상기 캐비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개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패턴을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12. 제 9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턴은 상기 개구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뿔대 형상을 갖는, 라이트 유닛.
  13.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들 모두가 상기 곡면인, 라이트 유닛.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들 중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내측면들은 상기 곡면인, 라이트 유닛.
  15.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 시트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출광 시트와 접착된 도광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상기 도광 시트의 일 측에 배치된, 라이트 유닛.
  16.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와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광 시트는, 상기 출광부의 타 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 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 시트는, 상기 출광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피광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갖는, 라이트 유닛.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 시트는, 상기 연장부의 끝 단부로부터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부와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경사진, 라이트 유닛.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20.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 시트는, 상기 출광부의 타 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 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 및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며 상기 출광부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 시트는, 상기 출광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피광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의 끝 단부의 일 측면 상에 상기 광원이 배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지지부의 끝 단부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부와 상기 연장부는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경사진, 라이트 유닛.
  2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와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광 시트는, 상기 출광부의 타 측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 방향으로 절곡되며, 일 면에 상기 미세패턴부를 갖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광 시트는, 상기 출광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 피광체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갖는, 라이트 유닛.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출광부와 대칭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광원은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의 일 측면과 상기 연장부의 끝 단부의 일 측면 상에 함께 배치된, 라이트 유닛.
  24.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출광부의 일 측부와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광부의 타 면에 상기 캐비티가 다수로 형성된, 라이트 유닛.
  25.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 시트는 상기 출광부가 적어도 둘 이상 결합된 것이고,
    상기 둘 이상의 출광부들 각각은 상기 일 면이 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둘 이상의 출광부들이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라이트 유닛.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출광부들은 하나의 몸체로 접합되거나, 상기 둘 이상의 출광부들 중 어느 하나의 출광부가 다른 하나의 출광부 상에 적층된, 라이트 유닛.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출광부들이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둘 이상의 출광부들 중 어느 하나의 출광부의 캐비티는, 다른 하나의 출광부의 캐비티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거나,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라이트 유닛.
KR1020200150007A 2020-11-11 2020-11-11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KR10227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007A KR102272611B1 (ko) 2020-11-11 2020-11-11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CN202111321634.3A CN114545539A (zh) 2020-11-11 2021-11-09 出光部件和其制造方法及包含其的照明单元
EP21207647.5A EP4001750A3 (en) 2020-11-11 2021-11-10 Light emitting sheet and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JP2021183723A JP7409614B2 (ja) 2020-11-11 2021-11-10 出光部材とこ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ライトユニット
US17/523,948 US11774661B2 (en) 2020-11-11 2021-11-11 Light emitting sheet including a cavity with protruding pattern and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18/210,098 US12066649B2 (en) 2020-11-11 2023-06-15 Light emitting sheet and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007A KR102272611B1 (ko) 2020-11-11 2020-11-11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611B1 true KR102272611B1 (ko) 2021-07-05

Family

ID=7689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007A KR102272611B1 (ko) 2020-11-11 2020-11-11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6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391B1 (ko) * 2022-04-29 2022-12-09 주식회사 멤스룩스 인테리어 라이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7405A (ja) * 2002-03-15 2009-07-16 Mitsubishi Rayon Co Ltd 光偏向素子及び面光源装置
KR20110060348A (ko) 2009-11-30 2011-06-08 한국과학기술원 도광 플레이트 및 백라이트 유닛
KR20200009930A (ko)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멤스룩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도광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7405A (ja) * 2002-03-15 2009-07-16 Mitsubishi Rayon Co Ltd 光偏向素子及び面光源装置
KR20110060348A (ko) 2009-11-30 2011-06-08 한국과학기술원 도광 플레이트 및 백라이트 유닛
KR20200009930A (ko)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멤스룩스 디스플레이 장치 및 도광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H. Lee, H.-S. Lee, B.-K. Lee, W.-S. Choi, H.-Y. Choi, and J.-B. Yoon, "Simple LCD Backlight Unit Comprising Only a Single-sheet Micropatterned Polydimethylsiloxane (PDMS) Light-guide Plate," Optics Letters, vol. 32, no.18, page 2665-2667
Jeongho Yeon, Joo-Hyung Lee, Hong-Seok Lee, Hoon Song, Yong-Kweun Mun, Yoon-Sun Choi, Hwan-Young Choi, Sangyoon Lee, and Jun-Bo Yoon "An effective light-extracting microstructure for a single-sheet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Journal of Micromechanics and Microengineering, 22 (2012) 09500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391B1 (ko) * 2022-04-29 2022-12-09 주식회사 멤스룩스 인테리어 라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3208B2 (en)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film lightguide with a light mixing region and light emitting region
US11703626B2 (en) Light emitting device with film-based lightguide and added reflecting surfaces
KR101601646B1 (ko) 광도파관
US10222537B2 (en) Display device with edge light guide
US8496371B2 (en) Backlight module
US8218230B2 (en) Flexible flat panel display
CN113678035B (zh) 包括产生多个照明峰值的光导和光转向膜的反射型显示器
US20170139101A1 (en) Display device
WO2015132943A1 (ja) 表示装置
KR102272611B1 (ko) 출광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JP2010050003A (ja) 面発光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US12066649B2 (en) Light emitting sheet and 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WO2012111079A1 (ja) 導光板および照明装置
JP2009123361A (ja) 導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06560739B (zh) 显示设备
JP5066902B2 (ja) 光学シート
KR102573813B1 (ko) 출광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라이트 유닛
KR20050065830A (ko) 백라이트 유닛
JP6841027B2 (ja) 導光板の製造方法
CN111796357B (zh) 显示装置与制造所述显示装置的方法
JP2008181758A (ja) 光学部材と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JP2012243719A (ja) 導光シートおよび照光式キーシート並びに加飾成形体
KR20080043528A (ko)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KR20170056406A (ko) 표시 장치
JP2017107770A (ja) 面発光導光体、面発光導光体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及び透過型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