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443B1 - 팬츠형의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의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443B1
KR102272443B1 KR1020167014950A KR20167014950A KR102272443B1 KR 102272443 B1 KR102272443 B1 KR 102272443B1 KR 1020167014950 A KR1020167014950 A KR 1020167014950A KR 20167014950 A KR20167014950 A KR 20167014950A KR 102272443 B1 KR102272443 B1 KR 10227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region
elastic
leg
inner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805A (ko
Inventor
순스케 다키노
히데아키 마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5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플랩에 있어서의 다리 탄성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의 꺾여짐을 발견하는 것이 용이한 일회용의 팬츠형의 착용 물품이 제공된다. 착용 물품(10)은, 앞뒤 허리 패널(18, 19)과, 가랑이 패널(13)을 포함한다. 가랑이 패널은, 사이드 플랩(43)을 포함하고, 사이드 플랩은, 다리 개구(23)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다리 탄성 영역(42)을 갖는다. 사이드 플랩은, 앞 허리 영역(14)으로부터 뒤 허리 영역(15)까지 연장되는 그래픽 표시부(61)를 갖는다. 그래픽 표시부는, 적어도 다리 탄성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42a)의 내측에 형성된다.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중심축과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가, 적어도 상기 한쪽의 허리 영역을 획정하는 허리 패널에 접합된다.

Description

팬츠형의 착용 물품{PANTS-TYPE ITEM OF CLOTHING}
본 개시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에 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일회용의 토일릿ㆍ트레이닝 팬츠, 일회용 실금 팬츠 등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일회용의 팬츠형의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리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다리 탄성 영역이 형성된 일회용의 팬츠형의 착용 물품은 공지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가랑이 영역을 중심으로 하여 앞뒤 허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을 갖고, 상기 사이드 플랩에는 다리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따라 다리 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팬츠형의 착용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06/017718호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착용 물품에 의하면, 사이드 플랩에 다리 탄성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다리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착용자의 대퇴부에 피트하여, 배설물의 옆으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착용 물품에서는, 그것을 착용자가 착용할 때에, 착용 물품의 허리 개구를 넓히면, 가랑이 영역의 최하부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의 탄성 영역이 다리 개구의 내측을 향해 기립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인 채로 착용자의 다리를 다리 개구에 통과시키면, 사이드 플랩에 있어서의 다리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착용 물품의 내측으로 꺾여진 상태로 착용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다리 탄성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사이드 플랩이 착용 물품의 내측으로 꺾여져 있는 경우, 다리 탄성 영역이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기 때문에, 이 꺾여진 상태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착용 물품의 착용을 계속하면, 배설물의 옆으로의 누설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개량으로서, 착용 물품을 착용할 때에 사이드 플랩이 다리 탄성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꺾여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이드 플랩이 꺾여진 상태에 있는 것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일회용의 팬츠형의 착용 물품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은 세로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면인 피부 비대향면을 갖고, 앞 허리 영역을 획정하는 앞 허리 패널과, 뒤 허리 영역을 획정하는 뒤 허리 패널과, 가랑이 영역을 획정하는 가랑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랑이 패널은 흡수체의 상기 피부 대향면이 투액성 표면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흡액 구조체와,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앞뒤 허리 패널의 양측부가 서로 접합되며, 상기 가랑이 패널의 전후 양단부 각각이 상기 앞뒤 허리 패널 각각의 상기 피부 대향면에 접합됨으로써, 허리 개구와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획정되는 팬츠형의 착용 물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이, 상기 다리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다리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앞 허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허리 영역에까지 연장되는 그래픽 표시부를 갖고,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은, 그것에 위치하는 다리 탄성체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가로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그래픽 표시부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내측 가장자리의 내측에 있고,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앞뒤 허리 패널 중 적어도 한쪽의 허리 패널에 대해, 상기 사이드 플랩은, 적어도, 상기 가랑이 패널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심과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 사이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에 따른 본 발명의 팬츠형 착용 물품의 하나 이상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앞뒤 허리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허리 패널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은, 가랑이 패널의 중심과 다리 탄성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가, 상기 허리 패널에 접합되기 때문에, 다리 탄성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이 착용 물품의 내측으로 들어가도록 꺾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플랩에는, 앞 허리 영역으로부터 뒤 허리 영역에까지 연장되는 그래픽 표시부가 형성되고, 상기 그래픽 표시부는, 다리 탄성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이 다리 탄성 영역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착용 물품의 내측으로 꺾여진 상태에 있는 경우, 모친이나 착용자는 그래픽 표시부의 연장되어 있는 상태에 의해, 사이드 플랩의 꺾여짐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그 발견에 의해, 모친 등은, 사이드 플랩의 상태를 신속히 수정할 수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이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팬츠형의 착용 물품의 일례로서 도시한, 제1 실시형태에서의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앞뒤 허리 패널의 접합을 풀어, 탄성 부재의 수축 작용에 의한 개더가 없어질 정도로까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신장한 기저귀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저귀의 부분 파단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며, 접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V-V선을 따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기저귀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의 최하부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7(a)는 착용 상태에 있는 기저귀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착용 상태에 있는 기저귀의 배면도이다.
도 8(a)는 사이드 플랩의 꺾여짐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 6(a)와 동일한 도면이고. 도 8(b)는 사이드 플랩의 꺾여짐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도 6(b)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9는 (a), (b)에 의해 착용자인 유유아의 착용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서의 도 2와 동일한 전개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형태에서의 도 2와 동일한 전개도이다.
하기의 실시형태는, 도 1~도 11에 도시된 팬츠형의 착용 물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이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팬츠형의 착용 물품의 일례인 일회용의 팬츠형의 기저귀(10)를 도시한다. 도 1~도 3을 참조하면, 기저귀(10)는, 서로 직교하는 종축(P) 및 횡축(Q)과, 종축(P)에 평행한 세로 방향(Y) 및 횡축(Q)에 평행한 가로 방향(X)과, 피부 대향면(도 2에 나타나 있는 면) 및 그 반대면인 피부 비대향면과, 환형의 허리 패널(12)(도 1 참조)과, 허리 패널(12)의 피부 대향면에 부착된 가랑이 패널(13)을 포함한다. 가랑이 패널(13)은, 허리 패널(12)의 피부 대향면에 연결되어 있고 흡수체(58)를 갖는 흡액 구조체(11)를 포함한다. 또한, 기저귀(10)는, 앞 허리 영역(14)과, 뒤 허리 영역(15)과, 앞뒤 허리 영역(14, 15)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16)을 갖고, 종축(P)에 대해 대칭이다. 즉, 종축(P)은, 기저귀(10)의 가로 방향(X)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이다. 횡축(Q)은, 도 2에 있어서 기저귀(10)의 세로 방향(Y)의 치수를 이등분하는 중심선이다.
<허리 패널>
허리 패널(12)은, 흡액 구조체(11)를 착용자의 하부 몸통에 고정하기 위한 탄성 벨트 기능을 갖고, 앞 허리 영역(14)을 획정하는 앞 허리 패널(18)과, 뒤 허리 영역(15)을 획정하는 뒤 허리 패널(19)을 포함한다. 도 2에 있어서, 앞 허리 패널(18)은, 하단 가장자리(18a)와, 상단 가장자리(18b)와, 양단 가장자리(18a, 18b) 사이에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18c, 18d)에 의해 획정된 가로로 긴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뒤 허리 패널(19)은, 하단 가장자리(19a)와, 상단 가장자리(19b)와, 양단 가장자리(19a, 19b) 사이에 연장되는 양측 가장자리(19c, 19d)에 의해 획정된 가로로 긴 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도 2에서의 앞 허리 패널(18)의 양측 가장자리(18c, 18d)의 각각과 뒤 허리 패널(19)의 양측 가장자리(19c, 19d)의 각각은, 서로 중첩되고, 세로 방향(Y)으로 단속적으로 늘어서는 시임(seam; 20)에 있어서 공지의 수단, 예컨대, 열 엠보스/데보스 가공, 소닉 가공 등의 열용착 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도 1에서의 허리 개구(22)와 다리 개구(23)가 획정된다. 앞뒤 허리 패널(18, 19)에 있어서, 다리 개구(23)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는 하단 가장자리(18a, 19a)를 따른 부위인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18e, 19e)는, 후술하는 그래픽 표시부(61)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랑이 패널(13)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43)에 그래픽인 그래픽 표시부(61)를 형성하고,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18e, 19e)에는 그래픽 표시부(61)의 그래픽과 동일한 그래픽을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각각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단 가장자리(18a, 19a)는, 시임(20)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앞뒤 허리 패널(18, 19)은, 각각,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허리 내층(24, 25)과,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허리 외층(26, 27)을 포함한다. 허리 외층(26, 27)은 허리 내층(24, 25)보다 세로 방향(Y)의 폭 치수가 크고, 허리 개구 가장자리에서 접혀 있다. 허리 내층(24, 25)의 일부는, 접혀진 허리 외층(26, 27) 사이에 위치한다.
<허리 내층 및 허리 외층>
허리 내층(24, 25) 및 허리 외층(26, 27)에는, 질량 약 15~30 g/㎡의 SMS(스펀 본드·멜트 블로운·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 에어스루 섬유 부직포, 투습성 플라스틱 필름, 또는, 상기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섬유 부직포와 투습성 플라스틱 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허리 내층(24)과 허리 외층(26), 허리 내층(25)과 허리 외층(27)은, 적절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 또는 공지의 열용착 수단으로 접합된다. 또한, 허리 내층(24, 25)에는 탄성 섬유 부직포가 이용되어도 좋다.
<그래픽 표시 필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허리 내층(24)과 허리 외층(26), 및 허리 내층(25)과 허리 외층(27) 사이에는, 앞뒤 허리 영역(14, 15)의 가로 방향(X)의 중앙부에 있어서, 피부 비대향면으로부터 투시 가능한 그래픽(도시하지 않음) 등이 인쇄된, 투습성 플라스틱 필름(28, 29)이 배치되어 있다. 그래픽은, 여러 가지 형상·모양 등의 시각 요소의 구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래픽에는 정형의 것이나 부정형의 것이 있다. 정형의 그래픽의 일례는, 도트나 스트라이프이다. 그래픽이나 그래픽 주위에는, 무채색이나 유채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명도나 채도, 색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각 탄성 영역>
앞뒤 허리 패널(18, 19)에는, 가로 방향(X)으로 신축 가능한 허리 탄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허리 탄성 영역에는, 각 허리 패널(18, 19)의 상단 가장자리(18b, 19b)와 하단 가장자리(18a, 19a)와의 사이를 세로 방향(Y)에 있어서 3등분하여 얻어지는 상측 탄성 영역(34a, 35a)과, 중간 탄성 영역(34b, 35b)과, 하측 탄성 영역(34c, 35c)이 있다. 이들 상측 탄성 영역(34a, 35a), 중간 탄성 영역(34b, 35b) 및 하측 탄성 영역(34c, 35c)에는, 각각, 가로 방향(X)으로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연장되는 제1, 제2 및 제3 허리 탄성체(31a, 32a, 31b, 32b, 31c, 32c)가 배치된다.
제1 허리 탄성체(31a, 32a)는, 허리 개구 가장자리측에 있어서 허리 외층(26, 27)의 접음부(26a, 27a)와 그것에 대향하여 위치하는 허리 외층(26, 27)의 일부와의 사이에 적절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허리 탄성체(31b, 32b, 31c, 32c)는, 허리 내층(24, 25)과 허리 외층(26, 27)과의 사이에 적절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허리 탄성체(31a, 32a, 31b, 32b, 31c, 32c)는, 예컨대 실 형상, 스트링 형상 또는 스트랜드 형상의 탄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허리 탄성체(31a, 32a)에는, 섬도가 약 310~780 dtex인 탄성체를 수축한 상태에 있을 때의 길이로부터 그 길이의 약 1.8~2.8배의 길이로까지 신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허리 탄성체(31b, 32b)에는, 섬도가 약 470~940 dtex인 탄성체를 수축한 상태로부터 약 1.6~3.8배의 길이로까지 신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허리 탄성체(31c, 32c)에는, 섬도가 약 310~620 dtex인 탄성체를 수축한 상태로부터 약 1.1~3.8배의 길이로까지 신장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허리 탄성체(31c, 32c)는, 그 수축에 의해, 흡수체(58)를 변형시키는 일이 없는 것과 같은 양태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흡수체(58)를 횡단하는 일이 없도록, 앞뒤 허리 패널(18, 19)의 양측 가장자리(18c, 18d, 19c, 19d)로부터 흡수체(58)의 양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양태로 사용된다. 또한, 허리 탄성체(31c, 32c)가 흡수체(58)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흡수체(58)와 겹쳐지는 부분에 있어서의 신장 배율을 낮게 하여, 예컨대 1.4배 이하로 해서 사용하고, 양측 가장자리(18c, 18d, 19c, 19d)로부터 흡수체(58)의 양측 가장자리까지의 부분에서는, 신장하는 배율을 높게 하여, 예컨대 1.4배를 넘는 값으로 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흡수체(58)는, 기저귀(10)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양쪽 다리에 끼워 넣어져 가로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하지만, 흡수체(58)에 대해 허리 탄성체(31c, 32c)를 이와 같이 사용함으로써, 흡수체(58)의 변형하는 정도를 작게 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 허리 탄성체(31c, 32c)는, 그 수축에 의해 흡수체(58)를 변형시키는 것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뒤 허리 영역(15)에 있어서, 허리 탄성체(32c)는, 허리 탄성체(32a, 32b)에 비해 섬도 및 신장 배율이 작은 것이며, 하측 탄성 영역(35c)의 신장력은, 다른 탄성 영역(35a, 35b)에 비해 낮게 되어 있다. 도시예로 말하면, 각 탄성 영역 중에서 흡수체(58)와 겹쳐지는 일이 없는 부분에 대해, 그 부분으로부터 가로 방향(X)의 길이가 3-5 ㎜인 시편(試片)을 잘라내고, 이완 상태에 있는 시편에 가로 방향(X)의 이격 치수가 2 ㎝인 한 쌍의 표선(標線)을 기입하며, 그 이격 치수가 1.7배가 될 때까지 신장했을 때의 각 시편의 신장력을 구하여, 비교한다. 바람직한 기저귀(10)에 있어서, 상측 탄성 영역(35a)의 시편이 약 0.7~1.7 N, 중간 탄성 영역(35b)의 시편이 0.4~1.4 N, 하측 탄성 영역(35c)의 시편이 약 0.2~1.2 N으로서, 각 탄성 영역의 신장력의 상호 관계는, 상측 탄성 영역(35a) ≥ 중간 탄성 영역(35b) > 하측 탄성 영역(35c)이다. 한편, 앞 허리 영역(14)에 있어서의 각 탄성 영역의 신장력의 상호 관계는, 중간 탄성 영역(34b) ≥ 상측 탄성 영역(34a) > 하측 탄성 영역(34c)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각 시편 사이에 있어서 시편의 폭인 세로 방향(Y)의 치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 시편에 대한 신장력을 폭이 30 ㎜인 경우의 값으로 환산했을 때의 신장 응력에 의해 각 시편을 비교한다. 또한, 신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인장 시험기로서, 예컨대 INSTRON Model 5564 또는 그와 동등한 것을 사용하고, 인장 속도를 100 ㎜/min으로 설정한다.
전술한 신장력의 상호 관계는, 예컨대, 각 허리 탄성체(31, 32)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고, 세로 방향(Y)으로 등간격으로 이격시키며, 섬도(dtex)만은 허리 탄성체(31a, 32a)와, 허리 탄성체(31b, 32b)와, 허리 탄성체(31c, 32c)와의 사이에서 차이를 둠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고, 섬도가 동일한 허리 탄성체(31, 32)를 이용하며, 각 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탄성체끼리의 이격 거리에 차이를 두는 것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한편, 각 허리 탄성체(31, 32)의 재료, 섬도, 이격 거리는, 전술한 상호 관계가 되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가랑이 패널>
가랑이 패널(13)은, 앞뒤 허리 패널(18, 19)과 중첩되는 전후 단부(46, 47)와, 전후 단부(46, 47) 사이에 위치하여 가랑이 영역(16)을 형성하고 있는 중간부(48)를 갖고, 통기성의 부직포로 형성된 외면 시트(65)와, 흡액 구조체(11)와, 한 쌍의 사이드 플랩(43)을 포함한다. 외면 시트(65)에는, 부직포 외에, 부직포와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흡액 구조체(11)는, 외면 시트(65)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사이드 플랩(43)은, 흡액 구조체(11)의 가로 방향의 외측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랑이 패널(13)의 전후 단부(46, 47)는, 그 피부 비대향면측에 도포된 적절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앞뒤 허리 패널(18, 19)의 피부 대향면에 대해, 하단 가장자리(18a, 19a)를 따라 고정된다. 접합 영역(41)은, 접착제 이외의 공지의 접합 수단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접착제의 도포 영역(41)은, 소정 폭을 갖는 띠 형상의 라인을 형성하여 가로 방향(X)으로 서로 병행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1 접합 영역(41a)과, 스파이럴 형상의 선을 그리면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접합 영역(41b)을 갖는다. 제1 접합 영역(41a)의 폭 치수는, 제2 접합 영역(41b)을 형성하는 스파이럴 형상의 선의 폭 치수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및 제2 접합 영역(41a, 41b)은,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한하지 않고,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되고, 제1 접합 영역(41a)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하고, 제2 접합 영역(41b)을 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접합 영역(41)을 상이한 2방향, 특히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접합 영역(41a, 41b)으로 형성함으로써, 앞뒤 허리 패널(18, 19)과 가랑이 패널(13)과의 사이에서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어, 사이드 플랩(43)이 가로 방향(X)의 내측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액 구조체>
흡액 구조체(11)(도 3 참조)는, 세로로 긴 패드 형태를 가지며, 전후 단부(54, 55)와, 중간부(56)를 갖고, 적어도 가랑이 영역(16)에 있어서 세로 방향(Y)으로, 즉 앞뒤 허리 패널(18, 19)을 향해 연장되는 흡수체(58)와, 흡수체(58)의 피부 대향면측을 피복하고 있는 투액성 표면 시트(59)와, 흡수체(58)의 피부 비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또는 통기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60)를 포함한다. 전후 단부(54, 55)는, 각각, 적절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앞뒤 허리 패널(18, 19)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고, 중간부(56)는 적절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사이드 플랩(43)을 형성하는 사이드 시트(44)의 피부 대향면에 접합된다. 흡액 구조체(11)의 전단부(54)는, 앞 허리 패널(18)의 허리 내층(24)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되고, 후단부(55)는, 뒤 허리 패널(19)의 허리 내층(25)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된다.
흡수체(58)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약 300~900 g/㎡이며, 플러프 펄프와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와 옵션으로서 포함되는 열용착성 스테이플 섬유와의 혼합으로 형성된 심재를, 액 투과성의 랩핑 시트, 예컨대 액투과성의 섬유 부직포로 피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59)에는, 단위 면적당의 질량이 약 10~30 g/㎡인 투액성의 스펀 본드 섬유 부직포나 SMS 섬유 부직포 등의 각종 공지의 섬유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60)에는, 불투액성이며 또한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 난투액성 또는 불투액성의 섬유 부직포, 섬유 부직포와 투습성 플라스틱 필름과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기저귀의 각 치수>
도 2에서의 기저귀(10)의 일례에 있어서, 세로 방향(Y)의 치수(L1)는 약 350~600 ㎜이고, 기저귀(10)의 가로 방향(X)의 치수(W1)는 약 300~430 ㎜이며, 가랑이 영역(16)의 세로 방향(Y)에서의 치수(L2)는 약 180~300 ㎜이고, 앞 허리 영역(14)의 측가장자리(18d)의 세로 방향(Y)에서의 치수(뒤 허리 영역(15)의 측가장자리(19d)의 세로 방향(Y)에서의 치수와 동일함)(L3)는 약 160~1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플랩>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사이드 플랩(43)은, 흡액 구조체(1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43) 중 한쪽에 대해서만 도시한 것이지만, 당연히 다른쪽의 사이드 플랩(43)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사이드 플랩(43)은, 전단부(91)와, 후단부(92)와, 전후 단부(91, 9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93)를 가지며, 사이드 시트(44)와, 복수 개의 예컨대 실 형상, 스트링 형상 또는 스트랜드 형상의 다리 탄성체(45)와, 그래픽(도시하지 않음)이 그려진 그래픽 표시부(61)를 갖는 투습성의 플라스틱 필름(60)을 포함한다. 전후 단부(91, 92)는, 접합 영역(41)을 통해 앞뒤 허리 패널(18, 19)의 하단 가장자리(18a, 19a)를 따르는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18e, 19e) 각각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된다. 사이드 시트(44)는, 사이드 플랩(43)의 외형을 획정하고, 가랑이 영역(16)으로부터 앞뒤 허리 영역(14, 15)으로 연장되는 세로로 긴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절곡부(44a)에서 접혀져 있다.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절곡부(44a)는, 사이드 플랩(43)의 외측 가장자리이기도 하다. 다리 탄성체(45) 및 필름(60)은, 겹쳐 포개진 사이드 시트(44) 사이에 있고, 그래픽 표시부(61)는 가랑이 영역(16)으로부터 앞뒤 허리 영역(14, 15)으로까지 연장되어 있다(도 2 참조). 사이드 플랩(43)에 있어서, 다리 탄성체(45)가 존재하는 부위는 다리 탄성 영역(42)이다. 사이드 플랩(43)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중심선(P)(도 2 참조)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다리 탄성체(45)는 최내측 다리 탄성체(45a)이고, 중심선(P)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다리 탄성체(45)는 최외측 다리 탄성체(45b)이다.
<다리 탄성체>
다리 탄성 영역(42)에 있어서, 다리 탄성체(45)는, 사이드 플랩(43)의 외측 가장자리(44a)에 병행한 상태로, 사이드 시트(44)에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탄성체(45)로서 섬도가 250~500 dtex인 탄성사를 1.8~3배로 신장한 상태로 부착하고 있다. 종래라면, 다리 탄성체로서, 470 dtex 이상의 탄성 재료, 예컨대 620 dtex나 780 dtex의 탄성 재료를 사용하는 예가 많으나, 이들보다 섬도가 작은 탄성 재료를 동일한 신장 배율로 사용하면, 도 1과 같이 U자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가랑이 영역(16)의 세로 방향(Y)의 최하부(16a)에서는, 그 최하부(16a)에 위치하는 사이드 플랩(43)의 다리 탄성 영역(42)이 가로 방향(X)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또는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연장되도록 된다고 하는 특이한 상태를 얻을 수 있다(도 6 참조). 다리 탄성체(45)로서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예컨대, 실 형상, 스트링 형상의 탄성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리본 형상의 탄성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리본 형상의 탄성체와 예컨대 스트링 형상의 탄성체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 개의 리본 형상의 탄성체를 다리 탄성체(45)로서 이용한 경우, 그 리본 형상의 다리 탄성체(45)의 최내측 가장자리 및 최외측 가장자리의 각각이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 및 외측 가장자리(42b)가 된다.
다리 탄성 영역(42)과, 앞뒤 허리 패널(18, 19)의 상측 탄성 영역(34a, 35a) 및 중간 탄성 영역(34b, 35b)의 신장력의 상호 관계는, 상측 탄성 영역(34a, 35a)>다리 탄성 영역(42), 중간 탄성 영역(34b, 35b)>다리 탄성 영역(4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호 관계가 있으면, 착용 상태에 있는 기저귀(10)를 흘러내리는 일이 없도록 착용자의 몸통 둘레와 허리 둘레에 피트시키면서, 다리 개구(23)에 삽입하는 다리와 함께, 사이드 플랩(43)을 기저귀(10)의 외측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사이드 플랩(43)이 기저귀(10)의 내측을 향해 꺾여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각 탄성 영역(34a, 34b, 34c, 35a, 35b, 35c, 42)의 신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상측 탄성 영역(34a, 35a), 중간 탄성 영역(34b, 35b), 하측 탄성 영역(34c, 35c)에 대해, 앞뒤 허리 영역(14, 15)의 신장력을 구했을 때와 동일하게 하여 구한다. 사이드 플랩(43)에 대해서는, 폭 방향에 있어서 모든 탄성체(45)를 포함하고, 길이 방향의 치수가 3-5 ㎝인 시편을 잘라내며, 그 시편에 대해, 예컨대 상측 탄성 영역(35a)과 동일한 인장 시험을 하여, 이격 치수가 2 ㎝인 표선 사이의 치수가 1.7배가 되었을 때의 신장력을 구하고, 앞뒤 허리 영역(14, 15)에 있어서의 각 신장력과 비교한다.
또한, 앞뒤 허리 영역(14, 15)의 각각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가랑이 패널(13)과 앞뒤 허리 영역(14, 15)이 중첩되는 부분에 있어서, 다리 탄성체(45)는, 복수 개의 허리 탄성체(31c, 32c) 중, 적어도 한 개의 허리 탄성체(31c, 32c)와 교차한 상태에 있다. 다리 탄성체(45)가 만드는 다리 탄성 영역(42)과, 허리 탄성체(31c, 32c)가 만드는 하측 탄성 영역(34c, 35c)은, 동일한 신장 배율로까지 신장했을 때에, 하측 탄성 영역(34c, 35c) 각각의 신장력이 다리 탄성 영역(42)의 신장력보다 커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기저귀(10)에서는,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를 형성하고 있는 최내측 다리 탄성체(45a)와 교차하고 있는 앞뒤 허리 패널(18, 19)의 하측 탄성 영역(34c, 35c)에서의 최하부의 허리 탄성체(31c, 32c)의 신장력은, 다리 탄성체(45a)의 신장력보다 크다. 이들 탄성체(31c, 32c, 45a)의 신장력은, 이들 탄성체(31c, 32c, 45a) 각각을, 그것을 샌드위치하고 있는 부직포와 함께 잘라냄으로써 시편을 만들고, 다리 탄성 영역(42)의 신장력을 측정할 때의 조건과 동일한 조건으로 신장력을 측정하면 된다.
이러한 수축 관계를 가지고 앞뒤 허리 영역(14, 15)에 겹쳐지는 사이드 플랩(43)은, 기저귀(10)가 도 1과 같이 이완 상태에 있을 때의 최하부(16a)에 있어서, 수평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또한,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 사이드 플랩(43)이 기저귀(10)의 내측을 향해 꺾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름>
필름(60)은, 투습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피부 비대향면측에는 그래픽이 그려진 그래픽 표시부(61)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필름(60)에서는, 피부 비대향면의 전면(全面)에 그래픽의 인쇄를 실시함으로써 그래픽 표시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그래픽이란, 필름(60)이나 사이드 플랩(43)을 형성하고 있는 부직포(44)에 표시된 시각 요소를 포함한다. 그래픽에는 무채색을 입힐 수도 있고 유채색을 입힐 수도 있다. 그래픽에 사용하는 명도, 채도, 색상에는 제약이 없다. 그래픽 표시부(61)에 있어서, 그래픽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트의 집합체여도 좋다. 단, 그래픽 표시부(61)는, 앞 허리 패널(18)로부터 뒤 허리 패널(19)에까지 연장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사이드 플랩(43)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그래픽 표시부(61)는, 적어도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의 내측에 형성되고, 사이드 플랩(43)의 피부 비대향면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하지 않으면 안 된다. 환언하면, 가로 방향(X)에 있어서, 그래픽 표시부(61)는,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의 내측에만 있어도 좋고, 내측 가장자리(42a)에 걸쳐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사이드 플랩(43)의 외측 가장자리인 절곡부(44a)로까지 확대되어 있어도 좋다. 그래픽 표시부(61)는 또한, 내측 가장자리(61a)와 외측 가장자리(61b)(도 5 참조)를 갖는다. 외측 가장자리(61b)는,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와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래픽 표시부(61)의 내측 가장자리(61a)는, 흡액 구조체(11)와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나, 내측 가장자리(61a)는 흡액 구조체(11)와 겹쳐지는 위치에 있어도 좋다. 세로 방향(Y) 에 있어서 그래픽이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외측 가장자리(61b)는, 그래픽 표시부(61)의 최외측에 위치하는 그래픽의 가장자리부를 세로 방향(Y)을 향해 순차 연결함으로써 얻어지는 선이다. 그래픽 표시부(61)는, 필름(60)이 아니라, 사이드 시트(44)에 인쇄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고, 이 경우의 사이드 플랩(43)에서는, 필름(60)을 생략할 수 있다.
사이드 플랩(43)에 있어서, 그래픽 표시부(61)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는, 육안으로 그래픽 표시부(61)와 식별 가능한 제2 표시부(63)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제2 표시부(63)는, 다리 개구(23)의 둘레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사이드 시트(44)의 절곡부(44a)로부터 그래픽 표시부(61)의 외측 가장자리(61b)까지의 사이에 형성되고, 그래픽 표시부(61)를 현재화(顯在化)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시트(44)의 바탕색인 백색의 제2 표시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표시부(63)에는, 그래픽 표시부(61)에 있어서의 그래픽과 상이한 도형이나 문자를 표시해도 좋다. 또한, 도 5에서의 필름(60)의 폭을 넓혀 그 필름(60)에 그래픽 표시부(61)와, 제2 표시부(63)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한편, 사이드 플랩(43)은 제2 표시부(63)가 형성되지 않고, 그래픽 표시부(61)가 절곡부(44a)로까지 확대되어 있어도 좋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기저귀(10)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43)은, 착용자의 대퇴부에 접촉하여 옆으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개스킷 커프스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사이드 플랩(43)에는, 그래픽 표시부(61)가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모친 등이 기저귀(10)의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에 주목하는 것은 곤란해도, 내측 가장자리(42a)에 상당하는 부위에 주목하는 것은 용이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다리 탄성 영역(42)이 기저귀(10)의 내측으로 말려 들어가 있거나, 사행(蛇行)하고 있거나 하는 이상한 상태에 있으면, 그 상태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앞뒤 허리 패널(18, 19)의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18e, 19e)에는, 그래픽 표시부(61)와의 식별이 가능한 부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앞뒤 허리 패널(18, 19)과의 대비에 의해 그래픽 표시부(61)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하여, 사이드 플랩(43)의 이상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러한 식별이 가능한 부위의 일례는, 그래픽 표시부(61)의 색과는 상이한 색을 갖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18e, 19e)에 그래픽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제2 표시부(63)를 형성함으로써, 그래픽 표시부(61)와의 대비에 의해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18e, 19e)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플랩(43)에 있어서,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와 흡수체(58)의 측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은, 제1 접합 영역(41a)(도 4 참조)을 통해 앞뒤 허리 패널(18, 19)에 고정되기 때문에, 즉 어떤 영역이 가로 방향(X)으로 확실하게 넓어지고 있기 때문에, 앞뒤 허리 영역(14, 15)에 있어서,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가, 기저귀(10)의 장착시에 기저귀(10)의 내측으로 들어가, 꺾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 영역(41a)이 다리 탄성 영역(42)의 외측 가장자리(42b)까지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리 탄성 영역(42)의 폭 방향(가로 방향(X))의 전역이 내측으로 꺾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상태에 있는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16), 특히 착용자의 서혜부 부근의 가랑이 영역(16)에서는, 사이드 플랩(43)이 앞뒤 허리 패널(18, 19)에 의해 움직임을 구속받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이드 플랩(43)이 기저귀(10)의 내측으로 향하는 꺾여짐이 발생하기 쉽다. 이 경우, 앞뒤 허리 영역(14, 15)측 부근에 위치하는 그래픽 표시부(61)에 대해, 서혜부에 위치하는 그래픽 표시부(61)가 기저귀(10)의 내측으로 꺾여지면 그래픽 표시부(61)의 일부가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사이드 플랩(43)의 꺾여짐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사이드 플랩(43)이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 근방에서 꺾여져, 기저귀(10)의 내측으로 들어간 경우, 사이드 플랩(43)과 신체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상태를 알아차리지 못한 경우, 배설물의 옆으로의 누설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내측 가장자리(42a)의 꺾여짐, 기저귀(10)의 내측으로의 들어감을 알아차리기 용이하게 하여, 이러한 상태를 해소함으로써, 옆으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픽 표시부(61)의 외측 가장자리(61b)는,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가장자리(42a)와 평행한 그래픽의 존재를 인식할 수 없게 됨으로써, 사이드 플랩(43)의 꺾여짐의 발견이 용이해진다. 또한, 그래픽 표시부(61)의 외측에 제2 표시부(63)가 형성됨으로써, 내측 가장자리(42a)보다 외측의 부위가 꺾여진 경우에도, 이 꺾여짐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고, 따라서, 다리 탄성 영역(42)의 전역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의 꺾여짐을 발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기저귀(10)의 착용자가 유유아인 경우에는, 허리를 띄워 발가락을 입에 물거나,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양쪽 다리를 교차시키는 등의 유유아에게 있어서 특유의 동작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동작을 할 때에는, 다리 탄성 영역(42)의 수축 작용에 의해 뒤 허리 영역(15)의 하측 탄성 영역(35c)이 끌어당겨져, 뒤 허리 영역(15) 전체가 전방으로 어긋나도록 이동하여, 유유아의 등측이 노출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다리 탄성 영역(42)의 신장력이 뒤 허리 영역(15)의 각 탄성 영역보다 크면, 다리 탄성 영역(42)의 수축 작용에 의해 뒤 허리 영역(15)이 더한층 전방으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리 탄성 영역(42)의 신장력을 상측 탄성 영역(35a) 및 중간 탄성 영역(35b)의 각각보다 작게 하고 있기 때문에, 다리 탄성 영역(42)의 수축에 의해 하측 탄성 영역(35c)에 그것을 전방으로 끌어당기려고 하는 힘이 작용해도, 하측 탄성 영역(35c)이 크게 위치가 어긋나는 일은 없고, 뒤 허리 영역(15)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또한, 착용자의 둔부의 가장 돌출된 부분으로부터 허리부에 걸친 세로 방향(Y)에서 대향하여 위치하는 중간 탄성 영역(35b)과 상측 탄성 영역(35a)의 신장력을 비교적 크게 함으로써, 가령 하측 탄성 영역(35c)에 다리 탄성 영역(42)에 의해 그것을 전방으로 끌어당기려고 하는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뒤 허리 영역(15)의 중간 탄성 영역(35b)과 상측 탄성 영역(35a)이 위치하는 상방 부분은, 착용자의 신체에 피트하고, 또한, 둔부의 상단에 걸리도록 위치한다.
특히, 뒤 허리 영역(15)의 각 탄성 영역에 있어서의 신장력의 상호 관계가, 상측 탄성 영역(35a) > 중간 탄성 영역(35b) > 하측 탄성 영역(35c)이라고 하는 관계에 있으면, 기저귀(10)의 허리 패널에 있어서의 상측 탄성 영역(35a)을 사용하여 기저귀(10)의 허리의 등측 부분에 강하게 밀어붙일 수 있어 기저귀(10)의 피트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형태>
도 10에 신장된 상태로 도시된 기저귀(10)에서는, 가랑이 패널(13)이, 흡액 구조체(11)가 배치된 외면 시트(65)와, 한 쌍의 사이드 플랩(43)을 포함하고, 외면 시트(65)(도 3 참조) 및 사이드 플랩(43)은, 접합 영역(41)(도 4 참조)을 통해 앞뒤 허리 패널(18, 19)에 접합된다. 사이드 플랩(43)은, 외면 시트(65)의 양측부에 고정된 커버 시트(80)와, 커버 시트(80)에 피복된 복수 개의 예컨대 실 형상, 스트링 형상 또는 스트랜드 형상의 다리 탄성체(45)와, 커버 시트(80)에 피복된 필름(60)(도 5 참조)을 포함한다. 필름(60)에는 그래픽인 그래픽 표시부(61)가 형성된다. 그래픽 표시부(61)는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에 걸쳐 형성되고, 그래픽 표시부(61)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는, 제2 표시부(63)가 형성된다. 제2 실시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합 영역(41)에 의해, 앞뒤 허리 영역(14, 15)에 있어서,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가 다리 개구(23)의 내측으로 꺾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표시부(61) 및 제2 표시부(63)에 의해, 사이드 플랩(43)의 꺾여짐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사이드 플랩(43)의 커버 시트(80)는, 1장의 섬유 부직포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둘로 접혀 겹쳐진 상태로 적절한 접착제, 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외면 시트(65)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리 탄성체(45)는, 그 둘레면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커버 시트(80)를 절곡하여 고정한 절곡부(44a)의 내측에 신장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43)은, 전체로서 세로 방향(Y)으로 수축한 상태로 외면 시트(65)의 피부 대향면에 고정되어 있고,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개더(81)가 세로 방향(Y)으로 늘어서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더(81)는, 다리 탄성체(45)가 배치된 영역뿐만이 아니라, 사이드 플랩(43)이 베이스 시트(87)에 고정된 접합부(82)에 있어서도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고, 동시에 세로 방향(Y)으로 늘어서 있다.
가랑이 영역(16)의 세로 방향(Y)에서의 치수, 즉, 앞 허리 영역(14)의 하단 가장자리(18a)와 뒤 허리 영역(15)의 하단 가장자리(19a)와의 도면에서의 세로 방향(Y)의 이격 치수(L2)는 180~300 ㎜인 바, 사이드 플랩(43)의 최대 신장시에 있어서의 절곡부(44a)와 그 근방 부분의 치수(L4)는, 약 210~4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효 신장 치수(L4)란, 앞뒤 허리 영역(14, 15)에 고정된 실질적으로 신장하지 않는 전후 단부(46, 47)를 제외한 앞 허리 영역(14)의 하단 가장자리(18a)와 뒤 허리 영역(15)의 하단 가장자리(19a)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사이드 플랩(43) 중의 절곡부(44a)의 길이이다. 절곡부(44a)는 개더(81)가 소실될 정도로까지, 탄성적으로 신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와 같이 신장했을 때의 치수(L4)는 L2보다 커진다. 바람직한 사이드 플랩(43)은, 가랑이 영역(16)의 세로 방향(Y)에서의 치수(L2)의 적어도 1.0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1.5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4배만큼 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0)의 경우에는, 착용시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43)은, 가로 방향(X)에 있어서, 다리 탄성 영역(42)의 폭 전체가 대퇴부에 안정적으로 피트한다.
도 10으로부터 얻어지는 기저귀(10)에 있어서, 사이드 플랩(43)이 신장할 때의 최대 치수를 알기 위해서는, 도 10의 기저귀(10)로부터, 사이드 플랩(43)을 앞뒤 허리 패널(18, 19)의 일부분과 함께 잘라내어 시편을 만들고, 그 시편을 개더(81)가 소실될 정도로까지 세로 방향(Y)으로 인장하며, 치수(L2)에 상당하는 부분의 길이, 즉 치수(L4)를 긴 자에 의해 측정하면 된다. 사이드 플랩(43)이 도 1의 상태에 있을 때에, 사이드 플랩(43)의 절곡부(44a)의 신장량은, 비신장성인 흡액 구조체(11)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때 절곡부(44a)의 길이는, 시편에서 구한 길이보다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1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가랑이 패널(13)이, 흡액 구조체(11)가 배치된 외면 시트(65)를 포함하고, 외면 시트(65)는 접합 영역(41)(도 4 참조)을 통해 앞뒤 허리 패널(18, 19)에 접합된다. 외면 시트(65)는, 흡액 구조체(11)의 양측 가장자리(11a, 11b)로부터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를 겹쳐 포개어 형성된 측부(67)에 의해, 사이드 플랩(43)이 형성된다. 사이드 플랩(43)은, 측부(67)에 있어서, 외면 시트(65)에 피복된 복수 개의 예컨대 실 형상, 스트링 형상 또는 스트랜드 형상의 다리 탄성체(45)와, 외면 시트(65)에 피복된 필름(60)을 포함한다. 필름(60)에는 그래픽 표시부(61)가 형성된다. 그래픽 표시부(61)는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에 걸쳐 있거나, 내측 가장자리(42a)보다 내측에 형성되고, 그래픽 표시부(61)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는, 제2 표시부(63)가 형성된다. 필름(60)은, 한쪽의 사이드 플랩(43)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사이드 플랩(43)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의 필름(60)은 외면 시트(65)와 흡액 구조체(1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그래픽 표시부(61)는, 필름(60)이 아니라, 외면 시트(65)에 인쇄됨으로써 형성되어도 좋고, 이 경우, 필름(60)을 생략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의 기저귀(10)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접합 영역(41)에 의해, 앞뒤 허리 영역(14, 15)에 있어서, 다리 탄성 영역(42)의 내측 가장자리(42a)가 기저귀(10)의 내측을 향해 꺾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표시부(61) 및 제2 표시부(6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사이드 플랩(43)의 꺾여짐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뒤 허리 패널(19)은 대략 사다리꼴로 형성되고, 가랑이 영역(16)측으로 연장되는 둔부 커버부(35d)를 갖는다. 둔부 커버부(35d)에는, 복수 개의 예컨대, 실 형상, 스트링 형상 또는 스트랜드 형상의 둔부 탄성체(32d)가 가로 방향(X)으로 신장 상태로 부착된다. 앞뒤 허리 패널(18, 19)에 있어서, 다리 개구(23)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형성하는 다리 개구 가장자리부(18e, 19e)에는, 하단 가장자리(18a, 19a)를 따라 그래픽 표시부(61)에 대해 육안에 의한 식별이 가능한 부위가 형성된다. 그래픽 표시부(61)는, 그것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둔부 탄성체(32d)와 겹쳐지는 부위에 있어서, 둔부 커버부(35d)에 접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플랩(43)이 기저귀(10)의 내측으로 꺾여졌을 때에는, 그 사이드 플랩(43)을 둔부 커버부(35d)로부터 투시하여, 발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앞뒤 허리 영역(14, 15)」이란, 앞뒤 허리 패널(18, 19)에 있어서의 시임(20) 사이의 부위를 의미하는 것이며, 시임(20)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 즉, 시임(20)과 하단 가장자리(19a)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둔부 탄성체(32d)에 의해 탄성이 부여되어 있는 둔부 커버부(35d)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둔부 커버부(35d)의 형상은, 도시예를 대신하여, 직사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기저귀(10)에서는, 앞 허리 패널(18)의 양측부에 둔부 커버부(35d)와 동일한 수하부(垂下部)를 형성할 수 있다. 그 수하부도 또한, 사이드 플랩(43) 중의 그래픽 표시부(61)가 존재하는 부위에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10)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러한 종류의 분야에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1」, 「제2」 및 「제3」의 용어는, 동일한 요소, 위치 등을 단순히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다.
이상에 기재한 본 발명에 관한 개시는, 적어도 하기 사항으로 정리할 수 있다.
세로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부 비대향면을 갖고, 앞 허리 영역을 획정하는 앞 허리 패널과, 뒤 허리 영역을 획정하는 뒤 허리 패널과,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획정하는 가랑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랑이 패널은,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으로 연장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앞뒤 허리 패널의 양측부가 서로 접합되며, 상기 가랑이 패널의 양단부가 상기 앞뒤 허리 패널에 각각 접합됨으로써, 허리 개구와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획정되는 팬츠형의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다리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리 개구를 따라 다리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앞 허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허리 영역까지 연장되는 그래픽을 표시한 표시부를 갖고,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으로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앞뒤 허리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허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흡수체의 측가장자리와,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가, 상기 한쪽의 허리 영역을 획정하는 허리 패널에 접합된다.
상기 전단락에 개시한 본 발명에 따른 착용 물품은, 적어도 하기의 실시형태의 단독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1) 상기 앞뒤 허리 패널은, 상기 다리 개구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앞뒤 허리 패널에는, 상기 그래픽 표시부와의 식별이 가능한 표시부위가 상기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2)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패널에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허리 탄성체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사이드 플랩에는, 상기 다리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 탄성체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다리 탄성체 중에서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다리 탄성체와, 적어도 한 개의 상기 허리 탄성체가,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패널과 상기 사이드 플랩이 중첩되어 서로 접합하고 있는 부위에 있어서, 서로 교차한 상태에 있다.
(3) 상기 적어도 한쪽의 허리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허리 탄성체 중에서, 상기 허리 패널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기 허리 탄성체는,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일이 없는 양태에 있거나,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고 있어도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이완된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으며, 상기 흡수체에는 상기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는 허리 탄성체의 수축에 기인한 개더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4) 상기 그래픽 표시부는,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에 병행하는 외측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장자리의 외측에는 상기 표시 부위가 형성되어 있다.
(5)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다리 탄성체와 교차하고 있는 상기 허리 탄성체의 신장력은, 상기 다리 탄성체의 신장력보다 크다.
(6)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심과,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뒤 허리 패널에 접합되고, 상기 뒤 허리 패널은,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3등분하여 얻어지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상측 탄성 영역과 하측 탄성 영역과, 상기 상측 탄성 영역과 상기 하측 탄성 영역과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중간 탄성 영역 사이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중간 탄성 영역 각각의 신장력은, 상기 하측 탄성 영역의 신장력보다 크고, 또한,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신장력보다 크다.
(7) 상기 가랑이 패널은, 상기 세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의 각각을 통해 상기 앞뒤 허리 패널에 접합된다.
(8) 상기 가랑이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흡액 구조체와는 별체(別體)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개더가 상기 세로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상기 흡액 구조체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최외측 부분을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장했을 때의 최대 치수는, 상기 사이드 플랩이 접합되어 있는 부분에서의 상기 흡액 구조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10: 착용 물품(기저귀) 13: 가랑이 패널
14: 앞 허리 영역 15: 뒤 허리 영역
18: 앞 허리 패널 19: 뒤 허리 패널
22: 허리 개구 23: 다리 개구
31, 32: 허리 탄성체 34a, 35a: 상측 탄성체
34b, 35b: 중간 탄성체 34c, 35c: 하측 탄성체
41: 접합 영역 42: 다리 탄성 영역
42a: 내측 가장자리 43: 사이드 플랩
45: 다리 탄성체 54, 55: 단부
58: 흡수체 59: 표면 시트
61: 그래픽 표시부 61a: 내측 가장자리
61b: 외측 가장자리 63: 표시 부위
P: 중심선 X: 가로 방향
Y: 세로 방향

Claims (9)

  1. 세로 방향 및 그에 직교하는 가로 방향과, 피부 대향면 및 그 반대면인 피부 비대향면을 갖고, 앞 허리 영역을 획정하는 앞 허리 패널과, 뒤 허리 영역을 획정하는 뒤 허리 패널과, 가랑이 영역을 획정하는 가랑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랑이 패널은 흡수체의 상기 피부 대향면이 투액성 표면 시트로 피복되어 있는 흡액 구조체와, 상기 흡수체의 상기 가로 방향의 양측 각각에 위치하며 상기 앞뒤 허리 영역에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을 포함하고, 상기 앞뒤 허리 패널의 양측부가 서로 접합되며, 상기 가랑이 패널의 전후 양단부 각각이 상기 앞뒤 허리 패널 각각의 상기 피부 대향면에 접합됨으로써, 허리 개구와 한 쌍의 다리 개구가 획정되는 팬츠형의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다리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다리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앞 허리 영역으로부터 상기 뒤 허리 영역에까지 연장되는 그래픽 표시부를 갖고,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은, 그것에 포함되는 다리 탄성체에 의해 획정되고 상기 가로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를 가지며,
    상기 그래픽 표시부는,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내측 가장자리의 내측에 있고,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앞뒤 허리 패널 중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패널에 대해, 상기 사이드 플랩은, 적어도, 상기 가랑이 패널의 상기 가로 방향의 중심과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뒤 허리 패널은, 상기 다리 개구의 상기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앞뒤 허리 패널에는, 상기 그래픽 표시부와의 식별이 가능한 표시 부위가 상기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착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패널에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허리 탄성체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사이드 플랩에는, 상기 다리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 탄성체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며,
    복수 개의 상기 다리 탄성체 중에서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다리 탄성체와, 한 개 이상의 상기 허리 탄성체가,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패널과 상기 사이드 플랩이 중첩되어 서로 접합하고 있는 부위에 있어서, 서로 교차한 상태에 있는 착용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또는 양쪽의 허리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허리 탄성체 중에서, 상기 허리 패널의 양측부로부터 상기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에까지 연장되어 있는 상기 허리 탄성체는,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일이 없는 양태에 있거나,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고 있어도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고 있는 부분에서는 이완된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고, 상기 흡수체에는 상기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는 허리 탄성체의 수축에 기인한 개더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착용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표시부는,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에 병행하는 외측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외측 가장자리의 외측에는 표시 부위가 형성되어 있는 착용 물품.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다리 탄성체와 교차하고 있는 상기 허리 탄성체의 신장력은, 상기 다리 탄성체의 신장력보다 큰 착용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뒤 허리 영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의 중심과,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위가, 상기 뒤 허리 패널에 접합되고,
    상기 뒤 허리 패널은,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를 3등분하여 얻어지는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상측 탄성 영역과 하측 탄성 영역과, 상기 상측 탄성 영역과 상기 하측 탄성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중간 탄성 영역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중간 탄성 영역 각각의 신장력이, 상기 하측 탄성 영역의 신장력보다 크고, 또한 상기 다리 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신장력보다 큰 착용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패널은, 상기 세로 방향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의 각각을 통해 상기 앞뒤 허리 패널에 접합되는 착용 물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패널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플랩은, 상기 흡액 구조체와는 별체(別體)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개더가 상기 세로 방향으로 늘어선 상태로 상기 흡액 구조체에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플랩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최외측 부분을 상기 세로 방향으로 신장했을 때의 최대 치수는, 상기 사이드 플랩이 접합되어 있는 부분에서의 상기 흡액 구조체의 상기 세로 방향의 치수보다 큰 착용 물품.
KR1020167014950A 2013-11-09 2014-09-25 팬츠형의 착용 물품 KR102272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2629 2013-11-09
JP2013232629A JP5996511B2 (ja) 2013-11-09 2013-11-09 パンツ型の着用物品
PCT/JP2014/075359 WO2015068484A1 (ja) 2013-11-09 2014-09-25 パンツ型の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805A KR20160085805A (ko) 2016-07-18
KR102272443B1 true KR102272443B1 (ko) 2021-07-01

Family

ID=5304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950A KR102272443B1 (ko) 2013-11-09 2014-09-25 팬츠형의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996511B2 (ko)
KR (1) KR102272443B1 (ko)
CN (1) CN105705125B (ko)
AU (1) AU2014345089B2 (ko)
MY (1) MY173122A (ko)
PH (1) PH12016500591A1 (ko)
WO (1) WO2015068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8132B2 (ja) * 2016-06-09 2021-01-06 株式会社光洋 吸収性物品
AU2017401507B2 (en) * 2017-02-28 2022-12-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absorbent articles with extended leg elastics
JP6503428B2 (ja) 2017-09-27 2019-04-17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834930B2 (ja) * 2017-12-15 2021-02-2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6863269B2 (ja) * 2017-12-25 2021-04-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7217203B2 (ja) * 2019-06-20 2023-02-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309223B2 (ja) * 2020-09-04 2023-07-18 株式会社サンセイアールアンドディ 遊技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494A (ja) 2002-02-20 2005-06-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容易で直感的な交換を助けるように設計された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1072679A (ja) 2009-09-30 2011-04-14 Unicharm Corp 着用物品
JP2013118934A (ja) 2011-12-07 2013-06-17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3226392A (ja) 2012-03-29 2013-11-07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5382A (en) * 1993-04-26 1999-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reshortened containment flaps in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7337099B2 (en) 2002-12-23 2008-02-26 Global Nuclear Fuel - Americas, Llc Method, arrangement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database of fuel bundle designs for nuclear reactors
JP4426754B2 (ja) * 2002-12-27 2010-03-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のインジケータ
EP1712212A3 (en) * 2003-05-27 2006-10-2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KR101436022B1 (ko) * 2006-12-28 2014-08-29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일회용 기저귀
JP5027525B2 (ja) * 2007-02-22 2012-09-19 白十字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5383271B2 (ja) * 2009-03-25 2014-01-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31097B2 (ja) * 2010-08-02 2014-11-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WO2012149238A2 (en) * 2011-04-29 2012-1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leg gasketing cuf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494A (ja) 2002-02-20 2005-06-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容易で直感的な交換を助けるように設計された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2011072679A (ja) 2009-09-30 2011-04-14 Unicharm Corp 着用物品
JP2013118934A (ja) 2011-12-07 2013-06-17 Kao Corp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13226392A (ja) 2012-03-29 2013-11-07 Unicharm Corp 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6500591B1 (en) 2016-05-30
WO2015068484A1 (ja) 2015-05-14
JP5996511B2 (ja) 2016-09-21
JP2015092947A (ja) 2015-05-18
CN105705125A (zh) 2016-06-22
CN105705125B (zh) 2019-09-27
AU2014345089B2 (en) 2018-08-16
PH12016500591A1 (en) 2016-05-30
MY173122A (en) 2019-12-27
KR20160085805A (ko) 2016-07-18
AU2014345089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443B1 (ko) 팬츠형의 착용 물품
JP6153338B2 (ja) 低月齢児用パンツ型おむつ
WO2015001826A4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TWI602551B (zh) Disposable diapers
JP6324281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5001914A1 (ja) パンツ型の着用物品
US10123915B2 (en) Disposable pull-on diaper
KR20160083018A (ko) 팬티형의 일회용 흡수성 물품
KR102511265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WO2015068480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1927018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6425583B2 (ja) 使い捨ておむつ
KR20170098229A (ko) 일회용 기저귀
JP2017012460A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AU2015417850B2 (en) Belted absorbent article with distinguishable belt ends
JP2014171692A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6292652B2 (ja) パンツ型おむつ
KR20170098230A (ko) 일회용 기저귀
JP6202887B2 (ja) 吸収性物品
JP6195724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おむつ
BR112016010066B1 (pt) Artigo do vestuário tipo calça
WO2015093328A1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9118544A (ja) 使い捨て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